KR200382893Y1 - 생리용 탐폰 - Google Patents

생리용 탐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893Y1
KR200382893Y1 KR20-2005-0001784U KR20050001784U KR200382893Y1 KR 200382893 Y1 KR200382893 Y1 KR 200382893Y1 KR 20050001784 U KR20050001784 U KR 20050001784U KR 200382893 Y1 KR200382893 Y1 KR 200382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outer cylinder
vaginal cavity
tampon
shor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가아야미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2005-0001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6Means for inserting tampons, i.e.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리용 탐폰의 어플리케이터를 신체의 특징에 맞춘 적절한 깊이에 삽입하여 탐폰 본체를 질강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리용 탐폰(1)의 어플리케이터(10)의 외통(11)의 외면에 최소한 삽입하여야 하는 깊이를 나타내는 최단 마크(31)와, 삽입 길이의 한계를 나타내는 최장 마크(32)와, 복수의 중간 마크(33, 34, 35)가 설치되어 있다.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신체의 특징에 따른 마크를 선택하고, 이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질강내에 삽입하여 탐폰 본체를 압출하는 것에 의해 탐폰 본체를 질강내의 최적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생리용 탐폰{SANITARY TAMPON}
본 고안은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탐폰 본체를 질강내에 삽입하는 생리용 탐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질강내에 어플리케이터의 삽입 치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탐폰 본체를 질강내에 위화감 없이 장착할 수 있는 생리용 탐폰에 관한 것이다.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한 생리용 탐폰은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합성 수지제의 외통과, 이 외통의 후단의 개구부에서 상기 외통내에 삽입되어 있는 압출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외통의 선단의 돌출부에는 외통의 일부에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통내에 액흡수 기능을 갖는 탐폰 본체가 수납되어 있다. 이 생리용 탐폰을 사용할 때는 어플리케이터의 외통을 질강내에 삽입하여 압출 부재로 외통내의 탐폰 본체를 누르고, 이 탐폰 본체를 외통의 선단의 돌출부로부터 돌출시켜 질강내에 장착한다.
여성의 질의 입구 부근에는 괄약근이 있기 때문에 탐폰 본체를 질강내의 괄약근보다도 안쪽에 장착하지 않으면 탐폰 본체가 괄약근을 압박하여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2000-279445호 공보에는 어플리케이터의 외통의 길이 치수를 탐폰 본체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하여, 외통의 후방 부분을 적지부로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적지부를 유지하여, 외통의 선부의 도입부를 질강내에 삽입함으로써 외통의 선부를 질강내에 깊게 삽입할 수 있고, 탐폰 본체를 괄약근이 없는 질강의 안쪽에 장착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0-279446호 공보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서서히 크게 함으로써 최대 외경부가 형성되고, 또한 후방을 향해서 직경이 점차로 작아지는 어플리케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어플리케이터의 외통을 질강내에 삽입할 때에, 외통의 최대 외경부가 질강의 괄약근의 부분을 지나 질강의 안으로 들어가기 쉽게 되며, 그 결과, 외통의 선부를 질강내에 깊게 삽입할 수 있고, 탐폰 본체를 질강의 안으로 장착하기 쉬워진다.
일본 특허 공개 2000-279445호 및 특허 공개 2000-279446호 공보에 기재한 것은 모두 외통의 선부를 질강내에 깊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탐폰 본체를 질강의 속에 장착하기 쉽게 하고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터에 질강내로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기준이 명확히 나타나 있지 않으면 어플리케이터를 필요 이상으로 깊게 삽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반대로 외통을 충분한 깊이에 삽입했다고 생각하고 있더라도 실제로는 얕게 삽입되어 있고, 외통으로부터 압출된 탐폰 본체가 괄약근이 존재하는 입구 부근에 장착되어 괄약근을 압박하여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질강의 깊이는 신장 등에 따라 개인차가 있고, 또한 괄약근의 위치나 크기에도 개인차가 있다. 또한 동일한 사람이라도 성장에 따라서 질강의 깊이나 괄약근이 변화된다. 그 때문에, 질강내로의 탐폰 본체의 적절한 장착 위치는 일률적이 아니고, 이것에 따라 어플리케이터의 질강내에 적절한 삽입 치수도 일률적이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한 삽입 깊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의 출현도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터의 질강내로의 삽입 깊이를 적절히 설정하기 쉬운 생리용 탐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전단에 돌출부가, 후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통 및 상기 후단의 개구부에서 외통의 내부에 삽입된 압출 부재를 갖는 어플리케이터와, 상기 외통내에 수납되어 상기 압출 부재로 압박되어 상기 돌출부로부터 돌출 가능한 탐폰 본체를 갖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는 상기 외통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비운 위치에 질강내로의 외통의 삽입 치수의 기준을 나타내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생리용 탐폰은 외통에 마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마크를 삽입 깊이의 기준으로서 인식하면서 외통의 선부를 질강내에 삽입할 수 있고, 불안을 느끼는 일없이, 외통의 선부를 적절한 깊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크를 목표로 하여, 개인차에 따라서 이 마크로부터 희망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삽입 깊이의 기준으로서 장착함으로써 탐폰 본체를 신체의 특징에 맞춘 깊이에 장착하기 쉬워져 탐폰 본체로 괄약근을 압박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외통에는 질강내에 삽입하여야 할 최단 치수를 나타내는 최단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단 마크는 최소한 이 마크보다도 앞부분을 질강내에 삽입하여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최단 마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외통이 질강내에 지나치게 얕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외통에는 질강내에 삽입하는 한계 치수를 나타내는 최장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 최장 마크는 그것보다도 후단측을 질강내에 삽입하지 않도록 주의를 재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최장 마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외통을 질강내에 지나치게 깊게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통에는 질강내에 삽입하여야 할 최단 치수를 나타내는 최단 마크와, 질강내에 삽입하는 한계 치수를 나타내는 최장 마크의 쌍방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생리용 탐폰은 외통을 질내에 너무 얕게 삽입하거나, 또한 너무 깊게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단 마크와 최장 마크를 목표로 하여, 양마크의 중간에 개인차에 따른 삽입 깊이의 적정 개소를 미리 결정해 두는 것에 의해, 항상 최적의 위치에 탐폰 본체를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최단 마크와 상기 최장 마크와의 사이의 적어도 1개소에 중간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 중간 마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개인차에 따른 최적의 삽입 깊이 치수의 표준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본 고안은 각 마크는 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최장 마크가 외통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면, 항상 최장 마크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잘못하여 외통을 질강의 내부에 너무 깊게 삽입했을 때에는 최장 마크가 질의 입구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 그 이상 삽입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복수의 마크가 외통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있어, 상기 최장 마크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다른 마크가 돌출 높이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최단 마크 및 중간 마크의 돌출 높이 치수를 작게 해 두면, 이들 마크의 부분이 질강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질에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부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수의 마크가 외통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있어, 임의의 마크는 눌러 찌부러뜨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이라도 좋다.
이 생리용 탐폰에서는 개인차에 따라서 최적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마크만을 남기고 다른 마크를 찌부러뜨려 두는 것에 의해, 기준으로 해야 하는 마크의 위치를 손가락의 감촉 등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외통을 신체의 특징에 따른 깊이만큼 정확히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마크의 설명이 사용설명서 및 패키지의 적어도 한쪽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생리용 탐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생리용 탐폰의 외통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 반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생리용 탐폰(1)은 탐폰 본체(2)와 이 탐폰 본체(2)를 수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터(10)를 갖고 있다.
상기 탐폰 본체(2)는 코튼이나 레이온 등의 흡수성 섬유를 압축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 탐폰 본체(2)의 후단에는 추출 코드(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탐폰 본체(2)의 길이 치수(L2)는 20∼60 ㎜ 정도이다. 상기 길이 치수(L2)가 20 ㎜ 미만이면 질강내에서의 경혈의 흡수 능력이 부족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길이 치수(L2)가 60 ㎜를 넘으면 탐폰 본체(2)를 질강의 속에 장착한 경우라도 탐폰 본체(2)의 후단 부분이 질강의 입구부의 괄약근을 압박하여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부여할 우려가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10)는 외통(11)을 갖고 있다. 외통(11)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재료로서 사출 성형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통(11)은 선부에 큰 직경의 머리 부분(12)을 갖고 있다. 이 머리 부분(12)에서는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이 서서히 커져 직경이 최대가 되고, 또한 후방을 향하여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상기 머리 부분(12)보다도 후방에는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 부분(12)과 소직경부(13)와의 경계 부분은 외통(11)의 전체 길이 치수(L1)의 1/2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외통(11)의 선단, 즉 상기 머리 부분(12)의 선단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4)에는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소정 길이의 복수의 슬릿(15)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15)과 슬릿(15)에 끼워진 부분이 밸브(16)로 되어 있다. 이 밸브(16)는 복수매 설치되고, 각각의 밸브(16)는 선부를 향하여 폭치수가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이다. 외통(11)내의 탐폰 본체(2)가 상기 돌출부(14)로부터 전방으로 압출될 때에 복수의 밸브(16)가 서로 열리도록 변형된다.
상기 외통(11)의 상기 소직경부(13)의 후방 부분은 후단을 향해서 조금 폭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외통(11)의 후단에는 외통(11)의 내부에 통하는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어플리케이터(10)는 압출 부재(21)를 갖고 있고, 이 압출 부재(21)는 상기 개구부(17)로부터 외통(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압출 부재(21)는 PE, PP,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원통형(스트로형, 파이프형)으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출 부재(21)의 선단에는 직경을 약간 확장시킨 압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11)의 전체 길이 치수(L1)는 상기 탐폰 본체(2)의 길이 치수(L2)보다도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외통(11)은 머리 부분(12)으로부터 후방에의 소정 길이의 부분이 질강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소직경부(13)의 후방의 일부분이 질외에 남겨지도록 그 전체 길이 치수(L1)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전체 길이 치수(L1)의 바람직한 범위는 80∼140 ㎜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탐폰 본체(2)는 외통(11)의 내부에 있어서 그 전방 영역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탐폰 본체(2)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추출 코드(3)는 상기 압출 부재(21)의 내부 공간내에 삽입되어 압출 부재(21)의 후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통(11)의 외면에는 질강내로의 외통(11)의 삽입 치수의 기준(표준)이 되는 마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크(30)는 외통(11)의 선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거리 La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최단 마크(31), 및 상기 선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거리 Lb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최장 마크(32)를 갖고 있다. 또한 최단 마크(31)와 최장 마크(32)와의 사이를 등분하는 제1의 중간 마크(33), 제2의 중간 마크(34) 및 제3의 중간 마크(35)를 갖고 있다.
사용자가 질강내에 외통(11)을 삽입할 때에, 상기 마크(30) 중 어느 하나를 질강내로의 외통(11)의 삽입 치수의 기준(표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용자는 질강의 깊이나 괄약근의 위치 등 개개의 체형이나 신체의 특징에 따라서 상기 마크(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삽입 깊이의 기준(표준)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최단 마크(31)는 일반적인 성인 여성이 최단 여기까지 삽입하여야 하는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외통(11)의 선단으로부터의 거리 La가 40 ㎜ 이상인 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La는 50±10 ㎜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거리 La가 40 ㎜ 미만이면 외통(11)을 선단으로부터 La의 치수만큼 질강내에 삽입하여 탐폰 본체(2)를 돌출부(14)로부터 돌출시켰을 때에 탐폰 본체(2)를 질강의 안쪽에 장착할 수 없고, 괄약근이 존재하는 질의 입구 근처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상기 최장 마크(32)는 일반적인 성인 여성이 외통(11)을 그 이상 질강내에 삽입하면 안 된다는 주의를 재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통(1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최장 마크(32)까지의 거리 Lb는 최장 11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Lb는 70∼110 ㎜의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 외통(11)의 상기 최장 마크(32)보다도 후방의 길이 Lc의 범위는 파지부(18)이며, 이 파지부(18)는 질강내에 삽입하지 않고서 손가락으로 유지하는 영역이다. 이 파지부(18)의 치수 Lc는 적어도 10 ㎜ 이상 확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단 마크(31)와 제1의 중간 마크(33)와의 피치, 제1의 중간 마크(33)와 제2의 중간 마크(34)와의 피치, 제2의 중간 마크(34)와 제3의 중간 마크(35)와의 피치, 및 제3의 중간 마크(35)와 최장 마크(32)와의 피치는 서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며, 각 피치는 5∼10 ㎜ 정도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마크(31, 32, 33, 34, 35)는 외통(11)의 소직경부(13)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융기하여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최단 마크(31)와 각 중간 마크(33, 34, 35)는 모두 질의 내면에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도록 그 표면이 삽입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도록, 즉 도 3에 나타내는 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이 곡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11)의 표면으로부터의 상기 최단 마크(31) 및 각 중간 마크(33, 34, 35)의 융기 높이 치수(δ1)는 손가락으로 만져 인식할 수 있고, 게다가 질강내에 삽입했을 때에 질에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도록 0.1∼0.5 ㎜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최장 마크(32)도 그 표면이 삽입 방향을 향해서 만곡하는 곡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장 마크(32)의 외통(11)의 표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 치수(δ2)는 상기 돌출 높이 치수(δ1)보다도 높아, 예컨대 상기 돌출 높이 치수(δ2)는 1∼5 ㎜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최장 마크(32)를 다른 마크보다도 높게 융기시킴으로써 외통(11)의 질강내로의 삽입의 깊이 한계 위치를 나타내기 쉬워진다.
상기 생리용 탐폰(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플리케이터(10)의 외통(11)의 돌출부(14)를 질의 내측을 향하여 질강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압출 부재(21)로 탐폰 본체(2)를 누르면, 외통(11)의 돌출부(14)의 밸브(16)가 열리도록 변형되어 탐폰 본체(2)가 외통(11)으로부터 전방으로 둘출하고, 탐폰 본체(2)가 질강내에 장착된다.
맨 처음에 이 생리용 탐폰(1)을 사용할 때에 적어도 최단 마크(31)의 위치까지 질강내에 삽입함으로써 외통(11)의 삽입 깊이가 너무 얕다고 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최장 마크(32)를 삽입 깊이의 한계라고 인식해 두는 것에 의해 외통(11)을 질강내에 불안없이 삽입할 수 있어 지나치게 깊은 삽입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크(30)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삽입 깊이의 기준(표준)으로서 알아두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자기의 신체의 특징에 맞도록 외통(11)을 적절한 깊이까지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즉, 동일한 생리용 탐폰을 수회 사용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삽입 깊이를 아는 것에 의해, 그 후는 그 마크를 기준으로서 외통(11)을 삽입함으로써 외통(11)을 질강내에 항상 최적의 깊이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제2의 중간 마크(34)가 자기의 신체에서의 삽입 깊이에 적합하다고 안 후는, 손가락을 제2의 중간 마크(34)에 대어 외통(11)을 질강내에 삽입하고, 제2의 중간막(34)이 질의 입구부에 위치한 상태로 압출 부재(21)를 눌러, 외통(11)으로부터 탐폰 본체(2)를 압출하는 것에 의해 탐폰 본체(2)를 질강의 속의 적정 위치에 반드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최장 마크(32)만이 다른 마크와 식별할 수 있는 돌출 높이 치수(δ2)를 갖고 있고, 최단 마크(31) 및 각 중간 마크(33, 34, 35)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동일한 돌출 높이 치수(δ1)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101)의 외통(11)의 소직경부(13)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이 생리용 탐폰(101)에서는 각 마크(130)가 손가락의 접촉 감촉으로 식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마크(130)는 모두 외통(11)에 일체로 링형으로 융기 형성되어 있다. 최단 마크(131)는 1조의 링형 융기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1의 중간 마크(133)는 2조의 링형 융기부에 의해 형성되며, 제2의 중간 마크(134)는 3조의 링크형의 융기부에서, 제3의 중간 마크(135)는 4조의 링형 융기부로 형성되어 있다. 최단 마크(131) 및 각 중간 마크(133, 134, 135)는 모두 도 3에 나타낸 마크(31, 32, 33, 34)와 동일한 돌출 높이 치수(δ1)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장 마크(132)는 1조의 링형 융기부로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 높이 치수는 도 3에 나타낸 최장 마크(32)와 동일한 δ2이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장 마크(132)를 다른 마크와 다른 수의 링형 융기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201)의 외통(11)의 소직경부(13)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제3의 중간 마크(235)와 최장 마크(232)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른 마크도 동일한 구조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통(11)의 외면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내에 다른 소재가 끼워 넣어져 마크(230)가 형성되어 있다. 마크(230)를 형성하는 소재는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또한 외통(11)을 형성하고 있는 합성 수지 재료보다도 연질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바퀴형의 실리콘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이 탄성 부재를 외통(11)의 홈에 끼워 붙이는 동시에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접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마크(230)를 연질인 재료 또는 탄성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마크(230)가 질강내에 위화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하지 쉬워진다.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최장 마크(232)의 돌출 높이 치수가 δ2이며, 그 밖의 마크의 돌출 높이 치수가 δ1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구조의 마크를 이용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크의 종별에 따라서 수를 변경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301)의 외통(11)의 소직경부(13)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이 생리용 탐폰(301)에서는 최단 마크(331)가 하나의 원형의 융기부로 형성되고, 제1의 중간 마크(333), 제2의 중간 마크(334), 제3의 중간 마크(335)가 2개, 3개, 4개의 원형의 융기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장 마크(332)는 도 3에 나타내는 최장 마크(32) 및 도 4에 나타내는 최장 마크(132)와 같이 링형의 융기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손가락의 감촉으로 마크(330)의 종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최단 마크(331), 및 각 중간 마크(333, 334, 335)의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에서는 최단 마크(331)(및 각 중간 마크(333, 334, 335))가 외통(11)과 일체로 또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 최단 마크(331)를 손가락으로 찌부러뜨리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331a)가 형성된다. 혹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단 마크(331)(및 각 중간 마크(333, 334, 335))가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단 마크(331)를 손가락으로 찌부러뜨리면 평탄부(331a)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외통(11)을 질강에 삽입하지만, 기준으로 하여야 하는 마크는 신체의 개인차에 따라서 다르다. 사용자가 자기에게 알맞은 마크만을 융기한 상태로 남기고, 다른 마크를 도 7b 또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찌부러뜨리는 것에 의해 외통(11)의 삽입 깊이의 기준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 깊이의 기준으로 하는 마크 이외의 마크를 돌출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통(11)을 질강에 삽입할 때에 기준으로 하여야 하는 마크 이외의 마크가 신체에 위화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생리용 탐폰은 상기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단 마크(31), 제1의 중간 마크(33), 제2의 중간 마크(34), 제3의 중간 마크(35), 및 최장 마크(32)에 다른 색채를 칠하여 눈으로 식별하기 쉽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크를 색채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외통(11)의 소직경부(13)에 융기부를 형성하지 않고, 다른 색채를 도포함으로써 식별 가능한 마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외통의 최단의 삽입 깊이를 나타내는 최단 마크만을 설치하더라도 좋고, 삽입 깊이 한계를 나타내는 최장 마크만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중간 마크를 설치하지 않고서, 최단 마크와 최장 마크만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중간 마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중간 마크를 하나 이상 설치하면 좋다.
본 고안은 외통에 질강내로의 삽입 깊이의 기준이 되는 마크를 붙였기 때문에 외통을 질강내에 적절한 깊이에 불안없이 삽입할 수 있게 되어, 탐폰 본체를 질강내의 적정 위치에 장착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생리용 탐폰의 단면도.
도 3은 마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외통의 반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의 외통을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의 외통을 나타내는 반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4의 실시형태의 생리용 탐폰의 외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마크의 구조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마크의 구조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201, 301: 생리용 탐폰
2: 탐폰 본체
3: 추출 코드
10: 어플리케이터
11: 외통
12: 머리 부분
13: 소직경부
14: 돌출부
16: 밸브
17: 개구부
18: 추출부
21: 압출 부재
30, 130, 230, 330: 마크
31, 131, 33: 최단 마크
32, 132, 232, 332: 최장 마크
33, 34, 35, 133, 134, 135, 235, 333, 334, 335: 중간 마크

Claims (10)

  1. 전단에 돌출부가, 후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외통 및 상기 후단의 개구부에서 외통의 내부에 삽입된 압출 부재를 갖는 어플리케이터와, 상기 외통내에 수납되어 상기 압출 부재로 압박되어 상기 돌출부로부터 돌출 가능한 탐폰 본체를 갖는 생리용 탐폰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는 상기 외통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질강내로의 외통의 삽입 치수의 기준을 나타내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용 탐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는 질강내에 삽입하여야 할 최단 치수를 나타내는 최단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는 질강내에 삽입하는 한계 치수를 나타내는 최장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는 질강내에 삽입하여야 할 최단 치수를 나타내는 최단 마크와, 질강내에 삽입하는 한계 치수를 나타내는 최장 마크의 쌍방이 설치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 마크와 상기 최장 마크와의 사이의 적어도 1개소에 중간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각 마크는 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생리용 탐폰.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장 마크는 외통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마크가 외통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최장 마크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다른 마크의 돌출 높이보다도 큰 생리용 탐폰.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마크가 외통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임의의 마크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것이 가능한 생리용 탐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의 설명이 사용설명서 및 패키지의 적어도 한쪽에 기록되어 있는 생리용 탐폰.
KR20-2005-0001784U 2004-01-30 2005-01-20 생리용 탐폰 KR200382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784U KR200382893Y1 (ko) 2004-01-30 2005-01-20 생리용 탐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3644 2004-01-30
KR20-2005-0001784U KR200382893Y1 (ko) 2004-01-30 2005-01-20 생리용 탐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893Y1 true KR200382893Y1 (ko) 2005-04-27

Family

ID=4368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784U KR200382893Y1 (ko) 2004-01-30 2005-01-20 생리용 탐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8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274B2 (en) Sanitary tampon
US11564850B2 (en) Tampon assembly providing proper bodily placement of a pledget
US9737443B2 (en) Ergonomic tampon applicator
US8887368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tampon applicator
US7862533B2 (en) Multiple-component tampon applicator
AU2009272241B2 (en) Tampon applicator
US8221375B2 (en) Barrel for a tampon applic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KR100675108B1 (ko) 탐폰용 애플리케이터
MXPA03008949A (es) Aplicador que tiene extremo de agarre mejorado.
US20110275977A1 (en) Applicator for tampon
KR200382893Y1 (ko) 생리용 탐폰
CA2521252C (en) A barrel for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and methods of 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