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503Y1 -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503Y1
KR200382503Y1 KR20-2005-0002623U KR20050002623U KR200382503Y1 KR 200382503 Y1 KR200382503 Y1 KR 200382503Y1 KR 20050002623 U KR20050002623 U KR 20050002623U KR 200382503 Y1 KR200382503 Y1 KR 200382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eaf spring
hold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6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2005-0002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5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5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이나 폴더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PDA, 네비게이션 등)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본체; 일단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상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단이 판스프링과 연동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억지 절곡시 일단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방향으로 접철되고, 상기 일단의 역접철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억지 절곡된 판스프링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작동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좌우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억지 절곡시 상기 판스프링의 절곡 각도에 따라 벌려졌다가 오므려질 수 있는 거치부; 및 후진시 상기 거치부가 오므려지도록 상기 판스프링을 가압하여 억지 절곡시키는 잠금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원터치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쉽게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고, 신속한 장착, 탈거 및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고, 장착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디스플레이창이나 카메라의 사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PDA, navigation, etc.) of various forms such as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case body; One e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ther end is interlocked with the leaf spring, one end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bending spring is forcibly bent, the principle of the reverse folding lever An actuating portion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forcibly bent leaf springs by using; A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so as to be opened and retrac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leaf spring when the leaf spring is forcibly bent; And a locking button part for pressing and bending the leaf spring so that the mounting part is retracted when rever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asily mounted or removed in a one-touch manner, and can be quickly installed. It is possible to remove and use easily, to prot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external shocks and vibrations, and to free the use of the external display window or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nstalled.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고안은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형이나 폴더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휴대폰, PDA, 네비게이션 등)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PDA, navigation, etc.) of various types such as a slide type or a folder type. .

일반적으로, 최근 정보화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휴대폰은 물론, PDA나 네비게이션 등 첨단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arrival of the information society, high-te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PDAs and navigation systems are widely used.

특히,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비단 휴대폰 등 음성정보전달용 단말기에만 국한되지 않고, 휴대용 PC나 각종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한 첨단 통신기기가 모두 포함된다.In particular,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limited to a voice information transmission terminal such as a non-mobile phone, but includes all of a high-tech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portable PC or various networks.

또한, 근래에는 게임이나 동영상이나 아나로그 및 디지털방송의 수신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대폭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multimedia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reception of games, video, analog and digital broadcasting, have been greatly strengthened.

따라서,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는 최첨단의 작고 민감하며 고집적화된 전자부품들이 내장되는 데, 이동통신단말기의 휴대나 보관시 이를 장착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오염물질들로 인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the latest small, sensitive and highly integrated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rried or stored, it prevents mal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external shock or pollutants. And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wide variety of forms that can be firmly protected, has been widely u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는, 매우 간단한 형태의 포켓형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첫째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를 열고 포켓에 집어 넣고, 다시 덮개를 닫는 등 장착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서 신속한 장착, 탈거 및 간편한 사용이 어려웠었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holder for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very simple pocket type case, firstly, the mounting operation is very cumbersome, such as opening the co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tting it in the pocket, and closing the cover again.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remove, easy to use.

둘째로, 포켓 내부에 수납된 이동통신단말기는 포켓 내부에서 쉽게 흔들리거나 포켓과 충돌하는 등 이동통신단말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어서 외부의 충격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used inside the pocket cannot easily be firmly fix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easily shaking or colliding with the inside of the pocket, so that it can be easily exposed to external shocks.

셋째로, 덮개 등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디스플레이창이나 카메라를 가려서 장착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디스플레이창이나 카메라의 사용이 불가능해지거나 반드시 덮개를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ird, when the cover covers the external display window or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 of the external display window or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comes impossible or the cover must be open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홀더 방향으로 밀어서 쉽게 장착시킬 수 있고, 홀더 방향으로부터 역으로 빼내는 동작만으로 쉽게 탈거시킬 수 있게 하여 신속한 장착, 탈거 및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one-touch method can be easily mounted by pus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holder direction, it can be easily removed only by removing the reverse from the holder direction for quick installation, removal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easy us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가 판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moun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fixed very firmly by pressurization of a leaf spring to prot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s in.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디스플레이창이나 카메라의 사용을 자유롭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ree the use of the external display window or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moun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방에 힌지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상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단이 판스프링과 연동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억지 절곡시 일단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방향으로 접철되고, 상기 일단의 역접철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억지 절곡된 판스프링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작동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좌우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억지 절곡시 상기 판스프링의 절곡 각도에 따라 벌려졌다가 오므려질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안착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진시 상기 거치부가 오므려지도록 상기 판스프링을 가압하여 억지 절곡시키는 잠금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that can be moun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se body; It is installed to be hinged above the case body, one e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ther end is interlocked with the leaf spring when one end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forcing bending of the leaf spring. And an actuating unit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forcibly bent leaf spring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one end of the reverse folding lever; A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so as to be opened and retrac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leaf spring when the leaf spring is forcibly bent; And a locking button unit install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forcing the leaf spring to be bent by pressing the leaf spring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is retracted when reversing.

또한,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부의 일단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able a more secure fixing is formed a engaging piece protruding tow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form a locking piece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groove formed on the side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걸림편과 이동통신단말기의 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편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미끄럼 방지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cking piece is preferably made of an anti-slip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so as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locking pie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판스프링은, 그 단면의 중심이 만곡된 형상이고, 양단이 절곡된 만곡스프링; 및 상기 만곡스프링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 걸쳐지고, 중심이 경첩으로 연결되어 "V"나 "역V" 형태로 접철이 가능한 2개의 접철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f spring,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urved shape, both ends of the curved spring; And a folding spring formed between two bent ends of the curved spring and having a center connected by a hinge to be folded in a “V” or “inverse V” shape.

또한, 상기 경첩은, 상기 접철판과 접철판 사이에 서로 어긋나게 돌출되는 경첩돌기인 것이 가능하다.The hinge may be a hinge protrusion projecting between the folding plate and the folding plate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at is, the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는, 크게 케이스 본체(2)와, 작동부(3)와, 거치부(4) 및 잠금 버튼부(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Firs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main body 2, the operating unit 3, the mounting portion 4 and It i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locking button part 5. FIG.

즉, 상기 케이스 본체(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가 장착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특히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를 거치할 때, 이동통신단말기(1)의 하단이 먼저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1)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단 날개부(6)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1)의 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날개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That is, the case body 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can be easily mounted, especial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mounted thereon. The lower wing portion 6 and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can be inserted and adhered first. The side wing portion 7 is formed to protru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be in close contact.

이러한 상기 케이스 본체(2)의 형상은 다양한 종류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와 대응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케이스 본체(2)의 형상은 도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The shape of the case body 2 may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he shape of the case body 2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but is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changes are possible.

한편, 본 고안의 작동부(3)는,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상방에 힌지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단이 판스프링(8)과 연동되어 상기 판스프링(8)의 억지 절곡시 일단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 방향으로 접철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unit 3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hinged above the case body 2, one e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other end of the leaf spring In connection with (8), one end of the leaf spring 8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따라서, 상기 작동부(3)의 일단이 역접철될 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억지 절곡된 판스프링(8)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refore, when one end of the said operation part 3 is reverse-folded, it is the structure which can selectively release | release the forcibly bent leaf spring 8 using the principle of a lever.

또한, 상기 거치부(4)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좌우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8)과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8)의 억지 절곡시 상기 판스프링(8)의 절곡 각도에 따라 벌려졌다가 오므려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거치부(4)로 인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양측면이 상기 케이스 본체(2)와 견고하게 서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8) when the leaf spring (8) for bending the leaf spring (8) It can be opened and retract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8),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can be firmly mounted with the case body 2 due to the mounting portion (4). .

또한, 상기 잠금 버튼부(5)는,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안착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진시 상기 거치부(4)가 오므려지도록 상기 판스프링(8)을 가압하여 억지 절곡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잠금 버튼부(5)의 조작은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위치가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안착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를 안착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잠금 버튼부(5)가 이동통신단말기(1)에 의해 후진되면서 상기 판스프링(8)이 절곡되도록 상기 판스프링(8)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cking button portion 5 is install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case body 2 so that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s possible, and presses the leaf spring 8 so as to retract the mounting portion 4 when reversing. As the bend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button 5 may be operated by the user by hand, but the position thereof is locat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case body 2 so that the user fac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n the seating surface direction. Only by the operation to press the lock button 5 is to be pushed back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press the leaf spring 8 so that the leaf spring 8 is bent.

한편, 상기 잠금 버튼부(5)가 이동통신단말기(1)에 의해 후진되면서 상기 판스프링(8)이 절곡되도록 상기 판스프링(8)을 가압되면, 작동부(3)가 전면부로 작동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면을 눌러 고정토록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4)의 일단에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측면에는 이동통신단말기(1)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0)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장착시 상기 작동부(3)의 걸림편(10)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양측면을 눌름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거치부(4)의 걸림편(10)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양측면을 눌러 고정시킴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 button portion 5 is pushed by the leaf spring 8 so that the leaf spring 8 is bent while being rever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operating portion 3 is moved to the front portion is moved. The upp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formed so as to be fixed, and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engaging piece 10 protruding towar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form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mounted, the locking pieces 10 of the operation unit 3 are fixed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he locking pieces 10 of the mounting part 4 are fixed.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fix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보다 견고한 장착을 위하여 상기 작동부(3)의 일단에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홈(9)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1)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0)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4)의 일단에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홈(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동통신단말기(1)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0)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장착시 상기 작동부(3)의 걸림편(10)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면홈(9)에 삽입되고, 상기 거치부(4)의 걸림편(10)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측면홈(11)에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operation unit 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9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for more robust moun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reby enabling mobile communication. The engaging piece 1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groove 11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o as to perform mobile communication. A locking piece 1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 is formed so that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mounted, the locking piece 10 of the operation unit 3 is an upper groove 9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1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prev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have.

아울러, 상기 걸림편(10)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미끄럼 방지재질로 제작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편(10)과 이동통신단말기(1)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10 is made of a non-slip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to alleviate the impact and at the same time can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locking piece 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이러한 상기 걸림편(10)은 반드시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면홈(9)이나 측면홈(11)에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외형에 탄력적으로 대응되도록 제작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piece 10 is not necessarily corresponding to the upper groove 9 or the side groove 1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but is manufactured to elastically correspond to the appearance of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use it.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판스프링(8)은, 다양한 형상의 판스프링(8)이 모두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만곡스프링(12) 및 접철스프링(13)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leaf spring (8)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leaf spring (8) of various shapes, but preferably, the curved spring 12 and the folding spring (13) )

즉, 상기 만곡스프링(12)은, 그 단면의 중심이 만곡된 형상이고, 양단이 절곡되어, 그 사이에 접철스프링(13)이 내설되는 것이고, 상기 접철스프링(13)은, 상기 만곡스프링(12)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 걸쳐지는 것으로서, 중심이 경첩으로 연결되어 "V"나 "역V" 형태로 접철이 가능한 2개의 접철판(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at is, the curved spring 12 is a shape in which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is curved, and both ends are bent so that the folding spring 13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olding spring 13 is the curved spring ( 12) spanning between the bent both ends, the center is composed of two foldable plate 14, which is connected by a hinge and foldable in the form of "V" or "inverse V".

다른 한편으로 상기 판스프링(8)은 중심이 만곡된 형상의 일체형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f spring 8 may be formed of an integral plate shape having a centered curved shape.

또한,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스프링(13)의 경첩은, 상기 접철판(14)과 접철판(14) 사이에 서로 어긋나게 돌출되는 경첩돌기(15)인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접철판(14)이 "V"나 "역V" 형태로 접철되더라도 상기 2개의 접철판(14)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hinge of the folding spring 13, the hinge projection 15 protruding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olding plate 14 and the folding plate (14). As it is, this serves to maintain the two fold plate 14 is connected even if the fold plate 14 is folded in the form of "V" or "inverse V".

따라서,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는 상기 접철스프링(13)의 접철판(14)들이 "역V"형태로 접철되어 상기 접철판(14)에 고정된 거치부(4)가 벌려진 상태로 대기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2)에 힌지 결합된 작동부(3) 역시 벌려진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S. 2 and 5, in the standby state, the folding plates 14 of the folding springs 13 have a "reverse V" shape. It is possible to stand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4 fixed to the folding plate 14 is opened and opened, and the operating unit 3 hinged to the case body 2 may also be in an open state.

이어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를 접근시켜서 상기 만곡스프링(12)의 복원력을 이기고 상기 잠금 버튼부(5)를 후진시키면, 상기 접철스프링(13)의 접철판(14)들이 "V"형태로 접철되면서 상기 접철판(14)에 고정된 거치부(4)가 오므려짐으로써 상기 거치부(4)의 걸림편(10)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를 파지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 본체(2)에 힌지 결합된 작동부 역시 상기 접철판(14)에 의해 밀려서 오므려짐으로써 상기 작동부(3)의 걸림편(10)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를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4 and 6,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n a stationary state and overcom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curved spring 12 and reverses the locking button unit 5, the folding is performed. As the folding plate 14 of the spring 13 is folded in the form of "V", the mounting portion 4 fixed to the folding plate 14 is closed, so that the engaging piece 10 of the mounting portion 4 is closed. The holding part 10 of the operating part 3 is moved by hol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he operating part hinged to the case body 2 is also pushed and retracted by the folding plate 14.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can be gripped.

이때, "V"형태로 접철된 상기 접철판(14)들은 상기 경첩에 의해 절철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olding plate 14 folded in the form of "V" can be kept in a state of being folded by the hinge.

한편, 역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3)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작동부(3)를 역접철시키면 지렛대의 원리로 상기 작동부(3)의 타단이 상기 접철판(14)들을 밀어 올림으로써 판스프링(8)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presses one end of the operating part 3 to reverse-fold the operating part 3,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part 3 is operated in the principle of lever. By pushing up the folding plates 14, the leaf spring 8 can be selectively released.

또한, 사용자가 강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를 이탈시킬 때에도 상기 판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거치부(4) 및 작동부(3)가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판스프링(8)의 탄성에 의해 역시 벌어지면서 이동통신단말기(1)의 쉬운 인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is forcibly disengag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when the mounting unit 4 and the operating unit 3 are applied with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8, the leaf spring ( 8) is also op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can be easily withdrawn.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f course,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고안의 케이스 본체나, 작동부나, 거치부나, 잠금버튼 등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형태(슬립형, 폴더형 등)에 의해 그 형태가 이동통신단말기의 형상에 맞추어 얼마든지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구성요소의 종류나 형태 및 디자인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the case body, the operation part, the mounting part, the lock button, etc.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s many as the sha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sha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p type, folder type, etc.).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change the type, shape and design of each component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limited by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spirit there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에 의하면, 원터치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쉽게 장착시키거나 탈거시킬 수 있고, 신속한 장착, 탈거 및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고, 장착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부 디스플레이창이나 카메라의 사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asily mounted or removed in a one-touch manner, and can be quickly installed, removed and used easil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from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terminal and to free the use of the external display window or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moun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Ⅲ-Ⅲ선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hol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도 5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Ⅴ-Ⅴ선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showing a standby state of the hol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6은 도 5의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5.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the Drawing)

1: 이동통신단말기 2: 케이스 본체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case body

3: 작동부 4: 거치부3: operating part 4: mounting part

5: 잠금 버튼부 6: 하단 날개부5: locking button part 6: lower wing part

7: 측면 날개부 8: 판스프링7: side wing 8: leaf spring

9: 상면홈 10: 걸림편9: Top groove 10: Hanging piece

11: 측면홈 12: 만곡스프링11: side groove 12: curved spring

13: 접철스프링 14: 접철판13: folding spring 14: folding plate

15: 경첩돌기15: hinge protrusion

Claims (5)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capable of moun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케이스 본체(2);Case body 2;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상방에 힌지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이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단이 판스프링(8)과 연동되어 상기 판스프링(8)의 억지 절곡시 일단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 방향으로 접철되고, 상기 일단의 역접철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억지 절곡된 판스프링(8)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작동부(3);It is installed to be hinged above the case body 2, one e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other end is interlocked with the leaf spring (8) of the leaf spring (8) An operating part (3), one end of which is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when forcibly bent, and selectively releasing the forcibly bent leaf spring (8)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reverse folding lever;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의 좌우측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8)과 연결되어 상기 판스프링(8)의 억지 절곡시 상기 판스프링(8)의 절곡 각도에 따라 벌려졌다가 오므려질 수 있는 거치부(4); 및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leaf spring (8) and is opened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of the leaf spring (8) when forcibly bending the leaf spring (8) A cradle 4 which can be retracted; And 상기 케이스 본체(2)의 안착면에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진시 상기 거치부(4)가 오므려지도록 상기 판스프링(8)을 가압하여 억지 절곡시키는 잠금 버튼부(5);A locking button part 5 install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2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forcing the leaf spring 8 to be bent by pressing so that the mounting part 4 is closed when reversing;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작동부(3)의 일단에는 이동통신단말기(1)의 상면을 눌러 고정시키는 걸림편(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iece 1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perating unit (3).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걸림편(10)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미끄럼 방지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 The engaging piece 10 is 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ti-slip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스프링(8)은,The leaf spring 8, 그 단면의 중심이 만곡된 형상이고, 양단이 절곡된 만곡스프링(12); 및A curved spring 12 whos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is curved and whose ends are bent; And 상기 만곡스프링(12)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 걸쳐지고, 중심이 경첩으로 연결되어 "V"나 "역V" 형태로 접철이 가능한 2개의 접철판(14)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스프링(13);과A folding spring (13) formed between two bent ends of the curved spring (12), the center of which is connected by a hinge and is folded in a form of "V" or "inverse V"; 상기 상기 접철판(14)과 접철판(14) 사이에 서로 어긋나게 돌출되는 경첩돌기(15)인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 projection (15) projecting between the folding plate (14) and the folding plate (14)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판스프링(8)은,The leaf spring 8, 그 단면의 중심이 만곡된 형상의 일체형의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A hold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integral plate shape having a curved shape.
KR20-2005-0002623U 2005-01-28 2005-01-28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825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623U KR200382503Y1 (en) 2005-01-28 2005-01-28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623U KR200382503Y1 (en) 2005-01-28 2005-01-28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503Y1 true KR200382503Y1 (en) 2005-04-20

Family

ID=4368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623U KR200382503Y1 (en) 2005-01-28 2005-01-28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503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14B1 (en) * 2011-12-28 2013-12-10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necklace type holding device for mobile
KR101403413B1 (en) * 2012-07-20 2014-06-03 이정욱 A variable holder for vehicles Monitor bracket
KR20160003982U (en) * 2015-05-12 2016-11-22 성일 Wrist wearing type mobile phone case
US10524548B2 (en) 2016-08-30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rap with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414B1 (en) * 2011-12-28 2013-12-10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necklace type holding device for mobile
KR101403413B1 (en) * 2012-07-20 2014-06-03 이정욱 A variable holder for vehicles Monitor bracket
KR20160003982U (en) * 2015-05-12 2016-11-22 성일 Wrist wearing type mobile phone case
KR200482498Y1 (en) * 2015-05-12 2017-02-01 성일 Wrist wearing type mobile phone case
US10524548B2 (en) 2016-08-30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rap with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100B2 (en) Magnetic hinge apparatus
US20050137000A1 (en) Rotatable latching device for a hous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807944A2 (en) Waterproofing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7885055B2 (en) Sliding module having locking function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64836B2 (en) Battery cover latch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382503Y1 (en)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634882B2 (en) Pop-up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24601A1 (en) Touch pen module and receiving mechanism thereof
US8279333B2 (en)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003333B2 (en) La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latch mechanism
US7847860B2 (en) Camera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041408B2 (en) Battery fasten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715845B2 (en) Battery cov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697064B2 (en) Foldable electronics
KR100747455B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20090165254A1 (en) Housing of foldable device
US20080259535A1 (en) Sliding open/closed device
CN210839709U (en) Mobile terminal protective housing
KR200165516Y1 (en) A flip type open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TWM278170U (en) Sliding pivotal device structure
KR10052389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ttachable LCD module
JP2974287B2 (en) Battery pack fixing structure
US20060184593A1 (en) Multi-cover device
KR200218486Y1 (en) Magnet Use A flip type open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KR100617740B1 (en)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