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535Y1 -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 Google Patents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535Y1
KR200377535Y1 KR20-2004-0035813U KR20040035813U KR200377535Y1 KR 200377535 Y1 KR200377535 Y1 KR 200377535Y1 KR 20040035813 U KR20040035813 U KR 20040035813U KR 200377535 Y1 KR200377535 Y1 KR 2003775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grabber
mobile crane
longitudinal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8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시앙 첸
Original Assignee
유시앙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시앙 첸 filed Critical 유시앙 첸
Priority to KR20-2004-0035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5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5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535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선된 설계의 그래버 머신(grabber machine)이 개시된다. 이 그래버 머신은 전시캐비넷, 베이스 스탠드 및 각각 그리핑 집게가 와이어로 연결된 세로방향 이동기중기 및 횡단 이동기중기를 구비한 두 세트의 기계아암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계아암은 조작패널에 설치되어 플레이어로 하여금 물품 위로 그리핑 집게를 위치시키고 전시캐비넷의 다른 물품들중에 선택된 물품을 집을 수 잇게 하는 독립된 로커와 선택버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그래버 머신의 특징적인 설계에 의하여 두명 혹은 세명의 플레이어들이 그래버 머신에 대해 다른 세트의 기계아암들과 로커들을 사용하여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그래버 머신은 오락게임에 대한 플레이어들의 열정을 환기시킬 수 있다. An improved design grabber machine is disclosed. The grabber machine comprises two sets of machine arms with a display cabinet, a base stand and a longitudinal mobile crane and a transverse mobile crane each connected by gripping tongs. Each machine arm is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dependent rocker and a selection button that allows the player to position the gripping tongs over the item and to pick up selected items from among other items in the display cabinet. This characteristic design of the grabber machine allows two or three players to operate the grabber machine simultaneously using different sets of machine arms and rockers. Such grabber machines can evoke players' passion for entertainment games.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그래버 머신{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본 고안은 그래버 머신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두사람 혹은 세사람의 플레이어가 별개 세트의 기계아암과 로커를 사용하여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게 하는 오락용 그래버 머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bber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reational grabber machine that allows two or three players to operate simultaneously using separate sets of machine arms and rockers.

일반적으로 그래버 머신(grabber machine)에는 투명 캐비넷의 내부에 전시된 테디 곰들, 미키 마우스, 침팬지 혹은 오랑우탕과 같은 여러 상이한 장난감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어서 플레이어는 장난감인 선택된 물품 위로 기계아암(mechanical arm)을 정렬시키기 위해 로커(rocker)를 조종하며 선택 버튼을 눌러서 그리핑 집게를 하강시켜 투명 캐비넷에 배치된 다른 물품들 중에서 선택된 물품을 집는다. 선택된 물품을 성공적으로 집으면, 하나의 손가락은 계속 선택 버튼 위에 유지하면서 선택된 물품이 배출 구멍 바로 위에 위치하기까지 투명 캐비넷의 하나의 코너로 선택된 물품을 끈다. 이어서, 구멍을 통하여 머신의 바닥으로 물품이 낙하할 수 있도록 선택 버튼이 놓여지며, 플레이어는 게임을 승리한 것에 대한 보상으로 물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픽업칸에 접근할 수 있다.Generally, a grabber machine is equipped with several different toys, such as teddy bears, Mickey mice, chimpanzees or orangutans, displayed inside a transparent cabinet, and then the player places a mechanical arm over the selected item as a toy. Steer the rocker to align and press the select button to lower the gripping forceps to pick up the selected item from among other items placed in the transparent cabinet. Upon successful picking up of the selected article, one finger continues to be held over the selection button while dragging the selected article to one corner of the transparent cabinet until the selected article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exit hole. A selection button is then placed to allow the item to fall through the hole to the bottom of the machine, and the player can access the pickup compartment to withdraw the item as a reward for winning the game.

이러한 일반적인 한 세트의 로커와 기계아암을 갖춘 그래버 머신은 한 사람이 단독으로만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게임을 하는 것이 싫증나며 경쟁자들로부터의 도전이 없다. 그러나, 그래버 머신이 두세 사람을 동시에 게임할 수 있게 하면, 게임은 더욱 흥미로울 수 있다. 그래버 머신의 재설계는 더욱 복잡한 제어로직과 높은 정밀도의 위치 설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게임에 대한 플레이어의 열정을 다시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기능들이 적용될 수 있다.Grabber machines with this general set of rockers and mechanical arms can only be operated by one person, so they're tired of playing games and there's no challenge from competitors. However, if the grabber machine allows two or three people to play at the same time, the game can be more interesting. The redesign of the grabber machine requires more complex control logic and higher precision positioning, so additional features can be applied to rekindle the player's enthusiasm for the game.

본 고안의 목적은 두 사람 혹은 세사람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그래버 머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 혹은 두 세트의 기계아암들과 로커들을 부가적으로 구비한 그래버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bber machine with additional one or two sets of machine arms and rockers so that two or three players can use the grabber machine at the same ti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그래버 머신은 전시 캐비넷과, 베이스 스탠드 및 두 세트 혹은 세 세트의 기계아암들을 구비하며, 각 세트의 기계아암들은 그리핑 집게와 와이어로 연결된 세로방향 이동기중기와 횡단 이동기중기를 포함하며, 두사람 혹은 세사람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기계아암은 전시 캐비넷 전면의 조작패널 위에 설치된 별개의 로커 및 선택버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To achieve this purpose, the grabber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play cabinet, a base stand and two or three sets of machine arms, each set of machine arms traversing a longitudinal mobile crane connected by gripping tongs and wires. It includes mobile cranes, and each machine arm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parate rocker and selector button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on the front of the exhibition cabinet so that two or three players can use it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본 고안에 따라, 선택된 물품 위에 기계아암이 위치되면, 그리핑 집게를 하강시켜 물품을 집기 위하여 선택버튼이 눌러지며, 이어서 물품은 배출구멍을 가진 한 코너로 끌어지며, 물품은 픽업칸으로부터 인출하도록 그래버 머신의 바닥으로 낙하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chanical arm is positioned over the selected article, the selection button is pressed to lower the gripping tongs to pick up the article, and then the article is pulled to a corner with a discharge hole and the article is withdrawn from the pickup compartment. Fall to the bottom of the grabber machine.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그래버 머신에 의하면, 각각 별개 세트의 기계아암들과 로커들과 선택버튼들을 사용하여 머신에 대해 두사람 혹은 세사람이 동시에 게임을 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어는 캐비넷의 경계 내부의 모든 영역을 이동할 수 있도록 집게를 상하, 좌우 및 대각선으로 조종할 수 있으며, 이는 본고안의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플레이어들이 선택된 물품 위에 동시에 집게들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교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improved grabber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three players can simultaneously play the machine using separate sets of machine arms, rockers and select buttons. Each player can control the tongs up, down, left and right to move all areas inside the cabinet boundaries, according to the control system in this artic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players can place them on the selected item at the same time. It means you can cross.

종래의 모델에 대해 개선된 그래버 머신을 사용하는 이점은, 본 고안의 그래버 머신은 참가 플레이어들에게 아주 경쟁적인 게임일 수 있어서 한명의 플레이어 혼자 보다 더욱 큰 흥미를 발생할 수 있는 점이다.The advantage of using an improved grabber machine over the conventional model is that the grabber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very competitive game for participating players, which can generate greater interest than one player alone.

단지 예로서의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고안은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그래버 머신(A)은 전시 캐비넷(1)과, 전시 캐비넷(1)의 하부에 수용된 베이스 및 제어 캐비넷(2)과, 두 세트 혹은 세 세트의 기계아암들(3)을 구비하며, 전시 캐비넷(1)의 전면으로 베이스 및 제어 캐비넷(2)의 위에 조작패널(21)이 배치되며, 이 조작패널(21) 위에는 각각 전시 캐비넷(1)의 천정 아래에 설치된 하나의 기계아암(3)을 제어하는 두 세트 혹은 세 세트의 로커들(211)과 선택버튼(212)이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및 제어 캐비넷(2)의 전면 패널에는 두개 혹은 세개의 동전 구멍들(213)과 픽업칸(214)이 구비된다.1 to 3, the grabber machin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cabinet 1, a base and control cabinet 2 hous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cabinet 1, and two or three sets of machines. An arm 3 is provided, and an operation panel 21 is disposed above the base and control cabinet 2 in front of the display cabinet 1, and on the operation panel 21, respectively, the ceiling of the display cabinet 1 is provided. Two or three sets of rockers 211 and a selection button 212 for controlling one machine arm 3 installed below are installed. In addition, the front panel of the base and control cabinet 2 is provided with two or three coin holes 213 and a pickup compartment 214.

전시캐비넷(1)에는 픽업칸(214)으로부터 인출하도록 선택된 물품이 그래버 머신의 바닥으로 그를 통해 낙하될 수 있는 사각 형상의 배출구멍(11)이 네 코너중의 하나 위에 구비된다. 각각의 세트의 기계아암(3)은, 각각 롤러를 구동하기 위하여 프레임 아래에 설치된 모터(도시생략)를 가지는 세로방향의 이동기중기(longitudinal jenny)(31)와 횡단 이동기중기(transversal jenny)(32)를 구비한다.The display cabinet 1 is provided on one of four corners with a rectangular discharge hole 11 through which an article selected to be withdrawn from the pickup compartment 214 can fall through the bottom of the grabber machine. Each set of machine arms 3 has a longitudinal jenny 31 and a transversal jenny 32 each having a motor (not shown) installed under the frame to drive the rollers. ).

각각의 세로방향 이동기중기(31)는 공통의 세로방향 레일(313)에 맞추어지도록 이동기중기(31)의 후방측 위에 한 상의 롤러(312)를 사용하여 전시 캐비넷(1)의 아래에 설치된다. 각각의 세로방향 이동기중기(31)는 한 쌍의 롤러(312)와 세로방향 레일(313)에 의해 지지되며, 전시 캐비넷(1)의 반대측 위에서 넓은 측으로부터 이동판으로 연장하는 연결로드와 한 쌍의 횡단 레일(314)을 구비한다. 세로방향 이동기중기(31)는 공통의 세로방향 레일(313) 위에 설치된다.Each longitudinal mobile crane 31 is mounted below the display cabinet 1 using a roller roller 312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crane 31 so as to fit on a common longitudinal rail 313. Each longitudinal mobile crane 31 is supported by a pair of rollers 312 and longitudinal rails 313, and a pair of connecting rods extending from the wide side to the movable pl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cabinet 1; A transverse rail 314. The longitudinal mobile crane 31 is mounted on a common longitudinal rail 313.

각각의 횡단 이동기중기(32)는 두개의 횡단 레일들(314) 위에 고정되는 두열의 롤러들(321)을 사용하여 설치되는 데, 횡단 이동기중기(32)를 유지하는 횡단 레일(314)의 일단부는 전시 캐비넷(1)의 반대측 위에 이동판의 넓은 측에 연결된다. 횡단 이동기중기들(32)은 서로 평행인 분리된 횡단 레일들(314) 위에 설치된다. 각각의 횡단 이동기중기들(32)은 후방측 위에서 그리핑 집게(322)에 와이어로 연결된다.Each transversal crane 32 is installed using two rows of rollers 321 fixed on two transverse rails 314, one end of the transverse rail 314 holding the transverse crane 32. The part is connected to the wide side of the moving pl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cabinet 1. The transverse mobile cranes 32 are mounted on separate transverse rails 314 parallel to each other. Each of the transversal cranes 32 is wired to the gripping tongs 322 on the rear side.

각각의 세로방향 및 횡단 이동기중기들(31, 32)에는 모터와 변속기구(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롤러들(312, 321)을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판이 내장된다. 이동기중기들(31, 32)에 내장된 회로판들은 로커들(211)과 선택버튼들(21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어들에 의해 발생된 입력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베이스 및 제어 캐비넷(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Each of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mobile cranes 31 and 32 is provided with a motor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not shown in the figure) and a circuit board used to drive the rollers 312 and 321. The circuit boards embedded in the mobile cranes 31 and 32 are connected to the base and control cabinet 2 to receive input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s by manipulating the rockers 211 and the select buttons 212. Electrically connected.

도 4 내지 도 6에 있어서, 그래버 머신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동전 구멍(213)에 우선 동전이나 토컨이 삽입되고, 이어서 로커(211)의 동작을 통해 그리핑 집게를 선택된 물품 위에 맞추기 위해 기계아암(3)이 조종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먼저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부착된 롤러(312)를 사용하여 세로방향 레일(313)을 따라 새로운 위치로 세로방향 이동기중기(3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세로방향 이동기중기(31) 내측의 모터를 구동하는 것은 세로방향 이동기중기(31)에 내장된 회로판들이며, 바로 이어서 횡단 이동기중기(32) 내측의 회로판이 상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부착된 롤러(321)를 사용하여 횡단 레일(314)을 따라 새로운 위치로 횡단 이동기중기(32)를 이동시킨다. 선택된 물품 위로 위치가 맞추어지면, 물품을 향해 그리핑 집게(322)를 하강시키도록 선택 버튼(212)이 눌러진다. 선택된 물품이 성공적으로 집어지면, 관련된 이동기중기들(31, 32)의 상호협력에 따라 전시캐비넷(1)의 하나의 코너에 있는 배출구멍으로 물품이 끌어지며, 이어서 물품은 배출구멍을 통하여 그래버 머신의 바닥으로 낙하하며, 이로써 플레이어는 픽업칸(214)을 통하여 물품을 인출할 수 있다. 4 to 6, a coin or tocon is first inserted into the coin hole 213 to operate the grabber machine, and then the machine arm 3 to fit the gripping tongs onto the selected articl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ocker 211. ) Is controlled. In this process, the motor inside the longitudinal mobile crane 31 first receives an input signal and moves the vertical mobile crane 31 to a new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rail 313 using the attached roller 312. The driving circuits are circuit boards embedded in the vertical mobile crane 31, and immediately afterwards, the circuit board inside the transverse mobile crane 32 receives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and drives the motor to traverse using the roller 321 attached thereto. The transverse mobile crane 32 is moved to a new position along the rail 314. Once positioned over the selected article, the select button 212 is pressed to lower the gripping tongs 322 towards the article. When the selected article is successfully picked up, the article is dragged into the outlet hole in one corner of the exhibition cabinet 1 according to the cooperation of the associated mobile cranes 31 and 32, and then the article is passed through the outlet hole to the grabber machine. Falls to the bottom of the player, whereby the player can withdraw the item through the pickup compartment (214).

기계아암들(3)의 다른 조합의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는 데, 세로방향 이동기중기들이 별개의 세로방향 레일들 위에 설치되고 그리핑 집게들에 연결되며, 반면에 횡단 이동기중기들은 공통의 횡단 레일 위에 직렬로 연결된다. 최종 설치 구조는 대체로 복수의 플레이어들이 동시에 그리핑 집게들을 조종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시캐비넷 내의 장난감들의 실제 배치에 의존한다.An embodiment of another combination of machine arms 3 is shown in FIG. 2, in which longitudinal mobile cranes are installed on separate longitudinal rails and connected to gripping tongs, while transverse mobile cranes have a common traverse. It is connected in series on the rails. The final installation structure generally relies on the actual placement of the toys in the display cabinet to make it convenient for multiple players to handle the gripping tongs at the same time.

상기 설명한 그래버 머신은 통상 두사람의 플레이어들이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설정되나, 동일한 구조를 사용하여 세사람의 동시 플레이어들을 지원하도록 그래버 머신이 확장될 수 있다.The grabber machine described above is typically set up to allow two players to operate simultaneously, but the grabber machine can be extended to support three simultaneous players using the same structure.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그래버 머신은 상업적 목적으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약간의 변형을 통하여 그래버 머신의 전시 캐비넷 내의 물품들은 판매를 촉진하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물품들의 중량과 폭은 기계가 집어올리기에 필요한 그리핑 집게의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grabber machine can be easily applied for commercial purposes. With some modifications, the items in the display cabinet of the grabber machine can be modified to facilitate sales, and the weight and width of the items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gripping tongs that the machine needs to pick up.

비록 본 고안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될 본 고안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의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이한 구조의 기계아암을 구비한 그래버 머신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2 shows another example of a grabber machine with machine arms of different construction;

도 3은 그래버 머신의 기계아암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3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machine arm of the grabber machine;

도 4는 기계아암의 제1 부분의 이동기중기의 세로방향 이동을 보이는 도면이며;4 shows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mobile crane of the first part of the machine arm;

도 5는 기계아암의 제1 부분의 이동기중기의 횡단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며;5 shows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mobile crane of the first part of the machine arm;

도 6은 그리핑 집게를 구비한 동작중의 한 쌍의 기계아암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shows a pair of machine arms in operation with gripping tongs.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전시캐비넷 2:베이스 및 제어 캐비넷1: exhibition cabinet 2: base and control cabinet

3:기계아암 21:조작패널3: Machine arm 21: Operation panel

31:세로방향 이동기중기 32:횡단 이동기중기31: vertical mobile crane 32: transverse mobile crane

211:로커 212:선택버튼211: rocker 212: selection button

213:동전구멍 214:픽업칸213: Coin hole 214: Pickup box

312:롤러 313:레일312: Roller 313: rail

322:그리핑 집게322: gripping tongs

Claims (2)

개선된 그래버 머신으로서:As an improved grabber machine: 플라스틱 혹은 유리 패널의 뒤에 다양한 물품들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시캐비넷과;An exhibition cabinet used to hold various items behind a plastic or glass panel; 전시캐비넷의 전방에 그 위로 조작패널이 형성되고, 그 위에 두 세트 혹은 세 세트의 로커들과 선택버튼들이 설치되며, 두개 혹은 세개의 동전 구멍들과 픽업칸이 조작패널 아래 전면 패널에 형성되는 베이스 및 제어 캐비넷과;A control panel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cabinet, with two or three sets of lockers and selection buttons on it, and a base with two or three coin holes and a pick-up compartment on the front panel under th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cabinet; 각각 그리핑 집게와 와이어로 연결된 세로방향 이동기중기와 횡단 이동기중기를 구비하고 전시캐비넷의 천정 아래에 장착된 두 세트 혹은 세 세트의 기계아암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Each having two or three sets of machine arms mounted under the ceiling of the exhibition cabinet, each having a longitudinal mobile crane and a transverse mobile crane connected by gripping tongs; 각각의 세로방향 이동기중기는 공통의 세로방향 레일에 고정되도록 세로방향 이동기중기의 후방측 위의 한 쌍의 롤러들을 사용하여 장착되며, 세로방향 이동기중기들은 공통의 세로방향 레일 위에 직렬연결되며 조작패널 상의 각각의 로커들과 선택버튼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세로방향 이동기중기의 넓은 측으로부터 전시캐비넷의 반대측 위의 이동판으로 연장하고 한 쌍의 롤러들과 세로방향 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횡단 레일들과 연결로드를 상기 세로방향 이동기중기는 구비하며;Each longitudinal mobile crane is mounted using a pair of rollers on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mobile crane to be fixed to a common longitudinal rail, the vertical mobile cranes being connected in series on a common longitudinal rail and operating panel A pair of electrically connected to respective rockers and select buttons on the platform, extending from the wide side of the longitudinal mobile crane to the moving pl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cabinet and supported by a pair of rollers and longitudinal rails. The longitudinal mobile crane has transverse rails and a connecting rod; 각각의 횡단 이동기중기는 두 측면 위에 장착된 두 열의 롤러들을 사용하여 두개의 분리된 횡단 레일들 위에 고정되도록 장착되며, 쌍을 이루는 레일들의 일단부는 세로방향 이동기중기의 넓은 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전시캐비넷의 반대측 위의 이동판의 넓은 측에 연결되며, 상기 횡단 이동기중기는 평행하게 연결되고 조작패널 위의 각각의 로커들과 선택버튼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Each transverse mobile crane is mounted to be fixed on two separate transverse rails using two rows of rollers mounted on two sides, one end of the paired rails being connected to the wide side of the longitudinal mobile cran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ide side of the moving plat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cabinet, the transverse mover is connected in paralle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ckers and the select buttons on the operation panel; 각각의 세로방향 및 횡단 이동기중기에는 모터와 변속기구가 구비되며, 롤러들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판이 내장되며, 내장된 회로판들은 플레이어들에 의해 로커들과 선택버튼들을 통해 발생된 입력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하여 베이스 및 제어 캐비넷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개선된 그래버 머신.Eac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rane is equipped with a motor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 circuit board used to drive rollers, and the integrated circuit boards receive input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s through rockers and select buttons. An improved grabber mach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control cabinet for the purpo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캐비넷은, 플레이어가 픽업칸을 통하여 물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선택된 물품을 그래버 머신의 바닥으로 그를 통해 낙하시키는 배출구멍을 하나의 코너에 구비하는 개선된 그래버 머신.2. The improved grabber machine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cabinet includes a discharge hole at one corner for dropping the selected item through the bottom of the grabber machine so that the player can withdraw the item through the pickup compartment.
KR20-2004-0035813U 2004-12-16 2004-12-16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KR2003775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13U KR200377535Y1 (en) 2004-12-16 2004-12-16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813U KR200377535Y1 (en) 2004-12-16 2004-12-16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535Y1 true KR200377535Y1 (en) 2005-03-14

Family

ID=4367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813U KR200377535Y1 (en) 2004-12-16 2004-12-16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53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0513A (en) * 2022-03-04 2022-05-27 河北科技师范学院 General display device of education and teach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0513A (en) * 2022-03-04 2022-05-27 河北科技师范学院 General display device of education and teaching
CN114550513B (en) * 2022-03-04 2024-04-26 青皮科技(广州)有限公司 General display device of education and teac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840B1 (en)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EP1069538A3 (en) Button panel system for a gaming device
PL1786531T3 (en) Virtual card gaming system
KR101624417B1 (en) An goods extracting game apparatus with improved constitution
CN202751784U (en) Game device
KR200377535Y1 (en)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US7059968B2 (en) Cuing method and means for a gaming machine topper
US20180330577A1 (en) Vacuum crane game with perforated targets
JP2018015447A (en) Mahjong ball game machine
JP6774911B2 (en) Game machine
GB2425731A (en) Grabber machine with two or three gripping tongs
JP2019098076A (en) Prize acquisition game device
KR101104310B1 (en) Dynosaur type Candy Catcher Game Apparatus
JP4360555B2 (en) Crane type combination game machine
JP3108272U (en) Grasp arcade game machine
JPS6028474Y2 (en) slot machine
KR200390954Y1 (en) game machine of capturing goods
JPH11319305A (en) Crane game machine
CN211513381U (en) Stick-throwing game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issuing gifts
KR101604550B1 (en) An goods extracting game apparatus with improved constitution
CN208027490U (en) A kind of scissors hand game machine
JP2613597B2 (en) Crane play equipment
CN207898951U (en) A kind of doll machine
JP2019097730A (en) Prize acquisition game device
JPH034575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