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424Y1 -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424Y1
KR200376424Y1 KR20040032770U KR20040032770U KR200376424Y1 KR 200376424 Y1 KR200376424 Y1 KR 200376424Y1 KR 20040032770 U KR20040032770 U KR 20040032770U KR 20040032770 U KR20040032770 U KR 20040032770U KR 200376424 Y1 KR200376424 Y1 KR 200376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in
voice
audio
mod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27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Priority to KR20040032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4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424Y1/en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A/V 방송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간단한 추가 설비만으로 설치가 가능한 무선에 의한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and an earphone device used in the same, which can be installed by simply adding additional facilities while utilizing the A / V broadcasting system already installed in a train.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은 적어도 베이스밴드 영상신호에 동기된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서버; 열차의 전 객실에 걸쳐서 시설되어 변조 영상/음성신호가 전송되는 동축 케이블; 열차의 적소에 설치되며, 상기 오디오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한 후에 영상용 RF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영상신호와 혼합 및 증폭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로 전송하는 오디오 전송서버; 열차의 각 객실에 설치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로부터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분배받는 RF 분배기; 열차의 각 객실 공간에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 상기 RF 분배기를 통해 분배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미리 정해진 전력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로 출력하는 송신 증폭기 및 객실의 각 좌석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 중에서 변조 음성신호를 수신, 복조 및 증폭하여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방송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in voice broadca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udio server for outputting a baseband audio signal synchronized with at least the baseband video signal; A coaxial cable installed throughout the cabin of the train to transmit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s; Installed in the place of the train, and modulates the baseban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erver to a predetermined carrier frequency, and then mixed and amplified with the modulated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RF modulator to transmit to the coaxial cable server; An RF splitter installed in each cabin of the train and receiving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s from the coaxial cable; A transmission antenna for wirelessly emitting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in each cabin space of the train; Modulation amo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distributed through the RF splitter and installed in each seat of the transmission amplifier and a room to amplify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distributed to the transmission antenna to a predetermined power level and radiated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And a voice broadcasting receiver for receiving, demodulating and amplifying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as a baseband voice signal.

Description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s and earphone device for use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본 고안은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차의 기존 A/V 방송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간단한 추가 설비만으로 무선에 의한 음성 방송의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한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and an earphone device used therefor, in particular, a train that enabl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broadcasting by wireless using only a simple additional facility while still utilizing the existing A / V broadcasting system of a train. A voice broadcast system and an earphone device used therein.

국내에도 고속 열차(이하, 'KTX'(Korea Train Express)라 한다)가 도입되어 상용 운전중에 있는 바, 이러한 KTX에는 여행하는 동안에 여객에 대한 각종 고지 사항의 안내, 광고 및 여객의 무료함을 달래주기 위한 각종 영상물을 방송하기 위한 용도로 A/V 방송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In Korea, high-speed trai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KTX '(Korea Train Express)) have been introduced and are in commercial operation.These KTXs offer information on passengers' notices, advertisements and free passengers during the trip. An A / V broadcasting system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broadcasting various kinds of video objects.

도 1은 종래 열차용 A/V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KTX의 A/V 방송 시스템에는 최신 영화, 다큐멘터리, 드라마, 뮤직 비디오, 실시간 위성뉴스, 스포츠 위성 중계, 각종 고지 사항이나 광고 등의 영상물을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수신받는 비디오 서버(10)가 소정의 장소, 예를 들어 특 2호실에 설치되어 있고, 열차의 전 객실에 걸쳐서는 비디오 서버(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각 객실에 실어 나르기 위한 전송 선로로 동축 케이블(21)이 시설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12는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를 그대로 전송할 경우에 동축 케이블(21)을 통해 전송되는 과정에서 먼 거리로 갈수록 신호 레벨이 크게 감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를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 예를 들어 25MHz의 주파수로 변조하는 RF 변조기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A / V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s. 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KTX A / V broadcasting system stores the latest movies, documentaries, dramas, music videos, real-time satellite news, sports satellite broadcasting, various notices or advertisements such as video or receive in real time The video server 10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lace, for example, the second room, and a coaxial cable is used as a transmission line for carrying video signals outputted from the video server 10 to each room in all rooms of the train. 21 are equipped.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that the baseband video signal has a predetermined carrier frequency, in order to prevent the signal level from being greatly attenuated over a long distanc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baseband video signal as it is. For example, an RF modulator that modulates at a frequency of 25 MHz.

특실(A)과 각각의 일반실(B)에는 동축 케이블(21)을 타고 전송되는 변조 영상신호를 분배받는 RF 분배기(22)와 RF 분배기(22)로부터 분배받은 변조 영상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를 추출하는 복조기(26) 및 복조기(26)에서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한대 이상의 공동 시청용 모니터(23)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수면을 취하거나 또는 조용히 여행하기를 바라는 여객들을 배려하여 객실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음성 출력은 행하지 않으며, 특실(A)에 한하여 이어폰을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음성방송 수신기(15)가 각 좌석의 팔걸이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열차의 적소, 예를 들어 특2호실에 설치된 오디오 서버(14)로부터 유선,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21)과의 별도로 설치된 플랫 케이블 등을 통하여 영상신호와 동기가 맞추어진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만이 음성방송 수신기(15)에 공급되고 있다.In the special room (A) and each general room (B), the baseband image is demodulated by demodulating the modulated video signal distributed from the RF splitter 22 and the RF splitter 22, which receives the modulated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axial cable 21. A demodulator 26 for extracting a signal and at least one or more common viewing monitors 23 for outputting a baseband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26 to a screen are provided. However, in consideration of passengers wishing to sleep or travel quietly, voice output for the entire cabin is not performed, and voice broadcasting receiver 15 which can be used by inserting earphones in the exclusive room A is provided for each seat. It is installed in the armrest part and synchronized with the video signal from the audio server 14 installed in the appropriate place of the train, for example, in the second room, via a wire cable, for example, a flat cable separately installed with the coaxial cable 21. Only the baseband voice signal is supplied to the voice broadcast receiver 15.

이와 같이 종래의 KTX용 A/V 방송 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실에는 음성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음성방송 시스템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여객에게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바, 그렇다고 특실과 같이 일반실의 각 좌석에 음성방송 수신기를 설치하고, 이들을 오디오 서버와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안은 기존 시스템의 대대적인 변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과 오랜 설치 기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 / V broadcasting system for KTX, the general room does not have a voice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listening to voice broadcasting, and thus cannot provide a satisfactory service to passengers. Installing voice broadcasting receivers in the seats and connecting them to the audio server by wire requires a huge change of the existing system, which requires a huge cost and a long installation period.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열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A/V 방송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간단한 추가 설비만으로 전 객실을 대상으로 하는 음성 방송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적은 설치 비용과 시간을 들이면서도 여객의 편의 증진 및 필요정보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서 쾌적하고 안락한 여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by using the A / V broadcasting system already installed on the train as it is, 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ll rooms is proposed by simply adding additional facilities, thereby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and an earphone device, which can be used to support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journey while satisfying the need for passenger comfort and necessary informa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은 적어도 베이스밴드 영상신호에 동기된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서버; 열차의 전 객실에 걸쳐서 시설되어 변조 영상/음성신호가 전송되는 동축 케이블; 열차의 적소에 설치되며, 상기 오디오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한 후에 영상용 RF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영상신호와 혼합 및 증폭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로 전송하는 오디오 전송서버; 열차의 각 객실에 설치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로부터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분배받는 RF 분배기; 열차의 각 객실 공간에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 상기 RF 분배기를 통해 분배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미리 정해진 전력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로 출력하는 송신 증폭기 및 객실의 각 좌석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 중에서 변조 음성신호를 수신, 복조 및 증폭하여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방송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in voice broadca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udio server for outputting a baseband audio signal synchronized with at least the baseband video signal; A coaxial cable installed throughout the cabin of the train to transmit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s; Installed in the place of the train, and modulates the baseban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erver to a predetermined carrier frequency, and then mixed and amplified with the modulated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RF modulator to transmit to the coaxial cable server; An RF splitter installed in each cabin of the train and receiving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s from the coaxial cable; A transmission antenna for wirelessly emitting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in each cabin space of the train; Modulation amo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distributed through the RF splitter and installed in each seat of the transmission amplifier and a room to amplify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distributed to the transmission antenna to a predetermined power level and radiated from the transmission antenna. And a voice broadcasting receiver for receiving, demodulating and amplifying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as a baseband voice signal.

한편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이어폰 장치는 내부에 전지가 수납되는 공간 및 전극이 형성된 몸체;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열차용 음성방송 수신기의 신호용 스테레오잭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 상기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와 상기 스피커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 및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열차용 음성방송 수신기의 전원용 스테레오잭에 연결되어 음성방송 수신기에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earphone device of 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a battery is accommodated and an electrode formed therein; A speaker converting the baseband voice signal into sound waves and outputting the sound wave; A signal stereo plug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connected to a signal stereo jack of a train voice broadcasting receiver to receive the baseband voice signal; It is installed protruding from the body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and the electrod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gnal stereo plug and the speaker,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operation power to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is connected to the stereo jack for power supply of the train voice broadcasting receiver It includes a stereo plug.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인 바, 도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영상물 또는 외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영상물을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비디오 서버(10), 비디오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를 미리 정해진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는 RF 변조기(12)(이하, ??영상용 RF 변조기??라 한다), 비디오 서버(10)에서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영상신호에 동기된 음성신호 및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각종 음성파일, 예를 들어 MP3 파일이나 외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음성방송을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서버(14), 오디오 서버(14)로부터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미리 정해진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는 FM 변조하는 RF 변조기(이하, ??음성용 RF 변조기??라 한다)(41), 영상용 RF 변조기(12)로부터 출력된 변조 영상신호 및 음성용 RF 변조기(41)로부터 출력된 변조 음성신호를 혼합하는 결합기(Combiner)(42), 결합기(42)에 의해 결합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하여 열차의 전 객실에 걸쳐서 시설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21)을 통해 실어 나르는 증폭기(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디오 전송서버(40), 각 객실(A-1),(B-1)을 지나는 동축 케이블(21)로부터 당해 객실용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분배받는 분배기(22), 당해 객실 공간에 무선으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25), 분배기(22)를 통해 분배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미리 정해진 전력 레벨로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25)로 출력하는 송신 증폭기(24) 및 객실의 각 좌석에 설치되며 송신 안테나(25)로부터 방사되는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수신해서 여객으로부터 선택된 음성 변조신호만을 분리한 후에 복조 및 증폭하여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방송 수신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IG.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 1. As shown in FIG. 2, a train voice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video stored in itself or a video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a video signal as a baseband video signal 10. ), An RF modulator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RF modulator for video ") and a video server 10 for modulating the baseband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video server 10 to a predetermined carrier frequency. Audio server 14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synchronized with a baseband video signal and various audio files stored therein, for example, an MP3 file or an audio broadcast transmitted in real time from an external source, and outputting a baseband audio signal. FM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baseband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rver 14 to a predetermined carrier frequency 41, a combiner 42 for mixing the modulated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RF modulator 12 and the modulated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RF modulator 41, and a combiner ( 42. Each audio transmission server 40 comprising an amplifier 43 which amplifies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coupled by amplification and carries it through a coaxial cable 21 provided throughout the cabin of the train. The distributor 22 receives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for the room from the coaxial cable 21 passing through the cabins A-1 and B-1, and wirelessly emits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o the room space. Transmitting antenna 25, a transmission amplifier 24 for amplifyi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distributed through the splitter 22 to a predetermined power level and outputs to the transmitting antenna 25 and installed in each seat of the cabin and the transmitting antenna Receiv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radiated from 25 Standing by demodulating and amplifying After separating only the audio modulated signal selected from the passenger can be made, including audio broadcast receiver 50 to output a baseband audio signal.

전술한 구성에서, 오디오 방송서버(40)는 영상신호에 동기된 최대 4개의 채널 및 기타 음성 방송용으로 최대 8개의 채널을 갖는 최대 12개 채널의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음성용 RF 변조기(41)에서 FM 변조한 후에 영상용 RF 변조기(12)에서 변조한 영상신호와 혼합한 후에 증폭하여 동축 케이블(21)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여기에서 영상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로는 허용가능한 다양한 주파수가 있으나 이 중에서 25MHz의 주파수가 사용되고, 음성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로는 각 음성 방송용 채널별로 70MHz 대의 주파수 대역과 일반 공용 FM 주파수대의 주파수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현행 공중파 음성방송 주파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정보통신부의 인가 사항으로 되어 있는 소출력 특정 무선국선용 무선마이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 증폭기(24)는 열차의 각 객실(A-1),(B-1)의 천장 중앙에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동작 전원은 차량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72V의 DC 전원 전력선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철도 차량용 전원(외부전원 인가, 지역이동시 제공되는 소스 전원의 변경, 내부 충전 배터리 사용 등)의 특성상 72V를 기준으로 ㅁ 30%의 전원이 순간 가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전원 변화 등의 특성을 고려한 정전압 전원장치(SMPS)의 설계를 통해 9V의 전원을 송신 증폭기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 수신 범위는 현재 객실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반경 15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udio broadcasting server 40 transmits a baseband voice signal of up to 12 channels having up to 4 channels synchronized with the video signal and up to 8 channels for other voice broadcasts to the voice RF modulator 41. After the FM modulation is mixed with the video signal modulated by the image RF modulator 12, and then amplifi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axial cable 21. Here, as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video signal, there are various allowable frequencies. Among them, a frequency of 25 MHz is used, and as the carrier frequency of the audio signal, a frequency band of 70 MHz band and a general public FM frequency band can be selected and used for each voice broadcasting channel.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urrent over-the-air voice broadcasting frequency, it is preferable to use a radio frequency band for a small output specific radio station line which i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ransmitting amplifier 24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face the interior space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of each cabin (A-1), (B-1) of the train, the operation power is 72V DC power supply lin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hicle Can be used by branching, bu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railroad car power supply (external power supply, change of source power provided during local movement, use of internal rechargeable battery, etc.) By designing a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SMPS)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such as change, it is possible to supply a 9V power supply to the transmission amplifier. The reception range is preferably within a radius of 15 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urrent cabin.

한편, 변조 영상/음성신호는 종래와 같이 RF 분배기(22)를 통해 복조기(26)에 전달되고, 복조기(26)에서는 변조 영상신호만을 분리한 후에 여기에서 베이스밴드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모니터(23)에 화면으로 출력하게 된다.Meanwhile,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modulator 26 through the RF divider 22 as in the related art, and the demodulator 26 separates only the modulated video signal and extracts the baseband video signal from the monitor 23 to monitor the signal 23. )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3은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에서 음성방송 수신기와 이어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방송 수신기(60)는 송신 안테나(25)로부터 방사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포착하는 수신 안테나(57), 여객으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선택을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채널선택 버튼(53), 수신 안테나(57)에 포착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로부터 여객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한 변조 음성신호만을 분리하는 튜너(52), 튜너(52)에 의해 분리된 변조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복조기(54), 여객으로부터 원하는 음량의 선택을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볼륨증감 버튼(56), 베이스밴드 음성신호 출력용 스테레오잭(59) 및 복조기(54)에서 출력된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볼륨증감 버튼(56)에 의해 선택된 증폭도로 증폭하여 신호용 스테레오잭(59)으로 출력하는 증폭기(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음성방송 수신기(60)의 케이스(61)는 각각의 좌석의 팔걸이 부위에 접착이나 나사 고정 등에 의한 방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receiver and an earphone device in 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60 includes a receiving antenna 57 for capturing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radia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25 and a channel selection used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 desired channel from a passenger. Demodulates the modulated audio signal separated by the tuner 52 and the tuner 52 which separates only the modulated audio signal for the channel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captured by the button 53 and the receiving antenna 57. A demodulator 54 for outputting a baseband audio signal, a volume up and down button 56 used to receive a desired volume selection from the passenger, a stereo jack 59 for outputting a baseband audio signal, and a base output from the demodulator 54 And an amplifier 55 for amplifying the band voice signal to the amplification selected by the volume up / down button 56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signal stereo jack 59. The case 61 of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60 can be easily and simply mounted on the armrest portion of each seat by a method such as bonding or screwing.

전술한 구성에서, 음성 출력은 좌측(L) 및 우측(R) 신호가 분리된 스테레오 출력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신호용 스테레오잭(59)은 스테FP오용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성방송 수신기(60))는 건전지와 같은 자체의 독립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지만, 이의 잦은 교체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이어폰 장치(후술)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 참조 번호 58는 전원용 스테레오잭을 나타낸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udio output is implemented as a stereo output in which left (L) and right (R) signals are separated, and therefore, the stereo jack 59 for signals is preferably implemented for steFP. In addition,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60 may operate using its own independent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but may operate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arphone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o avoid the trouble of frequent replacement thereof. . In FIG. 3, reference numeral 58 denotes a stereo jack for power.

한편 이어폰 장치(60)는 몸체(61)와 몸체(61)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전원용 스테레오잭(59) 및 신호용 스테레오잭(58)에 각각 삽입되는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62)와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63), 몸체(61)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독립 전원(바람직하게는 건전지)(64), 몸체(61) 내부배선 및 외부로 인출된 전선(65)에 의해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6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여객의 귀에 꽂히는 좌측 및 우측 스피커(66),(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이어폰 장치(60)의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62)와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63)의 간격을 음성방송 수신기(60)의 전원용 스테레오잭(58)과 신호용 스테레오잭(59)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여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히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를 신호용 스테레오잭에 오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성방송 수신기(50)와 이어폰 장치(60)의 각각에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마킹 및 사용되는 잭의 모양 및 기구를 수정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earphone device 60 protrudes from the body 61 and the body 61 and is inserted into the power stereo jack 59 and the signal stereo jack 58, respectively, and the power stereo plug 62 and the signal stereo plug 63. The signal stereo is provided by an independent power supply (preferably a battery) 64 provided inside the body 6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ereo plug 62 for power, the internal wiring of the body 61 and the wire 65 drawn out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left and right speaker 66, 67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63 and plugged into the passenger's ear.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tereo plug 62 and the signal stereo plug 63 of the earphone device 60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tereo jack 58 and the signal stereo jack 59 of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6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imply insert in one operation, and to guide the insertion direction to each of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50 and the earphone device 60 in order to prevent the wrong insertion of the power stereo plug into the signal stereo jack. It is preferable to modify and use the shape and the mechanism of the marking and the jack used.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인 바, 도 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음성 방송 시스템에서 오디오 방송서버(40)와 거리상으로 멀리 떨어질수록 변조 영상/음성신호의 전력 레벨, 특히 변조 음성신호의 전력 레벨이 크게 감쇠되기 때문에 이를 원래대로 보상해 줄 필요가 있는 바,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객실에 대해 중간에 위치한 일반실(B-2)에 이러한 감쇠 보상 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감쇠 보상 회로는 동축 케이블(21)을 타고 전송되는 변조 영상/음성신호에서 변조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스플리터(Spliter)(28), 스플리터(28)를 통해 분리된 변조 음성신호를 미리 정해진 전력 레벨만큼 증폭하는 거리확장 증폭기(29) 및 거리확장 증폭기(29)를 통해 증폭된 변조 음성신호를 RF 분배기(22)를 거쳐서 동축 케이블(21)로 전송되는 변조 영상/음성신호와 결합시키는 결합기(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머지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Since the power level of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in particular, the power level of the modulated voice signal is greatly attenuated farther away from the audio broadcasting server 40 in 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it as it is.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uch attenuation compensation circuit is installed in the general room B-2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entire cabin. In addition, the attenuation compensation circuit uses a splitter 28 for separating a modulated voice signal from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axial cable 21, and a modulated voice signal separated through the splitter 28. A combiner for combining the modulated audio signal amplified by the distance extension amplifier 29 and the distance extension amplifier 29 with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ransmitted to the coaxial cable 21 through the RF splitter 22 ( 42).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인 바, 도 2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실시예도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 이유로 전체 객실의 중간에 위치한 일반실(B-3)에 감쇠 보상 회로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RF 분배기(22) 전단에 거리확장 증폭기(31)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변조 영상/음성신호가 함께 증폭되어 RF 분배기(22)로 입력되게 된다. 나머지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5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2,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5, the attenuation compensation circuit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general room B-3 located in the middle of all rooms for the same reas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extension amplifier 31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RF divider 22. Accordingly,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is amplified together and input to the RF divider 22.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을 것이다.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arphone device used therei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에 따르면, 열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A/V 방송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간단한 추가 설비만으로 전 객실을 대상으로 하는 음성 방송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적은 설치 비용과 시간을 들이면서도 여객의 편의 증진 및 필요정보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서 쾌적하고 안락한 여행을 지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발휘된다.According to 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A / V broadcasting system already installed on the train as it is, and to propose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ll rooms with simple additional facilities, thereby reducing installation costs. It i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support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journey by improving passenger convenience and satisfying the need for information while spending time and time.

나아가, 본 고안의 이어폰 장치에 따르면 음성방송 수신기의 동작 전력을 자체 전력이 아니라 여객이 필요시에 구입하는 이어폰 장치를 통해 공급하기 때문에 음성방송 수신기에 대한 전지 교체 작업이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유지 보수 작업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earpho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ng power of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is supplied through the earphone device purchased by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needs it, rather than its own power, the battery replacement work for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is unnecessary, and thus maintenance is performed. The work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종래 열차용 A/V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A / V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에서 음성방송 수신기와 이어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receiver and an earphone device in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5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A, A-1: 특실, B, B-1, B-2, B-3: 일반실,A, A-1: Special room, B, B-1, B-2, B-3: Standard room,

10: 비디오 서버, 12: RF 변조기,10: video server, 12: RF modulator,

14: 오디오 서버, 15: 음성방송 수신기,14: audio server, 15: voice broadcasting receiver,

21: 동축 케이블, 22: RF 분배기,21: coaxial cable, 22: RF splitter,

23: 모니터, 24: 송신 증폭기,23: monitor, 24: transmit amplifier,

25: 송신 안테나, 26: 복조기,25: transmit antenna, 26: demodulator,

28: 스플리터, 29, 31: 거리확장 증폭기,28: splitter, 29, 31: distance expansion amplifier,

30, 42: 결합기, 40: 오디오 송신서버,30, 42: combiner, 40: audio sending server,

41: RF 변조기, 50: 음성방송 수신기,41: RF modulator, 50: voice broadcasting receiver,

51: 케이스, 52: 튜너,51: case, 52: tuner,

53: 채널선택 버튼, 54: 복조기,53: channel select button, 54: demodulator,

55: 증폭기, 56: 볼륨증감 버튼,55: amplifier, 56: volume up and down button,

57: 수신 안테나, 58: 전원용 스테레오잭,57: receiving antenna, 58: power stereo jack,

59a: 전원 배선, 59: 신호용 스테레오잭,59a: power wiring, 59: signal stereo jack,

60: 이어폰 장치, 61: 몸체,60: earphone unit, 61: body,

62: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 63: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62: power plug stereo, 63: signal stereo plug,

64: 전지, 65: 전선,64: battery, 65: electric wire,

66, 67: 좌/우측 스피커66, 67: Left / Right Speakers

Claims (10)

적어도 베이스밴드 영상신호에 동기된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서버;An audio server for outputting a baseband audio signal synchronized with at least the baseband video signal; 열차의 전 객실에 걸쳐서 기 시설되어 변조 영상/음성신호가 전송되는 동축 케이블;A coaxial cable that is provided throughout the cabin of the train to transmit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s; 열차의 적소에 설치되며, 상기 오디오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한 후에 영상용 RF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변조 영상신호와 혼합 및 증폭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로 전송하는 오디오 전송서버;Installed in the place of the train, and modulates the baseban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erver to a predetermined carrier frequency, and then mixed and amplified with the modulated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RF modulator to transmit to the coaxial cable server; 열차의 각 객실에 기 설치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로부터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분배받는 RF 분배기;An RF splitter pre-installed in each cabin of the train and receiving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s from the coaxial cable; 열차의 각 객실 공간에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무선으로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A transmission antenna for wirelessly emitting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in each cabin space of the train; 상기 RF 분배기를 통해 분배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미리 정해진 전력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로 출력하는 송신 증폭기 및A transmission amplifier for amplifying a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distributed through the RF splitter to a predetermined power level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transmission antenna; 객실의 각 좌석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 중에서 변조 음성신호를 수신, 복조 및 증폭하여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방송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And a voice broadcasting receiver installed at each seat of the cabin and receiving, demodulating and amplifying a modulated voice signal amo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s radia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voice signal as a baseband voic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전송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transmission server 상기 오디오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소정의 캐리어 주파수로 FM 변조하는 음성용 RF 변조기;A voice RF modulator for FM-modulating the baseband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erver to a predetermined carrier frequency; 상기 영상용 RF 변조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변조 영상신호와 상기 변조 음성신호를 혼합하는 결합기 및A combiner for mixing the modulated video signal and the modulat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RF modulator; 상기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coupled by the combiner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o the coaxial c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방송 수신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broadcast receiver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방사된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포착하는 수신 안테나;A receiving antenna for capturi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radiated from the transmitting antenna; 여객으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선택을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채널선택 버튼;A channel selection button used to receive a selection of a desired channel from the passenger; 상기 수신 안테나에 포착된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로부터 여객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한 상기 변조 음성신호만을 분리하는 튜너;A tuner for separating only the modulated audio signal for the channel selected by the passenger from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captured by the receiving antenna; 상기 튜너에 의해 분리된 상기 변조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복조기;A demodulator for demodulating the modulated voice signal separated by the tuner and outputting a baseband voice signal; 여객으로부터 원하는 음량의 선택을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볼륨증감 버튼;A volume up and down button used to receive a selection of a desired volume from the passenger;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용 스테레오잭 및A stereo jack for outputting the baseband audio signal; 상기 복조기에서 출력된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상기 볼륨증감 버튼에 의해 선택된 증폭도로 증폭하여 상기 신호용 스테레오잭으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baseban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to an amplification selected by the volume up / down button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signal stereo ja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방송 수신기에는 외부로부터 동작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용 스테레오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4] 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of claim 3, wherein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stereo jack supplied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력은 상기 신호용 스테레오잭에 연결되는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와 상기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를 구비한 이어폰 장치에 상기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전원용 스테레오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4. The power supply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ng power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ignal stereo plug in an earphone device having a signal stereo plug connected to the signal stereo jack and left and right speake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tereo plug.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lied through a stereo plug for pow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ereo jac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증폭기의 동작 전원은 기존에 열차용 전원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정전압 전원장치에 의해 안정적인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for a trai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perating power of the transmission amplifier is used by converting a conventionally provided power supply for a train power supply into a stable DC power supply by a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 변조용 캐리어 주파수는 소출력 특정 무선국선용 무선마이크 주파수 대역에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The voice broadcasting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carrier frequency for modulating the baseband voice signal belongs to a wireless microphone frequency band for a specific power station.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차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객실에 세트로 설치되며,8.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installed in a set in at least one arbitrary cabin of a train,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에서 변조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스플리터, 상기 스플리터를 통해 분리된 상기 변조 음성신호를 미리 정해진 전력 레벨만큼 증폭하는 거리확장 증폭기 및 상기 거리확장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변조 음성신호를 상기 RF 분배기를 거쳐서 상기 동축 케이블로 전송되는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와 결합시키는 결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감쇠 보상 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A splitter for separating a modulated voice signal from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axial cable, a distance extensio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modulated voice signal separated through the splitter by a predetermined power level, and the distance extension amplifier And an attenuation compensation circuit comprising a combiner for combining the amplified modulated voice signal with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ransmitted via the RF splitter to the coaxial cabl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차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객실에 세트로 설치되며,8.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installed in a set in at least one arbitrary cabin of a train, 상기 RF 분배기 전단에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변조 영상/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RF 분배기로 출력하는 거리확장 증폭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And a distance extensio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axial cable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video / audio signal to the RF splitter in front of the RF splitter. 내부에 전지가 수납되는 공간 및 전극이 형성된 몸체;A body in which a battery is accommodated and an electrode formed therein;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A speaker converting the baseband voice signal into sound waves and outputting the sound wave;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열차용 음성방송 수신기의 신호용 스테레오잭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밴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A signal stereo plug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connected to a signal stereo jack of a train voice broadcasting receiver to receive the baseband voice signal; 상기 신호용 스테레오플러그와 상기 스피커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 및A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gnal stereo plug and the speaker;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 설치되며, 열차용 음성방송 수신기의 전원용 스테레오잭에 연결되어 음성방송 수신기에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용 스테레오플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차용 음성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Installed protruding from the body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it is connected to the stereo jack for the power supply of the train voice broadcasting receiver is used in a train voice broadcasting system comprising a power stereo plug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voice broadcasting receiver Earphone device.
KR20040032770U 2004-11-19 2004-11-19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KR2003764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2770U KR200376424Y1 (en) 2004-11-19 2004-11-19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2770U KR200376424Y1 (en) 2004-11-19 2004-11-19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424Y1 true KR200376424Y1 (en) 2005-03-11

Family

ID=4367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2770U KR200376424Y1 (en) 2004-11-19 2004-11-19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42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18B1 (en) 2005-11-14 2007-11-06 (주)한컴기술연구소 Railroad vehicle with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18B1 (en) 2005-11-14 2007-11-06 (주)한컴기술연구소 Railroad vehicle with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03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coupling a source signal to a radio frequency receiver
US8867748B2 (en) Wireless personal listening system and method
US101584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 station adjacency
US20130171947A1 (en) System and method of duplex wireless audio link over broadcast channels
US726333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vehicle and other radio environments
KR200376424Y1 (en) audio broadcasting system for train and ear-phone apparatus therefor
KR100735622B1 (en) Appratus for providing DMB related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20050143047A1 (en) Low noise and distortion adapter and system for providing audio output signals from the auxiliary SDARS radio to the in-vehicle AM/FM radio
US8442438B2 (en) Wireless transmitter and related multimedia system
RU61069U1 (en) WIRELESS RADIO TRANSMISSION SYSTEM FOR VEHICLES
JPH06350535A (en) Optical spatial transmission system between linked vehicles
KR101958924B1 (en) Repeater for fm and dmb
CN101997625B (en) Wireless signal transmitter and related multimedia system
JP2004064723A (en) Railway wireless broadcasting device
KR100667191B1 (en) T-dmb repeater by using antenna for receiving tv broadcasting
KR101845485B1 (en) Video display system for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d by express bus
JP4210367B2 (en) Wireless broadcasting equipment
JPS6184132A (en) Information offering system of mobile vehicle
JP200531804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3682800B2 (en) In-vehicle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311658Y1 (en) Public transport TV of pesonal receiving device
KR100823626B1 (en) Tft lcd hi-fi multimedia player system
JP2000278197A (en) Relay broadcast system
KR200221073Y1 (en) Traffic broadcasting apparatus using satellite broadcasting
JPH11346182A (en) Radio rebroadcas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