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143Y1 -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143Y1
KR200363143Y1 KR20-2004-0016851U KR20040016851U KR200363143Y1 KR 200363143 Y1 KR200363143 Y1 KR 200363143Y1 KR 20040016851 U KR20040016851 U KR 20040016851U KR 200363143 Y1 KR200363143 Y1 KR 200363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monitor
ring
pipe neck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6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모니터의 수상관 후방의 수상관네크와 인쇄회로기판의 소켓을 고정하는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에 있어서, 금속밴드로 구성된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와 체결되는 고리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 및 고리수용부는 각각 돌출형성된 벤딩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벤딩손잡이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리부와 고리수용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CRT neck}
본 고안은 모니터의 수상관네트 고정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RT 채용 모니터의 필수부품인 수상관네크와 비디오 PCB에 설치된 소켓을 고정하는 모니터의수상관네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금선관(CRT:Cathode ray tube)을 채용하는 모니터에 장착되는 수상관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화상을 보여주기 위해 설치된 것이기는 하나, 외부의 충격에 약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수상관의 후방에는 전자총 등 복잡한 부품이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수상관을 모니터의 외함에 장착할 때에는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수상관이 모니터의 외함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모니터외함과 수상관 표면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고, 이 틈새는 수상관 또는 모니터 외함이 서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모니터외함이 외부의 충격을 받을 경우에는 수상관과 모니터외함이 국부적으로 부딪치게 되어, 경국 모니터외함이 받은 충격은 그대로 수상관에 전달되고 만다.
따라서, 모니터외함에 수상관을 견고하게 장착시키는 구조는 모니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구조이기 때문에, 모니터에서의 다른 구조물의 결합구조와는 달리 수상관이 모니터외함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모니터외함에는 여러가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모니터의 수상관의 결합강도를 테스트하여 그 화질에 대한 신뢰성을 측정하게 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관(101)은 후방의 수상관네크(102)가 회로기판(103)에 설치된 소켓(10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모니터와 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수상관네크(102)를 감싸도록 소켓(104)을 삽입한 상태에서 소켓(104)의 외주면에 클램프(105)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이처럼, 종래 클램프(105)를 사용하여 수상관네크(102)와 소켓(104)을 고정하는 경우 별도의 보조기구 예를 들면,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클램프(105)에있는 스크류(106)를 조여서 고정하였다. 그런데, 상기 스크류의 체결 도중 조임력이 높을 경우 수상관네크(102)가 파손될 수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그 조임력이 약할 경우 유통과정에서 소켓(104)과 수상관네크(102)가 분리됨으로 인해 화면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모니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상관네크가 채용된 모니터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상관네크와 소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상관네크와 소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4. 수상관 네크 22. 소켓
30.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32. 몸체
40. 고리부 42, 52. 벤딩손잡이부
44. 체결돌기 46. 중공홀
50. 고리수용부 54. 삽입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는, 금속밴드로 구성된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와 체결되는 고리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 및 고리수용부는 각각 돌출형성된 벤딩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벤딩손잡이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리부와 고리수용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벤딩손잡이부는 상기 고리부 및 고리수용부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수용부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삽입홀의 양측 끝단면에 걸리도록 좌우 외곽에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는 내부에 중공홀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홀의 좌우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삽입홀의 양쪽 끝단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모니터 수상관네크 고정장치에 의해 수상관(12)의 수상관네크(14)와 인쇄회로기판(18)의 소켓(22)이 고정,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관네크(14)를 소켓(22)이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상관네크(14)를 감싼 소켓(22)의 외주면을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가 둘러 싸도록 설치된다. 이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를 이용하여 수상관네크(14)와 소켓(22)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는 금속밴드로 구성된 몸체(32)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부(40)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40)와 체결되는 고리수용부(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고리부(40)와 고리수용부(50)에는 각각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벤딩손잡이부(42, 52)가 구비된다. 이 벤딩손잡이부(42, 5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 즉,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리부(40) 및 고리수용부(50)를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체결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고리수용부(50)는 상기 벤딩손잡이부(52)와 연결되는 부분에 고리부(40)가 삽입되고 체결되는 삽입홀(5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54)은 후술할 고리부(40)의 체결돌기(44)가 걸리는데, 이 체결돌기(44)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걸리도록 그 양 끝단이 각진 형상의 사각의 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에 체결돌기(44)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44)는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고리수용부(50)의 삽입홀(54)의 양 끝단면에 걸려서 체결된다. 이처럼 체결돌기(44)는 다수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상관네크(12, 도3 참조)를 감싸는 소켓(22)을 조이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는 수상관네크(12)와 소켓(22, 도3 참조)에 적절한 힘을 가하면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리부(40)에는 상기 벤딩손잡이부(42)와 다수의 체결돌기(44)사이에 중공홀(46)이 형성되는데, 이 중공홀(46)에 의해 고리부(40)와 고리수용부(5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중공홀(46)의 좌우 외곽을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방향과 같이 중공홀(46)의 내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가압에 의해, 삽입홀(54)의 양끝단에 걸려있는 체결돌기(46)는 상기 삽입홀(54)의 양끝단으로부터 분리되고 그로인해 고리부(40)와 고리수용부(50)의 체결은 해제되게 된다. 상기 중공홀(46) 내부를 가압하는 힘이 잘 전달되어 체결돌기(44)가 용이하게 삽입홀(54)의 양끝단으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상기 체결돌기(44)가 형성된 고리부(3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중공홀(46)과 연결되는 장홀(4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를 이용해 수상관네크(14)와 인쇄회로기판(18)에 설치된 소켓(22)의 고정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수상관네크(14)와 소켓(22)을 조립하고, 상기 수상관네크(14)을 감싼 소켓(22)의 외주면에 상기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를 설치하여 고정한다. 먼저 고리부(40)의 끝단을 고리수용부(50)의 삽입홀(54)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고리부(40) 및 고리수용부(50)의 벤딩손잡이부(42, 52)를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수상관네크(14)와 소켓(22)이 견고하게 고정될 때까지 가압하는 힘을 적당하게 조절하면서 가압한 후, 고리부(40)의 체결돌기(44)가 고리수용부(50)의 삽입홀(54)의 양끝단에 걸리게 체결한다. 이로써 수상관네크(14)와 소켓(22)은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분해동작을 살펴보면, 고리부(40)의 중공홀(46)의 좌우 외곽을 중공홀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고리부(40)의 체결돌기(44)는 고리수용부(50)의 삽입홀(54)의 양끝단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고, 이로써 고리부(40)와 고리수용부(50)는 그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는 상기 수상관네크(14) 뿐만 아니라 소켓(22)까지 감쌀 수 있게 되어 외부의 충격 및 자중에 의해서 발생되는 수상관네크의 파손을 막아줄 수 있게 됨으로써, 모니터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을 위한 별도의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상기 수상관네크 고정장치(30)를 체결 및 해제를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에의하면, 수상관네크에 손상을 주지 않고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별도의 고정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 해제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모니터의 수상관 후방의 수상관네크와 인쇄회로기판의 소켓을 고정하는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에 있어서,
    금속밴드로 구성된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고리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와 체결되는 고리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 및 고리수용부는 각각 돌출형성된 벤딩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벤딩손잡이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리부와 고리수용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벤딩손잡이부는 상기 고리부 및 고리수용부의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수용부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삽입홀의 양측 끝단면에 걸리도록 좌우 외곽에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내부에 중공홀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홀의 좌우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삽입홀의 양쪽 끝단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KR20-2004-0016851U 2004-06-16 2004-06-16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KR200363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851U KR200363143Y1 (ko) 2004-06-16 2004-06-16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851U KR200363143Y1 (ko) 2004-06-16 2004-06-16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143Y1 true KR200363143Y1 (ko) 2004-09-22

Family

ID=4943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851U KR200363143Y1 (ko) 2004-06-16 2004-06-16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1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575B1 (en) Method for securing a connector for use in high vibration environment
KR930004800B1 (ko) 회로기판 설치장치
KR200363143Y1 (ko)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KR200162382Y1 (ko) 모니터의 비데오 pcb 어셈블리 결착장치
KR0141449B1 (ko) 전자제품의 음극선관용 pcb 결합장치
KR100770995B1 (ko) 스페이서
US6624563B1 (en) Video shield for monitor comprising a bracket in combination with an absorber and a connector
KR100787421B1 (ko)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JP370656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00001516U (ko)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보강구조
KR0128822Y1 (ko) 영상 표시 기기용 브라운관 기판 지지 장치
KR200277850Y1 (ko) 씨알티 소켓
KR100382500B1 (ko) 영상표시기용 브라운관의 네크부와 영상부 기판조립체의결합장치
JP2010021923A (ja) 導波管接続構造
JP3573336B2 (ja) 消磁コイル保持具
KR200170413Y1 (ko) 브라운관 넥 고정구
JP2910083B2 (ja) Crtプリント板保持装置
KR200156197Y1 (ko) 씨알티소켓의포커스와이어고정용터미널
KR200364356Y1 (ko) 디가우징 코일홀더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373735B1 (ko) 브라운관용 삽입형 크램프
KR1004206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유닛 소켓 이탈방지장치
KR200154324Y1 (ko) 음극선관의 세퍼레이터 네크밴드 결합구조
JPH0282477A (ja) カラー受像管を接続するためのソケット
KR200172388Y1 (ko) 씨알티 소켓
KR101540120B1 (ko) 튜너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