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181Y1 -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181Y1
KR200353181Y1 KR20-2004-0008747U KR20040008747U KR200353181Y1 KR 200353181 Y1 KR200353181 Y1 KR 200353181Y1 KR 20040008747 U KR20040008747 U KR 20040008747U KR 200353181 Y1 KR200353181 Y1 KR 200353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unit
power
data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to KR20-2004-0008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1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8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power on the line being D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7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via DC powe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전력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전력량 검침이외에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원격으로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meter gateway)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 구조는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독립된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과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으로 분리되고,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 내에는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와 서비스 정보 제공부가 내장되고,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 내에는 전력량 계량부가 내장되며, 전력량 계량부와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는 각 케이싱에 설치된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를 통해 상호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력회사 관리자와 망 사업자에게 간편하고 편리한 관리 및 운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원격검침, 부가 서비스 제공 및 부가 서비스 검침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데이터 사용 인증, 데이터 보안 그리고 데이터 관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A POWER LINE COMMUNICATION BASED SERVICE ADDITION TYPE METER GATEWAY AND CASING STRUCTURE THEREOF, AND A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 그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력선 통신망을 기반으로전력량 검침이외에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원격으로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 그 케이싱 구조와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이란 옥내, 옥외에 시설되어 있는 저압 배전선 또는 고압 배전선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하여 음성, 데이터 신호 등을 고속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수용가의 설비를 지능적으로 제어하려는 욕구와 함께 정보기기의 발전에 따라 수용가에 설치된 TV(TeleVision), 컴퓨터(computer), 캠코더(camcorder) 등 정보 가전기기를 연결하려는 욕구가 높아져 홈네트워크(homenetwork) 분야에서 고속의 전력선 통신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력선 통신모뎀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수 Mbbs급 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되고, 전화선을 이용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이나 동축 케이블을 이용한 케이블 모뎀(cable modem)과도 경쟁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새로운 가입자 망(access network)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선 통신기술 개발이 상용화되면 전력 사업자에서는 원격검침(Automatic Meter Reading; AMR), 배전 자동화 등 전력 정보 고도화를 위하여 망을 직접 활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등 고속 정보 전송서비스 제공으로 회선 임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전력선 통신에서는 무선 통신과 같이 망 접속의 편리성 뿐만 아니라 고속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에 따라 원격검침 외에 부가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려는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 및 컨텐츠(contents) 데이터를 말한다. 그러나, 전력선 통신에서 원격검침 이외에 부가 서비스 기능을 추가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며, 또한 부가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계량, 보안, 인증, 관리 그리고 운영 등과 관련한 대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력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원격검침 이외에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원격검침을 위한 전력량 검침과 부가 서비스 제공에 따른 서비스 계량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meter gateway)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력량 검침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부가 서비스 기능을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전력량 검침 및 전력 관리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가 서비스 계량 기능을 기능적 독립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독립성을 유지하여 하나의 미터 게이트 웨이에서 전력 계량 기능과 서비스 계량 기능이 상호 독립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하여 원격검침, 부가 서비스 데이터 제공 및 부가 서비스 검침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원격검침 및 부가 서비스 검침에 따른 과금을 효율적으로 부과하도록 제공하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부가형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부가형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망 및 댁내 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역정보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케이싱 구조도들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댁내정보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댁내정보 제어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리모콘의 구성도이다.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리모콘의 외형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공동 암호키를 이용한 데이터 암복호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사설 암호키를 이용한 데이터 암복호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력 사업자 서버 20 : 망 사업자 서버
30 : 서비스 사업자 서버 40 : 데이터 통신망
50 : 지역정보 제어장치 60 : 주상 변압기
70 : 송배전선 80 : 옥외 인입선
90 : 옥내 인입선 H1 내지 Hm : 수용가
M1 내지 Mm : 미터 게이트 웨이 D1 내지 Dm : 댁내정보 제어장치
T1 내지 Tn : 단말기 622 :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
632 : 서비스 정보 처리부 530, 624, 634, 730, 830, 130 : 데이터 저장부
551, 771 : 유선 통신 포트부 554, 774 : 유선 데이터 통신부
610 : 전력량 계량부 611 : 전력량 계량 모듈부
6111 : 전류/전압 검출부 6112 : 전력량 산출부
6113 : 전력량 처리부 6114 : 전력량 표시부
635a, 790, 840 : LED 표시부 610a :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
6230a :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 6331a : 수신 포트
6331b : 송신 포트 614 : 입력단자
615 : 출력단자 616 : 전력량 계량부용 DC 전원부
901, 902 : 봉인부재 6231a : 덮개
150 : 상태 표시부 160 : 동작제어 입력부
161 : 암호키 기입 제어부 162 : 암호키 독출 제어부
161a : 암호키 기입 버튼 162a : 암호키 독출 버튼
170 : 전원부 628 : 시리얼 포트부
780 : 암호키 등록 개시부 750a : 가입자 조작 버튼부
780a : 암호키 등록 개시핀 630 : 서비스 정보 제공부
626 : 동작 제어부 617 : 변류기
619 : 지지부재 611a, 6232a, 618 : 체결부재
620 :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
636 : 서비스/컨텐츠 데이터 계량부
550, 770 :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
540, 612, 623, 633, 760, 110, 850 :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
541, 6121, 6231, 6331, 761, 111, 851 : 무선 통신 포트부
544, 6124, 6234, 6334, 764, 114, 854 : 무선 데이터 통신부
625, 635, 740, 140 : 데이터 표시부
627 :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용 DC 전원부
637 : 서비스 계량부용 DC 전원부
510, 710, 810 : 전력선 통신 모듈부
621 :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
631 :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
511, 6211, 6312, 711, 811 : 전력선 커플러
514, 714, 814 : 전력선 통신부
6214 :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부
6315 : 댁내 망 전력선 통신부
520, 720, 120 : 중앙 처리부
515, 545, 556, 6125, 6215, 6234, 6316, 6335, 715, 765, 775, 816, 855, 115 : 송신 필터부
516, 545, 555, 6126, 6216, 6235, 6317, 6336, 716, 766, 776, 817, 856, 116 : 송신 증폭부
512, 542, 552, 6122, 6212, 6232, 6313, 6332, 712, 762, 772, 812, 852, 112 : 수신 필터부
513, 543, 553, 6123, 6213, 6233, 6314, 6333, 713, 763, 773, 813, 853, 113 : 수신 증폭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가입자 망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와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댁내 망을 통해 수용가의 단말기들과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미터 게이트 웨이에 있어서, 상기 댁내 망으로부터 전류/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류/전압을 이용해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여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검침 데이터를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하는 전력량 계량부와, 상기 전력량 계량부의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가입자 망을 통해 상기 지역정보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와,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단말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지역정보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가입자 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한편 서비스/컨텐츠 종류, 서비스 사용 시간, 서비스/컨텐츠 다운로드 회수, 컨텐츠 정보량, 단위 정보 및 제어 서비스 제공회수를 매개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계량하여 계량된 검침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지역정보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케이싱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망을 구성하는 옥외 인입선이 인입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댁내 망을 구성하는 옥내 인입선이 인출되는 출력단자가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배치된 단자 케이싱과, 상기 단자 케이싱의 상단부와 체결되고, 상기 전력량 계량부가 내장되며, 전면부에는 제1 봉인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전력량 계량부를 보호하는 제1 덮개가 설치된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과, 상기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의 상단부와 지지부재를 통해 탈착되고,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부가 내장되며, 전면부에는 제2 봉인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보호하는 제2 덮개가 설치된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케이싱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부가형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부가형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망 및 댁내 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가입자 망은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이루어지는 망이고, 댁내 망은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이루어지는 망을 말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부가형 전력선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외부 서버와 고속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이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미터 게이트 웨이(meter gateway; M1 내지 Mm)와, 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댁내에서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와,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와 댁내에서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단말기(T1 내지 Tn)를 포함한다.
[외부 서버]
외부 서버는 전력 사업자 서버(10), 망 사업자 서버(20), 다수의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를 포함하고,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망(40)(예컨대, 광대역 종합 통신망, 광역 통신망, 인터넷, 구내정보 통신망 등 포함)을 통해 다수의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고속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사업자 서버(10), 망 사업자 서버(20)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는 데이터 통신망(40) 또는 기타 다른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전력 사업자 서버(10)는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전력 검침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여기서, 전력 검침량이라 함은 각 수용가(H1 내지 Hm)에서 사용하는 사용 전력량을 말한다.전력 사업자 서버(10)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제공된 전력 검침량을 기초로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전력 사용요금을 책정하여 부과하게 된다. 여기서, 전력 검침량으로는 하나의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 할당된 모든 수용가(H1 내지 Hm)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의 총합,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 및 순시 전력량 등이 될 수 있다.
망 사업자 서버(20)는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서비스 검침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여기서, 서비스 검침량이라 함은 가입자가 사용한 서비스/컨텐츠(service/contents) 종류 및 서비스/컨텐츠 사용시간, 그리고 서비스/컨텐츠 사용량 등을 포함한다. 망 사업자 서버(20)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검침량을 기초로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서비스 사용요금을 책정하여 부과하게 된다. 여기서, 서비스 검침량은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서비스 사용시간 및 사용 서비스/컨텐츠 종류, 서비스/컨텐츠 사용량 및 컨텐츠 사용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는 각 서비스 회사의 서비스 모델에 대응하여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각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 서비스/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는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각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서비스/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서비스/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외부 서버는 가스/수도 사업자 서버(미도시)와 보안관리 사업자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스/수도 사업자 서버는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가스/수도 검침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여기서, 가스/수도 검침량이라 함은 각 수용가(H1 내지 Hm)에서 사용하는 가스/수도 사용량을 말한다. 가스/수도 사업자 서버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제공된 가스/수도 사용량을 기초로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가스/수도 사용요금을 책정하여 부과하게 된다. 여기서, 가스/수도 검침량으로는 하나의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 할당된 모든 수용가(H1 내지 Hm)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량의 총합,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량이 될 수 있다. 보안관리 사업자 서버는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보안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IP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각 수용가(H1 내지 Hm)의 내부 영상을 제공받아, 이에 대응한 과금을 책정하여 부과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제공되는 전력 검침량 및 가스/수도 검침량은 검침 데이터로 명명하기로 하고,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컨텐츠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는 서비스 데이터로 명명하기로 한다.
[지역정보 제어장치]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가입자 망(access network)마다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어 해당 가입자 망을 구성하는 모든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의 고속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각 수용가(H1 내지 Hm)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외부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옥외 인입선(80)이라 함은 주상 변압기(60)의 출력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각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 간에 시설되는 110V/220V의 배전선을 말한다.
이러한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전력 사업자 서버(10)로 제공한다. 이때,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데이터 저장부(도 3의 '530'참조)에 저장하고 있다가 전력 사업자 서버(10)로부터 검침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를 인출하여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전력 사업자 서버(10)로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검침 데이터, 즉 가스/수도 검침량을 전송받아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가스/수도회사 서버로 제공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력 사업자 서버(10) 또는 가스/수도회사 서버로부터 전력 검침량 또는 가스/수도 검침량에 대한 요청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전송시간이 도래하게 되면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력 검침량 또는 가스/수도 검침량을 인출하여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망 사업자 서버(20) 및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를 실시간(ON-line)으로 연결한다.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서비스 사업자 서버(30)와의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서비스 사업자 서버(30)의 인터넷 접속을 수행한다. 이로써,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각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보안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동 암호키(K0)를 데이터 저장부(도 3의 '530'참조)에 저장(또는, 등록)하고 있다가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가 전송되면 이 공동 암호키(K0)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공동 암호키(K0)는 가입자 망, 즉 옥외 인입선(80)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에서 데이터 프레임(frame)용 암호키로서,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 간 통신용 암호키이다. 그리고,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제공된 암호화된 데이터는 공동 암호키(K0)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말한다.
이러한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모듈부(510), 중앙 처리부(520), 데이터 저장부(530),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40),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부에서는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이용한다.
전력선 통신 모듈부(510)는 옥외 인입선(80)으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전력선 통신 모듈부(510)는 옥외 인입선(80)으로부터 인터넷 접속신호 및 기타 데이터를 전송받는 한편,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 검침 데이터 요청신호 및 제어신호를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로부터 제공받아 옥외 인입선(80)으로 실어 보낸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 모듈부(510)는 전력선 커플러(coupler; 511), 수신 필터부(512), 수신 증폭부(513), 전력선 통신부(514), 송신 필터부(515) 및 송신 증폭부(516)를 포함한다.
전력선 커플러(511)는 옥외 인입선(80)과 접속되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 인터넷 접속신호 및 기타 데이터, 즉 수신용 데이터 신호를 옥외 인입선(80)으로부터 검출하여 수신 필터부(512)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력선 커플러(511)는 송신 증폭부(516)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 요청신호 및 제어신호, 즉 송신용 데이터 신호를 옥외 인입선(80)으로 실어 보낸다. 이러한 전력선 커플러(511)는 1차측이 옥외 인입선(80)과 접속되고, 2차측이 수신 필터부(512) 및 송신 증폭부(516)와 각각 접속된 변압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외에, 노이즈(noise)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퓨즈, 바리스터,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 등이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수신 필터부(512)와 수신 증폭부(513)는 수신용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로서, 수신 필터부(512)는 전력선 커플러(511)로부터 전송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또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filtering)하여 수신 증폭부(513)로 전송하고, 수신 증폭부(513)는 수신 필터부(512)를 통해 필터링되어 전송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하여 전력선 통신부(514)로 전송한다.
송신 필터부(515)와 송신 증폭부(516)는 송신용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로서, 송신 필터부(515)는 전력선 통신부(514)로부터 전송된 송신용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 또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송신 증폭부(516)로 전송하고, 송신 증폭부(516)는 송신 필터부(515)를 통해 필터링되어 전송된 송신용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하여 전력선 커플러(511)로 전송한다.
전력선 통신부(514)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칩(chip)이 내장된 변복조 모듈로서, 그 변복조 방식으로는 고속 통신을 위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력선 통신부(514)는 수신 증폭부(513)로부터 전송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중앙 처리부(5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부(520)로부터 전송된 송신용 데이터 신호, 즉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 필터부(515)로 전송한다.
한편,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는 데이터 통신망(40)으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전력 사업자 서버(10), 가스/수도 사업자 서버 및 보안관리 사업자 서버의 검침량 요청신호, 제어신호 및 보안 데이터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는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검침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전력 사업자 서버(10) 및 가스/수도 사업자 서버로 제공한다. 그리고, 보안 데이터를 보안관리 사업자 서버로 제공한다. 또한,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는 서비스 데이터, 요청신호 및 제어신호를 중앙 처리부(520)로 제공한다. 중앙 처리부(520)로 제공된 데이터들은 전력선 통신 모듈부(510)를 통해 옥외 인입선(80)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는 유선 통신 포트부(551), 수신 필터부(552), 수신 증폭부(553), 유선 데이터 통신부(554), 송신 필터부(556) 및 송신 증폭부(555)를 포함한다.
유선 통신 포트부(551)는 데이터 통신망(40)과 접속되는 포트로서,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 요청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필터부(552)로 전송한다. 그리고, 송신 증폭부(555)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 인터넷 접속신호 및 기타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
수신 필터부(552)와 수신 증폭부(553)는 수신용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로서, 수신 필터부(552)는 유선 통신 포트부(551)로부터 전송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또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수신 증폭부(553)로 전송하고, 수신 증폭부(553)는 수신 필터부(552)를 통해 필터링되어 전송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하여 유선 데이터 통신부(554)로 전송한다.
송신 필터부(556)와 송신 증폭부(555)는 송신용 데이터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로서, 송신 필터부(556)는 유선 데이터 통신부(554)로부터 전송된 송신용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또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 제거하여 송신 증폭부(555)로 전송하고, 송신 증폭부(555)는 송신 필터부(556)를 통해 필터링되어 전송된 송신용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하여 유선 통신 포트부(551)로 전송한다.
유선 데이터 통신부(554)는 수신 증폭부(553)로부터 전송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중앙 처리부(520)로 전송하거나, 중앙 처리부(520)로부터 전송된 송신용 데이터 신호, 즉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 필터부(556)로 전송한다.
한편,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40)는 무선 적외선 통신 모듈부로서, 외부 장치, 예컨대 무선 적외선 통신장치가 내장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note book computer) 또는 리모콘(remote control)과 같이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로부터 공동 암호키(K0)를 제공받아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한다. 여기서, PDA, 노트북 및 리모콘은 망 사업자가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리모콘(1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40)는 공동 암호키(K0) 요청시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0)를 암호키 등록장치로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40)는 무선 통신 포트부(541), 수신 필터부(542), 수신 증폭부(543), 무선 데이터 통신부(544), 송신 필터부(545) 및 송신 증폭부(546)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포트부(541)는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로서, 암호키 등록장치로부터 공동 암호키(K0)를 전송받아 수신 필터부(542)로 전송하는 수신포트(미도시)와, 송신 증폭부(546)로부터 전송된 공동 암호키(K0)를 암호키 등록장치로 제공하는 송신포트(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암호키 등록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적외선 통신장치가 내장된 PDA, 노트북 또는 리모콘과 같은 장치로서 무선 통신 포트부(541)의 송신포트로부터 공동 암호키(K0)를 읽어 들이거나, 무선 통신 포트부(541)의 수신포트로 공동 암호키(K0)를 전송한다.
수신 필터부(542) 및 수신 증폭부(543)는 수신 데이터 변환부로서, 수신 필터부(542)는 무선 통신 포트부(541)로부터 전송된 공동 암호키(K0)를 포함하는 수신용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수신 증폭부(543)로 전송하고, 수신 증폭부(543)는 수신 필터부(542)를 통해 필터링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부(544)로 전송한다.
송신 필터부(545) 및 송신 증폭부(546)는 송신 데이터 변환부로서, 송신 필터부(545)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544)로부터 전송된 공동 암호키(K0)를 포함하는 송신용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송신 증폭부(546)로 전송하고, 송신 증폭부(546)는 송신 필터부(545)를 통해 필터링된 송신용 데이터 신호를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하여 무선 통신 포트부(541)로 전송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부(544)는 수신 증폭부(543)로부터 전송된 수신용 데이터 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중앙 처리부(520)로 전송하거나, 중앙 처리부(520)로부터 전송된 송신용 데이터 신호, 즉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 필터부(545)로 전송한다.
한편, 중앙 처리부(520)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40)의 수신포트로부터 전송된 공동 암호키(K0)를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하는 한편, 공동 암호키(K0) 요청시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0)를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40)의 송신포트를 통해 암호키 등록장치로 제공한다. 이때, 공동 암호키(K0)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의 제작 또는 설치시에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부(520)는 암호키 등록장치로부터 공동 암호키(K0)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암호키 등록장치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인증절차는 암호키 등록장치가 공동 암호키(K0)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적법한 장치인지를 판별하는 절차로서, 일례로 미리 적법한 암호키 등록장치에 관한 기설정된 정보를 등록시킨 후 이 정보와 요청을 시도하는 암호키 등록장치의 정보를 비교하여 적법한 암호키 등록장치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기설정된 비밀번호를 등록시킨 후 요청시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인증을 허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인증절차를 통해 요청을 시도하는 암호키 등록장치가 적법한 등록장치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중앙 처리부(520)는 공동 암호키(K0)를 제공하지 않거나, 이 암호키 등록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공동 암호키(K0)를 등록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인증절차를 통해 적법한 방법이나 절차에 따라서 인증되지 않은 통신장치나 설비 등이 불법적으로 가입자 망에 접속해서 가입자의 정보를 왜곡하거나 취득하는 등 데이터의 유출 및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 중앙 처리부(520)는 전력선 통신 모듈부(510)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하는 한편, 유선 통신 모듈부(550)로부터 전송되는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된 다수의 검침 데이터들 중에서 해당 검침 데이터를 인출하여 유선 통신 모듈부(550)를 통해 데이터 통신망(40)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부(520)는 유선 통신 모듈부(550)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하는 한편, 전력선 통신 모듈부(510)로 전송한다.
한편, 데이터 저장부(530)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Read Only Memory; ROM), 예컨대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그리고 램(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저장부(530)에는 중앙 처리부(520)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가 수용가별(H1 내지 Hm),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등으로 분류되어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530)에는 공동 암호키(K0)가 저장된다. 이때, 공동 암호키(K0)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공동 암호키(K0)가 그대로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530)에는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50)로 수신되어 중앙 처리부(52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가 램에 저장된다.
[미터 게이트 웨이]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기존에 계량기가 설치된 부위의 각 수용가(H1 내지 Hm)에 하나씩 설치된다. 이러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수용가(H1 내지Hm) 내부에 각각 설치된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및 단말기(T1 내지 Tn)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 저장부(도 4의 '634'참조)에 임시로 저장한다. 예컨대, 대용량 컨텐츠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된다. 이렇게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된 서비스 데이터는 요청시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단말기(T1 내지 Tn)로 제공된다. 또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각 단말기(T1 내지 Tn)로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서비스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 등의 무형의 정보를 계량한다. 예컨대, 서비스 계량방법으로는 시간형 서비스 계량방법, 컨텐츠형 서비스 계량방법, 그리고 단위 정보 및 제어형 서비스 계량방법 등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해당 수용가(H1 내지 Hm)의 전력 사용량을 계량하여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 제공한다. 그리고,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로부터 가스/수도 검침량을 수신받아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 제공한다. 여기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직접 단말기(T1 내지 Tn)로부터 가스/수도 검침량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할당받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의 데이터 송수신시에는 공동 암호키(K0)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복호화하고,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및 단말기(T1 내지 Tn)와의 데이터 송수신시에는 각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복호화한다. 여기서, 'K0' 내지 'Km'은 서로 다른 암호키이다.
이러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계량부(610),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 및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를 포함한다.
전력량 계량부(610)는 해당 수용가(H1 내지 Hm)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량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3)를 통해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력량 계량부(610)는 전력량 계량 모듈부(611)와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력량 계량부(610)는 외부와 적외선 통신을 위해 무선 통신 포트(도 5a의 '6131'참조)를 포함하는 외부 적외선 통신용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적외선 통신용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와 다르게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회사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전력회사 관리자는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는 이동통신 장치, 즉 리모콘을 이용하여 외부 적외선 통신용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를 통해 전력량 계량부(610)를 유지, 관리하게 된다. 또한, 외부 적외선 통신용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를 통해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저장부(624)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전력량 계량 모듈부(611)는 전류/전압 검출부(6111), 전력량 산출부(6112),전력량 처리부(6113) 및 전력량 표시부(6114)를 포함한다. 전류/전압 검출부(6111)는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해당 수용가로 공급되는 공급전원(교류전원)으로부터 전류/전압을 검출한다. 전력량 산출부(6112)는 전류/전압 검출부(6111)에 의해 검출된 전류/전압을 이용하여 전력량을 산출한다. 전력량 처리부(6113)는 전력량 산출부(6112)에 의해 검출된 전력량을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를 통해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로 제공한다. 전력량 표시부(6114)는 전력량 처리부(6113)로부터 제공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는 무선 적외선 통신 모듈부로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는 전력량 처리부(6113)로부터 제공되는 검침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을 통해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로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는 무선 통신 포트부(6121), 수신 필터부(6122), 수신 증폭부(6123), 무선 데이터 통신부(6124), 송신 필터부(6125) 및 송신 증폭부(6126)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포트부(6121)는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부로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의 무선 통신 포트부(6231)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신호는 검침 데이터 요청신호 및 기타 제어신호이다. 수신 필터부(6122)는 무선 통신 포트부(6121)로 수신된 신호를 필터링한다. 수신 증폭부(6123)는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부(6124)는 증폭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전력량 처리부(6113)로 제공한다. 전력량 처리부(6113)는 신호에 대응하여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검침 데이터는 검침 데이터 요청시 무선 데이터 통신부(6124), 송신 필터부(6125), 송신 증폭부(6126) 및 무선 통신 포트부(6121)를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의 무선 통신 포트부(6231)로 송출된다.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는 전력 회사에서 관리하는 장치로서, 전력량 계량부(610)로부터 검출된 검침 데이터를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전력 사업자 서버(1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는 가입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전력회사의 전력량 검침 편의를 위해 설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를 통해 전력량 계량부(610)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제공받아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를 통해 옥외 인입선(80)으로 실어 보낸다. 그리고,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는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를 통해 젼력 사업자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검침 데이터 요청신호 및 기타 제어신호(전력 사업자 서버에서 제공되는 신호 포함)를 검출하는 한편,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전송되는 가스/수도 검침량을 검출한다. 이러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는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 데이터 저장부(624), 데이터 표시부(625) 및 동작 제어부(626)를 포함한다.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는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전송되는 검침 데이터 요청신호 및 제어신호를 검출하는 한편,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전송되는 가스/수도 검침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침 데이터를 옥외 인입선(80)으로 실어 보낸다. 이러한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는 전력선 커플러(6211), 수신 필터부(6212), 수신 증폭부(6213),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부(6214), 송신 필터부(6215) 및 송신 증폭부(6216)를 포함한다. 우선 데이터 수신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력선 커플러(6211)는 옥외 인입선(80)으로부터 데이터 신호(검침 데이터 요청신호 포함)를 검출한 후 수신 필터부(6212)로 제공한다. 수신 필터부(6212)는 전력선 커플러(621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한다. 수신 증폭부(6213)는 수신 필터부(621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부(6214)로 제공한다.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부(6214)는 이 데이터를 복조하여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로 전송한다. 데이터 송신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부(6214)는 전력정보 서비스 처리부(6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검침 데이터 포함)를 변조하여 송신 필터부(6215)로 제공한다. 송신 필터부(6215)는 전력선 통신부(6214)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한다. 송신 증폭부(6216)는 송신 필터부(6215)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신호를 전력선 커플러(6211)로 제공한다. 전력선 커플러(6211)는 송신 증폭부(6216)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옥외 인입선(80)으로 실어 보낸다.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로부터 전송된 전력량 검침량을 제공받아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로 전송한다. 또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는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로부터 전송된 가스/수도 검침량과 전력량 검침량을 데이터 저장부(624)에 저장하는 한편, 데이터 표시부(625)에 표시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는 무선 적외선 통신 모듈부로서, 비접촉방식으로 전력량 계량부(610)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12)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는 무선 통신 포트부(6231), 수신 필터부(6232), 수신 증폭부(6233), 무선 데이터 통신부(6234), 송신 필터부(6235) 및 송신 증폭부(6236)를 포함한다.
동작 제어부(626)는 RTC(Real Timer Clock) 또는 타이머(timer)로 구성되며, 기설정된 시간동안에만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동작 제어부(626)를 통해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이유는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가 가입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전력 회사의 전력량 검침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서비스 정보 계량부(630)를 통한 서비스 데이터 관리 서비스는 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지만, 전력 회사에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를 통한 검침 데이터 관리 서비스는 모든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에 적용되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전력 회사 제공용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는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은 가입자의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에서도 작동되어야만 한다.
동작 제어부(626)의 동작특성을 살펴보면, 평상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는 대기모드 상태로 최저 전력만을 소비하도록 한다. 즉, 평상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의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와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는 대기모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대기모드 상태에서 동작제어부(626)에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하게 되면 동작 제어부(626)는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로 'wake-up' 신호를 전송한다. 이 'wake-up' 신호에 동기되어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가 동작모드로 진입한다. 동작모드 상태에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23)를 통해 전력량 계량부(610)와의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력량 계량부(610)로부터 검침된 전력량을 읽거나 다운로드(download)한다. 또한,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6)는 가입자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를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통신하여 필요한 전력 서비스 정보를 송수신한다.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에서는 먼저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아 각 단말기(T1 내지 Tn)로 제공한다. 실제로,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 인입되는 옥외 인입선(80)의 출력측, 즉 옥내 인입선(90)측으로부터 전원 및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물론, 여기서 서비스 데이터는 옥외 인입선(80)으로부터 전송된다. 이때, 옥내 인입선(90)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617)를 통해 변류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는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서비스 데이터 및 컨텐츠 데이터 등의 무형의 정보를 계량한다. 그리고,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에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33)를 통해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할당받아 지역정보 제어장치(50),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또는 단말기(T1 내지 Tn)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가 전송되면 공동 암호키(K0) 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사용한다. 또한, 서비스 정보 제공부(620)에서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또는 단말기(T1 내지 Tn)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공동 암호키(K0) 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는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31), 서비스 정보 처리부(632),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33), 데이터 저장부(634), 데이터 표시부(635) 및 서비스/컨텐츠 데이터 계량부(636)를 포함한다.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31)는 옥외 인입선(80) 또는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검침 데이터 또는 인터넷 접속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31)는 검침 데이터, 서비스 검침 데이터 또는 인터넷 접속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옥외 인입선(80)으로 실어 보내는 한편, 서비스 데이터를 옥내 인입선(90)으로 실어 보낸다. 여기서, 서비스 검침 데이터는 서비스 데이터의 계량값이다. 이러한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31)는 전원 스위치부(6311), 전력선 커플러(6312), 수신 필터부(6313), 수신 증폭부(6314), 댁내 망 전력선 통신부(6315), 송신 필터부(6316) 및 송신 증폭부(6317)를 포함한다.
우선, 전원 스위치부(631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부(6311)는 계전기(relay)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의 제어에 의해 동기되어 구동한다. 이처럼 전원 스위치부(6311)를 전력량 정보 서비스 처리부(622)의 제어를 받도록 하는 이유는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는 항상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가입자의 서비스 신청에 따라 동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서비스 신청시에는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를 동작시키고, 서비스 해제시에는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를 통해, 서비스 해제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전원 스위치부(6311)가 동작된 상태에서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31)의 데이터 수신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력선 커플러(6312)는 옥외 인입선(80) 또는 옥내 인입선(90)으로부터 다양한 데이터, 예컨대 서비스 데이터를 검출한 후 수신 필터부(6313)로 제공한다. 수신 필터부(6313)는 전력선 커플러(6312)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수신 증폭부(6314)는 수신 필터부(6313)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댁내 망 전력선 통신부(6315)로 제공한다. 댁내 망 전력선 통신부(6315)는 이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여 서비스 정보 처리부(632)로 전송한다. 한편,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31)의 데이터 송신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댁내 망 전력선 통신부(6315)는 서비스 정보 처리부(632)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변조하여 송신 필터부(6316)로 제공한다. 송신 필터부(6316)는 댁내 망 전력선 통신부(6315)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송신 증폭부(6317)는 송신 필터부(6316)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데이터를 전력선 커플러(6312)로 제공한다. 전력선 커플러(6312)는 송신 증폭부(6317)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데이터를 옥외 인입선(80) 또는 옥내 인입선(90)으로 실어 보낸다.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33)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의 무선 데이터 통신모듈부(540)와 마찬가지로 무선 적외선 통신 모듈부로서,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로부터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제공받는 한편,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로 등록된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33)는 무선 통신 포트부(6331), 수신 필터부(6332), 수신 증폭부(6333), 무선 데이터 통신부(6334), 송신 필터부(6335) 및 송신 증폭부(6336)를 포함한다.
서비스 정보 처리부(632)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33)의 수신포트로부터 전송된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데이터 저장부(634)의 롬에 저장하는 한편, 요청시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331)의 송신포트를 통해 암호키 등록장치, 즉 리모콘(도 9의 '100'참조)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 정보 처리부(632)는 댁내 망 전력선 통신 모듈부(631)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 특히 대용량인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하는 한편, 데이터 표시부(635)에 표시한다.
서비스/컨텐츠 데이터 계량부(636)는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고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서비스/컨텐츠 사용량을 계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량방법으로는 시간형 서비스 계량방법, 컨텐츠형 서비스 계량방법, 그리고 단위 정보 및 제어형 서비스 계량방법 등이 있다. 이는 서비스 데이터가 크게 시간형 서비스, 컨텐츠형 서비스, 그리고 단위 정보 및 제어형 서비스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시간형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시간을 계량하여 과금을 부과할 수 있는 유형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컨텐츠 및 정보형 서비스는 주로 외부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받는 정보 및 데이터량을 계량하여 과금을 부과할 수 있는 유형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형 서비스는 주로 스트림(stream)형 컨텐츠 서비스를 의미하고, 정보형 서비스는 메일, 문자 메시지, 교통/날씨 정보 등 비교적 소용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형 서비스는 원격에서 출입문 제어, 조명 및 가진기기 제어 등과 같이 단발성의 제어 서비스 요청시 과금을 부과할 수 있는 유형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시간형 서비스 계량방법에서는 기타 서비스와는 달리 서비스 제공시간이 중요한 계량지표가 된다. 이에 따라, 시간형 서비스의 계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는 서비스 개시와 관련하여 서비스 분류 코드, 서비스 요청시각, 서비스 요청자 정보 및 서비스 개시시각 등이 있고, 서비스 종료와 관련하여 서비스 분류 코드, 서비스 종료 요청시각, 서비스 요청자 정보, 서비스 종료시각 등이 있다. 그리고, 서비스가 개시된 후 시간형 서비스 계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는 서비스 수행시 발생되는 주요 이벤트(event) 정보, 서비스 분류별 서비스 수행시간(일정 시간마다 계속 갱신됨) 등이 있다.
그리고, 시간형 서비스에는 특별히 대용량의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컨대, 보안 서비스 중에서 외부 침입이 이루어지고 댁내에 설치된 댁내 감시 카메라(IP 카메라)가 이를 촬영할 경우 대용량의 영상정보가 발생하게 된다.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이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저장부(634)에 가장 최근의 정보를 일단 저장하고, 이전 영상정보는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또는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 임시로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영상정보를 외부에서 열람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입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가입자 정보보호를 위해서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정보는 공동 암호키(K0)를 사용하여 암호화하여 사생활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컨텐츠형 서비스 계량방법에서는 제공받는 서비스의 정보량과 정보의 종류가 중요한 계량지표가 된다. 이에 따라, 컨텐츠형 서비스의 계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는 서비스 개시와 관련하여 서비스 분류 코드, 컨텐츠 서비스 비중 분류 코드, 서비스 요청시각, 서비스 요청자 정보 등이 있다. 컨텐츠 서비스 비중 분류 코드는 제공되는 컨텐츠의 과금 비중을 나타내는 코드로서 컨텐츠 서비스 사업자가 각 컨텐츠에 대해 부여하고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를 통해 가입자가 컨텐츠를 요청할 때 사전에 가입자에게 제공된다. 이후, 서비스가 개시된 후 관리할 정보는 서비스 수행시 발생되는 주요 정보 및 정보형 서비스의 총 정보량(Mbyte 단위)가 된다.
단위 정보 및 제어형 서비스 계량방법은 제공받는 정보량이나 시간보다는 정보 요청의 횟수가 중요한 계량지표이다. 이에 따라, 단위 정보 및 제어형 서비스의 계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는 서비스 분류 코드, 서비스 요청시각, 서비스 요청자 정보가 있다. 그리고, 단위 정보 및 제어형 서비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날씨, 교통, 뉴스, 메일 등 비교적 소용량의 정보 및 원격 전등/출입문/가전 제어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비스 계량방법들 중 시간형 서비스 계량방법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다. 일례로, 가입자는 댁내의 경우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를 통해 시간형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다. 반면, 옥외의 경우 가입자가 무선 데이터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이용해서 시간형 서비스를 원격에서 요청할 수도 있다. 한편,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로부터 제공되는 시간형 서비스 요청신호를 제공받고, 가입자가 요청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분류 코드, 서비스 요청시각 및 서비스 개시 요청자(가입자) 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한다. 그리고,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가입자의 서비스 요청신호를 지역정보 제어장치(50)를 통해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로 제공한다. 서비스 사업자 서버(30)는 서비스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서비스 데이터를 지역정보 제어장치(50)를 통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 전송한다.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시간을 검출하여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한다. 이후, 가입자가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를 통해 시간형 서비스의 종료를 요청하는 경우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서비스 종료 요청신호를 제공받고, 서비스 종료를 요청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분류 코드, 서비스 종료 요청시각 및 서비스 요청자 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한다. 이러한 서비스 종료 요청신호에 따라 서비스 사업자 서버(30)에서는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한다. 한편,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서비스/컨텐츠 데이터 계량부(636)에서는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요청시 저장된 서비스 분류 코드, 서비스 요청시각 및 서비스 개시 요청자 정보와, 서비스 종료 요청시 저장된 서비스 분류 코드, 서비스 종료 요청시각 및 서비스 종료 요청자 정보를 토대로 시간형 서비스 사용량을 계산한다. 이때, 서비스/컨텐츠 데이터 계량부(636)는 시간형 서비스 계량시 서비스 개시후 발생된 별도의 주요 이벤트 정보 및 서비스 분류별 서비스 수행시간을 고려하여 서비스 사용량을 계산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케이싱 구조를 도시한 외형도들로서,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내부 투시도이고, 도 5c 및 도 5d는 측면도들이며, 도 5e는 분리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량 계량부(610),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 및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로 이루어지고, 전력량 계량부(610)는 정방형 케이싱(casing; 610a)의 내부에 보드(board) 형태로 내장되고,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 및 서비스 정보 제공부(630)는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6230a)에 내장된다. 여기서, 케이싱(610a, 6230a)은 단자함으로서 물리적으로 독립된 구조를 갖는다.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6230a)의 하단부에는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610a)의 상단부에 구비된 지지부재(619)가 삽입되어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6230a)이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610a)에 지지되도록 지지홈(6233a)이 구비된다. 그리고,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6230a)은 체결부재(6232a)에 의해 체결되는데, 체결부재(6232a, 611a)는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6230a)의 덮개(6231a) 끝단부에 설치된 상측부재(6232a)와,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610a)의 전면 상단부, 즉 상측부재(6232a)에 대응되는부위에 설치된 하측부재(611a)로 이루어지고, 이 두 부재(6232a, 611a)는 봉인부재(901)에 의해 잠금된다. 이때, 봉인부재(901)는 망 사업자 관리자에 의해 봉인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610a)은 전력회사 관리자에 의해 봉인이 이루어지는 봉인부재(902)에 의해 잠금되도록 체결부재(618)가 설치된다. 한편, 봉인부재(901, 902)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6230a)에는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표시부(635), 무선 통신 포트부(6331)의 송수신포트(6331a, 6331b) 및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부(635a)가 위치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전원 스위치부(6311) 이외에 별도로 전원을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 스위치부(63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스위치부(637)는 망 사업자 관리자가 조작하게 된다. 데이터 표시부(6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가 요청 받고자 하는 서비스 또는 요청중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서비스 요금정보 포함)를 표시한다. 수신포트(6331a)는 공동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등록하고, 외부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포트이다. 송신포트(6331b)는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외부 암호키 등록장치로 송출하는 포트이다. LED 표시부(635a)는 서비스 데이터의 진행상태를 표시한다. 한편, LED 표시부(635a)는 가입자가 제공받는 서비스의 유/무 여부를 온/오프(ON/OFF)를 통해서 표시하며, LED가 점멸되는 속도가 빠를 수록 제공받는 서비스의 요금이 높음을 나타내고, LED가 점멸되는 속도가 낮을 수록 제공받는 서비스의 요금이 낮음을 표시하는 기능도 갖는다. 동작 스위치부(637)는 전원 스위치로서 전원 스위치부(6311)와 옥외 인입선(80)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개폐동작을 통해 서비스 계량부(630)로 공급되는 교류(Alternating Current, AC)전원을 제어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외 인입선(80)은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610a)의 하단부에 설치된 입력단자(614)를 통해 전력량 계량부용 직류(Direct Current, DC) 전원부(616)와 전력정보 서비스 제공용 직류 전원부(627)로 접속된다. 여기서,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은 전력량 계량부용 직류 전원부(616)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전력량 계량부(610)로 공급되는 한편,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용 직류 전원부(627)에 의해 직류로 변환되어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로 공급된다. 한편, 입력단자(614)로 삽입된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은 변류기(617)를 경유하여 출력단자(615)를 통해 옥내 인입선(9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변류기(617)로 출력되는 교류전원은 서비스 계량부측 단자를 통해 서비스 계량부용 직류 전원부(637)로 공급된다. 서비스 계량부용 직류 전원부(637)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서비스 계량부(630)로 공급된다.
또한,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계량부(610)의 무선 통신 포트부(6121)와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의 무선 통신 포트부(6231)는 가능한 서로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포트부(6121, 6231)는 전력량 케이싱(610a)과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6230a)이 서로 근접된 부위에 설치된다. 이처럼, 무선 통신 포트부(6121, 6231)를 이용하여 전력량계량부(610)와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 간에 비접촉식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배선 설치에 따라 먼지나 불순물 등로 인한 통신 장애의 위험이 경감되고, 전력관련 정보의 외부 누출 위험이 크게 경감된다.
[댁내정보 제어장치]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는 수용가(H1 내지 Hm)의 내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접속되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가입자가 정보, 컨텐츠 등의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MMI(Man-Machine-Interface)부, 즉 도 6에 도시된 제어 입력부(750)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이다. 그리고,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 및 단말기(T1 내지 Tn)와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하나의 댁내 망을 형성한다. 각 댁내 망은 동일한 하나의 사설 암호키를 공유하여 공용으로 데이터 암복호화를 수행한다. 예컨대, 댁내정보 제어장치(D1)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및 단말기(T1 내지 Tn)와 사설 암호키(K1)를 공용으로 공유하여 데이터 암복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모듈부(710), 중앙 처리부(720), 데이터 저장부(730), 데이터 표시부(740), 제어 입력부(750),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60),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70) 및 암호키 입력 개시부(780)를 포함한다.
전력선 통신 모듈부(710)는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검침 데이터 또는 인터넷 접속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침 데이터, 서비스 검침 데이터 또는 인터넷 접속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옥내 인입선(90)으로 실어 보낸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 모듈부(621)는 전력선 커플러(711), 수신 필터부(712), 수신 증폭부(713), 전력선 통신부(714), 송신 필터부(715) 및 송신 증폭부(716)를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60)는 무선 적외선 통신 모듈부로서,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로부터 사설 암호키(K1 내지 Km) 중 해당 사설 암호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적외선 통신장치가 내장된 PDA, 노트북 또는 리모콘(100)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60)는 무선 통신 포트부(761), 수신 필터부(762), 수신 증폭부(763), 무선 데이터 통신부(764), 송신 필터부(765) 및 송신 증폭부(766)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60)는 단말기(T1 내지 Tn) 중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70)는 단말기(T1 내지 Tn) 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 예컨대 컴퓨터, VoIP 폰, IP 카메라 또는 보안관리 제어장치(미도시)와 별도의 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러한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70)는 유선 통신 포트부(771)(예컨대, RJ45, USB), 수신 필터부(772), 수신 증폭부(773), 유선 데이터 통신부(774), 송신 필터부(775) 및 송신 증폭부(776)를 포함한다. 만약,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단말기(T1 내지 Tn)와의 고속 전력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유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70)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중앙 처리부(720)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760)의 수신포트로부터 전송된 사설 암호키(K1 내지 Km) 중 어느 하나의 사설 암호키를 데이터 저장부(730)의 롬에 저장한다. 이렇게 데이터 저장부(730)에 저장된 사설 암호키를 이용하여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 중 해당 미터 게이터 웨이 및 단말기(T1 내지 Tn)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720)는 전력선 통신 모듈부(710)로부터 제공되는 가스/수도 검침량을 데이터 저장부(730)에 저장한 후 요청시 해당 미터 게이트 웨이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720)는 전력선 통신 모듈부(71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 특히 대용량인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730)에 저장한 후 요청시 단말기(T1 내지 Tn)로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데이터는 데이터 표시부(740)에 표시한다.
데이터 저장부(730)는 롬과 램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처리부(720)로부터 전송된 가스/수도 검침량이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등으로 분류되어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730)에는 사설 암호키가 저장된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730)에는 중앙 처리부(72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 특히 대용량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 입력부(750)는 가입자가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가입자와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한다. 가입자는 도 7에 도시된 가입자 조작 버튼부(750a)를 조작하여 서비스 데이터, 즉 서비스/컨텐츠 등의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암호키 등록 개시부(780)는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내에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등록시키기 위하여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의 상태를 등록 대기 모드로 전환시킨다. 가입자는 암호키 등록장치인 리모콘(100)을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의 무선 통신 포트부(761)에 근접시킨 후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에 설치된 암호키 등록 개시핀(780a)을 푸쉬한다. 이로써,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을 저장할 준비를 하게 된다.
데이터 표시부(740)는 가입자가 요청 받고자 하는 서비스 또는 요청중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서비스 요금정보 포함)를 표시한다. 이외에 기타 다양한 서비스 데이터들이 표시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표시부(790)는 데이터 표시부(740)의 옆에 설치되어 가입자가 제공받는 서비스의 유/무 여부를 온/오프(ON/OFF)를 통해서 표시하며, LED가 점멸되는 속도가 빠를 수록 제공받는 서비스의 요금이 높음을 나타내고, LED가 점멸되는 속도가 낮을 수록 제공받는 서비스의 요금이 낮음을 표시하는 기능도 갖는다.
[단말기]
단말기(T1 내지 Tn)는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및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전력선 통신 모듈이 내장된 가스/수도 계량기, 그리고, 전력선 통신 모뎀이 내장된 센서, 작동기(actuator), 가전기기, 배선기기(콘센트), 전등, 컴퓨터, VoIP 폰, IP 카메라, 보안장치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가전기기로는 에어컨, 냉장고, TV, 오디오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T1 내지 Tn)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모뎀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통해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및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와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말기(T1 내지 Tn)는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와 마찬가지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 및 단말기(T1 내지 Tn)와 동일한 하나의 사설 암호키를 공유하여 공용으로 데이터 암복호화를 수행한다.
일례로, 단말기(T1 내지 Tn)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모듈부(810), 중앙 처리부(820), 데이터 저장부(830), LED 표시부(840) 및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8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단말기(T1 내지 Tn)는 전력선 통신을 위해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단말기(T1 내지 Tn)에 공동으로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이다.
전력선 통신 모듈부(810)는 옥내 인입선(90)을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 제어신호 또는 인터넷 접속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침 데이터, 서비스 요청신호 등 다양한 데이터를 옥내 인입선(90)으로 실어 보낸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 모듈부(810)는 전력선 커플러(811), 수신 필터부(812), 수신 증폭부(813), 전력선 통신부(814), 송신 필터부(815) 및 송신 증폭부(816)를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850)는 무선 적외선 통신 모듈부로서,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로부터 사설 암호키(K1 내지 Km) 중 해당 사설 암호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적외선 통신장치가 내장된 PDA, 노트북 또는 리모콘(100)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850)는 무선 통신 포트부(851), 수신 필터부(852), 수신 증폭부(853), 무선 데이터 통신부(854), 송신 필터부(855) 및 송신 증폭부(856)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850)는 별도로 가입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장치와 무선 통신을 할수 있다. 즉, 가입자와 단말기(T1 내지 Tn)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중앙 처리부(820)는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840)의 수신포트로부터 전송된 사설 암호키(K1 내지 Km) 중 어느 하나의 사설 암호키를 데이터 저장부(830)의 롬에 저장한다. 이렇게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된 사설 암호키를 이용하여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 중 해당 미터 게이터 웨이 및 단말기(T1 내지 Tn)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820)는 전력선 통신 모듈부(81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하거나, 해당 통신장치, 예컨대 컴퓨터, VoIP 폰, IP 카메라 또는 보안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820)는 가스/수도 계량기를 통해 검침된 가스/수도 검침량을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830)는 롬과 램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처리부(820)로부터 전송된 가스/수도 검침량이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등으로 분류되어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830)에는 사설 암호키가 저장된다.그리고, 데이터 저장부(830)에는 중앙 처리부(82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 특히 대용량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LED 표시부(840)는 가입자가 제공받는 서비스의 유/무 여부를 온/오프를 통해서 표시하며, LED가 점멸되는 속도가 빠를 수록 제공받는 서비스의 요금이 높음을 나타내고, LED가 점멸되는 속도가 낮을 수록 제공받는 서비스의 요금이 낮음을 표시하는 기능도 갖는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이동형 암호키 등록장치 중 리모콘(100)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성을 갖는 리모콘(100)의 외형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110), 중앙 처리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상태 표시부(150), 동작제어 입력부(160) 및 전원부(17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리모콘(100)은 상태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110)는 무선 적외선 통신 모듈부로서 도 3에 도시된 지역정보 제어장치(50)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540) 또는 도 4에 도시된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633) 또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T1 내지 Tn)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810)와 무선 적외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110)는 무선 통신 포트부(111), 수신 필터부(112), 수신 증폭부(113), 무선 데이터 통신부(114), 송신 필터부(115) 및 송신 증폭부(116)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부(120)는 동작제어 입력부(16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30)의 비휘발성 메모리인 롬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인출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110)로 제공하는 한편,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110)로부터 제공된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을 데이터 저장부(130)의 롬에 저장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부(120)는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의 기입(Write; W) 또는 독출(Read; R) 과정을 상태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120)는 이러한 기입 또는 독출 과정을 데이터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롬과 램으로 이루어지며, 롬에는 리모콘(100) 제작시 또는 그 후에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가 저장된다. 예컨대, 미터 게이트 웨이(M1)에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를 등록시키고자 하는 경우, 즉, 한 가입자에게 제공되는 리모콘(100)의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공동 암호키(K0)와 사설 암호키(K1)가 저장된다. 한편,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 공동 암호키(K0)를 등록시키고자 하는 경우, 리모콘(100)의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공동 암호키(K0)가 모두 저장되게 된다.
상태 표시부(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LED로 구성되며,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의 기입과정 또는 독출과정을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기입과정 또는 독출과정이 실패한 경우 적색광이 발광하고, 기입 또는 독출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녹색광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동작제어 입력부(160)는 암호키 기입 제어부(161)와 암호키 독출 제어부(162)로 이루어진다. 암호키 기입 제어부(161)는 중앙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110)를 통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 지역정보 제어장치(50),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또는 단말기(T1 내지 Tn)로 기입하도록 제어한다. 암호키 독출 제어부(162)는 중앙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110)를 통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독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리모콘(100)의 전면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키 기입버튼(161a) 및 암호키 독출버튼(162a)이 구비된다. 예컨대, 가입자는 리모콘(100)의 무선 통신 포트부(111)를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무선 통신 포트부(6231)에 근접시킨 후 암호키 독출버튼(162a)을 푸쉬하여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620)의 데이터 저장부(624) 또는 서비스 계량부(630)의 데이터 저장부(634)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다운로드(download) 받는다. 이때, 공동 암호키(K0) 및/또는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정상적으로 다운로드받아 데이터 저장부(130)에 안정적으로 저장되었을 경우 LED(150)는 녹색광을 발광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적색으로 발광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 공동 암호키(K0)의 등록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리모콘(100)을 이용하여 공동 암호키(K0)의 등록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데이터 저장부(624, 634)에 공동 암호키(K0)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망 사업자는 예컨대 리모콘(100)을 이용하여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데이터 저장부(624, 634)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0)를 독출한다. 즉, 리모콘(100)의 무선 통신 포트부(111)를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무선 통신 포트부(6231)의 송신 포트부(6231a)에 근접시켜 데이터 저장부(624, 634)에 기저장된 공동 암호키(K0)를 독출한다. 이렇게 독출된 공동 암호키(K0)는 리모콘(100)의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이후, 리모콘(100)을 지역정보 제어장치(50)의 무선 통신 포트부(531)에 근접시켜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0)를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 송출한다. 이렇게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 송출된 공동 암호키(K0)는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된다.
다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공정 출하시에 미리 공동 암호키(K0)를 등록시키는 것이 아니라,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서 공동 암호키(K0)를 생성하여 데이터 저장부(530)에 저장한다. 여기서, 공동 암호키(K0)는 생성방법 대신에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때,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 공동 암호키(K0)를 등록하는 것은 제한된 관리자, 즉 권한을 갖는 관리자만 가능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센터에서 지역정보 제어장치(50)의 접속 비밀번호 등을 원격으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리모콘(100)의 무선 통신 포트부(111)를 지역정보 제어장치(50)의 무선 통신 포트부(541)의 송신포트에 근접시켜 데이터 저장부(530)에 기저장된 공동 암호키(K0)를 독출한다. 이렇게 독출된 공동 암호키(K0)는 리모콘(100)의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이후, 리모콘(100)을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수신 포트부(6331a)에 근접시켜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공동 암호키(KO)를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 송출한다. 이렇게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 송출된 공동 암호키(K0)는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의 데이터 저장부(624, 634)에 저장한다.
한편,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및 단말기(T1 내지 Tn)의 사설 암호키(K1 내지 Km) 등록과정은 전술한 방법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즉, 리모콘(100)을 이용하여 사설 암호키(K1 내지 Km)를 미터 게이트 웨이(M1 내지 Mm)로부터 인출한 후 댁내정보 제어장치(D1 내지 Dm) 및 단말기(T1 내지 Tn)의 각 데이터 저장부(730, 830)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도 11a 및 도 11b,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례로 지역정보 제어장치(50)와 미터 게이트 웨이(M1) 간의 데이터 송수신, 그리고 미터 게이트 웨이(M1)와 댁내정보 제어장치(D1)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부터 미터 게이트 웨이(K1)로 메세지(Hello)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지역정보 제어장치(50)에서는 공동 암호키(K0)를 이용하여 메세지를 암호화한다.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암호화된 메세지(Ek0(Hello))를 미터 게이트 웨이(M1)로 전송한다. 이때, 암호화된 메세지(Ek0(Hello))는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미터 게이트 웨이(M1)로 제공된다. 미터 게이트 웨이(M1)는 암호화된 메세지(Ek0(Hello))를 검출한 후 공동 암호키(K0)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메세지(Hello)를 얻게 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터 게이트 웨이(M1)로부터 이 미터 게이트 웨이(M1)와 상호 인증된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 메세지(Hello)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미터 게이트 웨이(M1)는 공동 암호키(K0)를 이용하여 메세지(Hello)를 암호화하여 옥외 인입선(80)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50)로 제공한다. 지역정보 제어장치(50)는 암호화된 데이터(Ek0(Hello))를 제공받고, 이후, 공동 암호키(K0)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Ek0(Hello))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메세지(Hello)를 얻게 된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터 게이트 웨이(M1)와 댁내정보 제어장치(D1)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미터 게이트 웨이(M1)와 댁내정보 제어장치(D1)는 서로 공용으로 사용하는 사설 암호키(K1)를 이용하여 데이터 암복호화가 이루어진다. 즉, 댁내 망에 의해 서로 연결된 미터 게이트 웨이와 댁내정보 제어장치 및 단말기 간에는 서로 공통으로 공유하는 동일한 사설 암호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암복호화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력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전력량 검침이외에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원격으로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meter gateway)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미터 게이트 웨이를 통해 전력량 검침과 서비스 계량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력량 검침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부가 서비스 기능을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전력량 검침 및 전력 관리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가 서비스 계량 기능을 기능적 독립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독립성을 유지하여 하나의 미터 게이트 웨이에서 전력 계량 기능과 서비스 계량 기능을 상호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함으로써 전력회사 관리자와 망 사업자에게 간편하고 편리한 관리 및 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미터 게이트 웨이의 단자함은 서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물리적으로 독립된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과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으로 분리하고,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와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에내장시키고,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에 내장된 전력량 계량부와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를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를 통해 상호 양방향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배선 설치에 따라 먼지나 불순물 등으로 인한 통신 장애의 위험이 경감되고, 전력관련 정보의 외부 누출 위험이 크게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력량 정보 제공 서비스를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에 내장시키고, 이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을 망 사업자에게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망 사업자에게 안정적인 기저 수익을 효과적으로 창출시키는 사업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하여 원격검침, 부가 서비스 제공 및 부가 서비스 검침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데이터 사용 인증, 데이터 보안 그리고 데이터 관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력 산업과 통신 및 서비스 산업의 융합 과정에서 전력 회사의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기존 통신 사업자 중심의 망 및 서비스 산업과, 전력 사업자 중심의 망 및 서비스의 상호 경쟁을 통해서 소비자에게 보다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저비용으로 제공함은 물론, 관련 장비 및 서비스 제공 회사들에게 전화망과 전력망 중 선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혀 주는 효과가 기대되는 등 장비, 서비스, 컨텐츠 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9)

  1. 가입자 망을 통해 지역정보 제어장치와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댁내 망을 통해 수용가의 단말기들과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미터 게이트 웨이에 있어서,
    상기 댁내 망으로부터 전류/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류/전압을 이용해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여 검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검침 데이터를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하는 전력량 계량부;
    상기 전력량 계량부의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가입자 망을 통해 상기 지역정보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단말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지역정보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가입자 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한편 서비스/컨텐츠 종류, 서비스 사용 시간, 서비스/컨텐츠 다운로드 회수, 컨텐츠 정보량, 단위 정보 및 제어 서비스 제공회수를 매개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계량하여 계량된 검침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지역정보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는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RTC(Real Timer Clock) 또는 타이머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동안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된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전력량 계량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가입자 망을 구성하는 옥외 인입선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DC(Direct Current) 전원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전력량 계량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가입자 망을 구성하는 옥외 인입선을 통해 공급되고 변류기에 의해 변환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DC 전원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부는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의 내부에 보드(board) 형태로 내장되되, 상기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은 상기 전력량 계량부가 보드 형태로 내장된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의 상단에 설치된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에는 상기 전력량 계량부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에 설치된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와 대응되는 부위에 무선 적외선 통신 포트가 설치된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7. 제 1 항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케이싱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망을 구성하는 옥외 인입선이 인입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댁내 망을 구성하는 옥내 인입선이 인출되는 출력단자가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배치된 단자 케이싱;
    상기 단자 케이싱의 상단부와 체결되고, 상기 전력량 계량부가 내장되며, 전면부에는 제1 봉인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전력량 계량부를 보호하는 제1 덮개가 설치된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 및
    상기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의 상단부와 지지부재를 통해 탈착되고,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부가 내장되며, 전면부에는 제2 봉인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서비스 정보 제공부를 보호하는 제2 덮개가 설치된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케이싱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 계량부 케이싱 및 상기 서비스 계량부 케이싱에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근접하여 상기 전력량 계량부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와 상기 전력량 정보 서비스 제공부의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부가 상호 무선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무선 적외선 포트가 각각 설치된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케이싱 구조.
  9. 제 1 항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20-2004-0008747U 2004-03-30 2004-03-30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200353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747U KR200353181Y1 (ko) 2004-03-30 2004-03-30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747U KR200353181Y1 (ko) 2004-03-30 2004-03-30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536A Division KR100561751B1 (ko) 2004-03-30 2004-03-30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181Y1 true KR200353181Y1 (ko) 2004-06-14

Family

ID=4943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747U KR200353181Y1 (ko) 2004-03-30 2004-03-30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1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749B1 (ko)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그의 케이싱 구조,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80268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ter reading and high speed data transfer
US9891253B2 (en) Bluetooth-enable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US9678122B2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broadband internet access
US20170161803A1 (en) Smart-Grid Having PLC Networked Sensors
CN103827636B (zh) 管理设施仪表通信的系统和方法
US20100328097A1 (en) Utility data over broadband infrastructure
CN104704696A (zh) 断路器面板
JP3447622B2 (ja) 電力量計
Butun et al. Security and Privacy in Smart Grids: Challenges, Current Solutions and Future Opportunities.
KR20110059957A (ko) 보안모듈이 구비된 원격검침시스템
JP2003196774A (ja) 計量装置、該計量装置を用いた機器管理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機能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351526Y1 (ko)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200353181Y1 (ko)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및 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100561751B1 (ko)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그의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200363345Y1 (ko) 보안 및 인증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부가형 전력선 통신 장치
KR100632924B1 (ko) 전력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50091365A (ko) 보안 및 인증 기능을 갖는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서비스 부가형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8012117U (zh) 共享燃气热水器装置
KR200359768Y1 (ko) 전력선 통신 장치
US90690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al work
JP5934347B2 (ja) インターネットアクセス接続を管理するホームシステム
KR200353093Y1 (ko)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102384371B1 (ko) 스마트 콘센트, 이용자 단말기, 및 전력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충전 시스템 및 스마트 충전 방법
KR20050092161A (ko)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