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031Y1 - printed matter - Google Patents

printed ma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031Y1
KR200353031Y1 KR20-2004-0006029U KR20040006029U KR200353031Y1 KR 200353031 Y1 KR200353031 Y1 KR 200353031Y1 KR 20040006029 U KR20040006029 U KR 20040006029U KR 200353031 Y1 KR200353031 Y1 KR 200353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printed matter
bill
model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0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김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국 filed Critical 김병국
Priority to KR20-2004-0006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03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031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00Cardboard or like show-cards of foldable or flexible material
    • G09F1/02Single substantially flat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고 및 홍보효과를 취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인쇄물을 지폐 모형으로 제작하여 수요자의 호기심 및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지폐의 모형을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용으로 제작되는 통상의 인쇄물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에는 지폐의 단위와, 광고주의 상호명, 전화번호 및 광고주의 직인과, 광고 및 홍보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각종 그림이 포함되어 인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 matter using a banknote model that can maximize the curiosity and advertising effect of the consumer by producing a printed matter produced in order to take the effect of advertising and promo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 the general printed matter produced for advertising and promotion using a model of the bill, the printed matter may represent the unit of the bill, the name of the advertiser,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seal of the advertiser,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 effect To propose a printed matter using a bill mod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printed including a variety of pictures.

Description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printed matter}Printed matter using a banknote model.

본 고안은 각종 광고효과를 취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인쇄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인쇄물을 지폐 모형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수요자의 호기심 및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d matter produced in order to take various advertising effects, and in particular, to a printed matter using the bill model that can maximize the curiosity and advertising effect of the consumer by producing the print using the bill model.

일반적으로 지폐는 화폐의 일종으로서 경제적인 가치의 척도, 지불의 방편, 축적의 목적물등으로 유통되는 재물의 일종으로 통상 시장경제에 있어 상품교환의매개물로 이용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폐는 각 국가에 따라 그 종류및 단위를 달리하여 발행된다. 또한 국가 내지 일부 지역등에 특징적인 행사가 있을 시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홍보용 지폐등을 발행하기도 한다.Generally speaking, a bill is a kind of money, a kind of goods that is distributed on the basis of economic value, payment method, and object of accumulation. It is usually used as a medium of commodity exchange in the market economy. Depending on the type and unit is issued according to. In addition, new types of promotional bills are issued to commemorate event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country or some regions.

한편, 이러한 지폐는 근래 들어 각종 광고효과를 취할 목적으로 제작되는 인쇄물에 접목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인쇄물은 지폐의 모형을 그대로 본떠 제작하되, 광고하고자 하는 업체의 상호명을 기입함으로서 수요자들에게 호기심 유발시켜 상호명을 간접적으로 각인시킬 수 있는 효과를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se bills are recently used in combination with printed matter produced for the purpose of taking various advertising effects. That is, the printed matter may be produced by imitating a model of a banknote as it is, and enter the business name of the company to be advertised, thereby inducing the curiosity to the consumer and indirectly imprinting the business name.

하지만 이러한 종래 인쇄물은 단순히 지폐의 모형을 그대로 모방하여 제작하고, 단지 지폐 단위란에 상호명만 대체하여 인쇄시킴으로서 보다 우수한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rinted matter is simply produced by imitating a model of a banknote as it is, and a problem aris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a better advertising effect by printing only by substituting a business name in a banknote unit column.

또한 그 인쇄기법역시 단순한 인쇄방법으로 제작됨에 따라 실제 지폐와의 이질감을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nting technique was also produced by a simple print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can have a heterogeneity with the actual bill.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광고 및 홍보효과를 가지는 인쇄물을 지폐 모형으로 제작하되, 상기 인쇄물에 상호명과 광고주 직인 및 전화번호 그리고 각종 그림을 인쇄시켜 구성함으로서 광고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s to produce a printed advertisement having a variety of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s as a bill model, by printing the name and advertiser seal and phone number and various pictures on the printed advertisement And it provides a printed matter using a bill model that can maximize the promotional effec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폐에 인쇄되는 그림을 이중 겹침 망사 인쇄기법으로 인쇄함으로서 실제 지폐와 같은 동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d matter using a banknote model to have a homogeneous feeling like a real banknote by printing a picture printed on the banknote by a double overlap mesh printing techniqu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래에 통용화될 수 있는 지폐의 모형을 미리 예측하여 제작함으로서 수요자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d material using a bill model that can induce a curiosity to consumers by predicting and producing a model of a bill that can be commonly used in the futu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폐의 모형을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용으로 제작되는 통상의 인쇄물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에는 지폐의 단위와, 광고주의 상호명, 전화번호 및 광고주의 직인과, 광고 및 홍보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각종 그림이 포함되어 인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ventional printed material produced for advertising and promotion using a model of the bill, the printed material is a unit of bills, the company's business name, telephone number and the seal of the adverti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ariety of pictures that can represent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의 구조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inted matter using a bill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의 구조를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inted matter using the banknote model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금액단위 12: 상호명10: Amount Unit 12: Business Name

14: 전화번호 16: 광고주 직인14: Phone Number 16: Advertiser Seal

18: 그림 50: 인쇄물18: Figure 50: Printou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광고나 홍보효과를 위하여 제작되는 인쇄물을 지폐의 모형을 본떠 제작하되, 이 인쇄물의 전면 혹은 후면에 지폐의 단위와, 광고주의 상호명, 전화번호 및 광고주의 직인과, 광고 및 홍보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각종 그림을 인쇄 구성한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the printed material for advertisement or promotion effect modeled after the model of the bill, the front and back of the print unit of the bill, the advertiser's business name, phone number and the advertiser's seal, and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 effect This paper proposes a printed matter using a bill model that prints various pictures that can be displayed.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서 제안한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의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ed matter using the proposed banknote model is as shown in Figs.

도 1은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인쇄물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front surface of a printed matter using a bill model, and FIG. 2 shows a rear surface of the printed matter.

상기 도면들중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인쇄물(50)은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지폐의 크기와 배경색을 본떠 제작되며 또한 지폐의 단위를 나타내는 금액단위(10)가 숫자와 문자형태로 인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금액단위(10)는 미래에 통용화될 수 있는 금액, 즉 10만원이란 표기가 숫자나 문자로 인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 외 현재 통용화되고 있는 금액단위인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인쇄물의 크기 역시 실제 지폐가 가지는 크기보다 더 크게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of the drawings, the printed matt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by imitating the size and background color of banknotes currently on the market, and the amount unit 10 representing the unit of banknotes is printed in the form of numbers and letters. have. Wherein the amount unit 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printed in the future, the amount of money that can be commonly used, that is, 100,000 won in the form of numbers or letters, but other than the current unit of money, thousand won bills, 5,000 won bills, Ten thousand won can be printed. In addition, the size of the printed matter may also be mad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actual bill.

한편, 상기한 인쇄물(50)의 전면, 바람직하게는 문자로 인쇄되어 있는 금액단위(10)의 상, 하면에는 광고나 홍보하고자 하는 업체명이나 상호명(이하 상호명이라 함)(12)이 인쇄되어 있으며, 또한 숫자로 인쇄되어 있는 금액단위(10)에는 광고주의 전화번호(14)가 인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호명(12)에는 실제 지폐와 동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그 상호명(12)뒤에 "은행권" "은행" 등을 붙혀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명(12)이 인쇄된 곳에는 실제감을 살릴 수 있도록 광고주의직인(16)이 인쇄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name of the company or business n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usiness name) 12 to be advertised or promoted is printed on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above-described printed matter 50, preferably on the amount unit 10 printed in letters. In addition, the telephone number 14 of the advertiser is printed on the amount unit 10 which is printed as a number. The business name 12 is preferably used by attaching a "banknote", "bank", etc. behind the business name 12 so as to have a sense of identity with the actual bill. In addition, where the business name 12 is pri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 16 of the advertiser can be printed so as to make use of the realism.

한편, 상기한 인쇄물(50)의 일측면에는 그림(18)이 인쇄된다. 여기서 인쇄되는 그림(18)으로는 광고 및 홍보효과를 위하여 광고주의 건물이나 혹은 상품을 나타내는 그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이 외 광고주의 인물사진이나 혹은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들의 사진이나 혹은 미래에 통용화될 지폐에 사용할 그림을 미리 예측하여 인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관광지등에서는 그 지역의 주요명소나 혹은 직역 특산물을 나타내는 그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쇄물(50)에 인쇄되는 그림(18)은 이중 겹침 망사 기법을 통해 인쇄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종래 통상적인 인쇄방법을 통해 그림을 인쇄물에 인쇄시킬 경우 상기 그림이 가지는 선명함으로 인하여 인쇄물과 그림과의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이중 겹침 망사 기법이란 인쇄물(50)의 기본 배경색(50a)에 인쇄하고자 하는 그림(18)의 색감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선(18a)들을 망사 형상으로 촘촘히 배열하여 구성함으로서 그림(18)이 배경색(50a)에 투영될 수 있도록 하여 그럼(18)의 선명함을 줄이는 대신 주위 배경과 동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법은 일반적인 사진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간편히 나타낼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picture 18 is print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matter 50. The picture (18) to be printed here is preferably used to represent the building or product of the advertiser for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 but other portraits of the advertiser or photographs of historically famous people, or commonly used in the future A picture to be used for banknotes can be predicted and printed, and tourist attractions can use a picture representing a major attraction or a literary specialty of the area. Here, the figure 18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50 is preferably used by printing through a double layered mesh technique, which is a printout due to the sharpness of the figure when the figure is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by a conventional printing method. This is to prevent a feeling of difference between the painting and the painting. That is, the double layered mesh technique is constructed by closely arranging a plurality of lines 18a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image 18 to be printed on the basic background color 50a of the printed matter 50 in a mesh shape. This technique can be projected on the background color (50a) so that it feels homogeneous with the surrounding background instead of reducing the sharpness of (18). This technique can be easily expressed through a general photo editing program.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2는 본 고안인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물(50)의 배면에도 광고주의 건물, 상품, 인물, 혹은 관광명소나 특산물등을 나타내는 그림(18)과 금액단위(10)가 숫자로 인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인쇄되는 그림(18)역시 앞서 언급한 이중 겹침 망사 기법을 통해 인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그림(18)의 중앙부에도 별도의 상호명(12)을 인쇄시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2 shows the back of the printed matt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bill model.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a figure 18 and an amount of money unit 10 representing a building, a product, a person, a tourist attraction or a special product, etc. of an advertiser are also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printed matter 50.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rinted image 18 is also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double layered mesh technique. Finally, a separate business name 12 may also be printed on the center of the figure 18.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광고 및 홍보효과를 가지는 인쇄물을 지폐의 모형을 본 떠 제작하되, 상기 인쇄물에 상호명과 광고주 직인 및 전화번호 그리고 각종 그림을 인쇄시켜 구성하고 또한 상기 그림을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사진이나 혹은 관광명소 및 특산물을 나타낸 그림을 사용하여 수요자들이기념으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광고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printed matters having various advertisements and publicity effects based on the model of banknotes, and the printed name and advertiser's seal and telephone number and various pictures are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s, and also the historical figure is printed. By using portraits of famous people or pictures showing tourist attractions and specialties, they have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advertising and promotion by allowing them to be stored for a long time as a souvenir.

또한 상기한 그림을 이중 겹침 망사 인쇄기법으로 인쇄함으로서 실제 지폐와 같은 동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실제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inting the above picture by a double-ply mesh printing technique, it is possible to have a sense of homogeneity like a real banknote, thereby increasing the realism.

마지막으로 미래에 통용화될 수 있는 지폐의 모형을 미리 예측하여 제작함으로서 수요자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Finally, there is a synergistic effect that can induce curiosity for consumers by predicting and producing models of bills that can be accepted in the future.

Claims (2)

지폐의 모형을 이용하여 광고 및 홍보용으로 제작되는 통상의 인쇄물에 있어서,In a typical printed matter produced for advertising and promotion using a model of a bill, 상기 인쇄물에는 지폐의 금액단위와, 광고주의 상호명, 전화번호 및 광고주의 직인과, 광고 및 홍보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각종 그림이 포함되어 인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The printed matter is printed using a bill mode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printed, including the unit of money of the bill, the name of the advertiser,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seal of the advertiser, and a variety of pictures that can represent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은 이중 겹침 방사 인쇄기법을 이용하여 인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The printed matter using a bill mod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gure is printed by using a double-lapping radiation printing technique.
KR20-2004-0006029U 2004-03-03 2004-03-03 printed matter KR2003530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029U KR200353031Y1 (en) 2004-03-03 2004-03-03 printed m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029U KR200353031Y1 (en) 2004-03-03 2004-03-03 printed ma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031Y1 true KR200353031Y1 (en) 2004-06-14

Family

ID=4934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029U KR200353031Y1 (en) 2004-03-03 2004-03-03 printed ma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03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79072A1 (en) Collage-based, integrated advertising systems and methods of advertising
TW200534142A (en) Commodity sale system, printed sheet for commodity sale used for same, and its printing method
Jefkins International dictionary of marketing and communication
US5823575A (en) Advertising check
US8727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ndraising
KR200353031Y1 (en) printed matter
US20090076893A1 (en) Method for memorializing an individual&#39;s creative works
KR200405048Y1 (en) Image Ticket
Black Corporate calling cards: Advertising trade cards and logos in the United States, 1876–1890
Cleveland Curwen Press, early adapters of brand strategy
Elebute The Tradition of Marketing Nigeria Politicians through Visual Media
CN101783035A (en) Scratch-open lottery ticket with functions expanded and distributed sales array and devices thereof
Hamilton Visualizing critique: Montage as a practice of alternative media
Hewitt " The Poster" and the Poster in England in the 1890s
Hay Notes on Chinese photography and advertising in late nineteenth-century Shanghai
Chęć-Małyszek Photographic image in the commercial messaging as an immanent element of the city landscape
Lerner The French Profiled by Themselves: Social Typologies, Advertising Posters, and the Illustration of Consumer Lifestyles.
Benbow [un] seen
JP3103790U (en) receipt
Brown The Strand
KR200272579Y1 (en) Advertising card associated with contents coupon
Shaw et al. “Those Magic Initials, GBS”: Copywriting for the Irish Clipper
KR200322740Y1 (en) Multi ticket
Yadin MBA-550 International Dictionary of Marketing
Panajoti et al. Film Advertising in the Albanian Press before World War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