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676Y1 -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 Google Patents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676Y1
KR200351676Y1 KR20-2004-0004503U KR20040004503U KR200351676Y1 KR 200351676 Y1 KR200351676 Y1 KR 200351676Y1 KR 20040004503 U KR20040004503 U KR 20040004503U KR 200351676 Y1 KR200351676 Y1 KR 20035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gnet
mobile phone
interface
provided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5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금속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to KR20-2004-0004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67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67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을 손쉽게 하면서도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포함된 컨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mobile phone that allows easy connection between the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connector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and connects to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a connector including a connecting terminal, wherein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is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unit,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mobile phone, and around the connecting terminal,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to interface th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detachable means for attaching and connecting around the portion.

Description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Connector connection device of mobile phone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을 손쉽게 하면서도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onnec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connection device of the mobile phone to easily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while easily connecting the interface and the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일반적으로 휴대폰(portable telephone)이라 함은,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을 통해 일반 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는 전화를 말하는 것이다.In general, a portable telephone refers to a telephone that can randomly move i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and talk to a general subscriber or another mobile telephone through a base station.

이에 도 16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G부 확대도이며, 도 18은 종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휴대폰은, 키패드(101)가 포함되는 몸체(100)와 문자 등을 식별하는 액정부(200)로 구성되고, 아울러 상기 몸체(100)에는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PC등의 전자장비와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3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인터페이스부(300)의 내부에는 접속단자(3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on device for a conventional mobile phone, Figure 17 is an enlarged view of the G portion of Figure 16,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connector connection device,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he keypad 100 includes a body 100 and a liquid crystal unit 200 for identifying a character, and the like, and the body 100 can charge a battery and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PC. The interface unit 300 is provided, but the connection terminal 301 is provided inside the interface unit 300.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에 삽입되는 커넥터(400)는, 전원이 공급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케이블(401)과, 이 케이블(401)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에 연결되는 커넥터 몸체(402)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몸체(402)의 단부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의 접속단자(301)에 삽입되는 연결단자(40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The connector 400 inserted into the interface unit 300 includes a cable 401 for supplying power 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connector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401 and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300. It is composed of a body 402, the end of the connector body 402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403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terminal 301 of the interface unit 300.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300)의 홈부(302) 양측에는 관통공(30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몸체(402)의 양측에는 상기 관통공(303)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404)과 이 판 스프링(404)을 조작하는 분리버튼(40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holes 303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groove part 302 of the interface part 300, and plate springs 404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303 and the plate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or body 402. The release button 405 for operating the spring 404 is provided.

따라서, 상기한 커넥터(400)를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300)에 삽입 연결함으로서, 베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거나 휴대폰과 전자장비등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refore, by insert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or 400 to the interface unit 300 of the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power or to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electronic equipment.

그러나, 상기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의 홈부에 삽입함에 있어 분리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에 삽입해야 함으로서,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 번거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inserting the connector into the groove part of the interface part, the connector has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face part while pressing the release button, thereby having a troublesome problem in connecting the connector.

또한 상기 커넥터를 양측 분리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를 휴대폰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가 빈번함에 따라서, 커넥터에 포함되는 판스프링을 손상시킴으로서 케넥터 전체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is frequently detached from the mobile phone without pressing both side release butt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connector is disabled by damaging the leaf spring included in the connector.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에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 부착만을 통해 커넥터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mobile phone that enables the connector to be easily connected only by attaching the connector to the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또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urpose to maintain a firm connection between the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connector.

또 별도의 조작 없이 휴대폰과 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urpose to be able to easily remove the mobile phone and the connector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connecting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6;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connecting apparatus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D부 확대도.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of FIG. 9; FIG.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E부 확대도.1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of FIG. 11;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connecting apparatus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F부 확대도.1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F of FIG. 14;

도 16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일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one conventionally known embodiment.

도 17은 도 16의 G부 확대도.1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G of FIG. 16;

도 18은 종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connector connecting devi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휴대폰1: mobile phone

11 : 인터페이스부11: interface

111 : 접속단자111: connection terminal

2 : 커넥터2: Connector

21 : 연결단자21: Connection terminal

3 : 자석착탈수단3: magnet detachment means

31 : 자석부착 금속부31: metal part with magnet

311 : 띠 판311: strip plate

312 : 금속부재312: metal member

32 : 자석부32: magnet part

321 : 띠 자석321: Strap Magnet

322 : 자석부재322: magnet member

33 : 자석부33: magnet

331 : 띠 자석331: Strap Magnet

332 : 자석부재332: magnet member

34 : 자석부착 금속부34: metal part with magnet

341 : 띠 판341: strip

342 : 금속부재342: metal member

35 : 고정 자석부35: fixed magnet portion

351 : 띠 자석351: Strap Magnet

352 : 자석부재352: magnet member

36 : 부착 자석부36: attached magnet portion

361 : 띠 자석361: Strap Magnet

362 : 자석부재362: magnet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폰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포함된 컨넥터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를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 connector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the connector connection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detachable means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mobile phone, and around the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to attach and connect the connector to the periphery of the interface portion.

또한 상기 자석 착탈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gnet detachable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agnet attached metal portion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and a magnet portion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and attached to the magnet attached metal portion.

또 상기 자석 착탈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착 금속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gnet detachment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agnet portion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and a magnet-attached metal portion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and attached to the magnet portion.

또 상기 자석 착탈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면이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고정 자석부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자석부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상기 고정 자석부의 외면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된 부착 자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magnet detachable means may include a fixed magnet part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art and having one polarity and an outer surface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to be attached to the fixed magnet par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attachment magnet portion of the polarity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polarity of the magnet por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ure 1, Figure 3 shows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이에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장치는,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폰(1)의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2)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21)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2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1 to the interface unit 11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1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cluding the connector 2, which is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mobile phone 1 and around the connection terminal 21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And a magnet detachable means (3) for attach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or (2) around the interface (11).

그리고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1)와,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 detachable means 3 is provided with a magnet attaching metal portion 3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and a magnet attaching metal portion 31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magnet portion 32 to be attached.

아울러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판(31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32)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판(31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사각형상의 띠 자석(32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agnet-attached metal portion 31 is composed of a square strip plate 31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the magnet portion 32 is the square strip plate 31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ctangular strip magnet 321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3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portion 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the magnet portion 32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2 is the interface portion 11. By attaching to the magnetized metal part 31 provided around the connector 2, the connector 2 can be mutu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part 11.

즉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21)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판(31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t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the rectangular strip magnet 321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2 is the interface unit 11. By attaching to the rectangular strip plate 311 provided around the periphery, the connector 2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interface unit 11.

그리고 상기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연결함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와 커넥터(2)의 연결단자(21) 주위를 완전하게 상호 부착함으로서, 커넥터(2)가 휴대폰(1)에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폰(1)이 유동되더라도 커넥터(2)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nector 2 is completely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interface unit 1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connector 2. Even if the mobile phone 1 is flowed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will prevent the connector (2) can be easily separated.

또한 상기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연결함에 있어서 단순히 커넥터(2)를 휴대폰(1)의 인터페이스부(11)에 부착하는 과정으로만 커넥터(2)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커넥터(2)의 연결시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the connector 2 can be connected only by attach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of the mobile phone 1. In connection with (2), inconveniences can be eliminated.

또 상기 커넥터(2)를 휴대폰(1)에서 분리함에 있어서, 별도의 조작없이 커넥터를 잡아 빼는 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separating the connector 2 from the mobile phone 1, it can b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connector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휴대폰(1)의 인터페이스부(11) 주위에 형성된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1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커넥터(2)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자석부(32)는 상기 금속부재(31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of Figure 4, the mobile phone 1 constituting the magnet detachable means (3) The magnet-attached metal part 31 formed around the interface part 11 of the bottom part is comprised by the metal member 312 provided in the both sides of the periphery part 11, and comprises the said magnet detachment means 3. The magnet part 32 formed around the connector 2 is composed of a magnet member 322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mutually attached to the metal member 312. It is characterized by.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2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12)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용이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of the mobile phone 1, the magnet member 322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2 is the interface unit 11. By being attached to the metal member 312 provided around the connector 2, the connector 2 can be easily interconnected.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ure 6, Figure 8 shows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이에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장치는,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33)와,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33)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착 금속부(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2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1 to the interface unit 11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1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And a magnet detachment means (3) for interconnecting the connector (2) containing a), the magnet detachment means (3), the magnet portion 33 is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and And a magnet-attached metal part 34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and attached to the magnet part 33.

그리고 상기 자석부(33)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판(34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magnet part 33 is composed of a square strip magnet 33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art 11, and the magnet-attached metal part 34 is the square strip magnet 33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ctangular strip plate 341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판(341)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3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the rectangular strip plate 341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2 is provided with the interface unit ( By attaching to the rectangular strip magnet 331 provided around 11, the connector 2 can be firmly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1.

한편,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부 확대도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휴대폰(1)의 인터페이스부(11) 주위에 형성된 자석부(33)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32)로 구성되어 있고,상기 자석 착탈수단(3)을 구성하는 커넥터(2)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자석부재(33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금속부재(3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D of Figure 9, the mobile phone 1 constituting the magnet detachable means (3) Magnet portion 33 form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of the () is composed of a magnet member 3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terface portion 11, the connector constituting the magnet detachment means (3) The magnetized metal part 34 formed around the (2) is a metal member 342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mutually connected to the magnet member 332.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4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32)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용이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the metal member 342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2 is the interface unit 11. By being attached to the magnet member 332 provided around the connector 2, it is possible to easily interconnect with the interface portion (11).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1의 E부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E portion of Figure 11, Figure 13 shows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이에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연결장치는,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면이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고정 자석부(35)와,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자석부(35)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상기 고정 자석부(35)의 외면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된 부착 자석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2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1 to the interface unit 11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1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And a magnet detachment means (3) for interconnecting the connector (2) containing a), wherein the magnet detachment means (3) is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and the outer surface has one polarity And a polarity opposite to the outer polarity of the fixed magnet portion 35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magnet portion 35 a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can be attached to the fixed magnet portion 3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attachment magnet portion 36 made of.

그리고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자석(36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fixed magnet part 35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band magnet 35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art 11, and the attachment magnet part 36 is the rectangular band magnet 35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ctangular strip magnet 361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51)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띠 자석(361)에 부착됨으로서,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the rectangular strip magnet 351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2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 By attaching to the rectangular strip magnet 361 provided around 11, the connector 2 can be firmly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interface portion 11.

즉 커넥터(2)의 단부 주위에 띠 자석(351)을 구비하고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띠 자석(361)을 구비하여 각 띠 자석(351,361)이 상호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컨넥터의 연결힘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providing a strip magnet 351 around the end of the connector 2 and a strip magnet 361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so that each strip magnet 351,361 can b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the connector To maximize the connection force.

한편,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커넥터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4의 F부 확대도로서,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자석부재(36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F of Figure 14, the fixed magnet portion 35 is an interface portion 11 It is composed of a magnet member 35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the attachment magnet portion 36 is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attached to each other attached to the magnet member (36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agnet member 362.

따라서, 상기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11)에 커넥터(2)를 연결하는 순간에는, 상기 커넥터(2)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52)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62)에 부착됨으로서,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에 견고하게 부착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t the moment of connecting the connector 2 to the interface unit 11 of the mobile phone 1, the magnet member 352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or 2 is the interface unit 11. By being attached to the magnet member 362 provided around the connector, the connector 2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interface unit 11.

즉 커넥터(2)의 단부 주위에 띠 자석(352)을 구비하고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띠 자석(362)을 구비하여 각 띠 자석(351,361)이 상호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컨넥터(2)의 연결힘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strip magnet 352 is provided around the end of the connector 2 and a strip magnet 362 is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unit 11 so that the strip magnets 351 and 361 can b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It is to maximize the connecting force of 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에 커넥터를 연결함에 있어 부착만을 통해 커넥터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좀더 간편한 휴대폰의 커넥터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onnector connecting device of a mobile phone which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by only attaching the connector to the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또한 휴대폰의 인터페이스부와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서,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폰이 유동될 경우에도 컨넥터가 휴대폰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bile phone interface and the connector firmly, there is also an effec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necto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even when the mobile phone flows while the connector is connected.

또 별도의 조작없이 휴대폰에서 커넥터를 빼내는 과정을 통해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커넥터의 분리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connector by removing the connector from the mobile phon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when disconnecting the connecto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10)

휴대폰(1)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단자(111)가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1)에 상기 접속단자(111)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1)가 포함된 컨넥터(2)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 연결장치에 있어서,Connector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2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2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1 to the interface unit 11 including the connection terminal 111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1) To 상기 커넥터 연결장치는,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상기 휴대폰(1)의 후방 단부인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와 상기 케넥터(2)의 전방 단부인 연결단자(21)의 주위에 구비되어 커넥터(2)를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부착 연결시키는 자석 착탈수단(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It is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which is the rear end of the mobile phone 1, and around the connecting terminal 21,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that the connector 2 is plac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Connector connec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ic attachment means (3) for attaching and connec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 detachment means (3),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착 금속부(31)와,A magnet part metal part 3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art 11; 상기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And a magnet part (32)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and attached to the magnet attachment metal part (3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판(31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32)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판(31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사각형상의 띠 자석(32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3. The magnet-attached metal portion 31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band plate 31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and the magnet portion 32 is formed in the rectangular shape. A connector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ctangular strip magnet (321)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mutually connected to the strip plate (3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1)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금속부재(31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32)는 상기 금속부재(31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자석부재(3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3. The metal member 31 of claim 2, wherein the metal part 31 with magnets is composed of metal members 3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ripheral portion 11, and the magnet part 32 is the metal member 312. The connector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agnet member (322)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to be attach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 detachment means (3),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33)와,A magnet portion 33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부(33)에 상호 부착되는 자석부착 금속부(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The connector connecting device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is composed of a magnet-attached metal portion (34)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magnet portion (3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33)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3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판(34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6. The magnet portion 33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band magnet 33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ortion 11, and the magnet-attached metal portion 34 has a rectangular shape. A connector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ctangular strip plate (341)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mutually attached to the strip magnet (33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33)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3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착 금속부(34)는 상기 자석부재(33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금속부재(3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6. The magnet part (33)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agnet part (33) is composed of magnet members (33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ripheral part (11). And a metal member 34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착탈수단(3)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 detachment means (3), 상기 인터페이스부(11)의 주위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면이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고정 자석부(35)와,A fixed magnet part 35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art 11 and having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자석부(35)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외면이 상기 고정 자석부(35)의 외면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된 부착 자석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to be attached to the fixed magnet portion 35 to the attachment magnet portion 36 whose polarity is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polarity of the fixed magnet portion 35. Connector connector for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터페이스부(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사각 형상의 띠 자석(351)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에 구비된 사각형상의 띠 자석(36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The fixed magnet part 35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band magnet 351 provided around the interface part 11, and the attachment magnet part 36 has a rectangular shape. A connector connector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ctangular strip magnet (361) provid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mutually attached to the strip magnet (35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석부(35)는 인티페이스부(11)의 둘레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석부재(3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자석부(36)는 상기 자석부재(362)에 상호 부착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2)의 전방 단부 주위의 양측에 구비되어 되어 있는 자석부재(3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커넥터 연결장치.The fixed magnet part 35 is composed of a magnet member 35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eripheral portion 11, and the attachment magnet part 36 is the magnet member 362. And a magnet member 36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KR20-2004-0004503U 2004-02-20 2004-02-20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KR20035167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03U KR200351676Y1 (en) 2004-02-20 2004-02-20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03U KR200351676Y1 (en) 2004-02-20 2004-02-20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676Y1 true KR200351676Y1 (en) 2004-06-09

Family

ID=4934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503U KR200351676Y1 (en) 2004-02-20 2004-02-20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676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99B1 (en) 2005-01-22 2007-07-09 (주)대한특수금속 Non-insertion and contact type interface
WO2011136498A2 (en) * 2010-04-29 2011-11-03 아이볼타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terminal connection device including same
KR101239215B1 (en) 2012-08-30 2013-03-05 (주)파트론 Magnetic connector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399B1 (en) 2005-01-22 2007-07-09 (주)대한특수금속 Non-insertion and contact type interface
WO2011136498A2 (en) * 2010-04-29 2011-11-03 아이볼타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terminal connection device including same
WO2011136498A3 (en) * 2010-04-29 2012-03-01 아이볼타 Terminal connection module and terminal connection device including same
KR101239215B1 (en) 2012-08-30 2013-03-05 (주)파트론 Magnetic connector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016B1 (en) Wireless headset apparatus
KR100736399B1 (en) Non-insertion and contact type interface
KR20050056027A (en) Separable mobile phone for display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668461B1 (en) A Device for interface of an electronic equipment
KR200351676Y1 (en) A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ortable telephone
KR100772985B1 (en) Earphone set of cellular phone or portable audio
KR100677336B1 (en) Joint structure of receptacle and charge connector
JP3220340U (en) Case-type charging module for mobile devices
CN201601805U (en) Detachable microphone earphone module and phone watch provided therewith
KR101429277B1 (en) Portable typ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 cover
KR200382247Y1 (en) Non-insertion and contact type connector using magn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ng thereof and cellular phone charger
CN204103200U (en) Equipment supporter and Docking station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KR20130054665A (en) Case with hing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94602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97433Y1 (en) Ultra slim type deferment device
KR200235210Y1 (en) Magnetic jack
KR20030034821A (en)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for mobile phone
CN220797354U (en) Data line module and docking station
KR200287418Y1 (en) Removable hands fee using a mounting member
JP3494975B2 (en) Plug cap
KR100639338B1 (en) Apparatus of DC jack and DC charging terminal for mobile station
KR100698321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233598A1 (en) Holding device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means
KR100313146B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0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