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087Y1 - 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087Y1
KR200347087Y1 KR20-2003-0039363U KR20030039363U KR200347087Y1 KR 200347087 Y1 KR200347087 Y1 KR 200347087Y1 KR 20030039363 U KR20030039363 U KR 20030039363U KR 200347087 Y1 KR200347087 Y1 KR 200347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ining amount
vending machine
unit
storage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3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서
Original Assignee
김영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서 filed Critical 김영서
Priority to KR20-2003-0039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0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087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 내부에 비치되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물품의 현황을 종류별로 체크하여 자동판매기 전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한편 관리자의 PC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물품의 재고량 및 판매량을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각 분말의 잔량, 식수의 잔량, 컵의 잔량,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자동판매기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메뉴선택버튼부; 각 분말통 하부면에 설치되어 각 분말통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무게감지부; 식수통에 있는 물의 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수량감지부; 상기 메뉴선택버튼이 선택된 경우 누적된 컵의 잔량 또는 누적된 음료캔의 잔량으로부터 1씩 감산하여 상기 저장부의 컵의 잔량 데이터 또는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분말통의 무게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분말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의 해당 분말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수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식수의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의 식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물품의 잔량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메뉴선택버튼부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동작과 매칭되어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각 물품의 잔량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량 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vending machine to check the status of the goods provided to the buyer by type to b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vending machine and sent to the administrator's PC or portable terminal so that you can quickly know the stock and sales of the goods A vending machine having an article status checking function for storing a powder, a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a remaining amount of a cup, and a remaining amount of a beverage can in a vending machine, wherein the vending machine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guide message for guiding an operation; A plurality of menu selection button unit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n item to purchase; A weight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powder container to measure and output the weight of each powder container; A quantity detector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amount of water in the pot; When the menu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ccumulated cup or the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cans is subtracted by one to update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cup of the storage unit or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beverage cans and to be outputted on the scre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owder is calculated by using the weight data of the powder container input from the branch, and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powder of the storage unit is updated with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water level input from the quantity detecting unit The terminal calcul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using the data, upd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data of the storage unit with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and controls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each item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be periodically displayed in advance. Control the user to select a predetermined button on the menu selection button.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output the read guide message matched with the operation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selection is performe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article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speaker for outputting a guide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maining amou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 terminal of the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Description

자동판매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본 고안은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 내부에 비치되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물품의 현황을 종류별로 체크하여 자동판매기 전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한편 관리자의 PC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물품의 재고량 및 판매량을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자동판매기는 음료, 커피, 생활용품, 패스트푸드(Fast Food), 신문은 물론, 맞춤형 CD(Compact Disk)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물품을 무인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having an item status checking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type of the item is provid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and checked by the type of the item to b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vending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having a product status check function to be quickly transmitted to a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inventories and sales of the goods can be quickly known. The vending machine is a beverage, coffee, household goods, fast food, newspapers, It is a device that enables the unmanned sale of many items, including customized CDs (Compact Disk).

자동판매기는 흔히 알 수 있듯이 상측에는 상품진열을 위한 진열창,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선택버튼은 "품절" 이라는 안내문구를 출력하는 창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Vending machines, as is commonly known, the upper side is provided with a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product,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the product. At this time, the select button also includes a window function for outputting a message "out of stock".

그 하측에는 지폐투입구와 동전투입구가 구비되며, 지폐 및 동전 반환을 위한 반환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품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잔돈 반환을 위한 반환구가 설치되어 있다.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banknote input port and a coin input port, and a return lever for returning banknotes and coins is provided. In addition, an outlet for discharging goods and a return hole for returning the change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자동판매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곳에 설치되어 있는 관리자가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이상발생시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며, 판매될 물품 및 잔돈을 보충하고, 판매액을 환수하는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관리자의 경험에만 의존하는 습관적인 자동판매기 관리는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지기 어려웠다.Vending machines such as the above are usually visited regularly by managers who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to check the operation status, take ac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replenish the goods and change to be sold, and collect the sales amount, etc. Perform maintenance work. However, customary vending machine management, which relies only on the manager's experience, was difficult to achieve in a timely manner.

특히, 자동판매기는 그 특성상 한 곳에 집중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에 갑작스런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용자의 제보가 아니면 신속하게 대응을 할 수가 없어서 매출증대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자동판매기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 또한 그 보유하고 있는 량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 자동판매기 전면에 구비된 작은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품절이라는 안내문구만 출력되므로, 관리자는 물품을 보충해주는 시기가 아니면 품절된 물품을 보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vending machine is not centrally installed in one pla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effectively because it is distributed in various regions.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sudden breakdown in the vending machine, it was impossible to respond promptly without the user's report, so the sales could not be expected, and the goods sold by the vending machine also fell. Since only a message saying out of stock is output through a small display window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vending machine, the manag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plenish the sold item unless it is time to replenish the item.

또한, 관리자가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보지 않는 이상 판매될 물량의 재고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늘상 자동판매기의 문을 열어 확인한 후 채워 넣거나, 예측 가능한 일일 판매량을 이용하여 재고량을 미루어 짐작하기 때문에 그 재고량이 떨어지는 시점을 쉽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unless the manager sees the inside of the vending machine,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quantity of stock to be sold, so always open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to check it, fill it up, or postpone the inventory by using the predictable daily sales volum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know when to fall.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판매기 내부에 비치되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물품의 현황을 종류별로 체크하여 자동판매기 전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한편 관리자의 PC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물품의 재고량 및 판매량을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displayed in the front of the vending machine by checking the status of the goods provided to the buyer by the type provided in the vending machine It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having a product status check function to be quickly sent to a PC 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oduct so that you can quickly know the stock and sales of the goods.

도 1은 본 고안인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having the present inventors article checking function;

도 2는 도1에 적용된 자동판매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자동판매기 10 : 제어부20 : 메뉴선택 버튼부 30 : 무게감지부40 : 수위감지부 50 : 저장부60 : 디스플레이부 70 : 통신제어부80 : 스피커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nding machine applied to Figure 1. *** *** Explana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Vending machine 10: control unit 20: menu selection button unit 30: weight sensing unit 40: water level Detection unit 50: storage unit 60: display unit 70: communication control unit 80: speak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각 분말의 잔량, 식수의 잔량, 컵의 잔량,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자동판매기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메뉴선택버튼부; 각 분말통 하부면에 설치되어 각 분말통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무게감지부; 식수통에 있는 물의 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수량감지부; 상기 메뉴선택버튼이 선택된 경우 누적된 컵의 잔량 또는 누적된 음료캔의 잔량으로부터 1씩 감산하여 상기 저장부의 컵의 잔량 데이터 또는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분말통의 무게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분말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의 해당 분말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수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식수의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의 식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물품의 잔량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메뉴선택버튼부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동작과 매칭되어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각 물품의 잔량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량 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제어부를 포함한다.또한, 상기 통신제어부는 인터넷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카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ending machine,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powder,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up,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verage can data, the vending machine is a predetermined operation A storage unit storing a guide message for guiding an operation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A plurality of menu selection button unit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n item to purchase; A weight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powder container to measure and output the weight of each powder container; A quantity detector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amount of water in the pot; When the menu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ccumulated cup or the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cans is subtracted by one to update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cup of the storage unit or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beverage cans and to be outputted on the scre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owder is calculated by using the weight data of the powder container input from the branch, and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powder of the storage unit is updated with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water level input from the quantity detecting unit The terminal calcul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using the data, upd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data of the storage unit with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and controls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each item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be periodically displayed in advance. Control the user to select a predetermined button on the menu selection button.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output the read guide message matched with the operation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selection is performe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article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speaker for outputting a guide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remaining amou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 terminal of an administrator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one of a communication card supporting internet communication or a communication card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또한,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도어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열릴 경우 도어강제 열림신호를 출력하는 도어열림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도어열림 감지부의 도어강제 열림신호에 응하여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의 경보제어신호에 응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door open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door forced open signal when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s forcibly opened by physical force, the control unit is an alarm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door forced open signal of the door open detec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outpu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in response to the alarm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수량감지부는 상기 식수통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가 감소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quantity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at the water level is reduced.

또한, 상기 수량감지부는 상기 식수통의 외부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수위가 감소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quantity detection unit is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utside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at the water level is reduced.

또한, 상기 수량감지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quantity detec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ensor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인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1에 적용된 자동판매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vending machine having a product status check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nding machine applied to FIG.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100)는 제어부(10), 메뉴선택 버튼부(20), 무게감지부(30), 수량감지부(40), 저장부(50), 디스플레이부(60), 통신제어부(70), 스피커(80)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기타 구성은 일반 자동 판매기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 and 2, the vending machin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menu selection button unit 20, a weight sensing unit 30, a quantity detecting unit 40, and a storage unit 50. , A display unit 60,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70, and a speaker 80.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a general vending machine,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제어부(10)는 상기 메뉴선택버튼부(20)의 소정 버튼이 선택된 경우 누적된 컵의 잔량 또는 누적된 음료캔의 잔량으로부터 1씩 감산하여 상기 저장부(50)의 컵의 잔량 데이터 또는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게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분말통의 무게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분말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50)의 해당 분말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량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수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수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식수의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50)의 식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저장부(50)에 저장된 각 물품의 잔량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메뉴선택버튼부(20)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동작과 매칭되어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저장부(50)로부터 읽어들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도어열림 감지부(95)의 도어강제 열림신호에 응하여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predetermined button of the menu selection button unit 20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0 subtracts one from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ccumulated cup o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verage can by accumulating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cup of the storage unit 50 or the beverage ca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ata is updated and controlled to be output on the scre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owder is calculated using the weight data of the powder container in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30, and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the storage unit 50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powder is updated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is calculated by using the water level data input from the quantity detecting unit 40, and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is used to calculate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While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data is updated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each item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is controlled to b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a preset terminal. It said controls to the user and the output read from said guidance message is stored in the matching with the operation storage unit 50, if you select the predetermined button of the menu selection button section 20. The control unit 10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door forced open signal of the door open detection unit 95.

메뉴선택 버튼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소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여 해당 물품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The menu selection button unit 2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button so that a user can select and purchase a desired item, and when a predetermined butt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0 detects this so that the corresponding item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ake control of the entire system.

무게감지부(30)는 각 분말통 하부면에 설치되어 각 분말통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즉 무게감지부(30)는 전자저울로서, 각 분말통 하부면 내측으로 함몰부를 형성하여 상기 함몰부에 전자저울을 위치시켜 상기 전자저울 상부에 분말통이 놓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전자저울은 분말통에 있는 분말이 감소하는 경우 분말통의 무게는 점점 가벼워지게 되고, 이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게 된다.The weight sensing unit 3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powder container and measures and outputs the weight of each powder container. That is, the weight sensing unit 30 is an electronic balance, and the depressions are formed inside the lower surface of each powder barrel to place the electronic balance on the depression so that the powder barrel can be placed on the electronic balance. Therefore, when the powder in the electronic balance decreases, the weight of the powder container becomes lighter, and the weight is measured and outputted to the controller 10.

수량감지부(40)는 식수통에 있는 물의 량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즉 수량감지부(40)는 상기 식수통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가 감소되는 것을 측정하는 내부센서 또는 상기 식수통의 외부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수위가 감소되는 것을 측정하는 부위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부위 센서는 대표적으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라 할 수 있으나 이와 유사한 동작으로 식수통의 물의 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The quantity detecting unit 40 measures and outputs the amount of water in the drinking water bottle. That is, the water quantity detecting unit 4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nal sensor installed inside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to measure that the water level is reduced, or a site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outside portion of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to measure the water level being reduced. At this time, the area sensor may be referred to as an optical sensor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but can be applied to any one that can measure the amount of water in the drinking water by a similar operation.

저장부(50)는 각 분말의 잔량, 식수의 잔량, 컵의 잔량,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자동판매기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The storage unit 50 stores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powder,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up,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verage can, and stores a guide message for guiding the operation when the vending machine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디스플레이부(6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응하여 각 물품의 잔량을 화면상에 표시한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unit 60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article on the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통신제어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량 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즉, 통신제어부(70)는 인터넷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카드 중 하나 또는 모두 적용시켜 원하는 단말기로 그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스피커(8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응하여 자동판매기의 동작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70 transmits the remaining amou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terminal of the manag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hat is,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70 applies one or both of a communication card that supports Internet communication or a communication card that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result can be transmitted to a desired terminal. The speaker 80 controls the controller 10. The operation guidance message of the vending machine is output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도어열림 감지부(95)는 자동판매기의 도어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열릴 경우 도어강제 열림신호를 출력한다.경보부(90)는 제어부(10)의 경보제어신호에 응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The door open detection unit 95 outputs a door forced open signal when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s forcibly opened by physical force. The alarm unit 90 generates an alarm sound in response to the alarm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0. .

첨부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판매기(100)가 데이터 통신망(200)을 통해 단말기(300)로 연결됨을 알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으로서, 단말기(300)는 PC, 노트북과 같은 단말기(300) 또는 휴대용 단말기(300) 등을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that the vending machine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terminal 300 is a terminal 300 such as a PC or a laptop. Or the portable terminal 300 or the like.

즉, 자동판매기(100)에 의해 생성된 물품 현황정보(각 물품의 잔량정보 및 판매정보)가 데이터 통신망(200)을 통해 PC, 노트북과 같은 단말기(300)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자신의 자동판매기(100)의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at is, the product status information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sales information of each product) generated by the vending machine 1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such as a PC or a notebook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200, so that the administrat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nding machine 100 can be monitored.

또한, 상기 물품 현황정보는 데이터 통신망(20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300)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이동중에도 자신의 자동판매기(100)의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m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200 may monit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own vending machine 100 while the administrator is mov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having the item status check fun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지폐투입구 또는 동전투입구를 통해 물품 구매대금을 집어넣은 후 메뉴선택 버튼부(20)의 소정 버튼을 누를 경우, 제어부(10)는 눌려진 버튼이 어떤 물품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물품이 물품 투입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는 자동판매기(100)의 동작은 일반적인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이때 제어부(10)는 해당 물품이 컵을 이용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저장부(50)에 저장된 컵의 개수로부터 1을 차감시켜 컵의 잔량을 갱신하고, 만약 해당 물품이 캔인 경우 저장부(50)에 저장된 캔의 개수로부터 1을 차감시켜 캔의 잔량을 갱신시킨다.First, when a user inserts an item purchase price through a banknote inserter or a coin inserter and presses a predetermined button of the menu selection button unit 20,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pressed button was a button for selecting an article. The entire system is controlled so that the goods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goods inlet.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is the same as in the general case, and thus the control unit 10 will be omit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 stores the cup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when the article is to be provided using the cup.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up is updated by subtracting 1 from the number of, and if the item is a ca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an is updated by subtracting 1 from the number of cans stored in the storage 50.

한편, 컵에 의해 물품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밀크커피버튼을 선택한 경우 컵이 물품 배출구를 통해 위치하고, 커피와 프림과 설탕이 공급된 후 온수가 공급되도록 제어부(10)가 자동판매기(100)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자동판매기(100)가 소정 동작을 수행할 때 해당 안내 메시지를 저장부(50)로부터 읽어들여 스피커(80)를 통해 출력해 사용자가 현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밀크커피를 선택하셨습니다", "온수가 나오고 있습니다", "완료되었으니, 맛있게 드세요" 등등 사용자들이 지루하지 않게 물품을 기다리지 않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rticle is to be provided by the cup, 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the milk coffee button, the cup is located through the outlet, the control unit 10 is a vending machine so that hot water is supplied after the coffee, prim and sugar is supplied Control the entire system of 100. In this case, when the vending machine 100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control unit 10 reads the corresponding guide message from the storage unit 50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80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current situation. For example, "Choose milk coffee", "Hot water is coming out", "You're done, enjoy your meal" and so on.

상기와 같은 동작이 종료되면 커피분말통, 프림분말통, 설탕분말통이 공급된 분말량만큼 그 무게가 감소하게 되고, 이 분말통의 무게는 각 분말통 하부면에 구비된 무게감지부(30)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10)로 출력된다. 또한 식수통의 물도 공급된 만큼 감소되고, 남은 물의 량은 수량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10)로 출력된다.When the above operation is finished, the weight of the coffee powder container, the prim powder container, the sugar powder container is reduced by the amount of powder supplied, and the weight of the powder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weight sensing unit 3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powder container. It is measured by and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10. In addition, the amount of water in the drinking water tank is also reduced, and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s detected by the water quantity detecting unit 40 and output to the controller 10.

그러면 제어부(10)는 무게감지부(30)로부터 입력된 각 분말통의 무게값을 입력받아 각 분말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분말의 잔량으로 저장부(50)에 저장된 각 분말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수위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수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수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식수의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50)의 식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킨다.Then,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weight value of each powder container input from the weight sensing unit 30, calculates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powder, and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each powd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as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each powder. Update The controller 10 calcul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using the water level data input from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40, and upd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data of the storage unit 50 with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또한,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부(60) 화면을 통해 각 물품의 현재 잔량이 구체적으로 표시되어 관리자가 자동판매기(100)의 내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현재 상황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current remaining amount of each item in detail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6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without checking the inside of the vending machine 100.

또한,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자동판매기(100)의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 도어열림 감지부(95)는 이를 감지하여 도어강제 열림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제어부(10)는 도어열림 감지부(95)의 도어강제 열림신호에 응하여 경보부(90)로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경보부(90)는 제어부(10)의 경보제어신호에 응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물론, 경보등을 더 구비시켜 경보음과 함께 경보등을 점멸시켜 보안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cibly opening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100 by physical force from the outside, the door open detection unit 95 detects this and outputs the door forced ope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10. )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to the alarm unit 90 in response to the door forced open signal of the door open detection unit 95, and the alarm unit 90 generates an alarm sound in response to the alarm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urther maximize the effect of the security by having an alarm light flashing the alarm light with the alarm sound.

마지막으로 제어부(1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각 물품들의 잔량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데이터 통신망(200)을 통해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품들의 잔량 데이터 전송시기는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들에 의해 많이 이용되는 자동판매기(100)는 오전, 오후에 한번씩,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전 또는 오후 중 어느 한번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틀에 한번씩 등, 관리자가 자동판매기(100)를 통해 판매되는 물품의 량에 따라 전송시기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망(100)은 인터넷, 인프라, 왑,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할 것이다.Finally, the controller 10 periodically transmits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each item stored in the storage 50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20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know from a remote location. The remaining data transmission timing of the articles can be set arbitrarily by the administrator. That is, the vending machine 100 frequently used by the users is once in the morning or afternoon, otherwise, only once in the morning or afternoon, otherwise every two days, such as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vending machine 100. The transmission time can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goods sold. Here,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0 will include all the Internet, infrastructure, swap,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이때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나 셀룰라폰, PCS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 물품의 잔량 데이터를 전송할 때 자동판매기(100)의 식별정보와 함께 발송하여 관리자가 어느 자동판매기(100)의 물품 잔량 데이터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remaining data of the article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PC or a notebook, or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 PDA, etc., the product is sent along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nding machine 10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store the article of any vending machine 100. Make sure you know if the data is remaining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 내부에 비치되어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물품의 현황을 종류별로 체크하여 자동판매기 전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자동판매기의 문을 열어 내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물품의 재고량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고안은 체크된 물품의 재고량을 관리자의 PC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원격지에서도 자동판매기의 물품 재고량 및 판매량을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status of the goods provided to the buyers by type and displays them on the front of the vending machine so that the manager can check the stocks of the goods at a glance without opening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managed by sending the inventory of checked items to the administrator's PC or a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quickly know the inventory and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from a remote loc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자동판매기에 있어서,In the vending machine, 각 분말의 잔량, 식수의 잔량, 컵의 잔량,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자동판매기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remaining amount of each powder,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remaining amount of cup,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can, and stores a guidance message for guiding the operation when the vending machine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사용자가 구매할 물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메뉴선택버튼부;A plurality of menu selection button unit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n item to purchase; 각 분말통 하부면에 설치되어 각 분말통의 무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무게감지부;A weight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powder container to measure and output the weight of each powder container; 식수통에 있는 물의 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수량감지부;A quantity detector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amount of water in the pot; 상기 메뉴선택버튼이 선택된 경우 누적된 컵의 잔량 또는 누적된 음료캔의 잔량으로부터 1씩 감산하여 상기 저장부의 컵의 잔량 데이터 또는 음료캔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게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분말통의 무게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분말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의 해당 분말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량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수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수의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식수의 잔량으로 상기 저장부의 식수 잔량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물품의 잔량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가 메뉴선택버튼부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동작과 매칭되어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들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When the menu selection button is select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accumulated cup or the remaining amount of beverage cans is subtracted by one to update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cup of the storage unit or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beverage cans and to be outputted on the scre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owder is calculated by using the weight data of the powder container input from the branch, and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the powder of the storage unit is updated with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water level input from the quantity detecting unit The terminal calcul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using the data, updates the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data of the storage unit with the calculated remaining amount of drinking water, and controls the remaining amount data of each item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be periodically displayed in advance. Control the user to select a predetermined button on the menu selection button.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output the read guide message matched with the operation from the storage unit when the selection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각 물품의 잔량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article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A speaker for outputting a guide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량 데이터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제어부,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remaining amount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a terminal of an administrator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를 포함하는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having a goods status check function includ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인터넷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카드 또는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카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A vending machine having an item status checking function, which is one of a communication card supporting internet communication or a communication card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자동판매기의 도어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적으로 열릴 경우 도어강제 열림신호를 출력하는 도어열림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When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s forcibly opened by physical force, the door further includes a door open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door forced open signal. 상기 제어부는 도어열림 감지부의 도어강제 열림신호에 응하여 경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The control unit outputs an alarm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door forced open signal of the door open detection unit. 상기 제어부의 경보제어신호에 응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And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in response to an alarm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감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antity detecting unit, 상기 식수통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가 감소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Is installed inside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vending machine having a product status check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vel is reduced to measu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감지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quantity detecting unit, 상기 식수통의 외부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수위가 감소되는 것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The vending machine having a product status check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vel is reduced to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external portion of the drinking water contai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감지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quantity detecting unit,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현황 체크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A vending machine having an item status check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ensor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KR20-2003-0039363U 2003-12-18 2003-12-18 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KR2003470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363U KR200347087Y1 (en) 2003-12-18 2003-12-18 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363U KR200347087Y1 (en) 2003-12-18 2003-12-18 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087Y1 true KR200347087Y1 (en) 2004-04-09

Family

ID=4942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363U KR200347087Y1 (en) 2003-12-18 2003-12-18 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087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51B1 (en) * 2018-08-21 2020-02-20 롯데알미늄(주) A grill station and patty cooking system
KR102079649B1 (en) * 2018-08-21 2020-04-07 롯데알미늄(주) A fry station and automatic fry system
KR20220106469A (en) * 2021-01-22 2022-07-29 하나시스 주식회사 A vending machine that can check the material of a drink in real time
KR20230041511A (en)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콘 Products Vending Machine Apparatus
KR102524616B1 (en) * 2022-12-05 2023-04-21 이희찬 Drinking water vending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651B1 (en) * 2018-08-21 2020-02-20 롯데알미늄(주) A grill station and patty cooking system
KR102079649B1 (en) * 2018-08-21 2020-04-07 롯데알미늄(주) A fry station and automatic fry system
KR20220106469A (en) * 2021-01-22 2022-07-29 하나시스 주식회사 A vending machine that can check the material of a drink in real time
KR102465823B1 (en) 2021-01-22 2022-11-10 하나시스 주식회사 A vending machine that can check the material of a drink in real time
KR20230041511A (en)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콘 Products Vending Machine Apparatus
KR102524616B1 (en) * 2022-12-05 2023-04-21 이희찬 Drinking water vend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4555B (en) Automatic ven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163293B2 (en) Networked vendor for workplace or controlled environment
US7340414B2 (en) Refrigerator having automatic food ordering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702302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Using Ultrasonic Waves
GB2452165A (en) Stock monitoring
CN208172900U (en) A kind of intelligence sales counter
KR200347087Y1 (en) A vending machi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EP0915325B1 (en) A method for replenishing containers in a storage rack
WO2005024737A1 (en) Commodity sales management system and commodity sales management method
EP2045785A2 (en) Fresh menu dispensing machine
EP3314587A1 (en) Distribution system
JPH11201623A (en) Refrigerator with inventory controlling function
KR20150124015A (en) Apparatus for remote managing and analyzing sales information of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thereof
JP4136456B2 (en) Vending machin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6912448B2 (en)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for bulk-vending machines utiliz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KR20100100016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checking number of can
US99535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bulk products
JP3059765B2 (en) Vend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KR100409005B1 (en) Food Sensor of Refrigerator
AU2013100416A4 (en) Stock location system
KR20020014351A (en) 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meachine
KR20020001125A (en) Control System for Slot Machine to Guest Room
WO2017091184A1 (en) Method for automated receiving and processing inventory level data on at least one item type at sales outlets
JP4140216B2 (en) Vending machine control device
KR101416018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tolen product in vend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