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944Y1 - Security tape - Google Patents

Security t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944Y1
KR200344944Y1 KR20-2003-0031602U KR20030031602U KR200344944Y1 KR 200344944 Y1 KR200344944 Y1 KR 200344944Y1 KR 20030031602 U KR20030031602 U KR 20030031602U KR 200344944 Y1 KR200344944 Y1 KR 200344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ating layer
support film
tape
releas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6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경점
Original Assignee
권경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점 filed Critical 권경점
Priority to KR20-2003-0031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94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944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7Multilayer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인으로 사용되어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류봉투, 고가 제품의 포장박스, 의약품상자 등이 수취인에게 전달되기 전에 다른 사람에 의해 먼저 개방되었는 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된 테이프를 떼어낼 때, 투명한 지지필름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인쇄된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안료 코팅층(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됨으로써 개봉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that can be used as a seal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be opened, and more specifically, a paper bag, an expensive product box, a medicine box, etc., was first opened by another person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recipient. To make it easier to check whether the sealed tape is remove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support film is separated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or aluminum deposition layer) is irreparably destroy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opened or no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for checking whether it is easily opened.

본 고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소정 두께의 투명한 지지필름과; 상기 지지필름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점착되어 소정의 문자 또는 무늬를 표현하는 부분 이형제층과; 상기 지지필름과 부분 이형제층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코팅되어 상기 문자 또는 무늬의 배경을 형성하는 안료 코팅층과; 상기 안료 코팅층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도포되고 상기 지지필름과 부분 이형제층 및 상기 지지필름과 안료 코팅층의 점착강도 보다 강한 점착강도를 갖는 소정 두께의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서류봉투 및 포장상자 등에 붙였다가 떼어내게 되면 상기 투명 지지필름의 배면의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안료 코팅층이 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pening confirmation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parent support film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to express a predetermined character or pattern; A pigment coating layer co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to form a background of the letter or pattern; It is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and consists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having a strong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support film an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support film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and then attached to a briefcase or packing box When peeled off,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support film is separated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rreparably destroyed.

Description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Security tape}Opening check tape {Security tape}

본 고안은 봉인으로 사용되어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류봉투, 고가 제품의 포장박스, 의약품상자 등이 수취인에게 전달되기 전에 다른 사람에 의해 먼저 개방되었는 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봉인된 테이프를 떼어낼 때, 투명필름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인쇄된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안료 코팅층(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됨으로써 개봉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that can be used as a seal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be opened, and more specifically, a paper bag, an expensive product box, a medicine box, etc., was first opened by another person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recipient. In order to easily check whether the sealed tape is remove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or aluminum deposition layer) is irreparably destroyed so that it can be easily ope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for checking whether or not it is open.

일반적으로 서류봉투, 고가 제품의 포장박스 및 의약품상자 등은 유통과정에서 타인에 의해 먼저 개봉되어 비밀누설, 도난 및 이물질 투입 등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물품이 수취인에게 전달되기 전에 타인에 의해 개봉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보호장치가 요구되고 있다.In general, paper bags, expensive product packaging boxes, and medicine boxes are first opened by other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there are risks such as secret leakage, theft, and foreign substances. Therefore, to protect against these risks, there is a need for a protective device that can confirm whether an item has been opened by another person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addressee.

이러한 보호장치의 하나로서, 봉투나 상자를 밀봉함과 아울러 떼어낼 때 찢어지거나 변색되는 형식의 다양한 개봉 확인용 테이프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89-9269호에 개시된 개봉 여부 확인 테이프는 떼어낼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불투명하게 변하는 가압-불투명성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형상의 이면부 한 면에 봉인이 이미 개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개봉(opened)"이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이면부 반대 표면에는 개봉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봉합(closed)"라는 문자가 중첩되게 인쇄됨으로써, 상기 밀봉테이프를 떼어내기 위해 상기 테이프를 압력을 가할 때 상기 이면부가 불투명해지면서 봉합이라는 문자가 사라지고 개봉이라는 단어가 명확히 보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As one of such protective devices, various types of opening confirming tapes are known which are torn or discolored when sealing and encapsulating an envelope or a box. For example, the opening check tap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89-9269 has already been opened on one side of a film-shaped back surface made of a pressure-opaque material that is opaque due to the pressure applied when peeling. In order to remove the sealing tape, a letter “opened” is printed and a letter “closed” is print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ack surface, which means that it is not opened. When the tape is pressurized, the backside becomes opaque and the letters of suture disappear and the word of opening is clearly shown.

그러나 이러한 개봉 여부 확인 테이프는 압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가압-불투명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봉 여부와 관계 없는 외력에 의해서도 불투명하게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밀봉테이프는 반드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롤 형태로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heck whether the tape is made of a pressure-opaque material that reacts sensitively to pressure, so there was a problem of changing opacity by an external force regardless of opening. Therefore, the conventional sealing tape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roll to which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고가의 특수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개봉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와 사용이 편리한 롤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rly check the opening without using expensive special materials, and provide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roll form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use.

본 고안은 또한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도에 적합하도록 스티커 등 다양한 여러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stickers, to be a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open.

본 고안은 봉인된 테이프를 떼어낼 때, 투명 지지필름의 배면에 인쇄된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안료 코팅층(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원상태로 복구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공한다.When the sealed tape is remove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support film is separated,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or aluminum deposition layer) is partially destroyed so tha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recover the original state. Provide a tap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pe for confirming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ape for confirming the op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라 롤 형태로 제조된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pe for checking whether opened in the form of ro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의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opening check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 : 투명 지지필름 30 : 부분 이형제층20: transparent support film 30: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5 : 보호막 코팅층 40 : 안료 코팅층35: protective film coating layer 40: pigment coating layer

45 : 알루미늄 증착층 50 : 점착제층45: aluminum deposition layer 50: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0 : 이형박리지 65 : 이형제 코팅층60: release release 65: release agent coating lay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소정 두께의 투명한 지지필름과; 상기 지지필름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점착되어 소정의 문자 또는 무늬를 표현하는 부분 이형제층과; 상기 지지필름과 부분 이형제층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코팅되어 상기 문자 또는 무늬의 배경을 형성하는 안료 코팅층과; 상기 안료 코팅층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도포되며 상기 지지필름과 부분 이형제층및 상기 지지필름과 안료 코팅층의 점착강도 보다 강한 점착강도를 갖는 소정 두께의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서류봉투 및 포장상자 등에 점착시킨 상태에서 떼어내게 되면 상기 투명필름의 배면에 인쇄된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안료 코팅층이 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pening confirmation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transparent support film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to express a predetermined character or pattern; A pigment coating layer co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to form a background of the letter or pattern; It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and consists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strong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support film an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support film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and adhered to a briefcase or packing box. When removed from the state,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rinted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rreparably destroye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안료 코팅층은 백색안료 또는 특수안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수안료로는 형광감응안료 또는 온도감응안료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gment coating layer is made of a white pigment or a special pigment. The special pigment is a fluorescence-sensitive pigment or a temperature-sensitive pigment.

상기 안료 코팅층은 알루미늄 진공 증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gment coating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luminum vacuum deposition layer.

또한 상기 부분 이형제층과 상기 알루미늄 진공 증착층 사이에는 보호막 코팅층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 코팅층은 부분 이형제층의 글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요구에 따라서 사용하며, 폴리에스테르 계통의 투명수지이다.In addition, a protective coating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aluminum vacuum deposition layer.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is used as required to protect the letters of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is a polyester-based transparent resin.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형제층과 점착제층은 형광감응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광감응제는 일반 광에서는 발색하지 않고 자외선에 의해서만 발색하는 안료이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fluorescent sensitizer. The fluorescent sensitizer is a pigment which does not develop color in general light but only by ultraviolet rays.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배면에는 이형박리지가 더 형성된다.In addition, a release release paper is further formed on the back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지지필름의 표면에는 바코드 인쇄용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코드 인쇄용 코팅층은 폴리에스테르 계통의 수지이다.The surface of the support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layer for barcode printing is further formed. The coating layer for barcode printing is a polyester-based resin.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의 배면에는 어떠한 코팅층이나 전처리가 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no coating layer or pre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back of the support film.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ape for checking the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1은 소정 두께의 투명 지지필름(20)의 배면에 부분 이형제층(30)과, 안료 코팅층(40), 점착제층(50) 및 이형 박리지(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10)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2는 소정 두께의 투명 지지필름(20)의 표면에 바코드 인쇄용 코팅층(25)이 형성되고 그 배면에는 부분 이형제층(30)과, 보호막 코팅층(35), 알루미늄 증착층(45) 및 점착제층(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rst, FIG. 1 shows that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and the release release paper 6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pport film 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pe 10, a coating layer 25 for printing a bar cod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pport film 20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and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 3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confirming tape 10 in which the aluminum deposition layer 45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are sequentially stack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필름(20)은 OPP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또는 EVA가 함유된 폴리에틸렌 필름 등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그 두께는 30∼60㎛정도 이고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하여, 표면을 통해 그 배면에 형성된 문자나 무늬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필름(20)의 배면은 후술하는 안료 코팅층(40)과의 접착력을 고려하여 전처리 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필름(20)의 배면에는 코팅층의 접착강도를 떨어뜨리는 프라이머 코팅이나 코로나 처리가 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support film 20 is selected from an OPP film, a polyester film or a polyethylene film containing EVA, the thickness is about 30 ~ 60㎛ and transparent or at least translucent, on the back through the surface You can see the letters and patterns 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ilm 20 is not pret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ilm 20 is not subjected to primer coating or corona treatment to lower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ating layer.

이어 상기 부분 이형제층(30)은 아크릴 계통의 이형제, Wax계통, CAB(셀룰로즈 아세테이트 부틸레이드) 등의 이형제를 상기 지지필름(20)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적층하거나 인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부분 이형제층(3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색깔의 문자나 도형 또는 무늬를 표현할 수 있도록 소정의 안료가 포함되며 그 두께는 대략 1∼2㎛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부분 이형제층(30)은 그라비아 인쇄, 롤 인쇄, 실크 스크린 인쇄 등 다양한 인쇄방법을 통해 상기지지필름(20)의 배면에 형성된다.Subsequently,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partially laminates or prints a release agent such as an acrylic-based release agent, a wax system, and a CAB (cellulose acetate butylide),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ilm 20. In this case,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includes a predetermined pigment to express characters, figures, or patterns of various shapes and color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about 1 to 2 μm.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20 through various printing methods such as gravure printing, roll printing, silk screen printing, and the like.

한편, 상기 부분 이형제층(30)이 상기 지지필름(20)의 배면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지지필름(20)과 안료 코팅층(40)과의 접착력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료 코팅층(40)의 접착력이 강할 수록 상기 부분 이형제층(30)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안료 코팅층(40)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부분 이형제층(30)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줄여야 한다. 즉, 상기 부분 이형제층(30)이 차지하는 면적은 봉인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상기 안료 코팅층(40)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안료 코팅층의 파괴 및 지지필름과 안료 코팅층 사이의 계면 파괴가 혼합될 수 있는 정도이어야 한다. 한편 상기 안료 코팅층(40)의 접착강도는 반드시 상기 안료 코팅층(40)과 점착제층(50) 또는 점착제층(50)과 피착제 사이의 접착강도 보다는 작아야 한다.Meanwhile, the ratio of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to the rear surface area of the support film 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film 20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For example, a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increases, the area of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may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hesion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is inferior, the proportion of the area of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should be reduced. That is, the area occupied by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is such that when the sealing checking tape is peeled off,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is not easily separated so that the breakage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and the interface breakdown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may be mixed. Should be able to. Meanwhil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must be smaller than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and the adhesive.

이어, 상기 안료 코팅층(40)은 백색 또는 소정 색채를 갖는 불투명한 안료를 도포시킨 코팅층이거나 또는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시킨 알루미늄 증착층이다. 또한 상기 안료 코팅층은 부분 이형제층(30)의 배면에 코팅되기 때문에 부분 이형제층(30)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필요할 경우에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분 이형체층(3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 코팅층(35)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 코팅층(35)은 폴리에스테르 계통의 투명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is a coating layer coated with an opaque pigment having a white color or a predetermined color, or an aluminum deposition layer in which aluminum is vacuum deposited. In addition, since the pigment coating layer is co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i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ffect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If necessary, as shown in FIG. 2, a protective coating layer 35 may be further formed to protect the partial release layer 30.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35 is preferably a polyester-based transparent resin.

그리고 상기 안료 코팅층(40)에는 소정의 형광감응제 및 온도감응제 등이 함유되어 박리후에도 재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용도의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형광감응제는 자외선에 의해서만 색상이 나타나는 안료로서 노랑, 분홍, 파랑 등의 색상이 있으며 이는 일반 광선에서는 발색하지 않는다. 또한 온도감응제는 온도에 따라 색깔이 변한다.In addition,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may contain a predetermined fluorescent agent, a temperature sensitive agent,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for a special purpose pigment that can be reconfirmed even after peeling. For example, the fluorescent sensitizer is a pigment that is colored only by ultraviolet rays, and there are colors such as yellow, pink, and blue, which do not develop in normal light. In addition, temperature-sensitive agents change color with temperature.

그리고 상기 점착제층(50)은 아크릴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에멀죤 점착제 등에서 선택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점착제층(50)은 상기 안료 코팅층(40)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필름(40)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코팅되어 있는 안료 코팅층(50)의 접착력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기 개봉 확인용 테이프(10)를 떼어낼 때, 상기 점착제층(50)은 분리되지 않고 상기 안료 코팅층(40)이 분리 또는 파괴됨으로써 피착제인 서류봉투나 포장상자에는 부분 이형제층(30)의 대부분과 안료 코팅층(40)이 부분적으로 잔류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지지필름(20)의 배면에 붙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한번 떼어낸 지지필름(20)을 원상태로 붙여 놓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is selected from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ubb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ack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Therefore, the adhesive force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50 is partially co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film 40. Therefore, when the tear-opening check tape 10 is peeled of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is not separated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is separated or destroyed, so that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of the adhesive bag or packaging box is adhered. Most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will remain partially and the rest will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upport film 20. Therefo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aste the support film 20 once removed to its original state.

한편, 상기 이형박리지(60)는 상기 점착제층(5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터필름, OPP필름, PE 필름 등 여러 가지 종류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박리강도를 높히기 위해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10)는 스티커 또는 라벨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형박리지(60)가 부착된 상태에서 롤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lease release paper 60 is to protec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0 is made of various types of films such as polyester film, OPP film, PE film and the surface is coated with silicon to increase the peel strength It is. Therefore, the tear-opening tap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sticker or a label and may be manufactured in roll form in a state where the release release paper 60 is attach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10)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필름(20)의 표면에 실리콘 혹은 Wax계통의 이형제(65)를 코팅해서 일반 포장용테이프와 같이 이형박리지가 없는 롤 테이프(Roll tape)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료 코팅층(40) 대신에 알루미늄, 구리, 은 등 다양한 금속을 진공 증착한 금속 진공 증착층(35)을 형성하면 다양한 금속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부분 이형제층(30)의 배면에는 보호막 코팅층(3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pening check tap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by coating the release agent 65 of the silicone or Wax system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film 20 rolls without release release like a general packaging tape It can be made into roll tape state. Instead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if the metal vacuum deposition layer 35 in which various metals such as aluminum, copper, and silver are vacuum deposited is formed, various metal colors may be express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35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또한 상기 지지필름(20)의 표면에는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코드 인쇄용 코팅층(25)을 형성하여 소정의 바코드를 인쇄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바코드를 인쇄하는 방법은 열과 압력을 가해서 표면 일부를 녹여서 인쇄하는 것이므로 상기 지지필름(20)의 표면에 그러한 역할을 하는 바코드 인쇄용 코팅층(25)이 코팅되어야 한다. 이러한 바코드 인쇄용 코팅층(25)으로는 폴리에스테르 계통의 수지가 사용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film 20, as shown in Figure 2, by forming a coating layer 25 for printing a bar code can print a predetermined bar code. That is, in general, a method of printing a barcode is to melt and print a part of the surface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so that the coating layer 25 for printing a barcode having such a role should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film 20. As the bar code printing coating layer 25, a polyester-based resin is used.

이어서,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10)는 서류봉투와 포장박스 등과 같은 피착제에 붙였다 떼어낼 경우 지지필름(20)에서 분리된 소정 형태의 문자 또는 무늬를 형성하는 부분 이형제층(30)과 안료 코팅층(40)이 피착제에 남게 되므로 수취인이 수령하기 전에 개봉되었다는 증거를 남기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4, the opening-checking tap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 or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form separated from the support film 20 when peeled off and attached to an adherend such as a briefcase and a packing box.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30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40 to be formed remain in the adherend, leaving evidence that the recipient was opened before receip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서류봉투와 포장박스 등과 같은 피착제에 붙였다 떼어낼 경우 투명 지지필름의 배면에 인쇄된 부분 이형제층과 안료 코팅층(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분리되어 피착제에 남게 될 뿐만 아니라 분리된 지지필름을 제자리에 붙일 경우에도 부분 이형제층과 안료 코팅층에 의해 형성된 문자와 무늬를 원상복구할 수 없기 때문에 개봉 여부를 쉽게 확인할수 있어 비밀누설 및 이물질 투여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or aluminum deposition layer) printed on the back of the transparent support film when peeled off and attached to the adhesive such as a briefcase and a packaging box. Not only remain in the adherend but also when the separated support film is stuck in place, the letters and patterns formed by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cannot be recovered. You can be protected from the dangers of

본 고안은 또한 고가의 특수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개봉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색되거나 변형되지 않으므로 롤 형태, 스티커 및 라벨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clearly check whether the opening without the use of expensive special materials, and do not discolor or deform by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rolls, stickers and labels.

Claims (9)

소정 두께의 투명한 지지필름과;A transparent support film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지지필름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점착되며 소정의 문자, 무늬 및 컬러를 표현하는 부분 이형제층과;A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expressing predetermined characters, patterns, and colors; 상기 지지필름과 부분 이형제층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문자 또는 무늬의 배경을 이루는 안료 코팅층과;A pigment coating lay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to form a background of the letter or pattern; 상기 안료 코팅층의 배면에 전면적으로 도포되며 상기 지지필름과 부분 이형제층 및 상기 지지필름과 안료 코팅층 사이의 점착강도 보다 강한 점착강도를 갖는 소정 두께의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It consists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applied to the entire back of the pigment coating layer and has a stronger adhesive strength than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support film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상기 점착제층을 서류봉투 및 포장상자 등에 붙였다가 떼어낼 때 상기 투명 지지필름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안료 코팅층이 원상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되어 타인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When the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a briefcase or a packaging box, and the like,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is separated from the back of the transparent support film,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is irreparably destroyed so that the other person can be opened. Tape for unpack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료 코팅층은 백색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pigment coating layer i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ite pig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료 코팅층은 알루미늄, 은, 구리 등의 금속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금속을 진공 증착한 증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pigment coating layer i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osition layer vacuum deposition of any one metal selected from metals such as aluminum, silver, copp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분 이형제층과 점착제층은 형광감응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And said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 a fluorescent sensitiz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점착제층의 배면에는 이형박리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Release check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release further formed on the back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필름의 표면에는 이형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Opening check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agent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fil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필름의 표면에는 바코드 인쇄용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Opening check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layer for barcode printing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film.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부분 이형제층과 상기 안료 코팅층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 사이에는 투명 보호막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oating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partial release agent layer and the pigment coating layer or aluminum deposition lay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이프는 롤 형태로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tape for opening confi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 is wound in a roll form.
KR20-2003-0031602U 2003-10-08 2003-10-08 Security tape KR2003449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602U KR200344944Y1 (en) 2003-10-08 2003-10-08 Security t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602U KR200344944Y1 (en) 2003-10-08 2003-10-08 Security t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944Y1 true KR200344944Y1 (en) 2004-03-11

Family

ID=4934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602U KR200344944Y1 (en) 2003-10-08 2003-10-08 Security t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944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07B1 (en) 2007-03-26 2008-06-23 권경점 Security tape
KR101074339B1 (en) 2008-12-08 2011-10-18 정진호 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KR20170003289U (en) * 2016-03-14 2017-09-22 임성옥 Adhesive plaster
KR102539322B1 (en) 2022-12-13 2023-06-01 조미순 Sealing seal for bullet loss prevention and magazine secur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07B1 (en) 2007-03-26 2008-06-23 권경점 Security tape
KR101074339B1 (en) 2008-12-08 2011-10-18 정진호 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KR20170003289U (en) * 2016-03-14 2017-09-22 임성옥 Adhesive plaster
KR200486447Y1 (en) 2016-03-14 2018-05-18 임성옥 Adhesive plaster
KR102539322B1 (en) 2022-12-13 2023-06-01 조미순 Sealing seal for bullet loss prevention and magazine secur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9269Y1 (en) Stress-opacifying tamper indicating tape
US6447015B1 (en) Tamper evident tapes and labels
EP0491099B1 (en) Tamper evident closure and tamper evident method
JP2006524364A (en) Tamper indic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information
JPH0310282A (en) Label material capable of displaying trace of variation
JPH05508371A (en) Color changing device activated by bending
JP2001234137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tape for detecting wrong opening of package
WO2017112507A2 (en) Tamper-evident label containing an irreversible photochromic substance
JP2003160772A (en) Adhesive tape for keeping confidentiality capable of finding out illegal transaction
KR100840407B1 (en) Security tape
JP2003084672A (en) Tacky adhesive label for preventing forgery
JP2003345255A (en) Falsification preventive lab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teration preventive label
KR200344944Y1 (en) Security tape
JP2002072889A (en) Resticking and illicit use preventive label
JPS63106780A (en) Alteration preventing hologram tape
EP1614088B1 (en) Security arrangement
JP3907258B2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JP2008304733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integrating label onto material to be stuck, and label
JP2002040946A (en) Label which prevents re-sticking and illegal use
JP4588554B2 (en) Tack lab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ack label
TWM574611U (en) Anti-counterfeiting tape structure
JPH0713013Y2 (en) Anti-counterfeit seal
JP4718055B2 (en) Tack label for container with label part for application and container with label
JP3077351U (en) Anti-fake seal tape
JP2002006745A (en) Decorative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