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752Y1 - Tea cup - Google Patents

Tea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752Y1
KR200341752Y1 KR20-2003-0029985U KR20030029985U KR200341752Y1 KR 200341752 Y1 KR200341752 Y1 KR 200341752Y1 KR 20030029985 U KR20030029985 U KR 20030029985U KR 200341752 Y1 KR200341752 Y1 KR 200341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ea
raw material
hand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9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애
Original Assignee
정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애 filed Critical 정영애
Priority to KR20-2003-0029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75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752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차를 비롯한 각종 다류(茶類)의 원료를 끓이고, 이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함께 컵에 담은 상태에서 상기 다류의 원료를 컵에서 빼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우러나온 물 즉, 차를 마심에 있어서, 상기 차를 마실 때 상기 원료가 컵에 구비된 여과수단에 의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차를 원활하게 마시도록 하며, 차를 다 마시고 나서는 상기 원료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여과수단과 컵을 잡기 위한 손잡이를 간편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차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oils raw materials of various teas, including green tea, and water that has been continuously drawn out of the cups without taking out the raw materials of the teas in a state where the boiled teas and water are put together in a cup. In drinking, so that the raw material is not leaked by the filtering means provided in the cup when drinking the tea, drink the tea smoothly, and after the tea is finished to easily remove the raw material, the filtration A tea cup is provided so that the means and the handle for holding the cup can be easily removed and assembled.

본 고안은 컵(1)의 상부에 뚜껑(4)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2)의 직하방에는 걸림홈(3)을 형성하며, 이 걸림홈(3)에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면서 손잡이(6)가 형성된 수지재의 걸림고리(5)를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컵(1)의 내부에는 여과망(8)을 형성한 여과구(7)를 삽입하여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동시에 컵(1)에 담아 마실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upling portion 2 for coupling the lid 4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1, and forming a locking groove 3 directly below the coupling portion 2, the locking groove (3) ) To assemble the hook (5) of the resin material having a handle 6 is formed with a slight elasticity, and the inside of the cup (1) by inserting the filter opening (7) forming the filter net (8) It is configured to drink in a cup (1) at the same time the raw material of the gin and water.

Description

차컵{Tea cup}Tea cup {Tea cup}

본 고안은 전통차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잎 종류의 녹차를 비롯한 각종 다류(茶類)의 원료를 끓이고, 이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함께 컵에 담은 상태에서 상기 다류의 원료를 컵에서 빼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우러나온 물 즉, 차를 마심에 있어서, 상기 차를 마실 때 상기 원료가 컵에 구비된 여과수단에 의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차를 원활하게 마시도록 하며, 차를 다 마시고 나서는 상기 원료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여과수단과 컵을 잡기 위한 손잡이를 간편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차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oils raw materials of various kinds of tea including leaf tea, which are widely used as traditional teas, and the raw materials of the contents of tea are not removed from the cup while the raw materials of the boiled tea and water are put together in a cup. In drinking continuously water, that is, tea, drink the tea smoothly so that the raw material does not flow out by the filtering means provided in the cup when drinking the tea, and after drinking the t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cup that can be removed and that the handle for holding the cup and the filter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assembled.

일반적으로 녹차 등의 전통 차를 마시고자 할 때는 차의 원료를 끓인 다음, 상기 원료가 담겨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끓여져 다려진 물만을 컵에 담아 마시고 있었으며, 상기 다려진 차를 조심스럽게 따르더라도 종종 상기 차의 원료가 컵에 담겨지는 일이 발생되어 차를 마시기가 불편하게 되었다.In general, when you want to drink traditional tea, such as green tea, boiled the raw material of the tea, and then drink only the boiled and chopped water in a cup while being careful not to contain the raw material, even if carefully followed the tea is often The raw material of the tea is contained in the cup, which makes tea uncomfortable.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끓이고 난 원료가 컵에 담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컵의 주입구나 차를 끓인 용기와 출구에 여과지를 구비하여 차를 따르고 상기 여과지에 걸린 원료를 제거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차의 원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항시 여과지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상기 여과지의 소모가 많게 되었으며, 상기 여과지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여간 조심스럽지 않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 in order to prevent the boiled raw material from being contained in the cup, a filter paper is provided in the container and the outlet where the cup or tea is boiled to pour tea and remove the raw material caught in the filter paper. In the same method, the filter paper was always needed to remove the raw material of the tea, and thus the filter paper was consumed a lot, and the use of the filter paper was not very careful, so the use of the filter was very uncomfortable.

또한, 상기 차를 담아 마시기 위한 컵들은 대체로 손잡이가 없는 경우에는 뜨겁기 때문에 상기 컵을 쉽게 잡지 못하게 되므로 상당시간이 지난 후 컵이 어느 정도 자연적으로 식은 다음, 상기 컵을 잡고 마실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차가 식은 다음 마셔야 하기 때문에 차의 고유한 맛을 음미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고,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컵에 손잡이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은 상기의 점을 해결할 수는 있었으나, 상기 컵을 포장하기가 불편하여 이를 포장한 상태로 유통할 때 그 부피가 크면서도 상기 손잡이가 종종 파손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ups for drinking tea are generally hot when there is no handle, so it is difficult to hold the cup, so after a considerable time, the cup naturally cools, and then the cup can be held and drink. There was a drawback to not be able to savor the intrinsic taste of tea because it had to be drunk next, and in view of the above, the integrally formed handle on the cup could solve the above point, but it was inconvenient to pack the cup. When it was distributed in a packaged state, there was a problem of lighting that the handle is often broken while having a large volum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녹차를 비롯한 각종 다류의 원료를 끓이고, 이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함께 컵에 담은 상태에서 상기 다류의 원료를 컵에서 빼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우러나온 물인 차를 마시도록 하며, 상기 차를 마실 때 상기 원료가 컵에 구비된 여과수단에 의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차를 원활하게 마시도록 하고, 차를 다 마시고 나서는 상기 원료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여과수단과 컵을 잡기 위한 손잡이를 간편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끓여진 차의 고유한 맛을 열기가 있는 상태에서부터 음미할 수 있도록 한 차컵을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과 실시 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boils various kinds of raw materials including green tea, and cups the raw materials of the above-mentioned tea products in a state in which the boiled raw materials and water are put together in a cup. Drinking tea that is continuously drawn out of the water without drinking from, and when the tea is drink so that the raw material is not spilled by the filtering means provided in the cup to drink tea smoothly, after the tea is finished To make it easy to remove, and to easily separate and assemble the filter means and the handle for holding the cup to provide a tea cup so that you can enjoy the unique taste of the boiled tea from the open state, thi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컵1: cup

2 : 결합부2: coupling part

3 : 걸림홈3: hanging groove

4 : 뚜껑4: lid

5 : 걸림고리5: hook

6 : 손잡이6: handle

7 : 여과구7: filter opening

8 : 여과망8: filtration net

컵(1)의 상부에 뚜껑(4)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2)의 직하방에는 걸림홈(3)을 형성하며, 이 걸림홈(3)에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면서 손잡이(6)가 형성된 수지재의 걸림고리(5)를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컵(1)의 내부에는 여과망(8)을 형성한 여과구(7)를 삽입하여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동시에 컵(1)에 담아 마실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A coupling part 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up 1 to engage the lid 4, and a locking groove 3 is formed directly below the coupling part 2, and the locking groove 3 is slightly While having the elasticity of the handle 6 is formed to assemble the hook 5 of the resin material, the interior of the cup (1) by inserting the filter opening (7) forming the filter net (8) It is configured to drink the raw material and water in the cup (1) at the same tim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컵(1)의 상부에 형성한 결합부(2)에는뚜껑(4)을 체결하여 결합하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2)의 직하방에 형성된 걸림홈(3)에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면서 손잡이(6)가 형성된 수지재의 걸림고리(5)를 탄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조립하도록 하여 상기 손잡이(6)가 컵(1)의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컵(1)의 내부에 여과망(8)을 형성한 여과구(7)를 삽입하도록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여과구(7)가 컵(1)에 조립될 때에는 이 여과구(7)가 일정한 깊이까지만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상기 컵(1)의 내부를 상과 하협 상태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1 by fastening the lid 4, the engaging groove 3 formed directly below the coupling portion 2 The cup 6 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6 serves as a handle of the cup 1 by forcibly assembling the hook 5 of the resin material having the handle 6 with elasticity by using elasticity. 1) It is used to assemble to insert the filter opening (7) having the filter net (8) in the interior. When the filter opening (7) is assembled into the cup (1), the filter opening (7) only to a certain depth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inside of the cup 1 slightly inclined so as to be inserted and assembled.

상기와 같이 컵(1)의 손잡이(6)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컵(1)에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동시에 따라 담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여과구(7)를 컵(1)에 조립한 다음, 상기 손잡이(6)를 잡고 차를 마시게 되면, 상기 컵(1)에 담겨진 원료는 상기 여과구(7)의 여과망(8)에 걸러지면서 컵(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원료가 유출되지 않는 상태서 차만을 음미하면서 마실 수 있게 되고, 상기 차를 마실 때 상기 원료가 함께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차를 효과적으로 마실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handle 6 of the cup 1 i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raw material and water boiled in the cup 1 are simultaneously poured together, and in this state, the filter opening 7 is placed in the cup 1. After assembling and holding the handle 6 to drink tea, the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cup 1 is filtered by the filter net 8 of the filter opening 7 so as not to leak out of the cup 1. It is possible to drink tea while savoring only the tea while the raw materials are not leaked, and the tea is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spilled together when the tea is drunk.

상기와 같이하여 차를 다 마신 다음에는 상기 여과구(7)를 분리하여 컵(1)에 담겨진 원료를 제거하도록 하므로써 차의 원료에서 풍겨 나오는 향과 끓여진 물에서 나오는 맛을 동시에 즐길 수 있게 되고, 상기 차를 다 마신 다음에는 이를 세척하여 상기 결합부(2)에 뚜껑(4)을 조립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컵(1)을 포장함에 있어서는 상기 손잡이(6)가 형성된 걸림고리(5)를 이의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걸림홈(3)에서 강제적으로 분리시켜 이 손잡이(6)를 컵(1)에 담고 상기여과구(7)를 컵(1)의 내부에 조립시키며, 컵(1)의 결합부(2)에 뚜껑(4)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포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컵(1)의 포장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이면서 간편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하고 포장에 따른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drinking the tea as described above, by separating the filter opening (7) to remove the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cup (1) by being able to enjoy the aroma from the raw material of the tea and the taste from the boiled water at the same time After the tea is finished, it can be washed to assemble the lid 4 to the coupling part 2 and store it. In packaging the cup 1, the hook 6 having the handle 6 is formed. )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catching groove 3 using its own elasticity so that the handle 6 is placed in the cup 1, and the filter 7 is assembled inside the cup 1. By combining the lid (4) to the coupling portion (2) of the) to reduce the overall volume during packaging of the cup (1) can be easily packed and prevent damage to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ackaging Will b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녹차를 비롯한 각종 다류의 원료를 끓이고, 이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함께 컵에 담은 상태에서 이를 마심에 있어서, 상기 다류의 끓여진 원료를 물과 함께 컵에 담은 상태에서 상기 컵(1)의 내부에 여과구(7)를 조립시켜 컵(1)에 담겨진 차를 마실 때 함께 담겨진 원료가 상기 여과구(7)에 걸리도록 하므로써 상기 원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차를 마실 때 원료에서 풍겨 나오는 향과 물에서 나오는 맛을 동시에 음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담겨진 원료를 간편하게 제거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여과를 위한 별도의 수고가 필요없게 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boiling the raw materials of various kinds of tea, including green tea as in the above embodiment, and in drinking them in a state in which the boiled raw materials and water are put together in a cup, the boiled raw materials of the contents of water And assembling the filter opening (7) in the interior of the cup (1) in the state in the cup so that when the tea contained in the cup (1) is caught together the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filter opening (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so that when you drink the tea, you can enjoy the flavor from the raw material and the taste from the water at the same time, and because it is easy to remove the contained raw material,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labor for the filtration Its use is very convenient.

또한, 상기 여과수단과 컵을 잡기 위한 손잡이를 간편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컵(1)의 보과 및 포장이 간편하면서 그 포장부피를 줄일 수 있고, 포장에 따른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수명을 보다 장구하게 할 수 있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and assemble the handle for holding the filter means and the cup, so that the filling and packing of the cup 1 can be easily reduced, and the packing volume thereof can be reduced, and the handl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Therefore, it has the feature of lighting that can make its life longer.

Claims (1)

컵(1)의 상부에 뚜껑(4)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2)의 직하방에는 걸림홈(3)을 형성하며, 이 걸림홈(3)에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면서 손잡이(6)가 형성된 수지재의 걸림고리(5)를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컵(1)의 내부에는 여과망(8)을 형성한 여과구(7)를 삽입하여 끓여진 다류의 원료와 물을 동시에 컵(1)에 담아 마실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컵.A coupling part 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up 1 to engage the lid 4, and a locking groove 3 is formed directly below the coupling part 2, and the locking groove 3 is slightly While having the elasticity of the handle 6 is formed to assemble the hook 5 of the resin material, the interior of the cup (1) by inserting the filter opening (7) forming the filter net (8) Tea cup,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rink the raw material and water in the cup (1) at the same time.
KR20-2003-0029985U 2003-09-22 2003-09-22 Tea cup KR2003417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985U KR200341752Y1 (en) 2003-09-22 2003-09-22 Tea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985U KR200341752Y1 (en) 2003-09-22 2003-09-22 Tea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752Y1 true KR200341752Y1 (en) 2004-02-11

Family

ID=4942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985U KR200341752Y1 (en) 2003-09-22 2003-09-22 Tea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75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US6269736B1 (en) Infuser filter for making beverages
US20130256307A1 (en) Loose tea brewing lid
MX2011001770A (en) Lid, in particular for a disposable cup.
KR101636661B1 (en) Cup set for drip coffee
JP2012515043A (en) Disposable coffee bean extractor
US20020134249A1 (en) Infuser filter for making beverages
KR200455438Y1 (en) Disposable Bean Coffee Extraction Container
US20180042411A1 (en) Universal lid system and methods
KR200341752Y1 (en) Tea cup
KR101919108B1 (en) Tumbler for extracting tea
KR200480810Y1 (en) Drip extract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KR200461353Y1 (en) Disposable dripping tool of original coffee beans
KR200195570Y1 (en) A instant tea drip container
CN220494749U (en) Cup cover with tea filtering structure
KR200412061Y1 (en) Cup for tea-bag
JP2002209751A (en) Simple tea maker
JP5105565B1 (en) Simple coffee bag
JP3079403U (en) Simple tea maker
JP3139632U (en) PET bottle strainer
KR200357774Y1 (en) Separator for a tea plant
KR100810658B1 (en) A liquors bottle having filters
KR200454639Y1 (en) Disposable Coffee Bean Extractor
KR20130092009A (en) Tea extraction portable vessel
KR101826151B1 (en) Cup set for drip coff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