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296Y1 -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 Google Patents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296Y1
KR200331296Y1 KR20-2003-0023523U KR20030023523U KR200331296Y1 KR 200331296 Y1 KR200331296 Y1 KR 200331296Y1 KR 20030023523 U KR20030023523 U KR 20030023523U KR 200331296 Y1 KR200331296 Y1 KR 200331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ignal
screen
outpu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5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3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2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29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화면 분할 출력 기능이 지원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도킹하여, 유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도킹부, 외부로부터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화면상에서 동시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 스케일을 조정하는 스케일러,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스케일이 조정된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합성하여 영상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출력 신호를 하나의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모바일 전자 기기에서 유/무선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동 화면상에 분할 출력할 수 있게 된다.A mobile display device supporting a split screen output function is disclosed. The mobile display device docks with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docking unit for receiving a wired input signal, a wireless module for receiving a wireless input signal from the outside, and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on one screen. A scaler for adjusting each signal scale,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 scaled wired input signal and a wireless input signal from the scaler, synthesizing the converted signal into an image output signal, and converting the respective image output signals onto a scree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information input by wire / wireless from a mobi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display device may be split and output on the same screen.

Description

화면 분할 기능이 지원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Mobile display device supporting split screen function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본 고안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 분할 표시 기능이 지원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isplay device supporting a split screen display function.

최근, 정보화 시대로의 변환에 따라 보다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고 신속한 정보 취득 및 정보 교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컴퓨터 제조 기술, 무선 통신 기술 및 미세 칩(chip) 제조 공정 등의 발전에 힘입어 점차 이러한 요구에 부합되는 모바일(mobile) 전자 제품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모바일 전자 제품으로는, 노트북 PC, 웹패드(web 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스마트 디스플레이(smart display) 장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transition to the information age, the demand for simpler, more convenient and faste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is increasing.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manufacturing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icrochip manufacturing process, mobile electronic products that meet these requirements are being developed and released. Representative mobile electronic products include laptop PC, Examples include web pad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smart display devices.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경우,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부피 및 중량을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자 장비의 제조, 개발에 비해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을 활용하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st have a volume and weight that can be carried, and thus, there are limit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manufacture and development of existing electronic equipment. In general, a docking station is utilized to enable more efficient use of 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도킹 스테이션이란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해주는 하드웨어 장비와 일련의 접속용 인터페이스(interface)들을 지칭한다. 즉, 휴대용 전자 기기에 부착되어 나오지 않는 로컬 프린터, 대용량 저장장치 또는 백업 드라이브, 그리고 기타 가능한 다른 장치들과 접속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활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킹 스테이션은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근거리통신망(LAN)에 접속될 수 있도록 네트웍(network)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노트북 PC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도 이러한 도킹 스테이션을 사용함으로써 구현 될수 있다.A docking station refers to a set of interfaces and hardware equipment that services portable electronics more effectively. That is, communication with a local printer, mass storage device or backup drive, and other possible devices, which are not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re efficiently. The docking station may also include a network interface card such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local area network (LAN). Rec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wireless Internet services of notebook PCs can be implemented by using such a docking station.

한편, 기존에 대표적인 휴대용 전자 기기로 인식되던 노트북 PC이외에, 최근에는 기업들이 앞다투어 1인 1PC 시대를 열어나갈 차세대 모바일 디바이스로써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목하고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란 노트북 또는 PDA와 흡사한 형태를 가지는 일종의 휴대용 모니터라고 할 수 있는 장비로서, 기업 또는 가정내의 서버(server) 역할을 하는 호스트 PC와 무선 랜(LAN) 방식으로 연결돼 컴퓨팅 자원을 끌어쓰는 형태로 작동한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을 위해서는, 가정 또는 기업내에 서버 기반 컴퓨팅(SBC) 무선 인프라 스트럭쳐(wireless infrastructure)가 만들어져 있어야 하는 전제조건이 필수이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notebook PCs,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typica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mart display devices have recently been pay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mobile devices that will open the era of one-to-one PCs. A smart display device is a kind of portable monitor that has a form similar to a laptop or PDA. It is connected to a host PC serving as a server in an enterprise or home by using a wireless LAN method to attract computing resources. It works in writing. In order to use a smart display device, a prerequisite that a server-based computing (SBC) wireless infrastructure must be created in a home or an enterprise.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 장치로써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비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general configuration of a smart display device that i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mobile device device.

도면에 따르면, 호스트 PC(30) 및 도킹 스테이션(20)이 갖추어진 상황에서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도킹시켜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킹 스테이션(20)과 분리(undock)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호스트 PC(30)와 무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함으로써 일종의 무선 모니터 모드로써 작용을 하고, 도킹(docking)된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모니터로 작용을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smart display device 10 is docked and used in a situation where the host PC 30 and the docking station 20 are equipped. When the smart display device 10 is undock from the docking station 20, the smart display device 10 acts as a kind of wireless monitor mode by wirelessly connecting the host PC 30 with the wireless module and is docked. In a situation it will act as a regular monitor.

도 2에서는 종래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간단한 블럭도로 표현하고 있다.In FIG. 2, a process of processing an input signal in the conventional smart display device 100 is represented by a simple block diagram.

도면에 따르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킹부(150)를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200)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킹이 이루어진 경우는 도킹부(150)를 통하여 유선 입력 신호가 수신되어 스케일러(130)에 입력되게 된다. 스케일러(130)는 일반적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스케일(scale) 및/또는 해상도를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품 사양에 적합하도록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smart display device 10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docking station 200 through the docking unit 150. When docking is performed, the wired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docking unit 150 and input to the scaler 130. The scaler 130 generally serves to adjust the scale and / or resolution of the input signal to suit the product specifications of the smart display device 100.

한편, 무선 모듈(140)은 외부에서 무선 주파수에 전송되어오는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스케일러(130)를 거치지 않고 영상 신호 처리부(120)로 바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는 제어부(미도시)에서 도킹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 신호를 보내면, 자체 스위치를 사용하여 스케일러(130) 및 무선 모듈(140)을 통하여 입력되는 유/무선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출력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module 140 is a device that receives a wireless input signal transmitted to the radio frequency from the outside and outputs directly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1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caler 130. When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unit (not shown) docks and sends a control signal,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20 selectively uses a wire / wireless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scaler 130 and the wireless module 140 using its own switch. It is converted into a signal that can be received and output.

출력부(110)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 변환한 신호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같은 모바일 제품에서는 보다 작고 가벼운 LCD 모니터를 출력부(110)로 사용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10 displays a signal convert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120 on the screen. In a mobile product such as the smart display device 100, a smaller and lighter LCD monitor may be used as the output unit 110.

한편, 도 4a, 도 4b는 각각 PBP 방식, PIP 방식으로 표현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과 같이 PBP 방식이란 화면을 둘로 나누어 서로 다른 영상(영상 1, 2)을 출력하는 방식이고, PIP 방식(혹은, 캡션 방식)이란 주화면(영상 1)의 일부분에 작은 서브화면(영상 2)을 보여주는 방식이다.4A and 4B show screens represented by the PBP method and the PIP method,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PBP method divides the screen into two and outputs different images (images 1 and 2), and the PIP method (or caption method) refers to a small sub-screen (image 2) on a part of the main screen (image 1). Is the way to show.

PBP 방식 및 PIP 방식의 화면 출력은 기본적으로 영상 1 및 영상 2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가능한데, 이러한 작용은 스케일러(130)가 하는 역할이다. 스케일러(130)는 서로 다른 두 채널을 통하여 입력된 신호들의 출력스케일을 각각 절반으로 조절하거나(PBP 방식), 하나의 입력신호의 출력 스케일을 서브 화면의 스케일로 조절함으로써(PIP 방식) 상기 분할 출력을 가능케 한다.The screen output of the PBP method and the PIP method is basically required to properly adjust the size of the image 1 and the image 2, and this action is a role of the scaler 130. The scaler 130 adjusts the output scale of signals input through two different channels in half (PBP method) or adjusts the output scale of one input signal to the scale of the sub screen (PIP method). Makes it possible.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무선 모듈(14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스케일러(1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영상신호 처리부(120)로 입력되므로, 상기 분할 출력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module 140 is directly input to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caler 13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lit output is impossibl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선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무선 입력 신호를 스케일러를 사용하여 스케일 조정함으로써 화면 분할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isplay device capable of split screen output by scaling the wireless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module using a scaler. .

도 1은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도,1 is a gener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isplay device;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signal processing process of a conventional mobile display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signal processing process of a mob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 분할 출력 형태의 일예도이다.4 is an example of a screen split output form in the mobi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0 :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310 : 출력부300: mobile display device 310: output unit

320 : 영상 신호 처리부 330 : 스케일러320: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330: scaler

340 : 무선 모듈 350 : TV 모듈340: wireless module 350: TV module

360 : 도킹부 400 : 도킹 스테이션360: docking unit 400: docking st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면 분할 출력이 가능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와 도킹하여, 유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도킹부, 외부로부터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화면상에서 동시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 스케일을 조정하는 스케일러,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스케일이 조정된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합성하여 영상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각각의 영상 출력 신호를 하나의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display device capable of splitting out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cking unit configured to dock with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a wired input signal, a wireless module to receive a wireless input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he wired input signal. And a scaler for adjusting each signal scale so as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wireless input signal on one screen, and converting 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whose scale is adjusted from the scaler to be synthesized and converted into an image output signal.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and an output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respective image output signals on one screen.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을 하나의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 스케일을 PBP(picture by picture) 출력이 가능한 스케일로 조정할 수 있다.The scaler may adjust each signal scale to a scale capable of outputting a picture by picture (PBP)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on one screen.

또한,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를 PIP(picture in picture) 주화면 출력 스케일로 조정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신호 스케일을 PIP(picture in picture) 부화면 출력 스케일로 조정하여 하나의 화면 상에서 동시에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caler adjusts 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to a picture in picture (PIP) main picture output scale and at the same time adjusts another signal scale to a picture in picture (PIP) sub picture output scale. A picture in picture (PIP) screen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on the screen.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케일러로 출력하는 TV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방송 신호의 스케일을 조정하여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obil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V module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the scaler, wherein the scal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cale of the broadcast signal and output the broadcast signal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

상기 TV 모듈을 더 포함한 경우, 상기 외부장치가 도킹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입력 신호 및 상기 TV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화면상에 분할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TV module is further included, the wireless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module and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module may be split and output on the screen when the external device is not dock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뛰어난 휴대성을 기본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 CPU 전원 장치, 어플리 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은 서버 역할을 하는 호스트 컴퓨터(30)의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스마트 디스플레이의 자체에는 10.4인치 정도 크기의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LCD)에 감압식 터치 패널, 몇 개의 간단한 기능키와 방향 키 정도만을장착하여 휴대성을 확보하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고안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을 도시하였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n external input signal in a mobile display device, particularly a sma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should be based on excellent portability, the memory, the CPU power supply device, the application software, and the like use the one of the host computer 30 serving as a server. The smart display itself is equipped with a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a few simple function keys and a direction key on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LCD) of about 10.4 inches to secure portability. In this figure, only the parts necessary for description of the design are shown.

도면에 따르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도킹부(360)를 통하여 도킹 스테이션(400)과 연결된다. 도킹부(36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선 케이블 및 연결잭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docking station 400 through the docking unit 360. The docking unit 360 may use a wire cable and a connection jack which are generally used.

한편, 도킹 스테이션(400)은 호스트 PC(30) 및 키보드(key board), 마우스(mouse)등의 입력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도킹되면 일반적인 모니터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cking station 400 is connected to the host PC 30 and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keyboard), mouse (mouse) by wire so that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can be used as a general monitor when docked. .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무선으로 호스트 PC(30)와 접속하여 무선 모니터로써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구현된 터치 스크린 또는 몇가지 간단한 방향키등을 사용하여 PC 이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호스트 PC(30)에서 전송된 무선 입력 신호는 무선 모듈(340)에서 수신하게 된다.In the separated state,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wirelessly connects to the host PC 30 to operate as a wireless monitor. The user can use a PC using a touch screen or some simple direction keys implemented in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The wireless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ost PC 30 is received by the wireless module 340.

한편, 수신된 무선 입력 신호에 대해서도 스케일러(330)에서 출력 스케일을 조정한 후 영상 신호 처리부(320)로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도 화면 분할 출력이 가능케 된다.Meanwhile, the scaler 330 also adjusts the output scale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wireless input signal and then outputs it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320. Accordingly, the split screen output is also possible in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도킹이 된 경우에는, 무선 모듈(340)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입력 신호 이외에 도킹부(360)를 통하여 유선 입력 신호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유선 입력 신호도 무선 입력 신호와 마찬가지로 스케일러(330)를 거쳐 영상 신호 처리부(320)로 입력되게 된다. 도킹 스테이션(400)을 통해 입력되는 유선 입력 신호로는 모니터입력 이외에 DVD 입력, 비디오 입력 등과 같은 신호를 예로 들 수 있다.When docked, the wired input signal may be received through the docking unit 360 in addition to the wireless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module 340. Similar to the wireless input signal, the wired input signal is input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320 through the scaler 330. Examples of wired input signals input through the docking station 400 include signals such as a DVD input and a video input in addition to the monitor input.

스케일러(330)는 도킹이 된 경우에 무선 모듈(340)을 통해 입력되는 무선 입력 신호 및 도킹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유선 입력 신호의 스케일을 조정함으로써 하나의 화면 상에 분할 동시 출력이 가능토록 한다.The scaler 330 can divide and output simultaneously on one screen by adjusting the scale of the wireless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module 340 and the wired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docking unit 360 when docked. Do it.

즉, 도 4a와 같이 하나의 화면을 두개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PBP방식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스케일러(330)는 각 입력 신호를 화면 절반 크기의 출력스케일로 조정한다.That is, in the case of outputting the PBP method by dividing one screen into two as shown in FIG. 4A, the scaler 330 adjusts each input signal to an output scale of half the screen size.

도 4b와 같이 하나의 입력 신호를 주화면으로 출력하고 나머지 신호를 부화면으로 출력하는 PIP방식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스케일러(330)는 하나의 신호를 부화면 출력 스케일로 조정한다.When outputting one input signal to the main screen and outputting the remaining signals to the sub-screen as shown in FIG. 4B, the scaler 330 adjusts one signal to the sub-screen output scale.

한편, 무선 입력 신호가 하나 이상 입력되거나, 유선 입력 신호가 하나 이상 입력되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입력되는 신호가 2개 이상인 경우에도 스케일을 조정하여 하나의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even when one or more wireless input signals are input or one or more wired input signals are input so that two or more signals are input to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the scale may be adjusted and output on one screen.

스케일러(330)를 통해 스케일 조정된 유/무선 입력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320)에서 하나의 출력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합성, 변환되고, 출력부(310)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된다.The wired / wireless input signal scaled by the scaler 330 is synthesized and converted into a single outputable signal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320, and output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310.

통상적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분리 상태에서는 무선 모니터로써, 도킹 상태에서는 일반 모니터로써 작동하나, 본 고안에 따르면, 도킹이 된 경우에도 무선 모듈(340)을 통한 연결을 유지하면서, 도킹 스테이션(40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를 한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킹스테이션(40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절반의 화면상에 출력시키면서, 동시에 무선 연결을 통해 나머지 절반의 화면을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등을 할 수 있다.A conventional smart display device basically operates as a wireless monitor in a detached state and as a general monitor in a docked stat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docked, the docking station may be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a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module 340. The external signal input through 400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screen. Accordingly, while outputt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docking station 400 on half of the scree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wireless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Internet using the other half of the screen.

분리된 상태에서는 도킹 스테이션(400)을 통한 유선 입력 신호는 수신될 수 없으나, 무선 입력 신호 및 기타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동 화면상에 분할 출력할 수 있다.In the separated state, the wired input signal through the docking station 400 may not be received, but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input signal and other channels may be split and output on the same screen.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모듈(350)을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내장한 경우에는 상기 TV 모듈(350)을 통해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무선 모듈(340)을 통해 입력되는 무선 입력 신호와 한 화면상에서 동시에 볼 수도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TV module 350 is embedded in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the wireless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module 340 is a broadcast signal input through the TV module 350. You can also view the signal and the screen simultaneous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는 도킹 스테이션(40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및 무선 모듈(34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스케일 조정함으로써 하나의 화면상에서 동시에 출력하여 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mart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s input through the docking station 400 and the signals input through the wireless module 340 are each scaled so that they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on one screen.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모바일 전자 기기에 있어서 수개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하나의 화면상에 분할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작업 능률 및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veral input signals are received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output on one screen. Accordingly, the work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attain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subject innova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외부 장치와 도킹하여, 유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도킹부;A docking unit configured to dock with an external device and receive a wired input signal; 외부로부터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A wireless module for receiving a wireless input signal from the outside;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화면상에서 동시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 스케일을 조정하는 스케일러;A scaler for adjusting each signal scale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on one screen; 상기 스케일러로부터 스케일이 조정된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상기 무선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화면상에 표시가능한 영상 출력 신호로 합성 변환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및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whose scale is adjusted from the scaler and converts them into an image output signal displayable on a screen; and 상기 영상 출력 신호를 하나의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And an output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the image output signal on one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케일러는,The scaler is,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의 스케일을 각각 PBP(picture by picture) 출력이 가능한 스케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cale of 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to a scale capable of outputting a picture by picture (PBP),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케일러는,The scaler is, 상기 유선 입력 신호 및 무선 입력 신호를 PIP(picture in picture) 주화면 출력 스케일로 조정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신호 스케일을 PIP(picture in picture) 부화면 출력 스케일로 조정하여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The wired input signal and the wireless input signal are adjusted to a picture in picture (PIP) main screen output scale, and another signal scale is adjusted to a picture in picture (PIP) sub picture output scale to output a picture in picture (PIP) screen. Mobi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케일러로 출력하는 TV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케일러는 상기 방송 신호의 스케일을 조정하여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And a TV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and output the broadcast signal to the scaler, wherein the scaler adjusts the scale of the broadcast signal and outputs the scaled signal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스케일러는,The scaler is, 상기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가 도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무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입력 신호 및 상기 TV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TV 신호를 하나의 화면상에서 동시에 분할 출력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신호 스케일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When the mobile display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are not docked, each of the signals for splitting and outputting the wireless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module and the TV signal received through the TV module simultaneously on one screen Mobi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cale.
KR20-2003-0023523U 2003-07-21 2003-07-21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KR2003312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523U KR200331296Y1 (en) 2003-07-21 2003-07-21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523U KR200331296Y1 (en) 2003-07-21 2003-07-21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296Y1 true KR200331296Y1 (en) 2003-10-24

Family

ID=4941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523U KR200331296Y1 (en) 2003-07-21 2003-07-21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29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342A1 (en) * 2014-12-29 2016-07-07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34998B1 (en) 2011-08-30 2018-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998B1 (en) 2011-08-30 2018-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WO2016108342A1 (en) * 2014-12-29 2016-07-07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80253A (en) * 2014-12-29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35248B2 (en) 2014-12-29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43659B1 (en) * 2014-12-29 2021-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44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aving an external graphics processor system for operating multiple monitors
US2003010756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USB device thereof
US6864891B2 (en) Switching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display adapters in a portable computer system
KR101005094B1 (en) Mobile terminal device, dongle and external display device having an enhanced video display interface
US7519389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20030117343A1 (en) Mobile computer with an integrated micro projection display
JP2010256392A (en) Portable-type computer for connecting external display
KR20100016954A (en) Separated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by wire or wireless
US7254729B2 (en) Processing system and memory module having frequency selective memory
KR200331296Y1 (en) Mobile display apparatus supporting PBP
US200500974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8780348B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TW523666B (en) Display data conversion device
KR100598415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557492B2 (en)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and computer system
TWM617385U (en) Computer system combination and electronic device
JP2000250504A (en) Personal computer system
WO2015190002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060135412A (en) Display apparatus
JP2007200142A (en) Server device, client device and program
KR0171373B1 (en) Multimedia i/o method and apparatus having client server construction
US20060189271A1 (en) Display card with a wireless module
US20090128493A1 (en) Portable computer
KR20190007773A (en) Touch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030093879A (en) Portable digital assistant capable of connecting exter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