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427Y1 - 다출력 무선마이크 - Google Patents

다출력 무선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427Y1
KR200323427Y1 KR20-2003-0016582U KR20030016582U KR200323427Y1 KR 200323427 Y1 KR200323427 Y1 KR 200323427Y1 KR 20030016582 U KR20030016582 U KR 20030016582U KR 200323427 Y1 KR200323427 Y1 KR 200323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wireless microphone
output
wirel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봉균
Original Assignee
류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봉균 filed Critical 류봉균
Priority to KR20-2003-0016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마이크의 출력방식을 다원화하여 오디오나 TV, PC스피커 등 앰프와 스피커가 장착된 모든 음향기기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마이크의 수신부에 출력신호를 오디오, TV, PC스피커 등에 맞도록 오디오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컨버터를 부착한 다출력 무선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TV, PC스피커, 오디오 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기존 음향기기를 이용해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을 단순하게 하고,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출력 무선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무선송신부(1), 무선수신부(2), 오디오컨버터(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출력 무선마이크{A VARIED OUTPUT SIGNAL WIRELESS MICROPHONE}
본 고안은 다출력 무선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V, PC스피커, 오디오 등 서로 다른 오디오 입력신호를 갖는 음향기기를 이용하여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출력 무선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마이크는 전문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설계되어, 무선송수신의 정밀도를 위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TV나, PC스피커, 오디오 등의 음향기기는 자체 앰프와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으나, 각각의 용도에 맞는 오디오 입력신호에 따라 적합한 음향을 출력하도록 개발되어 왔다.
TV는 일반적으로 캠코더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입력단자가 장착되어 있으며,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마이크 입력단자는 없다. 최근 프로젝션TV 등 일부 고가품을 위주로 마이크 입력단자를 장착한 예를 볼 수 있다.
오디오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마이크 입력단자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유무선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출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선마이크의 음성출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고안된 오디오 기기 이외에는 대안이 없기 때문에, 무선마이크 외에 오디오 기기를 구입해야 하는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문 오디오 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 하더라도, 가정용 TV나 학교 교육용 프로젝션TV, PC스피커 등의 음향기기만 있다면 간편하게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다출력 무선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무선송신기, 무선수신기, 오디오컨버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출력 무선마이크의 활용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출력 무선마이크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무선송신부
2 : 무선수신부
3 : 무선수신기
4 : 오디오컨버터
5 : 전원입력단자
6 : 오디오출력단자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도시한 활용도이다.
무선송신기는 음성신호를 고주파로 바꾸고, 무선수신기는 이를 수신하고, 오디오컨버터는 이를 연결할 음향기기에 적합한 출력신호로 변경하고, TV, 오디오 등의 음향기기를 통해 출력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출력 무선마이크를 구조도로 무선송신기, 무선수신기, 오디오컨버터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TV, PC스피커, 오디오 등 모든 음향기기를 이용해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다출력 무선마이크를 제공함으로써 가정이나, 학교, 공공기관, 기업 등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발표자는 다출력 무선마이크만 소지하면 대부분의 발표환경에서 간편하게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음성을 무선으로 TV, 오디오, PC스피커 기타 음향기기에 전달하는 기기에 있어서,
    각 음향기기에 적합한 음성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오디오컨버터가 장착된 무선마이크.
KR20-2003-0016582U 2003-05-28 2003-05-28 다출력 무선마이크 KR200323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82U KR200323427Y1 (ko) 2003-05-28 2003-05-28 다출력 무선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82U KR200323427Y1 (ko) 2003-05-28 2003-05-28 다출력 무선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427Y1 true KR200323427Y1 (ko) 2003-08-19

Family

ID=4933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582U KR200323427Y1 (ko) 2003-05-28 2003-05-28 다출력 무선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4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045B1 (en) Voice control system with a microphone array
KR101071540B1 (ko) 자동으로 페어링 되는 교실용 무선 마이크 시스템
KR101928561B1 (ko) PoE 방식을 사용한 충전식 전원 내장 앰프 내장형 IP 스피커 시스템
CN103237282A (zh) 无线音频处理设备、无线音频播放器及其工作方法
CN205584350U (zh) K歌控制装置及电视机
KR101275891B1 (ko) 퍼블릭 어드레스 블루투스 스피커
US10915292B2 (en) Bluetooth speaker configured to produce sound as well as simultaneously act as both sink and source
CN109658910A (zh) 一种无线k歌系统
KR101544181B1 (ko) 인 이어 이어폰 출력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다이렉트 박스 및 다이렉트 박스 시스템
CN203747954U (zh) 麦克风、以及音频传输系统
KR200323427Y1 (ko) 다출력 무선마이크
US11510007B2 (en) Microphone adapter for wireless audio systems
US9792917B2 (en) Audio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electro-acoustic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CN203014945U (zh) 移动终端
CN203243505U (zh) 电子设备及其内置音箱系统
CN113132883A (zh) 一种集体优听增益系统及集体优听实现方法
CN206260063U (zh) 一种麦克风系统
CN101466057A (zh) 便携式电子装置
CN218734950U (zh) 音频扩音电路、扩音设备及教育一体机
CN220493151U (zh) 扩声装置及显示设备
US20070286431A1 (en) Headset
CN105282310B (zh) 移动装置的声音信号传输方法及其音讯传输系统
JP3237275U (ja) 音声集音器、音声集音機能付き音声送信器、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US11153675B1 (en) Wireless high-fidelity mesh network audio transmission system
CN209746534U (zh) 一种小型便携式耳麦k歌效果增强器及k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