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740Y1 -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 Google Patents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740Y1
KR200322740Y1 KR20-2003-0006331U KR20030006331U KR200322740Y1 KR 200322740 Y1 KR200322740 Y1 KR 200322740Y1 KR 20030006331 U KR20030006331 U KR 20030006331U KR 200322740 Y1 KR200322740 Y1 KR 200322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mission ticket
decorative
ticket
collec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모
Original Assignee
안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모 filed Critical 안경모
Priority to KR20-2003-0006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05Associated digit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컨벤션(Convention), 전시, 공연, 영화, 박람회, 축제등의 각종 문화행사 내지 스포츠 혹은 기타 박물관, 명승고적등의 유료화된 관광지를 관람하기 위해 구입하는 입장권에 그 행사 및 장소의 특성을 부각되게 하는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심미감을 부여되도록 하여, 단순한 일회용 입장수단으로써의 사용범위를 넘어, 자신이 참여 또는 관람한 문화행사 내지 관광지의 기억을 되새기고, 그 기억을 추억으로 영원히 간직할 수 있도록 한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독창적이고 개성적 심미감이 부여된 입장권에 관람비용, 관람날짜, 관람시간, 관람인원수등, 각종 데이타가 입력된 정보 입력부를 구비되도록하여, 일련의 검표작업을 전자 판독장치에 의해 자동 처리되게 함으로써, 종래 매표원에 의한 회수용 표지 수거작업을 배제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회수용 표지 수거작업의 배제로써, 불필요한 인력 및 자원낭비의 문제점을 예방되도록 한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입장권 본체 표면에 관람 대상(문화행사 및 관광지)의 홍보용 이미지를 장식적 배경화면으로 인쇄처리한 화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면부를 형성한 입장권 본체 이면에 안내문 작성부와 마그네틱 띠로 이루어진 정보입력부를 일체로형성하며;
상기, 입장권 본체가 설치되는 보조적 장식 구조물로써, 표면에 장식무늬를 인쇄처리한 보조문양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쇄처리된 보조문양부상에 절개된 관통구조의 입장권 장착홈과, 문자기입란과, 사진부착부를 형성한 장식판을 구비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Multi ticket}
본 고안은 다기능 입장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문화행사 내지 기타 관광명소등의 관람을 위해 구입하는 입장권에 그 행사 및 장소의 특성을 부각시킬수 있는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심미감적 효과를 부여되도록 하여, 단순한 입장수단으로서의 사용범위를 넘어 하나의 장식화된 물품으로 이용될수 있도록 한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벤션(Convention), 전시, 공연, 영화, 박람회, 축제등의 각종 문화행사 내지 스포츠, 혹은 기타 박물관, 명승고적등의 유료화된 관광명소들을 관람하고자 할 경우, 관람객은 해당장소의 매표소에서 소정의 비용을 지불한 후 입장권을 구매하고, 이와같이 구매한 입장권을 행사장(또는 관광지)출입구의 매표원에게 제시하여 일정한 확인절차를 밟게 됨으로써 입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기능과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종래의 입장권은 통상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이는 절취선(10)을 중심으로 일측면에 회수용 표지(20)를 구비되도록 하고, 그 타측면에 해당 행사 및 관광명소등의 간략한 소개 내지 기타 안내문구 등을 인쇄처리한 보관표지(30)를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여, 행사장 및 관광지 입장시 회수용 표지(20)는 절취하여 매표원에게 반납 되도록하고, 보관표지(30)는 관람객이 소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입장권은 회수용 표지를 절취하여 일일이 매표원이 수거하는 구성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이는 회수용 표지 절취 및 수거에 따른 불필요한 노동력의 소모와 함께, 상기 회수용 표지 수거를 위한 매표원의 상시 대기로써, 상당한 인력낭비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수거된 회수용 표지는 단순히 관람객의 입장을 확인하는 정도의 수단으로 이용될 뿐, 수거가 완료된 회수용 표지는 그대로 폐기처분 되는 것으로, 이는 상당한 자원낭비의 문제점 또한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입장권은 수거된 회수용 표지의 자투리 구성, 즉 관람객이 소지하게 되는 보관표지가 내구성이 약한 단순 종이재 구성에 불과하고, 그 보관표지에 표현되는 이미지 구성 또한 단조롭고, 조잡하며, 획일적인 문자 내지 그림등에 한정된 것이었던바, 이에 이와같은 보관표지는 문화행사 내지 관광지를 관람하였다는 증표, 다시말해 영수증 정도의 기능만을 행하는 것일뿐, 어떠한 상징적 의미도, 또한 문화상품으로써의 어떠한 가치도 인정받을 수 없는 단순한 일회용 소모물품에 불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종 문화행사 내지 관광지 관람시 이용되는 종래 입장권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켄벤션(Convention), 전시, 공연, 영화, 박람회, 축제등의 문화행사 내지 스포츠 혹은 박물관, 명승고적등의 유료화된 관광지를 관람하기 위해 구입하는 입장권에 그 행사 및 장소의 특성을 부각되게 하는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심미감을 부여되도록 하여, 단순한 일회용 입장수단으로써의 사용범위를 넘어, 자신이 관람한 문화행사 내지 관광지의 기억을 되새기고, 그 기억을 추억으로 영원히 간직할 수 있도록 한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독창적이고 개성적 심미감이 부여된 입장권에 관람비용, 관람날짜, 관람시간, 관람인원수등, 각종 데이타가 입력된 정보 입력부를 구비되도록하여, 일련의 검표작업을 전자 판독장치에 의해 자동 처리되게 함으로써, 종래 매표원에 의한 회수용 표지 수거작업을 배제되도록 하고, 이와같은 회수용 표지 수거작업의 배제로써, 불필요한 인력 및 자원낭비의 문제점을 예방되도록 한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입장권 본체 표면에 관람 대상(문화행사 및 관광지)의 홍보용 이미지를 장식적 배경화면으로 인쇄처리한 화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면부를 형성한 입장권 본체 이면에 안내문 작성부와 마그네틱 띠로 이루어진 정보입력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입장권 본체가 설치되는 보조적 장식 구조물로써, 표면에 장식무늬를 인쇄처리한 보조문양부를 형성하고, 상기 인쇄처리된 보조문양부상에 절개된 관통구조의 입장권 장착홈과, 문자기입란과, 사진부착부를 형성한 장식판을 구비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입장권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입장권 본체의 배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정보 입력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이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삼실시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입장권 본체 2 : 장식판 11 : 화면부
12 : 안내문 작성부 13 : 정보입력부 21 : 보조문양부
22 : 입장권 장착홈 23,23' : 문자기입란 24,24' : 사진부착부
13' : 바코드 22' : 클립형 장착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입장권 본체의 배면상태도로써 그 구성을 살펴보면;
입장권 본체(1)와, 상기 입장권 본체(1)를 설치되게 하는 장식판(2)를 구비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입장권 본체(1)는 일정한 강도를 갖는 종이판재 또는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이와같은 입장권 본체(1)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표면에 관람 대상의 홍보용 이미지, 즉 다시말해 각종 컨벤션(Convention), 전시, 공연, 영화, 박람회, 축제, 스포츠행사 등의 안내 포스터 내지 그 문화행사에 참여하는 대중 스타의 브로마이드(Bromide : 초상사진), 또는 유료 입장되는 각종 문화유적지 내지 관광지의 자연경관과 건축물등을 실물사진으로 출력하여, 이를 장식적인 배경화면으로 인쇄처리한 화면부(11)를 형성하고, 상기, 화면부를 형성한 입장권 본체(1) 이면에 관람 대상에 대한 설명과 관람객이 지켜야할 준수사항 등을 문자로 기재한 안내문 작성부(12)를 형성하며, 재차 상기 안내문 작성부(12) 하단에 관람비용, 관람날짜, 관람시간, 관람인원수등, 각종 입장에 필요한 데이타를 자기정보로 입력시킨 통상의 마그네틱 띠 구조의 정보입력부(13)를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식판(2)은 전술한 입장권 본체(1)를 장식적인 물품구조로 설치되게 하는 일종의 보조적 구조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장식판 (2)는 그 표면에 다양한 장식무늬를 표현한 보조문양부(21)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문양부(21) 중앙 임의의 위치에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절개된 관통구조의 입장권 장착홈(22)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보조문양부(21) 일측면에 문자기입란(23)과, 사진부착부(24)를 상호 연계된 구조로 구비토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문양부(21)는 전술한 입장권 본체(1)의 화면부(11)와 어우러지는 다양한 이미지(각종 문화행사 내지 관광지를 홍보하는 포스터 등) 표현 구성으로써, 이는 상기 화면부(11)의 배경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은 입장권 본체(1)를 도 2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장식판(2)으로 형성된 입장권 장착홈(22)에 삽입시켜, 장식판(2)의 보조문양부(21)를 통해 입장권 본체(1)의 화면부(11)가 일부 노출되는 결합형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하나의 장식물로 활용되게 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종 문화(컨벤션, 공연, 전시, 영화, 박람회, 축제등) 및 스포츠행사장 내지 관광지의 매표소에서 소정의 비용을 지불한후, 입장권 본체(1)를 구매한 상태하에;
상기 구매한 입장권 본체(1)에 있어, 그 후면에 형성된 정보입력부(13)를 문화 행사장 및 관광지 출입구에 비치된 통상의 자기 판독기(일반 지하철 역사 출입구등에 비치되어 있는 판독기등을 이용)(도시생략)에 밀착시켜 관람비용, 관람날짜 , 관람시간, 관람인원수등의 데이타가 저장된 정보입력부(13)를 통해 자동 검표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이와같이 검표작업을 행한 입장권 본체(1)는 관람객 개개인의 물품으로 소유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문화행사 및 관광지 관람을 마친 관람객은 입장권 본체(1)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장식판(2)에 결합시켜, 화면부(11)와 보조문양부(21)로 인쇄된 장식무늬(이미지)가 상호 어우러진 형태를 취하도록 하고;
이어, 장식판(2)의 보조문양부(21)로 형성된 문자기입란(23)에 관람을 통해 얻은 감동과 느낌을 각자의 개성과 취향에 따라 친필로써 기재하고, 또한 선택적인 결합형태로서, 보조문양부(21)로 형성된 사진부착부(24)에 관람자 개개인의 사진을 부가적으로 부착 또는 인쇄처리하여, 이를 하나의 기념적인 장식물로 보존되게 함으로써, 일련의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사용관계를 갖는 본 고안에 있어, 입장권 본체(1) 이면으로 형성되는 정보입력부(13)는, 자기정보가 입력되는 통상의 마그네틱 띠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5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거래에 널리 이용되는 일반적 바코드(13')를 적용,형성하여, 상기 바코드(13')에 의해 관람비용, 관람날짜, 관람시간, 관람인원수등의 데이타를 입력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의 또 다른 이실시예로서, 이와같은 또 다른 이실시예로서의 본 고안은 도 6로 도시된 바와같이 장식판(2)의 보조문양부(21)로 형성되는 입장권 장착홈(22)을 라운딩 구조로 절개된 클립형 장착홈(22')으로 형성하여, 상기 일실시예로서의 입장권본체(1) 결합시 그 결합부위의 면적을 축소시켜, 입장권 본체(1)의 화면부 (11)가 보조문양부(21)상에서 전면 노출되게 구성할수 있는 것이며;
또 다르게 도 7은 본 고안의 삼실시예로써, 이와같은 삼실시예로써의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은 입장권 본체(1)로 형성된 화면부 (11)일측면에 문자기입란(23')과 사진부착부(24')를 직접적인 인쇄구조로 형성되게하여, 전술한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로 구성된 장식판(2)의 사용없이 입장권 본체 (1)만을 이용하여, 이를 장식용 물품으로 활용되게 할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삼실시예로서의 입장권 본체(1)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통상의 유리 및 합성수지 액자(도시생략)에 수용시켜, 그 보관상태를 고급화 및 견고화 시킬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은 입장권 본체와(1)와 장식판(2)으로 표현되는 다양한 장식무늬(이미지)를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형태로 다양하게 변화(각종 컨벤션, 전시, 공연, 영화, 박람회, 축제, 스포츠행사의 포스터 내지 그 행사에 참여하는 대중스타의 인물사진등)시켜, 이들을 가변적인 형태의 장식물로 활용되게 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것이며, 또 다르게 이와같은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은 단순한 입장권 뿐만 아니라 각종 문화행사의 진행요원으로 참가시, 그 참가자격으로 부여받게되는 네임카드 등에도 적용시켜 그 사용범위를 확대시킬수도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은 컨벤션, 전시, 공연, 영화, 박람회, 축제등의 각종 문화행사 내지 스포츠 및 기타 박물관, 명승고적등의 관광지를 관람하기 위해 구입하는 입장권에 그 행사 및 장소의 특성을 부각되게 하는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심미감을 부여되도록 하여, 단순한 일회용 입장수단으로써의 사용범위를 넘어, 그 기억을 추억으로 영원히 간직 할 수 있는 하나의 장식용 물품으로 활용되게 한 것이며;
또 다르게, 독창적이고 개성적 심미감이 부여된 입장권에 관람비용, 관람날짜, 관람시간, 관람인원수등, 각종 데이타가 입력된 정보입력부를 구비되도록 하여, 일련의 검표작업을 전자 판독장치에 의해 자동 처리되게 함으로써, 매표원에 의한 회수용 표지 수거작업을 배제되도록 하고, 또한 이와같은 회수용 표지 수거작업의 배제로써, 불필요한 인력 및 자원낭비의 문제점을 예방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입장권 본체(1) 표면에 관람 대상(문화행사 및 관광지)의 홍보용 이미지를 장식적인 배경화면으로 인쇄처리한 화면부(11)를 형성하고, 상기 화면부(11)를 형성한 입장권 본체(1) 이면에 안내문 작성부(12)와 마그네틱 띠로 이루어진 정보입력부(13)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입장권 본체(1)가 설치되는 보조적 장식 구조물로써, 표면에 장식무늬를 인쇄 처리한 보조문양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인쇄처리된 보조문양부(21)상에 절개된 관통구조의 입장권 장착홈(22)과, 문자기입란(23)과, 사진부착부(24)를 형성토록 한 장식판을 구비되게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부(13)를 바코드(13')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2)의 보조문양부(21)로 형성되는 입장권 장착홈(232)을 라운딩 절개구조를 이루는 클립형 장착홈(22')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4. 삭제
KR20-2003-0006331U 2003-03-04 2003-03-04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KR200322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331U KR200322740Y1 (ko) 2003-03-04 2003-03-04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331U KR200322740Y1 (ko) 2003-03-04 2003-03-04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493A Division KR100501982B1 (ko) 2003-03-04 2003-03-04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740Y1 true KR200322740Y1 (ko) 2003-08-14

Family

ID=4933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331U KR200322740Y1 (ko) 2003-03-04 2003-03-04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7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s et al. Logo design workbook: A hands-on guide to creating logos
KR100367256B1 (ko) 인쇄물제작방법 및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인쇄물
Arreola Postcards from the Rio Bravo border: Picturing the place, placing the picture, 1900s–1950s
Miller Points of View: Herbert Bayer’s Exhibition Catalogue for the 1930 Section Allemande
KR200322740Y1 (ko)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KR100501982B1 (ko) 장식물품으로 활용되는 소비자 참여형 다기능 입장권
TW492924B (en) A printed matter making method and the made printed matted according the method
Harland Graphic Object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Image of the City
Gill Graphic design as a second language
Albers et al. Private and public images: a study of photographic contrasts in postcard pictures of Great Basin Indians, 1898–1919
KR200405048Y1 (ko) 이미지 티켓
Mahar American signs: form and meaning on Route 66
US20120105874A1 (en) Imaging product layout system
KR19990011953U (ko) 판촉 광고용 카드
Wakita Selling Japan: Kusakabe kimbei's image of Japanese women
KR200353031Y1 (ko) 지폐 모형을 이용한 인쇄물.
Boone A Nimble Arc: James Van Der Zee and Photography
Roberts Second Hand Images: The Role of Surrogates in Artistic and Cultural Exchange
Campbell The façade fills the frame: the uses and meanings of the elevational view
KR200297203Y1 (ko) 복합기능카드
US20030078790A1 (en) Method of increasing awareness of and interest in literacy by display of statue-size book replicas
Herrmann Edinburgh Printmakers and the workshop
Wakita In the Guise of Elusive Veracity: Souvenir Photographs of Meiji Femininity in the Age of Visual Modernity
Shih Whakaahua o Ahumahi Tāpoi ki Aotearoa
Pictures et al. Record Unit 55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