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962Y1 - 쌀겨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쌀겨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962Y1
KR200318962Y1 KR20-2003-0010262U KR20030010262U KR200318962Y1 KR 200318962 Y1 KR200318962 Y1 KR 200318962Y1 KR 20030010262 U KR20030010262 U KR 20030010262U KR 200318962 Y1 KR200318962 Y1 KR 200318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an
screw
mixer
hopp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금순
Original Assignee
신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금순 filed Critical 신금순
Priority to KR20-2003-0010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9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9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겨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겨를 방사나 살포가 가능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농식물 재배나 토양 관리 등의 목적으로 쌀겨의 재활용성과 활용범위를 넓혀 주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는, 상부에 쌀겨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측 동력을 받아 회전하여 상부측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쌀겨를 압축 이송시켜 일방향으로 압축하여 알갱이 입자로 형성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측으로 쌀겨를 공급하기 위해 호퍼의 하부측에 쌀겨공급통로를 가지며, 그 쌀겨공급통로상에서 쌀겨를 교반시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에 연동하는 믹서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쌀겨의 압축 이송을 안내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쌀겨를 압축시켜 내보내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외곽측에 장착되어 쌀겨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멍을 구비하는 판상의 배출판과, 상기 배출판을 통해 연속적으로 빠져나오는 간 가늘고 긴 압축 쌀겨를 균등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의 선단에 장착된 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쌀겨를 작물 재배 면적에 방사나 살포가 가능하여 고 영양분의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알갱이 입자로 가공할수 있다.

Description

쌀겨가공장치{Device of grinding chaffs}
본 고안은 쌀겨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겨를 방사나 살포가 가능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농식물 재배나 토양 관리 등의 목적으로 쌀겨의 재활용성과 활용범위를 넓혀 주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나 기타 식물 재배 등에서 유독성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목적하는 농작물 및 식물 재배가 가능한 유기농 농법은 환경과 토양 오염을 막으면서 음식용 작물재배법으로 이용하는데 적합한 재배방법이다.
유기농 작물 재배를 위해서는 작물 재배생장에 필요로 하는 영양분과 작물을 재외한 다른 잡초 등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제초 관리도 필요하게 된다.
작물 생장과 발육에 필요로 하는 영양분이나 제초 등은 발달된 농업용 화학제를 사용하면 충분한 효과를 거둘수 있지만 위와 같이 오염의 문제와 인체 유해성 때문에 적절한 사용량의 제한이 필요하다. 사용량의 제한이 지켜진다 하더라도 오염과 유해성의 문제를 개선하기는 어렵다. 최근에는 이러한 농약재제의 사용에 따른 토양 및 환경 오염과 인체 유해성 때문에 다양한 유기농 작물 재배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친화적 거름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중 쌀겨는 벼의 탈곡 과정이나 도정과정에서 발생되는 아주 가는 분무입자 상의 알갱이로서, 쌀겨의 성분 자체는 고영양분과 제초효과를 가지고 있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농작물 재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쌀겨는 그 성분이 일정한 유(기름)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분에 접촉하면 그대로 물에 뜨는 현상이 나타나 일정한 장소에 머물지 못하고 물과 함께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거름이나 제초용도로서 이용하는데 제약이 따랐다. 또한, 농작물 재배 대상 면적에 살겨를 방사하거나 살포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쌀겨는 입자가 아주 가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대로 방사하면 약한 바람에도 날라가 버리고, 또한 분무기나 살포기로 살표하더라도 목표점에 살포되지 못하고 그대로 대기중으로 날라가 버려 농작물 재배 면적에 정확하게 쌀겨를 방사하거나 살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쌀겨를 그대로 방치하면 고영양 성분 때문에 조기 부패현상이 일어나 그 처리의 어려움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쌀겨를 방사나 살포가 가능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가공할 수 있는 쌀겨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쌀겨를 방사나 살포가 가능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가공하여 작물재배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토양 작물 재배 용도나 거름으로서 쌀겨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쌀겨가공장치는, 상부에 쌀겨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측 동력을 받아 회전하여 상부측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쌀겨를 압축 이송시켜 일방향으로 압축하여 알갱이 입자로 형성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측으로 쌀겨를 공급하기 위해 호퍼의 하부측에 쌀겨공급통로를 가지며, 그 쌀겨공급통로상에서 쌀겨를 교반시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에 연동하는 믹서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쌀겨의 압축 이송을 안내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쌀겨를 압축시켜 내보내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외곽측에 장착되어 쌀겨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멍을 구비하는 판상의 배출판과,
상기 배출판을 통해 연속적으로 빠져나오는 간 가늘고 긴 압축 쌀겨를 균등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의 선단에 장착된 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쌀겨를 무게가 있는 입자사의 알갱이로 가공할수 있는 쌀겨가공장치를 구성하여 쌀겨를 가공하면 농작물 재배면적에 방사나 살포가 가능하여 고영양분의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제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용도를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집된 쌀겨를 신속하게 재처리하여 사용할수 있으므로 쌀겨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쌀겨가공장치의 배출구측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쌀겨가공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쌀겨가공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의 구동부 및 주요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의 이송스크류를 설명하기 위한 이송스크류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가닥 20:배출판
30:호퍼 40:본체
50:모터 51:감속기
52:축 53:엔드리스체인
54:샤프트 55:체인
56:믹서샤프트 60:이송스크류
61:커터 70:쌀겨공급통로
71:믹서 72:통로
73:배출구멍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쌀겨가공장치의 배출구측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쌀겨가공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쌀겨가공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의 구동부 및 주요 구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성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의 이송스크류를 설명하기 위한 이송스크류의 상세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는, 도 1과 같이, 수집된 분말 입자상의 쌀겨를 쌀겨가공장치의 호퍼에 투입한후 이송크스큐를 구동시켜 회전방향으로 분말 입자상의 쌀겨를 압축함으로서 가느다란 가닥(10)을 배출판(20)을 통해 동시다발상으로 압축하여 배출시키고 그 과정에서 이송스크류에 연동하는 커터로 밀려나오는 가닥을 커팅하여 알갱이 입자(11)상으로 쌀겨를 가공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렇게 가공되는 알갱이 입자(11)는 방사 또는 살포조건에서 바람에 날리지 않을 정도의 무게를 가지며 물의 표면에 뜨지 않아 수류에 딸려 내려가지 않는 정착성을 가짐으로서 경작면에 대한 대규모 살포나 방사가 가능하며 목표점에 대한 방사나 살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는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상부에 쌀겨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30)를 구비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40)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0) 및 모터(50)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51)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측 동력을 받아 회전하여 상부측 호퍼(30)로부터 공급되는 쌀겨를 압축 이송시켜 일방향으로 압축하여 알갱이 입자로 형성하는 이송스크류(60)와, 상기 이송스크류(60)측으로 쌀겨를 공급하기 위해 호퍼(30)의 하부측에 쌀겨공급통로(70)를 가지며, 그 쌀겨공급통로(70)상에서 쌀겨를 교반시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에 연동하는 믹서(71)와, 상기 이송스크류(60)의 회전에 따라 쌀겨의 압축 이송을 안내하여 이송스크류(60)의 회전방향으로 쌀겨를 압축시켜 내보내는 통로(72)와, 상기 통로(72)의 외곽측에 장착되어 쌀겨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멍(73)을 구비하는 판상의 배출판(20)과, 상기 배출판(20)을 통해 연속적으로 빠져나오는 간 가늘고 긴 압축 쌀겨를 균등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60)의 선단에 장착된 커터(61)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80은 알갱이 입자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가이드이고, 81은 배출판을 본체에 장착하는 볼트이며, 82는 낙하되는 알갱이 입자의 튀김을 방지하는 전면커버이다.
상기 구동부는, 도 6과 같이, 감속기(51)의 축(52)과 연결되어 감속기(51)의 회전을 이송스크류(60)와 믹서(71)에 전달하는 엔드레스 체인(53)과, 상기 엔드레스 체인(53)의 동력을 이송스크류(60)에 전달하기 위해 이송스크류(60)로부터 연장된 샤프트(54)와, 상기 샤프트(54)의 일단에 장착되어 샤프트(54)의 회전동력을 믹서(71)에 전달하는 체인(55)과, 상기 체인(55)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을 믹서(71)에 전달하기 위한 믹서 샤프트(56)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스크류(60)는, 도 7과 같이, 구동부측을 기준으로 하는 이송간의 폭간 간격이 넓으며 배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간 간격이 A~E와 같이 협소해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쌀겨가공장치를 분말 상의 입자 투입으로부터 알갱이 입자로 가공하여 배출하는 전 과정을 운전과정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쌀겨가공장치 본체(40)의 상부측에 마련된 호퍼(30)를 통해 수집된 분말 입자상의 쌀겨를 투입하고, 전원을 넣으면, 구동모터(50)가 회전하고 그 모터풀리는 감속기(51)를 회전시키고 감속된 회전속도가 엔드리스 체인(53)을 통해 구동부측으로 전달된다. 엔드리스 체인(53)을 통해 구동부에 전달되는 회전력 저속 회전으로 변환된 상태로서 이 회전력은 이송스크류(60) 및 믹서(71)에 동시에 전달된다.
구동모터(50)의 회전은 최종적으로 이송스크류(60)와 믹서(71)를 저속 회전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부측 호퍼(30)로부터 투입되는 쌀겨는 엔드리스 체인(53)의 회전을 받는 체인(55)을 통해 회전을 전달받아 연동되는 믹서(71)를 통해 쌀겨공급통로(70)상에서 교반 되면서 이송스크류(60)의 초기 이송간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쌓이는 분말입자상의 쌀겨는 이송스크류(6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배출판(20)측으로 밀려나간다. 이때 이송스크류(60)는 다단계로 넓이 간격이 다른 폭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폭간 간격 변화로 배출판(20)측으로 갈수록 분말 입자의 밀도를 높혀가면서 고압축 작용으로 분말입자상의 쌀겨를 압축하면서 이송시킨다.
이송스크류(60)를 따라 연쇄적으로 배출판(20)으로 밀려 나가는 분말상의 쌀겨입자는 배출판(20)의 표면에 닿으면서 그 출구가 되는 배출판(20)에 형성된 배출구멍(73)을 따라 밀려나간다. 이때 고압축으로 이송되는 분말상의 쌀겨는 배출구멍(73)에서 긴 가닥 모양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이송스크류(60)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커터(61)의 회전에 의해 긴 가닥으로 배출되는 쌀겨입자를 규칙적인 크기로 절단하여 알갱이 입자로 된 쌀겨로 배출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는 분말 입자를 이송스크류(60)를 따라 배출판(73)측으로 이송시키면서 밀도와 점도를 높혀가면서 뭉쳐지므로 별도의 보조재 없이 그대로 알갱이 입자로 가공된다. 이송스크류(60)는 통로(72)에서 정규 속도로 회전하는데, 도 7과 같이 분말 입자를 이송시키는 마찰력이 초기와 후기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즉, 초기 단계에서는 분말입자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폭간 간격이 A와 같이 크고, 점진적으로 갈수록 간격이 서서히 줄어들면서 좁아지는 B~E 형태를 가짐으로서, 분말입자가 이송될 때 배출판(20)측으로 갈수록 고열 고압축 작용으로 분말 입자의 점도를 증가시키면서 배출판(20)의 배출구멍(73)을 따라 배출시킨다.
한편, 분말상의 쌀겨를 방사하거나 살포하여 농업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와 같은 쌀겨가공장치를 가동시켜 분말입장사의 쌀겨를 알갱이 입자상으로 먼저 가공한 후 방사하거나 살포하면 알갱이 입자가 어느정도의 무게를 가지므로 바람에 날려 목표점이나 경작면으로부터 벗어나거나 수류에 휩쓸려 떠내려가는 등의 문제 없이 쉽게 방사나 살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쌀겨가공장치는, 쌀겨를 무게가 있는 입자상의 알갱이로 가공할수 있으므로, 농작물 재배면적에 방사나 살포가 가능하여 고 영양분의 거름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쌀겨의 방사나 살포를 경작 대상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거름 및 제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용도의 광범위한 확대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집된 분말입자상의 쌀겨를 신속하게 재처리할 수 있어 쌀겨의 관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에 쌀겨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구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측 동력을 받아 회전하여 상부측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쌀겨를 압축 이송시켜 일방향으로 압축하여 알갱이 입자로 형성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측으로 쌀겨를 공급하기 위해 호퍼의 하부측에 쌀겨공급통로를 가지며, 그 쌀겨공급통로상에서 쌀겨를 교반시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에 연동하는 믹서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쌀겨의 압축 이송을 안내하여 이송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쌀겨를 압축시켜 내보내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외곽측에 장착되어 쌀겨를 가늘고 긴 형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배출구멍을 구비하는 판상의 배출판과,
    상기 배출판을 통해 연속적으로 빠져나오는 간 가늘고 긴 압축 쌀겨를 균등한 입자상의 알갱이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이송스크류의 선단에 장착된 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감속기 축과 연결되어 감속기의 회전을 이송스크류과 믹서에전달하는 엔드리스체인과,
    상기 엔드리스체인의 동력을 이송스크류에 전달하기 위해 이송스크류로부터 연장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장착되어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믹서에 전달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을 믹서에 전달하기 위한 믹서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구동부측을 기준으로 하는 이송간의 폭간 간격이 넓으며 배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간 간격이 협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겨가공장치.
KR20-2003-0010262U 2003-04-04 2003-04-04 쌀겨가공장치 KR200318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262U KR200318962Y1 (ko) 2003-04-04 2003-04-04 쌀겨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262U KR200318962Y1 (ko) 2003-04-04 2003-04-04 쌀겨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962Y1 true KR200318962Y1 (ko) 2003-07-04

Family

ID=4941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262U KR200318962Y1 (ko) 2003-04-04 2003-04-04 쌀겨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9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11B1 (ko) 2013-08-02 2014-10-22 하이에나 (주) 음식물류 폐기물의 고형물을 이용한 펠렛형 사료, 퇴비의 제조장치
WO2023120825A1 (ko) * 2021-12-20 2023-06-29 (주)공간박사 반려동물 사료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11B1 (ko) 2013-08-02 2014-10-22 하이에나 (주) 음식물류 폐기물의 고형물을 이용한 펠렛형 사료, 퇴비의 제조장치
WO2023120825A1 (ko) * 2021-12-20 2023-06-29 (주)공간박사 반려동물 사료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76096U (zh) 一种秸秆覆盖还田机
JP4674350B2 (ja) 畝立て同時局所混合施用機
CN210381833U (zh) 一种综合播种装置
WO2013137752A1 (en) Agricultural sprea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298630B (zh) 一种生物有机专用复肥的制作工艺
JP2011223955A (ja) 耕耘同時施用機
Kumar et al. Resource conserving mechanization technologies for dryland agriculture
KR200318962Y1 (ko) 쌀겨가공장치
KR100740046B1 (ko) 유기질·부산물 퇴비의 두둑 줄 뿌림 장치
CN208029427U (zh) 施肥装置及农田耕作机
Mohan et al. Livestock waste utilization through manure pulverizer cum applicator
KR101503772B1 (ko) 미네랄이 함유된 휴머스를 이용한 천연비료제조장치
KR200478480Y1 (ko) 육묘상자용 비료 살포장치
KR100684295B1 (ko) 유기질 비료와 이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3493099B2 (ja) 成育材料と一体化した種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009378A1 (ja) 除草用粒状固形物、除草用粒状固形物の製造方法、木材粉砕乾燥装置、及び木質ペレットを用いた雑草の防除方法
CN112425295A (zh) 一种农业用松土装置
WO2004049779A1 (en) An apparatus for spreading a granular product
CN220528578U (zh) 一种施肥装置
EP4357322A1 (en) Organic fertilizer preparation system
KR200189618Y1 (ko) 비료살포장치
JP3387598B2 (ja) 吸肥・保肥材、吸肥・保肥ペレットもしくはマット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216102758U (zh) 一种适用于高杆作物的航空智能施药设备
CN212753245U (zh) 一种牵引式破碎抛洒撒肥机
JP3510823B2 (ja) 園芸用培土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