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778Y1 - floor board using bemboo - Google Patents

floor board using bembo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778Y1
KR200315778Y1 KR20-2003-0008754U KR20030008754U KR200315778Y1 KR 200315778 Y1 KR200315778 Y1 KR 200315778Y1 KR 20030008754 U KR20030008754 U KR 20030008754U KR 200315778 Y1 KR200315778 Y1 KR 200315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oard
wooden board
wood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승규
Original Assignee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8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77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778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5Layered panels only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2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1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2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grooves positioned on the rear-side of the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대나무를 편으로 가공하여 상기 대나무와 함께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다른 목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표면이 강하면서도 그 표면에 일반 나무에서는 볼 수 없는 대나무 특유의 마디가 표출되면서 기존 제품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board material using bamboo, by processing bamboo at a relatively low price side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other wood with more cushioning power than bamboo in combination with the bamboo, the surface is strong and the general wood on the surfac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bamboo, which can not be seen in the expression of the existing products will be made.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11)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12)과, 상기 중간 나무판(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13)과,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14) 및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14)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15)으로 구성된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제공한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mboo processing pieces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and the middle wooden board 11, which is made of a whole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is better cushioning than bamboo The upper bamboo board 12 and the upper bamboo board 12 which are bonded horizontally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at plate as a whole, and have the same length as the middle wooden board 11 The lower bamboo board 1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mboo processing pieces ar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wooden bo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nded horizontally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at plate as a whole, the middle wooden board Inserts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bamboo plates 12 and 13 on one side of the long side and one side of the short side of (11), and are used for assembly. The protrusion 14 and the other one of the long side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is formed so as to go inwards than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12, 13 to the assembly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s 14 It is to provide a floorboard using a bamboo consisting of the insertion groove (15) used.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floor board using bemboo}Floor board using bamboo {floor board using bemboo}

본 고안은 실내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마루판재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일반나무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부에 각각 대나무를 접착에 의해 구비시켜 재료비는 절감되면서도 높은 강도가 유지되도록 함과 함께 외부로 보여지는 표면에는 대나무 특유의 아름다운 나무결이 나타나도록 한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floorboards used as indoor flooring, and more specifically, by attaching bamboo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by interposing ordinary wood between them to maintain high strength while reducing material costs. Together with the surface that is seen from the outside, it relates to floorboards made of bamboo, which make beautiful wood texture unique to bamboo appear.

일반적으로 마루판재는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의 거실 바닥재는 물론 사무실의 실내 바닥재로 사용되는데, 시공시에는 마닥면 위로 여러개의 마루판재를 길이 및 폭방향으로 조립하여 전체적으로 모자이크식 배열을 갖도록 한다.In general, floorboards are used as floors of living rooms, such as apartments or detached houses, as well as indoor floors of offices. During construction, the floorboards are assembled in a length and width direction onto the floor to have a mosaic arrangement as a whole.

근래에 들어서면서는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의 고급화에 힘입어 실내 인테리어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거실이나 방바닥을 시공할 때 바닥재로서 자연친화적인 마루판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기 마루판재의 수요 또한 급속히 증가되는 추세에 있고, 더불어 관련 기술의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high quality of apartments and detached houses, the interest in indoor interiors has increased, and most of them use natural-friendly floorboards as flooring materials when constructing living rooms or floor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is also in progress.

먼저 종래 마루판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ventional floorboard material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종래 마루판재 중 일 실시예는 전체가 단일화된 하나의 나무로 이루어진 것이고, 다른 실시예는 합판의 상부면에 원목을 얇게 켜서 만든 무늬판을 접착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상기 종래 일 실시예의 마루판재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가 단일화된 하나의 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One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floorboard material is made of a single united tree, the other embodiment is made by adhering a pattern plate made by turning the wood thi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ywood, the floorboard material of the conventional embodiment As described, there are several problems because the whole consists of a single tree.

즉, 마루판재로 사용되는 나무란 강도가 강하면서도 결이 바르며 색깔이 잔잔한 특수 수종(단풍나무, 너도 밤나무 등)으로서 수령이 수십년은 되어야 하고,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시에는 가격이 폭등되는 현상이 일어나며, 전체 원목중에서 옹이부분 처럼 상품성이 없는 부분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여러가지 이유로인해 원재료비용이 증가되어 제품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대중화가 되지 못하고 일부 부유층에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시공업자가 비용절감을 위해 마루판재의 두께를 조금이라도 얇게한 상태라면 시공후 나무가 건조될 때 전체가 동일한 성질로서 동일방향으로의 휨성을 가지므로 어느 순간 부터는 나무판재가 한쪽으로 휘어지게 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할 수 밖에 없어 이로 인한 다른 문제점(재료비 증가, 무게 증대 등의 가중)을 가지게 된다.In other words, the wood used as floorboard is a special species (strong maple, beech, etc.) that is strong, grainy, and calm in color, and has to be received for several decades. Price is soaring when supply and demand are imbalanced. This is happening, due to various reasons that the non-commercial part like the knot part of the whole wood takes up a large part, the raw material cost is increased, and as the product price rises, it is not popularized and only used by some rich people. If the thickness of the floorboard material is a little thin to reduce the cost, when the wood is dried after construction, the whole property is the same and has the same bending property in the same direction. In order to make the whole thickness thicker It is to have a problem (such as weight of the material cost increase and weight increase).

상기한 일 실시예의 여러 문제점을 감안하여 저렴한 가격에 매우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마루판재가 다른 실시예로 제공되고 있는바, 상기 다른 실시예의 마루판재는 저가의 합판에 얇은 두께로 켜진 무늬판을 접착시켜 시공상태에서는 상기 무늬판 만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시각적 느낌이 마치 일 실시예 처럼 고가인 하나의 나무로 제조된 마루판재와 같도록 한 것으로, 이는 원재료비의 절감에 의해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요소의 하나인 합판은 얇게 켜진 다수겹의 판재가 여러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접착되어 이루어진 상태임을 감안할 때 전체 두께를 필요이상 두껍게 하지 않더라도 시공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건조에 의해 한쪽으로 휨이 일어나지도 않아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view of various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floor board material which is very popular at a low price is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and the floor board material of another embodiment is constructed by bonding a thin plate turned on to a low-cost plywood. In the state, only the pattern plate is display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visual impression of the user is like a floorboard made of a single expensive wood, as in one embodiment, which can produce a low price product by reducing raw material costs. Of course, the plywood,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is bent to one side by drying in the process of use after construction, even though the overall thickness is not thicker than necessary, considering that a plurality of sheets of thinly lit sheets are irregularly bonded in various directions. This does not happen and is popularly used.

그러면 여기서 종래 다른 실시예의 마루판재를 도 2 내지 도 4에 의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n, the floor board member of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follows.

적당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합판(1)이 있고, 상기 합판(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는 조립을 위해 삽입돌기(2)가 형성됨과 함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는 조립을 위해 삽입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합판(1)의 상부면에는 얇은 두께로 켜진 박판상의 무늬판(4)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무늬판의 상부면에는 UV 코팅물질이나 우레탄 코팅물질 등의 도포에 의해 표면보호층(5)이 형성되어 있다.There is a rectangular plywood (1) having a suitable size, the insertion projections (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ng side and one short side of the plywood (1) while the other side of the long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hort side for assembly An insertion groove 3 is formed, and a thin plate-like pattern plate 4 turned on with a thin thickness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ywood 1, and a UV coating material or a urethane coat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plate.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5 is formed by the application of.

또한 상기 합판(1)의 하부면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루판재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이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이 상기 요입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는 것으로,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6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ywood 1 so as to form a checkerboard shape while cross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ich is an adhesive material for fixing the floorboard material when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To enter the recess groove to improve the fixing force, it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판재의 제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oorboard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as follows.

6∼8㎜ 두께에 길이가 약 90㎝ 내외이면서 폭이 약 8㎝ 내외가 되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된 적정한 크기의 합판(1)을 가공에 의해 얻고, 상기 합판과는 별도로 두께가 1㎜ 내외이면서 길이와 폭은 합판(1)과 같은 크기의 무늬판(4)을 가공에 의해 각각 얻은 다음 상기 합판(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으로 삽입돌기(2)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으로 삽입홈(3)을 형성한다.While obtaining a plywood 1 of a suitable siz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that is 6 to 8 mm in thickness and about 90 cm in length and about 8 cm in width, the thickness is about 1 mm apart from the plywood. The length and width are obtained by processing the patterned plate 4 having the same size as the plywood 1, respectively, and then forming the insertion protrusions 2 on one side of the plywood 1 and one side of the side of the plywood 1, and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The insertion groove 3 is formed at the side and the other short side.

이후 상기 합판(1)의 상부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접착제 위로 무늬판(4)을 가볍게 올려 놓고, 이를 열프레스기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가압, 가열시키면 상기 무늬판(4)이 접착제에 의해 합판(1)에 접착된다.Then, after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ywood (1) and then lightly put the pattern plate (4) over the adhesive, it is pressurized and h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heat press for the pattern plate (4) by the adhesive It is bonded to the plywood 1.

계속해서 상기 무늬판(4)의 상부면을 센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센딩 처리한 다음 그 센딩된 표면으로 UV 코팅제나 우레탄 코팅제를 롤코팅에 의해 수회 도포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구조의 마루판재가 제조 완료 된다.Subsequently, the top surface of the pattern plate 4 is smoothly processed using a sender, and then the UV coated or urethane coating agent is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several times by roll coating, followed by drying. Floorboard material of the same structure is manufactured.

한편 상기의 과정에 의해 제조된 마루판재에는 합판(1)의 하부면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6)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제조된 마루판재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상기 마루판재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에폭시 등)이 상기 요입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합판(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요입홈(6)을 형성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고려하여 그 순서가 정해지면 되므로 특별히 어느 한 순서에 고정시킬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순서로는 합판(1)을 구비시킨 이후에 곧바로 수행하거나 아니면 무늬판(4)의 상부면으로 표면보호층(5)을 형성한 이후에 곧바로 수행함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oor board material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may form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6 to form a checkerboard shape while cross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ywood 1, which is the floor board material manufactured In order to allow the adhesive force (epoxy, etc.) to fix the floorboard material to the concave groove when the construction to improve the fixing force,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 (6)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lywood (1) Since the work to be formed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 it is not necessary to fix it in any particular order, but in the preferred order, it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plywood 1 is provided or the pattern plate 4 It is contemplated that this should be done immediately after forming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5 as the upper surface.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마루판재는 합판(1)의 상부면에 얇은 두께로 켜진 무늬판(4)이 접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가격면에서는 저렴하지만 오랜기간 사용하다 보면 상기 무늬판이 부분적으로 자주 벗겨지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부분적으로 보수를 하였을 경우에는 그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과 잘 맞지 않는 경우(탈색 또는 색상차이)가 대부분임에 따라 보기에도 흉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floorboard is conventional in the structure that is bonded to the pattern plate (4) turned on with a thin thickne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ywood (1) is inexpensive in terms of price, but long-term use, the pattern plate is often peeled off partly maintenance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that cost a lot of money, and in case of partial repair, the color of the part does not match well with other parts (discoloration or color differenc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s unsightly.

또한 지금까지 생산되는 대부분의 마루판재는 원목 및 무늬판에 배하여진 무늬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에는 어느 집이나 사무실을 가더라도 거의 동일한 무늬 모양만을 시각적으로 반복해서 보여짐에 따라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되어 사용자의 제품 선호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most floorboards produced so far have to be limited to patterns placed on wood and pattern board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lmost the same pattern is visually repeated in any house or offic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user's product preferences are falling gradually to feel empirical.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대나무를 편으로 가공하여 상기 대나무와 함께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다른 목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표면이 강하면서도 그 표면에 일반나무에서는 볼 수 없는 대나무 특유의 마디가 표출되면서 기존 제품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surface of the bamboo is a relatively low price by processing the side of the bamboo as a combination of the other wood with better cushioning power than bamboo and the surface is strong and its Its purpose is to make the distinction from existing products by expressing the bark unique to bamboo on the surface.

도 1은 마루판재의 사용상태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loorboard material for reference

도 2는 종래 마루판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ventional floorboard cut

도 3은 종래 마루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loorboard material in use state

도 4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t part of the floor board material using the subject innovation bamboo

도 5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board material using the present invention bamboo

도 6은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구성요소인 대나무판의 제조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mboo plat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floorboard material using the subject innovation bamboo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중간 나무판 12. 상부 대나무판11. Middle wooden board 12. Upper bamboo board

13. 하부 대나무판 14. 삽입돌기13. Lower bamboo board 14. Insertion protrusion

15. 삽입홈 16. 표면보호층15. Insertion groove 16. Surface protection layer

17. 요입홈17. Grooving groove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중간 나무판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돼ㅣㄹ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rectangular plate in one whole, the middle wooden board made of a better cushioning power than bamboo,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mboo processing pieces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middle wooden board The upper bamboo board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oden bo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bonded horizontally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n overall flat plate,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mboo processing pieces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The lower bamboo board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wooden bo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horizontally bonded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at plate, and on the one side long side and one side short side of the middle wooden board.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middl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bamboo plate used for assembly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floorboard material using bamboo,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long side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wood board to enter inwardly than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and comprises an insertion groove used for assembly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You can do it.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는,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재로 된 중간 나무판(11)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1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도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12)과, 상기 중간 나무판(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도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13)과,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14) 및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14)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15)과, 상기 상부 대나무판(12)의 상부면에 UV 코팅물질이나 우레탄 코팅물질 등이 도포됨에 따라 형성되어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층(16)으로 구성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loor board material using the bamboo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or board material using the bamboo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board material using the bamboo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made of a single rectangular plate shape made of wood material having better cushioning power than bamboo,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mboo workpieces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The upper bamboo board 12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lso bond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st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at plate as a whole, a plurality of bamboo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It is divided into workpieces and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rizont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lower bamboo plate 13, which forms a flat plate as a whole, a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bamboo plates 12 and 13 on one side of the middle and one side of the middle wooden board 11, The insertion protrusion 14 and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to be used are formed to enter inwards from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12 and 13 on the other long side and the other short side of the other side. Insert groove 15 used for assembly together, and is formed as a UV coating material or a urethane coat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mboo board 12 is composed of a surface protection layer 16 to protect the surface .

또한 상기 하부 대나무판(13)의 하부면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17)이 형성되는데, 이는 마루판재를바닥면에 시공할 때 이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이 상기 요입홈(17)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17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amboo board 13 to form a checkerboard shape while cross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hich is an adhesive material for fixing the floorboard material when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In order to enter the concave groove 17 to improve the fixing force.

상기한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구성에서 상부 대나무판(12)과 하부 대나무판(13) 사이에 있는 중간 나무판(11)은 그 나무결이 상기 상,하부 대나무판(12)(13)의 나무결과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하여 이후 사용 과정에서 주변의 여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일어나더라도 한쪽 방향으로도 휨이 일어나거나 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중간 나무판(11)과 상,하부 대나무판(12)(13)의 나무결은 반드시 서로 교차되지 않더라도 상기 일반나무와 대나무는 그 성질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 과정에서 쉽게 휨이 일어나거나 하지 않음은 이해 가능하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board material using the above-described inventive bamboo, the middle wooden board 11 between the upper bamboo board 12 and the lower bamboo board 13 is the wood texture of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12, 13 Cross to achiev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ood, so that even after shrinkage and expansion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use does not cause bending in one direction, the middle wooden board 11 and the upper, lower bamboo board Although the wood grains of (12) and (13) do not necessarily cross each other, it is understood that warp does not easily occur during use because the general wood and bamboo have different properties.

한편 상,하부 대나무판(12)(13) 사이에 있는 중간 나무편(11)이 상기 상,하부 대나무판(12)(13)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재질이어야 하는 것은, 상기 상,하부 대나무판(12)(13)은 그 재질의 특성상 세포가 치밀하고 강도가 매우 강해 온,습도에 민감함에 따라 수축 및 팽창 편차가 심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함에 있음은 물론 사용 과정에서 가압력이 제공될 때 이를 충분히 흡수하여 완충력을 확보하기 위함에 있는데, 상기 중간 나무편(11)은 바람직하기로 쿠션력이 다른 나무편에 비해 상당히 우수한 오동나무로 만들어짐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Meanwhile, the middle wood pieces 11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mboo plates 12 and 13 should have a better cushioning force than the upper and lower bamboo plates 12 and 13, and the upper and lower bamboo plates The plate (12) (13) is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the cell is dense and very strong strength, sensitive to humidity and shrinkage and expansion deviation is severe, so to compensate for this, as well as to provide a pressing force in the process of use In order to sufficiently absorb and secure buffering force, the intermediate wood piece 11 is preferably made of paulownia wood, which is considerably superior in cushioning force to other wood pieces.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마루판재의 제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oor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a structure in more detail as follows.

길이가 대략 90㎝ 내외인 2∼3년생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서 여러개의 대나무 원편을 구비한 다음 상기 구비된 각 대나무 원편의 겉표면 부분과 속표면부분을 수평상태로 절단하여 약 3∼4㎜ 두께를 가지면서 양면이 평편한 여러개의 대나무 가공편을 구비하고, 상기 여러개의 대나무 가공편이 구비되고 나면 상기 구비된 각 대나무 가공편을 약 8㎝ 정도의 높이 만큼 적층시켜 그 마주보는 면을 접착제로서 접착하여 일체화하는데, 상기 각 내나무 가공편을 접착에 의해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각 내나무 가공편의 접착될 면(도면상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대나무 가공편은 상부면이고, 도면상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대나무 가공편은 하부면이며, 도면상 나머지 대나무 가공편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다)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접착제 도포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각 대나무 가공편을 적층시킨 다음 이를 열프레스기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가압, 가열시켜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2 ~ 3 year old bamboo, which is about 90cm in length, is split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provided with several bamboo circular pieces. Then, the outer surface and inner surface parts of each of the bamboo circular pieces are cut horizontally, and then about 3 to 4 mm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mboo pieces having a thickness and flat on both sides, and after the plurality of bamboo pieces are provided, each of the provided bamboo pieces are laminated by a height of about 8 cm, and the opposite sides are used as an adhesive. In order to integrate each inner piece of wood by bonding, in order to integrate each inner piece of wood by bonding, the surface to be bonded (the bamboo processing piece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awing is the top surface and the topmost bamboo is placed on the drawing) The workpiece is a bottom surface, and the remaining bamboo workpieces in the drawing are top and bottom surfaces, respectively, and then the adhesive is applied. Laminated to each bamboo processing sid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heat them by a press machine, must be heated can be understood.

상기한 과정에서 양면이 평편한 여러개의 대나무 가공편을 구비하기 위해 각 대나무 원편의 겉표면 부분과 속표면 부분을 수평상태로 절단하는 것은, 대나무는 마디를 갖는 빈 원통형이므로 상기 마디를 갖는 원통형 대나무를 쪼개서 구비한 직후의 대나무 원편은 약간 휘어진 상태이면서 겉표면 과 속표면은 물론 마디도 그대로 가지고 있어 후가공 없이 바로 사용한다면 마디를 포함한 겉표면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짐은 물론 대나무 원편이 휘어져 있으므로 인해 압력을 받을 경우 쉽게 쪼개어지기 때문이다.In the above process,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bamboo workpieces with flat surfaces on both sides, cutting the outer surface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portion of each original bamboo piece in a horizontal state, since the bamboo is a hollow cylinder having a node, the cylindrical bamboo having the node The original bamboo after cutting is slightly bent, but has the surface and inner surface as well as the node. If used immediately without finishing, the surface of the surface including the node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product quality is deteriorated. Because it is curved, it breaks easily under pressure.

계속해서 일체화된 상태로 적층된 대나무 가공편을 대략 3㎜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절단기에 의해 반복 절단하면 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이 수평상태로 접착된 형태이면서 직사각판상을 이루는 적정한 크기(두께는 대략 3㎜, 길이는 대략 90㎝, 폭은 대략 8㎝)의 대나무판이 복수개 얻어지게 되는데, 상기 대나무판을 얻기 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에 잘 나타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bamboo workpieces stacked in a unified state are repeatedly cut by a cutter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3 mm, several bamboo workpieces are bond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state and have an appropriate size to form a rectangular plate (thickness is about 3 mm). , A length of approximately 90 cm, a width of about 8 cm) is obtained a plurality of bamboo plates, the process to obtain the bamboo plate is well shown in FIG.

또한 상기 과정에 의해 대나무판을 얻는 것과는 별도로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를 가공하여 대나무판과 동일한 규격을 가지면서 상기 대나무판과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나무결이 배열된 중간 나무판(11)을 얻는다.In addition to obtaining a bamboo board by the above process to process a wood having a better cushioning power than bamboo and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s as the bamboo board while the middle wood board 11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crossing the bamboo board 11 Get

이와 같이 하여 대나무판과 중간 나무판(11)이 얻어지면, 상기 구비된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함과 함께 상기 중간 나무판에 접촉될 대나무판의 일면으로도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중간 나무판(11)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부면에 각각 대나무판을 위치시켜 가접착시키고, 이를 열프레스기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가압, 가열시키면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상부면으로 상부 대나무판(12)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으로 하부 대나무판(13)이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 대나무판(12)을 구비하기 위해 대나무판을 중간 나무판(11)의 상부면으로 접착시킴과 함께 하부 대나무판(13)을 구비하기 위해 대나무판을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으로 접착시킬 때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이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중간 나무판(11)에 대해 상,하부 대나무판(12)(13)을 장변측 및 단변측으로 엇갈리게 하면 상기 튀어나온 부분이 삽입돌기(14)를 형성하게 됨은 물론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이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중간 나무판(11)에 대해 상,하부 대나무판(12)(13)을 장변측 및 단변측으로 엇갈리게 하면 상기 들어간 부분이 삽입홈(15)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bamboo board and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is obtained in this way, the adhesiv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bamboo boar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together with the adhesiv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ovided intermediate wooden board. After application,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s 11 are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s 11, and then temporarily bonded to each other by pressing and heating them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heat press. An upper bamboo plate 12 is provided 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bamboo plate 13 is provided as a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wooden board 11. The middle wood is a bamboo board to provide the upper bamboo board 12. One side long side of the middle wooden board 11 when bonding the bamboo boar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wooden board 11 to b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11 and to provide a lower bamboo board (13) One side short side is upper and lower When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12 and 13 are staggered with respect to the middle wood board 11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wood boards 12 and 13 to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the protru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4. Of course, the other one of the long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wooden board 11,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12, 13, so as to enter inwards than the middle wooden board 11, When the lower bamboo boards 12 and 13 are staggered to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the recessed portion forms the insertion groove 15.

이후로 상기 상부 대나무판(12)의 상부면을 센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센딩 처리한 다음 그 센딩된 표면으로 UV 코팅제나 우레탄 코팅제를 롤코팅에 의해 수회 도포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 도 4 내지 도 5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가 제조 완료된다.There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mboo plate 12 is smoothly processed using a sender, and then the UV coated or urethane coating is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several times by roll coating, followed by drying. Floorboard material using a bambo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5 is completed.

한편 상기의 과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에는 하부 대나무판(13)의 하부면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17)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제조된 마루판재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상기 마루판재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에폭시 등)이 상기 요입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하부 대나무판(13)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요입홈(17)을 형성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고려하여 그 순서가 정해지면 되므로 특별히 어느 한 순서에 고정시킬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순서로는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에 하부 대나무판(13)을 구비시킨 이후에 곧바로 수행하거나 아니면 상부 대나무판(12)의 상부면으로 표면보호층(16)을 형성한 이후에 곧바로 수행함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loorboard material using the bamboo produced by the above process to form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17 to form a checkerboard shape while crossing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amboo board 13, which is manufactured When the floorboard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the adhesive material (epoxy, etc.) for fixing the floorboard material enters into the recess groove so that the fixing force is improved, and a plurality of lower surfaces of the lower bamboo plate 13 are provided. Work to form the two recessed grooves 17 is not necessary to be fixed in any particular order because the order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or's convenience, but in the preferred order the lower bamboo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wooden board (11) Immediately after the plate 13 is provided or immediately after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mboo plate 12. Is thought that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서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11)은 오동나무로 함이 바람직 할 것인데, 이는 오동나무가 다른 나무에 비해 쿠션력이 상당히 우수하므로 사용과정에서 가압력이 제공될 경우 이를 충분히 흡수하여 완충력을 확보기 때문임은 물론 상기 쿠션력을 위해 휨력을 탄력적으로 상쇄시켜 휘어짐을 방지하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middle wooden board 11 made of wood having a better cushioning power than bamboo is made of paulownia wood. This is because if the pressing force is sufficiently absorbed to secure the buffering force, the bending force is prevented by elastically canceling the bending force for the cushioning force.

그러므로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대나무와 상기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다른 목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대나무가 상부면인 표면으로 표출되도록 함에 따라 표면이 강하면서도 그 무늬가 일반 나무에서는 볼 수 없는 특유의 마디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고정관념이 탈피되면서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이는 곧바로 상품의 고급화로 이어져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floorboard material using the bamboo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elatively inexpensive bamboo and other wood having a better cushioning force than the bamboo, so that the bamboo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urface is strong and its pattern is general. As it has a unique node that can not be seen in trees, it is differentiated by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stereotypes, which leads to the high quality of the product, which increases the added value.

또한 대나무와 상기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의 조화로 인해 오래도록 사용하여도 어느쪽으로 던지 휨이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표면에 흠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소비자에 의한 제품의 이미지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harmony of bamboo and wood with a better cushioning force than the bamboo,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does not cause any warping, as well as the surface does not easily scratch, there is also an effect of increasing the image of the product by the consumer.

Claims (3)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과,The middle wooden board which is made of rectangular one-piece whole board and cushions better than bamboo,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과,The upper bamboo boar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mboo processing pieces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middle wood board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wood bo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nded horizontally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at plate as a whole and,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과,The lower bamboo boar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mboo processing pieces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middle wood board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wood bo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orizontally bonded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at plate as a whole and, 상기 중간 나무판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중간 나무판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I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on one side of the long side and one short side of the middle wooden board, the insertion projection used for assembly and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wooden board and the other side of the short side, It is formed to enter inwards from the lower bamboo plate floorboard material using bamboo,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sertion groove used for assembly with the insertion proj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중간 나무판은 오동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The middle wood board is a floor board using bamboo, characterized in that the paulownia woo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중간 나무판과 상,하부 대나무판은 그 결이 서로 교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The middle wooden board and the upper and lower bamboo boards are floorboards using bamboo, characterized in that their grains cross each other.
KR20-2003-0008754U 2003-03-24 2003-03-24 floor board using bemboo KR2003157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54U KR200315778Y1 (en) 2003-03-24 2003-03-24 floor board using bembo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54U KR200315778Y1 (en) 2003-03-24 2003-03-24 floor board using bembo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207 Division 2003-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778Y1 true KR200315778Y1 (en) 2003-06-11

Family

ID=4933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54U KR200315778Y1 (en) 2003-03-24 2003-03-24 floor board using bembo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778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078B1 (en) * 2004-05-06 2006-04-24 주식회사 동문마루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loor board to use bamboo
KR100847004B1 (en) 2007-12-18 2008-07-21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Method for manufacturing natural bamboo floor and bamboo floor using the same
KR101326369B1 (en) 2008-09-03 2013-11-11 (주)엘지하우시스 Plywood floor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078B1 (en) * 2004-05-06 2006-04-24 주식회사 동문마루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loor board to use bamboo
KR100847004B1 (en) 2007-12-18 2008-07-21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Method for manufacturing natural bamboo floor and bamboo floor using the same
KR101326369B1 (en) 2008-09-03 2013-11-11 (주)엘지하우시스 Plywood floo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469B2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US20060024465A1 (en) Laminate flooring members
US20050281986A1 (en) Flooring having surface layer of synthetic resin and wood-based board
CA2435673C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US7597947B2 (en) Veneered panel
KR200315778Y1 (en) floor board using bemboo
JP3068380B2 (en) Decorative flooring
CN211994515U (en) Composite board with adjustable concave-convex and bending surface
JP3101661B2 (en) Decorativ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7307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loor board to use bamboo
KR20030009923A (en) Laminated flooring, laminated wood,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KR200358864Y1 (en) Floor board to use bamboo
EP4338956A1 (en) Methods of producing laminate boards
KR100967051B1 (en) Prefabrication floor
CN211313225U (en) Solid wood thick core base material plate
KR20040001390A (en) Method for Producing Floor Panel and Floor Panel Thereof
JP2023043464A (en) Decorative sheet with natural wood grain pattern
KR10167540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ywood
KR200293422Y1 (en) Wooden floor to express pattern to nature pattern wood
KR200189929Y1 (en) Chair using melamine cosmetic sheet
KR200345408Y1 (en) inlaid work decoration boards
JP3081829B2 (en) Floorboard
JPH0249300Y2 (en)
JPH049125Y2 (en)
JP2024072076A (en) Wood flooring, manufacturing method for wood flooring, and wood board-shaped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