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823A -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823A
KR20030094823A KR1020020032144A KR20020032144A KR20030094823A KR 20030094823 A KR20030094823 A KR 20030094823A KR 1020020032144 A KR1020020032144 A KR 1020020032144A KR 20020032144 A KR20020032144 A KR 20020032144A KR 20030094823 A KR20030094823 A KR 2003009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nmanned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명국
Original Assignee
한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국 filed Critical 한명국
Priority to KR102002003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4823A/en
Publication of KR2003009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82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unmanned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ntrolling method are provided to control and manage effectively parking states of vehicles by assigning parking positions within a parking area to members and monitoring the parking positions. CONSTITUTION: An unmanned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50), an image recognition camera(10), a wireless gateway server(40), a position server(30), and a parking control server(20).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5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a telephone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cted from a predetermined cell region. The image recognition camera(10) is used for photographing continuously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and sensing states of vehicles by using the image recognition algorithm. The wireless gateway server(4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50) in order to transmit or receive the data. The position server(3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gateway server(40) to calculate the distance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arking position of the parking area. The parking control server(20) is used for sensing and monitoring parking states of the vehicles.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 및 영상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와 주차구역 내에서의 차량 출입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차량의 주차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parking of a vehicle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the access of a vehicle in a parking are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mage recognition camera.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주차차량을 관리하고 그에 따른 주차요금을 부과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주차장 운영방식은 여러 명의 주차 관리원이 상주하여 차량의 주차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체크하여 차량의 출차시 주차요금을 직접 징수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주차장 운영방식에서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주차 관리원의 수기 오류 및 주차요금의 불법유용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As is well known, the conventional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that manages the parking vehicle and charges the parking fee accordingly is carried out by several parking attendants who check the parking start time and end time of the vehicle to directly check the parking fee when the vehicle leaves. It is operating in the form of coll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manpower in such a general parking lot opera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such as handwriting errors of parking officers and illegal use of parking fees.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주차장 운영 및 관리에 따른 상당 부분을 자동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면 루프 감지기와 주차 카드 발행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출입 시간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차량의 출차시 주차 요금을 전산처리 과정을 통해 정산함으로써, 주차장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인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can automate and handle a large part of the parking lot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example, the access time of a vehicle using a loop detector and a parking card issuer has been developed. By automatically recording the number of cars and paying the parking fee when the vehicle leaves, the process minimizes the overall manpower required for parking lot management.

한편, 최근에는 기등록된 차량에 대해서 주차를 허용하거나 등록된 차량에 대해서 지정된 주차공간을 부여하여 주차를 허용하는 등의 다양한 주차장 운영방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주차장 운영방식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주차관리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various parking lot operation methods have been attempted such as allowing parking for a registered vehicle or allowing a parking by assigning a designated parking space to a registered vehicl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parking management personnel because it can not be applied to a new type of parking lot operation.

즉, 종래의 개선된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에서도 진입한 각각의 차량이 지정된 주차면에 주차하는지 아니면 주차장 내에 화물전용영역이나 장애자, 귀빈석 등과 같은 금지장소에 무단으로 주차하는지를 감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만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주차영역마다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여 관리자가 이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많은 초기 설비비용 및 관리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That is, even in the conventional improved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onitor and manage whether each vehicle that enters is parked on a designated parking surface or illegally parked in a prohibited area such as a cargo-only area, a handicapped person, an VIP seat, etc. in a parking lot. d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f a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in each parking area and the administrator continuously monitors it, another problem arises in that a lot of initial facility costs and management personnel are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출원 제2000-61754호에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출입에 따른 주차 여부를 인식하여 이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리방법"을 제공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can recognize and park the car according to the entry / exit of the vehicl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0-61754 and automatically manage it.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Was provided.

상기한 선행특허에서는 각 주차회원이 특정 위치에 차량을 주차한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주차관제 서버에 다이얼링을 수행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차관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each parking member parks the vehicle at a specific location, and then performs parking control of the vehicle by notifying the parking control server by dialing the parking control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ystem and method are provided.

하지만, 상기한 선행 특허에서는 운전자가 매번 주차시마다 다이얼링을 시도해야만 주차관제 서버에서 운전자의 주차 여부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운전자의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the driver has to try dialing every time, so the parking control server can recognize whether the driver is park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한 다음, 영상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이 지정된 주차 위치에 주차하는지를 자동으로 감지 및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using the image recognition technique to locate the vehicle in the designated parking pos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d controlling park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가입된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의 기설정된 소정 셀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물체의 이동을 검출하는 영상인식 알고리즘과 기준 이미지 데이터를 기저장하며, 복수개의 주차면으로 그룹핑된 소정의 주차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상기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전송하는 영상인식 카메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소정의 주차면에 대한 위치를 비교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위치 서버; 및, 다수의 주차회원에게 각 주차면을 지정하며,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전화번호가 제공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주차면에 대한 위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서버로 제공하여 거리 산출을 요구하며,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산출된 거리에 대응하는 주차면 도달 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를 통해 상기 예상시간 내에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하는 지를 감시하는 주차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ach parking member subscribed to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is detected in each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ell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transmitte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mage recognition algorithm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the reference image data is pre-stored, an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planes to detect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detection Image recognition camera to transmit the result; A wireless gateway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 lo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gateway server and calculating a distance by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ocation of a predetermined parking surface; And assigning each parking surface to a plurality of parking members,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Provides the location serv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quest a distance calculation, calculates an estimated parking time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location server, and estimates the estimated time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It provides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arking control server for monitoring whether a vehicle parks on the parking surf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며, 복수개의 주차면으로 그룹핑된 소정의 주차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영상인식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인 주차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상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각 주차회원에게 각각의 주차면을 지정하여 기록하는 제 1 단계; 상기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및 상기 각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각 주차면에 대한 위치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각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상기 각 주차면에 대응하는 각각의 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설정된 각각의 셀 영역에 진입하는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진입 여부 및 위치정보가 통보되면, 상기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주차회원에게 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위치 및 상기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도달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예상시간 내에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로부터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여부가 통보되면 상기 주차면에 대해 정상 주차를 기록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방법을 제공한다.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video recognition camera that continuously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nd detects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rough an image recognition algorithm. A method of performing unmanned parking management by using a first step of record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f each parking member, and designating and recording each parking surface to each parking member;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f each parking member and a location of each parking surface assigned to each parking me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hird step of setting each cell area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surface assigned to each parking me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heck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ach parking member enters each of the set cell areas; I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notified of the entry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n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urfa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et for the park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arbitra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ared to the parking surface. A fourth step of calculating an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the vehicle; And a fifth step of recording normal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when the parking recognition is notified of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within the expected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DB(22)의 내부 데이터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FIG. 2 exemplarily shows an internal data table of the parking DB 22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방법에 있어서의 초기 주차면 등록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process 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무인 주차관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process performed 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영상인식 카메라11 : 영상촬영 모듈10: video recognition camera 11: video recording module

12 : 영상인식 모듈13 : MPU12: Image Recognition Module 13: MPU

14 : 영상압축 모듈15 : 통신 모듈14: video compression module 15: communication module

20 : 주차관제 서버21 : 회원 DB20: parking control server 21: member DB

22 : 주차 DB23 : 인증 DB22: parking DB23: certification DB

30 : 위치 서버31 : 위치 판단부30: location server 31: location determination unit

32 : 거리 산출부40 :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32: distance calculator 40: wireless gateway server

41 : ARS 처리부42 : SMS 처리부41: ARS processing unit 42: SMS processing unit

50 : 이동통신 시스템51, 52 : 이동통신 기지국50: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1, 52: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60 : 이동통신 단말기6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영상인식 카메라(10), 주차관제 서버(20),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30), 위치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은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50)과 연계되어 동작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parking control server 20, wireless gateway server 30, location server 40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as shown in FIG.

동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수단에 대해 설명하면, 영상인식 카메라(10)는 주차장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의 각 주차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차량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주차장의 전체 면적에 따라 다수개의 카메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초기 설비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나의 영상인식 카메라가 다수개의 주차면을 촬영하고 각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개의 주차면을 하나의 주차영역으로 그룹핑(Grouping)하고 각 주차영역에 대응하여 영상인식 카메라(10)를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each component means is described,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rking lot to continuously photograph each parking area in the parking lot an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total area, it can also consist of multiple cameras. In this case, in order to minimize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it is preferable that one image recognition camera is configured to photograph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nd detect a vehicle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That is,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may be grouped into one parking area and an image recognition camera 10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area.

이러한 영상인식 카메라(10)는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 모듈 (11), 영상인식 모듈(12), MPU(Main Processor Unit)(13), 영상압축 모듈(14) 및 통신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may include an image photographing module 11, an image recognition module 12, a main processor unit (MPU) 13, an image compression module 14,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영상촬영 모듈(11)은 광학계, CCD 등과 같은 영상촬영 수단 및 야간촬영을 위한 각종 필터 및 광 증폭 렌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당 주차영역을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촬영한다.The image capturing module 11 includes an image capturing means such as an optical system, a CCD, and the like, various filters and optical amplification lenses for night photographing, and photographs the parking area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그리고, 영상인식 모듈(12)은 영상촬영 모듈(11)에 의해 촬영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주차영역 내의 각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이며, 이를 위하여 차량 인식을 위한 알고리즘 및 각종 기준 데이터(무주차 상태의 주차영역 이미지데이터, 차량 이미지데이터 등)를 프로그램 형태로 내부에 저장한다. 이러한 차량 인식 알고리즘의 일 예로는, 소정 주기단위로 영상을 촬영하고 이전에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여 변화된 영상을 검출한 다음, 변화된 영상과 기준 데이터와의 일치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차량의 주차 또는 출차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영상 인식 기술에 있어서 극히 일부 기술에 대한 예일 뿐이며, 최근에는 보다 더 고도화된 영상 인식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바, 이러한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The image recognition module 12 is a means for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a vehicle for each parking surface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by analyzing the digital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module 11. Algorithm and various reference data (parking area image data of no parking state, vehicle image data, etc.) are stored therein in the form of a program. An example of such a vehicle recognition algorithm is to take an image at predetermined intervals, detect a changed image by comparing it with a previously photographed image, and calculate a matching ratio between the changed image and referenc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r unloaded. How to determine the Such an example is only an example of very few techniques in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and in recent years, a more advanced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has been widely spread,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using such an image recognition algorithm.

MPU(13)는 영상인식 카메라(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로서, 영상인식 카메라(10) 내의 각 구성수단의 동작 및 각 구성수단 간의 상호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특히, MPU(13)는 영상인식 모듈(12)로부터의 차량인식 결과에 따른 각 주차면의 주차 여부를 통신모듈(15)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주차관제 서버(20)에 전송한다.The MPU 13 is a control processor that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The MPU 13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and mutual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MPU 13 transmits the parking control of the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the vehicl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12 to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wirelessly or by wir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

영상압축 모듈(14)은 MPU(13)의 제어하에 영상촬영 모듈(11)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과정을 거쳐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신모듈(15)은 영상압축 모듈(14)을 통해 압축된 영상 데이터 및 영상인식 모듈(12)로부터의 인식 결과를 MPU(13)의 제어 하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영상압축 모듈(14)은 MPU(13)의 제어 하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촬영된 영상을 압축하여 통신 모듈(15)을 통해 후술하는 주차관제 서버(2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compression module 14 compress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module 11 under the control of the MPU 13 to enable real-time data transmission us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width through a predetermined compression process. The communication module 15 wirelessly transmits the image data compressed through the image compression module 14 and th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12 under the control of the MPU 13. When the image compression module 14 cannot accurately identify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under the control of the MPU 13, the image compression module 14 compresses the captured image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 It is desirable to.

통신 모듈(15)은 주차관제 서버(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서, 필요에 따라 유선통신 모듈 또는 무선통신 모듈로 구성이 가능하며 주차관제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5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and may be configured as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s necessary, and performs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Will perform.

한편, 도 1에 도시된 주차관제 서버(2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동시에 주차요금의 정산 및 결재를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주차관제 서버(20)는 영상인식 카메라(10)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내부의 저장수단에 기록하게 되는데, 이때 DVR(Digital Video Recorder)를 이용하여 영상을 기록하고 기록된 영상의 확대/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shown in Figure 1 is a means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processing and settlement of the parking fe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a server system that contains various control programs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records the image data compressed and transmitt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to an internal storage means. At this time, the video is recorded and recorded using a DVR (Digital Video Recorder). It is desirable to enable enlargement / reproduction of the captured image.

이러한 주차관제 서버(20)는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DB(21), 주차 DB(22) 및 인증 DB(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회원 DB(21)는 다수의 주차회원에 회원명, 차량번호, 차종, 이동통신 전화번호, 주소, 결재계좌 등과 같은 회원 신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며, 각 주차회원에게 기지정된 주차면 번호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는 기등록된 다수의 주차회원에게 주차위치를 지정하여 주차를 허용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주차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ncludes a member DB 21, a parking DB 22, and an authentication DB 23, as shown in the drawing. First, the member DB 21 includes a plurality of parking members. Member'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member's name, vehicle number, model, mobile phone number, address, payment account, etc. are stored in the form of database, including the parking surface number assigned to each parking member. That is, 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king lot is operated in a form that allows parking by designating a parking location to a plurality of registered parking members.

그리고, 주차관제 서버(20)에 포함된 주차 DB(22)는 각 주차영역 및 각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점유(주차) 여부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기록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이 주차 DB(22)에 기록된 정보는 차량의 진출입에 따라 수시로 갱신되는데, 도 2는 이러한 주차관제 서버(20) 내의 주차 DB(22)를 구성하는 각각의 데이터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주차구역 테이블(22-1)과 차량유무 테이블 (22-2)을 도시하였다.In addition, the parking DB 22 included i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s a means for record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ccupied (parked) in each parking area and each parking surface in a database form. Therefore,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arking DB 22 is updated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FIG. 2 exemplarily shows each data table constituting the parking DB 22 i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As a figure, the parking area table 22-1 and the vehicle presence table 22-2 are show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주차구역 테이블(22-1)은 일종의 전자 위치관계도표로서 주차장의 각 주차구역 내에 포함된 다수의 주차면에 대한 정보가 좌표 또는 번호 형태로 기록되는 일종의 룩업(look-up)테이블이다. 그리고, 차량유무 테이블(22-2)은 영상인식 카메라(1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인식 결과에 따라 각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존재 유무 및 주차된 차량의 정보(주차카드 번호)가 기록되는 데이터 테이블이다. 결국, 주차 DB(22)는 이러한 주차구역 테이블(22-1)과 차량유무 테이블(22-2)의 조합으로부터 각 주차구역 및 주차면에 대한 실시간 주차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parking area table 22-1 is a kind of electronic positional relationship diagram, which is a kind of lookup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included in each parking area of the parking lot is recorded in the form of coordinates or numbers. -up) table. In addition, the vehicle presence table 22-2 is a data table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and information (parking card number) of the parked vehicle are recorded according to the vehicle recogni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to be. As a result, the parking DB 22 records real-time parking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zone and parking surface from the combination of the parking zone table 22-1 and the vehicle presence table 22-2.

그리고, 도 1의 주차관제 서버(20)에 포함된 인증 DB(23)는 각 운전자의 초기 주차회원 가입시 각각의 운전자에게 부여되는 주차위치(주차면) 및 주차 승인 결과 등을 기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DB 23 included i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of FIG. 1 records the parking position (parking surface) and the parking approval result which are given to each driver when the initial parking member of each driver is registered.

위치 서버(30)는 운전자 즉, 기등록된 주차회원 차량의 위치 정보를 검출 및 판단하여 주차관제 서버(20)로 통보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5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위치 정보를 공유한다.The location server 30 is a means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driver, that is, a registered parking member vehicle, and notifying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n particular, the location server 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by wire or wirelessly. Shar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이러한 위치 서버(30)는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판단부(31), 거리 산출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먼저 위치 판단부(31)는 기등록된 주차회원의 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주차회원이 자신에게 기부여된 주차면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해당 주차면의 위치와 주차회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거리 산출부 (32)로 전송한다. 이때, 위치 판단부(31)는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위치에 의거하여 운전자(주차회원)의 위치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전자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 시스템(50)으로부터 제공받는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location server 30 includes a position determining unit 31 and a distance calculating unit 32, as shown in the same drawing. First,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31 determines a location of a registered parking member. As a means for detecting, in particular, when the parking member approaches the parking surface donated to him,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urface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arking member are grasped and transmitted to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 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31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driver (parking memb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dri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mobile communication Provided by the system 5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거리 산출부(32)는 상술한 위치 판단부(31)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위치정보와 해당 운전자에게 부여된 주차면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수단이다. 즉, 기등록된 주차면과 위치 판단부(31)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시/공간적으로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면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있는가를 산출하게된다.The distance calculator 32 is a means f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ed from the position determiner 31 and the parking surface given to the driver. That is, by comparing the previously registered parking surfac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ovided from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31 with each other, it is calculated how far apart from the parking surface of the user's vehicle in time and space.

도 1에 도시된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는 통상의 이동통신 시스템(50)과 연결되어 주차관제 서버(20)의 제어 하에 다양한 안내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 (50)을 통해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and transmits various guide messages to the dri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under the control of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60) to transmit.

또한,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는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S 처리부 (41)와 SMS(Short Message Service) 처리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통신 시스템(50)을 통해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가 접속되면 소정의 음성안내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통신 시스템(5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60)로부터 입력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주차관리를 수행하고 이를 주차관제 서버(20)로 통보한다. 이러한 ARS 처리부(41)와 SMS 처리부(42)는 최근에 널리 이용되는 일종의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보드(Board)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하며, 이동통신 시스템 (50)과 연계되어 본 발명에 따른 SMS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includes an ARS processing unit 41 and a Short Message Service (SMS) processing unit 42,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When the terminal 60 is connected, it transmits a predetermined voice guidance message or text message, recognizes a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and parking accordingly. The management is performed and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s notified of this. The ARS processing unit 41 and the SMS processing unit 42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using a kind of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TI) board, which is widely used recently, and is link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MS message or voice guidance message according to.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50)은 CDMA 또는 GSM 방식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무선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상의 시스템으로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HLR(Home Location Register),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등 다양한 구성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사항이며 동도면에서 이를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is a conventional system for provid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a plurality of mobile subscribers using a CDMA or GSM method, such as switch, base station controller, HLR (Home Location Register), VLR (Visitor) Althoug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ariety of configuration means such as a location register, such a configuration is a general matter that is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even if omitted in the figure it will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동도면에 도시된 다수의 기지국(51, 52, …)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60)와 이동통신 시스템(50)간의 무선 신호를 중계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51, 52, ... shown in the same figure also serve as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generally provid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 radio signal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Rela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인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iver by using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requir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50)에서는 임의의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초기 가입처리 과정에서 이동통신 가입자의 신상정보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를 함께 기록한 다음,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전화번호를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이 MIN 코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체에 부여된 일종의 고유번호로서,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이 턴 온되면 이 MIN 코드가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MIN 코드를 수신 및 분석하여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그 판별 결과,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판별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처리를 수행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records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c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gether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subscriber in the initial subscription process for an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and then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he phone number for the terminal will be recorded. Here, the MIN code is a kind of unique number assig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the MIN cod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MIN code is received and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gistered, the subscriber may be provid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process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50)에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록하게 되는데, HLR 또는 VLR에 기록하게 되는데, 이때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Cell)을 관할하는 기지국의 위치가 기록되었으나,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내장됨으로써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확한 좌표의 추적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record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recorded on the HLR or VLR. In this cas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that manages the cell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s recorded. In recent years, since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unction is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urate coordinate tracking of the act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ossible.

그리고, 주지하다시피 가입자가 이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즉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셀 영역을 관할하는 다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신호(MIN 코드 포함)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핸드오버(Hand-over) 기능을 통해 이동통신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변경된 위치정보를 해당 VLR에 기록함으로써 가입자의 이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게 된다.And, as is well known, when the subscriber moves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nged,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o another cell area, a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which is in charge of the cell area. (Including the MIN code)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nables the mobile subscriber to continuously receiv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hand-over function. At this tim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pdated in real time by recording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rresponding VLR.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에게 부여된 주차면이 위치한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ocation tracking func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river, it is monitored in real time whether the driver moves to the cell area in which the parking surface assigned to hi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이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전제하에 각 운전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에서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less parking management system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each driver carries his mobile terminal under the premise of sh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방법을 수행하기에 앞서 각 운전자가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주차회원으로 가입하고, 자신에게 부여된 주차위치(주차면)를 최초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FIG. 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each driver as a parking member to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first registering a parking position (parking surface) assigned to the driver before performing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hart.

동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주차 관제서버(20)에서는 주차회원으로 가입하는 각각의 운전자에 대해서 소정의 주차위치(주차면)를 지정하고 해당 주차면의 번호를 인증 DB(23)에 기록하고, 운전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상정보를 회원 DB(21)에 기록한다(단계 S301). 여기서, 이러한 주차회원 가입은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가입은 서면에 의한 오프라인 형태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운전자에게 주차장 이용시간을 미리 설정하도록 하여 설정된 주차시간에만 주차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해당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에게 주차를 허용함으로써 주차장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each proces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first,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specifies a predetermined parking position (parking surface) for each driver to join as a parking member and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authentication DB ( 23),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driver's mobile telephone number is recorded in the member DB 21 (step S301). In this case, such a parking member subscription can be made in the form of an online subscription via the Internet in the offline form.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driver may preset the parking time to be used so that parking is possible only during the set parking time. This is to allow the vehicle to park more efficiently by using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not using the parking lot.

이러한 과정을 거쳐 주차관리 시스템에 주차회원으로 가입된 운전자는 자신에게 지정된 주차면에 대한 초기 인증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데, 먼저 이를 위해서 운전자는 자신에게 지정된 주차위치를 방문한 다음, 이동통신 단말기(60)를 통해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전화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60)로부터의 다이얼링 신호가 이동통신 기지국(예를 들어, 51)과 이동통신 시스템(50)을 통해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로 전송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driver who is a parking member of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must go through the initial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parking surface assigned to him. To do this, the driver first visits the parking position assigned to him and then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ttempt to dial i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e dialing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for example, 51)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에서는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로부터 전화접속이 시도되면(단계 S303), 다이얼링 신호로부터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CID(Calling Identity Delivery) 정보, 즉 발신자(운전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주차관제 서버(20)로 전송한다(단계 S305).In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when a telephone connection is attempted from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step S303), the CID (Calling Identity Delivery) information of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from the dialing signal, that is, the caller ( The driver's phone number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step S305).

그리고, 주차관제 서버(20)에서는 회원 DB(21)를 검색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발신자가 기등록된 주차회원인지를 판별하게 된다(단계 S307). 만일, 동일한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주차관제 서버(20)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등록된 주차회원이 아님을 알리는 소정의 음성 에러 메시지 또는 SMS 메시지를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로 전송한다(단계 S309). 이와는 달리, 회원 DB(21)에 운전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주차관제 서버(20)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주차면 등록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311).The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searches the member DB 21 to determine whether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a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exists,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caller is a registered parking member (step S307). If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number does not exist,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transmits a predetermined voice error message or SMS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rking member is not a registered parking member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Transfer to 60 (step S309). On the contrary, if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phone number exists in the member DB 21,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controls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to transmit a message for inducing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to the driver (step S311). ).

그리고, 운전자는 주차면 등록 메시지에 의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60)를 통해 주차면 등록을 위한 소정의 키신호(예를 들면, 기설정된 키신호 또는 주차면 번호 등)를 입력하게 되고, 이때 입력된 주차면 등록 키신호는 다시 이동통신 시스템(50)과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주차관제 서버(20)로 전송된다.Then, the driver inputs a predetermined key signal (for example, a predetermined key signal or parking surface number, etc.) for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based on the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message. The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ke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and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again.

한편, 주차관제 서버(20)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운전자가 입력한 소정의 주차면 등록 키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313),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제어하여 상술한 단계(S305)에서 추출된 운전자의 CID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50)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현재의 위치정보를 요구한다 (단계 S315).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receives a predetermined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key signal input by the driver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step S313), by controlling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step (S305) CID information of the driver extracted in step S)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to reques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step S315).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50)에서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로부터 제공된 CID 정보에 대응하는 MIN 코드를 검색하고, 도시 생략된 VLR로부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60)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게 된다. 그리고, 검색된 이동통신 단말기(60)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다시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로 전송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retrieves the MIN code corresponding to the CI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and retriev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from the VLR (not shown). T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again.

주차관제 서버(20)에서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운전자의 현재 위치, 즉 이동통신 단말기(60)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단계 S317), 수신된 현재의 위치가 운전자에게 기지정된 주차면에 대응하는 위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319). 그리고 그 판단결과, 운전자의 현재 위치가 기지정된 주차면에 대응하는 위치인 경우에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여 인증 DB(23)에 기록함으로써 초기 주차면 등록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단계 S321). 이와는 달리, 운전자의 현재 위치가 기지정된 주차면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소정의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여 운전자가 자신에게 지정된 주차면으로 이동하여 최초 주차면 등록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S323).I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wh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river, that i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step S317), the received current location is the parking surface based on the driv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sition corresponds to (step S319).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driver's curren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parking surface, the driver's authentication is processed and recorded in the authentication DB 23 to complete the initial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process (step S321). On the contrary, 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driver is no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arking surface, the driver transmits a predetermined error message through the predetermined wireless gateway server 40 to move to the parking surface assigned to the driver, and the first parking surface. The registration process is performed again (step S323).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는 운전자가 주차회원으로 등록하여 소정의 주차면을 지정 받은 이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과정을 거쳐 주차면을 등록하도록 하고, 이때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발신자 및 위치를 추적하여 실제 등록된 운전자인지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회원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최초 주차면 등록 과정을 거친 운전자는 이 후의 주차시 주차관리 시스템과의 전화접속 과정 없이 주차가 가능하게 되며, 주차관제 서버(20)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 4의 각 과정을 통해 무인 주차관리를 수행하게 된다.As a result, 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driver registers as a parking member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parking surface, the parking surface is registered through the respective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By tracking the sender and location for 60, it automatically identifies whether it is a real registered driver and performs member authentication. And, the driver who has undergone such initial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process can be parked without a telephon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t the time of subsequent parking, and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s unmanned through each process of FIG. 4 described below. Parking management will be perform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초기 주차면 등록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은 아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초기 주차위치 등록 과정 없이 주차회원 가입만으로 각 운전자가 자신에게 지정된 주차위치에 주차하도록 하고, 아래의 설명되는 도 4의 각 과정을 거쳐 무인 주차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최초 주차위치 등록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주차회원으로 등록된 운전자에 대한 신원 확인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타인의 명의로 주차회원에 가입하는 경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itial parking surface regist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in performing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ithout the initial parking position regist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each driver to park at the parking position assigned to him only by joining the parking member, and may perform unmanned parking management through each process of FIG. 4 described below. Howev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initial parking location regist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identification of the driver registered as a parking membe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same problem as in the case of joining a parking member in the name of another pers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각 운전자가 주차회원으로 가입하고 소정의 주차위치를 지정 받은 이후 또는 최초 주차위치 등록 과정까지 마친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무인 주차관리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4 is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performed 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ach driver joins as a parking member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parking position or finishes the initial parking position registration proces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is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이 이동통신 시스템(50)과 연결되어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해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이 주차관제 서버(20)에서는 각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주차위치 및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이동통신 시스템(50)에 전송하여 각 주차회원이 자신에게 지정된 주차위치에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통보해주도록 요청한다. 이때, 이동통신 시스템(50)에서는 각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셀 영역을 판별하여 기록한 다음,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이를 무선 게이트웨이서버(40)를 통해 주차관제 서버(20)로 통보한다.First, in order to perform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must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n real time. . That is, in order to perform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i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transmits the parking posi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phone number assigned to each parking me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for each parking. Ask members to notify you when they have access to their designated parking location.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determines and records the cell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position assigned to each parking member, and th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ach parking member enters the corresponding cell area,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Notify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through.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과 이동통신 시스템(50)이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차회원에 대한 위치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방법에 대한 일련의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refore, hereinafter,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or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remise of sh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park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sequence of steps is explained in detail.

이동통신 시스템(50)에서는 각각의 기지국(51, 52, …)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각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이를 VLR에 기록하게 되는데, 만일 각 이동통신 가입자 중에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가입된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60)가 기설정된 소정의 셀 영역, 즉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주차면이 위치한 셀 영역으로 진입하게 되면(단계 S401), 이동통신 시스템(50)에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60)의 MIN 코드를 추적하여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및 이동통신 단말기(60)의 위치정보를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주차 관제서버(20)로 통보하게 된다(단계 S403). 여기서, 이동통신 시스템(50)으로부터 통보되는 위치정보라 함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및 인접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각 신호의 크기를 벡터값으로 환산하여 이동통신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정확한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60)가 GPS 기능을 내장한 단말기일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좌표값을 통보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60)에 대한 위치 산출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지원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다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50)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각주치회원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이동통신 시스템(5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및 인접한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각 신호의 크기만을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의 위치 서버(30) 내에 존재하는 위치 판단부(310)에서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크기를 벡터값으로 환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60)의 위치를 직접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grasps the location of each mobile subscriber in real time in a signal provided from each of the base stations 51, 52,... And records them in the VL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of the parking member subscribed to enters a predetermined cell area, that is, the cell area in which the parking surface designated to the parking member is located (step S401),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performs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he MIN code of the terminal 60 is tracked to notify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of the parking member's mobile communication phone numb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step S403). .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notifi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verting a magnitude of each signal provided from a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adjacent base stations into a vector valu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xact coordinate value for 60). On the contrar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a terminal with a built-in GPS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notifies the coordinate values indicat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Since the position calcul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a function commonly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with the correct position for each subject member by using this function. It becomes possible. On the contrar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provides only the size of each signal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adjacent base stations to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location server 30 of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310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by converting the signal size from each base station into a vector value.

한편, 주차관제 서버(20)에서는 상술한 단계(S403)를 통해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50)으로부터 주차회원의 주차면 접근이 통보되고 해당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및 위치 정보가 제공되면, 회원 DB(21) 및 인증 DB(23)를 검색하여 이동통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주차회원 및 주차면을 판별한 다음, 주차회원의 현재 위치와 함께 위치 서버(30)로 전송한다(단계 S405).On the other hand,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s notified of the parking member's access to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 (S403)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phon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member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e member DB 21 and the authentication DB 23 are searched to determine the parking member and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and then the location server 30 together with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rking member. To transmit (step S405).

그리고, 위치 서버(30)는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주차면의 위치로부터 주차회원의 현재 위치, 즉 이동통신 단말기(6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한 다음(단계 S407), 산출된 거리 및 평소 교통량 등을 감안하여 주차회원이 지정된 주차면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예상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409).Then, the location server 30 compar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rking member,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from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urface assigned to the parking member, and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m (step S407).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and the usual traffic volume, the estimated time required for the parking member to reach the designated parking surface is calculated (step S409).

여기서, 위치 서버(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도록 각 지역별 도로 정보 및 시간대별 평균 교통량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그에 따른 거리 및 소요시간 산출이 가능한 알고리즘을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위치 서버(30)는 이러한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되는 예상시간을 교통량의 변화 및 주차회원의 운전 숙련도 등을 감안하여 오차 범위를 갖는 시간 범위 형태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산출된 시간이 10분인 경우에 교통량의 변화 및 운전자의 운전 숙련도 등을 고려하여 실제 주차면 도달 예상시간을 7∼15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차관제 서버(20)에서는 주차면 도달 예상 시간(7∼15분) 내에 차량의 주차가 확인되는 지를 체크하게 된다.Here, the location server 30 stores the road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average traffic volume for each time zone so as to calculate the estimated time as described above, and calculates the distance and the time required according to the program form. It must be stored. In addition, the location server 30 preferably calculates the estimated time calculated by such an algorithm in the form of a time range having an error range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raffic volume and driving skill of the parking member. That is, when the calculated time is 10 minutes, it is preferable to set the estimated actual time to reach the parking area to about 7 to 15 minut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traffic volume and the driving skill of the driver. The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checks whether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within the estimated time of reaching the parking surface (7-15 minutes).

한편, 영상인식 카메라(10)는 복수개의 주차면으로 그룹핑된 주차영역을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영상인식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각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 여부를 인식하여 이를 주차관제 서버(20)로 통보하게 되는데, 주차관제 서버(20)는 상술한 단계(S409)를 거쳐 주차회원의 차량이 지정된 주차면에 도달하는 예상시간이 산출된 이후에 영상인식 카메라(10)로부터 해당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가 통보되는 지를 계속해서 체크하게 된다(단계 S411).Meanwhile,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photographs a parking area group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nd recognizes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each parking surface based on an image recognition algorithm, and controls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s notified to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after the estimated time at which the vehicle of the parking member reaches the designated parking surface is calcul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 (S409). It is continuously checked whether or not parking is notified (step S411).

만일, 상술한 예상시간 내에 해당 주차면에 대한 주차여부가 통보되지 않으면, 주차관제 서버(20)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를 통해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60)로 주차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413). 따라서, 주차회원은 전화접속을 수행하여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에 접속하게 되고,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40)에서 제공되는 음성 안내 메시지 또는 SMS 메시지에 의거하여 주차위치 입력 및 승인을 받게 된다.If the parking is not informed of the parking surface within the above-mentioned estimated time,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guides the driver to check the parking position of the dr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The message is transmitted (step S413). Accordingly, the parking member accesses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by performing a telephone connection, and receives a parking position input and approval based on the voice guidance message or SMS message provided from the wireless gateway server 40.

이와는 달리, 주차회원의 차량이 상술한 예상시간 내에 지정된 주차면에 주차한 것으로 확인되면, 주차 관제서버(20)에서는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를 정상 승인하여 인증 DB(23)에 기록하며, 주차 DB(22)에 해당 주차면에 대한 주차 여부를 기록한다(단계 S415).On the contrary,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of the parking member parked on the designated parking surface within the above-mentioned estimated time,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normally approves the parking for the vehicle and records it in the authentication DB 23, and the parking DB In step 22, it is recorded whether or not the parking is on the parking surface (step S415).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 (50)과 연계하여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각 주차회원이 지정된 주차면으로 접근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게 되고 예상 주차시간을 산출하여 주차회원이 실제 지정된 주차면에 주차하는 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cks the position of each parking mem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0, thereby automatically detecting that each parking member approaches the designated parking surface. By calculating the expected parking time, it is possible to monitor in real time whether the parking member is actually parking on the designated parking surface.

만일,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는 특정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 여부가 검출되면, 주차관제 서버(20)는 해당 주차면에 대해서 무단주차로 판단하고, 이를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불법주차 관리 기관 등에 통보함으로써, 무단 주차 차량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주차면 도달 예상시간(7∼15분) 이전에 해당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가 확인되는 경우에도 해당 주차면에 대해서 무단주차로 처리한다. 즉, 상술한 단계(S409)에서 산출된 주차면 도달 예상시간은 교통량 및 운전의 숙련도 등을 감안하여 산출한 최단 시간 및 최장 시간에 대한 시간 범위이기 때문에 이 주차면 도달 예상시간 이전에 운전자가 주차면에 도달하는 것은 시공간적으로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주차관제 서버(20)에서는 주차면 도달 예상시간(7∼15분) 이전에 해당 주차면에 대한 차량의 주차가 확인되는 경우에도 해당 주차면에 대해 무단 주차로 판단한 다음,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불법주차 관리 기관 등에 통보한다.If it is detected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on a specific parking surface that does not go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determines that the parking surface is unauthorized parking, and the operator or illegal of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By notifying the parking management agency or the like, processing of the unauthorized parking vehicle is performed. Further, even when the parking of the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is confirmed before the above-mentioned estimated time of reaching the parking surface (7 to 15 minutes), the parking surface is treated as an unauthorized parking. That is, since the estimated parking surface arrival time calcula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S409 is a time range for the shortest time and the longest tim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raffic volume and driving skill, the driver parks before the estimated parking surface arrival time. Reaching the plane is virtually impossible in space and time. Therefore, i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even if the parking of the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is confirmed before the estimated time of reaching the parking surface (7 to 15 minutes), the parking surface is determined to be unauthorized parking, and the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Notify the operator of the parking lot or illegal parking control agency.

한편,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주치회원이 시간에 관계없이 자신에게 지정된 주차면에 차량을 주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각 주차회원이 초기 회원 가입시 자신에게 지정된 주차면을 이용할 시간을 설정하도록 한 다음, 설정된 시간 내에만 차량의 주차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주차관제 서버(20)는 영상인식 카메라(10)로부터 임의의 차량에 대한 주차가 통보되면, 회원 DB(21)를 검색하여 해당 차량에 대해 기설정된 주차시간을 확인한 다음, 그에 적합한 정상 주차인지를 확인하고, 정상 주차가 아닌 경우에는 무단주차 또는 별도의 주차 요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주차회원에게 주차면 이용시간을 기설정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각 주차면에 대해서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더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has been described that each primary member to park the vehicle on the parking surface assigned to him regardless of time, on the contrary, each parking member has a time to use the parking surface assigned to them at the time of initial membership After setting, the vehicle can be parked only within the set time. That is, when the parking control server 20 is notified of parking for any vehicle from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10, the member DB 21 is searched to check the preset parking time for the vehicle, and then normal parking suitable for the vehicle. If the parking is not normal, unauthorized parking or a separate parking fee may be charged. As such, when each parking member is preset to use the park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parking lot more efficiently because the parking surface can be divided into day and nigh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된 다수의 주차회원에게 각각의 주차구역을 부여하여 운영하는 주차장에서 각 차량의 지정 주차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제 운전자의 식별 및 실시간 위치 검출 가능하게 됨으로써 무단 주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종래의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매번 주차시 마다 요구되는 운전자의 전화접속에 의한 인증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rking lot operated by assigning each parking area to a plurality of registered parking members, there is an effect of real time monitoring of designated parking of each vehicle, and associat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e, the real driver's identification and real-time position detec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unauthorized parking can be monitored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by omitt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by the driver's telephone connection required every time.

Claims (10)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 가입된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각의 기설정된 소정 셀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ach parking member subscribed to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is detected in each predetermined predetermined cell area; 물체의 이동을 검출하는 영상인식 알고리즘과 기준 이미지 데이터를 기저장하며, 복수개의 주차면으로 그룹핑된 소정의 주차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상기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전송하는 영상인식 카메라;Image recognition algorithm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the reference image data is pre-stored, and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planes to detect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algorithm and the detection Image recognition camera to transmit the result;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A wireless gateway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소정의 주차면에 대한 위치를 비교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위치 서버;A lo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gateway server and calculating a distance by comp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ocation of a predetermined parking surface; 다수의 주차회원에게 각 주차면을 지정하며,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전화번호가 제공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주차면에 대한 위치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위치 서버로 제공하여 거리 산출을 요구하며,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산출된 거리에 대응하는 주차면 도달 예상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를 통해 상기 예상시간 내에 상기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하는 지를 감시하는 주차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Each parking surface is assigned to a plurality of parking members, 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hone number is recalled. It provides the location serv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quest the distance calculation, calculates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of the park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calculated from the location server, and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within the estimated tim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arking control server for monitoring whether the vehicle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는,The image recognition camera, 영상촬영 수단 및 야간촬영을 위한 각종 필터 및 광 증폭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주차영역을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촬영하는 영상촬영 모듈;An image capturing module including an image capturing means and various filters and an optical amplifying lens for night photographing to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photograph the parking area; 상기 영상인식 알고리즘 및 기준 이미지 데이터를 내장하며, 상기 영상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영역 내에서의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인식하는 영상인식 모듈;An image recognition module embedded with the image recognition algorithm and reference image data and recognizing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area by analyz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module; 상기 주차관제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parking control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상기 영상인식 모듈로부터의 인식 결과에 따른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processor for transmitt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from the image recognition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주차위치를 질의 및 안내할 수 있는 ARS 기능 및 SMS 기능을 내장하며,The wireless gateway server has a built-in ARS function and SMS function to query and guide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주차관제 서버는, 상기 예상시간 내에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로부터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게이트웨이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차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The parking control server transmits an SMS message requesting parking location confi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gateway server if the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is not confirmed from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within the estimated tim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GPS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GPS function,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로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좌표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oordinate values for latitude and longitude as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신호의 세기를 벡터값으로 환산하여 산출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verts a signal strength into a vector valu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neighboring base station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전송하며,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the strength of the signal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위치서버는, 상기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세기를 벡터값으로 환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The location server,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vert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from each base station into a vector valu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주차관제 서버는,The parking control server,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임의의 주차면에 대한 주차 상태가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로부터 통보되면 상기 임의의 주차면에 대해 무단주차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A step of performing an unauthorized parking process on the arbitrary parking surface when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is notified of the parking state of the arbitrary parking surface o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결되며, 복수개의 주차면으로 그룹핑된 소정의 주차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영상인식 카메라를 구비한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인 주차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system having a video recognition camera that continuously photographs a predetermined parking area group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s and detects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rough an image recognition algorithm. In the method of performing unmanned parking management using, 상기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상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각 주차회원에게 각각의 주차면을 지정하여 기록하는 제 1 단계;A first step of record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f each parking member and designating each parking surface for each parking member; 상기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및 상기 각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각 주차면에 대한 위치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f each parking member and a location of each parking surface assigned to each parking memb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각 주차회원에게 지정된 상기 각 주차면에 대응하는 각각의 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설정된 각각의 셀 영역에 진입하는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A third step of setting each cell area corresponding to each parking surface assigned to each parking memb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heck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each parking member enters each of the set cell areas;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진입 여부 및 위치정보가 통보되면, 상기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주차회원에게 설정된 상기 주차면의 위치 및 상기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주차면에 대한 도달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제 4 단계;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notified of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entered or no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king surface set to the park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arbitra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arking surface. A fourth step of calculating an estimated time of arrival for the vehicle; 상기 예상시간 내에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로부터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여부가 통보되면 상기 주차면에 대해 정상 주차를 기록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방법.And a fifth step of recording normal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when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notifies the parking surface within the expected tim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단계는,The first step is, 상기 각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신상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각 주차회원에게 각각의 주차면을 임시 부여하여 기록하는 제 11 과정;An eleventh step of record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of each parking member, and temporarily assigning each parking surface to each parking member for recording; 임의의 주차회원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전화접속이 시도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CID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하는 주차회원을 판별한 다음,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제 12 과정;When a telephone connection is attemp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ny parking member, the CI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tracted to determine a park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welfth process of reques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판별된 주차회원에게 임시 부여된 주차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하여 상기 각 위치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주차면을 상기 주차회원에게 지정하는 제 1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방법.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surface temporarily assigned to the determined parking member. And a thirteenth process of designating a parking surface to the park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5 단계는,The fifth step, 상기 예상시간 내에 상기 영상인식 카메라로부터 상기 주차면에 대한 주차 여부가 통보되지 않으면, 상기 주차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주차 위치 확인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무인 주차관리 방법.If the parking is not informed of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image recognition camera within the expected time, the unmanned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guide message for requesting confirmation of the parking pos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arking member; How to manage parking.
KR1020020032144A 2002-06-08 2002-06-08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200300948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144A KR20030094823A (en) 2002-06-08 2002-06-08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144A KR20030094823A (en) 2002-06-08 2002-06-08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823A true KR20030094823A (en) 2003-12-18

Family

ID=3238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144A KR20030094823A (en) 2002-06-08 2002-06-08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4823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1785A (en) * 2012-09-14 2012-12-19 成都宇凡科技有限责任公司 Parking space inquiry booking system and inquiry booking method thereof
KR101276320B1 (en) * 2011-12-20 2013-06-18 와이엠디(주)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CN103247192A (en) * 2013-05-12 2013-08-14 安徽工程大学 Parking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for downtown areas
KR101394180B1 (en) * 2012-07-06 2014-05-14 주식회사 아이디로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arking posi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1408320B1 (en) * 2012-12-27 2014-06-20 와이엠디(주)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CN104183148A (en) * 2014-09-09 2014-12-03 河海大学常州校区 Intelligent park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de recognition technology
CN105513412A (en) * 2015-11-27 2016-04-20 浙江甲虫信息科技有限公司 Bluetooth remote control parking space lock-based parking reservation fe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7700906A (en) * 2017-10-28 2018-02-16 梁崇彦 A kind of complex control system of two layers of Mechanical parking system of file
KR20200109154A (en) * 2019-03-12 2020-09-22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arking space managing system by using image recognizing device
KR102619032B1 (en) * 2023-06-14 2023-12-27 이정복 Parking Fee Billing System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20B1 (en) * 2011-12-20 2013-06-18 와이엠디(주)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101394180B1 (en) * 2012-07-06 2014-05-14 주식회사 아이디로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arking posi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N102831785A (en) * 2012-09-14 2012-12-19 成都宇凡科技有限责任公司 Parking space inquiry booking system and inquiry booking method thereof
CN102831785B (en) * 2012-09-14 2015-11-11 成都宇凡科技有限责任公司 Parking stall inquiry reservation system and inquiry preordering method thereof
KR101408320B1 (en) * 2012-12-27 2014-06-20 와이엠디(주)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device
CN103247192A (en) * 2013-05-12 2013-08-14 安徽工程大学 Parking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for downtown areas
CN104183148A (en) * 2014-09-09 2014-12-03 河海大学常州校区 Intelligent park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de recognition technology
CN104183148B (en) * 2014-09-09 2016-08-31 河海大学常州校区 A kind of intelligent parking system based on mode identification technology and method
CN105513412A (en) * 2015-11-27 2016-04-20 浙江甲虫信息科技有限公司 Bluetooth remote control parking space lock-based parking reservation fe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7700906A (en) * 2017-10-28 2018-02-16 梁崇彦 A kind of complex control system of two layers of Mechanical parking system of file
KR20200109154A (en) * 2019-03-12 2020-09-22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arking space managing system by using image recognizing device
KR102619032B1 (en) * 2023-06-14 2023-12-27 이정복 Parking Fee Bill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75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40039632A1 (en)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80081638A1 (en) Method for locating a mobile unit of a distressed user
KR101743872B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An Apartment
CN105528822A (en) Parking spa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parking lock and barrier gate
JP2004166024A (en)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20100066921A (en) Vehicles detection apparatus,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method
KR101556934B1 (en) Smart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a mobile phone
KR20030094823A (en)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2429515B1 (en)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based mobile terminal
JP2002032897A (en) Taxi arrangement ser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7428682B2 (en)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and investigation support method
JP2003116169A (en)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205671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golf service
JP2004518212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ity traffic via telephone network
KR102001146B1 (en) A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device and beacons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10113B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tracing service and the system thereof
KR20030087313A (en) Manless parking control system method thereof
CN111047761A (en) Voice interactive visitor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lligent terminal
KR20140073138A (en) Resident priority parking management method
KR20050040373A (en) An apparatus of rescue request using radio terminal having an emergency button built-in and a method thereof
JP2001266296A (en) System for monitoring parking lot
KR101836912B1 (en) Image providing device for parking management using 360°fisheye camera
JPH08237727A (en) Method for registering/releasing roaming of portable radio telephone set
CN112908025A (en) Parking lot intelligent management method, system,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