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644A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644A
KR20030094644A KR1020020031877A KR20020031877A KR20030094644A KR 20030094644 A KR20030094644 A KR 20030094644A KR 1020020031877 A KR1020020031877 A KR 1020020031877A KR 20020031877 A KR20020031877 A KR 20020031877A KR 20030094644 A KR20030094644 A KR 20030094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tightening band
cathode ray
ray tub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근
조호진
최광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4644A/ko
Priority to US10/323,079 priority patent/US6841925B2/en
Priority to CNA021598347A priority patent/CN1467779A/zh
Publication of KR2003009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측과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대경의 스크린부와 소경의 네크부를 구비하며 내,외면으로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이 마련되는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외경면으로 끼움 조립되며 확경·축소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리형의 조임밴드와, 이 조임밴드의 양끝단에 일체로 굽힘 연장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와,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볼트가 관통한 뒤 너트 체결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을 생성하는 요크 클램프와, 상기 조임밴드의 주면을 따라 폭방향의 중간부분에 마련되어 네크부의 외경면에 접촉되는 대상 접촉면을 최소 2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을 분산 전달되게하는 장방향의 슬릿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채용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향요크를 음극선관에 고정 장착시키는 요크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일 요소로 시간계열(時間系列)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상으로 직진하게 됨에 따라 단순히 화면의 중앙 형광체만을 발광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의 순서대로 스크린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는 것이 편향요크이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이 이 자계를 통과할 때 힘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가 채용된 음극선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1)의 RGb 전자총부(3)에 위치되어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스크린면(2)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이러한, 편향요크(4)는 사출물인 코일 세퍼레이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때의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수평 편향코일(15)과 수직 편향코일(16)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위치를 정도 있게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2)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11a)와, 리어커버(11b) 및 이 리어커버(11b)의 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결합되는 네크부(1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을 감싸도록 페라이트 코어(14)가 더 마련되어 수직자계를 강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외측면에 구비되는 수평 편향코일(15) 및 수직 편향코일(16)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외측면에 위치된 회로기판 상으로 인출되어 단자에 접속됨으로써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의 외주면으로는 음극선관(1)의 전자총(3)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을 정확하게 스크린(2)의 중앙에 집속시키는 즉, 정컨버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컨버젼스 요크(5)가 구비되며, 이러한 컨버젼스 요크(5)는 네크부(12)와 함께 요크 클램프(미도시)에 의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상에 위치 고정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의 외주연으로는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요크 클램프(200)가 마련되는 바, 이때의 상기 요크 클램프(200)는 크게 조임밴드(210)와 나사부재로 대별된다.
상기 조임밴드(210)는 소정의 폭을 갖는 길이재의 단일 부재를 대략 고리 형상이 되게 굽힘 성형한 것으로서, 그 양끝단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 탄력적으로 그 지름이 확경 및 축소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임밴드(210)는 양끝단부가 도면에서 바라보면 외측방향으로 굽힘 연장되어 한쌍의 플랜지(220)를 형성하며, 이들 플랜지(220)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관통홀(23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나사부재는 볼트(300)와 너트(310)로 구성되는 바, 이때 상기 볼트(300)는 상술한 한쌍의 플랜지(220)에 형성된 관통홀(230)을 삽입 관통하게 되고, 이 볼트(300)의 끝단부 즉, 상기 관통홀(230)을 통과한 끝단부에는 너트(310)가 나사체결을 이룸으로써, 상기 볼트(300)와 너트(310)의 체결력으로 조임밴드(210)가 네크부(12)의 외주면을 조여주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가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편향요크(4)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의 요크 클램프(200)를 통해 편향요크(4)를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위치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국부적으로 많은 조립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국부적인 조립력으로 인하여 유리로 성형된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발생원인은 볼트(300)와 너트(310)를 통해 조임밴드(210)에 조임력을 부여하게 되면, 상기 조임밴드(2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여져 항상 일정한 진원(眞圓)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어느 일측이 찌그러지는 형태로 조여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편향요크(4)를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상에 장착시킬 때 요크 클램프(200)의 조임력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은 물론이고 편향요크(4)의 장착 작업시 음극선관(1)의 파손으로 인한 제품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크 클램프의 조임력을 분산시켜 과도한 조립력에 의한 파손을방지하여 조립공정에서의 음극선관의 파손을 저감시키면서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가 채용된 음극선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의 체결 부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극선관 2 : 스크린면
3 : 전자총부 4 : 편향요크
5 : 컨버젼스 요크 10 : 코일 세퍼레이터
11a : 스크린부 11b : 리어커버
12 : 네크부 14 : 페라이트 코어
15,16 :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 20 : 요크 클램프
21 : 조임밴드 22 : 플랜지
23 : 관통홀 25 : 슬릿
30 : 볼트 31 : 너트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측과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대경의 스크린부와 소경의 네크부를 구비하며 내,외면으로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이 마련되는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외경면으로 끼움 조립되며 확경·축소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리형의 조임밴드와, 이 조임밴드의 양끝단에 일체로 굽힘 연장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와,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볼트가 관통한 뒤 너트 체결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을 생성하는 요크 클램프와, 상기 조임밴드의 주면을 따라 폭방향의 중간부분에 마련되어 네크부의 외경면에 접촉되는 대상 접촉면을 최소 2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을 분산 전달되게하는 장방향의 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슬릿은 상기 조임밴드의 주면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슬릿은 상기 조임밴드의 폭방향 중간부분에서 조임밴드의 폭길이에 대하여 대략 50% 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의 체결 부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편향요크는 대략 원추 형상을 갖는 코일 세퍼레이터(10)를 구비하는 바, 이때의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 일면으로 결합되는 대경의 스크린부(11a) 및 리어커버(11b)와, 그리고 이 리어커버(11b)의 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결합되는 소경의 네크부(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내면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평 편향코일(15)이 마련되고, 외면에는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수직 편향코일(16)이 마련되는 바, 이들 수평 편향코일(15)과 수직 편향코일(16)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에 의해 상호 절연됨과 동시에 위치의 정도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외면에는 수직 편향코일(16)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자성체로 된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상에는 화면상의 정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컨버젼스 요크(5)를 구비하며, 이 컨버젼스 요크(5) 및 네크부(12)는 요크 클램프(20)에 의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 상에 위치 고정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요크 클램프(20)는 크게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조임밴드(21)와, 이 조임밴드(21)에 조임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볼트(30) 및 너트(31)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임밴드(21)는 대략 소정의 폭을 갖는 판상의 길이 부재를 고리 형상으로 굽힘 시키고, 그 양끝단부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그 지름이 탄력적으로 확경 및 축소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임밴드(21)의 양끝단부는 외측방향으로 굽힘 연장되어 플랜지(22)를 형성하며, 이들 플랜지(22)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소정크기의 관통홀(23)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한상의 플랜지(22)에 형성된 관통홀(23)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볼트(30)가 삽입되며, 이 볼트(30)의 선단에는 너트(31)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조임밴드(21)에 조임력이 생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편향요크의 구조와 대동 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편향요크를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상에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요크 클램프(20)의 조임력이 분산 작용하도록 조임밴드(21)에 장공의 슬릿(25)을 형성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요크 클램프(20)는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30)와 너트(31)의 체결에 의해 조임밴드(21)가 조임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요크 클램프(20)의 조임력은 실질적으로 조임밴드(21)를 통해 네크부(12)의 외경면에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임밴드(21)는 조임력을 분산 작용하도록 폭방향의 중간부분에 장공의 슬릿(25)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슬릿(25)은 조임밴드(21)의 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임밴드(21)의 폭방향의 중간부분에 장공의 슬릿(25)이 형성되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네크부(12)의 외경면에 접촉되는 조임밴드(21)의 대상 접촉면이 상기 슬릿(25)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분할 접촉면(26),(27)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임밴드(21)의 주면상에 한쌍의 슬릿(25)을 형성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고 상기 조임밴드(21)의 접촉면 즉,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 외주면에 접촉되는 조임밴드(21)의 내측 접촉면이 최소 2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을 분산 작용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상기 슬릿(25)의 형상이나 그 위치 및 형성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슬릿(25)의 폭길이는 상기 조임밴드(21)의 폭길이에 대하여 대략 50%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임밴드(21)는 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슬릿(25)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2) 외주면에 접촉되는 대상 접촉면이 슬릿(25)을 중심으로 그 양측으로 분할되어 분할 접촉면(26),(27)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조임밴드(21)가 작용하는 조임력은 상기 분할 접촉면(26),(27)을 통해 네크부(12)에 분산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밴드(21)의 조임력은 두 개의 분할 접촉면(26),(27)을 통해 네크부(12)의 외경면에 작용하여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전달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가해지는 상기 요크 클램프(20)의 조임력은 조임밴드(21)의 분할 접촉면(26),(27)을 통해 분산 전달되어지므로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조임력에 의한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의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요크 클램프는 조임밴드의 주면을 따라 마련된 장방향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분할 접촉면을 통해 조임력을 분산 작용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가해지는 요크 클램프의 조임력이 분산되는 것에 의해 조립시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요크 클램프의 체결작업에 의한 음극선관의 파손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에 의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개선시키고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측과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대경의 스크린부와 소경의 네크부를 구비하며 내,외면으로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이 마련되는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외경면으로 끼움 조립되며 확경·축소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리형의 조임밴드와, 이 조임밴드의 양끝단에 일체로 굽힘 연장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와,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볼트가 관통한 뒤 너트 체결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을 생성하는 요크 클램프와;
    상기 조임밴드의 주면을 따라 폭방향의 중간부분에 마련되어 네크부의 외경면에 접촉되는 대상 접촉면을 최소 2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조임력을 분산 전달되게하는 장방향의 슬릿;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조임밴드의 주면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조임밴드의 폭방향 중간부분에서 조임밴드의 폭길이에 대하여 대략 50%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20031877A 2002-06-07 2002-06-07 편향요크 KR20030094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877A KR20030094644A (ko) 2002-06-07 2002-06-07 편향요크
US10/323,079 US6841925B2 (en) 2002-06-07 2002-12-19 Deflection yoke
CNA021598347A CN1467779A (zh) 2002-06-07 2002-12-27 偏转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877A KR20030094644A (ko) 2002-06-07 2002-06-07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644A true KR20030094644A (ko) 2003-12-18

Family

ID=3238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877A KR20030094644A (ko) 2002-06-07 2002-06-07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464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546U (ko) * 1988-10-20 1990-04-25
JPH0435340U (ko) * 1990-07-20 1992-03-24
US5568010A (en) * 1995-11-16 1996-10-22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yoke clamp
JPH09161696A (ja) * 1995-11-30 1997-06-20 Victor Co Of Japan Ltd 偏向ヨーク締付バンド、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表示装置
JPH1092342A (ja) * 1996-09-18 1998-04-10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JP2000348642A (ja) * 1999-06-03 2000-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546U (ko) * 1988-10-20 1990-04-25
JPH0435340U (ko) * 1990-07-20 1992-03-24
US5568010A (en) * 1995-11-16 1996-10-22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yoke clamp
JPH09161696A (ja) * 1995-11-30 1997-06-20 Victor Co Of Japan Ltd 偏向ヨーク締付バンド、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表示装置
JPH1092342A (ja) * 1996-09-18 1998-04-10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JP2000348642A (ja) * 1999-06-03 2000-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02B1 (ko) 편향요크
KR20030094644A (ko) 편향요크
US6841925B2 (en) Deflection yoke
KR20030094645A (ko) 편향요크
KR100443742B1 (ko) 편향요크
KR100393558B1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431261B1 (ko) 편향요크
KR20030073405A (ko) 편향요크
KR100451929B1 (ko) 편향요크
KR20030010379A (ko) 편향요크
KR100410960B1 (ko) 편향요크
KR20040040783A (ko) 편향요크
KR20030056043A (ko) 편향요크
KR100422042B1 (ko) 편향요크
KR100431411B1 (ko) 편향요크
KR19980028116A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100439504B1 (ko) 편향요크
JPH1092342A (ja) 陰極線管装置
KR20020048766A (ko)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20030053887A (ko) 편향요크
KR20040009201A (ko) 편향요크
KR20040009158A (ko) 편향요크
KR20010109417A (ko) 페라이트 코어의 코어클램프
KR20030095117A (ko) 편향요크
KR20020049513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