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5937A -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5937A
KR20030085937A KR1020020024246A KR20020024246A KR20030085937A KR 20030085937 A KR20030085937 A KR 20030085937A KR 1020020024246 A KR1020020024246 A KR 1020020024246A KR 20020024246 A KR20020024246 A KR 20020024246A KR 20030085937 A KR20030085937 A KR 2003008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authentication code
spam
cod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 선 박
Original Assignee
양 선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 선 박 filed Critical 양 선 박
Priority to KR102002002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5937A/ko
Publication of KR2003008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팸메일(spam mail)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일계정에 대하여 인증코드를 부여하는 인증코드 부여단계, 메일계정에 부여된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를 인증코드DB에 저장하는 인증코드 저장단계,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기록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인증코드DB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인증코드 비교단계 및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없거나 상기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메일을 반송하거나 수신을 거부하고,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메일을 메일DB에 저장하는 메일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알려준 사람이 보내는 메일만을 수신자가 받아볼 수 있게 되고, 스팸메일도 점점 줄어들어 스팸메일로 인한 폐해가 방지되며, 메일의 수신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메일을 읽거나 삭제하는데 따른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고,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유용한 정보의 소통이 원활해지고, 메일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이나 악성메일이 차단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spam mails}
본 발명은 스팸메일(spam mail)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광고성 이메일(E-mail, 이하에서는 메일이라 함) 등 불필요한 메일을 사전에 차단함으로써 스팸메일로부터 수신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팸메일(Spam Mail)은 정크메일(Junk Mail) 또는 벌크메일(Bulk Mail)로도 불리는데, 일반적으로 수신자가 받기를 원치 않는 메일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스팸′은 미국의 'Hormel Foods사'가 자사의 ′햄(Ham)′제품인 ′스팸′을 지나치게 홍보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말로서, 일반적으로 엄청난 광고로 인한 공해를 스팸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스팸메일로는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홍보할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같은 내용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보내는 메일, 연구나 마케팅 조사를 위해 불특정 다수에게 보내고 응답을 기다리는 메일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스팸메일의 차단이 어려운 것은 메일을 수신하는 서버가 메일 주소만 맞으면 모든 메일을 수신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팸메일은 수신자의 시간을 빼앗고 통신선로의 과부하를 초래하는 등의 많은 부작용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업체 또는 사람으로부터 발송되는 메일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팸메일로 인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스팸메일 차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스팸메일 차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메일 차단시스템이 적용된 네트워크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 메일서버의 블록도,
도 3은 회원DB에 저장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인증코드DB에 저장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인증코드DB가 회원DB에 통합되는 경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한 메일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인증코드가 메일의 헤더에 기록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메일 차단방법의 적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메일서버에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네트워크110 : 웹서버
120, 220 : 메일서버130 : 클라이언트
226 : 인증프로그램210 : 인증코드DB
230 : 메일DB240 : 회원DB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일서버가 구비된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메일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스팸메일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메일 차단방법에 있어서, 수신을 원하는 메일계정에 대하여 인증코드를 부여하는 인증코드 부여단계, 메일계정과 메일계정에 부여된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를 메일서버와 연동될 수 있는 인증코드DB에 저장하는 인증코드 저장단계,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인증코드가 있으면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기록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인증코드DB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인증코드 비교단계 및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없거나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메일을 반송하거나 수신을 거부하고,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메일을 메일DB에 저장하는 메일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방법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인증코드DB는 회원DB에 통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인증코드는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본문에 기록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더욱 바람직하다.
위 메일의 본문에 기록된 인증코드는 메일수신자에게 발송되기 전에 삭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위 인증코드는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헤더에 기록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일서버가 구비된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메일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스팸메일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메일 차단시스템에 있어서, 각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메일서버에 연동 가능한 인증코드DB,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기록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 인증코드가 있으면 메일에 기록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인증코드DB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인증프로그램과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없거나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메일을 반송하거나 수신을 거부하고,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메일을 메일DB에 저장하는 메일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메일서버, 인증프로그램에 의한 인증단계를 거친 메일이 저장되고 메일서버와 연동 가능한 메일DB 및 메일서버를 이용하는 회원의 정보가 저장되고 메일서버와 연동 가능한 회원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시스템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 경우 역시 위 인증코드DB는 회원DB에 통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일서버 프로그램은 메일을 메일 수신자에게 발송하기 전에 메일에기록된 인증코드를 삭제하도록 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인증코드라 함은 숫자로만 된 것, 문자로만 된 것,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된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메일 차단시스템이 적용된 네트워크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 메일서버의 블록도, 도 3은 회원DB에 저장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인증코드DB에 저장되는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인증코드DB가 회원DB에 통합되는 경우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00)를 매개로 웹서버(110)들, 메일서버(120, 220)들이 클라이언트(130)와 연결되어 있다. 클라이언트(130)로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있는 PC(personal computer) 등이 해당되며, 여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아웃룩 익스프레스(outlook express) 등과 같은 메일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유저(user)는 클라이언트(130)에 설치되어 있는 메일 프로그램을 이용해 메일을 작성하여 자기가 회원으로 등록하여 메일계정을 가지고 있는 메일서버(220)를 통해 목적하는 메일서버(120)로 메일을 발송하거나, 메일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팸메일 차단시스템(200)은 메일서버(220)와 인증코드DB(210), 메일DB(230), 회원DB(24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일서버(220)는 메일을 송, 수신하거나 중계하는 컴퓨터로서 통상의 컴퓨터에서와 같이씨피유(CPU, 221), 하드디스크(hard disk) 등의 보조기억장치(222) 및 램(RAM) 등의 주기억장치(224)를 구비하고 있다. 주기억장치(224)에는 메일을 송신하거나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중계하는 메일서버프로그램(225)과 수신하고자하는 메일에 인증코드가 기록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인증코드가 기록되어 있다면 그 인증코드가 인증코드DB(210)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메일계정의 인증코드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인증프로그램(226)과 회원DB(240)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관리프로그램(227)이 구동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메일서버프로그램(225), 인증프로그램(226), 회원관리프로그램(227)은 보조기억장치(222)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서버(220)에는 인증코드DB(210), 메일DB(230) 및 회원DB(240)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메일DB(230)는 인증과정을 거쳐 수신된 메일을 저장하였다가 회원이 클라이언트(130)를 통해 로그인 한 후 자기의 이메일을 읽고자 요청하는 경우 클라이언트(130)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인증코드DB(210)는 회원이 받기를 원하는 메일계정 또는 메일주소에 부여한 인증코드를 이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두기 위한 것으로, 회원관리프로그램(227)을 통해 저장,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증코드DB(210)는 회원정보가 저장되는 회원DB(24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인증코드DB(210)가 회원DB(240)에 통합되는 것이다.
회원DB(24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회원별로 회원ID, 패스워드,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IP 등이 저장되며, 인증코드DB(210)에는 이메일주소와 인증코드가 저장된다. 물론, 이메일주소 대신에 각 회원을 구분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인증코드DB(210)는 회원DB(240)에 통합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원ID, 패스워드,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등과 함께 인증코드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회원DB(240)에 통합되어 기록된다. 인증코드의 기록위치는 회원ID와 패스워드 사이 등으로 바뀔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한 메일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인증코드가 메일의 헤더에 기록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일은 크게 발신자(From), 수신자(To), 제목(Subject)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header)와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내용의 본문과 사용자가 정의하는 맺음말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한 메일에는 본문에 인증코드가 더 기록된다. 물론, 메일과 관련된 규약을 바꾸거나 메일관련 규약과는 상관없이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X-헤더 등에 인증코드가 기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일에 파일이 첨부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에는 메일의 반송경로를 나타내는 Return path, 수신경로를 나타내는 Received, 메일서버(230)에서 메시지를 외부로 보내며 붙이는 Message-ID, 응답경로를 나타내는 Reply-To, 발신자를 나타내는 From, 수신자를 나타내는 To, 제목을 나타내는 Subject, 발송날짜를 나타내는 Date 등이 표시되며, 본 발명이 헤더에 적용되는 경우 메일의 헤더에 인증코드가 더 기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팸메일 차단방법의 적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각 메일계정에 인증코드를 부여한다(단계 1). 인증코드의 부여는 메일계정을 가진 사람이 부여하거나 메일서버(220) 운영자가 메일계정 발급 시 부여할 수 있다.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부여받은 사람은 자기가 메일을 받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인증코드를 알려주어야 한다.
메일계정에 대하여 인증코드가 부여된 후에는 인증코드DB(210)나 회원DB(240)에 각 메일계정의 인증코드를 저장한다(단계 2).
위 단계 1과 단계 2를 거친 후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통지 받은 사람이 당해 메일계정을 가진 사람에게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메일 프로그램을 이용해 메일을 보내고자하는 경우, 메일의 본문이나 헤더 등에 인증코드를 기록하여 메일을 발송한다(단계 3).
메일서버(220)에서는 수신되는 메일 또는 타측 메일서버에서 수신을 요청하는 메일 정보에 인증코드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기록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인증코드DB(210)나 회원DB(240) 등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 메일계정의 인증코드를 비교한다(단계 4).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는 메일은 메일DB(230)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반송하거나 수신거부 한다(단계 5).
수신자는 클라이언트(130)를 통해 메일서버(220)에 로그인 한 후 메일서버(220)에 저장되어 있는 자기의 메일을 확인한다(단계 6). 물론, 수신자가 메일을 읽고자 요청하는 경우 메일서버(220)의 메일서버프로그램(225) 또는 인증프로그램(226)이 메일의 본문 등에 기록되어 있는 인증코드를 삭제한 후 수신자에게 발송한다.
도 9는 메일서버에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메일서버(22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메일서버(120)에서 송신하는 메일정보를 수신한다(단계 11). 여기에서 메일정보라 함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메일 전체의 정보일 수도 있고,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헤더에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다.
메일서버(220)는 수신된 메일정보에 인증코드가 있는지를 확인하여(단계 12), 인증코드가 없는 것이면 메일을 반송하거나 수신거부 한다(단계 13).
수신된 메일정보에 인증코드가 있으면 이를 인증코드DB(210) 또는 회원DB(240)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메일계정의 인증코드를 비교한다(단계 14).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위 단계 13을 실행하고,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면(단계 15) 그 메일을 메일DB(230)에 저장한다(단계 16).
메일DB(230)에 메일이 저장된 상태에서 당해 메일계정을 가진 사람이 클라이언트(130)를 통해 메일서버(220)에 로그인 한 후 메일 읽기를 요청하는가를 판단하여(단계 17), 메일 읽기 요청이 있으면 메일에서 인증코드를 삭제한 후에 발송 즉, 메일의 다운로드를 허용한다(단계 18). 수신자가 읽은 메일은 수신자 또는 메일서버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단계 19) 메일을 삭제하거나 삭제하지 않고 일정기간 저장하여두었다가 기간 만료 후에 삭제한다(단계 20). 이에 따라 수신자는 원하는 메일만 받아볼 수 있고, 스팸메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팸메일 방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메일계정을 가진 사람이 원하는 사람 즉, 그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알려준 사람이 보내는 메일만을 수신자가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무차별적으로 불특정다수에게 발송되는 스팸메일의 광고효과 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스팸메일도 점점 줄어들어 스팸메일로 인한 폐해가 방지된다.
메일의 수신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메일을 읽거나 삭제하는데 따른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고,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유용한 정보의 소통이 원활해진다.
뿐만 아니라, 메일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이나 악성메일이 차단되는 이점도 있다.

Claims (8)

  1.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일서버가 구비된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메일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스팸메일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메일 차단방법에 있어서,
    수신을 원하는 메일계정에 대하여 인증코드를 부여하는 인증코드 부여단계;
    상기 메일계정과 상기 메일계정에 부여된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일서버와 연동될 수 있는 인증코드DB에 저장하는 인증코드 저장단계;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인증코드가 있으면 상기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기록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상기 인증코드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인증코드 비교단계; 및
    상기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없거나 상기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메일을 반송하거나 수신을 거부하고, 상기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메일을 상기 메일DB에 저장하는 메일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 DB는 회원DB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본문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의 본문에 기록된 인증코드는 메일수신자에게 발송되기 전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헤더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방법.
  6.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일서버가 구비된 네트워크에서 임의의 메일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스팸메일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메일 차단시스템에 있어서,
    각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메일서버에 연동 가능한 인증코드DB;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기록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 인증코드가 있으면 메일에 기록되어 있는 인증코드와 상기 인증코드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하기 위한 메일의 메일계정에 대한 인증코드를 비교하는 인증프로그램과 상기 수신하기 위한 메일에 인증코드가 없거나 상기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메일을 반송하거나 수신을 거부하고, 상기 비교되는 두 인증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메일을 상기 메일DB에 저장하는 메일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메일서버;
    상기 인증프로그램에 의한 인증단계를 거친 메일이 저장되고 상기 메일서버와 연동 가능한 메일DB; 및
    상기 메일서버를 이용하는 회원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메일서버와 연동 가능한 회원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DB는 상기 회원DB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서버 프로그램은 상기 메일을 메일 수신자에게 발송하기 전에 상기 메일에 기록된 인증코드를 삭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차단시스템.
KR1020020024246A 2002-05-02 2002-05-02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85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246A KR20030085937A (ko) 2002-05-02 2002-05-02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246A KR20030085937A (ko) 2002-05-02 2002-05-02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937A true KR20030085937A (ko) 2003-11-07

Family

ID=3238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246A KR20030085937A (ko) 2002-05-02 2002-05-02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59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18B1 (ko) * 2002-11-18 2005-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팸 sms 메시지 자동 처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692B1 (en) * 1999-01-04 2001-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blocking all unwanted e-mail (SPAM) using a header-based password
KR20010088973A (ko) * 2001-08-28 2001-09-29 김동환 스팸메일에 의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이메일사용목적설정방법
KR20020030704A (ko) * 2001-09-28 2002-04-25 이계철 가상 전자우편주소를 이용한 스팸메일 방지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20090744A (ko) * 2001-05-29 2002-12-05 주식회사 나라비전 암호화 편지함 기능을 갖는 전자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30017131A (ko) * 2001-08-24 2003-03-03 김성주 약정코드를 이용한 스팸메일 차단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6692B1 (en) * 1999-01-04 2001-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blocking all unwanted e-mail (SPAM) using a header-based password
KR20020090744A (ko) * 2001-05-29 2002-12-05 주식회사 나라비전 암호화 편지함 기능을 갖는 전자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30017131A (ko) * 2001-08-24 2003-03-03 김성주 약정코드를 이용한 스팸메일 차단방법
KR20010088973A (ko) * 2001-08-28 2001-09-29 김동환 스팸메일에 의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이메일사용목적설정방법
KR20020030704A (ko) * 2001-09-28 2002-04-25 이계철 가상 전자우편주소를 이용한 스팸메일 방지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타로그[신문-국민일보 2001.11.07일자 참조]2001.11.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18B1 (ko) * 2002-11-18 2005-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팸 sms 메시지 자동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4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blocking delivery of bulk electronic mail
US7596600B2 (en) System for selective delivery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US20030149726A1 (en) Automating the reduction of unsolicited email in real time
US2007020404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jecting unauthorized or SPAM e-mail messages.
US200501256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ing delivery of incoming messages
US20100138444A1 (en) Federated challenge credit system
MXPA03000807A (es) Sistema y metodo para verificar la entrega e integridad de mensajes electronicos.
WO20010449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rming receipt of electronic mail transmitted via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1663684A (zh) 安全交易通信
US7574476B2 (en) Filtering e-mail messages
US7383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increasing message transaction costs
KR20060120047A (ko) 송신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방법 및시스템
US9887950B2 (en) Validating E-mails using message posting services
US20060235930A1 (en) Method to counter junk e-mail by limiting validity of e-mail addresses
US2004024989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ejecting unauthorized or SPAM e-mail messages
KR20030085937A (ko)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17131A (ko) 약정코드를 이용한 스팸메일 차단방법
WO2003053017A1 (fr) Systeme de transmission de courrier electronique avec adresse de serveur de courrier mandataire
KR101483295B1 (ko) 메시지 공유 방법
US2007019242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 keyed email framework
JP6845296B1 (ja) メール送信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7933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reporting improperly registered web sites
KR20060023732A (ko) 공유 메일 운영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114344A (ko) 공유 메일 운영서버
KR20140006731A (ko) 메시징을 이용한 메일 전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