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203A - A Jamming Methods for WCDMA - Google Patents

A Jamming Methods for WCDM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203A
KR20030081203A KR1020030053542A KR20030053542A KR20030081203A KR 20030081203 A KR20030081203 A KR 20030081203A KR 1020030053542 A KR1020030053542 A KR 1020030053542A KR 20030053542 A KR20030053542 A KR 20030053542A KR 20030081203 A KR20030081203 A KR 20030081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de
base station
main
ja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42109B1 (en
Inventor
표병석
김정혜
Original Assignee
(주)솔라통신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라통신기술 filed Critical (주)솔라통신기술
Priority to KR10-2003-005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109B1/en
Publication of KR2003008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1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4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waveform or modulation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3Cell search, e.g. using a three-step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2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frequency or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5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j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jamming method f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o generate a jamming radio wave for preventing the communication of a UE(User Equipment) and a node B when the UE moves to a specific area set in an area covered by the node B. CONSTITUTION: A jamming code generator(420) generates a primary pilot signal by a primary scramble code which is different from a primary scramble code of a node B. The jamming code generator(420) generates a PSC(Primary Synchronization Code) signal for slot synchronization. The jamming code generator(420) generates an SSC(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 signal for discriminating a frame synchronization and a code group. The jamming code generator(420) synthesizes the primary pilot signal, the PSC signal and the SSC signal, and generates a baseband signal. A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F(Intermediate Frequency) and RF(Radio Frequency) signal processing unit(430) modulates the baseband signal to covert the baseband signal into an RF signal, amplifies the converted RF signal at a desired leve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RF signal to a jamming specific area.

Description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란방법{A Jamming Methods for WCDMA}A Jamming Methods for WCDM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비동기시스템의 교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이 커버하는 지역 내의 특정 지역으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면 기지국과의 교신을 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교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urban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asynchronou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urbance method that prevent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when a mobile terminal moves to a specific area within an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이동통신 시스템은 1세대의 아날로그 셀룰라, 2세대의 디지털 셀룰라, 2.5세대의 PCS, 3세대의 IMT-2000으로 발전되어 왔다. 현재 2.5세대까지는 사업화되어 서비스가 실시 중이나 IMT-2000의 3세대는 시범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evolved into first generation analog cellular, second generation digital cellular, 2.5 generation PCS, and third generation IMT-2000. Currently, up to 2.5 generations have been commercialized and services are in operation, but the third generation of IMT-2000 is being piloted.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IMT2000)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주도의 비동기 시스템 방식과, 3GPP2 주도의 동기 시스템 방식의 두 가지 표준을 채택하고 있다. 비동기 시스템 방식은 일본 및유럽을 중심으로 개발되는 WCDMA로서 DS-CDMA 기술을 근거로 하고 있고, 동기 시스템 방식은 북미중심으로 개발되는 cdma2000 1x (IS2000)방식이다.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MT2000), which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dopts two standards: asynchronous system method led by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synchronous system method led by 3GPP2. The asynchronous system method is WCDMA developed mainly in Japan and Europe, based on DS-CDMA technology, and the synchronous system method is cdma2000 1x (IS2000) method developed in North America.

비동기 시스템 방식과 동기 시스템 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기지국들 사이의 시각 동기 여부의 차이이다.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asynchronous system method and the synchronous system method is the difference in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base stations.

동기 방식의 경우 GPS를 이용하여 모든 기지국이 동일한 시각 동기를 가지고 운용이 되지만, 비동기 방식의 경우 모든 기지국이 각각 다른 시각차를 가지고 운용이 된다. 즉, 동기방식은 IS-95를 기반으로 진화된 기지국 시각을 공통의 절대 시각기준에 맞추어 정렬함으로써 이동국으로 하여금 시스템 시간 획득 및 핸드오프를 수월하게 하나 기지국이 GPS로부터 기준시각을 제공받아야 한다.In the synchronous method, all base stations operate with the same time synchronization using GPS, but in the asynchronous method, all base stations operate with different time differences. That is, the synchronous method aligns the base station time evolved based on the IS-95 to a common absolute time reference to allow the mobile station to easily acquire the system time and handoff, but the base st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the reference time from the GPS.

비동기방식은 모든 기지국의 프레임 시각이 독립적이므로 기준시각이 필요하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기지국 설치가 용이한 반면, 이동국이 초기 셀 탐색(Cell search)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Since the frame time of all the base stations is independent, the reference time is not necessary, so that various types of base stations can be easily installed. However, the mobile station requires a lot of time to perform an initial cell search.

한편, 국가와 국가 사이 혹은 휴전선과 같은 특정지역에 기지국을 설치한 경우 주변지역 또는 주변국가의 신호를 차단하거나 주변지역 또는 주변국가로부터 자국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도록 전파를 방해할(교란시킬) 필요가 있다. 동기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직교호출 잡음 시뮬레이터가 공개번호 특2001-0098126호로 공개되어 있으나 비동기 시스템에서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어 그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f base stations are installed between countries or in certain areas such as cease-fire lines, they may block the signals of neighboring or neighboring countries, or interfere with radio waves to prevent them from properly receiving their signals from neighboring or neighboring countries. There is a need. In the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 orthogonal call noise simulator having such a func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0098126, but it has not been developed yet in an asynchronous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비동기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지역 내에 설정된 특정지역으로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게 되면 기지국과 교신을 하지 못하도록 교란전파를 발생하기 위한 3세대 이동통신 비동기 시스템의 교란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rd generation for generating a disturbing radio wave to prevent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moves to a specific area set within the area covered by the base station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meet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sturbing a mobile communication asynchronous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절차의 순서도,2 is a flowchart of a synchronous procedure in a third generatio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절차에 적용되는 채널 구조의 예,3 is an example of a channel structure applied to a synchroniz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란장치의 구성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turb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동기 기지국 교란코드 발생기의 구성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synchronous base station disturbance code generator shown in FIG. 4;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클럭 및 공통부의 구성 블럭도,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and a common unit illustrated in FIG. 4;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의 클럭을 도시한 타이밍도,FIG. 7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 clock of the clock generator shown in FIG. 6;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운링크 스크램블 코드 발생기의 예.8 is an example of a downlink scramble code generat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교란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시스템의 구성도.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st system for measuring disturbance signal strength.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WCDMA교란국12: 교란지역10: WCDMA disturbance station 12: disturbance zone

20: WCDMA기지국22: 통화지역20: WCDMA base station 22: calling area

30: 경계선410: 제어기30: boundary line 410: controller

420: 비동기기지국 교란코드발생기430: WCDMA IF및 RF 신호처리장치420: asynchronous base station disturbance code generator 430: WCDMA IF and RF signal processing device

421: 클럭 및 공통부422: 주 파일럿 채널 코드발생기421: clock and common section 422: main pilot channel code generator

423: 주 동기채널 코드발생기424: 부 동기채널 코드발생기423: primary sync channel code generator 424: secondary sync channel code generator

425-1~425-3: 곱셈기426: 합산기425-1 to 425-3: Multiplier 426: Summer

427: 실수부428: 허수부427: real part 428: imaginary part

610: 발진기620: PLL610: oscillator 620: PLL

630: 클럭발생부810: X-LSFR630: clock generator 810: X-LSFR

820: Y-LSFR820: Y-LSF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WCDMA 기지국이 할당된 주 스크램블 코드를 송출하여 해당 셀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들이 통화할 수 있게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주 스크램블 코드와 다른 주 스크램블 코드에 의한 주파일럿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슬롯동기를 위한 주동기(PSC)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프레임동기와 코드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부동기(SSC)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일럿신호, 주동기신호 및 부동기신호를 합성하여 기저대역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RF신호를 원하는 레벨로 증폭하여 교란시킬 특정지역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WCDMA base station transmits an assigned main scramble code to enable terminals within a corresponding cell coverage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scramble code of the base station. Generating a main pilot signal by the main scramble code, generating a main synchronization signal (PSC) signal for slot synchronization, generating a floating signal (SSC) signal for identifying a frame synchronization and a code group; Generating a baseband signal by synthesizing the main pilot signal, the main synchronous signal, and the floating signal; and modulating the baseband signal to convert it into an RF signal, and amplifying the converted RF signal to a desired level to disturb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ending to a specific area.

본 발명에서 상기 기저대역신호는 상기 합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서로 직교된 실수(BB_I)신호와 허수(BB_Q)신호를 출력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band signal processes the synthesized signal and outputs a real (BB_I) signal and an imaginary (BB_Q) signal orthogonal to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송출단계는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사업자 별 주파수 대역으로 업컨버팅하여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업컨버팅된 고주파신호들을 합성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된 신호를 선형 전력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증폭된 신호 중 일정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step includes the step of up-converting the baseband signal to at least one frequency band for each operator to generate a high frequency signal, synthesizing the upconverted high frequency signals, linear power amplification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passing only a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among the power amplified signals and transmitting the same through an antenn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란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비동기방식으로 통화를 위한 정상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WCDA 기지국(20)과, 특정지역의 단말기들이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교란(Jamming)신호를 출력하는 WCDMA 교란국(10)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disturb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CDA base station 20 for outputting a normal signal for a call in an asynchronous manner, and jamming so that terminals in a specific region do not receive the base station signal (Jamming) WCDMA disturbing station 10 for outputting a signal is shown.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의 셀 커버리지가 경계선(30)을 넘어 타국가(혹은 타지역)까지 미쳐 통화지역(22)을 형성할 경우, 타국가(혹은 타지역)에서는 자국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교란국(10)에서 해당지역으로 교란신호를 송출한다. 따라서 기지국(20)의 셀 커버리지 내에 교란국(10)에 의해 의도적으로 재밍지역(12)이 형성되고, 재밍지역(12)에 있는 단말기들은 교란국(10)에서 발사된 교란전파를 기지국 전파로 오인하게 되므로 실제 기지국(20)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교란국(10)의 안테나는 기지국(20)과의 배치간계, 교란방향 드을 고려하여 지향성 또는 방향성 안테나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cell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20 extends beyond the boundary 30 to other countries (or other regions) to form the call zone 22, the other countries (or other regions) ) Transmits a disturbance signal from the disturbing station 10 to the corresponding region so as not to receive a signal of the own station. Accordingly, the jamming zone 12 is intentionally formed by the disturbing station 10 within the cell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20, and the terminals in the jamming zone 12 transmit the disturbing radio waves emitted from the disturbing station 10 to the base station radio waves. Since it is mistaken, the signal of the actual base station 20 cannot be received. Here, the antenna of the disturbing station 10 is configured as a directional or directional antenna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interval with the base station 20, the disturbance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3세대 이동통신 비동기시스템에서 동기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ynchronous procedure in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synchronous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비동기시스템에서 단말기는 FDD방식의 물리계층의 절차를 규정하는 3GPP TS 25.214 규격에 따르면, 물리계층의 동기절차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탐색(Cell search)(S1)을 수행한 후 얻어진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하여 주공통제어 물리채널(P-CCPCH :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을 수신하여(S2), 해당 기지국의 방송채널(BCH : Broadcast channel)을 통한(S3) 기지국 정보를 얻어서 동작한다.According to the 3GPP TS 25.214 standard that specifies the procedure of the physical layer of the FDD scheme in the asynchronous system, the terminal is scrambling obtained after performing a cell search (S1) as shown in FIG. 2 as a synchronization procedure of the physical layer. Receives a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using a code (S2), and operates by obtaining base station information through a broadcast channel (BCH: Broadcast channel) of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S3).

기지국 탐색 과정(S1)은 비동기시스템의 단말기가 초기 단계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지국을 찾는 과정으로서, 슬롯동기(Slot synchronization) 단계(S11)와 프레임(frame) 및 코드 그룹 식별 단계(S12), 스크램블 코드 식별 단계(S13)로 이루어진다.The base station discovery process (S1)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base station that the terminal of the asynchronous system can receive the service in the initial stage, the slot synchronization (Slot synchronization) step (S11) and the frame (frame) and code group identification step (S12), A scramble code identification step S13 is made.

모든 단말기들은 인접의 기지국 중 서비스 받을 수 있는 기지국을 선택하고, 그 기지국과 동기과정을 수행하는 기지국 탐색(Cell Search) 과정을 수행해야지만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 탐색과정을 단말기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교란국(10)이 해당 기지국(20) 셀에서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생성시켜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이다.All terminals must select a base station that can be serviced from neighboring base stations and perform a cell search process that performs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but can receive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properly performing the base station discovery process, the disturbing station 10 generates a code not used in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20 cell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한편, 비동기 이동 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기지국을 구별하기 위해 순방향(다운링크)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고, 단말과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해 역방향(업링크)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정보채널들의 구별을 위해 직교부호(OVSF)를, 단말에서 전송하는 채널의 구별을 위해 직교부호(OVSF)를 사용한다.Meanwhile, 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forward (downlink) scrambling code is used to distinguish a base station from a base station, and a reverse (uplink) scrambling code is used to distinguish a terminal from a terminal. Orthogonal code (OVSF) is used to distinguish, and orthogonal code (OVSF) is used to distinguish the channe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비동기식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다운링크)에서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코드는 8192개이다. 스크램블링 코드는 일종의 슈도 랜덤(pseudo random) 코드이다. 8192개의 코드는 512개의 코드 집합으로 구분되고, 512개의 코드집합 각각은 1개의 주스크램블링 코드와 15개의 부스크램블링 코드로 구성한다.There are 8192 scrambling codes used on the forward link (downlink) in an asynchronous system. Scrambling code is a kind of pseudo random code. The 8192 codes are divided into 512 code sets, and each of the 512 code sets includes one main scrambling code and 15 subscrambling codes.

따라서, 주스크램블 코드는 512개이고, 512개의 주스크램블링 코드는 16개의 코드 그룹으로 구분한다. 16개의 코드그룹들 각각은 8개의 주스크램블링 코드로 구성한다.Therefore, there are 512 main scrambling codes and 512 main scrambling codes are divided into 16 code groups. Each of the 16 code groups consists of 8 main scrambling codes.

P-CPICH(Primary Common Pilot Channel)는 항상 주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며, 각각의 기지국은 512개의 주스크램블링 코드를 분배하여 사용하게 된다.The primary common pilot channel (P-CPICH) always uses the primary scrambling code, and each base station distributes 512 primary scrambling codes.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탐색과정(S1)에서 단말기는 최상의 셀(기지국)을 선택하여 그 셀의 순방향 링크(다운링크) 스크램블링 코드와 프레임 동기를 결정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base station discovery process S1, the terminal selects the best cell (base station) to determine the forward link (downlink) scrambling code and frame synchronization of the cell.

이를 위해 첫번째 단계인 슬롯동기 단계(S11)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의 주 동기채널(P-SCH)의 주 동기코드(PSC: Primary Synchronization Code)를 탐색하여 가장 큰 전력으로 수신된 셀에 대해서 슬롯동기를 획득한다. 이러한 과정은 정합필터(matched filt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first step of slot synchronization (S11), the terminal searches for a primary synchronization code (PSC) of the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of the base station and synchronizes the slot with respect to the cell received at the highest power. Acquire. This process can be implemented using a matched filter.

프레임 동기 및 코드그룹 식별단계(S12)에서는 단말기가 기지국의 부 동기채널(S-SCH)의 부 동기코드(SSC: 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를 탐색하여 프레임 동기와 현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 코드 그룹을 식별한다. 여기서 SSC로 사용되는 CP(Cyclically Permutable)코드는 순회천이(cyclic shifts)되는 고유한 성질을 가지므로 프레임 동기와 코드의 그룹을 동시에 결정할 수 있다.In the frame synchronization and code group identification step (S12), the terminal searches the 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 (SSC) of the sub-synchronization channel (S-SCH) of the base station to identify the frame synchronization and the scramble code group used by the current base station. do. The CP (Cyclically Permutable) code used as the SSC has a unique property of cyclic shifts, so that frame synchronization and a group of codes can be simultaneously determined.

스크램블링 코드 식별단계(S13)에서는 단말기가 주 공통파일럿채널(P-CPICH)을 탐색하여 단계S12에서 확인된 코드 그룹에 속한 모든 스크램블 코드에 대하여상관관계를 취함으로써 해당 셀의 주 스크램블링 코드를 식별한다. 즉, 스크램블링 코드는 코드그룹에 속한 모든 스크램블링 부호들과 주 공통파일럿채널(P-CPICH)의 심볼간 상관을 통해서 확인된다.In the scrambling code identification step (S13), the terminal searches for the main common pilot channel (P-CPICH) and performs correlation with all the scrambling codes belonging to the code group identified in step S12 to identify the main scrambling code of the corresponding cell. . That is, the scrambling code is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between all scrambling codes belonging to the code group and symbols of the main common pilot channel (P-CPICH).

스크램블링 코드가 확인되면 P-CCPCH(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를 검파할 수 있고, 브로드캐스팅되는 제어 데이터(BCH)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crambling code is confirmed, the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 can be detected, and broadcast control data (BCH) can be receiv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절차에 적용되는 채널들의 타이밍도이다.3 is a timing diagram of channels applied to a synchroniz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1 프레임(frame)은 10ms로서 38,400 칩으로 이루어지고, 슬롯 0(Slot 0)부터 슬롯 14까지 15개의 슬롯으로 구분된다. 하나의 슬롯은 0.667ms, 2560칩으로 이루어지고, 다시 10개의 심볼로 구분된다. 하나의 심볼은 66.7㎲, 256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1 프레임의 매 슬롯 시작 첫 심볼에 주 동기채널(P-SCH)은 모든 셀에서 동일한 주동기코드(PSC)를 내보내고, 기지국 탐색의 S11단계에서는 이 주동기코드(PSC)에 의해 슬롯 동기를 확립한다.Referring to FIG. 3, one frame is composed of 38,400 chips as 10 ms, and is divided into 15 slots from slot 0 to slot 14. One slot consists of 0.667ms, 2560 chips, and is divided into 10 symbols. One symbol consists of 66.7㎲, 256 chips. The main sync channel (P-SCH) outputs the same main sync code (PSC) in all cells at the first symbol of each slot start of one frame. In step S11 of the base station search, slot sync is performed by the main sync code (PSC). To establish.

1 프레임의 매 슬롯 시작 첫 심볼에 부 동기채널(S-SCH)은 모든 셀에서 슬롯마다 다른 부동기코드(SSC0~SSC14)를 내보내고, 기지국 탐색의 S12단계에서는 이 부동기코드(SSC0~SSC14)에 의해 프레임 동기 및 코드 그룹을 확인한다.In the first symbol of every slot of one frame, the sub-sync channel (S-SCH) sends out different floating code codes (SSC 0 to SSC 14 ) for each slot in every cell.In the step S12 of the base station search, this floating code (SSC 0) is used. ~ SSC 14 ) confirms the frame sync and code group.

주공통파일럿채널(P-CPICH)에서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확인하기 위한 파일럿신호(Common Pilot)가 연속적으로 송출되고, 기지국 탐색 단계(S1)에서는 이 파일럿을 수신하여 단계 S12에서 확인된 코드 그룹에 속한 모든 스크램블링 코드에 대하여 상관관계를 취함으로써 해당 셀의 주 스크램블 코드를 식별한다. 여기서 주공통파일럿채널(P-CPICH)의 파일럿신호는 일정한 형식의 정보(A=1+j)에 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를 곱하여 생성된다.In the common common pilot channel (P-CPICH), a pilot signal (Common Pilo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to check the scrambling code, and in the base station discovery step (S1), the pilot signal is received and belongs to all code groups identified in step S12. By correlating the scrambling code, the primary scrambling code of the cell is identified. Here, the pilot signal of the main common pilot channel (P-CPICH) is generated by multiplying a scrambling code by information (A = 1 + j) of a predetermined format.

이와 같이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는 기지국 채널탐색과정을 거쳐서 동기를 획득한 다음에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획득이 실패하면 기지국과 교신을 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nly after synchroniz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channel search process of the base station. Therefore, if synchronization acquisition fail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란장치의 구성 블럭도로서, 본 발명의 교란장치는 제어기(410)와 비동기 기지국 교란코드 발생기(420), WCDMA IF 및 RF 신호처리장치(430), 재충전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부(440)로 구성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turba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controller 410, an asynchronous base station disturbance code generator 420, a WCDMA IF and RF signal processor 430, and a rechargeable battery. It is composed of a power supply unit 440.

제어기(4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410-1), 메모리(410-2), 표시부(410-3), 키입력부(410-4)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10-1)는 시리얼 포트, 예컨대 RS232, 또는 RS422 등의 포트를 통하여 외부 퍼스널 컴퓨터(PC)와 접속되고, 이더넷 포트를 포함한다. 메모리(410-2)는 싱크디램, 플래쉬메모리, EEPROM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410-3)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문자표시기, 예컨대 VFD 또는 LCD 등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 등을 포함한다. 키입력부(410-4)는 모드설정 및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업/다운키, 세트키 등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410 includes a microprocessor 410-1, a memory 410-2, a display unit 410-3, and a key input unit 410-4. The microprocessor 410-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ersonal computer (PC) through a port such as a serial port, for example, RS232 or RS422, and includes an Ethernet port. The memory 410-2 includes a sync DRAM, a flash memory, an EEPROM,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410-3 includes a character display for displaying characters, such as a VFD or LCD, and a light emitting diode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The key input unit 410-4 includes an up / down key, a set key, and the like for mode setting and command or information input.

교란코드 발생기(420)는 코드발생부(420-1)와 전송신호처리부(420-2)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코드발생부(420-1)는 클럭 및 공통부(421)와 주공통파일럿채널 코드발생부(P-CPICH)(422), 주동기채널 코드 발생부(P-SCH)(423), 부동기채널 코드발생부(S-SCH)(424), 곱셈기(425-1~425-3), 합산기(Summation: 426)를 포함하고, 전송신호처리부(420-2)는 실수부(Re(.): 427), 허수부(Im(.): 428)를 포함한다. 교란코드 발생기(420)의 출력은 기저대역(Baseband)신호이고, 이 신호를 WCDMA의 RF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IF 및 RF 신호처리부(430)로 송신한다.The disturbing code generator 420 includes a code generator 420-1 and a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420-2. Referring to FIG. 5, the code generator 420-1 includes a clock and a common unit 421, a main common pilot channel code generator (P-CPICH) 422, and a main synchronous channel code generator (P-SCH). 423, a floating channel code generator (S-SCH) 424, multipliers 425-1 to 425-3, and a summator 426, and a transmission signal processor 420-2 includes The real part Re (.) 427 and the imaginary part Im (.) 428 are included. The output of the disturbance code generator 420 is a baseband signal, which is transmitted to the IF and RF signal processor 430 in order to convert the signal into an RF signal of WCDMA.

WCDMA IF 및 RF 신호처리부(430)는 사업자별 업컨버터부(430-1, 430-2), 콤바이너(430-3), 선형전력증폭기(430-3), 밴드패스필터(430-5)를 포함한다.The WCDMA IF and RF signal processor 430 includes upconverters 430-1 and 430-2, combiners 430-3, linear power amplifiers 430-3, and band pass filters 430-5 for each operator. ).

사업자별 업컨버터부(430-1, 430-2)는 비동기기지국 교란코드 발생기(420)에서 입력된 기저대역신호를 QPSK 변조하여 19.2MHz의 IF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믹서를 사용하여 각 사업자별 FA 주파수대역에 맞추어 RF신호로 변환(UP CONVERSION)한다. RF 신호는 FDD주파수 대역, 예컨대 2130~2170MHz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각 사업자별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가진다.The upconverter units 430-1 and 430-2 for each operator convert the baseband signal inputted from the asynchronous base station disturbance code generator 420 into an IF signal of 19.2 MHz by QPSK modulation, and again, for each operator using a mixer. Convert to RF signal according to FA frequency band (UP CONVERSION). The RF signal has a frequency band allocated to each operator in an FDD frequency band, for example, 2130-2170 MHz.

콤바이너(430-3)는 각 사업자별 RF 신호를 합성한다.The combiner 430-3 synthesizes the RF signals for each operator.

선형전력 증폭기(430-4)는 합성된 RF 신호를 선형적으로 전력 증폭한다.The linear power amplifier 430-4 linearly power amplifies the synthesized RF signal.

밴드패스필터(430-5)는 FDD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들만을 필터링하여 안테나에 접속한다.The band pass filter 430-5 filters only signals in the FDD frequency band and connects the antenna to the antenna.

제어기(410)는 비동기 기지국 교란코드 발생기(420)와 WCDMA IF 및 RF 신호처리부(430)를 제어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제어기(410)는 교란코드 발생기(420)와, WCDMA IF 및 RF신호처리부(430)의 상태 등 시스템을 모니터하고 제어한다.The controller 410 controls the asynchronous base station disturbance code generator 420 and the WCDMA IF and RF signal processor 430 and monitors the state. That is, the controller 410 monitors and controls the system such as the disturbance code generator 420 and the state of the WCDMA IF and the RF signal processor 430.

제어기(401)는 PN 출력레벨, PN 번호상태, SCH 온/오프상태, RF 게인값, 선형전력증폭기의 출력레벨 및 임계치 설정, 선형전력증폭기의 온도측정, 선형전력증폭기의 온/오프상태, 전원부의 배터리 전압상태 등을 모니터링한다.Controller 401 is PN output level, PN number state, SCH on / off state, RF gain value, the output level and threshold setting of the linear power amplifier,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linear power amplifier, on / off state of the linear power amplifier, power supply Monitor battery voltage status.

제어기(410)는 512개의 PN 번호 중 교란용 PN번호 설정, SCH 온/오프 제어, 출력신호 온/오프제어, RF신호 감쇠율 제어, PLL 호핑 주파수 및 시간간격제어, 선형전력증폭기의 온/오프제어 등을 콘트롤한다.The controller 410 is configured for the disturbance PN number of the 512 PN numbers, SCH on / off control, output signal on / off control, RF signal attenuation rate control, PLL hopping frequency and time interval control, on / off control of the linear power amplifier Controls the back.

제어기(410)는 시스템 각부의 모니터링 결과 장애 발생시 알람을 발생하여 표시부 상에 문자로 표시하거나 LED를 통하여 경고 표시하고, 장애발생이유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집중 제어부에 원격으로 통보한다.The controller 410 generates an alarm when a failure occurs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of each part of the system and displays a letter on the display or a warning through the LED, stores the reason for the failure in the memory, and remotely notifies the centralized control unit.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비동기 기지국 교란코드 발생기의 구성 블럭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synchronous base station disturbance code generator shown in FIG. 4.

교란코드 발생기(420)에서는 3GPP 규격에 준하는 P-CPISH, P-SCH, 그리고 S-SCH 채널신호를 발생한다. 발생된 각 채널의 신호에 제어기(410)에 의해 제어되는 해당 이득(Gcp, Gpsc, Gssc)을 곱하고, 그 결과를 합(summing)한다. 합해진 결과는 다시 실수부(427)와 허수부(428)로 구분되어 실수부(427)는 BB_I신호를 허수부(428)는 BB_Q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BB_I 및 BB_Q는 기저대역의 신호이며, QPSK변조를 위하여 IF 및 RF 신호처리부(430)로 송신된다.The disturbing code generator 420 generates P-CPISH, P-SCH, and S-SCH channel signals conforming to the 3GPP standard. The signals of each generated channel are multiplied by the corresponding gains G cp , G psc , and G ssc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10, and the results are summed. The sum result is divided into a real part 427 and an imaginary part 428 so that the real part 427 generates the BB_I signal and the imaginary part 428 generates the BB_Q signal. The generated BB_I and BB_Q are baseband signals and are transmitted to the IF and RF signal processor 430 for QPSK modulation.

도 5를 참조하면, 주공통파일럿채널 코드발생부(P-CPICH)(422)는 3GPP규격에 부합되는 주공통파일럿채널(P-CPICH)의 파일럿신호를 생성한다. 파일럿신호는 한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다이버시티 기능없이 송신하기 위하여 일정한 정보(A=1+j)에 교란하고자 하는 기지국의 코드와 다른 골드 코드 계열의 주스크램블링 코드(Scrambling code)를 곱하여 한 개의 프레임인 10ms에 일치하도록 생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primary common pilot channel code generation unit (P-CPICH) 422 generates a pilot signal of a primary common pilot channel (P-CPICH) conforming to the 3GPP standard. The pilot signal is multiplied by the main scrambling code of the other gold code series by the code of the base station to be disturbed and the constant information (A = 1 + j) in order to transmit without transmitting diversity using one antenna. It is generated to match the frame, 10ms.

P-CPISH(422)에 DL-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는데, 이 DL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선형 쉬프트 귀환 레지스터(X-LSFR: Linear shift feedback register 810)와 Y 선형 쉬프트 귀환 레지스터(Y-LSFR: 820)로 이루어진다. X-LSFR(810)과 Y-LSFR(820)은 매 10ms마다 초기화되고, Y-LSFR(820)의 초기값은 항상 일정하다. 즉, y(i), y(0)=y(1)=y(2)=...y(17)=1이고, x(i)는 사용되는 스크램블 코드번호에 따라 마이크로포로세서(410-1)나 메모리(410-2)로부터 로딩된다.A DL-scrambling code is used for the P-CPISH 422, which generates an X linear shift feedback register (X-LSFR) and a Y linear shift feedback register as shown in FIG. (Y-LSFR: 820). The X-LSFR 810 and Y-LSFR 820 are initialized every 10 ms, and the initial value of the Y-LSFR 820 is always constant. That is, y (i), y (0) = y (1) = y (2) = ... y (17) = 1, and x (i) is the microprocessor 410 according to the scramble code number used. -1) or from memory 410-2.

이때, 비동기시스템에서 여러 기지국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DL 스크램블 코드는 262,143개가 존재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8192개 정도만 사용한다. 이 8192개의 스크램블 코드중에서 P-CPICH부(422)에서 사용된 코드는 512개(이를 주 스크램블 코드라 한다)이다. 사용되는 전체 스크램블 코드의 번호를 0부터 8191이라 할 때, 주 스크램블 코드번호는 0,16,32,...,8176 (=16*k, k=0~511)이다.In this case, there are 262,143 DL scramble codes that are used to distinguish several base stations from each other in an asynchronous system. As described above, only about 8192 DL scramble codes are used. Of the 8192 scrambled codes, 512 codes used in the P-CPICH unit 422 are referred to as main scramble codes. When the total number of scramble codes used is from 0 to 8191, the main scramble code numbers are 0,16,32, ..., 8176 (= 16 * k, k = 0 to 511).

그리고 본 발명에서 비동기 단말기를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셀의 주 스크램블코드와 다른 코드를 사용한다. 만약, 동일 스크램블링 코드를 사용하면 단말기는 다중경로로 인식하여 다비어스티 결합을 시도하지만 실제 이 경로에는 유효한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한다.In order to disable the asynchronous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de different from the main scramble code of the cell currently being used is used. If the same scrambling code is used, the terminal recognizes it as a multipath and attempts to combine Daviesti, but since the valid data is not input to this path, it does not affect the terminal.

사용하고자 하는 주스크램블 코드에 따라 X-LSFR(810)를 초기화를 위하여512 종류의 초기값을 저장하거나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512종류의 초기값을 메모리(410-2)에 저장한다. 제어기(410)에서 수신한 스크램블링 코드 번호를 참조하여 매 10ms마다 X-LSFR(810)를 초기화한다.According to the main scramble code to be used, the 512 types of initial values are stored or generated for initializing the X-LSFR 810. In the present invention, 512 kinds of initial values are stored in the memory 410-2. The X-LSFR 810 is initialized every 10 ms with reference to the scrambling code number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410.

주동기채널 코드발생부(P-SCH)(423)는 3GPP에 부합되는 주동기코드(PSC)를 발생한다. 주동기코드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The main synchronization channel code generation unit (P-SCH) 423 generates a main synchronization code (PSC) conforming to 3GPP. The main synchronous code is shown in Equation 1 below.

상기 수학식 1에서 a = < x1, ..., x16>In Equation 1, a = <x 1 , ..., x 16 >

= <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 이다.=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주동기코드(PSC)는 10ms 동안 동일한 코드로 15개의 슬롯의 처음 256chips에 맞추어 생성된다. 따라서, 주동기코드(PSC)는 슬롯경계, 즉 슬롯 위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The main synchronization code (PSC) is generated for the first 256 chips of 15 slots with the same code for 10 ms. Thus, the main synchronization code (PSC) is used to identify the slot boundary, that is, the slot phase.

부동기채널 코드발생부(S-SCH)(424)는 3GPP에 부합되는 부동기코드(SSC)를 발생한다. 부동기코드(SSC)는 메모리에 있는 2개의 롬 테이블에 의해 생성되는데, 하나는 하다마드 테이블(Hadamard table)이고 다른 하나는 3GPP 규격의 TS25.213의 표 4로 정의된 SSC 할당 테이블이다.The floating channel code generation unit (S-SCH) 424 generates a floating code (SSC) conforming to 3GPP. The floating code (SSC) is generated by two ROM tables in memory, one is a Hadamard table and the other is an SSC allocation table defined in Table 4 of TS25.213 of the 3GPP specification.

상기 수학식 2에서 b = <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x14, -x15, -x16>, < x1, ..., x16> = <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 이다.In Equation 2, b = <x 1 , x 2 , x 3 , x 4 , x 5 , x 6 , x 7 , x 8 , -x 9 , -x 10 , -x 11 , -x 12 , -x 13 , -x 14 , -x 15 , -x 16 >, <x 1 , ..., x 16 > = <1, 1, 1, 1, 1, 1, -1, -1, 1, -1 , 1, -1, 1, -1, -1, 1>.

여기서, m=16×(k-1)이고, 하다마드 행렬인 경우의 H8의 m 번째 열의 i 번째 엘리먼트이다.Where m = 16 × (k−1) and a Hadamard matrix Is the i th element of the m th column of H 8 .

부동기코드(SSC)는 10ms 동안 서로 다른 코드들로 15개의 슬롯의 처음 256chips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부동기코드(SSC)는 프레임경계, 즉 프레임 위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The floating code (SSC) is generated sequentially with the first 256 chips of 15 slots with different codes for 10ms. Thus, the floating code SSC is used to identify the frame boundary, i.e., the frame phase.

클럭 및 공통부(421)는 주- 스크램블링 코드번호와 같은 필요한 정보와 타이밍신호를 발생하여 공급한다. 타이밍신호는 각부의 메모리를 읽기 위한 어드레스, 클럭 등의 신호로 구성된다.The clock and common unit 421 generates and supplies necessary information and timing signals, such as a master scrambling code number. The timing signal is composed of signals such as an address and a clock for reading the memory of each part.

제1 곱셈기(425-1)는 주공통파일럿채널 코드발생부(P-CPICH)(422)의 출력신호에 이득 Gcp를 곱해 출력하고, 제2 곱셈기(425-2)는 주동기채널 코드발생부(P-SCH)(423)의 출력신호에 이득 Gpsc를 곱해 출력하고, 제3 곱셈기(425-3)는 부동기채널 코드발생부(S-SCH)(424)의 출력신호에 이득 GSSC를 곱해 출력한다.The first multiplier 425-1 multiplies the output signal of the P-CPICH 422 by the gain G cp , and the second multiplier 425-2 generates the main synchronous channel code. The output signal of the negative (P-SCH) 423 is multiplied by the gain G psc , and the third multiplier 425-3 outputs the gain 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floating channel code generator (S-SCH) 424. Multiply by SSC to print.

합산기(426)는 제1 내지 제3 곱셈기(425-1~425-3)의 출력을 합하고,실수부(427)는 합산기(426)의 출력을 처리하여 BB_I신호를 출력하며, 허수부(428)는 합산기(426)의 출력을 처리하여 BB_Q신호를 출력한다.The summer 426 sums the outputs of the first to third multipliers 425-1 to 425-3, and the real part 427 processes the output of the summer 426 to output the BB_I signal, and the imaginary part 428 processes the output of summer 426 to output the BB_Q signal.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클럭 및 공통부의 클럭관련 구성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클럭 발생부의 클럭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and a common part of FIG. 4, and FIG. 7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of the clock generator shown in FIG. 6.

도 6을 참조하면, 클럭 및 공통부(421)의 클럭관련 부분은 발진부(610)와 PLL(620), 클럭발생부(630)로 구성된다. 발진부(610)는 10MHz 크리스탈 발진기(OCXO)로서, 10MHz의 단일 톤을 발생시키고, PLL(620)은 입력된 10MHz로부터 비동기 칩 레이트인 칩 레이트1(chipx1)와 8배의 칩레이트8(chipx8)의 클럭을 발생한다. 클럭발생부(630)는 입력된 칩레이트1(chipx1)과 칩레이트8(chipx8)를 분주 및 체배하여 10ms클럭(pp10ms)과 카운트신호(cnt_x)를 발생한다. 10ms클럭(pp10ms)은 주기가 10ms이고, 통상 1칩 또는 8칩의 1클럭 동안만 어셔트(assert)되는 신호이다. 10ms클럭신호는 결국 본 발명의 동기신호로서, 코드발생시 코드의 동기 및 초기화에 사용되는 기준신호가 된다. 그리고 각 채널의 코드를 원할하게 발생하도록 10ms신호를 기준으로 매 칩레이트마다 또는 매 칩레이트8마다 카운트하는 카운트신호들(cnt_x)이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lock related part of the clock and the common unit 421 includes an oscillator 610, a PLL 620, and a clock generator 630. The oscillator 610 is a 10 MHz crystal oscillator (OCXO), which generates a single tone of 10 MHz, and the PLL 620 generates an asynchronous chip rate of chip rate 1 (chipx1), which is an asynchronous chip rate from the input 10 MHz, and a chip rate 8 (chipx8) of 8 times. Generates a clock. The clock generator 630 divides and multiplies the input chip rate 1 (chipx1) and chip rate 8 (chipx8) to generate a 10 ms clock (pp10 ms) and a count signal (cnt_x). A 10 ms clock (pp10 ms) is a signal having a period of 10 ms and usually only asserted during one clock of one chip or eight chips. The 10 ms clock signal is a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ecomes a reference signal used for synchronization and initialization of the code when the code is generated. There are count signals cnt_x that count every chip rate or every chip rate 8 based on the 10ms signal so as to generate a code of each channel smoothly.

도 7을 참조하면, 10MHz클럭은 주기가 100ns이고, 칩 레이트1(chipx1)클럭은 3.84MHz 주기가 260ns이고, 칩레이트8(chipx8) 클럭은 30.72MHz 주기가 32.5ns이다. 그리고 pp10ms신호는 주기가 10ms동안 1번(예컨대, 1칩 또는 8칩의 1클럭 동안)만 어셔트(assert)되는 신호이고, cnt_x는 이때의 카운트신호이다.Referring to FIG. 7, a 10 MHz clock has a period of 100 ns, a chip rate 1 (chipx1) clock has a 3.84 MHz period of 260 ns, and a chip rate 8 clock has a 30.72 MHz period of 32.5 ns. The pp10ms signal is a signal that is asserted only once (for one clock of 1 chip or 8 chips) for 10 ms, and cnt_x is a count signal at this tim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WCDMA 기지국(910)과 WCDMA 단말기(950)에서 본 발명에 의한 교란장치(930)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험장비 시스템을 구축한다.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disturbance device 9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CDMA base station 910 and the WCDMA terminal 950, an experimental equipment system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

먼저 WCDMA 기지국에서 발사된 신호는 -56dB 감쇠기(912)와 10dB 방향성 결합기(914)를 거쳐서 신호 결합기(916)의 일측단자에 인가한다. 한편, 교란장치(930)에서 발사된 교란신호는 신호 결합기(916)의 타측 단자에 인가한다.First, the signal emitted from the WCDMA base station is applied to one terminal of the signal combiner 916 via the -56 dB attenuator 912 and the 10 dB directional combiner 914. On the other hand, the disturbance signal emitted from the disturbance device 930 is appli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ignal combiner 916.

신호 결합기(916)에서 입력된 두신호가 결합되고 결합된 신호는 2웨이 분배기(918)를 거쳐서 두 신호로 분배되어 한 신호는 주파수 분석기(940)로 제공된다. 나머지 한 신호는 분배기(920)를 거쳐서 WCDMA 단말기(950)에 인가된다.The two signals input from the signal combiner 916 are combined and the combined signal is divided into two signals through the two-way divider 918 so that one signal is provided to the frequency analyzer 940. The other signal is applied to WCDMA terminal 950 via distributor 920.

< 실험예 1 >Experimental Example 1

기지국(910) 및 교란장치(930)의 파워를 켠 상태에서 단말기(950)를 초기화한다. 교란장치(930)의 출력파워를 서서히 높이면서 단말기의 초기화 상태를 살핀다. 본 실험에서는 교란신호는 공동 파일럿 채널신호, 주 및 부 동기 채널신호의 합성신호로 한다.The terminal 950 is initialized while the base station 910 and the disturbance device 930 are powered on. Watch the initialization state of the terminal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output power of the disturbance device (930). In this experiment, the disturbance signal is a composite signal of the common pilot channel signal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ignals.

본 실험에서는 기지국의 출력신호의 세기에 비하여 교란장치의 신호의 세기가 8dB 이상이 될 때 단말기의 초기화가 실패하였다. 즉, 8dB 이상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형성될 때 교란이 성공하였다.In this experiment, the initialization of the terminal failed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of the disturbance device was more than 8 dB compared to the strength of the output signal of the base station. That is, disturbance succeeded when a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8 dB or more is formed.

< 비교실험예 2 ><Comparative Experimental Example 2>

기지국(910) 및 교란장치(930)의 파워를 켠 상태에서 단말기(950)를 초기화한다. 교란장치(930)의 출력파워를 서서히 높이면서 단말기의 초기화 상태를 살핀다. 본 실험에서 교란신호는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 :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즉 PN신호로 한다.The terminal 950 is initialized while the base station 910 and the disturbance device 930 are powered on. Watch the initialization state of the terminal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output power of the disturbance device (930). In this experiment, the disturbance signal is a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that is, a PN signal.

본 실험에서는 기지국 신호의 세기에 비하여 교란장치 신호의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신호의 세기가 14dB 이상이 될 때 단말기의 초기화가 실패하였다. 즉, 14dB 이상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형성될 때 잡음에 의해 초기화가 실패하였다.In this experiment, the initialization of the terminal failed when the intensity of the additional white Gaussian noise signal of the disturbance device signal was more than 14 dB compared to the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signal. In other words, when a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14 dB or more is formed, the initialization fails due to noise.

< 실험예 3 >Experimental Example 3

기지국(910)과 단말기(950)가 12.2kbps 로 통화중일 때 도중에 교란장치(930)의 파워를 켠다. 교란장치(930)의 출력파워를 서서히 높이면서 단말기의 통화 상태를 살핀다. 본 실험에서는 교란신호는 공동 파일럿 채널신호, 주 및 부 동기 채널신호의 합성신호로 한다.When the base station 910 and the terminal 950 are busy at 12.2 kbps, the jammer 930 is turned on. Watch the call state of the terminal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output power of the disturbance device (930). In this experiment, the disturbance signal is a composite signal of the common pilot channel signal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ignals.

본 실험에서는 기지국 신호의 세기에 비하여 교란장치의 신호의 세기가 16dB 이상이 될 때 단말기의 통화상태가 단절되었다. 즉, 16dB 이상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형성될 때 교란신호에 의해 통화 중인 단말기의 통화가 단절되었다.In this experiment,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disturbance device is more than 16 dB compared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the call state of the terminal is disconnected. That is, when a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16 dB or more is formed, the call of the terminal in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by the disturbance signal.

< 실험예 4 >Experimental Example 4

기지국(910)과 단말기(950)가 64kbps 로 통화중일 때 도중에 교란장치(930)의 파워를 켠다. 교란장치(930)의 출력파워를 서서히 높이면서 단말기의 통화 상태를 살핀다. 본 실험에서는 교란신호는 공동 파일럿 채널신호, 주 및 부 동기 채널신호의 합성신호로 한다.When the base station 910 and the terminal 950 are busy at 64 kbps, the jammer 930 is powered on. Watch the call state of the terminal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output power of the disturbance device (930). In this experiment, the disturbance signal is a composite signal of the common pilot channel signal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ignals.

본 실험에서는 기지국 신호의 세기에 비하여 교란장치의 신호의 세기가 13dB 이상이 될 때 단말기의 통화상태가 단절되었다. 즉, 13dB 이상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형성될 때 교란신호에 의해 단말기의 통화 중 상태가 단절되었다.In this experiment,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disturbance device is 13dB or more compared to the signal strength of the base station, the call state of the terminal is disconnected. That is, when a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13 dB or more is formed, the busy state of the terminal is disconnected by the disturbance signal.

상기 실험예1과 2를 비교하면 단말기 초기화시에는 PN 신호에 의한 교란신호비하여 본 발명의 교란신호에 의한 교란효과가 약 6dB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의 초기화 상태와 통화 중 상태를 비교하면 통화중일 경우에는 약 13dB 이상의 신호 세기의 차이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Comparing the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disturbance effect of the disturbance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6 dB higher than the disturbance signal ratio of the PN signal when the terminal is initialized. However, when comparing the initialization state and the busy state of the terminal, it can be seen that a difference in signal strength of about 13 dB or more is required during a call.

따라서, 상기 실험에서 본 발명의 공동 파일럿 채널신호와 동기신호를 합성한 교란신호가 종래의 PN 잡음신호에 의한 교란신호에 비하여 단말기 초기화 실패를 목적으로 교란하고자 할 경우에는 약 8dB의 출력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기지국 신호 세기에 비해 약 5 내지 11dB로 교란장치의 공동 파일럿 채널신호의 레벨을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above experiment, when the disturbance signal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co-pilot channel signal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urbed for the purpose of terminal initialization failure as compared to the disturbance signal caused by the conventional PN noise signal, an output reduction effect of about 8 dB is achieved. You can get it. Preferably, the level of the co-pilot channel signal of the disturbing apparatus is set to about 5 to 11 dB relative to the base station signal strengt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세대 이동통신 비동기 시스템의 기지국이 설치된 셀 커버리지 내에서 특정지역 내로 단말기가 이동하면 단말기를 무력화하여 호 자체를 수행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자국의 통화 정보를 보호할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국가와 국가 사이 혹은 휴전선과 같은 특정지역에 기지국을 설치한 경우 주변지역 또는 주변국가의 신호를 차단하거나 주변지역 또는 주변국가로부터 자국의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도록 전파를 방해할(교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rminal moves into a specific area within the cell coverage where the base station of the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asynchronous system is installed, the call information of the home country can be protected by disabling the terminal to perform the call itself. have.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base station is installed between a country or a specific area such as a cease-fire line, it may block a signal of a neighboring area or a neighboring country or prevent a radio wave from being properly received from a neighboring area or a neighboring country. Can be disturb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4)

WCDMA 기지국이 할당된 주 스크램블 코드를 송출하여 해당 셀 커버리지 내의 단말기들이 통화할 수 있게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In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WCDMA base station transmits an assigned main scramble code so that terminals within a corresponding cell coverage can talk. 상기 기지국의 주 스크램블 코드와 다른 주 스크램블 코드에 의한 주파일럿신호를 발생하는 단계;Generating a main pilot signal according to a main scramble code different from a main scramble code of the base station; 슬롯동기를 위한 주동기(PSC)신호를 발생하는 단계;Generating a PSC signal for slot synchronization; 프레임동기와 코드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부동기(SSC)신호를 발생하는 단계;Generating an SSC signal for identifying a frame sync and a code group; 상기 주파일럿신호, 주동기신호 및 부동기신호를 합성하여 기저대역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baseband signal by synthesizing the main pilot signal, the main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floating signal; And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RF신호를 원하는 레벨로 증폭하여 교란시킬 특정지역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란방법.And modulating the baseband signal into an RF signal, amplifying the converted RF signal to a desired level, and transmitting the RF signal to a specific region to be disturb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band signal is 상기 합성된 신호를 처리하여 서로 직교된 실수(BB_I)신호와 허수(BB_Q)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란방법.And processing the synthesized signal to output a real (BB_I) signal and an imaginary (BB_Q) signal orthogona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ding step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사업자 별 주파수 대역으로 업컨버팅하여 고주파신호를 발생하는 단계;Generating a high frequency signal by up-converting the baseband signal to at least one operator-specific frequency band; 상기 업컨버팅된 고주파신호들을 합성하는 단계;Synthesizing the upconverted high frequency signals; 상기 합성된 신호를 선형 전력 증폭하는 단계; 및Linear power amplifying the synthesized signal; And 상기 전력증폭된 신호 중 일정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란방법.Disturbing method of the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hrough the antenna only the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of the power-amplified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일럿신호의 세기는 기지국 신호 세기에 비해 약 5 내지 11dB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란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rength of the main pilot signal is about 5 to 11 dB higher than that of the base station signal.
KR10-2003-0053542A 2003-08-01 2003-08-01 A Jamming Methods for WCDMA KR100442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542A KR100442109B1 (en) 2003-08-01 2003-08-01 A Jamming Methods for WCD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542A KR100442109B1 (en) 2003-08-01 2003-08-01 A Jamming Methods for WCDM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203A true KR20030081203A (en) 2003-10-17
KR100442109B1 KR100442109B1 (en) 2004-07-30

Family

ID=3238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542A KR100442109B1 (en) 2003-08-01 2003-08-01 A Jamming Methods for WCDM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1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0147B2 (en) 2009-10-16 2012-06-12 Korea University Industry And Academy Collaboration Found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rea by jamming
CN103023601A (en) * 2012-12-24 2013-04-03 昆山九华电子设备厂 Comprehensive interference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0147B2 (en) 2009-10-16 2012-06-12 Korea University Industry And Academy Collaboration Found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rea by jamming
CN103023601A (en) * 2012-12-24 2013-04-03 昆山九华电子设备厂 Comprehensive interferenc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109B1 (en)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88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nonlinear effec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260967A (en) CDMA/TDMA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CA2616764C (en) Adaptive power control for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AU689332B2 (en) Multiple band radio
US61513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EP1048116B1 (en) PN sequence identifying devi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26593A (en) Adaptive rf amplifier prelimiter
RU2352076C2 (en) Frame timing and identification of scrambling code in systems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s for it
CN1913506B (en) WCDMA terminal baseband processing modu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442109B1 (en) A Jamming Methods for WCDMA
US8400905B2 (en) Generation of MBSFN-DOB synchronization codes
KR100414151B1 (en) A Jamming Apparatus for WCDMA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Gain thereof
KR20040108196A (en) A Jamming Apparatus for WCDMA
JP2000315975A (en) Mobile station unit
Caini et al. Initial synchronization procedure in S-UMTS networks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JP2706452B2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2581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ontrol data in a cdma system
Gladh et al. Investigation, Specification for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Test Instruments on a W-CDMA Base Station
CA2200960C (en) Multiple band radio
US20090298432A1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Chong WCDMA Physical Layer (Chapter 6)
Argyros Analysis of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system with co-channel interference
JP2003188807A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S272xB Practical Tips on WCDMA Measurements
Springer et al. UTRA FDD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