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497A -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497A
KR20030079497A KR1020020018558A KR20020018558A KR20030079497A KR 20030079497 A KR20030079497 A KR 20030079497A KR 1020020018558 A KR1020020018558 A KR 1020020018558A KR 20020018558 A KR20020018558 A KR 20020018558A KR 20030079497 A KR20030079497 A KR 20030079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mage
user
langu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주)코이소프트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이소프트, 김정민 filed Critical (주)코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02001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9497A/ko
Publication of KR2003007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497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언어학습은 대부분 단일의 학습제공자와 단일 또는 다수의 학습자간에 모니터의 화면을 통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방식에 의하여 진행되었으므로,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따라 정확하고 효율적인 언어학습이 진행되지 않게 됨은 물론, 일방적인 주입식 학습의 형태로 진행되므로 학습자의 개인적인 성취도를 최대로 이끌어 낼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등의 동영상을 통하여 어학학습을 수행하고자하는 교재 및 언어를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되는 배역 중에서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 또는 음성합성부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도록 하고,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면 화면 중의 대화의 내용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캐릭터의 음성을 출력하는 중에 화자로 선택한 배역의 대사를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시키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시킨 발음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발음으로 동영상 속의 상대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발음의 교정을 받으면서 어학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service method of language study}
본 발명은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된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동영상을 화자의 대화 속의 문장에 따른 프레임 단위로 분리하여 제어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인식 기술에 의하여 인식하고 동영상의음성은 직접 또는 음성합성 기술(TTS)에 의한 기계음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는 입체적인 대화형식으로 사용자의 어학학습을 도울 수 있으며 문장에 따른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여 사실적인 언어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나 영상매체를 통하여 언어를 학습하는 방법이 다수 제시되고 있는데, 그 학습방법은 주로 학습언어에 대한단어, 문장, 그리고 문법 등을 제공하며, 특히 언어 듣기능력 향상의 일환으로 단어, 혹은 문장 등에 대해서 원어민의 발음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언어학습방법은, 예컨대 영어 단어나 문장을 먼저 듣거나 본 후에,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 해석을 보여주는 식의 외국어위주의 언어학습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외국어를 단어나 문장 단위씩 모국어로 단순히 해석을 보여주거나 긴 문장을 반복적으로 듣게 하면, 의미도 이해하지 못한 채 듣게되어 학습효과도 떨어지고 쉽게 지루해질 수 있다. 또한 단어의 사전적 의미만을 이해하고 발음을 익힌다면 영작이나 외국인과의 회화시에 제대로 활용할 수 없어 외국어학습의 목적을 이룰 수 없고, 의미도 이해하지 못하는 긴 문장을 반복적으로 듣는다고 해서 그 표현을 자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므로 오히려 학습에 흥미를 잃게 하고 지치게 만들뿐이었다.
또한, 구/절 단위의 학습이 결여된 채 단어에서 문장으로 직접 건너뛰므로 문장구성의 중간단계인 구/절의 의미단위를 이해를 못하게되어 문장 전체의 학습에서 실패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외국어중심의 외국어 학습법에서는, 외국어를 먼저 듣거나 읽은 후 모국어로 번역하여 학습하면, 외국어를 들을 때는 이해도 안되고 기억도 안되고 모국어를 들을 때는 이미 들은 외국어 발음을 잊어버려, 학습 후에는 모국어 의미는 이해했지만 외국어 표현이나 음성은 전혀 기억이 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학습효율을 높이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언어학습 웹페이지는, 우선 사용자가 현재 출력된 웹페이지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면, 현재 페이지가 사라진 후에 현재 출력된 페이지와 링크되어 있는 새로운 웹페이지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웹브라우저 등에 있는 '뒤로', '앞으로' 혹은 '이전', '다음' 과 같은 메뉴를 클릭함으로써만 앞뒤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었다. 물론 종래에도 하나의 웹페이지를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한 프레임 내의 데이터를 선택하면 그 데이터와 관련된 자료가 다른 프레임에 출력되는 구성이 사용되어 왔고, 마우스 커서의 위치고정, 클릭 등을 이용하여 페이지를 전환하는 등의 사용이 있었지만, 각 웹페이지 마다 대개 한 두개 정도의 기능만이 제공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 인터넷상의언어학습방법으로 언어를 학습할 경우, 이전에 학습했던 페이지를 다시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우스 혹은 키보드를 이용하여 이전의 학습 페이지로 되돌아가야 했던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언어학습의 불편함과 학습능률의 저하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2001년 6월 29일자 특허출원 제 10-2001-0038010호(멀티미디어 분할페이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과 언어학습시스템)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상호 링크되어 있는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하나의 웹페이지를 구성하고, 마우스 커서의 위치고정, 원클릭, 더블 클릭의 소정 기능에 의거하여 각 데이터를 각 프레임에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학습자가 페이지의 전환을 일일이 해야하는 불편을 없애고, 다수의 프레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분할페이지를 이용함으로써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에 대한 단어, 구/절, 문장및 이에 대한 원어민 발음과 이미지를 제공하여, 그 발음을 듣거나 이미지를 보기만 하여도 관련된 단어 혹은 구/절, 문장이 연상되기 때문에 언어학습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분할페이지를 이용함으로써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에 대한 단어, 구/절, 및 문장의 다양한 쓰임새를 다수의 예문을 통해 제시하여 언어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분할페이지를 이용하여 모국어 위주의 언어학습방법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함으로써 학습능률의 향상과 효과적인 언어학습을 가능하도록 하되,
언어학습시스템 운영자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학습메뉴를 선택하고 선택된 학습메뉴에 대한 학습페이지를 출력하는 단계,
학습자언어 및 타언어 중 하나를 지정하여 상기 학습데이터를 그 지정된 언어로 상기 학습페이지 내의 프레임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학습데이터에 대해 단어단위, 구/절단위, 및 문장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를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단위로 타언어를 학습하는 단계,
학습자의 학습종료버튼의 선택에 의해 학습을 종료하는 단계들에 의해 언어학습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미디어 분할페이지 및 이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과 언어학습시스템에 의하여서는 학습자인 사용자가 실제적인 대화를 수행하면서 언어를 학습할 수 없음은 물론, 동영상의 화자를 바꾸어 가면서 다양하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효율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제작된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동영상을 화자의 대화 속의 문장에 따른 프레임 단위로 분리하여 제어하면서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인식 기술에 의하여 인식하고 동영상의 음성은 직접 또는 음성합성 기술(TTS)에 의한 기계음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하는 입체적인 대화형식으로 사용자의 어학학습을 도울 수 있으며 문장에 따른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여 사실적인 언어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은,
어학학습을 위한 다양한 언어의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 교재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으면서 상기의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학교재 중에서 원하는 언어의 어학교재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의 어학교재에서 재생되는 화상을 언어의 문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부와,
상기의 프레임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을 반복적이거나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화상출력부와,
상기의 화상이 출력되는 중에 혼합된 음성신호를 분리시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시킨 음성을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부와,
상기의 음성출력부에서 뮤팅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지 않은 음성신호와 상기의 음성인식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하면서 좋거나 나쁜 상태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의 비교부로부터의 비교결과에 따라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에는 해당 발음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동영상의 확대화상이나 별도의 저장된 화상을 출력하는 발음교정부와,
사용자가 동화상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의하여 기계음을 만들어 출력하는 음성합성부들로 구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대화형 언어학습 서비스방법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학습자인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된 상태 또는 서버로부터 어학학습의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어학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되,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등의 동영상을 통하여 어학학습을 수행하고자하는 교재 및 언어를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되는 배역 중에서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 또는 음성합성기술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면 화면 중의 대화내용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캐릭터의 음성을 출력하는 중에 화자로 선택한 배역의 대사 부분에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입력시킨 발음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발음으로 동영상 속의 상대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발음의 교정을 받으면서 어학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서버 2 : 데이터베이스
3 : 콘트롤러 4 : 프레임 분할부
5 : 화상출력부 6 : 음성출력부
7 : 음성인식부 9 : 비교부
10 : 발음교정부 11 : 음성합성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서버(1)에 어학학습을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상태에서 각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15)을 사용하는 중에 인터넷망(16)을 통하여 어학학습이 정보를 다운로드받거나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학습을 즐기도록 한 것이다.
어학학습을 위한 다양한 언어의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 교재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2)와,
학습자인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으면서 상기의 제1 데이터베이스(2)에저장된 어학교재 중에서 원하는 언어의 어학교재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와,
상기 콘트롤러(3)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의 어학교재에서 재생되는 화상을 언어의 문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부(4)와,
상기의 프레임 분할부(4)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을 반복적이거나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화상출력부(5)와,
상기의 화상이 출력되는 중에 혼합된 음성신호를 분리시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6)와,
상기의 화상에서 대화의 내용에 해당하는 문장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부(7)와,
사용자가 각 퍼스널 컴퓨터(15)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시킨 음성을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부(8)와,
상기의 음성출력부(6)에서 뮤팅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지 않은 음성신호와 상기의 음성인식부(8)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하면서 좋거나 나쁜 상태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상기의 콘트롤러(3)에 전달하는 비교부(9)와,
상기 콘트롤러(3)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비교부(9)로부터의 비교결과에 따라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에는 해당 발음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동영상의 확대화상이나 별도의 저장된 화상을 출력하는 발음교정부(10)와,
사용자가 동화상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의하여 기계음을 만들어 출력하는 음성합성부(TTS : Text to Speech)(11)들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을 통하여 언어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퍼스널 컴퓨터(15)를 사용하는 학습자인 사용자가 인터넷망(16)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단계 21) 어학학습 서비스 사이트를 선택하면(단계 22), 필요에 의하여 회원인 가의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23) 회원의 가입을 위한 절차를 안내하여 원하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24).
어학학습 서비스 사이트에 사용자의 접속이 완료되면(단계 25), 서버(1)의 콘트롤러(3)에서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에 어학학습을 수행할 교재 및 언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6).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하여 원하는 교재 및 언어를 선택하면(단계 27), 이에 따라 콘트롤러(3)에서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화자와 대화방법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28).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되는 배역 중에서 하나의 배역을 자신의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면(단계 29) 콘트롤러(3)에서 사용자가 화자로 선택하지 않은 배역과 화자로 선택한 배역과의 대화에 의한 어학학습이 진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대 화자의 음성은 동영상이 재생되는 중에 분리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정한다(단계 30).
즉, 콘트롤러(3)에서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어학학습을 위한 다양한 언어의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 교재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교재 및 언어를 읽어내고(단계 31) 프레임 분할부(4)에 의해 언어의 문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을 출력하도록 한다(단계 32).
그러므로 상기의 프레임 분할부(4)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 중 선택되지 않은 화자의 대화에 해당하는 화상에서는, 화상출력부(5)를 경유하는 중에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동시에(단계 33) 음성출력부(6)를 경유하는 중에 음성신호를 분리시켜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34).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화자의 대화에 해당하는 프레임 단위의 화상에서는(단계 35), 화상출력부(5)를 경유하는 중에 순차적으로 재생되지만(단계 36) 음성은 음성출력부(6)를 경유하는 중에 뮤팅되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단계 37).
한편, 상기의 프레임 단위의 화상이 출력되는 중에는 텍스트 출력부(7)에서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 모든 대화 내용에 해당하는 문장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보고 따라 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38).
따라서 상기의 음성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화상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각 퍼스널 컴퓨터(15)의 마이크를 통하여 자신의 대화 내용에 해당하는 문장을 음성으로 입력시키게 되면(단계 39), 입력시킨 음성은 음성인식부(8)에서 데이터신호로 변환되어 전달되도록 한다(단계 40).
상기의 음성출력부(6)에서 뮤팅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지 않은 음성신호와 상기의 음성인식부(8)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은 비교부(9)에서 발음과 억양 등의 조건에 의하여 상호간 비교되어(단계 41) 좋거나 나쁜 상태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뉜 비교신호를 상기의 콘트롤러(3)에 전달한다(단계 42).
상기의 비교결과 음성인식부(8)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의 발음이 좋지 않다고 판단될 시에는(단계 43) 화상이 화상출력부(5)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재생되도록 한 후 화상이 출력되는 중에 음성출력부(6)를 통하여 정상적인 음성이나 뮤팅된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따라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44).
상기 콘트롤러(3)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비교부(8)로부터의 비교결과에 따라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에는(단계 45) 화상의 일부나 전체에 발음교정부(9)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의 확대화상이나 별도의 저장된 화상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따라하면서 발음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46).
상기의 과정을 계속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어학학습을 효율적이고도 사실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반복 및 교정에 의하여 정확한 어학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단계 29에서 사용자가 동화상의 음성이 좋지 않거나 하여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게 되면, 음성합성부에서 동화상에 포함된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의한 기계음을 만들어 출력함으로써 데이터의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된 어학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어학학습 데이터는 서버로부터 각 사용자의 퍼스널컴퓨터에 다운로드받은 상태에서 어학을 연습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하는 대신에 동일 OS를 사용하는 노트북, 타블렛 PC, 웹 패드 또는 PDA를 사용하면서 어학학습을 수행하여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은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등의 동영상을 통하여 어학학습을 수행하고자하는 교재 및 언어를 선택한 후 디스플레이되는 배역 중에서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 또는 음성합성부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도록 하고,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면 화면 중의 대화의 내용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캐릭터의 음성을 출력하는 중에 화자로 선택한 배역의 대사를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시키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시킨 발음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실시간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발음으로 동영상 속의 상대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발음의 교정을 받으면서 어학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서버(1)에 어학학습을 위한 시스템을 구비하여 각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15)를 사용하는 중에 인터넷망(16)을 통하여 어학학습이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학습을 즐기도록 한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어학학습을 위한 다양한 언어의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 교재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2)와,
    학습자인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으면서 상기의 제1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어학교재 중에서 원하는 언어의 어학교재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와,
    상기 콘트롤러(3)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의 어학교재에서 재생되는 화상을 언어의 문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부(4)와,
    상기의 프레임 분할부(4)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을 재생하는 화상출력부(5)와,
    상기의 화상이 출력되는 중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6)와,
    상기의 화상에서 대화에 해당하는 문장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부(7)와,
    사용자가 각 퍼스널 컴퓨터(15)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시킨 음성을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부(8)와,
    상기의 음성출력부(6)에서 음성으로 출력되지 않은 음성신호와 상기의 음성인식부(8)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을 비교한 비교결과를 여러 단계의 비교신호로 출력하는 상기의 콘트롤러(3)에 전달하는 비교부(9)와,
    상기 콘트롤러(3)의 제어를 받으면서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에는 발음을 수행하는 동영상의 확대화상이나 별도의 저장된 화상을 출력하는 발음교정부(10)와,
    상기의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의하여 기계음을 만들어 출력하는 음성합성부(11)들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2.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의 동영상으로 재생되는 배역 중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 또는 음성합성부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도록 하고,
    하나의 배역을 화자로 선택하면서 캐릭터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면 화면 중의 대화의 내용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캐릭터의 음성을 출력하는 중에 화자로 선택한 배역의 대사를 사용자가 음성으로 입력시키면 이를 음성인식부를 통하여 인식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음성합성부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면 대화의 음성신호를 음성합성부를 통한 기계음을 출력하여 대화에 의한 어학학습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언어학습 서비스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학습자인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어학학습 서비스 사이트를 선택하면 필요에 의하여 회원에 가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어학학습 서비스 사이트에 사용자의 접속이 완료되면, 서버(1)의 콘트롤러(3)에서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15)에 어학학습을 수행할 교재 및 언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다음에 화자와 대화방법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콘트롤러(3)에서 데이터베이스(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교재 및 언어를 읽어내고 프레임 분할부(4)에 의해 언어의 문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할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프레임 분할부(4)에 의해 분할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 중 선택되지 않은 화자의 대화에 해당하는 화상에서는 화상출력부(5)를 경유하는 중에 순차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동시에 음성출력부(6)를 경유하는 중에 음성신호를 분리시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선택한 화자의 대화에 해당하는 프레임 단위의 화상에서는 화상출력부(5)를 경유하는 중에 순차적으로 재생되지만 음성은 음성출력부(6)를 경유하는 중에 뮤팅되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프레임 단위의 화상이 출력되는 중에는 텍스트 출력부(7)에서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 모든 대화 내용에 해당하는 문장을 문자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의 음성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화상이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문장을 음성으로 입력시켜면 데이터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의 음성출력부(6)에서 뮤팅되어 음성으로 출력되지 않은 음성신호와 상기의 음성인식부(8)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비교부(9)에서 상호간 비교한 비교신호를 상기의 콘트롤러(3)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의 비교결과 입력되는 음성의 발음이 좋지 않다고 판단될 시에는 화상이 화상출력부(5)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따라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콘트롤러(3)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비교부(8)로부터의 비교결과에 따라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에는 화상의 일부나 전체에 발음교정부(9)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의 확대화상이나 별도의 저장된 화상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의 사용자가 캐릭터에 의한 대화방법을 선택하면 음성합성부에서 음성신호를 데이터에 의한 기계음을 만들어 출력하는 단계들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언어학습 서비스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15)를 통하여 어학학습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은 상태에서 어학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대화형 언어학습 서비스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15)를 사용하는 대신 노트북, 타블렛 PC, 웹 패드 또는 PDA를 사용하면서 어학학습이 가능하도록 한 대화형 언어학습 서비스방법.
KR1020020018558A 2002-04-04 2002-04-04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30079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558A KR20030079497A (ko) 2002-04-04 2002-04-04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558A KR20030079497A (ko) 2002-04-04 2002-04-04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497A true KR20030079497A (ko) 2003-10-10

Family

ID=3237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558A KR20030079497A (ko) 2002-04-04 2002-04-04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949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176A (ko) * 2002-06-29 2004-01-07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장면에 대한 구술 따라하기와 평가 기능을 구비한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청취 및 구술 교육 시스템과 교육방법
KR100531694B1 (ko) * 2003-03-31 2005-11-28 주식회사 라임미디어테크놀러지스 다자간 역할 학습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593590B1 (ko) * 2004-06-17 2006-06-30 윤병원 콘텐츠 자동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어학학습방법
KR100703047B1 (ko) * 2004-03-20 2007-04-05 이동수 사용자가 실제 장면의 화면 안에서 연기하며 주도하는능동적인 외국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0791024B1 (ko) * 2004-12-28 2008-01-03 윤병원 음성인식을 이용한 온라인 어학학습방법 및 시스템
WO2011129665A2 (ko) * 2010-04-16 2011-10-20 브레인보카주식회사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060617A2 (ko) * 2010-11-03 2012-05-10 Kim Jae Yoon 캐릭터모형을 가지는 음원출력장치
KR20210118587A (ko) * 2020-03-23 2021-10-01 전세연 전용 캐릭터를 활용한 다중언어 동시 교육 시스템 및 그 실행 방법
KR20220124351A (ko) 2021-03-03 2022-09-14 정인명 인공지능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49703A (ko) * 2000-04-24 2000-08-05 이헌 인터넷(피씨 네트웍)을 이용한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20000054003A (ko) * 2000-05-17 2000-09-05 조진형 인터넷망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0197477Y1 (ko) * 2000-03-10 2000-09-15 이동익 언어 학습 장치
KR20010025254A (ko) * 2000-11-23 2001-04-06 김형중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가상현실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020007597A (ko)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인터넷 상에서의 자동발음 비교방법을 이용한 외국어 발음학습 및 구두 테스트 방법
KR20020024828A (ko) * 2000-09-27 2002-04-03 이경목 인터넷을 이용한 상호 대화식 언어 학습방법
KR20020033259A (ko) * 2000-10-30 2002-05-06 하용철 인터넷상에서의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학습 실행 방법
KR20020068835A (ko) * 2001-02-23 2002-08-28 (주)지오네이티브 네트워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197477Y1 (ko) * 2000-03-10 2000-09-15 이동익 언어 학습 장치
KR20000049703A (ko) * 2000-04-24 2000-08-05 이헌 인터넷(피씨 네트웍)을 이용한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20000054003A (ko) * 2000-05-17 2000-09-05 조진형 인터넷망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020007597A (ko)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인터넷 상에서의 자동발음 비교방법을 이용한 외국어 발음학습 및 구두 테스트 방법
KR20020024828A (ko) * 2000-09-27 2002-04-03 이경목 인터넷을 이용한 상호 대화식 언어 학습방법
KR20020033259A (ko) * 2000-10-30 2002-05-06 하용철 인터넷상에서의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학습 실행 방법
KR20010025254A (ko) * 2000-11-23 2001-04-06 김형중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가상현실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020068835A (ko) * 2001-02-23 2002-08-28 (주)지오네이티브 네트워크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176A (ko) * 2002-06-29 2004-01-07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장면에 대한 구술 따라하기와 평가 기능을 구비한컴퓨터를 이용한 언어 청취 및 구술 교육 시스템과 교육방법
KR100531694B1 (ko) * 2003-03-31 2005-11-28 주식회사 라임미디어테크놀러지스 다자간 역할 학습장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703047B1 (ko) * 2004-03-20 2007-04-05 이동수 사용자가 실제 장면의 화면 안에서 연기하며 주도하는능동적인 외국어 말하기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0593590B1 (ko) * 2004-06-17 2006-06-30 윤병원 콘텐츠 자동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어학학습방법
KR100791024B1 (ko) * 2004-12-28 2008-01-03 윤병원 음성인식을 이용한 온라인 어학학습방법 및 시스템
WO2011129665A2 (ko) * 2010-04-16 2011-10-20 브레인보카주식회사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1129665A3 (ko) * 2010-04-16 2012-03-08 브레인보카주식회사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 학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060617A2 (ko) * 2010-11-03 2012-05-10 Kim Jae Yoon 캐릭터모형을 가지는 음원출력장치
WO2012060617A3 (ko) * 2010-11-03 2012-06-28 Kim Jae Yoon 캐릭터모형을 가지는 음원출력장치
KR20210118587A (ko) * 2020-03-23 2021-10-01 전세연 전용 캐릭터를 활용한 다중언어 동시 교육 시스템 및 그 실행 방법
KR20220124351A (ko) 2021-03-03 2022-09-14 정인명 인공지능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96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language instruction
US6560574B2 (en) Speech recognition enrollment for non-readers and displayless devices
US6377925B1 (en) Electronic translator for assisting communications
US20050255431A1 (en)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KR20160111335A (ko)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JPH10509811A (ja) 外国語教育補助方法及び装置
KR101819459B1 (ko) 음성 인식 오류 수정을 지원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 및 장치
JP6976996B2 (ja) ダイナミックストーリー指向のデジタル言語教育方法及びシステム
CN110267082B (zh) 按语言最小单元自动切换音视频的播放控制方法及系统
KR101822026B1 (ko) 아바타 기반의 언어 학습시스템
KR20030079497A (ko) 대화형 언어학습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100888267B1 (ko) 언어의 문자이미지와 음성을 매칭 시키는 언어 학습방법 및학습장치
JP6466391B2 (ja) 言語学習装置
KR102185387B1 (ko) 음성인식 자막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03228279A (ja) 音声認識を用いた語学学習装置、語学学習方法及びその格納媒体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JP6231510B2 (ja) 外国語学習システム
KR20030065259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학학습장치, 어학학습 방법, 및 그저장매체
KR20020061239A (ko) 인터넷을 통한 영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JP2001022265A (ja) ディジタルムービーソフト利用語学学習システム
KR20210135151A (ko) 단말기의 음성인식 기능과 tts 기능을 이용한 상호 음성전달에 의한 대화 형 외국어 학습방법
KR20170051759A (ko) 비교음 생성을 통한 어학학습방법 및 어학학습프로그램
JP2008032788A (ja) 語学教材データ作成用プログラム
KR20190122399A (ko) 퍼즐 게임으로 어순을 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73768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