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346A -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346A
KR20030069346A KR1020020008930A KR20020008930A KR20030069346A KR 20030069346 A KR20030069346 A KR 20030069346A KR 1020020008930 A KR1020020008930 A KR 1020020008930A KR 20020008930 A KR20020008930 A KR 20020008930A KR 20030069346 A KR20030069346 A KR 20030069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ata
module
layout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근
Original Assignee
김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근 filed Critical 김철근
Priority to KR102002000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9346A/ko
Publication of KR2003006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3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2Cl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단말기에 설치 구동되고, 외부로부터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류를 디자인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해, 입력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는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으로 구성되는 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모듈; 의류의 각 치수에 따른 레이어를 생성하는 그레이딩 모듈; 각 패턴에 시접을 부가하여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시접 부가모듈; 및 소정의 크기 및 모양의 원단에 대한 각 패턴의 배열인 마킹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마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STORING MEDIA FOR CLOTHES DESIGN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의류본을 생성하는 패턴 작업 및 의류의 각 부분의 사이즈 조절에 따른 패턴의 변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의류를 제작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패턴을 제작하고, 사이즈를 변경할 경우 작업자가 눈금자 또는 그레이딩 기계로 각 부위의 사이즈를 변경하였다. 따라서, 옷의 품질이 작업자의 숙련도 및 능력에 좌우되고, 제작을 위해 투여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단을 재단하기 위해 패턴을 원단에 적용하는 작업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패턴의 모양 및 크기에 따른 마킹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원단이 많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한정된 원단에 패턴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과정을 수작업으로 행하는데 곤란함이 있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근래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캐드 프로그램이 대두되고 있으나, 대부분 고가이고, 작업 환경이 부분 작업과 수작업 간에 차이점이 경미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의류 디자인에 있어서, 작업자의 데이터 입력 또는 변형만으로 의류의 패턴 등이 자동으로 생성 또는 변형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의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디자인 과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작업부 12 : 그래픽 작업부
14 : 데이터 작업부 20 : 패턴 작업부
30 : 시접 작업부 40 : 마킹 작업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는, 소정의 단말기에 설치 구동되고, 외부로부터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류를 디자인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해, 입력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는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으로 구성되는 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모듈; 의류의 각 치수에 따른 레이어를 생성하는 그레이딩 모듈; 각 패턴에 시접을 부가하여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시접 부가모듈; 및 소정의 크기 및 모양의 원단에 대한 각 패턴의 배열인 마킹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마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데이터가, 의류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이고, 데이터 처리모듈이,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을 포함하는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력 데이터가,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을 포함하는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의 또 다른 실시례는, 어플리케이션이,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소정의 업데이트 신호가 수신되면 각 패턴 및 패턴 레이아웃을 재생성하는 패턴 생성모듈; 의류의 각 치수에 따른 레이어를 생성하는 그레이딩 모듈; 각 패턴에 시접을 부가하여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시접 부가모듈; 소정의 크기 및 모양의 원단에 대한 각 패턴의 배열인 마킹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마킹 모듈; 및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의 변형 여부를 감지하고, 입력 데이터가 변형된 경우 패턴 생성모듈에 업데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데이터가, 의류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이고, 데이터 처리모듈이, 이미지 데이터를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을 포함하는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력 데이터가,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을 포함하는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작업자가 디자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단말기에 설치 및 작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 및 작동된다.
또한, 작업자가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 호스트 컴퓨터를 제어 및 관리하고 호스트 컴퓨터의 요청에 따른 처리결과를 제공하는 서버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서버로는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의 서버 또는 메인프레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거나 기본적인 모듈만이 설치된다. 작업자가 호스트 컴퓨터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또는 수정하면, 입력 또는 수정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다. 처리된 결과는 서버에 저장되고 호스트 컴퓨터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없이 원격지에서 서버에 접속하여 디자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작업자가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 변환, 처리 및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작업자가 입력한 입력 데이터에 따라 패턴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모듈, 그레이딩 작업을 수행하는 그레이딩 모듈, 패턴에 시접을 부가하는 시접 부가모듈 및 원단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최적으로 각 패턴이 배열된 패턴 배열을 생성하는 마킹 모듈을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은, 작업자가 패턴을 생성할 의류에 대한 입력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변형하는 작업부(10), 작업부(10)에 입력되거나 변형된 입력 데이터에 따라 패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각 패턴의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되는 패턴 작업부(20), 시접 부가모듈에 의해 각 패턴에 시접이 적용된 시접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접 작업부(30) 및 마킹 모듈에 의해 생성된 패턴배열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되는 마킹 작업부(40)로 이루어진다. 각 창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하나의 창을 선택한 경우 해당 창이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은 그레이딩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의류의 칫수를 선택할 수 있는 그레이딩 메뉴(미도시)를 포함한다.
작업부(10)는 작업자가 디자인할 의류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변형하는 작업창이다. 입력 데이터에는 이미지 데이터와 수치 데이터가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그래픽 작업부(12)에 입력 또는 변형되며, 통상적인 캐드 파일 또는 수정 및 변환이 가능한 이미지 파일 등을 불러와서 사용하거나, 작업자가 기본 원형에 그리므로써 생성한다. 즉, 디자인하고자 하는 의류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마네킹과 같은 기본 원형에 작업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그리거나 색상 등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캐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 등을 로드하여 사이즈, 색상 또는 모양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입력 또는 변형된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 등이 산출된다. 산출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 등은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수치 데이터의 포맷으로 변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는 2D 또는 3D 모두 가능하다.
수치 데이터는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 등에 대한 데이터로서, 작업자에 의해 데이터 작업부(14)에 입력 또는 변형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 등을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한 것이다. 수치 데이터는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작업자는, 캐드 프로그램과 같이, 그래픽 작업부(12)에 입력한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의 사이즈, 색상 또는 모양 등을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밀한 변형을 하고자 할 경우, 데이터 작업부(14)의 데이터 테이블에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 등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시접의 크기, 모양 또는 위치 등(이하 '시접 데이터'라 한다.)을 입력 및 수정하고자 할 경우, 이에 대한 데이터도 작업부(10)에 입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작업부(14)에 입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래픽 작업부(12) 및 데이터 작업부(14)에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 및 수치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에 대한 수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각 입력 데이터는 패턴 생성모듈, 그레이딩 모듈, 시접 부가모듈 및 마킹 모듈에 의해 액세스되고 사용된다. 따라서, 작업부(10)에서 데이터가 변형되면,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패턴 작업부(20), 시접 작업부(30) 및 마킹 작업부(40)에는 변형된 데이터가 적용된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된다.
작업부(10)를 통해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면, 패턴 작업부(20), 시접작업부(30) 및 마킹 작업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레이아웃은 자동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아웃은 2D 로 생성된다.
패턴 작업부(20)는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에 따라 패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각 패턴의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다. 패턴 레이아웃은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각 패턴을 포함하며, 작업자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패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다.
패턴 생성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로드하여 패턴을 생성한다. 즉, 입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 등을 적용하여 패턴을 구성하는 기준점 및 선을 그리므로써 패턴을 완성한다. 생성된 패턴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작업자는 패턴 작업부(20)에 디스플레이된 각 패턴의 레이아웃에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부(10)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보다 디스플레이된 패턴 레이아웃에 직접 변형을 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고 작업자가 원하는 바대로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부(10)에 입력한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패턴 레이아웃을 보고, 수정을 원하는 경우 패턴 작업창(20)에서 직접 각 패턴의 사이즈, 모양 또는 색상 등을 변형할 수 있다. 이 경우, 변형된 패턴의 각 부분의 수치 및 좌표값은 패턴 생성모듈에 의해 산출되고, 산출된 데이터로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가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작업부(10)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가 변경되고, 시접 작업부(30) 및 마킹 작업부(40)에는 변형된 데이터가 적용된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된다.
작업자는 생성된 패턴 레이아웃을 보면서 그레이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작업은 작업자가 원하는 의류의 치수를 선정하는 작업으로서, 그레이딩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그레이딩 모듈은, 패턴 작업부(20), 시접 작업부(30) 및 마킹 작업부(40)의 각 레이아웃에 대해, 패턴이 적용된 의류의 각 치수별 레이어(layer)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생성된 각 레이어는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초기에 설정된 치수의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되고, 작업자가 그레이딩 메뉴를 통해 다른 치수를 선택한 경우 해당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여성복의 경우 초기 설정이 55 사이즈로 되어 있는 경우, 패턴 작업부(20), 시접 작업부(30) 및 마킹 작업부(40)의 각 레이아웃은 55 사이즈에 대한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된다. 작업자가 패턴 생성 후 그레이딩 메뉴를 선택하면, 변경가능한 레이어의 목록(예를 들어, 66, 77 등)이 디스플레이되고, 작업자는 레이어를 선택한다. 만일 작업자가 77 을 선택한 경우, 각 작업부에는 77 사이즈가 적용된 레이어에 따른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원하는 치수의 레이어가 적용된 레이아웃을 인쇄 등의 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각 레이어의 생성은 각 치수에 따른 기본 원형에 패턴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및 좌표값 등을 적용하여 생성한다. 또한, 레이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선또는 의류의 색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레이딩 작업은 패턴 생성작업, 시접 부가작업 또는 마킹 작업 중 어느 단계에서든지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패턴 생성작업 후에 수행한다.
시접 작업부(30)는 시접 부가모듈에 의해 각 패턴에 시접이 적용된 시접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다. 시접 레이아웃은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각 패턴에 시접이 적용된 것으로서, 시접 부가모듈에 의해 생성된다.
시접 부가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패턴 중 시접이 필요한 위치에 소정의 크기와 모양을 갖는 시접을 부가한다. 작업자가 작업부(10)를 통해 시접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시접 데이터를 로드하여 적용하고, 작업자가 입력하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시접을 부가한다. 즉,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시접의 크기 등을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설정하고, 초기 설정에 따라 시접을 부가할 수 있다.
마킹 작업부(40)는, 마킹 모듈에 의해 생성된 패턴배열 레이아웃을 디스플레이한다. 패턴배열 레이아웃(이하 '마킹 레이아웃이라 한다.')은 원단에 인쇄될 각 패턴의 배열로서 마킹 모듈에 의해 생성된다.
마킹 모듈은, 원단의 크기 및 모양과 각 패턴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정해진 원단에 효율적으로 패턴을 배열한다. 즉, 원단을 최대한 낭비하지 않고 각 패턴을 원단에 적용하는 배열을 찾는다.
마킹 모듈에 의해 패턴 배열이 이루어지면 소정의 출력 장치에 의해 인쇄를 하게 된다. 인쇄를 함에 있어서, 종이에 인쇄할 수도 있고 원단에 직접 인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패턴이 원단에 인쇄되고 재단 작업을 용이하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디자인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디자인 과정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진다.
작업자가 작업부(10)에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 처리모듈은 입력 데이터를 처리한다.(S100 단계) 입력 데이터는 그래픽 작업부(12)에 이미지 데이터로, 또는 데이터 작업부(14)에 수치 데이터로 입력된다. 이미지 데이터는 통상적인 캐드 파일, 수정 및 변환이 가능한 이미지 파일 등을 로드하거나 작업자가 그리므로써 생성된다.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분석되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업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고, 각 부분에 대한 수치 데이터 포맷으로 변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래픽 작업부(12)에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수치 데이터 및 데이터 작업부(14)에 입력된 수치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생성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로드하여 패턴 레이아웃을 생성한다.(S110 단계) 즉, 디자인되는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패턴을 생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턴의 생성은 수치 데이터에 따라 기준점 및 선을 그리므로써 이루어진다. 생성된 패턴 레이아웃은 패턴 작업부(20)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딩 모듈은 그레이딩 작업을 수행한다.(S120 단계) 즉, 그레이딩 모듈은 생성된 패턴에 대해 각 치수별로 레이어를 생성하고, 작업자가 그레이딩 모듈에서 치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치수의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레이딩 작업은 패턴 레이아웃 생성 이후, 시접 레이아웃 생성 이후 또는 마킹 레이아웃 생성 이후에 어느 단계에서나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패턴 레이아웃 생성 이후에 수행한다.
작업자가 작업부(10)에 시접 데이터를 입력한다.(S130 단계) 입력된 시접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접 부가모듈은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한다.(S140 단계) 즉, 메모리에 저장된 시접 데이터에 따라 각 패턴에 시접을 부가하여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한다. 생성된 시접 레이아웃은 시접 작업부(30)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킹 모듈은 마킹 레이아웃을 생성한다.(S150 단계) 즉, 원단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효율적인 패턴 배열을 찾는다. 생성된 마킹 레이아웃은 마킹 작업부(40)에 디스플레이된다.
작업자가 출력을 선택하면, 마킹 레이아웃이 단말기와 연결된 소정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다.(S160 단계) 이때, 인쇄 매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마킹 레이아웃을 종이에 인쇄하거나 원단에 직접 인쇄할 수 있다. 원단에 직접 인쇄하는 경우, 인쇄된 원단으로 바로 재단 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입력 데이터를 변형하고자 할 경우, 작업부(10)에 디스플레이된 입력 데이터를 변형한다.(S170 단계) 즉, 현재 작업 중인 입력 데이터를 변형하거나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로드하여 작업부(10)에서 변형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의 변형은 그래픽 작업부(12)와 데이터 작업부(14)에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픽 작업부(12)의 경우, 작업자는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의 크기, 모양 또는 색상 등에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모듈은 작업자에 의해 변형된 이미지 데이터의 수치 및 좌표값을 산출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생성모듈, 시접 부가모듈 및 마킹 모듈은 업데이트된 입력 데이터에 따라 각 레이아웃을 변경하고, 변경된 각 레이아웃이 디스플레이된다.(S180 단계) 즉,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가 변형되면 각 모듈에 의해 생성된 각 레이아웃은 변형된 입력 데이터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또한, 작업자가 시접 데이터를 변형한 경우, 시접 부가모듈은 변형된 시접 데이터에 따라 시접을 다시 부가하여 시접 레이아웃을 업데이트하고, 마킹 모듈은 마킹 레이아웃을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각 레이아웃을 변형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부(10)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변형하므로써, 변형된 입력 데이터가 적용된 패턴 레이아웃, 시접 레이아웃 및 마킹 레이아웃을 얻을 수 있다. 즉, 별도로 패턴 레이아웃, 시접 레이아웃 및 마킹 레이아웃을 변형할 필요가 없다.
입력 데이터의 변형에 따른 레이아웃의 업데이트는 두가지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첫번째로, 각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각 레이아웃이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계속해서 참조하는 방법이다. 즉, 입력 데이터가 적용되는 각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에 포인터를 두고, 상기 포인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의 위치인 어드레스를 가리키도록 하는 것이다. 시접 레이아웃과 마킹 레이아웃은 패턴 레이아웃이 생성된 후 각 패턴을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생성되는 각 패턴에만 포인터를 부가할 수 있다. 메모리의 입력 데이터가 변형되면, 해당 어드레스는 변하지 않고 데이터값만 변하게 되므로, 해당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포인터에 의해 각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이 로드되어 변형된 데이터 값이 적용된다. 시접 데이터의 경우도 입력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두번째로,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감지하는 데이터 감지모듈을 더 부가하는 방법이다. 데이터 감지모듈은 입력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된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면서 입력 데이터의 변형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데이터 처리모듈로부터 입력 데이터의 변형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즉,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변형된 입력 데이터가 처리된 경우, 변형된 입력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전달받을 수 있다. 입력 데이터의 변형이 감지되면, 데이터 감지모듈은 패턴 생성모듈, 시접 부가모듈 및 마킹 모듈에 각 레이아웃의 업데이트 신호를 전송하고, 각 모듈은 상기 신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재로드하여 각 레이아웃을 재생성한다. 시접 레이아웃과 마킹 레이아웃은 패턴 레이아웃이 생성된 후 각 패턴을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패턴 생성모듈에만 업데이트 신호를 전송하여 각 패턴을 재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의류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데이터 입력만으로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턴에 시접이 부가된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므로써,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초보자도 용이하게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고 투여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단에 인쇄될 패턴의 효율적인 배열을 생성하므로 원단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입력된 데이터를 변형하는 작업만으로, 이미 생성된 패턴 레이아웃, 시접 레이아웃 및 마킹 레이아웃이 변형되므로, 각 레이아웃에 대한 별도로 수정 또는 변형 작업 없이 변형된 레이아웃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소정의 단말기에 설치 구동되고, 외부로부터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류를 디자인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상기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해, 상기 입력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는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으로 구성되는 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모듈;
    상기 의류의 각 치수에 따른 레이어를 생성하는 그레이딩 모듈;
    상기 각 패턴에 시접을 부가하여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시접 부가모듈; 및
    소정의 크기 및 모양의 원단에 대한 상기 각 패턴의 배열인 마킹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마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2. 소정의 단말기에 설치 구동되고, 외부로부터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류를 디자인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입력 또는 변형되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상기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소정의 업데이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 패턴 및 상기 패턴 레이아웃을 재생성하는 패턴 생성모듈;
    상기 의류의 각 치수에 따른 레이어를 생성하는 그레이딩 모듈;
    상기 각 패턴에 시접을 부가하여 시접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시접 부가모듈;
    소정의 크기 및 모양의 원단에 대한 상기 각 패턴의 배열인 마킹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마킹 모듈;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입력 데이터의 변형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가 변형된 경우 상기 패턴 생성모듈에 상기 업데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가, 상기 의류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을 포함하는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가, 상기 의류의 각 부분에 대한 수치, 좌표값 및 색상값을 포함하는 수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KR1020020008930A 2002-02-20 2002-02-20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KR20030069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930A KR20030069346A (ko) 2002-02-20 2002-02-20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930A KR20030069346A (ko) 2002-02-20 2002-02-20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346A true KR20030069346A (ko) 2003-08-27

Family

ID=3222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930A KR20030069346A (ko) 2002-02-20 2002-02-20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9346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1468A (ja) * 1995-02-17 1996-08-30 Brother Ind Ltd 型入れ方法及び型入れ装置
JPH09188910A (ja) * 1995-10-23 1997-07-22 Miwako Suzuki 被服スタイルをパーツ別に分ける分類法と、コンピュータグラ フィックスを使用して、画面上に基準線を設け、その線上にパ ーツを組み合わせて被服スタイルを描く方法
US5724484A (en) * 1991-03-20 1998-03-03 Hitachi, Ltd. Data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alysis/judgement
KR100247127B1 (ko) * 1997-04-18 2000-03-15 박관미 영상합성 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의상 디자인을 선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250237B1 (ko) * 1997-03-06 2000-04-01 마사히로 아라가와 직물 섬유 디자인 장치
JP2001109789A (ja) * 1999-10-13 2001-04-20 Toray Ind Inc パーツデータの作成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79421A (ko) * 2001-07-14 2001-08-22 홍순모 패션물의 디자인 삼차원입체 매핑 기능을 갖는 디자인방법 및 시스템
JP2001306652A (ja) * 2000-04-21 2001-11-02 Kiiko Hayashi 衣服の製図設計作図のための情報処理管理方法
KR20030039969A (ko) * 2001-11-16 2003-05-22 주식회사 해피투웨어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의복 디자인 모사 시스템 및 이를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484A (en) * 1991-03-20 1998-03-03 Hitachi, Ltd. Data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alysis/judgement
JPH08221468A (ja) * 1995-02-17 1996-08-30 Brother Ind Ltd 型入れ方法及び型入れ装置
JPH09188910A (ja) * 1995-10-23 1997-07-22 Miwako Suzuki 被服スタイルをパーツ別に分ける分類法と、コンピュータグラ フィックスを使用して、画面上に基準線を設け、その線上にパ ーツを組み合わせて被服スタイルを描く方法
KR100250237B1 (ko) * 1997-03-06 2000-04-01 마사히로 아라가와 직물 섬유 디자인 장치
KR100247127B1 (ko) * 1997-04-18 2000-03-15 박관미 영상합성 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의상 디자인을 선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09789A (ja) * 1999-10-13 2001-04-20 Toray Ind Inc パーツデータの作成方法および装置
JP2001306652A (ja) * 2000-04-21 2001-11-02 Kiiko Hayashi 衣服の製図設計作図のための情報処理管理方法
KR20010079421A (ko) * 2001-07-14 2001-08-22 홍순모 패션물의 디자인 삼차원입체 매핑 기능을 갖는 디자인방법 및 시스템
KR20030039969A (ko) * 2001-11-16 2003-05-22 주식회사 해피투웨어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의복 디자인 모사 시스템 및 이를제어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100940A1 (ja) ロボットに用いるティーチングボックスおよびカスタマイズ方法とこれらを用いたロボットシステム
JP4884685B2 (ja) データベースに項目追加を行う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6125118B1 (ja)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端末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JP5141889B2 (ja) Plcの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KR20030069346A (ko) 의류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매체
TWI582555B (zh) A programmable controller system, a programmable display, a support device, a program
KR100594732B1 (ko) 사용자들간에 일괄설정을 공용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프린팅 시스템 및 그의 네트워크 프린팅 방법
JPH07227738A (ja) 汎用型数値制御加工機による文字彫刻装置
JPH03219305A (ja) 多数個取り指定方式
JP5772639B2 (ja) 設計支援装置
WO2019039197A1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開発支援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開発支援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開発支援プログラム
US6900814B2 (en) CAD apparatus and output processing method for CAD apparatus
WO2023007581A1 (ja) 数値制御装置
JP2002232686A (ja) 測定結果出力システム
JP3014268U (ja) キャド装置
JP2020106959A (ja) レイアウト処理装置
JP2005100166A (ja) 解析装置
TWI420334B (zh) 印刷電路板佈線系統及印刷電路板上的多邊形合併方法
JPH0756966A (ja) シリンダユニットの自動作図装置
CN101826091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2007133797A (ja) ウェブアプリケーション生産支援装置
JPH0462410A (ja) 測定支援装置
JP2823133B2 (ja) ミシンデータ作成装置
CN113412456A (zh) 操作设备和方法
KR20170107251A (ko) 분석 프리젠팅 프레임워크 시스템 및 분석 프리젠팅 프레임워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