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553A -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553A
KR20030059553A KR1020010088419A KR20010088419A KR20030059553A KR 20030059553 A KR20030059553 A KR 20030059553A KR 1020010088419 A KR1020010088419 A KR 1020010088419A KR 20010088419 A KR20010088419 A KR 20010088419A KR 20030059553 A KR20030059553 A KR 20030059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ata
customer
server
data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8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553A/en
Publication of KR2003005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55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minimize remote control failure through the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by accurately transmitting the control data for remote control to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 and smoothly performing treatmen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failure of the control data although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data fails. CONSTITUTION: One or household appliances(100) are operated by control data received through on-line. A web server(300) operates a web sit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of each household appliance(100) through a client terminal(600) located in a remote place, controls a data transmission server(400) so that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d remote control command ar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usehold appliance(100), and continuously displays whether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data is completed, on a web page. The data transmission server(400) transmits the control data to each household appliance(100), continuously confirms a response signal for confirming the reception of the control data, records the confirmed history, and transmits the recorded history to the web server(300). A DB server(500) stores various history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server(400), client association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web server(300), and th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household appliance(100).

Description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세탁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격 제어 가능한 세탁기의 원격 제어시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을 경우 이에 따른 대처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of a washing machine online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ystem. More specifically,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during remote control of a remote controllable washing machine, a countermeasure thereof may be smoothly performed. will be.

현재, 각 가정은 다양한 가정용 기기에 의해 편리한 삶을 누리고 있다. 예컨대,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의 자동 수행을 통해 고객의 불필요한 노력 및 시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고, 냉장고를 이용한 각종 식품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전자 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At present, each household enjoys a convenient life by various household applianc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customers and waste of time by automatically performing washing using a washing machine, safe storage of various foods using a refrigerator, and cooking food conveniently using a microwave oven. You can do it.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 세탁기 등과 같은 인터넷 환경에 연결된 가정용 제품이 점차 등장하고 있음으로 인해 그 동작이 필요시 될 때마다 원격지에서 상기 가정용 기기의 모든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공간상 및 시간상의 제약을 받지 않아도 되었다.In particular, as household products connected to the Internet environment, such as an Internet washing machine, have recently emerged, every time the operation is required, all of the household devices can be controlled remotely without being constrained in space and time. It became.

하지만, 전술한 인터넷 세탁기 등과 같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가정용 기기의 동작을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인터넷 세탁기가 온라인 연결된 상태를 이루어야만 할 뿐 아니라 통신 호의 단절이 없어야만 한다는 전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emise that for the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able household device such as the above-described Internet washing machine, the Internet washing machine must not only be connected online but also have no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ll.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Accordingly, a service method for preventing the above problems has been actively studied.

또한, 상기한 통신 호의 단절을 방지하기에는 현재의 인터넷 환경으로 볼 때 극히 어려움을 고려한다면 상기 통신 호의 단절시 발생되는 문제점 예컨대, 온라인을 통한 제어 데이터의 송신시 그 수신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작업을 완료시킴에 따라 해당 기기의 동작 확인이 곤란하였던 문제점 등의 해결이 시급히 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if the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call,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the communication call is disconnected,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data is transmitted online, regardless of wheth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As a result, it was urgently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was difficult to check.

특히, 인터넷 세탁기 등과 같이 한 작업의 소요시간이 비교적 긴 기기에 대하여는 재차적인 작업 수행으로 인한 시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더욱 절실히 요하고 있는 상황에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evice having a relatively long time, such as an Internet washing machin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ime loss due to the rework of the work.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온라인 상을 통한 각종 인터넷 가능한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시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정확히 해당 가정용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제어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하더라도 그에 따른 대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 데이터 전송을 통한 원격 제어의 실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when the remote control of the various Internet-enabled home appliances through the on-line, the control data for the remote control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rvic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ervice for minimizing the failure of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control data transmission by allowing the control data to be smoothly handled even if the control data transmission fail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rvice providing configuration using a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서비스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2 is a flow chart briefly illustrating a service process of a web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서비스 과정 중 제어 데이터의 전송 오류시 대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ping process when a control data transmission error occurs during a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서비스 과정의 다른 예를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 chart brief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ervice process of a web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서비스 과정 중 제어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for retransmission of control data during a servic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서비스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6 is a flowchart briefly illustrating a service process of a web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가정용 기기 200. 홈 게이트웨이 서버100. Home Appliances 200. Home Gateway Servers

300. 웹서버 400. 데이터 전송 서버300. Web Server 400. Data Transfer Server

500. 데이터 베이스 서버 600. 고객 단말기500. Database server 600. Customer terminal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킹 연결되어 제어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온라인을 통해 그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구동하는 최소 하나 이상의 가정용 기기; 원격지에 위치된 고객의 인터넷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각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해당 가정용 기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이 데이터의 수신 완료 여부를 지속적으로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와 연동되어 운영되고, 각 가정용 기기로의 제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전송된 제어 데이터의 수신 확인을 위한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그 내역을 기록한 후 상기 웹서버로 전달하는 데이터 전송 서버; 상기 데이터 전송 서버를 통해 기록되는 각종 내역 정보 및 웹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각 고객에 관련된 정보와 각 가정용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가 각각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는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 least one or more household device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connection to receive the control data, and to receive and drive the control data for its operation via online; Operate a website that receives remote control commands for each home appliance through an Internet-enabled terminal of a customer located remotely, and control the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s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 web server which continuously displays whether or not reception is completed on a web page; The data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web server, performs control data transmission to each home device, continuously checks the response signal for acknowledging the reception of the transmitted control data, records the details, and delivers the data to the web server. Transmission server; A remote control service of a home appliance, comprising: a database server storing various details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ustomer input through a web server, and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ach home appliance; Present the system.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일 실시예의 운영 방법은 인터넷 접속된 고객으로부터 웹사이트를 통한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제1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접수에 응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된 해당 고객의 정보를 토대로 요청 대상 가정용 기기에 원격 제어 데이터를 송신함과 동시에 이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받는 제2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받지 못하였을 경우 통신 장애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받을 경우 제어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하였음으로 판단하여 그 각각의 상태 내역을 기록하는 제3단계; 상기 기록된 내역을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통보하는제4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제시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an embodiment using the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remote control service request through a website from a customer connected to the Internet;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remote control data to the requesting home applia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ervice request and continuousl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ransmitted data is received; ;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when the response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rding control status by determining that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is successful when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And the fourth step of notifying the recorded details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custom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운영 방법은 인터넷 접속된 고객으로부터 웹사이트를 통한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제1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접수에 응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된 해당 고객의 정보를 토대로 요청 대상 가정용 기기를 관리하는 홈 게이트웨이 서버에 원격 제어 데이터를 송신함과 동시에 이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받는 제2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받지 못하였을 경우 통신 장애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받을 경우 제어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하였음으로 판단하여 그 각각의 상태 내역을 기록하는 제3단계; 상기 기록된 내역을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제시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ome applian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step of receiving a remote control service request through a website from a customer connected to the Interne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the remote control data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server managing the home appliance to be requested, and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received data is received is continuously transmitted. Receiving a second step;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when the response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rding control status by determining that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is successful when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And the fourth step: informing the terminal of the customer of the recorded details.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시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rst,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rvic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크게 각종 가정용 기기(100)와, 상기 각 가정용 기기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 그리고 온라인 상에 구축된 웹서버(300) 및 데이터 전송 서버(400)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로 구성된다.That is, the configuration for providing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ge number of home appliances 100, a home gateway server 200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home appliances, and a web server 300 built online. It is comprised of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and the database server 500.

이 때, 상기 각 가정용 기기(100)는 네트워킹 연결되어 제어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온라인을 통해 그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각 가정용 기기(100)가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구동하면서 각종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임을 그 일 예로써 제시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home appliance 10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connection to receive the control data,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drive the control data for its operation through the on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home appliance ( As an example, it is shown that 100 is a washing machine that performs washing of various laundry while receiving and driving control data.

상기에서 각 가정용 기기가 네트워킹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각 가정용 기기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Network Interface Card)를 구비하거나 혹은, 별도의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넷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다면 예컨대, RS-232C와 같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포트를 구성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f each household device is provided with a network interface card (NIC) for each household device to be connected to a network or connected to an Internet-enabled computer system serving as a separate server, for example, RS- A port for data communication such as 232C is configured to allow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puter system.

그리고, 상기 웹서버(300)는 원격지에 위치된 고객의 인터넷 가능한 단말기(600)를 통해 각 가정용 기기(100)의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해당 가정용 기기(1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이 데이터의 수신 완료 여부를 지속적으로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web server 300 operates a website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command of each home appliance 100 through an Internet-enabled terminal 600 of a customer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and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Control to b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100, and continuously displays whether or not the reception of this data is completed on a web page.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전송 서버(400)는 상기 웹서버(300)와 연동되어 운영되고, 각 가정용 기기(100)로의 제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전송된 제어 데이터의 수신 확인을 위한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그 내역을 기록한 후 상기 웹서버(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web server 300, performs control data transmission to each home appliance 100, and continuously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acknowledgment of the transmitted control data. After confirming to record the details and to deliver to the web server 300.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는 상기 데이터 전송 서버(400)를 통해 기록되는 각종 내역 정보 및 웹서버(300)를 통해 입력되는 각 고객에 관련된 정보와 각 가정용 기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가 각각 저장된다.The database server 500 controls various details of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ustomer input through the web server 300, and operation control of each home appliance 100. Control data for each is stored.

그리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는 각 가정용 기기(100)와 통신함과 더불어 상기 각 가정용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중개하도록 홈 네트워크를 이루며,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로써 데이터 전송 서버를 통한 제어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가정용 기기(100)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가정용 기기(100)와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웹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축된다.In addition, the home gateway server 200 forms a home network to communicate with each home appliance 100 and to mediate control data for operation control of each home appliance,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It receives the control data, and continuously checks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100 and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home appliance 100 is built to transmit to the web server 300.

상기한 구성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 및 데이터 전송 서버(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컴퓨터 시스템으로써 구축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웹서버(300)를 이루는 저장 공간 및 응용 프로그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도 반드시 그 구성에 대한 한정은 수행하지 않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atabase server 500 and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uter system as shown, as well as a storage space and an application program constituting the web server 300.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limit the configuration thereof.

또한,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와 각 가정용 기기(100)간은 허브(700)를 통해 네트워킹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 이 또한 그 구성을 한정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home gateway server 200 and each home appliance 100 so that the networking connection can be made through the hub 700, but this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서비스 수행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2 및 도 3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ures 2 and 3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rvice perform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detail.

우선, 웹서버(300)는 온라인 상에 구축한 웹사이트를 통해 각 고객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을 지속적으로 접수받는다.First, the web server 300 continuously receives a service request from each customer through a website built online.

이 때, 상기 웹사이트의 웹페이지는 각 고객이 가지는 가정용 기기(100)의 선택적인 제어를 위한 원격 조작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각 기기의 종류별로각각의 제어 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현한다.At this time, the web page of the website is implemented so that each control command can be input for each type of device so that the remote operation for the selective control of the home appliance 100 owned by each customer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

이 상태에서 고객이 원격지(예컨대, 사무실이나 여타의 장소와 같이 제어하고자 하는 가정용 기기가 위치된 가정과는 많은 공간상의 거리를 가지는 지점)에서 해당 고객의 가정에 구비된 어느 한 가정용 기기(예컨대, 세탁기)(100)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자 인터넷 가능한 단말기(600)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상기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300)는 해당 고객이 가지는 원격 제어 가능한 각 가정용 기기(100)의 목록을 해당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한다.In this state, any household appliance (e.g., a washing machine) provided to the customer's home at a remote location (e.g., a point where there is a large space distance from the home where the household appliance to be controlled, such as an office or other place) is located. To access the website for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Internet-enabled terminal 600 to perform the remote control of (100), the web server 300 for operating the website has each remote controllable home appliance which the customer has. The list of 100 is displayed on the web page.

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확인(LOG-IN) 과정에서 서비스 가입시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등록하였던 해당 고객의 각종 정보 중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의 내역을 추출함으로써 가능하다.This is possible by extracting the details of the control target home appliance 100 from among the vario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ustomer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when the service is subscribed in the user log-in process.

반면, 해당 고객이 서비스 가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고객으로의 긴급 연락 가능한 계정(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메신저 서비스의 ID 등) 정보와 함께 해당 고객이 가지는 원격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의 IP 혹은, 그 내역(예컨대, 기기의 종류나 제품 번호 등)을 입력하도록 요청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stomer is not subscribed to the service, the remotely controlled home appliance (100) with information on an account (especially, a mobile phone number or an ID of a messenger service) capable of emergency contact with the customer (100) IP) or its details (e.g., device type, product number, etc.).

만일, 상기 서비스 가입시 해당 고객의 가정에 홈 네트워킹이 구축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기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계정 등도 함께 입력하도록 요청하며, 상기의 요청에 대응하여 입력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해당 고객별로 등록해 둔다.If the home networking is established in the customer's home at the time of joining the service, request to input an account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home gateway server 200 that manages and controls the home network and responds to the request. The input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for each customer.

한편, 상기한 각 과정 중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된 각종 가정용 기기(100)의 내역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해당 고객이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 수행을 선택하게되면 웹서버(300)는 상기 세탁기의 각 모드(예컨대, 세탁 모드, 헹굼 모드, 탈수 모드 등)에 대한 내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모드의 선택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한 동작 시간을 입력하도록 요청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stomer selects to perform the washing using the washing machine while the details of the various home appliances 100 displayed on the web page of the above process is displayed, the web server 300 is in each mode of the washing machine (eg Display the details of the washing mode, the rinsing mode, the dehydration mode, and the like to perform the selection of the mode and at the same time request to input the operation time for the selected mode.

이후,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한 각 선택 내역 및 입력 정보를 토대로 해당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혹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기 등록되어 있는 각 상황별 제어 데이터의 추출)하고, 데이터 전송 서버(400)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해당 고객의 가정에 구비된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로 전송한다.Subsequently, the web server 300 generates control data for a corresponding operation based on the selection details and the input information (or extracts control data for each situation already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data to the home gateway server 200 provided in the home of the customer.

이 때, 상기 데이터 전송 서버(400)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와의 세션 연결을 요청함과 동시에 상기 세션 연결을 요청한 시간으로부터 세션 연결이 이루어지기 까지의 수행 시간을 카운트 한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requests the session connection with the home gateway server 200 and counts the execution time from the time for requesting the session connection to the session connection at the same time.

이의 과정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예컨대, 1분 이내)에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와의 세션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연결된 세션을 통해 해당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내역을 기록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저장한다.In this process, when a session connection with the home gateway server 200 is made within a preset time (for example, within 1 minute), the control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ed session and the details are recorded to record a database. Stored in the server 500.

하지만, 상기한 세션의 연결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연결되지 못할 경우에는 전송 대상 제어 데이터에 대한 송신 실패로 판단함과 동시에 해당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와의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음으로 판단하고, 해당 내역을 기록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저장한다.However, when the connection of the session is not connected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exceed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failure for the transmission target control data and the communication failure with the corresponding home gateway server 200 occurred. The details are record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이 때, 상기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저장하는 각 제어 데이터 전송에 따른 결과 내역은 고객의 필요에 의해 삭제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저장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temporarily store the result history according to each control data transmission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as described above so that it can be deleted by the customer's needs.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저장된 금번 제어 데이터의 전송 따른 결과 내역 정보는 데이터화한 후 해당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의 단말기(600)로 전송한다.Then, the result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f the current control data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by the above process is converted into data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erminal 600 of the customer who requested the service.

만일, 상기 고객이 해당 웹사이트 상에서 로그아웃(LOG-OUT)되지 않은 상태라면 해당 웹페이지상에 상기 결과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실시간적인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f the customer is not logged out (LOG-OUT) on the websit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in real time the result history information on the web page.

한편, 전술한 각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데이터 전송 서버(400)와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간 세션 연결이 이루어졌다고 해서 모든 과정이 완료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session connection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and the home gateway server 200 is made dur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not all processes are completed.

즉, 세션 연결이 이루어졌다고는 하나 제어 데이터의 전송 도중 상호간의 통신망 이상으로 인해 세션이 끊겨 제어 데이터의 전송에 실패할 수도 있음을 고려할 때 도시한 도 3의 순서도와 같이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로부터 완전한 제어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었을 경우 이의 인지를 위한 결과 신호를 회신 받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도 이의 과정을 추가로 제시한다.That is, although the sess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home gateway server 200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3 illustrates that the session may be disconnected due to an abnormal communication network during the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When the reception of the complete control data from the complete reception of the result signal for its recognition is more preferable, 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a process thereof.

특히, 본 발명에서는 통신 선로의 이상이 발생될 경우 상기한 제어 데이터의 전송 시간이 무한정 길수 있음을 고려할 때 해당 제어 데이터의 용량 및 통상적인 해당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와의 전송 속도를 감안하여 평균적인 데이터 전송 시간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시간에 조금의 여유를 부여한 시간을 전송 한계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이 시간이 초과될 때 까지 해당 제어 데이터의 전송 완료에 따른 회신 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해당 전송 대상 제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로 판단함과 동시에 해당 홈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음으로 판단하고, 그 내역을 기록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ing that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control data can be infinitely long when an abnormality in the communication line occurs,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control data and the transmission speed with the corresponding home gateway server 200, the average By calculating the data transmission time and setting a time for which a margin is given to the calculated time as the transmission limit time, if the reply sig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ransmission of the control data is not received until this time is exceeded,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target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failure for the control data and the communication failure with the corresponding home gateway server has occurred, and the details are recorded so that the data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 전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축하지 않더라도 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that the service can be provided even if the home gateway server 200 is not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for providing the service as described above.

이는, 데이터 전송 서버(400)와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간 수행하던 동작 즉, 상호간의 세션 연결 및 제어 데이터 수신 완료에 따른 신호의 수신 시간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의 오류 확인 과정을 상기 데이터 전송 서버(400)와 해당 가정용 기기(100)간에 수행되도록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This is an operation performed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and the home gateway server 200, that is, an error checking process of data transmission using a reception time of a signal according to completion of session connection and control data reception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 400 and the home appliance 100 to perform the setting.

즉, 도시한 도 4의 순서도와 같이 각 고객의 원격 제어 서비스에 대한 요청에 대응하여 웹서버(300)의 제어를 받는 데이터 전송 서버(400)는 해당 고객이 요청한 가정용 기기(100)와의 세션 연결을 지속적으로 수행함과 더불어 그 결과 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상기 세션 연결이 이루어졌을 경우 제어 데이터의 전송 완료 여부에 따른 회신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받아 기록한 후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4,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controlled by the web server 30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 remote control service of each customer connects a session with the home appliance 100 requested by the customer. And continuously record the result information, and when the session connection is made to continuously receive and record the reply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data is completed to store in the database server 500 .

그리고, 상기한 과정의 달성을 위해 웹서버(300)는 각 고객의 서비스 가입시 혹은, 각 고객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 접수시 제어하고자 하는 가정용 기기(100)의IP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아야 하며, 상기 입력된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의 IP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500)에 저장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rocess, the web server 300 should additionally receive the IP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00 to be controlled when each customer subscribes to a service or receives a service request from each customer. The IP information of the controlled home appliance 100 is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500.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과정을 통한 제어 데이터의 전송 실패가 발생될 경우 해당 고객으로부터의 별도 제어를 받지 않고도 최소 한번 이상 소정 횟수만큼 제어 데이터의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시적인 통신 선로상의 오류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하며, 이의 과정은 도시한 도 5의 순서도와 같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ssion failure of the control data through each process as described above occurs a temporary communication line by allowing the retransmission of the control data at least onc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ithout receiving separate control from the customer. It is further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errors in the image, and the process thereof i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도 6의 순서도와 같이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로부터 해당 가정용 기기로 전송되는 제어 데이터의 전송 오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가 확인하여 이를 데이터 전송 서버(400)로 전송해 줄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과정을 제시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gateway server 200 checks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error of th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server 200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6. It presents a series of processes to be transmitted to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이는, 비록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로까지 해당 제어 데이터의 정확한 전송이 이루어졌다고는 하나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와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간 통신 장애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로의 제어 데이터 전송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해결하기 위함이다.This means that although the control data is correctly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server 200, the controlled home appliance 100 is not turned off or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or the controlled home appliance 100 and the home gateway are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server 200.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trol data transmission to the control target home appliance 100 may not be made correctly when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servers 200.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송 서버(400)가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를 관리하는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와 세션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경우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로부터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와의 통신 장애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일련의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smoothly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in a session connected with the home gateway server 200 managing the controlled home appliance 100, the home gateway server ( 200 to propose a series of processes for identifying a communication failure with the controlled home appliance and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result.

이 때,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를 통한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와의 통신 장애 확인은 기 전술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전송 서버(400)를 통한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간의 통신 장애를 확인하는 과정과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failure confirmation with the control target home appliance 100 through the home gateway server 200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gateway server 20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process to check for disability.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200)가 데이터 전송 서버(400)로 전송하는 회신 신호에 상기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100)와의 통신 상태 및 제어 데이터 전달 완료 여부에 따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차이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gateway server 200 sends information to the reply signal transmitted to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400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control target home appliance 100 and whether the control data transmission is completed. There is a difference in transmitting furth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은 온라인 상을 통한 각종 인터넷 가능한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시 상기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가 정확히 해당 가정용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어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하더라도 그에 따른 대처가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제어 실패에 따른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when the control data for the remote control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when the remote control of various internet-enabled home appliances is onli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ustomer's dissatisfaction due to the remote control failure by allowing the response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even if the control data transmission fails.

Claims (13)

네트워킹 연결되어 제어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온라인을 통해 그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구동하는 최소 하나 이상의 가정용 기기;At least one home applianc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networking and receive control data, and to receive and drive control data for its operation online; 원격지에 위치된 고객의 인터넷 가능한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각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해당 가정용 기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이 데이터의 수신 완료 여부를 지속적으로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하는 웹서버;Operate a website that receives remote control commands for each home appliance through an Internet-enabled terminal of a customer located remotely, and control the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s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A web server which continuously displays whether or not reception is completed on a web page; 상기 웹서버와 연동되어 운영되고, 각 가정용 기기로의 제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며, 상기 전송된 제어 데이터의 수신 확인을 위한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그 내역을 기록한 후 상기 웹서버로 전달하는 데이터 전송 서버;The data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web server, performs control data transmission to each home device, continuously checks the response signal for acknowledging the reception of the transmitted control data, records the details, and delivers the data to the web server. Transmission server; 상기 데이터 전송 서버를 통해 기록되는 각종 내역 정보 및 웹서버를 통해 입력되는 각 고객에 관련된 정보와 각 가정용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가 각각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축된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A database server storing various details information record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and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ustomer input through a web server and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home appliance, respectively. Control servic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가정용 기기와 통신함과 더불어 상기 각 가정용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중개하도록 홈 네트워크를 이루고,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로써 데이터 전송 서버를 통한 제어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가정용 기기의 동작 상태 및 상기 가정용 기기와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축된 홈 게이트웨이 서버가 더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기기의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In addition to communicating with each home appliance, a home network is formed to mediate control data for the operation control of each home appliance, and the control data is transmitted through a data transmission server whil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home gateway server further configured to continuously check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home applianc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인터넷 접속된 고객으로부터 웹사이트를 통한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remote control service request through a website from an Internet-connected customer; 상기 서비스 요청 접수에 응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된 해당 고객의 정보를 토대로 요청 대상 가정용 기기에 원격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신함과 동시에 이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받는 제2단계;Sending data for remote control to the requesting home applianc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ervice request, and continuousl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ransmitted data is received. Step 2;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받지 못하였을 경우 통신 장애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받을 경우 제어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하였음으로 판단하여 그 각각의 상태 내역을 기록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when the response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rding control status by determining that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is successful when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상기 기록된 내역을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a fourth step of notifying the recorded details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custom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단계의 진행 과정 중 고객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른 접수가 발생될 경우In case of receiving a service request from a customer during the process of the first step 해당 고객으로의 긴급 연락 가능한 계정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Requesting to enter account information for emergency contact with the customer;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고객의 정보 입력이 수행될 경우 상기 입력된 내용을 해당 고객에 대한 정보로써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Registering information input to the database server a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ustomer when the input of the custom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is performed; and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고객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른 접수가 발생될 경우When the reception of a service request from a customer occurs 해당 고객이 제어 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로의 제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대상 기기의 IP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requesting the customer to input IP inform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to the controlled home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custom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고객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에 따른 접수가 발생될 경우When the reception of a service request from a customer occurs 해당 고객이 제어 하고자 하는 제어 대상 가정용 기기의 제어 모드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requesting a customer to select a control mode of a controlled home appliance to be controlled by the custom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요청 대상 가정용 기기에 원격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sending the remote control data to the requesting home appliance 해당 가정의 홈 네트워크를 이루는 홈 게이트웨이 서버로 상기 원격 제어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세션 연결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 session connection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remote control data to a home gateway server forming a home network of a corresponding home;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세션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 이 연결된 세션을 통한 해당 제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When the session connection with the home gateway server is made,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data through the connected session; 상기 전송된 제어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수신받는 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continuously receiving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ransmitted control data has been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operating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홈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세션 연결이 설정된 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홈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통신 장애가 발생되었음으로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determining that a communication failure with the home gateway server has occurred when the session connection with the home gateway server has not been establish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홈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해당 가정용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받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ntinuousl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data can be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server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제3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받지 못하였을 경우 재차적인 제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가 최소 한 번 이상 반복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third step is in progress, the step of retransmitting the control data is repeated, at least one or more times, further comprising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Operating method. 인터넷 접속된 고객으로부터 웹사이트를 통한 원격 제어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remote control service request through a website from an Internet-connected customer; 상기 서비스 요청 접수에 응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등록된 해당 고객의 정보를 토대로 요청 대상 가정용 기기를 관리하는 홈 게이트웨이 서버에 원격 제어 데이터를 송신함과 동시에 이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받는 제2단계;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registered in the database server in response to the service request, the remote control data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server managing the home appliance to be requested, and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received data is received is continuously transmitted. Receiving a second step;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받지 못하였을 경우 통신 장애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받을 경우 제어 데이터의 전송이 성공하였음으로 판단하여 그 각각의 상태 내역을 기록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a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when the response signal has not been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rding control status by determining that transmission of control data is successful when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 상기 기록된 내역을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a fourth step of notifying the recorded details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customer.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홈 게이트웨이 서버로부터 해당 가정용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에 따른 응답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받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And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ntinuousl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data can be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server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제3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응답 신호를 설정된 시간동안 수신받지 못하였을 경우 해당 홈 게이트웨이 서버로의 재차적인 제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가 최소 한 번 이상 반복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If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third step is in progress, the step of retransmitting control data to the corresponding home gateway server is further performed. Operating method of remote control service system.
KR1020010088419A 2001-12-29 2001-12-29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KR200300595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19A KR20030059553A (en) 2001-12-29 2001-12-29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419A KR20030059553A (en) 2001-12-29 2001-12-29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553A true KR20030059553A (en) 2003-07-10

Family

ID=3221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419A KR20030059553A (en) 2001-12-29 2001-12-29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9553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275B1 (en) * 2002-07-15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heck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of Home Network System
KR100474483B1 (en) * 2002-03-12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aratus for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0475570B1 (en) * 2002-11-04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home network
KR100484804B1 (en) * 2002-07-11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s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484803B1 (en) * 2002-07-11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 Network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529875B1 (en) * 2002-07-11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s Structure of Home Appliance Network
KR100619694B1 (en) * 2004-06-17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system for home network
KR100793813B1 (en) * 2007-07-11 2008-01-11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Remote control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network, cellular network and pstn
KR100898836B1 (en) * 2007-07-19 2009-05-2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Method for announc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of home network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483B1 (en) * 2002-03-12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Aparatus for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and method thereof
KR100484804B1 (en) * 2002-07-11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s and Its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484803B1 (en) * 2002-07-11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 Network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529875B1 (en) * 2002-07-11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s Structure of Home Appliance Network
KR100442275B1 (en) * 2002-07-15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heck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of Home Network System
KR100475570B1 (en) * 2002-11-04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home network
KR100619694B1 (en) * 2004-06-17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system for home network
KR100793813B1 (en) * 2007-07-11 2008-01-11 주식회사 예향텔레콤 Remote control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network, cellular network and pstn
KR100898836B1 (en) * 2007-07-19 2009-05-2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Method for announcing communication interference of home network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2101B1 (en) Service system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KR100477651B1 (en) Interface apparatus based IM(Instant Messenger)
US78097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7117051B2 (en) Applian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U2002315929A1 (en) Service system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CN1961298B (en) Home-use electrical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20140028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ersonal electronic device to wirelessly link remote diagnostic site to a home appliance for troubleshooting
CN111031565B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off-line state of ZigBee device
US20140379860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 domestic appliance and a user terminal, a domestic appliance, and a system comprising a domestic appliance and a user terminal
KR20030059553A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JP3924914B2 (en) Cooking equipment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6961658B (en) Internet of things home appliance equipment off-line restoration methods and networking module
CN107623613A (en) Intelligent household system
CN111866141A (en) Robot monitoring method, system,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EP3065013B1 (en) Device control method, server,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7508916B (en) Server link management method for intelligent robot
KR20030059556A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CN108810110A (en) Facility information delet method and device
JP2019040601A (en) Method for connecting household appliance to wireless home network
KR101718215B1 (en) Home appliance
JP2008236531A (en) Electric appliance network system
KR20030059554A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of electric home appliances and method thereof
KR100857785B1 (en) Structure for online service with dish wash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5045759B (en) Control communication method of financial self-service equipment
CN112099371B (en) Control method of first terminal, second terminal and server in coo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