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414A -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414A
KR20030055414A KR1020010084934A KR20010084934A KR20030055414A KR 20030055414 A KR20030055414 A KR 20030055414A KR 1020010084934 A KR1020010084934 A KR 1020010084934A KR 20010084934 A KR20010084934 A KR 20010084934A KR 20030055414 A KR20030055414 A KR 20030055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system information
transport stream
packe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영
배병준
이진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8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5414A/ko
Publication of KR2003005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규격을 따르는 방송 스트림을 다른 규격을 따르는 방송 스트림으로 실시간으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는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이를 컨텐츠 스트림 패킷과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으로 나누어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 운영자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에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여 구성한 데이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 및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캡슐화 한 후 전송 주기에 맞게 출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Apparatus for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conversion method in digital television systems}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규격을 따르는 방송 스트림을 다른 규격을 따르는 방송 스트림으로 실시간으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될 경우 서로 다른 규격에 따라 생성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재전송해야 하는 일이 빈번해 질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원하는 방송 시스템의 규격에 맞도록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변환해 주어야 한다.
도 1은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변환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110)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 장치(120)에 의해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130)으로 변환되어 DVB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140)은 DVB 규격에서 ATSC 규격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변환하는 장치(150)에 의해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160)으로 변환되어 ATSC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ATSC 규격을 따르는 방송 시스템에서 오디오 신호는 ATSC 발간 문서번호 A/52에 의한 AC-3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 되고,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함) 정보와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는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의 PSI(programspecific information)와 ATSC의 문서번호 A/65에 의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에 의해 전송된다.
반면, DVB 규격을 따르는 방송 시스템에서 오디오 신호는 일반적으로 ISO/IEC 표준 문서번호 11172-3 또는 13818-3에 의한 방법으로 부호화 되고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는 MPEG의 PSI와 DVB EN 300 468에 의한 SI(system information)에 의해 전송된다. 그러므로 ATSC 방식의 방송 스트림을 DVB 방식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DVB 방식의 방송 스트림을 ATSC 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신호를 해당 방송 시스템의 방식에 맞게 변환하고 PSIP, PSI 및 SI 테이블도 시스템 규격에 맞도록 변환해 주어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보면, ATSC 규격의 복조기 또는 재다중화기 등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장치로부터 입력된 다수 프로그램 또는 단일 프로그램의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210)은 ATSC 규격의 복호기(220)에서 각 프로그램의 비디오(221) 및 오디오(222) 소스 신호로 복호화 된다.
이 신호들은 DVB 규격의 부호기(230)에 의해 DVB 규격을 따르는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231)로 부호화 된다.
입력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다수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ATSC 규격의 복호기와 DVB 규격의 부호기가 시스템 운영자가 변환시키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수만큼 필요하다.
상기 DVB 규격의 부호기(2301, 2302, ‥‥ 230N)에서 출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2311, 2312, ‥‥ 231N)은 DVB-SI 서버(250)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인 SI/PSI 트랜스포트 스트림(251)과 함께 DVB 규격 재다중화기(260)에서 다중화 되어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270)으로 출력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ATSC 규격을 따르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은 DVB 규격을 따르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도 3은 종래의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한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장치를 이용하여 ATSC와 DVB 규격에 의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상호 변환하고자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의 입력이다.
즉, 방송 스트림 변환 과정에서 오디오와 비디오 등의 컨텐츠를 수록하고 있는 스트림(이하, 컨텐츠 스트림이라 함)은 복호기/부호기 세트에 의해 자동으로 변환될 수 있지만,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나타내는 PSIP/PSI/SI 테이블의 내용은 방송 시스템 운영자가 미리 내용을 파악한 후 상기 DVB SI 서버(250) 또는 ATSC PSIP 서버(350)에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여야 한다.
만약, 입력되는 방송 스트림의 편성 정보가 사정에 의해 갑자기 변경되어 방송 시스템 운영자가 이를 미처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는 잘못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가 시청자에게 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에 실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원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규격에 맞도록 실시간으로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변환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종래의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는,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이를 컨텐츠 스트림 패킷과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으로 나누어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 운영자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에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여 구성한 데이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캡슐화한 후 전송 주기에 맞게 출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는,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컨텐츠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으로 역다중화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운영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지털 방송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 상기 컨텐츠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과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다중화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 및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4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440),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450)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부(460)를 포함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420)는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410)을 입력받아 이를 컨텐츠 스트림 패킷과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으로 나누어 역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운영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440)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420)에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여 구성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에서 입력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431)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450)는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4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지털 방송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부(460)는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 (450)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캡슐화 한 후 전송 주기에 맞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환 장치는 입출력부(510), 버스(520),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530)를 포함한다.
입출력부(510)는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PID(packet identifier) 별로 패킷을 분류하고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상기 버스(520)로 전송하고 상기 버스(520)로부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전송 받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530)는 상기 버스(520)로부터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분석하여 구성한 데이터와 방송 시스템 운영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테이블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만든 후 버스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부(510)는 PID 필터(511), 입력 버퍼(512), 출력 버퍼(513), 출력 처리 모듈(514)을 포함한다.
PID 필터(511)는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PID별로 분류하여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상기 입력 버퍼(512)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 버퍼(512)는 상기 PID 필터(511)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상기 버스(5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 버퍼(513)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520)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상기 출력 처리 모듈(51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530)는 패킷 수신 쓰레드(531), 패킷 분석 쓰레드(532), PSIP/PSI/SI 테이블 관리 모듈(533), PSIP/PSI/SI 테이블 관리 모듈의 데이터베이스(534), 변환 쓰레드(535), 패킷 전송 쓰레드(536), 사용자 입력 모듈(537)을 포함한다.
패킷 수신 쓰레드(531)는 상기 버스(520)를 통해 전달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분석 쓰레드(532)는 상기 패킷 수신 쓰레드(531)가 수신한 패킷을 분석하여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SIP/PSI/SI 테이블 관리 모듈(533)은 상기 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SIP/PSI/SI 테이블 관리 모듈의 데이터베이스(534)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관련 정보, 시스템 정보,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 등 테이블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환 쓰레드(535)는 상기 PSIP/PSI/SI 테이블 관리 모듈의 데이터베이스 (53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전송 쓰레드(536)는 상기 변환 쓰레드(535)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을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캡슐화하여 상기 버스(520)를 통해 상기 입출력부(5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입력 모듈(537)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운영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PID 필터(511)에서 PID별로 분류된 후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은 입력 버퍼(512)를 거쳐 버스(520)에 전달된다. 상기 버스(520)를 통해 전달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은 패킷 수신 쓰레드(531)에서 수신되어 패킷 분석 쓰레드(532)에서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 데이터 중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관련 정보와 일부 시스템 정보는 PSIP/PSI/SI 테이블 관리자(533)의 데이터베이스(534)에 저장된다. 변환 쓰레드 (535)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534)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 후 PSIP/PSI/SI 테이블 관리 모듈(533)의 데이터베이스(534)에 저장한다. 변환 쓰레드(535)에서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534)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은 패킷 전송 쓰레드(536)에 의해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캡슐화 되어 상기 버스(520)를 통해 출력 버퍼(513)에 저장된다. 상기 출력 버퍼(513)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은 출력 처리 모듈(514)에서 전기적 신호 포맷으로 변환된 후 출력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한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a는 ATSC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ATSC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여 ATSC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640)는 ATSC 규격의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610)을 입력받아 ATSC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인 PSIP/PSI 테이블을 DVB 규격에 맞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인 SI/PSI 테이블로 변환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641)으로 출력한다.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640)로부터 출력된 SI/PSI 트랜스포트 스트림(641)은 DVB 규격을 따르는 A/V 부호화기(6301, ‥‥ 630N)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및 비디오 트랜스포트 스트림(6311, ‥‥ 631N)과 DVB 규격을 따르는 재다중화기(650)에서 다중화 되어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 (660)으로 출력된다.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ATSC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6a에서 설명한 ATSC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DVB 규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ATSC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740)는 DVB 규격의 디지털 방송 트랜스포트 스트림(710)을 입력받아 DVB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인 SI/PSI 테이블을 ATSC 규격에 맞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인 PSIP/PSI 테이블로 변환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741)으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8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30),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840),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850),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860)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부(870)를 포함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820)는 입력된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810)을 컨텐츠 스트림을 담고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하, 컨텐츠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 함) 패킷(821)과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822)으로 역다중화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30)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운영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840)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820)에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여 구성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830)에서 입력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831)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850)는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8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지털 방송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860)는 상기 컨텐츠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821)과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다중화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부(870)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860)가 다중화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860)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출력부(870)를 따로 구성하였으나, 이를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트랜스포트 스트림(880)이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와 함께 컨텐츠 스트림 패킷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복호기/부호기 세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변환된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를 따로 설치하는 경우 오디오 등의 컨텐츠 스트림이 서로 호환되어 컨텐츠 스트림을 변환할 필요가 없는 방송 시스템 사이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호 교환할 때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들을 원하는 다른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들로 실시간으로 변환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8)

  1.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이를 컨텐츠 스트림 패킷과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으로 나누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운영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지털 방송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3.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PID(packet identifier)별로 패킷을 분류하고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트랜스포트 패킷을 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트랜스포트 패킷을 분석하여 원하는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PID(packet identifier)별로 분류하는 PID 필터; 및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PID 필터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로 전달하는 입력 버퍼; 및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을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상기 출력 처리 모듈로 전달하는 출력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생성부는,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 쓰레드;
    상기 패킷 수신 쓰레드가 수신한 패킷을 분석하여 테이블 데이터로 구성하는 패킷 분석 쓰레드;
    상기 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테이블 관리 모듈;
    상기 테이블 관리 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변환 쓰레드;
    상기 변환 쓰레드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테이블을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립으로 캡슐화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전달하는 패킷 전송 쓰레드; 및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운영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7. 디지털 방송용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컨텐츠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으로 역다중화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운영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지털 방송 규격의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
    상기 컨텐츠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과 상기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패킷을 다중화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 및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부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KR1020010084934A 2001-12-26 2001-12-26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KR20030055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934A KR20030055414A (ko) 2001-12-26 2001-12-26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934A KR20030055414A (ko) 2001-12-26 2001-12-26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414A true KR20030055414A (ko) 2003-07-04

Family

ID=3221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934A KR20030055414A (ko) 2001-12-26 2001-12-26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54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143B1 (ko) * 2003-12-19 2006-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방송 수신기의 채널 변경시 부가데이터 출력 장치및 그 방법
KR101048572B1 (ko) * 2009-05-07 2011-07-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형 가입자 네트워크에서 푸시형 멀티캐스트의 인터넷 그룹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5150B1 (ko) * 2011-01-28 2013-03-20 주식회사 현대에이치씨엔동작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레디 텔레비전용 oob si 변환 시스템 및 변환 방법
KR101715719B1 (ko) * 2015-09-04 2017-03-27 (주) 에이티비스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기의 올인원 테스트 장치
CN114466072A (zh) * 2020-11-10 2022-05-1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60A (ja) * 1997-07-01 1999-01-29 Sony Corp 信号処理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20010028526A (ko) * 1999-09-21 2001-04-06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번호 할당장치 및 방법
US6215530B1 (en) * 1995-05-22 2001-04-10 Scientific-Atlanta, Inc. Logical and composite channel mapping in an MPEG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530B1 (en) * 1995-05-22 2001-04-10 Scientific-Atlanta, Inc. Logical and composite channel mapping in an MPEG network
JPH1127660A (ja) * 1997-07-01 1999-01-29 Sony Corp 信号処理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20010028526A (ko) * 1999-09-21 2001-04-06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번호 할당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143B1 (ko) * 2003-12-19 2006-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방송 수신기의 채널 변경시 부가데이터 출력 장치및 그 방법
KR101048572B1 (ko) * 2009-05-07 2011-07-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형 가입자 네트워크에서 푸시형 멀티캐스트의 인터넷 그룹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5150B1 (ko) * 2011-01-28 2013-03-20 주식회사 현대에이치씨엔동작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레디 텔레비전용 oob si 변환 시스템 및 변환 방법
KR101715719B1 (ko) * 2015-09-04 2017-03-27 (주) 에이티비스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기의 올인원 테스트 장치
CN114466072A (zh) * 2020-11-10 2022-05-1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466072B (zh) * 2020-11-10 2024-04-0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237B1 (ko) 디지털 방송 프로토콜 변환 방법 및 그 시스템
US73761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tadata synchronized to multimedia contents
US2013016718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ternet-based content and transmitter/receiver using same
US981997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ternet-based content and transmitter/receiver using same
CN102171750A (zh) 用于输送对齐的多通道音频的方法和设备
KR100439338B1 (ko) 디지털 지상파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부호화 장치 및그 방법
US11039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transmission network
KR20130069581A (ko) 인터넷 기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장치
KR20020066260A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스트리밍 장치및 그 방법
KR102407513B1 (ko)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그리고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US20150350282A1 (en) Method for transmission/reception of internet-based content and transmitter/receiver using same
KR20130084972A (ko) 인터넷 기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030055414A (ko)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변환 장치
KR100986990B1 (ko) 다중표준 모바일 방송 스트림 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4210595B2 (ja) ビデオデータストリーム及び/又はオーディオデータストリームの変換方法
KR100439339B1 (ko) 데이터 방송 서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3741668B2 (ja) データ多重化装置
KR20030070407A (ko) 데이터 방송 송출/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방송 송출/수신 방법
KR101223234B1 (ko)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채널변경장치 및 그 방법
KR100455313B1 (ko) 엠펙-4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구간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JP4550210B2 (ja) デジタル放送信号送出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ビス情報処理装置
KR101685157B1 (ko) Pp 실시간 편성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223354A (ja) デジタル放送のデータ送出方法
KR20090130609A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수신기 및 채널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