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846A -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 Google Patents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846A
KR20030042846A KR1020010073641A KR20010073641A KR20030042846A KR 20030042846 A KR20030042846 A KR 20030042846A KR 1020010073641 A KR1020010073641 A KR 1020010073641A KR 20010073641 A KR20010073641 A KR 20010073641A KR 20030042846 A KR20030042846 A KR 20030042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control layer
layer
de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운영
이승준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2846A/en
Priority to EP02026087A priority patent/EP1318632B1/en
Priority to CNB021514968A priority patent/CN1233180C/en
Priority to US10/301,625 priority patent/US7515616B2/en
Publication of KR2003004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846A/en
Priority to US12/178,741 priority patent/US7619985B2/en
Priority to US12/588,053 priority patent/US7949001B2/en
Priority to US12/588,056 priority patent/US7969877B2/en
Priority to US12/588,045 priority patent/US7949000B2/en
Priority to US12/588,055 priority patent/US7969904B2/en
Priority to US12/588,054 priority patent/US8040909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performing packet scheduling for an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is provided to additionally consider delay time and related information of data while operating a scheduler assigning wireless resources, thereby enabling schedul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 time as well as priorities of the data. CONSTITUTION: A timer(209) transmits delay time information of data to a storage device(201)(S211). A scheduler(207) receives state information of a buffer with the delay time information(S212). The scheduler(207) receives channel state information from a physical layer(205)(S213). The scheduler(207) determines size of a data block and an MAC-hs SDU, and the determined data block is transmitted to an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block(203),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physical layer(205)(S214,S215). If the storage device(201) receives a transmission result of success(S216), the storage device(201) deletes the data, and sends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data to the timer(209)(S218). If the transmission fails, the HARQ block(203) informs the scheduler(207) of a transmission result of failure, and retransmits the data(S217).

Description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본 발명은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Access) 시스템의 기지국 노드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 동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의 지연시간 정보를 스케줄링의 하나의 파라미터로 반영하여 스케줄링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특성 및 종류에 따라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한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의 패킷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er operation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a base station node of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cheduling by reflecting data delay time information as a parameter of schedul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et scheduling method of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and a type of a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는 유럽식 표준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으로부터 진화한 제 3세대 이동통신시스템으로, GSM 핵심망(Core Network)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접속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향상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UMTS의 표준화 작업을 위해, 1998년 12월에 유럽의 ETSI, 일본의 ARIB/TTC, 미국의 T1 및 한국의 TTA 등은 제3세대 공동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이하, 3GPP라 약칭함)라는 프로젝트를 구성하였고, 현재까지 UMTS의 세부적인 표준명세서(Specification)를 작성 중에 있다.UMTS (Universal Mobile Terrestrial System) is a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has evolved from the European standard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system.It is based on GSM Core Network and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ccess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a more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the standardization of UMTS, in December 1998, ETSI in Europe, ARIB / TTC in Japan, T1 in the US and TTA in Korea were referred to as the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hereinafter abbreviated as 3GPP). The project has been organized and is currently developing a detailed specification of UMTS.

3GPP에서는 UMTS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기술 개발을 위해, 망 구성 요소들과 이들의 동작에 대한 독립성을 고려하여 UMTS의 표준화 작업을 5개의 기술규격그룹(Technical Specification Groups; 이하, TSG라 약칭함)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다. 각 TSG는 관련된 영역내에서 표준규격의 개발, 승인, 그리고 그 관리를 담당하는데, 이들 중에서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 이하 RAN이라 약칭함)그룹(TSG-RAN)은 UMTS에서 WCDMA 접속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접속망인 UMTS무선망(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하, UTRAN이라 약칭함)의 기능, 요구사항 고속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규격을 개발한다.In 3GPP, UMTS standardization work is divided into 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s (hereinafter, abbreviated as TSG) in conside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twork components and their operation for the rapid and efficient technology development of UMTS. I'm going. Each TSG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pproval, and management of standards within the relevant areas, among which the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N) group (TSG-RAN) supports WCDMA access technology in UMTS. To develop a specification for the function, requirements high speed, and interface of the UMTS radio network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UTRAN).

TSG-RAN그룹은 다시 전체회의(Plenary) 그룹과 4개의 운영그룹(Working Group)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운영그룹(WG1:Working Group 1)에서는 물리계층(제1계층)에 대한 규격을 개발하고, 제 2운영그룹(WG2 :Working Group 2)은 데이터링크계층(제2계층) 및 네트워크계층(제3계층)의 역할을 규정한다. 또한, 제 3운영그룹에서는 UTRAN내의 기지국,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약칭함) 및 핵심망(Core Network)간 인터페이스에 대한 규격을 정하며, 제 4운영그룹에서는 무선링크성능에 관한 요구조건 및 무선자원관리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논의한다.The TSG-RAN Group is again composed of a Plenary Group and four Working Groups. Working Group 1 (WG1) develops standards for the Physical Layer (WG1), while the second Working Group (WG2) works with the Data Link Layer (2nd Layer) and Network Layer (WG2). Role of the third tier). In addition, the third operation group defines standards for interfaces between base stations, radio network controll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Cs) and core networks in the UTRAN, and the fourth operation group relates to radio link performance. Discuss requirements and requirements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3GPP UTRAN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3GPP UTRAN to which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UTRAN(110)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부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s; 이하 RNS로 약칭함)(120,130)으로 구성되며, 각 RNS(120,130)는 하나의 RNC(121,131)와 그 RNC(121,131)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Node B)(122,123)(132,1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RNC(121,131)는 GSM망과의 회선교환 통신을 위해 단말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41)와 연결되어 있으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과의 패킷교환 통신을 위해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2)과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the UTRAN 110 includes one or more Radio Network Sub-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NS) 120 and 130, and each RNS 120 and 130 is connected to one RNC 121 and 131. It consists of one or more base stations (Node Bs) 122, 123, 132, 133 managed by the RNCs 121, 131. The RNCs 121 and 131 are connected to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41 for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with a GSM network, and SGSN (for packet-switched communication with 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network). Serving GPRS Support Node) 142.

그리고, 기지국(Node B)(122,123)(132,133)은 RNC(121,131)에 의해서 관리되며 상향링크로는 단말(150)의 물리계층에서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링크로는 데이터를 단말(150)로 송신하는 단말에 대한 UTRAN의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담당한다. RNC(121,131)는 무선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는데,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RNC를 제어 RNC(CRNC: Control RNC)라고 하며, 공용무선자원의 관리를 담당한다. 각 단말에 할당된 전용무선자원(Dedicated Radio Resources)을 관리하는 곳은 담당 RNC(SRNC: Serving RNC)라 불린다. 제어 RNC와 담당 RNC는 동일할 수 있으나, 단말이 담당 RNC의 영역을 벗어나 다른 RNC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어 RNC와 담당 RNC는 다를 수 있다. UMTS망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그 위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기지국(Node B)과 RNC사이는 Iub인터페이스로 연결되고, RNC사이에서는 Iur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RNC와 핵심망과의 인터페이스를 Iu라고 칭한다.The base station (Node B) 122, 123, 132, 133 is managed by the RNC (121, 131),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physical layer of the terminal 150 in the uplink, and the terminal 150 in the downlink It is responsible for the role of an access point of the UTRAN to the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RNCs 121 and 131 are in charge of allocating and managing radio resources. The RNC,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direct management of the base station Node B, is called a control RNC (CRNC), and is in charge of managing a common radio resource. A place that manages dedicated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each terminal is called a serving RNC (SRNC). The control RNC and the responsible RNC may be the same, but when the terminal moves out of the area of the responsible RNC to the area of another RNC, the control RNC and the responsible RNC may be different.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UMTS network can be in different locations, so an interface is needed to connect them. The base station Node B and the RNC are connected by an Iub interface, and the RNC is connected through an Iur interface. The interface between the RNC and the core network is called Iu.

도 2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사이의 무선접속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의 무선접속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 데이터링크계층 및 네트워크계층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제어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된다. 사용자 평면은 음성이나 IP 패킷의 전송등과 같이 사용자의 트래픽 정보가 전달되는 영역이고, 제어평면은 망의 인터페이스나 호의 유지 및 관리 등의 제어정보가 전달되는 영역을 나타낸다.2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radio access interface protocol between a terminal and a UTRAN based on the 3GPP radio access network standard. The wireless access interface protocol of FIG. 2 consists of a physical layer (PHY), a data link layer, and a network layer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ransmits a control plane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and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It is divided into user planes. The user plane is an area in which user traff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such as voice or IP packet transmission, and the control plane is an area in which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such as network interface or call maintenance and management.

도 2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face;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 1계층(L1), 제 2계층(L2), 제 3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tocol layers of FIG. 2 are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face (OSI) reference model, which are well known in communication systems. The first layer (L1), the second layer (L2), and the third layer (L3).

제 1계층(L1)은 무선인터페이스에 대한 물리계층(PHY: Physical Lay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약칭함)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물리계층으로 전달된 데이터는 무선환경에 맞는 다양한 코딩과 변조방식 등이 적용되어 이용하여 수신측에 전달된다. 물리계층과 MAC계층사이에 존재하는 전송채널은 단말이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 또는 여러 개의 단말이 공유해서 사용하는지에 따라 각각 전용전송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과 공용전송채널(Common Transport Channel)로 구분된다.The first layer L1 performs a role of a physical layer (PHY) for the wireless interface, and a transport channel with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MAC) layer on the upper layer. Are connected via Data transmitted to the physical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is transmitted to a receiver by using various coding and modulation methods suitable for a wireless environment. The transport channel existing between the physical layer and the MAC layer is a dedicated transport channel and a common transport channel, respectively, depending on whether the terminal can be used exclusively or shared by multiple terminals. Are distinguished.

제 2계층(L2)은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여러 단말들이 WCDMA망의 무선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계층(L2)은 MAC 계층,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약칭함)계층, 패킷데이터수렴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이하 PDCP라 약칭함)계층, 그리고 방송/멀티캐스트제어(Broadcast/Multicast Control; 이하 BMC라 약칭함)계층으로 나뉘어진다.The second layer L2 serves as a data link layer, and allows multiple terminals to share radio resources of the WCDMA network. The second layer (L2) is the MAC layer, Radio Link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RLC) layer,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CP) layer, and broadcast / multicast control (Broadcast / Multicast Control; hereinafter abbreviated as BMC) is divided into layers.

여기서, MAC계층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적절한 대응(Mapping) 관계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한다. 논리채널들은 상위계층과 MAC계층을 연결시켜주는 채널들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논리채널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제어평면의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을, 사용자 평면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는 트래픽채널(Traffic Channel)을 사용한다. MAC계층은 다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두개의 부계층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전용전송채널의 관리를 담당하면서 SRNC에 위치한 MAC-d부계층과, 공용전송채널의 관리를 담당하면서 CRNC에 위치한 MAC-c/sh부계층이다.Here, the MAC layer transfers data through an appropriat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Logical channels are provided with various logical channels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hannels connecting the upper layer and the MAC layer. In general, a control channel is used to transmit control plane information, and a traffic channel is used to transmit information of the user plane. The MAC layer is divided into two sublayers according to the function performed again. These are the MAC-d sublayer located in the SRNC while managing the dedicated transport channel, and the MAC-c / sh sublayer located in the CRNC while managing the shared transport channel.

RLC계층은 상위로부터 전송된 RLC SDU의 분할 및 연결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기능에 의해 전송에 맞는 적절한 RLC PDU를 구성하고, 전송 중 소실된 RLC PDU의 재전송을 담당하는 자동반복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ARQ)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위로부터 내려온 RLC SDU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무응답모드(Unacknowledged Mode), 응답모드(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 방식으로 동작하고, RLC계층에는 상위계층에서 내려온 RLC SDU 또는 RLC PDU들을 저장하기 위한 RLC버퍼가 존재한다.The RLC layer configures an appropriate RLC PDU suitable for transmission by a segmentation and concatenation function of an RLC SDU transmitted from an upper layer, and performs an automatic repeat request for retransmitting an RLC PDU lost during transmission. ARQ) function can be performed. The RLC SDU or RLC descended from the upper layer operates in three ways: transparent mode, unacknowledged mode, and acknowledgment mode, depending o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RLC SDU from the upper layer. There is an RLC buffer for storing PDUs.

PDCP계층은 RLC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IPv4나 IPv6와 같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이 RLC계층에서 전송되기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준다. 특히, IP패킷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패킷의 헤더정보를 압축해서 전송하는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PDCP layer is located on top of the RLC layer and makes data transmitted through a network protocol such as IPv4 or IPv6 suitable for transmission in the RLC layer. In particular, a header compression technique that compresses and transmits header information of a packet may be used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an IP packet.

BMC계층은 CBS(Cell Broadcast Center)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BMC의 주된 기능은 단말로 전송되는 셀 방송 메시지(Cell Broadcast Message)를 스케줄링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무응답모드로 동작하는 RLC계층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BMC layer enables a message transmitted from a cell broadcast center (CBS) to be transmitted through an air interface. The main function of the BMC is to schedule and transmit a cell broadcast message transmitted to a terminal, and generally transmits data through an RLC layer operating in an unresponsive mode.

참고로, PDCP계층과 BMC계층은 패킷교환방식을 사용하므로 SGSN과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데이터만을 전송하므로 사용자평면에만 위치한다. 이들과는 달리, RLC계층은 상위로 연결된 계층에 따라 사용자평면에 속할 수도 있고 제어평면에 속할 수도 있다. 제어평면에 속하는 경우에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에 해당되고, 그 외의 경우는 사용자 평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평면에서 제 2계층(L2)에 의해 상위계층으로 제공되는 사용자데이터의 전송서비스를 무선운반자(Radio Bearer; RB)라고 정의하며, 제어평면에서 제 2계층(L2)에 의해 상위계층으로 제공되는 제어정보의 전송서비스는 시그널링 무선 운반자(Signaling Radio Bearer; SRB)라고 정의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C계층과 PDCP계층의 경우에는, 하나의 계층 내에 여러 개의 엔터티(Entity)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단말이 여러 개의 무선 운반자를 갖고, 하나의 무선 운반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오직 하나의 RLC엔터티 및 PDCP엔터티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RLC계층 및 PDCP계층의 엔터티들은 각 계층내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reference, since the PDCP layer and the BMC layer use a packet switching scheme, the PDCP layer and the BMC layer are connected to the SGSN and are only located in the user plane because only user data is transmitted. Unlike these, the RLC layer may belong to the user plane or to the control plane depending on the layers connected to the upper layer. In case of belonging to the control plane, it corresponds to a case of receiving data from a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RC) layer, and otherwise corresponds to a user plane. In general, a service of transmitting user data provided to the upper layer by the second layer L2 in the user plane is defined as a radio bearer (RB), and the upper layer by the second layer L2 in the control plane. The transmission service of th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by is defined as a signaling radio bearer (SRB).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RLC layer and the PDCP layer, several entities may exist in one layer. This is because one terminal has several radio carriers, and generally only one RLC entity and PDCP entity are used for one radio carrier. Entities of the RLC layer and the PDCP layer may perform independent functions in each layer.

제 3계층(L3)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RRC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운반자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되어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무선운반자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RC메시지를 통해 상위계층에서 전달되는 제어 메시지들의 전송도 가능하다.The RRC lay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hird layer L3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and is responsible for control of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connection with setting, resetting, and releasing radio carriers. In this case, the setting of the wireless carrier means a process of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protocol layer and a channel necessary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and setting each specific parameter and operation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control messages transmitted from a higher layer through an RRC message.

상기에서 설명한 WCDMA 시스템은 실내 및 피코(Pico-cell)셀 환경에서 2Mbps, 일반적인 무선환경에서는 384kbps의 전송속도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무선인터넷이 보편화되고 가입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출현하고있으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다 고속의 전송속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3GPP에서는 WCDMA망을 진화시켜 고속의 전송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시스템으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를 들 수 있다.The WCDMA system described above aims at a transmission rate of 2Mbps in a indoor and pico-cell environment and 384kbps in a general wireless environment. However, as the wireless Internet is becoming more common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is increasing, more various services are emerging, and higher transmission speeds are required to support them. Therefore, in 3GPP, a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provide a high transmission speed by evolving a WCDMA network, and a representative system i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시스템은 WCDMA를 기반으로, 하향링크로 최대 8-10Mbps의 속도를 지원하고, 보다 짧은 지연시간과 향상된 용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상된 전송속도와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 HSDPA시스템에서 적용된 기술들은 링크적응기법(Link Adaptation; 이하 LA라 약칭함), 복합자동재송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HARQ라 약칭함), 빠른 셀 선택(Fast Cell Selection;이하 FCS라 약칭함), 다중입력다중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이하 MIMO라 약칭함) 안테나 기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Based on WCDMA, the HSDPA system can support up to 8-10Mbps in downlink, and can provide shorter latency and improved capacity. The techniques employed in the HSDPA system to provide improved transmission rates and capacities include Link Adaptation (L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and fast cell selection. Fast Cell Sel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CS), an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MO) antenna techniques.

링크 적응기법(LA)은 채널의 상태에 맞는 변조 및 코딩 방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약칭함)을 사용하는 것으로, 채널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16QAM과 64QAM과 같은 고도(高度)의 변조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채널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QPSK와 같은 저도(低度)의 변조방법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The link adaptation technique (LA) uses a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bbreviated as MC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hannel. If the channel state is good, a high modulation such as 16QAM and 64QAM is used. In case the channel condition is not good, a low modulation method such as QPSK is used.

일반적으로 저도의 변조방법은 고도의 변조방법에 비해 전송량은 적지만, 채널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뛰어난 전송 성공률을 보이므로, 패이딩(Fading)이나 간섭의 영향이 큰 경우에는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고도의 변조방법들은 저도의 변조방법들과 비교하여 주파수 이용효율이 훨씬 뛰어나고, WCDMA의 5MHz대역폭을 이용하여 10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잡음이나 간섭의 영향에 매우 민감한 편이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경우에는 16QAM이나 64QAM등을 사용하여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단말이 셀의 경계에 위치하거나 패이딩의 영향이 큰 경우에는 QPSK와 같은 저도의 변조기법이 유용하다.In general, the low-modulation method has a smaller amount of transmission than the high-modulation method, but it shows excellent transmission success rate when the channel environment is not good. Therefore, it may be considered to be advantageous when the influence of fading or interference is large. . On the other hand, high modulation methods have much higher frequency utilization efficiency than low modulation methods, and can provide a transmission rate of 10Mbps using the 5MHz bandwidth of WCDMA. However, it is very sensitive to the effects of noise and interference. Therefore,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close to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by using 16QAM or 64QAM, and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at the cell boundary or the influence of fading is low, a low modulation method such as QPSK is useful. Do.

HARQ 방법은 RLC 계층에서 수행하는 패킷의 재전송방법과는 다른 개념의 재전송방법이다. 이는 물리계층과 연계되어 사용되고 재 전송된 데이터를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보다 높은 디코딩 성공률을 보장한다. 즉, 전송에 실패한 패킷을 폐기시키지 않고 저장하고 있으면서, 재 전송된 패킷과 디코딩 이전단계에서 결합하여 디코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LA기법과 같이 사용하면, 패킷의 전송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The HARQ method is a retransmission method having a different concept from that of a packet retransmission performed in the RLC layer. This ensures higher decoding success rates by combining data used and retransmitted in conjunction with the physical layer with previously received data.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decoding by combining the retransmitted packet with the previous step of decoding while storing the packet which failed to be transmitted without discarding it. Therefore, when used together with the LA technique, the packet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ncreased.

FCS방법은 기존의 소프트핸드오버와 비슷한 개념이다. 단말은 여러 개의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지만, 각 셀의 채널상태를 고려하여 가장 채널상태가 좋은 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도록 한다. 기존의 소프트핸드오버는 여러 개의 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전송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이었지만, FCS방법은 셀들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특정한 셀 하나로부터만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The FCS method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soft handover. Although the terminal may receive data from multiple cells, the terminal may receive data from a cell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channel state of each cell. Conventional soft handover has been a method of receiving data from multiple cells and increasing the transmission success rate using diversity, but the FCS method receives data from only one specific cell in order to reduce interference between cells.

MIMO안테나 기법은 산란이 많이 일어나는 채널환경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보통 여러 개의 송신안테나와 여러 개의 수신안테나로 구성되어 안테나별로 수신되는 전파들간의 연관성을 줄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고자 하는 시스템이다.MIMO antenna technique is a method that can improve the data transmission speed by using several independent channels in a channel environment where scattering is high. It is a system that is composed of several transmitting antennas and several receiving antennas to obtain diversity gain by reducing the correlation between radio waves received for each antenna.

한편, HSDPA 시스템은 기존의 WCDMA망을 기반으로 하고, WCDMA망을 최대한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 한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들을 접목시키기 위해서는 약간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대표적으로 예는 기존의 기지국(Node B) 기능을 향상시킨 점이다. 즉, WCDMA망에서는 대부분의 제어기능이 RNC에 위치했지만, 보다 빠르게 채널상황에 적응하고 RNC까지의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HSDPA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기술들은 대부분 기지국(Node B)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하지만, 기지국(Node B)의 확장된 기능은 RNC를 대체하는 기능이 아니며, RNC 입장에서 보면 고속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기능들이 추가된 보조기능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Meanwhile, the HSDPA system is based on the existing WCDMA network and tries to introduce a new technology while keeping the WCDMA network as it is. However, some modifications are inevitable to incorporate new technologies. Representatively, the example is an improvement of the existing base station (Node B) function. That is, in the WCDMA network, most of the control functions are located in the RNC, but most of the new technologies for the HSDPA system are managed by the base station (Node B)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nel situation more quickly and reduce the delay time to the RNC. However, the extended function of the base station (Node B) is not a function of replacing the RNC, and from the standpoint of the RNC,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s for the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are in charge of the auxiliary function added.

따라서, 기지국(Node B)은 기존의 WCDMA시스템과는 달리 MAC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고, 이를 수행하는 계층을 MAC-hs 부계층이라고 칭한다.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WCDMA system, the base station Node B has been modified to perform a part of the MAC function, and a layer for performing this is called a MAC-hs sublayer.

MAC-hs부계층은 물리계층의 상위에 위치하여 패킷의 스케줄링이나 HARQ 및 LA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HSDPA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존의 전송채널과는 다른 HS-DSCH(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라는 전송채널을 사용한다. 이 채널은 기지국(Node B)의 MAC-hs부계층에서 물리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The MAC-hs sublayer may be located above the physical layer to perform packet scheduling or HARQ and LA functions. In addition, a transport channel called HS-DSCH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transport channel, is used for data transmission for HSDPA. This channel is used to transmit data from the MAC-hs sublayer of the base station Node B to the physical layer.

도 3에 HSDPA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접속 프로토콜 구조를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Node B)의 물리계층(PHY) 상위로 MAC-hs부계층이 위치한다.3 shows a radio access protocol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HSDPA system. As shown, the MAC-hs sublayer is located above the physical layer (PHY) of the base station Node B.

MAC-c/sh와 MAC-d 부계층은 종래의 시스템과 같이 각각 CRNC와 SRNC에 위치해 있으며, RNC와 기지국(Node B) 사이 또는 RNC들 사이에서 HSDPA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HS-DSCH FP(Frame Protocol)라는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한다.The MAC-c / sh and MAC-d sublayers are located in the CRNC and SRNC, respectively, as in the conventional system, and HS-DSCH FP for transmission of data for HSDPA between the RNC and the Node B or between the RNCs. It uses a transport protocol called (Frame Protocol).

이때, MAC-hs부계층 상위에 위치한 MAC-c/sh부계층이나 MAC-d부계층, 그리고 RLC계층 등은 현재의 시스템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HSDPA를 지원하기 위한 RNC는 현재의 시스템에서 약간의 소프트웨어만 추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In this case, the MAC-c / sh sublayer, the MAC-d sublayer, and the RLC layer located above the MAC-hs sublayer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current system. Therefore, the RNC to support HSDPA is enough to add only a little software in the current system.

HSDP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AC계층의 구조를 도 4에 자세히 나타내었다.The structure of the MAC layer used in the HSDPA system is shown in detail in FIG. 4.

MAC계층은 도 4와 같이 MAC-d부계층(161), MAC-c/sh부계층(162) 및 MAC-hs부계층(163)의 3가지 부계층으로 나뉘어진다. MAC-d부계층(161)은 SRNC에 있으면서 특정 단말에 대한 전용논리채널들을 관리하고, MAC-c/sh부계층(162)은 CRNC에 위치해서 공용전송채널들을 관리하며, MAC-hs부계층(163)은 기지국(Node B)에 위치해 HS-DSCH를 관리한다. 하지만, HSDPA시스템에서 MAC-c/sh부계층(162)이 수행하는 기능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즉, 지금까지 MAC-c/sh부계층(162)은 기존의 시스템에서 여러 단말이 공유하는 공용자원을 할당하고 이를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했지만, HSDPA시스템에서는 단순히 SRNC의 MAC-d부계층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기지국(Node B)의 MAC-hs부계층(163)으로 전달해주는 흐름제어 역할만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4, the MAC layer is divided into three sublayers: the MAC-d sublayer 161, the MAC-c / sh sublayer 162, and the MAC-hs sublayer 163. The MAC-d sublayer 161 manages dedicated logical channels for a specific terminal while in the SRNC, and the MAC-c / sh sublayer 162 manages common transport channels located in the CRNC and the MAC-hs sublayer 163 is located in the base station (Node B) to manage the HS-DSCH.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lmost no function performed by the MAC-c / sh sublayer 162 in the HSDPA system. That is, the MAC-c / sh sublayer 162 has been responsible for allocating and processing common resources shared by multiple terminals in the existing system. However, in the HSDPA system, the MAC-c / sh sublayer 162 is simply transferred from the MAC-d sublayer of SRNC. It performs only a flow control role of delivering the data to the MAC-hs sublayer 163 of the base station Node B.

도 4를 참고로 MAC-hs 부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인 흐름제어, HARQ, 스케줄링, TFC선택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Referring to FIG. 4, flow control, HARQ, scheduling, and TFC selection, which are functions performed in the MAC-hs sublayer, will be described.

흐름제어 기능은 망의 인터페이스에 따른 전송능력을 고려하여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 기능은 HS-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인터페이스상의 폭주(Congestio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폐기를 방지하거나 제 2계층(L2)에서 시그널링 신호의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한다. 이때, 흐름제어는 각 HS-DSCH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flow control function controls the flow of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capability according to the interface of the network. This function is used to prevent the discard of data that may be caused by congestion on the interface whe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HS-DSCH or to reduce the delay time of the signaling signal in the second layer (L2). In this case, the flow control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data transmitted through each HS-DSCH channel.

HARQ기능은 앞에서 간단히 설명했듯이, 데이터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HARQ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MAC-hs 부계층(163)에는 HARQ블록이 존재한다. HARQ블록은 각 단말에 대하여 하나씩 존재하며, 각 HARQ블록 내부에는 여러 개의 HARQ 프로세스(Process)가 존재한다. HARQ 프로세스는 HARQ동작에 따른 제어를 담당하고 특정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된다. HARQ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데이터들이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한번에 하나씩만 처리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에 성공하면, 비어있는 프로세스가 되어 다른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으나, 전송이 실패하면 해당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거나 폐기될 때까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각 HARQ 프로세스에 의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데이터블록이라고 부르며, 데이터 블록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MAC-hs SDU로 구성된다. 참고로, 각 MAC-hs SDU의 크기는 가변적이지 않고 고정된 크기를 갖는다. 데이터블록을 구성하는 MAC-hs SDU의 개수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상태가 좋은 채널에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그 만큼 많은 MAC-hs SDU가 포함된다. 이때, 데이터블록의 결정은 물리계층으로부터 채널상태에 대한 보고를 받은 스케줄링블록에서 수행한다.As described briefly above, the HARQ function is a method used to increase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An HARQ block exists in the MAC-hs sublayer 163 to support the HARQ function. One HARQ block exists for each UE, and several HARQ processes exist in each HARQ block. The HARQ process is in charge of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HARQ operation and is used for transmitting specific data. The HARQ process can share and use multiple data, but only one is processed at a time. Therefore, if the data transmission is successful, the process becomes empty and can be used for transmission of other data. If the transmission fails, the data is stored until the data is successfully transmitted or discarded. Data transmitted by each HARQ process is called a data block, and the data block is composed of one or several MAC-hs SDUs. For reference, the size of each MAC-hs SDU is not variable and has a fixed size. The number of MAC-hs SDUs constituting the data block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radio channel. That is, because a good channel can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as many MAC-hs SDUs are included.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of the data block is performed in the scheduling block that receives the report on the channel state from the physical layer.

스케줄링은 전송될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송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HARQ 프로세스에서 처리할 데이터블럭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 블록의 우선순위식별자(Priority Class Identifier)와 일련번호(Transmission Sequence Number; 이하 TSN이라 약칭함)를 첨부하여 HARQ블록에 전달한다. HARQ블록은 재 전송시에 동일한 데이터블럭을 재전송한다.Scheduling determines the transmission 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data to be transmitted. In addition, the size of the data block to be processed in the HARQ process is determined, and the priority class identifier (Priority Class Identifier) and serial number (Transmission Sequence Numb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TSN)) of this block is attached to the HARQ block. The HARQ block retransmits the same data block upon retransmission.

TFC 선택기능은 여러 개의 HS-DSCH들이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경우, 각 HS-DSCH의 포맷(Format)을 알려주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TFC selection function is responsible for informing the format of each HS-DSCH when several HS-DSCHs are used for data transmission.

도 4를 참고로 RLC계층으로부터 내려온 데이터가 MAC계층에서 어떤 처리과정을 거쳐 HS-DSCH로 전달되는지를 알아보자. RLC계층으로부터 전용논리채널인 DTCH (Dedicated Traffic Channel) 또는 DCCH (Dedicated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달된 RLC PDU는 MAC-d계층에서 채널스위칭 기능을 통해 경로가 결정된다. 전용전송채널(DCH: Dedicated Channel)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MAC-d부계층(161)에서 관련 헤더가 첨부되어 DCH(Dedicated Channel)를 통해 물리계층으로 전달되고, HSDPA 시스템의 HS-DSCH채널을 이용하게 된다면 채널스위칭 기능에 의해 RLC PDU는 전송채널 다중화를 거쳐 MAC-c/sh부계층(162)으로 전달된다. 전송채널 다중화는 여러 개의 논리채널이 하나의 전송채널을 이용하는 경우에 각 데이터에 논리채널의 식별정보를 추가시킨다. RLC PDU를 전달받은 MAC-c/sh부계층(162)은 단순히 MAC-d부계층(161)으로부터 내려온 패킷을 MAC-hs부계층(163)으로 전달해준다. MAC-hs부계층으로 전달된 데이터는 MAC-hs부계층(163)의 버퍼에 저장된 후 스케줄링 블록에 의해 채널상태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데이터블럭으로 구성되고 해당 데이터블럭에 우선순위정보와 TSN이 추가되어 적절한 시기에 HARQ 블록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송될 시기에는 HS-DSCH의 전송 포맷에 맞는 TFC(Transport Format Combination)을 선택하여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4, let's see how the data from the RLC layer is transferred to the HS-DSCH in the MAC layer. The RLC PDUs transmitted from the RLC layer through a dedicated traffic channel (DTCH) or a 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 are routed through a channel switching function in the MAC-d layer. When transmitted on a dedicated channel (DCH: Dedicated Channel), the relevant header is attached to the MAC-d sublayer 161 and transferred to the physical layer through a dedicated channel (DCH), and the HS-DSCH channel of the HSDPA system is used. If so, the RLC PDU is transmitted to the MAC-c / sh sublayer 162 through transport channel multiplexing by a channel switching function. Transport channel multiplexing ad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logical channel to each data when several logical channels use one transport channel. The MAC-c / sh sublayer 162 receiving the RLC PDU simply transfers a packet from the MAC-d sublayer 161 to the MAC-hs sublayer 163. Data delivered to MAC-hs sublayer is stored in buffer of MAC-hs sublayer 163, and is composed of data block of appropriate size for channel status by scheduling block, and priority information and TSN are added to the data block. It is delivered to the HARQ block in a timely manner. At the time of transmission, a TFC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uitable for the transmission format of the HS-DSCH is selected and transmitted.

도 5는 MAC-hs부계층에서 스케줄링 블록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스케줄링 블록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FIG. 5 illustrates an operation of a scheduling block in the MAC-hs sublay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eduling block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저장장치(171)는 일반적으로 쉽게 데이터를 지우고 쓸 수 있는 소프트메모리(Soft Memory)에 해당하고,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된 MAC-hs SDU들을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torage device 171 generally corresponds to a soft memory that can easily erase and write data, and stores MAC-hs SDUs transmitted from an upper layer.

스케줄러(174)는 저장장치(171)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들의 우선순위, 데이터량 등의 버퍼 상태정보를 전달받고(S101), 물리계층(173)으로부터는 채널의 상태정보를 전달받는다(S102). 스케줄러(174)는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전송할 데이터블록의 크기와 해당 MAC-hs SDU를 결정한 후 저장장치(171)와 HARQ블록(172)의 동작을 제어한다(S103,S104). 전송이 결정된 데이터 블록은 우선순위 식별자와 TSN을 추가해 HARQ블록으로 전달되어 물리계층을 통해 전송된다.The scheduler 174 receives buffer status information such as priority and data amount of the stored data from the storage device 171 (S101), and receives channel state information from the physical layer 173 (S102). The scheduler 174 determines the size of the data block to be transmitted and the corresponding MAC-hs SDU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n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storage device 171 and the HARQ block 172 (S103 and S104). The determined data block is transmitted to the HARQ block by adding the priority identifier and TSN and transmitted through the physical layer.

그리고 HARQ블록(172)에서 성공적으로 전송된 데이터에 관한 식별정보를 HARQ블록(172)에서 저장장치(171)로 보내 해당 데이터를 저장장치에서 삭제하도록 한다(S105). HARQ블록(172)에서 성공적으로 전송된 데이터블록은 MAC버퍼에서 삭제되도록 전송결과를 통보하고, 전송에 실패한 경우에는 스케줄러(174)에 이를 보고해 스케줄러가 해당 데이터의 재전송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S106).In add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data successfully transmitted in the HARQ block 172 is transmitted to the storage device 171 in the HARQ block 172 to delete the corresponding data from the storage device (S105). The data block successfully transmitted in the HARQ block 172 notifies the transmission result to be deleted from the MAC buffer, and if the transmission fails, the data block is reported to the scheduler 174 so that the scheduler can consider retransmiss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S106). ).

일반적으로,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 시스템을 포함한 대부분의 통신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이나 전송특성은 사용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특정 서비스의 전송속도나 지연시간과 관련된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각 서비스에 적절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사용하는 스케줄링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시스템의 전송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과 단말간의 공평성(Fairness)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첫 번째 방법은, 채널상태가 가장 좋은 단말에게 무선자원의 대부분을 할당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의 효율(System Throughput)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채널상태가 좋지 않은 단말은 아무리 전송할 데이터가 많더라도 무선 자원을 할당받지 못해 제대로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모든 단말에 골고루 무선자원을 분배하는 방법으로, 채널상태와 관계없이 모든 단말에 공평하게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즉, UTRAN은 각 단말에 대해 위치나 채널상태 등에 관계없이 공평한 기회를 부여한다. 하지만, 채널상태가 좋지 못한 단말에 많은 자원을 할당해 줌으로써 시스템의 전체적인 이용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in most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s, the overall efficiency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highly dependent on the scheduling algorithm used. Therefore, in order to guarantee the quality related to the transmission rate or the delay time of a specific service, an appropriate scheduling algorithm is required for each service. Scheduling to be use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 representative case is to maximiz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system and to ensure fairness (fairness) between terminals.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maximizing system throughput by allocating most of radio resources to a terminal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However, even if the channel state is poor, even if there is a lot of data to be transmit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may not be properly serviced because radio resources are not allocated. The second method is to distribute the radio resources evenly to all terminals, and to allocate the radio resources to all the terminals fairly regardless of the channel state. That is, the UTRAN gives each terminal an equal opportunity regardless of the location or channel state.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verall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system may be lowered by allocating a large amount of resources to the terminal having a poor channel state.

HSDPA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스케줄링 기능은 기지국(Node B)의 스케줄링 블록에서 수행한다.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하는 정보는 현 무선채널의 품질정보와 셀내에서의 트래픽 양, MAC-d부계층에서 HS-DSCH FP을 사용하여 전송된 각 데이터의 우선순위 정보를 들 수 있다. 이중, 패킷의 우선순위는 HS-DSCH FP을 통해 전송되는 CmCH-PI (Common Channel Priority Indicator)필드를 이용하여 전달되며 0-15까지 16단계의 값을 가진다. 이때, 우선순위가 0인 데이터는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의미하며, 우선순위가 15인 데이터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데이터가 된다.In the HSDPA system, the scheduling function of data is performed in a scheduling block of a base station Node B. The information used for the scheduling may include quality information of the current radio channel, traffic amount in the cell, and priority information of each data transmitted using the HS-DSCH FP in the MAC-d sublayer. Among these, the priority of the packet is transmitted using the Common Channel Priority Indicator (CmCH-PI) field transmitted through the HS-DSCH FP and has a value of 16 steps from 0-15. In this case, the data with priority 0 means the lowest priority, and the data with priority 15 becomes the data with the highest priority.

현재, HSDPA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데이터의 우선순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케줄러는 MAC-hs계층내의 저장장치에 있는 여러 단말에 대한 데이터들을 관찰하여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대상으로, 채널의 상태를 고려하여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해 데이터블록을 구성한 후, 적절한 시기에 전송하게 된다. 비록, 구체적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사업자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나, 이들이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들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HSDPA시스템의 스케줄링블록은 기지국(Node B)수준에서 알 수 있는 데이터들과 무선망제어기(RNC)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우선순위만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구성해야한다.Currentl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cheduling algorithm used in the HSDPA system is data priority. Therefore, the scheduler observes the data of the various terminals in the storage device in the MAC-hs layer to determine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channel, and then configures the data block for the highest priority data. The transmission will be timely. Although the specific scheduling algorithm may vary depending on the operator, the information for scheduling that they can use in common is almost the same. That is, the scheduling block of the HSDPA system should configure an algorithm using only the priorities of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Node B level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NC.

하지만, HSDPA시스템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서비스가 지연시간에 민감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지연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데이터로써의 가치가 없어지는 서비스들이다. 이런 서비스들의 예로는 음성서비스나 영상전화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들을 들 수 있으며, 일정한 지연시간이 지난 데이터들은 보통 폐기시킨다. 실시간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HSDPA시스템을 이용하여 TCP/IP트래픽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지연시간에 따른 영향이 클 수 있다. 이 경우는 TCP계층에서 데이터의 흐름제어를 담당하는 기능인 Slow Start의 적용에 의해 발생하며, 데이터의 지연시간이 임계값을 넘으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의 우선순위도 중요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고려한 스케줄링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지연시간에 민감한 이들 서비스에 대해서는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지만, 단순히 우선순위만을 늦게 부여한다고 해서 지연시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However, since the HSDPA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various multimedia services, it is necessary to satisfy various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Therefore, in some cases, the service may be sensitive to delay time. In other words, after a certain delay, they are no longer valuable as data. Examples of these services are real-time services such as voice services and video telephony, which typically discard data after a certain delay. Even if it is not a real-time service, even when transmitting TCP / IP traffic using the HSDPA system, the effect of delay time may be large. This case i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Slow Start, a function that controls the flow of data in the TCP layer. When the delay time of the data exceeds the threshold,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although the priority of data is important, in some cases, scheduling in consideration of data delay time is also necessary. Of course, high priority can be assigned to these latency-sensitive services, but simply assigning a low priority does not satisfy the latency requirement.

데이터의 지연시간은 일반적으로, 기간망(Backbone Network)에서도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전송지연시간은 무선채널을 이용하는 UTRAN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UTRAN내에서의 지연시간이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구현시 중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UTRAN에 머무르는 대부분의 시간은 MAC-hs부계층 뿐만 아니라 RLC계층에서의 지연시간도 포함되므로, RLC계층이 위치한 RNC로부터 이들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RLC내에서의 지연시간을 기지국(Node B)에 알려주는 방법이 없으므로, 이를 위한 수정이 필요하다.Although the delay time of data generally occurs in a backbone network, most transmission delay times can be considered to occur in UTRAN using a radio channel. Therefore, the delay time in the UTRAN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eduling algorithm. However, since most of the time the data stays in the UTRAN includes the delay time in the RLC layer as well as the MAC-hs sublayer, these data can be received from the RNC in which the RLC layer is located. However, in the current system, since there is no method of notifying the Node B of the delay time in the RLC, a modification for this is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에 의해서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분배하는 경우 우선 순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반영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도록 한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case of dynamical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by a scheduler in 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scheduling reflecting not only the priority but also the data delay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다른 특징은, 기지국에 위치한 패킷 스케줄러가 각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알 수 있도록, RLC 계층이 위치한 RNC에서 기지국으로 RLC계층에서의 패킷 지연시간을 전달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feature is to provide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for transmitting a packet delay time in an RLC layer from an RNC in which an RLC layer is located to a base station so that a packet scheduler located in a base station can know a delay time of each data.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 다른 특징은, RLC 계층으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해당 데이터가 RLC계층에서 머문 시간을 함께 전달받고, 그 지연시간과 MAC 계층에서의 지연시간을 합한 지연 정보를 데이터의 스케줄링의 한 파라미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feature is that the data received from the RLC layer together with the time the data stays in the RLC layer, and the delay information that adds the delay time and the delay time in the MAC layer can be used as a parameter of the scheduling of the dat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또 다른 특징은 데이터와 그 데이터의 지연 정보는 UMTS 망의 lub 인터페이스 또는 lur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해 줄 수 있도록 한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in which data and delay information of the data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lub interface or a lur interface of a UMTS network.

또 다른 특징은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지연시간을 고려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대지연시간값을 RNC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in which a scheduler located in a base station can receive a maximum delay time value necessary to perform scheduling considering a delay time from an RNC layer. .

또 다른 특징은 패킷의 전송시 패킷의 우선 순위와 지연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패킷 전송을 제어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that controls packet transmission by considering packet priority and delay time.

도 1은 3GPP UTRAN의 구조.1 is a structure of a 3GPP UTRAN.

도 2는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 구조.2 is a protocol structure of a radio access interface.

도 3은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무선접속프로토콜 구조.3 is a radio access protocol structure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도 4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의 지원을 위한 MAC계층의 구조.4 is a structure of a MAC layer for supporting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도 5는 종래 MAC-hs 부계층에서의 스케줄러 구조.5 is a scheduler structure in the conventional MAC-hs sublayer.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HSPDA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쥴러 방법.6 is a packet scheduler method for an HSPD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61...MAC-d부계층 162...MAC-c/sh 부계층161 ... MAC-d sublayer 162 ... MAC-c / sh sublayer

163...MAC-hs부계층171,201...저장장치163 MAC-hs sublayer 171,201 Storage device

172,203...HARQ블록173,205...물리계층172,203 ... HARQ blocks 173,205 ... Physical layer

174,207...스케줄러209...타이머174,207 scheduler 209 timer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은,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로의 패킷 전송을 위해, 물리 계층의 채널 상태 정보와, 버퍼의 상태정보 및 전송할 데이터의 지연정보를 스케줄러에 알려주는 단계;Informing a scheduler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of a physical layer, status information of a buffer, and delay informa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for down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상기 스케줄러에서 채널 상태 정보와 버퍼 상태 정보 및 데이터의 지연정보를 반영한 스케쥴링을 통해,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hrough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schedule reflecting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the buffer state information and the delay information of the data in the scheduler.

바람직하게, 상기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은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지연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lay time of the data from the upper layer.

바람직하게, 상기 상위 계층은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이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은 매체 접속 제어 계층으로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가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을 함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pper layer is a radio link control layer, and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and the data transfer the delay time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o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 지연 시간은 각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디스카드 타이머 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elay time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is characterized by using a discard timer value for measuring an elapsed time of a service data unit in each radio link control layer.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은 매체 접속 제어 계층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들의 평균 지연시간으로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elay time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is received as an average delay time of data transmitted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바람직하게, 상기 지연정보는 UMTS망의 Iub인터페이스 또는 Iur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달시, 상기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지연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elay information includes the data and the dela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when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Iub interface or the Iur interface of the UMTS network.

바람직하게, 상기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RLC PDU을 전달받을 때,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해당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receives an RLC PDU from an upper layer, it operates a corresponding timer for measuring a delay time 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바람직하게, 상기 지연 정보는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지연시간과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 머문 지연시간의 합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elay information i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delay time receiv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and the delay time stayed 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바람직하게, 상기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 구동하는 타이머의 초기값은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지연시간을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구동하거나, 무선 링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지연시간과는 별도로, 초기 값부터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itial value of the timer running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is driven by setting the delay time receiv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o an initial value, or counting from the initial value separately from the delay time received from the radio link layer. Characterized in that.

바람직하게, 상기 물리계층으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면 해당 타이머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data is successfully transmitted to the physical layer, the driving of the timer is stopped.

바람직하게, 상기 패킷의 전송시 패킷의 우선순위와 그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함께 반영하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cket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priority of the packet and the delay time of the data.

바람직하게, 상기 우선순위가 동일한 패킷에 대하여 지연시간이 오래된 패킷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acket having a long delay time is preferentially transmitted to a packet having the same priority.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은, 고속하향링크패킷액세스(HSDPA)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로 패킷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무선망제어기(RNC)가 기지국의 패킷 스케줄러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In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transmits a packet of a base station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a packet to a downlink. Transmitt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cheduler;

상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채널의 상태 정보, 버퍼 상태 정보, 데이터의 우선순위, 데이터의 지연정보 등과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러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쥴링을 통해,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cheduler located in the base station uses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through scheduling by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buffer state information, data priority, data delay information, and the like, us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chedul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And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hrough the physical lay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UMTS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해주는 서비스의 종류에는 지연시간에 민감한 서비스와 지연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지연시간에 민감한 서비스들은 이미 정해진 최대지연시간을 넘기면 데이터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서비스들로 음성서비스나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가 있다.The types of services provided by the UMTS system can be divided into delay-sensitive services and services that are not sensitive to latency. Latency-sensitive services are services that are less valuable as data when they exceed a predetermined maximum delay time, such as voice services or video on demand (VOD) services.

반면에 지연시간에 민감하지 않은 서비스들은 웹브라우징 서비스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를 들 수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전송시간에 민감하지는 않지만, 서비스별로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서비스에서는 서비스들간의 우선순위가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latency-insensitive services include Internet services such as web browsing services. These services are not sensitive to transmission time, but may have priority based on importance on a service-by-service basis. Therefore, the priority among services is important in these services.

먼저, UTRAN에서 데이터 지연시간은 MAC-hs부계층에서 전달된 후 경과된 시간과 RNC의 RLC계층에서 머무른 시간을 모두 고려해 준다. 즉, RLC계층으로부터 각 데이터가 MAC계층으로 전달될 때, 데이터와 함께 각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포함한 정보를 전달해 준다.First, the data delay time in UTRAN considers both the time elapsed after being delivered from the MAC-hs sublayer and the time spent in the RLC layer of the RNC. That is, when each data is transferred from the RLC layer to the MAC layer, the data including the delay time of each data is transferred along with the data.

또한, MAC-d부계층과 MAC-hs부계층도 각각 RNC와 기지국(Node B)에 위치하므로 MAC계층내의 부계층들 사이에서도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지연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존에 시스템에서 MAC 계층으로 RLC 계층에서의 지연시간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이 지연시간 정보를 RLC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으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AC-d sublayer and the MAC-hs sublayer are also located in the RNC and the base station Node B,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transfer data delay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data between the sublayers in the MAC layer. Since the delay time in the RLC layer is not transmitted from the system to the MAC layer in the conventional system, the delay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RLC layer.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AC-hs부계층에서의 스케줄러 구조이다.6 is a scheduler structure in the MAC-hs sub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MAC-hs부계층에서는 데이터가 MAC계층에서 머문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각 MAC-hs SDU이 RLC 계층에서 MAC 계층으로 전달될 때 각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지시하는 타이머(209)들은 구동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MAC-hs sublayer, a timer 209 indicating a delay time of each data when each MAC-hs SDU is transferred from the RLC layer to the MAC layer in order to measure a time spent in the MAC layer. ) Drives.

이때, 각 타이머(209)의 초기값은 RLC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지연시간 정보에 의해 초기화된다. 그 중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타이머(209)는 RLC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지연시간 정보를 초기값(RLC 계층에서의 지연시간)으로 하여 구동하는 것과, 다른 실시 예로서 RLC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지연시간 정보를 별도로 저장한 후 초기값(0)부터 구동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RLC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지연시간 정보가 5초 일 경우 상기 실시 예에서의 타이머는 5초부터 시작하거나, 5초를 별도로 저장한 후 0부터 지연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itial value of each timer 209 is initialized by the delay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LC layer. In one embodiment, the timer 209 drives the de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LC layer as an initial value (delay time in the RLC layer),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delay time transmitted from the RLC layer. There is a method of driving from the initial value (0) after storing the information separately. For example, if the de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LC layer is 5 seconds, the timer in the above embodiment starts from 5 seconds or stores the 5 seconds separately and counts the delay time from 0.

타이머(209)는 저장장치(201)에 해당 데이터의 지연시간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S211), 이때 전달되는 지연시간 정보는 RLC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지연 시간 정보와 MAC 계층에서 데이터가 머문 시간을 측정한 지연시간 정보의 합이다.The timer 209 transmits the dela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storage device 201 (S211). The delay information transmitted at this time measures the delay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LC layer and the time the data stays in the MAC layer. It is the sum of one delay information.

그리고, 저장장치(201)에는 각 MAC-hs SDU이 상기 타이머(209)의 구동에 따른 지연 정보와 함께 버퍼링되어 저장된다.Each MAC-hs SDU is buffe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01 together with de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timer 209.

스케줄러(207)는 저장장치(201)를 통해서 버퍼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을 때 각 데이터의 지연시간 정보를 함께 전달받게 된다(S212). 즉, 버퍼 상태 정보로는 데이터의 우선 순위, 데이터 량, SDU의 크기정보 등과 함께 해당 데이터의 지연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스케줄러(207)는 물리계층(205)으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S213).When the scheduler 207 receiv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uffer through the storage device 201, the scheduler 207 receives the delay time information of each data (S212). That is, the buffer status information includes delay tim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along with data priority, data amount, size information of the SDU, and the like, and the scheduler 207 receives the channel status information from the physical layer 205. (S213).

스케줄러(207)는 버퍼 상태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면, 버퍼 상태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전송 제어를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전송할 데이터 블록의 크기와 해당 MAC-hs SDU를 결정한다. 그리고 전송이 결정된 데이터 블록은 우선순위 식별자와 TSN을 추가하여 HARQ블록(203)으로 전달되어 물리계층(205)을 통해서 전송된다(S214,S215).When the scheduler 207 receives the buffer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annel status information, the scheduler 207 performs scheduling for data transmission control based on the buffer status information and the channel status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data block to be transmitted and the corresponding MAC-hs SDU. . The determined data block is transmitted to the HARQ block 203 by adding the priority identifier and the TSN and transmitted through the physical layer 205 (S214 and S215).

이때, 저장장치(201)가 HARQ블록(203)으로부터 특정 데이터 블록이 전송에 성공했다는 전송 결과를 받으면(S216), 저장장치(201)는 해당 데이터를 장치 내에서 삭제하고, 이 데이터와 연계된 타이머(209)의 구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타이머에 해당 데이터의 전송 정보를 보낸다(S218).At this time, when the storage device 201 receives a transmission result indicating that a specific data block is successfully transmitted from the HARQ block 203 (S216), the storage device 201 deletes the corresponding data in the device and is associated with the data. In order to stop driving of the timer 209,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is sent to the timer (S218).

만약, 전송에 실패했다면 HARQ블록(203)은 상기 전송결과를 스케줄러(207)로 알려줘 스케줄러 동작시 해당 데이터가 재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S217).If the transmission fails, the HARQ block 203 notifies the scheduler 207 of the transmission result so that the corresponding data can be retransmitted during the scheduler operation (S217).

이러한 스케줄러(207)의 스케줄링에 의한 데이터 전송 제어 동작을 보면,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지연시간이 보다 긴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하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만 전송이 가능하므로,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를 가진 단말들 중에서 보다 지연시간이 긴 데이터를 갖는 단말을 골라 전송해 주게 된다.Referring to the data transmission control operation by the scheduling of the scheduler 207, data having a longer delay time is preferentially transmitted to data having the same priority. In this case, since only the data for one terminal can be transmitted, the terminal selects a terminal having data with a longer delay time from among terminals having data having the same priority.

또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지연시간에 대한 가중치가 데이터의 우선 순위 보다 높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데이터의 우선 순위와 지연 시간을 함께 고려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ervice, the weight for the delay time may b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data. In this case, the control is performed to consider the priority of the data and the delay time.

이와 함께,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만 정의되는 서비스가 있을 수 있고, 지연시간제한만 정의되는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라 각 서비스를 스케줄링 해주고, 후자의 경우에는 각 서비스의 지연시간 조건에 맞도록 스케줄링 해준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service in which only priorities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and there may be a service in which only a delay time limit is defined. In the former case, each service is scheduled according to priority, and in the latter case, the service is scheduled according to the delay condition of each service.

RLC 계층은 MAC 계층으로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알려주기 위해, 각 데이터들에 대한 지연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RLC계층에서의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별도의 타이머를 구동시킬 수 있겠지만, 경우에 따라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타이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RLC계층에서는 각 RLC SDU가 RLC계층으로 전달된 후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디스카드 타이머(Timer_Discard)가 동작하는데, 이 타이머의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RLC layer measures the delay time for each data to inform the MAC layer of the data delay time. A separate timer for measuring the delay time in the RLC layer may be driven, but in some cases, a timer that is already used may be u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the RLC layer, a discard timer (Timer_Discard) for measuring a time elapsed after each RLC SDU is delivered to the RLC layer may be used. The value of the timer may be used.

상기 디스카드 타이머의 목적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된 RLC SDU 각각에 대하여 이들이 RLC계층에 머무른 시간을 측정하고, 해당 RLC SDU가 오랫동안 전송되고 있지 않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즉, 디스카드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해당 RLC SDU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않았다면, 해당 RLC SDU는 폐기시킨다. 따라서, 디스카드 타이머 정보는 RLC계층에서 RLC SDU의 지연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RLC PDU들이 MAC계층으로 전달할 때 RLC PDU와 함께 디스카드 타이머 정보를 함께 전송해준다. 그리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은 매체 접속 제어 계층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들의 평균 지연시간으로 전달하게 된다.The purpose of the discard timer is to measure the length of time they stay in the RLC layer for each RLC SDU delivered from the upper layer, and discard the data if the RLC SDU is not being transmitted for a long time. That is, if the RLC SDU is not successfully transmitted until the discard timer expires, the RLC SDU is discarded. Accordingly, the discard timer information may be recognized as a delay time of the RLC SDU in the RLC layer, and transmits the discard tim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LC PDU when the RLC PDUs are transmitted to the MAC layer. The delay time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is transmitted as an average delay time of data transmitted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또한, HSDPA시스템에서 RLC계층과 MAC계층의 부계층들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RLC계층에서의 지연시간은 Iur 인터페이스나 Iub 인터페이스를 통해 MAC-hs부계층으로 알려주어야 한다.Also, in the HSDPA system, since the RLC layer and the sublayers of the MAC layer are connected through various interfaces, the delay time in the RLC layer should be informed to the MAC-hs sublayer through the Iur interface or the Iub interface.

따라서, Iub 또는 Iur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HS-DSCH FP의 프레임 내에 디스카드 타이머(Timer_Discard) 정보를 추가해 준다.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 timer timer (Timer_Discard) is added to the frame of the HS-DSCH FP that transmits data through the Iub or Iur interface.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가 중요한 정보의 경우에는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우선순위정보를 HS-DSCH FP를 통하여 알려주고, 지연시간 정보가 중요한 서비스의 경우에는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지연시간정보 (RLC지연시간)를 HS-DSCH FP를 통하여 알려주도록 한다. 이 때 각 서비스에 맞는 HS-DSCH FP의 포맷을 달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information whose priority is important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the data and priority information of the data are informed through HS-DSCH FP. In case of the service where the delay time information is important, the data and delay time information (RLC delay) Time) through the HS-DSCH FP. At this time, the format of the HS-DSCH FP for each service may be different.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의 지연시간 정보로 RLC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량을 알려주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버퍼의 데이터 량이 많을수록 더 많은 지연시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한, 디스카드 타이머의 값을 전달할 때 많은 용량이 낭비될 수 있으므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평균 지연시간을 알려주거나, 지연시간을 이산화(Discrete value)하여 전달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In some cases, a method of informing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RLC buffer as the delay time information may be used. This is because a larger amount of data in the buffer means more delay time. In addition, since a lot of capacity may be wasted when delivering the value of the discard timer, there may be a method of informing the average delay time of the transmitted data or discretizing the delay tim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송지연시간에 민감한 서비스들을 HSDPA시스템의 스케줄러에 의해 제공해주는 경우,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 데이터의 UTRAN내 지연시간을 추가로 고려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RLC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 정보와 MAC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 정보의 합인 지연 시간을 다른 전송 제어 파라미터와 함께 고려해 주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rvices that are sensitive to transmission delay time are provided by the scheduler of the HSDPA system, when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data, in order to further transmit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 time in the UTRAN, the RLC layer The delay time, which is the sum of the delay time information and the delay time information in the MAC layer, is considered along with other transmission control parameters.

그러므로, 고속하향링크패킷액세스(HSDPA)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로 패킷의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무선망제어기(RNC)가 기지국의 패킷 스케줄러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해 주고, 상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채널의 상태 정보, 버퍼 상태 정보, 데이터의 우선순위, 데이터의 지연정보 등과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러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쥴링을 통해,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a packet in downlink in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 packet scheduler of a base station, and a scheduler located in the base statio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is transferr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hrough scheduling using the state information, the buffer state information, the priority of the data, the delay information of the data, and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cheduler received from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Enables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physical lay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에 의하면,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HSDPA)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의 동작시 데이터의 지연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추가로 고려해, 데이터의 우선순위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고려한 스케줄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연시간에 민감한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지연시간을 고려한 스케줄링이 가능해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the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of the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of the data when the scheduler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By considering the delay-related information additionally, scheduling can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priority as well as the data priority, so that the scheduling of the delay-sensitive data service is possible, which can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It has an effect.

Claims (21)

고속 하향링크패킷접속(HSDPA)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로의 패킷데이터 전송을 위해, 물리 채널의 품질상태 정보와, 매체제어계층내의 버퍼 상태정보, 데이터의 우선순위, 데이터의 지연정보 등을 매체 접속 계층의 스케줄러에 알려주는 단계;In order to transmit packet data from th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to the downlink, the quality information of the physical channel, the buffer status information in the media control layer, the priority of the data, and the delay information of the media are included in the media access layer. Informing the scheduler of the; 상기 스케줄러에서 채널의 품질상태 정보, 버퍼 상태 정보, 데이터의 우선순위, 데이터의 지연정보 등을 반영한 스케쥴링을 통해,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ransmitting, by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data transmitt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hrough the physical layer through scheduling by reflecting channel quality status information, buffer status information, data priority, data delay information, and the like in the scheduler;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은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지연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is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data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lay time of the data from a higher lay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위 계층은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이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은 매체 접속 제어 계층으로 데이터와 함께 해당 데이터가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을 함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upper layer is a radio link control layer, and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is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for the fast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transfers the delay time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ogether with the data. Packet scheduling metho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은 각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디스카드 타이머 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delay time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is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fast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discard timer value for measuring the elapsed time of a service data unit in each radio link control lay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카드 타이머의 값을 무선링크제어계층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경과 시간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And applying the value of the discard timer as the elapsed time of the protocol data unit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하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여러 개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큰 디스카드 타이머의 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lurality of service data units are included in one protocol data unit, a value of the largest discard timer is us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은 매체 접속 제어 계층으로 동시에 전달되는 데이터들의 평균 지연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And a delay time in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is set to an average delay time of data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상위계층에서의 데이터 지연정보는 UMTS망의 Iub인터페이스 또는 Iur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달시, 상기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의 지연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data delay information in the upper layer is a packet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along with the delay information of the data and the data transfer through the Iub interface or the Iur interface of the UMTS network Scheduling Metho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지연정보는 Iub 또는 Iur인터페이스에서 HSDPA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HS-DSCH Frame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delay information is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using the HS-DSCH Frame Protocol use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for HSDPA in the Iub or Iur inter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매체접속제어계층에서 패킷의 스케줄링에 이용되는 상기 지연 정보는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지연시간과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 머문 지연시간의 합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delay information used for scheduling a packet 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is calculated by the sum of the delay time receiv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and the delay time stayed in the media access control layer. Packet schedul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매체접속제어계층에서 패킷의 스케줄링에 이용되는 상기 지연 정보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 머문 지연시간만으로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delay information used for scheduling a packet in a medium access control layer is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elay time only stays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RLC PDU을 전달받을 때,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해당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Whe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receives an RLC PDU from an upper layer, runs a corresponding timer for measuring a delay time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 구동하는 타이머의 초기값은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지연시간을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initial value of the timer running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is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by setting the delay time receiv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o an initial value.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매체 접속 제어 계층에서 구동하는 타이머의 초기 값은 무선 링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지연시간과는 별도로, 초기 값부터 카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initial value of the timer running i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unting from the initial value, apart from the delay time received from the radio link layer.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수신측 매체접속제어계층으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면 해당 타이머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And stopping the driving of the timer when data is successfully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edium access control layer.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패킷의 스케줄링에 이용되는 상기 지연 정보는 RLC버퍼내의 데이터량임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delay information used for scheduling the packet is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data in the RLC buffer.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RLC버퍼내의 데이터량은 UMTS망의 Iub인터페이스 또는 Iur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달시 함께 포함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amount of data in the RLC buffer packet transmission method for 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data transfer through the Iub interface or Iur interface of the UMTS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킷의 전송시 패킷의 우선순위와 그 데이터의 지연시간을 함께 반영하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cheduling by reflecting the priority of the packet and the delay time of the data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우선순위가 동일한 패킷에 대하여 지연시간이 오래된 패킷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th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packet with a high delay for the same priority packet. 고속하향링크패킷액세스(HSDPA)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로 패킷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무선망제어기(RNC)가 기지국의 패킷 스케줄러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Transmitting, by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 packet scheduler of a base station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packets on a downlink in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system; 상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채널의 상태 정보, 버퍼 상태 정보, 데이터의 우선순위, 데이터의 지연정보 등과 상기 무선망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러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쥴링을 통해,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A scheduler located in the base station uses a media access control layer through scheduling by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buffer state information, data priority, data delay information, and the like, us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chedul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And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adio link control layer through a physical layer.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무선망제어기는 특정 서비스에 대해 단말과 핵심망 사이의 접속을 설정하는 동안 기지국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최대지연시간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하향링크패킷접속 시스템을 위한 패킷 스케줄링 방법.The wireless network controller is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station informs the maximum delay time information for the service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re network for a particular service.
KR1020010073641A 2001-11-24 2001-11-24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KR200300428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641A KR20030042846A (en) 2001-11-24 2001-11-24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EP02026087A EP1318632B1 (en) 2001-11-24 2002-11-22 Packet data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CNB021514968A CN1233180C (en) 2001-11-24 2002-11-22 Block transmission dispatching technique
US10/301,625 US7515616B2 (en) 2001-11-24 2002-11-22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US12/178,741 US7619985B2 (en) 2001-11-24 2008-07-24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US12/588,053 US7949001B2 (en) 2001-11-24 2009-10-01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US12/588,056 US7969877B2 (en) 2001-11-24 2009-10-01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US12/588,045 US7949000B2 (en) 2001-11-24 2009-10-01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US12/588,055 US7969904B2 (en) 2001-11-24 2009-10-01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US12/588,054 US8040909B2 (en) 2001-11-24 2009-10-01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641A KR20030042846A (en) 2001-11-24 2001-11-24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46A true KR20030042846A (en) 2003-06-02

Family

ID=2957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641A KR20030042846A (en) 2001-11-24 2001-11-24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2846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713B1 (en) * 2002-01-29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the network having dynamic bandwidth of external link
KR100463975B1 (en) * 2002-01-03 2004-12-30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Timer based stall avoidance mechanism for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06898B1 (en) * 2004-09-10 2006-08-01 엘지노텔 주식회사 The method to manage radio resources for packet scheduling,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609151B1 (en) * 2004-09-07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of using the same
KR100624522B1 (en) * 2002-04-05 2006-09-2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A controller which facilitates a serving hsdpa cell change
KR100651450B1 (en) * 2003-08-2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f reverse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7001145A1 (en) * 2005-06-27 2007-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igh-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KR100751647B1 (en) 2006-09-15 2007-08-22 엘지노텔 주식회사 Scheduling method for assigning a network re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74478B1 (en) * 2002-01-05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transmitting a packet data in th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KR100876810B1 (en) * 2002-03-3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cheduling down links based on user utility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7515616B2 (en) 2001-11-24 2009-04-07 Lg Electronics Inc.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9985B2 (en) 2001-11-24 2009-11-17 Lg Electronics Inc.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US7515616B2 (en) 2001-11-24 2009-04-07 Lg Electronics Inc.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KR100463975B1 (en) * 2002-01-03 2004-12-30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Timer based stall avoidance mechanism for high spe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74478B1 (en) * 2002-01-05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transmitting a packet data in th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KR100438713B1 (en) * 2002-01-29 2004-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the network having dynamic bandwidth of external link
KR100876810B1 (en) * 2002-03-3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cheduling down links based on user utility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624522B1 (en) * 2002-04-05 2006-09-2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A controller which facilitates a serving hsdpa cell change
KR100651450B1 (en) * 2003-08-2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f reverse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09151B1 (en) * 2004-09-07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of using the same
KR100606898B1 (en) * 2004-09-10 2006-08-01 엘지노텔 주식회사 The method to manage radio resources for packet scheduling,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704674B1 (en) * 2005-06-27 2007-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igh-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WO2007001145A1 (en) * 2005-06-27 2007-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igh-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US8792415B2 (en) 2005-06-27 2014-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igh-speed portable internet system
KR100751647B1 (en) 2006-09-15 2007-08-22 엘지노텔 주식회사 Scheduling method for assigning a network re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2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imer for processing data blocks
KR1008407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acket data in a communications system and receiving unit thereof
KR100902573B1 (en) Method for operating enhanced rlc entity and rnc entity for wcdma and system thereof
US7619985B2 (en)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technique
KR100774478B1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a packet data in the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KR20030042846A (en)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10

Effective date: 200901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19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10

Effective date: 2009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