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356A - 데이터전송 선행 콜이 가능한 이동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전송 선행 콜이 가능한 이동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356A
KR20030038356A KR1020020062561A KR20020062561A KR20030038356A KR 20030038356 A KR20030038356 A KR 20030038356A KR 1020020062561 A KR1020020062561 A KR 1020020062561A KR 20020062561 A KR20020062561 A KR 20020062561A KR 20030038356 A KR20030038356 A KR 2003003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ll
terminal
receiving
cal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엽
양기호
Original Assignee
황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엽 filed Critical 황재엽
Publication of KR2003003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356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메시지, 이미지, 음악파일, 명함파일 등을 전송한 직후, 그 해당하는 내용을 수신자의 단말기의 모니터에 출력함과 동시에 착신벨을 울리면서, 전화를 받으면 바로 통화로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시스템이 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전송 선행 콜이 가능한 이동전화시스템{Mobile Phone System With Call Followed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은 이동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전화시스템은 음성전화뿐만아니라 단문메시지 등의 비음성데이타까지 전송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단문메시지를 보내면 프라이버시 때문에 메시지를 즉시 모니터에 출력하지 않고 수신자가 메시지함을 열어서 열람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한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는 메시지를 작성한 후 받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송을 누르면 문자메시지만 발송되었으므로, 문자메시지와 음성전화를 동시에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즉,음성전화를 시도할 때 받는 사람의 단말기에 '아깐 미안했어..' 또는, '아버님이 위독하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한 후 착신벨을 울려 전화를 받는 사람이 전화를 받기 전에 상대방의 신분이나 기분을 미리 파악토록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방 단말기의 화면에 문자메시지를 띄운 직후 메시지가 보이는 상태에서 착신벨을 울려 전화를 받기 전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문자메시지뿐만아니라 이미지파일을 보낼 수도 있게 하여 전화를 받기 전에 발신자가 보낸 이미지를 먼저 확인토록 하며, 또한 명함파일을 먼저 디스플레이 되게 하여 발신자의 자세한 정보를 먼저 파악한 후 전화를 받도록 함과 동시에 명함관리도 할 수 있게 하도록 되어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는 TEXT위주의 선행메시지를 작성하는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진행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진행의 또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콜러이미지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흐름도이다.
자세한 설명에 앞서 용어를 정의하면, 종래의 음성전화와 관계없는 메시지를 일반메시지라 하고, 음성통화와 짝을 이루면서 음성전화콜이 도착하기 전 먼저 보내어지는 메시지를 선행메시지라 하고, 선행메시지 전송 이후 그 선행메시지와 짝을 이루는 음성전화콜을 후속콜이라 하고, 선행메시지와 후속콜을 연이어 보내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메시지콜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간략한 개념은 아래와 같다.
단말기에서는 선행메시지가 일반메시지와는 구분되어 작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고, 선행메시지를 작성하는 메뉴는 일반메시지를 작성하는 메뉴와는 별도로갖게 하고,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교환국에 전송하면 교환국에서는 이를 선행메시지로 인식하여 일단 발신측단말기를 통화중 상태로 세팅하여 중간에 다른 통화에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상대국에 선행메시지를 구분된 형태로 전송한 후 발신측단말기에 후속콜을 보내라는 신호를 보내 발신측단말기에서 후속콜을 자동으로 보내게 하고, 상대방에 도착한 선행 메시지는, 그것이 문자메시지나 이미지나 명함데이터인 경우 화면에 출력한 채로 후속콜 벨을 울려 수신자가 화면을 확인하고 나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통화가 끝나면 선행메시지를 저장할 것인지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절한 동작을 취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는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선행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선행메시지가 수신측단말기4에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전송완료통보를 받아, 후속콜을 발신할 수 있도록 된 발신측단말기1과,
기지국을 통하여 단말기1로부터 전달된 선행메시지를 구분하고, 상기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에 전달하고, 발신측단말기1를 통화중으로 처리하고,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로부터 전송완료통보를 받아, 상기 전송완료통보를 발신측단말기1에 통보하고, 이를 받은 발신측단말기1가 후속콜을 발신하면 이를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로 스위칭하는 발신측메시지콜센터2와,
상기 발신측메시지콜센터2로부터 선행메시지를 전달받아 이를 선행메시지로판단하여, 수신측단말기4로 이를 전송하고, 수신측단말기4를 통화중처리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발신측메시지콜센터2에게 통보하고, 후속콜이 당도하면 이를 수신측단말기4로 스위칭하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와,
수신된 선행메시지를 선행메시지로 판단하고, 이를 저장하며 해당 후속콜이 착신되었을 때 보관된 선행메시지를 출력하고, 착신벨을 울리도록 된 수신측단말기4로 구성된다.
여기에, 메시지콜센터2,3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행메시지를 단말기에서 작성하지 않고 PC로 인터넷사이트에서 좀 더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선행메시지사이트서버5를 더 부가하여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케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단말기는 선행메시지와 후속콜을 처리하기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기는 제어부10와 메모리12와 키입력부14와 RF처리부16와 오디오부18와 표시부20로 구성된다.
제어부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된 선행메시지를 일반메시지와 구분하여 자동으로 메모리12에 보관시키고, 교환국으로부터 발신자 CID와같은 후속콜연결신호가 전달되면 해당하는 선행메시지를 메모리12에서 인출하여 표시부20에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선행메시지의 구성요소인 TEXT, IMAGE, SOUND, MOVIE등에 따라 적절히 출력하고, 선행메시지 출력사실을 스피커 또는 표시부의 LED에 적절히 알람하고, 이후 후속콜이 연결되면 착신벨을 울리도록 동작을 제어하며, 선행메시지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키가 입력되면 수신된 선행메시지를 메모리12에 저장하며, 타 메시지와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행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선행메시지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선행메시지의 유형이 명함데이터일 때 이를 메모리12중에서도 타 선행메시지와는 별도의 영역에 저장하여 명함철을 구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모리12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ROM)과, 제어부10에 의해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메모리1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선행메시지처리를 위한 프로그램과 수신된 선행메시지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선행메시지가 저장되어있다.
키입력부14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들과 선행메시지편집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RF처리부16는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송신신호가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출되도록 하고,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선행메시지, 후속콜등의 신호를 수신처리한다.
오디오부18는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RF처리부16로 출력하고, 상기 RF처리부16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표시부2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수신데이터와 기능설정상태 및 착신알람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2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CD)와 알람을 위한 발광다이오드와 야간에도 사용자에게 액정표시부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선행메시지출력시 상기 알람을 위한 발광다이오드를 색깔을 다르게 표현하여 착신알람과 구별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행메시지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일반메시지를 작성하는 인터페이스와는 구분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도 3은 TEXT위주의 선행메시지를 작성하는 예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성된 선행메시지는 일반 메시지와 구분되어져서 저장이 되어야 적절한 선행메시지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구분표시수단을 갖는다.
통상 메시지는 단문메시지와 멀티미디어메시지로 구분지을 수 있는데 단문메시지는 무선통신상프로토콜의 하위레벨인 BEARER급에 해당되고 멀티미디어메시지는 상위레벨인 WAE(Wireless Application Envirenment)급에 해당된다. 따라서, 선행메시지를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처리한다면 단문메시지프로토콜내에 기능이 정의된 코드영역(CALLBACK NUMBER, TP-PID, TP-DCS등)내의 예비코드값 또는 특정코드값을 사용하여 일반 단문메시지와 구별되도록 표시한다. 또한, 선행메시지를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하여 처리한다면 멀티미디어메시지처리용 WML(Wireless Markup Language)등의 무선인터넷용 문서에 기존 TAG에 선행메시지를 나타내는 특정코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선행메시지를 위한 특별 TAG를 사용하여 일반 멀티미디어메시지와 구별되도록 표시한다. 예를 들면 <title=call followed data_namecard>와 같이 'call followed data'를 선행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특정코드로서 사용하며 '_'는 구분자로 'namecard'는 선행메시지의 유형으로써 명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선행메시지를 특정파일명으로 선행메시지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는 이동단말기에 파일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어야한다. 따라서 선행메시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 메시지서버 및 선행메시지를 처리하도록 된 단말기 또는 교환국내의 서버는 상술한 선행메시지구분표시를 인지하는 선행메시지구분수단을 두어 일반메시지와 구분한다.
메시지콜센터2,3는 각 이동단말기 사이에서 메시지콜의 착발신을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이동교환국내의 여러 서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메시지콜센터2,3와 교환기21,31와 제어부22,32와 메시지처리부23,33와 SYSTEM DB24,34로 구성된다.
교환기21,31는 제어부22,33의 제어에 의하여 단말기1,2또는 상대교환국으로부터 도착된 선행메시지와 후속콜을 스위칭한다.
제어부22,32는 각 부를 제어하여 메시지콜을 효율적으로 운용한다.
상기 제어부22,32는 교환기21,31에 도착된 신호가 메시지콜인지를 구분하고 메시지콜일 경우, 이를 해당 단말기 또는 교환국으로 스위칭한다.
메시지처리부23,33는 선행메시지를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22,32의 제어에 의하여 교환기21,31로부터 전달된 선행메시지를 상대측의 메시지콜센터2,3로 전송하고, 상대측의 메시지콜센터2,3로부터 전달된 선행메시지를 교환기21,31를 통해 수신측단말기4로 전송하고, 전송결과를 신호로써 발신측단말기1에 전달한다.
SYSTEM DB24,34는 홈위치등록기와 방문자위치등록기와 사용자프로파일등으로 구성되며 단말기의 위치 및 사용자정보를 제공한다.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5는 메시지콜센터2,3와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선행메시지를 단말기보다 다양하고 쉽게 작성할 수있도록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서버5는 선행메시지편집부51와 클립파일DB52와 선행메시지재생부53와,선행메시지전송부54와 전송확인부55로 구성되어있다.
선행메시지편집부51는 상기 클립파일을 이용하여 손쉽게 원하는 선행메시지를 작성하도록 이동단말기LCD규격의 편집틀과 문서편집프로그램수준의 메시지전용 편집수단을 제공한다.
클립파일DB52는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특수기호, 이모티콘, 이미지파일, 음악파일, 동영상등의 클립파일들을 제공한다.
선행메시지재생부53는 상기 편집부51에 의해 작성된 복잡한 선행메시지를 재생(시뮬레이션)해보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개인라이브러리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선행메시지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클립파일등을 모아두는 장소를 제공한다.
선행 메시지전송부54는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단말기4에 전송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전송확인부55는 수신측단말기4에 메시지전송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서버5는 적어도 한 대이상의 컴퓨터에, 상술한 각 부의 기능이 동작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면을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진행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처럼 발신자가 자신의 이동단말기1에서 선행메시지작성 메뉴를 선택한 뒤, 선행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또는 기 작성된 것을 선택하고 단말기1의 센드버튼을 누르면 상기 단말기1는 상기 발신측메시지콜센터2로 선행메시지를 전송하고 (S401).
상기 메시지콜센터2의 교환기21에 선행메시지가 착신되면 제어부22는 상기 선행메시지를 구분,인식하여 메시지처리부23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S402),
상기 제어부22는 교환기21를 제어하여 단말기1를 통화중으로 처리하여 다른 곳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지 않도록 하고(S403),
상기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메시지처리부23가 상기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메시지콜센터의 메시지처리부33에 메시지를 전달하면(S404),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는 수신측단말기4가 통화중인지 확인하고 (S405)
통화중이라면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의 메시지처리부33는 발신측메시지콜센터2를 통하여 발신측단말기1에 통화중이라는 결과를 통보하고(S406),
통화중이 아니라면, 메시지서버33는 상기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단말기4에 전달하며(S407),
상기 수신측단말기4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이를 메모리12의 버퍼에 보관하고(S408),
수신완료신호를 메시지처리부33로 전달하면(S409),
메시지처리부33는 수신측 교환기31를 제어하여 수신측단말기4를 통화중으로 처리함으로써 다른 곳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오지 않도록 하고(S410),
메시지처리부33는 전송완료신호를 발신자단말기1로 전송하고(S411)
상기 전송완료신호를 받은 발신측단말기1의 제어부10은 상기 자동으로 콜을 실시하며(S412)
발신측 교환기21에 의해 콜이 전환되고, 수신측 교환기31는 콜을 수신측단말기4에 전환한다(S413).
상기 수신측단말기4의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저장된 선행메시지를 인출하여 표시부20에 출력하고(S414)
또한, 표시부20의 알람다이오드를 착신알람과 다른 색으로 표현하여 착신벨과 구분되게 실시한 후 오디오부18의 스피커로 착신벨을 울리고(S415), 수신자가 전화를 받으면 통화로가 열린다
만약, 후속콜이 어떠한 상황으로 인하여 용이치 않아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는 상황에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수신측단말기4의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보관된 상기 선행메시지를 삭제한다(S416).
따라서, 도 4와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발신측)1는 선행메시지작성시 입력한 수신자전화번호 또는, 전달받은 전송완료신호에 포함된 수신자전화번호정보를 참고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걸거나 사용자가 센드버튼만 누르면 상기 전화번호로 전화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메시지전송과 음성 후속콜이 동시에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이때에는, 상기 후속콜이 발신측메시지콜센터나 수신측메시지콜센터까지 전환되어도 무방하나, 메시지전송 결과가 확인 될 때 까지 후속콜을 수신측단말기에 전환하지 않도록 발신측2 또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3가 후속콜을 전환 대기하고, 메시지전송결과가 도착하면 후속콜을 수신측단말기4로 전환한다. 상기 메시지전송결과의 확인은 후속콜 전환을 대기하고 있는 발신측2 혹은 수신측메시지콜센터3가 함으로써, 후속콜 전환대기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방법은 수신측단말기4에 선행메시지가 도착하자마자, 후속콜에 앞서 수신측단말기4의 화면에 출력되고 이어 후속콜에 의한 착신알람이 출력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신측단말기4는 선행메시지가 도착하였을 때 선행메시지태그를 인식하여 바로 화면에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물론, 상기 수신측단말기4는 먼저 메시지콜을 수신받고 저장하였다가 이어 후속콜이 당도하면 선행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다.
도 4의 과정대신,
인터넷에 있는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5의 선행메시지편집부51에 의해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선행메시지전송부54를 통해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로 보내고,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의 제어부32는 수신측단말기4가 통화중인지 확인하고,
통화중이라면 상기 제어부32는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5에 통화중이라는 결과를 통보하고,
통화중이 아니라면, 메시지처리부33를 통해 상기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단말기4에 전달하며,
상기 서버5의 확인부55는 선행메시지가 다 보내어졌을 때 그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는 인터넷에 있는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5에서 선행메시지를 작성한 뒤 자신의 단말기1로 다운받아 선행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정중 발신측단말기의 통화중처리는 선행메시지전송시 다른 단말기로부터 콜이 착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수신측단말기의 통화중처리는 선행메시지수신시 다른 단말기로부터 콜이 착신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통화중처리는 생략되어도 메시지콜을 재시도하면 되므로 서비스에는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진행의 또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처럼 발신측단말기1가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의 메시지처리부33에 선행메시지를 전달하고(S501),
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의 제어부32는 메시지처리부33가 수신측단말기4에 선행메시지를 전송하며(s502),
상기 수신측단말기4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이를 메모리12에 저장하고 (S503)
상기 제어부32는 수신측단말기4에 메시지송신을 완료하면 (S504)
시스템DB34의 수신자의 고객프로파일내에 미리 마련된 선행메시지발신자로그에 현 발신자의 CID를 저장하고 (S505)
상기 수신측메시지처리부33가 전송완료신호를 발신측메시지콜센터2에 보내고발신측메시지콜센터2가 발신측단말기1에 전송완료신호를 보내고 (S506)
발신측단말기1는 상기 전송완료신호를 받아 결과를 표시부20에 적절히 표시하고 (S507)
상기 발신측단말기1로부터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의 교환기31에 콜이 착신되었을 때(S508)
제어부32는 시스템DB34의 고객(수신자)프로파일내의 선행메시지발신자로그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측단말기1의 CID와 비교하여(S59)
일치하는 CID가 있는 경우에 수신측단말기4에 메시지처리부33로 하여금 CID를 전달토록 제어하고, 상기 교환기31로 하여금 콜을 전환토록 제어하며(S510)
상기 콜이 착신되면 수신측단말기4의 제어부10는 전달된 상기 CID와 메모리12중 버퍼에 임시로 보관된 각 선행메시지정보내의 CID를 비교하고(S511)
일치하는 선행메시지를 인출하여 표시부20에 출력하고(S512)
이어 표시부20 또는 오디오부18의 스피커에 선행메시지출력알람을 실시하고 이후 상기 스피커에 착신벨을 울리고 (S513)
수신측단말기4가 전화를 받았을 때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는 상기 선행메시지발신자로그에 있는 현 CID를 삭제하고 (S514)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신측단말기4에 상기 선행메시지를 메모리12에 저장한다.
상기 과정중 S501-S502-S503-S504-S505-S506-S507 대신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5가 편집부51에 의해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전송부54를 통해 수신측메시지콜3서버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는 상기 수신측단말기4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측단말기4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이를 메모리10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는 수신측단말기4에 메시지전송완료를 확인하는 과정과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는 현 발신자의 CID를 저장하는 과정과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는 상기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5에 전송완료신호를 보내는 과정과
전송완료신호를 받은 상기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5의 확인부55는 전송완료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전송완료결과가 디스플레이된 이후 발신자에 의해 상기 발신측단말기1가 콜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대체하여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5와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기(수신측)4는 후속콜 착신시 수신된 CID(CALLER ID)와, 기 수신된 선행메시지에 포함되어있는 CID를 비교하여 일치하였을 때 해당 선행메시지를 적절히 출력한 뒤 버퍼에서 삭제하거나 선행메시지 저장설정키의 입력에 의해 저장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있다.
도 5와 같은 과정으로 발신자는 수신자에게 선행메시지를 보낸 뒤 아무때나 전화를 걸어 선행메시지를 보이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 4, 도5과정에서 수신측단말기4에 수신된 선행메시지가 명함데이타인 경우에는 해당명함을 화면에 출력한 후, 통화가 끝나면 이용자에게 저장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안내를 화면에 띄워 저장을 선택하면 단말기에 마련된 명함철수단에 저장하고 취소를 선택하면 해당 명함을 삭제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있다.
또한, 상기 도4, 도5과정에서 인터넷웹페이지주소만을 선행메시지로서 받게되었을 때 상기 이동단말기4는 상기 주소에 자동으로 연결하여 상기 웹페이지를 출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있다.
다음은 이상에서 설명한 메시지콜을 응용한 시스템에 관한 설명이다.
먼저, 메시지콜을 이용해서 함께 보내는 모바일명함에 관한 것인데,
이용자들이 웹으로 접속하여 회원가입절차를 통해 ID부여받고, 자신의 모바일명함을 제작하여 자신의 명함 및 타인에게서 받은 명함들을 모아서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든 명함철이라는 개인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든 자신의 명함을 자신의 휴대폰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이를 메시지콜에 실어 상대방에게 콜과 함께 보낼 수 있도록 해주는 모바일명함시스템이 그것이다.
이때, 다운로드 받는 명함정보는 명함파일 자체일 수도 있고 명함의 닉일 수도 있으며, 명함의 닉일 경우에는 메시지콜을 작성할 때 메시지는 명함의 닉이 되는 것이며 발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명함의 닉을 판단하여 상기 모바일명함서버에 조회하여 해당 명함파일을 얻어서 상대방에게는 명함파일을 메시지콜에 실어 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명함조회과정에서 상기 명함을 받는 사람의 명함철에 자동으로 배달해주도록 프로그래밍하면 명함을 받는 사람이 좀 더 안전하고도 간편하게 명함관리를 할 수 있다. 즉, 모바일명함서버내의 명함철에 자신이 관리하는 모든 명함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자신의 휴대폰에 있는 명함철이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도 명함데이터는 온라인에서 안전하게 보관되고 있고 언제든지 자신의 휴대폰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명함에 고유한 ID를 부여하고, 모바일명함을 실제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린트할 때 상기 고유한 ID를 적당한 곳에 마킹하면, 상기 오프라인용 명함을 손에 넣은 상대방이 자신의 휴대폰이나 상기 모바일명함서버에서 사용자인증을 거친 후 상기 ID를 입력하여 해당하는 명함파일을 자신의 명함철에 간편하게 추가하는 명함관리수단이 제공된다. 이때 인쇄되는 상기 ID는 바코드로 표시하여 바코드인식수단이 구비된 PC나 휴대폰에서의 사용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ID는 영문자와 숫자를 사용하여 만들며, 총 10자리로 하고, 처음 6자리는 회원ID, 1자리는 명함구분숫자, 나머지 3자리는 인증문자열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26개 문자와 10개의 숫자의 합인 36에 6자리 ID이므로 2,176,782,336개의 ID를 부여할 수 있고, 한 회원당 최대 36개의 자신명함을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명함당 36문자 3자리의 경우의 수인 46,656개의 인증문자열이 가능하여 악의의 이용자가 임의의 ID를 서버에 입력하여 모르는 사람의 명함정보를 쉽게 얻을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자동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얻으려고 하는 시도를 방지하려고 하면, ID입력에 의한 명함추가의 경우 특정 회수이상 연속 잘못된 ID입력을 하는 경우 특정 시간만큼 재시도를 금지하여 회원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이어 3회 잘못된 ID를 입력하면 24시간 재시도 금지하도록 프로그래밍할 경우, 인증문자열을 제외한 순수한 회원ID를 알고 있다하더라도 해당 명함을 얻을 수 있으려면 하루에 3개씩의 인증문자열을 입력하여 총 46,656개의 인증문자열을 모두 시도하려면 15,552일, 약 42년 이상 걸리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모바일명함은 물론이고 인터넷에서 쓰는 온라인명함도 실제로 이미 시도된 적도 있지만 대중들이 표준적으로 사용토록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는데, 그 가장 큰 이유는 명함이라는 것이 처음 만난 자리에서 건네주는 것이 일반적인데 모바일명함은 휴대폰에 명함철기능이 없어서 가뜩이나 일반적이지도 않은데다 그것을 만들었다고 해도 그것을 언제 보내기 좋은 기회를 잡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처음 만난 자리에서는 종래의 종이명함을 건네게 될 것이고 그 이후에는 다시 모바일명함 같은 것을 보낼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타인에게 건넬 기회가 없는 명함을 누가 만들지도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명함을 메시지콜로 보낼 수 있게 함으로써, 이미 처음 만난 자리에서 종이명함을 교환했다 하더라도 이후 처음 전화하는 때에 "일전에... 어떠한 일로 만났던.. 어디의 아무개입니다..."와 같은 다소 어색한 분위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명함을 메시지콜로 보내어 전화를 받기 전에 자신의 존재를 미리 알림으로써 인사를 나누자 마자 서로를 알아본 채로 어색한 순간 없이 곧바로 명랑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비즈니스상 많은 사람을 상대하는 사람들이 메시지콜용으로 쓰려고 모바일명함을 많이 만들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다 보면 차차 다른 사람들도 쓰는 사람이 많아져서 모바일명함이 대중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콜러이미지에 관한 것인데,
상기 모바일명함서버에서는 메시지콜을 이용해 보내게 되는 명함(또는 단순한 명함의 한 형태로서 회원의 사진과 같은 이미지도 포함)에 콜러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모바일명함서버에의 회원ID 같은 것을 결합한 콜러명함(이후, 콜러이미지라 함)를 만들어서, 이를 휴대폰에 다운로드 받은 후, 자신이 보내고 싶은 상대방에게 메시지콜을 이용해 보내면, 상대방 휴대폰은 처음에는 메시지콜과 마찬가지로 해당 명함을 착신벨과 함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에 콜러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콜러이미지로 판단하여 특정 저장공간에 저장해두게 된다. 이후 콜러가 다시 발신을 하게 되면 이동통신교환국에는 가입자정보파일을 조회하여 해당 콜러가 콜러이미지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입자라고 판단하고 상대방이 CID서비스가입자 여부에 관계없이 CID 대신 미리 업데이트되어 있는 상기 모바일명함서버의 회원ID를 CID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보낸다. 상대방의 단말기에서는 전달받은 CID와 저장되어 있는 콜러이미지내의 C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콜러이미지를 착신벨과 함께 화면에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콜과 함께 자신을 알리고자 하는 사람이 매번 명함을 메시지콜에 붙여서 보내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ID는 오프라인용 명함을 인쇄할 때는 인증문자열까지 모두 인쇄를 하여 자신의 명함을 받은 사람이 서버에 ID를 입력하여 자신의 명함철에 자동추가할 수 있도록 하지만, CID로 보내게 되는 ID는 명함구분숫자 및 인증문자열을 제외한 회원ID만을 보내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이 미리 콜러이미지를 보낸 사람들의 휴대폰에서만 콜러이미지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그밖에 다른사람들의 휴대폰에서는 회원ID가 CID로서 출력되는데 자주 통화하는 사람은 그 회원ID를 알아볼 수 있어, CID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뿐만 아니라, 본인이 상대방에게 노출을 원하지 않는 처음 전화하는 상대방인 경우에는 회원ID만 가지고는 전화번호를 알 수 없어 전화번호 노출염려가 없고 또한 위에서 설명했듯이 인증문자열을 모르면 명함을 얻어낼 수도 없기 때문에 개인정보는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상기 콜러이미지는 이동단말기에 적합한 웹문서형식으로 구성되며, 콜러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정 코드값 및 상기 CID는 상기 콜러이미지를 구성하는 스크립트문서에 적절히 포함되어, 콜러이미지의 아이덴티티가 정의되며, 콜러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에서 이를 인식하도록 되어있다.
콜러이미지서비스를 구현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발신측단말기1에 의해 호가 발생하였을 때, 발신측 이동교환국에서는 발신을 시도한 이용자가 콜러이미지서비스가입자인지 판단하여, 가입자라면 별도로 마련된 이미지제공서버로부터 이미지를 인출하여 수신측단말기4에 전송하고, 전송확인이 끝나면 즉시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
도면을 통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콜러이미지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흐름도이다.
발신자가 전화를 하기 위하여 발신측단말기1를 이용해 전화를 하면 호가 발생한다.(S600)
상기 호는 메시지콜센터2의 교환기21로 전달되며,제어부22는 시스템DB24에 조회하여 상기 발신자의 콜러이미지서비스가입여부를 판별한다.(S610)
S610스텝에서 발신자가 콜러이미지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 s690스텝으로 간다.
상기 발신자가 '콜러이미지서비스가입자' 임이 판명되면,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메시지처리부23는 콜러이미지서버6에 해당 이미지를 요청하고, 콜러이미지서버6는 이미지DB62로부터 해당 이미지를 인출하여 메시지처리부23에 전달한다.(S620)
다음 과정으로, 발신측메시지콜센터2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에 콜러이미지전송 호 발생을 알리고, 수신측단말기의 통화중 여부를 의뢰하면, 수신측메시지콜센터3의 제어부32는 통화중여부를 발신측메시지콜센터2에 통보한다.(S630)
S630에서 수신측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닐 때 다른 곳에서 수신측단말기4로 호가 걸리지 않도록, 수신측단말기4를 통화중으로 처리한다.(S640)
다음 과정으로 메시지콜센터2는 상기 이미지를 전송부63를 통해 이미지를 메시지콜센터3로 전달하고,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는 수신측단말기4로 이미지를 전송한다.(S650)
발신측메시지콜센터2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3로부터 지정된 시간내에 '전송완료'신호가 당도하였는지 확인한다.(S660)
만일 S670스텝에서 콜러이미지 전송이 끝나면 수신측단말기4에 링을 울리게 한다.(S670)
위의 과정에서 수신측단말기4는 콜러이미지가 당도하면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콜러이미지(메시지콜)태그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함은 자명하다.
도 6의 이미지제공서버7는 이미지DB73로부터 사용자가 이미지를 선택하여 콜러이미지서버6로 전송할 수 있도록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사용자단말기에서 단말기 내의 이미지를 콜러이미지서버에 업로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통화가 이루어지기에 앞서 간단한 문자메시지나 예쁜 이미지나 자신의 사진이나 명함 등을 화면에 출력하여 발신자의 신분이나 통화의도 등을 미리 알 수 있게 사무실데스크에서만 하던 명함관리를 자신의 휴대폰에서 할 수 있게 되어 필요한 명함을 언제 어디에서든지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콜을 일반콜이나 일반메시지와 구분되도록 하는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메시지콜을 작성, 발신하는 제1단말수단과,
    상기 제1단말수단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콜을 전달받아 상기 표시수단을 비교하여 메시지콜로 판단하고, 상기 메시지콜을 제2단말수단에 전송하는 서버수단과,
    상기 서버수단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콜을 전송받아 상기 표시수단을 비교하여 메시지콜로 판단하고, 메시지 출력과 메시지콜알람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2단말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선행메시지를 나타내는 특정코드가 일반메시지체계에 삽입되거나, 또는 선행메시지를 나타내는 특정파일명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웹페이지의 URL일 때에는 해당 웹페이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콜알람은 사용자가 일반메시지 착신알람이나 일반콜착신알람과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알람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이동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이동단말기(발신측)가 발신자에 의해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발신측메시지콜센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b)상기 선행메시지를 상기 서버가 수신측메시지콜센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c)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선행메시지가 전달되었을 때 수신측단말기가 통화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d)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통화중이라면 발신측메시지콜센터를 통하여 발신측단말기에 '통화중'신호를 전달하는 과정과,
    e)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통화중이 아니라면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과,
    f)상기 수신측단말기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이를 메모리에 임시보관하는 과정과
    g)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발신측단말기에 전송완료신호를 보내는 과정과
    h)발신측단말기는 전송완료신호를 전달받아 수신측단말기에 자동으로 후속콜을 실시하거나, 사용자가 send버튼만 누르면 수신측단말기에 후속콜을 실시하도록 준비하는 과정과
    i)상기 발신측단말기에의해 발생된 후속콜이 메시지콜센터를 통하여 수신측단말기에 전환되는 과정과
    j)상기 수신측단말기는 후속콜이 착신되었을 때 저장된 선행메시지를 출력하고 선행메시지 출력알람을 실시하고 이후 착신벨을 울리는 과정과
    k)상기 수신측단말기는 선행메시지 도착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도 후속콜이 착신되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에 임시보관된 상기 선행메시지를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메시지콜처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메시지콜이 발생시 발신측 또는 수신측단말기를 적절히 통화중으로 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시지콜처리방법.
  7. 이동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이동단말기(발신측)가 발신자에 의해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발신측메시지콜센터로 전송함과 동시에 후속콜을 발생시키는 과정과
    b)상기 후속콜을 발신측 혹은 수신측메시지콜센터가 수신측단말기에대해 콜 전환대기하는 과정과,
    c)상기 선행메시지를 상기 발신측메시지콜센터가 수신측메시지콜센터로 전송하는 과정과
    d)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선행메시지가 전달되었을 때 수신측단말기가 통화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e)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통화중이라면 발신측메시지콜센터를 통하여 발신측단말기에 통화중신호를 전달하는 과정과,
    f)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통화중이 아니라면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과,
    g)상기 수신측단말기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바로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과,
    h)상기 수신측단말기에 의해 발생된 전송완료신호가 콜 전환대기중인 발신측 또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에 전달되는 과정과
    i)상기 콜 전환대기중인 발신측 또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가 수신측단말기에 후속콜을 전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메시지콜처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g)항은, "상기 수신측단말기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메모리에 임시보관하는 과정"으로 대신되고,
    j) 상기 수신측단말기는 콜이 착신되었을 때 저장된 선행메시지를 출력하고 선행메시지 출력알람을 실시하고 이후 착신벨을 울리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메시지콜처리방법.
  9. 제 7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메시지콜이 발생시 발신측 또는 수신측단말기를 적절히 통화중으로 처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시지콜처리방법.
  10. 이동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인터넷에 있는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에서 발신자에 의해 이미 작성되어있거나 새로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메시지서버로 보내는 과정과,
    b)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수신측단말기가 통화중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c)통화중이라면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에 통화중이라는 결과를 통보하는 과정과
    d)통화중이 아니라면,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단말기에 전달하는 과정과
    e)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선행메시지가 다 보내어지면 상기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에 전송완료신호를 전달하는 과정과,
    f)상기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는 전송완료신호가 전달되었을 때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g)이후, 상기 발신측단말기에의해 발생된 후속콜이 수신측단말기에 전환되는 과정과
    h)상기 수신측단말기는 후속콜이 착신되었을 때 임시보관된 선행메시지를 출력하고 선행메시지 출력알람을 실시하고 이후 착신벨을 울리는 과정과
    i)상기 수신측단말기는 선행메시지 도착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도 후속콜이 착신되지 않을 때 임시보관된 상기 선행메시지를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메시지콜처리방법.
  11. 이동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발신측단말기가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단말기로 전송하였을 때 상기 선행메시지가 수신측메시지콜센터로 전달되는 과정과
    b)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수신측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c)상기 수신측단말기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이를 임시보관하는 과정과
    d)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가 수신측단말기에 메시지전송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e)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가 현 발신자의 CID를 저장하는 과정과
    f)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가 발신측단말기에 전송완료신호를 보내는 과정과
    g)상기 발신측단말기는 상기 전송완료결과를 표시부에 적절히 표시하는 과정과
    h)전송완료결과가 표시된 이후 발신자에 의해 상기 발신측단말기가 콜을 실시하는 과정과
    i)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발신측단말기로부터 콜이 착신되었을 때 CID와e)과정에서 기 저장된 CID가 일치하는지 비교판단하는 과정과
    j)일치하는 CID가 있는 경우에 수신측단말기에 일치된 CID를 전달하고 수신측단말기에 콜을 전환하는 과정과
    k)상기 수신측단말기에서 도착된 CID와 저장된 각 선행메시지정보내의 CID를 비교하는 과정과
    l) k)과정의 비교결과 일치하는 선행메시지가 있다면 이를 인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m)이어 선행메시지 출력알람을 적절히 실시하고 이후 착신벨을 울리는 과정과
    n)수신측단말기가 전화를 받았을 때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선행메시지발신자로그에 있는 현 CID를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시지콜처리방법
  12. 이동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가 메시지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선행메시지를 수신측메시지콜센터에 전송하는 과정과
    b)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수신측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c)상기 수신측단말기는 메시지수신이 완료되면 이를 메모리에 임시보관하는 과정과
    d)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수신측단말기에 메시지전송완료를 확인하는 과정과
    e)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현 발신자의 CID를 저장하는 과정과
    f)상기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에 전송완료신호를 보내는 과정과
    g)전송완료신호를 받은 상기 인터넷선행메시지서버는 전송완료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h)전송완료결과가 디스플레이된 이후 발신자에 의해 상기 발신측단말기가 콜을 실시하는 과정과
    i)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발신측단말기로부터 콜이 착신되었을 때 CID와 e)과정에서 기 저장된 CID가 일치하는지 비교판단하는 과정과
    j)일치하는 CID가 있는 경우에 수신측단말기에 일치된 CID를 전달하고 수신측단말기에 콜을 전환하는 과정과
    k)상기 수신측단말기에서 도착된 CID와 저장된 각 선행메시지정보내의 CID를 비교하는 과정과
    l) k)과정의 비교결과 일치하는 선행메시지가 있다면 이를 인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m)이어 선행메시지 출력알람을 적절히 실시하고 이후 착신벨을 울리는 과정과
    n)수신측단말기가 전화를 받았을 때 수신측메시지콜센터는 상기 선행메시지발신자로그에 있는 현 CID를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시지콜처리방법
  13. 모바일명함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들이 웹으로 접속하여 명함을 제작할 수 있도록 만든 명함웹서버와,
    상기 명함웹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명함웹서버에서 제작된 모바일명함을 명함소유자의 휴대폰에 다운로드시켜주는 다운로드서버와,
    상기 다운로드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명함을 다운로드 받아 이를 특정한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명함을 포함하여 메시지콜을 작성, 발신하는 제1단말수단과,
    상기 제1단말수단으로부터 상기 모바일명함을 포함하는 메시지콜을 전달받아 제2메시지콜센터에 전달하는 제1메시지콜센터와,
    상기 제1메시지콜센터로부터 상기 메시지콜을 전달받아 제2단말수단에 전송하는 제2메시지콜수단과,
    상기 제2메시지콜센터수단으로부터 상기 메시지콜을 전송받아 상기 명함을 화면에 출력한 채로 착신벨을 울리는 제2단말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명함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시지콜센터수단이 상기 메시지콜을 받아서 상기 명함을 상기 제2단말수단의 소유자가 사용하는 상기 명함웹서버수단내에 존재하는 개인명함철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자동추가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명함시스템.
  15. 제 13항 내지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모바일명함은 모바일명함의 닉으로 되고,
    상기 제1단말수단은 상기 모바일명함의 닉으로 메시지콜을 작성, 발신하고,
    상기 제1메시지콜센터수단은 상기 메시지콜을 전달받아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명함의 닉에 해당하는 모바일명함을 상기 명함웹서버내에서 전송받아 상기 모바일명함으로 새로운 메시지콜을 만들어 이를 제2메시지콜센터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명함시스템.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명함은 고유한 넘버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유한 넘버를 적당한 곳에 마킹하여 상기 모바일명함의 이미지를 명함크기대로 출력하는 프린터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단말수단이나 상기 명함웹서버에서 사용자인증을 거친 사용자가 상기 고유한 넘버를 입력하여 해당하는 명함파일을 상기 사용자 자신의 명함철에 추가하는 명함관리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명함시스템.
  17.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파일 또는 명함파일에 CID를 덧붙여서 콜러이미지를 만들어 저장할 수있도록 제1이동단말수단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콜러이미지작성수단과,
    상기 콜러이미지를 제2이동단말수단으로 전송하는 콜러이미지전송수단과,
    상기 콜러이미지전송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콜러이미지를 구분하여 판단하는 제2이동단말내의 콜러이미지판단수단과,
    상기 콜러이미지를 저장하는 제2이동단말내의 콜러이미지저장수단과,
    상기 제1이동단말수단에서 발신하는 콜을 상기 제2이동단말로 전환할 때 CID를 같이 보내는 CID전송수단과,
    상기 CID와 상기 콜러이미지내의 CID를 비교하는 CID비교수단과,
    상기 CID비교수단에서 비교하는 두 CID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콜러이미지를 착신벨과 함께 출력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러이미지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콜러이미지작성수단은 전화번호가 아닌 별도의 고유ID를 이용자에게 부여하여 콜러이미지를 작성하는 콜러이미지웹서버수단이고,
    상기 CID는 상기 고유ID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러이미지시스템.
  19. 이동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 발신측단말기에 의해 호가 발생하는 과정과,
    b) 상기 호를 발생시킨 사용자가 콜러이미지서비스가입자인지 판별하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콜러이미지서비스가입자가 아니면 일반통화를 시도하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에서 상기 발신자가 '콜러이미지서비스가입자' 임이 판명되면, 콜러이미지서버로부터 상기 가입자가 기 등록한 이미지를 인출하여 전송대기하는 과정과,
    d) 발신측메시지콜센터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에 콜러이미지전송 호 발생을 알리고, 수신측메시지콜센터에 수신측단말기의 통화중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e) 상기 d)과정에서 수신측단말기가 통화중이면, 발신 또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에서 발신측단말기에 통화중 신호를 울리는 과정과,
    f) 상기 d)과정에서, 수신측단말기가 통화중이 아닐 때, 발신측메시지콜센터는 수신측메시지콜센터에 요청하여, 다른 곳에서 수신측단말기로 호가 걸리지 않도록, 수신측단말기4를 통화중으로 처리하는 과정과,
    g) 상기 f)과정이 끝나면 발신측메시지콜센터에서 수신측메시지콜센터를 통해 수신측단말기로 콜러이미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h) 상기 g)과정이 끝나면 수신측단말기에 링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콜러이미지처리방법.
  20. 모바일명함시스템 및 콜러이미지시스템에서 ID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명함의 ID는 명함소유자의 회원ID부와, 한 사람당 복수의 명함을 만들 수 있도록 할 경우에만 있으면 되는 명함구분부와, 인증문자열부로 구성되고,
    콜러이미지시스템에서는 CID로는 상기 인증문자열부는 제외한 ID로 전송되고,
    오프라인용 명함에 마킹되는 ID는 상기 회원ID부, 명함구분부, 인증문자열부가 모두 포함된 완전한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명함 ID 운용방법.
KR1020020062561A 2001-11-02 2002-10-14 데이터전송 선행 콜이 가능한 이동전화시스템 KR20030038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8276 2001-11-02
KR1020010068276 200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356A true KR20030038356A (ko) 2003-05-16

Family

ID=2956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561A KR20030038356A (ko) 2001-11-02 2002-10-14 데이터전송 선행 콜이 가능한 이동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83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76B1 (ko) * 2007-09-10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102409B1 (ko) * 2009-12-30 2012-01-05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발신자 부가정보 전달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단말을 이용한 발신자 부가정보 서비스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232A (ja) * 1997-05-27 1998-12-08 Daiichi Kosho:Kk 携帯型電話機
KR20000044536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전화 통신 시스템의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KR20010044092A (ko) * 2000-09-08 2001-06-05 김종민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운용방법
JP2001243413A (ja) * 2000-03-01 2001-09-07 Just Syst Corp 名刺管理システム、方法、その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携帯端末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100303990B1 (ko) * 1999-10-29 2001-11-02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KR100336628B1 (ko) * 1999-09-01 2002-05-16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
KR100344786B1 (ko) * 1999-07-15 2002-07-19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232A (ja) * 1997-05-27 1998-12-08 Daiichi Kosho:Kk 携帯型電話機
KR20000044536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전화 통신 시스템의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KR100344786B1 (ko) * 1999-07-15 2002-07-19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전송방법
KR100336628B1 (ko) * 1999-09-01 2002-05-16 조정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
KR100303990B1 (ko) * 1999-10-29 2001-11-02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JP2001243413A (ja) * 2000-03-01 2001-09-07 Just Syst Corp 名刺管理システム、方法、そのサーバ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携帯端末装置、並びに記録媒体
KR20010044092A (ko) * 2000-09-08 2001-06-05 김종민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676B1 (ko) * 2007-09-10 2009-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1102409B1 (ko) * 2009-12-30 2012-01-05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발신자 부가정보 전달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단말을 이용한 발신자 부가정보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8768B2 (en) Method for populating a caller&#39;s information to a host-based address book
CN100367320C (zh) 紧急呼叫系统以及其控制方法
US7561676B2 (en) Method for sending telephone message tag from calling party to recipient
KR100455864B1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1008630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582206B1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착신 정보 관리 방법
KR1006526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사용자 상태정보 전송 방법
JP6338166B1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24278A (ko) 무선단말기로 수신되는 호통화를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19891B1 (ko) 착신모드 지정이 가능한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8356A (ko) 데이터전송 선행 콜이 가능한 이동전화시스템
US7353015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erasing a notification message
KR100402414B1 (ko) 캐릭터정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JP4375317B2 (ja) 電話装置
KR20020008970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JP5080023B2 (ja) 発信者情報を表示可能な電話端末及びこれを用いた送受信方法
JP2019145972A (ja) 電話制御装置及び電話制御方法
KR100742210B1 (ko)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26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KR20060134392A (ko) 상황별 통화 대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54488B1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KR100989272B1 (ko) 통화중에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602734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그 방법
JP2001346236A (ja) 音声応答電話転送システム
KR20030006095A (ko) 가입자 맞춤형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