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316A -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316A
KR20030037316A KR1020010067814A KR20010067814A KR20030037316A KR 20030037316 A KR20030037316 A KR 20030037316A KR 1020010067814 A KR1020010067814 A KR 1020010067814A KR 20010067814 A KR20010067814 A KR 20010067814A KR 20030037316 A KR20030037316 A KR 2003003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mobile terminal
message
voice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의시스템
Priority to KR102001006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7316A/en
Publication of KR2003003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31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04M1/215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by non-intrusive coupling means, e.g. acoustic couplers
    • H04M1/2155Acoustic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outputting a voice of a short message is provided to receive a text message to convert the text message into a voice signal, when the text message has to be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and to output the voice signal, thereby enabling a user to listen to the received text message. CONSTITUTION: The second interface(410) is recipro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330) of a mobile terminal(300), exchanges various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300) according to serial communication methods, and conforms protocols according to standard communication rules. A CPU(420) is recipro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410), periodically inquires of whether a text message is received by building a timer therein, and receives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interface(410), then outputs the text message as a voice. A TTS(Text To Speech) module(430) is connected to the CPU(420), converts the text message applied from the CPU(420)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outside through a speaker(440).

Description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of short message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폴링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통신포트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TTS(Text To Speech) 모듈을 통해 음성으로 출력시켜 주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output device and a method of a short message, and more particularly, to periodically receive a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a text messag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output device and a method for outputting a text message through a text to speech (TTS) modul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이동전화 가입자의 증대와 이동전화시스템의 발달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에서는, 'SMS'라 칭함) 및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이동통신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업자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확대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간단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SMS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a short message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obile phone subscribers and the development of a mobile phone system.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is now possibl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provides a basis for the user to conveniently acces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operators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expand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service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mobile subscribers, and in particular, various services are created and provided to subscribers using SMS capable of simple message transmission.

SMS는 GSM(Gr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PCS 방식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메시지 통신을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망에서의 메시지를 이동망 내의 처리장치에 일단 축적한 다음 디지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여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SMS는 이동통신단말기 상태에 관계없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통신 사업자에게는 망의 사용 효율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SMS enables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GSM (Gr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PCS, etc., or accumulates a message from a fixed network into a processing device in a mobile network and then converts it into a digital message. Refers to a service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an SMS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sending and receiving messages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ensure the use efficiency of the network to th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도 1은 종래의 SMS의 송신 및 수신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of a conventional SMS.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측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버튼을 눌러 작성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110). 송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기지국 및 교환국을 거쳐 단문 메시지 센터(Short Message Center: 이하에서는, 'SMC'라 칭함)에 전달된다. SMC는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다른 이동국으로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SMC에 의해 교환국 및 기지국을 통해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가 전달된다(S120).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특정 영역(예컨대, EEPROM)에 저장하고(S130),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가 도착하였음을 통보해 준다(S140). 다음에, 수신측 이동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도착 통보를 받은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확인 메뉴를 선택하였는가를 판단(S150)하여 해당 메뉴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S130)로 진행하여 해당 문자 메시지를 계속 저장하고,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의 LCD에 디스플레이한다(S160).A user of a sending mobile terminal who wants to send a text message writes a text message to be transmitted using a keypad of his terminal, and transmits the text message by pressing a send button (S110).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hort messag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C') via the base station and the switching center. The SMC stores the transmitted text messages in digital form and serves to send text messages to other mobile stations. That is, the tex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witching center and the base station by the SMC (S120).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text message in a specific area (eg, EEPROM) (S130) and notifies the user that the text message has arrived (S140). Next, the receiving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text message arrival notification has selected the text message confirmation menu (S150), and if the menu is not selected, proceeds to step S130 to continue storing the text message. When the user selects a text message confirmation menu, the corresponding text message is displayed on the LCD of the mobile terminal (S16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SMS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문자 메시지가 도착하면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메뉴를 선택하여 이동 단말기의 표시창에 문자 형태로 디스플레이 시켜 확인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등과 같이 표시창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리하게 문자를 확인하다가 예기치 않은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이동 단말기의 표시창은 일정 개수의 문자만이 표시 가능하므로 표시창의 범위보다 긴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키 버튼을 사용하여 화면을 스크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SMS는 한글로 최대 50자 정도 서비스가 가능한데, 이들 문자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한 화면당 소정 개수의 문자만을 표시해 주고, 사용자의 특정 키 버튼이 입력되면 나머지 문자를 표시해 주는 방식을 따른다. 따라서, 전송된 모든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키 조작이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MS has various problems. First, when a text message arrives,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select the menu and display the text message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ceived text message cannot be accurately confirmed in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display window such as when the user is driv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unexpected accidents while checking the text by force. Second, since only a certain number of character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croll the screen using a key button to check a text message longer than the display window. In general, the conventional SMS can be serviced up to 50 characters in Hangul, but because these characters cannot be displayed on one screen, only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acters are displayed per screen, the remaining characters when the user's specific key button is entered Follow the way of displaying. Therefore, in order to check all the transmitted text messages,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re is a separate key operation by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의 통신 포트에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gener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short message that outputs a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by voice It is to provide a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기적으로 이동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질의하는 폴링 방식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달 받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 short message from a mobile terminal using a polling method that periodically inquir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text message.

도 1은 종래의 SMS의 송신 및 수신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of a conventional SM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외부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oice output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외부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oice output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제1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 및 음성출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voice output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제1 실시예의 추가 옵션에 대한 이동 단말기 및 음성출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voice output device for additional op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2 실시예의 추가 옵션에 대한 이동 단말기 및 음성출력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voice output device for additional op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300: 이동 단말기200, 400: 음성출력 장치100, 300: mobile terminal 200, 400: voice output device

410: 제2 인터페이스부420: CPU410: second interface unit 420: CPU

430: TTS 모듈부440: 스피커430: TTS module unit 440: speaker

450: 제2 메시지 저장부460: 전원부450: second message storage unit 460: power unit

470: 키 입력부480: 표시부470: key input unit 480: display uni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SMS 센터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을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 및 데이터의 표현 형식 및 전기적 특성의 차이,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어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시리얼 통신방식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교환하고, 표준 통신 규격에 따라 프로토콜을 일치시키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자체 타이머를 내장하여 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질의하고,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총괄 제어하는 CPU; 및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로부터 인가되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TTS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stores a text message transmitted from an SMS center,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to display the text message at the request of the user. A voice message output device for a short messag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mess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 message and a difference between a representational form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data and a first interface unit for adjusting an operation timing, and outputting a text message as a voice. A second interface unit interconnected with the first interface unit of the terminal, exchanging various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and matching protocols according to a standard communication standard; A CPU which is interconnected with the second interface unit and has a built-in timer to inquire whether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periodically, and collectively control to receive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unit and output the voice message; And a TTS module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converting a text message applied from the CPU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message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또한, 본 발명은 SMS 센터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을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 및 데이터의 표현 형식 및 전기적 특성의 차이,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1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어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방법에 있어서, 제1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음성출력 장치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고, 이동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문자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결과를 음성출력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있으면, 문자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stores the text message delivered from the SMS center, and the microcomputer for the overall control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to display the text message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the message storage for storing the text message delivered through the microcomputer A voice message output method of a short messag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interface unit for adjusting a difference between an expression and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a part and data and an operation timing to output a text message as a voice, the voice connected to a first interface Performing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a second interface unit of the output device and inquir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text message; Checking whether a text message has been received and delivering the result to the voice output device; And if there is a text message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requesting and receiving a text message, converting the received text message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of a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장치(200)와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oice output devi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성출력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통신포트(110)에 본 음성출력 장치(200)를 결합시켜 상호간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포트 연결부(210)와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20)로 이루어져 있다. 부가적으로, 다양한 옵션을 본 음성출력 장치(200)에 추가한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의 저장 개수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창(230),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또는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버튼(240) 및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삭제 버튼(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output device 200 combines the voice output device 200 with the communication por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outputs the received text message with the port connection unit 210 for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It consists of a speaker 220 for. In addition, when various options are added to the voice output apparatus 200, a display window 230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stored text messages to the user, and a key signal for instructing to output the stored text messages as voice or messages. It may include an output button 240 for generating and a delete button 250 for generating a key signal instructing to delete the stored text messag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장치(200)와 이동단말기(100)의 외부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음성출력 장치(200)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음성출력 장치(도 3의 200)는 이동 단말기(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음성출력 장치(도 2의 200)의 포트 연결부(210)가 필요 없으며, 포트 연결부(210)를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제1 실시예의 음성출력 장치와 동일하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oice output devi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200 are wireless. Is connected. Since the voice output device 200 (in FIG. 3) of the second embodimen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rt connection unit 210 of the voice output device (200 in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is not required. Except for the connection part 210, all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audio output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1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300) 및 음성출력 장치(4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이동 단말기(300)는 마이컴(310), 메시지 저장부(320) 및 제1 인터페이스부(330)를 포함하고, 음성출력 장치(400)는 제2 인터페이스부(410), CPU(420), TTS 모듈부(430) 및 스피커(4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 microcomputer 310, a message storage unit 320, and a first interface unit. The voice output device 400 includes a second interface unit 410, a CPU 420, a TTS module unit 430, and a speaker 440.

마이컴(310)은 이동 단말기(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외부(SMS 센터)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음성출력 장치(400)의 문자 메시지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icrocomputer 310 collective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n particular, the microcomputer 310 controls to receive and store a tex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SMS center) and display the text message at the user's request. Play a role. In addition, when the text message request signal of the voice output device 400 is input, it extracts and delivers the text message.

메시지 저장부(320)는 마이컴(310)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컴(310)을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마이컴(310)의 문자 메시지 추출명령에 따라 해당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메시지 저장부(320)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EEPROM 등을 사용한다.The message storage unit 320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10, stores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computer 310, and extracts and transmits the text message according to the text message extraction command of the microcomputer 310 Play a role. In general, the message storage unit 320 uses a flash memory or an EEPROM.

제1 인터페이스부(330)는 마이컴(310)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표현 형식 및 전기적 특성의 차이,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330)는 외부 기기(예컨대, 음성출력 장치)의 번지해독 회로를 비롯하여 데이터 및 제어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300)와 음성출력 장치(400)는 데이터 형식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이컴(310)이 처리할 수 있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여야 한다.The first interface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310 and adjusts the difference in data representation format,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timing. The first interface unit 330 includes data and control lines as well as a address decoding circuit of an external device (eg, an audio output device). Since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have different data formats,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apparatus 400 must be converted into a protocol format that the microcomputer 310 can process.

음성출력 장치(400)의 제2 인터페이스부(410)는 제1 인터페이스부(33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인터페이스부(330)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표현 형식 및 전기적 특성의 차이,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여 표준 규격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와 음성출력 장치(400)간의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The second interface unit 410 of the voice output device 400 is interconnected with the first interface unit 330, and adjusts the difference in data representation format,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timing like the first interface unit 330. To exchange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according to the standard.

제1 인터페이스부(330)와 제2 인터페이스부(410)는 시리얼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에 송신측[예컨대, 음성출력 장치(400)]과 수신측[예컨대, 이동 단말기(300)]에서는 서로 상대방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출력 장치(400)에서 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이동 단말기(300)로 질의하고, 이동 단말기(300)는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음성출력 장치(400)와의 접속을 허가하는 폴링 방식을 사용한다.The first interface unit 330 and the second interface unit 410 communicate according to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and when a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 transmitting side (eg, the voice output device 400) and a receiving side (eg, a mobile terminal). 300,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data while checking the state of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utput device 400 periodically queries the mobile terminal 300 whether to receive a text message, and the mobile terminal 300 permits connection with the voice output device 400 when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Use polling method.

일반적으로, 각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통신 포트의 핀 배열 및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통신 포트를 통한 데이터 교환은 해당 단말기의 규격에 맞도록 상호 결합되어야 한다. 이동 단말기(300)와 외부 장치[예컨대, 음성출력 장치(400)]간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은 EIA/TIA의 권고안인 IS-99, IS-707, IS-657, IS-658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IS-707A.3을 사용한다. 이동 단말기(300)와 음성출력 장치간의 물리적인 결합 방식은 UART(범용 비동기 송수신 장치: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방식을 사용하며, 통신 포트의 핀 배열은 단말기 모델별로 상이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리얼 통신 방식에는 RS-232C, RS-422 또는 RS-485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직렬 포트는 일반적으로 9핀 또는 25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300)의 통신 포트가 25핀이고, 본 음성출력 장치(400)의 통신 포트가 9핀인 경우의 핀 결합은 아래의 표와 같다. 아래의 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각 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general, since the pin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port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mobile terminal, data exchange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should be mutually coupled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s a dat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300 and an external device (eg, the voice output device 400), IS-99, IS-707, IS-657, and IS-658, which are recommended by the EIA / TIA, may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707A.3 is used. The physical coupling metho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uses a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method, and the pin arrangement of the communication port is different for each terminal model. RS-232C, RS-422 or RS-485 may be used for the serial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rial port is generally composed of 9 pins or 25 pins. When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25 pins, and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voice output device 400 is 9 pins, the pin combinations are as follows. The table below is merely exemplary, and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del of each terminal.

9핀 커넥터9-pin connector 25핀 커넥터25-pin connector 기능function 1One 88 DCD(Data Carrier Detect)Data Carrier Detect (DCD) 22 33 RD(Receive Data)=RxRD (Receive Data) = Rx 33 22 TD(Transmit Data)=TxTD (Transmit Data) = Tx 44 2020 DTR(Data Terminal Ready)Data Terminal Ready (DTR) 55 77 SG(Signal Ground)SG (Signal Ground) 66 66 DSR(Data Set Ready)Data Set Ready (DSR) 77 44 RTS(Request To Send)Request To Send (RTS) 88 55 CTS(Clear To Send)Clear To Send (CTS) 99 2222 RI(Ring Indicator)Ring Indicator (RI)

CPU(420)는 제2 인터페이스부(41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자체 타이머를 내장하여 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질의하고, 제2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PU 420 is interconnected with the second interface unit 410, has a built-in timer, and periodically inquires whether a text message is received, and receives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unit 410. It performs overall control to output voice.

TTS 모듈부(430)는 CPU(420)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420)로부터 인가되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40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TS 모듈은 문자정보 또는 기호를 인간의 음성으로 변환하여 들려주는음성합성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칩으로서, 컴퓨터와 같은 기계장치를 통하여 자동으로 음성파형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음성합성기술에는 제한된 어휘 개수와 구문구조의 문장만을 합성하는 제한 어휘합성 또는 자동음성응답시스템(ARS)과 임의의 문장을 입력받아 음성을 합성하는 무제한 어휘합성 또는 문서/음성 변환(TTS: Text-to-Speech) 시스템이 있다. 음성합성(TTS:Text To Speech) 방법은 한국어의 모든 음소에 대한 발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연결시켜 연속된 음성을 생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음성의 크기, 길이, 높낮이 등을 조절해 자연스러운 음성을 합성해 내는 자연어 처리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TTS에 대한 기술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세부 구성 및 동작은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The TTS module unit 430 is connected to the CPU 420, and converts a text message applied from the CPU 420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400. The TTS module is a microchip using voice synthesis technology that converts text information or symbols into human voices and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generating voice waveforms through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computer. Speech synthesis technology includes a limited vocabulary synthesis or automatic speech response system (ARS) that synthesizes only a limited vocabulary number and syntax structure sentences, and an unlimited lexical synthesis or document / voice conversion (TTS: Text-). to-Speech) system. The Text To Speech (TTS) method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a pronunciation database for all phonemes in Korean and the concatenation of them to generate a continuous speec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are included.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TT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제1 실시예의 추가 옵션에 대한 이동 단말기(300) 및 음성출력 장치(4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즉시 출력하는 기능(즉, 기본 옵션) 이외에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기능이 포함된 음성출력 장치(400)의 구성이다. 이러한 추가 옵션을 구현하기 위해 제2 메시지 저장부(450), 전원부(460), 키 입력부(470) 및 표시부(4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4의 음성출력 장치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전달될 때마다 해당 문자 메시지를 한 번 출력해 주지만, 도 5의 음성출력 장치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은 물론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저장한 후, 추후에 사용자가 요청하면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청취하지 못한 경우에 원하는 때에 해당 문자 메시지를 다시 들을 수 있다. 또한, 도 5의 음성출력장치는 자체 전원에 의해 동작하므로 이동 단말기(300)와 이격시켜 독립적으로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언제 어디에서든지 청취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for the additional o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text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immediately output the received text message (that is, the default option) The voice output device 400 includes a function of storing a message and outputting a text message by voice at the request of a user. The second message storage unit 450, the power supply unit 460, the key input unit 470, and the display unit 48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implement these additional options. While the voice output device of FIG. 4 outputs the text message once every time the received text message is delivered, the voice output device of FIG. 5 stores the text message as well as the voice output of the received text message. If the user requests it later, the stored text message can be output as a voice. Thus, when the user does not hear the received text message, the user can listen to the text message again when desired. In addition, since the voice output device of FIG. 5 operates by its own power source, the voice output devic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o listen to an independently stored text message anytime and anywhere.

제2 메시지 저장부(450)는 CPU(420)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PU(420)를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CPU(420)의 문자 메시지 추출명령에 따라 해당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제2 메시지 저장부(450)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EEPROM 등을 사용한다.The second message storage unit 450 is connected to the CPU 420, stores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CPU 420, and extracts the text message according to the text message extracting command of the CPU 420. It serves to transmit. In general, the second message storage unit 450 uses a flash memory or an EEPROM.

전원부(460)는 본 음성출력 장치(4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470)는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또는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버튼(240) 및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삭제 버튼(2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출력 버튼(240)을 이용하여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고, 청취 도중 삭제 버튼(250)을 누르면 해당 문자 메시지는 제2 메시지 저장부(450)에서 삭제된다. 또한, 키 입력부(470)에 음성출력 모드와 메시지출력 모드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로 문자 메시지 및 음성을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60 serves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voice output device 400. The key input unit 470 includes an output button 240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outputting a stored text message as a voice or a message, and a delete button 250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deleting a stored text message. . Therefore, the stored text message can be listened to using the output button 240, and if the delete button 250 is pressed during the listening, the text message is deleted from the second message storage 450.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47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button (not shown) for designating a voice output mode and a message output mode, so that the user may receive a text message and voice in a desired mode.

표시부(480)는 CPU(420)에 연결되어 있으며, CPU(420)의 제어하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의 개수, 현재 모드 등을 표시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표시부(480)는 LCD를 사용한다.The display unit 480 is connected to the CPU 420 and serves to display the number of text messages, the current mode, and the like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420. In general, the display unit 480 uses an LCD.

도 6은 제2 실시예의 추가 옵션에 대한 이동 단말기(300) 및 음성출력 장치(4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이동 단말기(300)와 음성출력장치(400)간의 데이터 통신을 무선(예컨대, RF 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으로 구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음성출력 장치(400)에 제2 무선 통신부(490)를 구비한다. 제2 무선 통신부(490)는 이동 단말기(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무선 송신부 및 무선 수신부를 포함하며, 무선 통신부(490)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음성출력 장치(400)는 제2 무선 통신부(490)를 제외하고 도 5의 음성출력 장치(400)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for the additional o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wirelessly communicates data between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For example, RF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etc.). To this en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includes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90.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90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ing unit and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90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voice output device 400 of FIG. 6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voice output device 400 of FIG. 5 except f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9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of the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추가 옵션으로 구현된 유선 음성출력 장치에 관한 동작 설명이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는 SMS 센터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oic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wired voice output apparatus implemented as an additional option. Herein,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text message from the SMS center, the mobile terminal stores the text message in the message storage unit.

먼저, 사용자는 본 유선 음성출력 장치를 이동 단말기의 통신 포트에 연결한다. 결합됨과 동시에 본 음성출력 장치는 동작이 개시되고, CPU는 자체 타이머를 가동시켜 시간을 계수한다. CPU는 설정된 주기마다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있는가의 여부를 질의한다(S710). 이 때, 이동 단말기의 마이컴은 제1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의 유무를 판별하여 해당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음성출력 장치로 전달한다.First, the user connects the wired voice output device to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same time, the voice output device starts operation, and the CPU starts its own timer to count the time. The CPU inquires whether there is a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unit every set period (S710).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o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text message stored in the first message storage unit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result to the voice output device through the first interface unit.

CPU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응답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720). 판단 결과,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없으면 상기 단계(S710)로 진행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문자 메시지 수신여부를 질의하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있으면 해당 문자 메시지의 전달을 요청하여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S730).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와 유선 음성출력 장치간의 데이터 교환은 통신 포트를 통한 시리얼 통신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무선 음성출력 장치의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한다.The CPU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text message receiv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S7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re is no received text messa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10 to query whether a text message is received at a set period, and if there is a received text message, requests for delivery of the corresponding text message to receive a text message (S730). . Here, data exchang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d voice output device is performed by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and in the case of the wireless voice output device, data is exchanged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PU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TTS 모듈부로 인가함과 동시에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제2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지시하고, TTS 모듈부는 인가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S740). 여기에서, 제2 메시지 저장부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는 추가 옵션이 구비된 음성출력 장치인 경우에 해당하는 단계이며, 기본 옵션만이 구비된 음성출력 장치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로 모든 처리과정은 종료된다. 이후의 모든 단계는 추가 옵션이 구비된 음성출력 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이다.The CPU instructs the received text message to the TTS module unit and simultaneously stores the text message in the second message storage unit, and the TTS module converts the authorized text message into voice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S740). ). The storing of the text message in the second message storage unit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voice output device is provided with additional options, and the voice output device having only basic options outputs the text message as voice. All processing is terminated. All subsequent steps are operational descriptions of the audio output device with additional options.

다음에, CPU는 제2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정보(예컨대, 문자 메시지 개수 등)를 LCD에 표시한다(S750). 여기에서, CPU는 음성출력 장치의 현재 모드가 음성출력 모드인지 메시지출력 모드인가를 판별하여 해당 모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키 입력부에 모드 선택에 대한 기능 버튼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LCD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여 현재 저장된 문자 메시지의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 메시지를 설정된 모드(예컨대, 음성출력 모드 또는 메시지출력 모드)에 따라 음성 또는 메시지로 출력하거나 임의의 문자 메시지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키 입력부의 출력 버튼과 삭제 버튼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CPU는 출력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760)하여 출력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음성 또는 메시지로 출력하고(S770), 삭제 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S780)하여 삭제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제2 메시지 저장부에서 삭제한다(S790).Next, the CPU displays information (eg, the number of text messages) on the LCD about the text message stored in the second message storage unit (S750). Here, the CPU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mode of the voice output device is the voice output mode or the message output mode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mode (when the key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 function button for mode selection).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CD to know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stored text message. Accordingly, the user may output a desired text message as a voice or a message or delete any text message according to a set mode (eg, a voice output mode or a message output mode). This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n output button and a delete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That is, the CPU determines whether an output button is input (S760), when the output button is input, outputs the corresponding text message as a voice or message (S770),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lete button is input (S780). The text message is deleted from the second message storage unit (S790).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게 유선 방식과 무선 방식으로 나뉘며, 각 방식은 다시 기본 옵션과 추가 옵션의 음성출력 장치로 구별된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보유한 위치추적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이용자가 위치한 근처의 교통정보 또는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를 청취할 수 있다. 즉, 교통정보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 있으므로 운전 중에도 효율적인 교통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긴급하거나 중요한 메시지를 바로바로 청취하여 문자 메시지의 중요도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체크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출력 모드와 메시지 출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a wired method and a wireless method, and each method is further divided into a basic output option and an additional option voice output device.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isten to a text message received by a mobile terminal by voice. Therefore, by using the location tracking function possessed by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raffic information near the user's location or traffic information of a desired area in real time. That is, the traffic information can be listened to by voice, so that efficient traffic information can be used even while driving. In addition, by immediately listening to an urgent or important message,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importance of the text message to respond quickly. 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user to select the voice output mode and the message output mode,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ervice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질의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달된 문자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달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별도의 동작없이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of the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periodically queries whether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and if the tex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and received. By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the received text message can be listened to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또한,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별도의 추가 옵션을 구비함으로써, 본 음성출력 장치를 이동 단말기와 분리하여 언제 어디에서든지 해당 문자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having a separate additional option for storing the forwarded text message to output the text message by voice at the user's request, the voice output dev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listen to the text message anytime, anywhere It has an effect.

또한, 음성출력 모드와 메시지출력 모드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모드로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voice output mode and the message output mode so that the user can choose arbitrari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ceive the service output the voice or text message in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Claims (9)

SMS 센터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을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 및 데이터의 표현 형식 및 전기적 특성의 차이,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에 있어서,Receives and stores the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SMS center, and the overall control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to display the text messag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message storage unit and th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micom A voice message output device for a short messag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interface unit for adjusting a difference in expression format,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timing to output the text message as a voice.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시리얼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교환하고, 표준 통신 규격에 따라 프로토콜을 일치시키는 제2 인터페이스부;A second interface unit interconnected with the first interface unit of the mobile terminal, exchanging various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rial communication method, and matching protocols according to a standard communication standard;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자체 타이머를 내장하여 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질의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총괄 제어하는 CPU; 및A CPU which is interconnected with the second interface unit and has a built-in timer to periodically query whether to receive a text message, and to collectively control to receive and output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unit as voice; And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TTS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And a TTS module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configured to convert the text message applied from the CPU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 the voice message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PU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CPU의 문자 메시지 추출명령에 따라 해당 문자 메시지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제2 메시지 저장부;A second message storage unit interconnected with the CPU, storing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CPU, and extracting and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according to a text message extraction command of the CPU;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또는 메시지로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 버튼 및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삭제 버튼을 포함하여 해당 키신호를 상기 CPU로 인가하는 키 입력부; 및A key input unit configured to apply a corresponding key signal to the CPU, including an output button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outputting a stored text message as a voice or a message, and a delete button for generating a key signal for deleting a stored text message; And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의 제어하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PU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a text message sto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음성출력 모드와 메시지출력 모드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The voice output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key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 function button for designating a voice output mode and a message output mode.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data wirelessly with the mobile termi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제2 인터페이스부는 통신 포트를 통해 결합되고,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질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폴링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장치.The first interface unit and the second interface unit are coupled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and periodically polls whether or not to receive a text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a polling method for receiving a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Voice output device for short messages. SMS 센터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전체적인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을 통해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저장부 및 데이터의 표현 형식 및 전기적 특성의 차이, 동작 타이밍을 조정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방법에 있어서,Receives and stores the text message received from the SMS center, and the overall control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to display the text messag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message storage unit and th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micom In the voice output method of a short messag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interface unit for adjusting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format, electrical characteristics, operation timing to output the text message as a voice, 상기 제1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음성출력 장치의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Performing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a second interface of a voice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e, and querying the mobile terminal whether a text message is received; 문자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결과를 음성출력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Checking whether a text message has been received and delivering the result to the voice output device; And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있으면, 상기 문자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방법.And if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requesting and receiving the text message, converting the received text message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text messag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해당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toring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text message; 출력 버튼이 입력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저장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또는 메시지로 출력하는 단계; 및If the output button is input, outputting the stored text message as a voice or a message according to a set mode; And 삭제 버튼이 입력되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방법.If the delete button is input, the voice output method of the short mess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leting the text messag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이동 단말기와 음성출력 장치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방법.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oice output device exchange data wirelessly.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이동 단말기와 음성출력 장치는 통신 포트를 통해 결합되고, 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질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폴링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의 음성출력 방법.The mobile terminal and the voice output device may be coupled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and a polling method may be used to periodically receive a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by querying the mobile terminal whether to receive a text message. Voice output of the message.
KR1020010067814A 2001-11-01 2001-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KR200300373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814A KR20030037316A (en) 2001-11-01 2001-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814A KR20030037316A (en) 2001-11-01 2001-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316A true KR20030037316A (en) 2003-05-14

Family

ID=2956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814A KR20030037316A (en) 2001-11-01 2001-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7316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631A (en) * 1991-08-29 1993-03-12 Nec Commun Syst Ltd Voice paging system
KR19990061920A (en)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Voic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e
KR19990061649A (en)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Text service method of mobile phone
KR19990073977A (en)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Hands-free kit short message speech synthesis device and method
JP2002140086A (en) * 2000-11-02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conversion from short message for portable telephone set into voice outpu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631A (en) * 1991-08-29 1993-03-12 Nec Commun Syst Ltd Voice paging system
KR19990061920A (en) * 1997-12-31 1999-07-26 서평원 Voic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message
KR19990061649A (en) * 1997-12-31 1999-07-26 김영환 Text service method of mobile phone
KR19990073977A (en)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Hands-free kit short message speech synthesis device and method
JP2002140086A (en) * 2000-11-02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conversion from short message for portable telephone set into voice out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0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395332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among tele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bluetooth device
KR101123118B1 (en) An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in a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US89838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erver for processing voice message
US20020052185A1 (en) Portable data collection network with telephone and voice mail capability
JP2001156723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DE60137756D1 (en) "WAP" PROTOCOL TELEVISION
US20020111155A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06901B1 (en) An interpreter using mobile phone
KR20040016200A (en) System for providing for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internet and thereof
KR200300373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oice of Short Message
KR20080071379A (en) Method for operating short-range network using bluetooth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1076500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KR200700662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orm short message into voice message by the wireless headset
KR100539957B1 (en) How to check short text servic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37573A (en) Apparatus to send short message service
US2008006442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message transformation function
KR200249965Y1 (en) An interpreter using mobile phone
KR100386292B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smartphone equipped wireless lan card
WO2004060004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85251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text message to voice offering
KR100352856B1 (en) Method for applying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in Mobile System
KR100995999B1 (en) Intercom connect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having a bluetooth modul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KR20010018955A (en) A supplying system and the supplying method for audio compression file
KR20000030622A (en) Wireless movable Internet Service Method and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