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140A -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140A
KR20030028140A KR1020010060141A KR20010060141A KR20030028140A KR 20030028140 A KR20030028140 A KR 20030028140A KR 1020010060141 A KR1020010060141 A KR 1020010060141A KR 20010060141 A KR20010060141 A KR 20010060141A KR 20030028140 A KR20030028140 A KR 20030028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ing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13948B1 (en
Inventor
탁희선
구기설
한명희
안용일
유지현
권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948B1/en
Publication of KR2003002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948B1/en

Lin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supplying learning and position information using a mobile learning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receive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mobile learning terminal and to supply executed learning contents using the mobile learning terminal for parents, a teacher, or other pers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STITUTION: If a mobile learning terminal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401), a service provider server is connected to a sub learning terminal through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nitors the current position and utilization(402). If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lace is requested from a main learning terminal of the mobile learning terminal(403), the service provider server searches information of the current place in a database(404). The searched information is suppli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405). The service provider server judges whether the main learning terminal requests to terminate the supply of information(406). If the main learning terminal is disconnec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provider server terminates a service supply job for the mobile learning terminal(407).

Description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방법과 그 시스템{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portable learning terminal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 및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earn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location of a learning terminal user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bout a method and a system that can be provided.

무선 통신(wireless telecommunication) 기술이 발달하면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뿐만 아니라 문자와 영상정보를 포함한 멀티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학습 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는 그 일 예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provide not only voice but also multimedia including text and image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ly, services based on portable terminal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A portable terminal with a learning function is one example.

그러나 현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공되고 있는 학습 기능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하는 학습 정보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자신이 수행한 학습 내용을 부모, 교사 또는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시도하여야 한다.However, a learning function currently provided using a portable terminal is about receiving and playing desired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performed to the parent, the teacher or the other person, another method should be tried.

또한, 특정 장소의 학습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자가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한다고 하여도, 원하는 장소의 학습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복잡한 검색과정을 거쳐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박물관에 관련된 학습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박물관에 접근하기 위한 검색과정을 거쳐야 한다.In addition, even if a service provider configures a database to provide learn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obtain the learning information of a desired place, a complicated search process using a portable terminal must be performed. For example, in order to obtain learn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museum using a portable terminal, a search process for accessing a specific museum using a portable terminal must be performed.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어 있는 대부분의 기술은 메인 관리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하고 있다가 위치 정보를 원하는 사람에게해당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정도이다.Various technique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have also been proposed. However, most of the technologies currently proposed are such that the main manager grasps and manage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erson who wants the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수신하고,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한 학습 내용을 부모, 교사 또는 다른 사람들에게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that can receive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nd can provide learning contents performed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o a parent, a teacher, or other peopl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urpose is t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별로 구분된 학습 내용과 아바타(avata)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and avatars classified by age of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감시한 결과를 토대로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요구한 특정 장소의 학습 정보를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별도의 검색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learn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place requested by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search process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based on the result of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n real time using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감시하고, 감시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대응되는 홈 매니저로 제공하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at monitors a location of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in real time using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es the monitoring result to a corresponding home manag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서버,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단체에서운영하는 제 2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학습 컨텐츠가 요구되면, 제 1 서버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학습 컨텐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제 1 서버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송출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 2 서버가 제 1 서버에 접속되어 휴대용 학습 단말기용으로 저장된 학습 정보를 요구하면, 저장된 학습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 2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server fo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via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in a group to which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belongs; In the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second server, if learning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e first server transfers th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Storing, by the first server, learning information transmitted while storage is requested from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f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and requests stored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ransmitting the stor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아바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other object, the providing of the learning content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n avatar suitable for the age of the user.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 제공방법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서버,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응되는 홈 서버,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단체에서 운영되는 제 2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학습 컨텐츠가 요구되면, 제 1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학습 컨텐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제 1 서버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송출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홈 서버와 제 2 서버중 어느 하나가 제 1 서버에 접속되어 휴대용 학습 단말기용으로 저장된 학습 정보를 요구하면, 학습 정보를 요구한 서버로 저장된 학습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first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hom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portable A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second server operated by a group to which a learning terminal belongs, wherein when learning content is requested from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e first server may learn content suitable for the age of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Providing a to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toring, by the first server, learning information transmitted while storage is requested from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f one of the home server and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and requests the stored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stor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requesting the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sirable.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접속되면, 위성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단계;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 대한 학습 정보를 요구하면, 서버는 상기 장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by providing a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comprising: monitoring a location of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in real time via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connected; Whe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requests learning information about a place where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the server preferably includes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the plac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응되는 홈 서버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접속되면, 위성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단계; 홈 서버가 서버에 접속되면, 감시하는 단계에서 감시된 결과를 홈 서버로 자동적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home server, the server comprising: monitoring a location of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connected; When the home server is connected to the serv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automatically sending the monitored results to the home server in the monitoring step.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버가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한 위치 감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휴대용 학습 단말기와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존재하면,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존재를 알리기 위한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trieving location monitor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registered by the server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As a result of the search, if there is at least one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presence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ing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 제공 방법은 주 학습 단말기와 주 학습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한 부 학습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 학습 단말기와 서버가 접속된 후, 주 학습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출력되는 컨텐츠를 토대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주 학습 단말기는 입력된 선택 정보를 서버로 송출하여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부 학습 단말기와 주 학습 단말기가 연결되면,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정보를 주 학습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 학습 단말기는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학습 정보를 읽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되는 학습 정보중 중 선택된 학습 정보에 대한 서버로의 저장이 요구되면, 주 학습 단말기는 선택된 학습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consisting of a main learning terminal and a sub-learning terminal detachable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provides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d outputt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an age of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from a server after the main learning terminal and the server are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based on the output content, the main learning terminal transmits the inpu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If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and the main learning terminal are connected, checking whether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ub learning terminal and desired by the main learning terminal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is desired, the main learning terminal reads and displays all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If storage of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among the display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is required, the main learning terminal preferably includes transmitting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은, 촬영 기능을 구비한 부 학습 단말기와 부 학습 단말기가 장착되면,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주 학습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 학습 단말기와 접속되면,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수신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서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 1 서버와 접속되어, 휴대용학습 단말기용으로 저장된 학습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2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consisting of a main learning terminal that can rea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learning terminal, if the sub learning terminal with the shooting function and the sub learning terminal is mounted; Learning terminal; When connect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suitable for the age of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and stores the received learning information while the storage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server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questing, receiving and outputting learning information stored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학습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 기능과 위성 통신망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부 학습 단말기와 상기 부 학습 단말기가 장착되면, 상기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주 학습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 학습 단말기와 접속되면, 위성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감시하고, 주 학습 단말기로부터 컨텐츠가 요구되면,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주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수신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서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 1 서버와 접속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신하는 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hooting function and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comprising a sub learning terminal having a function and a main learning terminal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learning terminal when the sub learning terminal is mounted; When connect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of the sub learning terminal is monitored through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if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is provided, and the main learning terminal A first server for storing the received learning information while being stored from the first server; When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ome server that automatically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 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부(sub) 학습 단말기의 기능 블록 도이다.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sub learning terminal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주(main) 학습 단말기의 기능 블록 도이다.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ain learning terminal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shown in FIG. 1.

도 4a,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흐름 도이다.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service provider server in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 학습 단말기의 동작 흐름 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ain learning terminal in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 무선 통신망(110),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 데이터 베이스(125), 위성 통신망(130), 홈 서버(140), 홈 매니저(145),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 프로젝터(151), PC(Personal Computer)(155)로 구성된다.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는 부(sub) 학습 단말기(105)와 주(main) 학습 단말기(106)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a service provider server 120, a database 125,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d a home server 140. , A home manager 145, a kindergarten or school server 150, a projector 151, and a personal computer (PC) 155.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s composed of a sub learning terminal 105 and a main learning terminal 106.

부 학습 단말기(105)는 아이들도 한 손에 쥘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사이즈의 휴대용 기기이다. 이 부 학습 단말기(105)는 촬영 기능, 위성 통신망(130)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 및 사용자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사용여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is a portable device small enough to hold children.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performs a shooting function, a function of provi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d a function of providing contact information of a user by detecting contact with a user. It is configured to be.

도 2는 부 학습 단말기(105)의 기능 블록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 학습 단말기(105)는 제어부(201), 촬영부(202), 디스플레이부(203), 마이크(204), 스피커(205),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06), 배터리(207), 메모리(208),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09), 센서부(210)로 구성된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2,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ncludes a control unit 201, a photographing unit 202, a display unit 203, a microphone 204, a speaker 205,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206, and a battery ( 207, a memory 208,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209, and a sensor unit 210.

촬영부(202)는, 부 학습 단말기(105)의 사이즈가 손에 쥘 수 있을 정도로 콤팩트한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잘 알려진 콤팩트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구비되어 있는 촬영부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특히, 촬영부(202)는 부 학습 단말기(105) 사용자가 유치원을 다니는 아이인 경우에도 혼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피사체와 일정 거리만 유지시켜 주면 제어부(201)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적으로 초점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Since the photographing section 202 has a compact size such that the size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can be obtained by hand, the photographing section 202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hotographing section provided in the well-known compact digital video camera. In particular, the photographing unit 20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1 to automatically adjust the focus when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maintains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bject so that the user can take pictures alone even when the user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s a kindergarten child. It is composed.

디스플레이부(203)는 작은 사이즈(small)의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3)는 제어부(201)에 의해 제어되어 GSP모듈(209)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06)을 통해 부 학습 단말기(105)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위성 통신망(130)을 통해 부 학습 단말기(105)가 위치한 장소에 근접한 장소에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부 학습 단말기가 위치한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부 학습 단말기(105)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03)에 디스플레이 된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위치 정보는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만약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전송될 경우에는 주 학습 단말기(106)을 경유하여 부 학습 단말기(105)로 제공된다.The display unit 203 is configured of a small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display unit 203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1 to display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of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through the GSP module 209 or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6. For example, when the sub-learning terminal of an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at a place close to the place where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s located, the sub-learning is received. Information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terminal 10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3.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f it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t is provided to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via the primary learning terminal 106.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125)에 사전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결정된다. 즉,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에 관련된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때, 부 학습 단말기(105)와 근접한 장소에 위치할 경우에, 이를 알기 원하는 사용자의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면, 등록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상기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된다. 예를 들어 친구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상기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등록할 수 있다. 근접한 장소는 디스플레이부(203)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보고, 부 학습 단말기(105)를 기준으로 상호간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에 포함되는 영역으로, 사전에 설정된다.An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25 by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That is, when stor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n the database through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when located in a place close to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of the user who wants to know this The registered portable learning terminal becomes the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For example,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owned by a friend may be registered as the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e adjacent place is an area included in a distance such tha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3 can be viewed and visually confirm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마이크(204)는 제어부(201)에 의해 제어되어 부 학습 단말기(105) 사용자의 음성 또는 촬영 현장의 소리를 기록할 수 있도록 입력한다. 스피커(205)는 제어부(201)에 의해 제어되어 일반적인 스피커와 같이 재생되는 음을 출력한다.The microphone 204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1 so as to record the voice of the user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or the sound of the shooting site. The speaker 20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1 to output sound reproduced like a general speaker.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6)은 제어부(201)에 의해 제어되어 주 학습 단말기(106)와 무선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6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1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배터리(207)는 부 학습 단말기(105)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201)는 부 학습 단말기(105)가 주 학습 단말기(106)에 장착되면, 배터리(207)가 충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battery 207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The controller 201 controls the battery 207 to be charged when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is mounted in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메모리(208)는 제어부(201)에 의해 제어되어 촬영부(202)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와 마이크(204)를 통해 입력된 음 정보를 저장한다. GPS 모듈(209)은 제어부(201)에 의해 제어되어 위성 통신망(130)을 통해 부 학습 단말기(105)의 현재 위치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 제공하거나 위성 통신망(1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근접한 장소에 존재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다.The memory 20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1 to stor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02 and soun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04. The GPS module 209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1 to provi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or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Receive information provided from 120.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is, for example, information for notifying that the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exists in a nearby place.

센서부(210)는 복수개의 센서들로 구성된다. 센서부(210)는 부 학습 단말기(105) 사용자에 대한 부 학습 단말기(105)의 접촉여부 및 촬영을 원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01)로 제공한다. 즉, 센서부(210)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 중 사용자가 부 학습 단말기(105)를 손에 쥐었는지 감지하는 용도의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부 학습 단말기(105)를 손에 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201)는 GPS 모듈(209)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 부 학습 단말기(105)의 현재의 위치 및 부 학습 단말기(105)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송출한다. 또한, 센서부(210)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 중 촬영 온/오프 제어용 센서는 촬영을 시작할때와 종료할 때 제어된다. 상기 촬영 온/오프 제어용 센서의 제어상태에 따라 제어부(201)는 촬영부(202)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sensor unit 2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The sensor unit 210 detects whether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is in contact with the user of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and whether or not photographing is desired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201. 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olds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by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holds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in the hand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210, the controller 201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and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are in use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through the GPS module 209. In addition, amo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210, the sensor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on / off is controlled when the photographing starts and ends. The controller 20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202 according to the control state of the photographing on / off control sensor.

주 학습 단말기(100)는 부 학습 단말기(105)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부 학습 단말기(105)의 장착이 가능하며, 부 학습 단말기(105)가 장착되면 부 학습 단말기(105)의 메모리(208)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 올 수 있고,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주 학습 단말기(100)는 메모판과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main learning terminal 100 i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may be mounted, and when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is mounted, the memory of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may be installed. Information stored in the 208 may be read, and the learning content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e memo board.

도 3은 주 학습 단말기의 기능 블록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 학습 단말기(100)는 제어부(301), 명령 입력부(302),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04), 마이크(305), 스피커(306), 배터리(307), 메모리(308), 무선 통신 모듈(309)로 구성된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ain learning terminal. Referring to FIG. 3,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301, a command input unit 302, a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4, a microphone 305, a speaker 306, It consists of a battery 307, a memory 308,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9.

명령 입력부(302)는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입력정보 이외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mmand input unit 302 is configured to input a command other than input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는 LCD로 구성되어, 무선 통신 모듈(309)을 통해 수신된 학습용 컨텐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04)을 통해 부 학습 단말기(105)로부터 읽은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스마트 펜이나 철필(Stylus)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문자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is configured as an LCD, and displays the contents for learning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9, information read from the sub learning terminal 105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4, and the like. It can be configured to enter text or data using tools such as a pen or stylus.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04)은 부 학습 단말기(105)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06)과 함께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4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each other together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6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use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마이크(305)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주변의 음을 입력한다.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나 주변의 음은 제어부(301)로 제공된다.The microphone 305 inputs a user's voice or surrounding sound. The input user's voice or surrounding sound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301.

제어부(301)는 음성 인식 및 문자 인식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301)는 마이크(3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모듈(309)과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와의 접속을 제어하고,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주 학습 단말기(106)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1)는 마이크(305)를 통해 입력된 음이 메모리(308)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1 has a voice recognition and a text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1 services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9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by using a voice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05 or tex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connection with the provider server 120 and controlling the receiving of the learning content, the function of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1 may control the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05 to be stored in the memory 308.

스피커(306)는 제어부(301)에 의해 제어되어 재생되는 음을 출력한다. 배터리(307)는 주 학습 단말기(106) 운영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speaker 306 outputs a sound which is controll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1. The battery 307 supplies power for operating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메모리(308)는 제어부(301)에 의해 제어되어 부 학습 단말기(105)로부터 읽어온 학습 정보중 저장을 원하는 학습 정보, 편집된 학습 정보로서 저장을 원하는 학습 정보, 학습 내용을 편집하는데 필요한 정보,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컨텐츠중 저장을 원하는 컨텐츠 및 마이크(305)로 입력되는 음 중 저장을 원하는 음을 저장한다.The memory 30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1, the learning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learning information read from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the learning information to be stored as the edited learn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edit the learning content, Among the learning contents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the contents to be stored are stored and the sounds input to the microphone 305 are stored.

무선 통신 모듈(309)은 무선 통신망(110)과 제어부(301)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9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control unit 301.

무선 통신망(110)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무선 통신방식과 같은 통신방식으로 운영되는 망이다. 따라서,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얻어진 학습 내용을 무선 통신망(110)에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 제공하도록 하고, 홈 서버(140)와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가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에 접속되어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에 대한 학습 정보를 원하면, 해당되는 학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network operated by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n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ADS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the learning contents obtained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are provided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home server 140 and the kindergarten or school server 150 provide the service. When connected to the provider server 120 and wants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t provides a path for providing the corresponding learning information.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접속되면, 데이터 베이스(125)에 사전에 저장한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학습 컨텐츠와 아바타(avata)를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아바타는 가상 공간에서의 인물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가상 공간 네트워크 상에서 아바타를 통하여 자신을 대신하여 원하는 활동 또는 행위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whe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25,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provides learning contents and avatars suitable for the user's age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An avatar means a person in a virtual space, and a person can perform a desired activity or action on his or her behalf through an avatar on a virtual space network.

데이터 베이스(125)는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에 의해 제어되어 연령별 학습 컨텐츠,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에는 상기 부 학습 단말기(105)와 근접된 장소에 있는지를 알고자 하는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The database 125 is controlled by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and configured to store age-related learning conten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who wants to know whether the user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위성 통신망(130)은 기존의 위성 통신망과 같이 구성되어 부 학습 단말기(105)의 위치 정보와 사용여부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 제공할 뿐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부 학습 단말기(105)로 제공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is configured like the existing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use of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as well as related to the loc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It provides a path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홈 서버(140)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의 부모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이 홈 서버(140)는 무선 통신망(12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와 접속되면, 현재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의 위치 및 부 학습 단말기(105)의 사용여부를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원할 경우에는 데이터 베이스(125)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내용도 볼 수 있다.The home server 140 is a server operated by the parent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When the home server 140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0, the home server 140 may automatical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urrent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and whether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is used. If desired, the learning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125 can be viewed.

홈 매니저(145)는 홈 서버(140)와 연결되어, 홈 서버(140)가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와 접속을 시도하도록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홈 서버(140)를 통해 수신한 학습 내용 및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에 대한 위치 및 사용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한다.The home manager 145 is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140, inputs a command for the home server 140 to attempt to connect with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and learns the contents received through the home server 140. Outputs information to grasp th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 사용자가 현재 속해 있는 단체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다. 이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는 홈 서버(140)와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와 접속하여 데이터 베이스(125)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에 대한 학습 정보를 읽어 온다. 프로젝터(151)와 PC(155)는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읽어온 학습 정보를 출력한다. 따라서,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 사용자는 유치원이나 학교에 제출하여야 하는 과제(예를 들어 현장 과제)를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데이터 베이스(125)에 저장하여 두면,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와 프로젝터(151) 또는 PC(155)를 통해 자신이 수행한 과제를 검사 받거나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The kindergarten or school server 150 is a server operated by a group to which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belongs. The kindergarten or school server 150 accesses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in the same manner as the home server 140 and reads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stored in the database 125. The projector 151 and the PC 155 are connected to the kindergarten or school server 150 and output learning information rea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Therefore,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performs a task (for example, a field task) to be submitted to a kindergarten or a school by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and stores the data in the database 125. Through the school server 150 and the projector 151 or the PC 155, the student has an opportunity to inspect or present a task performed by the student.

도 4a,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서버의 동작 흐름 도이다.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service provider server in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01 단계에서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접속되면, 서비스 제공자 서버(이하 서버라고 약함)(120)는 제 402 단계에서 위성 통신망(130)을 통해 부 학습 단말기(105)와 접속하여 현재의 위치 및 사용여부를 감시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는 데이터 베이스(125)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에 관련된 정보 중 근접된 위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들의 위치 감시정보를 검색한다.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들에 대한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에 대한 위치 정보 수집 방법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져 데이터 베이스(125)에 저장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 서버(120)는 데이터 베이스(125)에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들의 위치 감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색 작업을 수행한다.Whe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step 401, the service provider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er)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in step 402. ) To monitor the current position and usage.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monitors the location of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s registered in advance in order to know whethe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stored in the database 125 exists in a proximate location. Retriev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s is stored in the database 125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er server 120 performs the search by using the location monitoring information of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s in the database 125.

제 403 단계에서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의 주 학습 단말기(106)로부터 현재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가 요구되면, 제 404 단계에서 서버(120)는 데이터 베이스(125)에서 현재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제 405 단계에서 검색된 정보를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주 학습 단말기(106)로 제공한다. 서버(120)는 제 406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로부터 정보 제공 종료가 요구되었는지 판단한다. 제 406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로부터 정보 제공 종료가 요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405 단계로 리턴되어 계속해서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한다.In step 403, if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step 404, the server 120 accesses the database 125. Search for information about your current location. The information retrieved in step 405 is provid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operation 406, the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information termination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6 that the end of the provision of the information is not requir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05 and continues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그러나, 제 406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로부터 정보 제공 종료가 요구되었으면, 제 407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와 비 접속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제 407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와 비 접속상태이면, 서버(120)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에 대한 서비스 제공 작업을 종료한다. 제 407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와 비 접속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 402 단계로 리턴 된다.However, if the end of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n step 406, it is determined in step 407 whether it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n step 407, if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s not connected to the server 120, the server 120 terminates a service providing task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7 that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s not in a disconnected stat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02.

제 408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로부터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학습 컨텐츠가 요구되면, 서버(120)는 제 409 단계에서 데이터 베이스(125)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한다. 제 410 단계에서 검색된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베이스(125)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중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컨텐츠를 검색한다.If learning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step 408, the server 120 searches f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database 125 in step 409.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retrieved in step 410,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age is searched for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database 125.

제 411 단계에서 검색된 학습 컨텐츠를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주 학습 단말기(106)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주 학습 단말기(106)의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에 해당되는 학습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아바타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 retrieved in step 411 is provid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ly, the learn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of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avatar suitable for the age of the user may be provided together.

제 412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 제 413 단계에서 서버(120)는 주 학습 단말기(106)로부터 송출되는 저장이 요구된 학습 정보를 수신한다. 제 414 단계에서 서버(120)는 수신된 학습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25)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 406 단계로 진행된다. 그러나 제 412 단계에서 저장이 요구되지 않으면, 제 406 단계로 바로 진행된다.If storage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n step 412, in operation 413, the server 120 receives learning information requested to be stor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n operation 414, the server 120 stores the received learnin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25. The flow proceeds to step 406. However, if no storage is required in step 412, the flow proceeds directly to step 406.

제 415 단계에서 부 학습 단말기(105)가 위치한 곳을 기준으로 근접된 영역으로 지정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학습 단말기의 부 학습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416 단계에서 서버(120)는 존재하는 다른 학습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위성 통신망(130)을 통해 부 학습 단말기(105)로 송출하고, 제 402 단계로 리턴한다. 이 때, 근접된 영역에 존재하는 다른 학습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무선 통신망(110)과 주 학습 단말기(105)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공되는 정보는 다른 학습 단말기가 누구의 학습 단말기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문자 정보이거나 단순한 알람 정보일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15 that the sub-learning terminal of at least one other learning terminal exists in an area designated as an area adjacent to the location where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s located, the server 120 exists in step 416. Information about another learning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105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02.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bout the other learning terminal in the adjacent area may be implemented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5. The provided information may be text information or simple alarm information to determine whose learning terminal is another learning terminal.

한편, 제 417 단계에서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홈 서버(140)가 서버(120)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418 단계에서 홈 서버(140)와 접속처리를 수행한 후, 데이터 베이스(125)에 등록되어 있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의 부 학습 단말기(105)의 현재 위치 및 사용여부 감시 결과를 홈 서버(140)로 송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17 that the home server 140 requests the connection with the server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step 418 after performing th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home server 140, the data The current location and usage monitoring result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base 125 are transmitted to the home server 140.

제 419 단계에서 홈 서버(140)로부터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용으로 저장된 학습 정보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420 단계에서 서버(120)는 데이터 베이스(125)에서 휴대용 학습 단말기(100)용 학습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학습 정보를 홈 서버(140)로 송출한다. 제 421 단계에서 홈 서버(140)와의 접속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20)는 홈 서버(140)에 대한 서비스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제 421 단계에서 홈 서버(140)와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420 단계로 리턴되어 저장된 정보 송출작업을 계속 수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19 that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s required from the home server 140, in step 420, the server 120 uses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100 in the database 125. The learning information is searched and the found learning information is sent to the home server 14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21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home server 140 has been released, the server 120 ends the service work on the home server 140.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21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home server 140 has not been releas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420 to continue transmitting the stored information.

제 422 단계에서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로부터 접속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20)는 제 419 단계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제 422 단계에서 유치원 또는 학교 서버(150)로부터 접속이 요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홈 서버(140)로부터도 접속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에 서버(120)는 제 401 단계로 리턴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22 that access is requested from the kindergarten or school server 150, the server 120 returns to step 419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process.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22 that the connection is not requested from the kindergarten or school server 150 and the connection is not requested from the home server 140, the server 120 returns to step 401.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주 학습 단말기의 동작 흐름 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ain learning terminal in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01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와 서버(120)가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접속되면, 제 502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 사용자가 학습 컨텐츠가 요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서버(120)와의 접속 및 학습 컨텐츠 요구는 주 학습 단말기(106)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and the server 120 are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step 501, the user of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determines whether learning content is requested in step 502. The access to the server 120 and the request for learning content may use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제 502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 사용자가 학습 컨텐츠가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3 단계에서 컨텐츠 요구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309)와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서버(120)로 송출한다. 제 504 단계에서 무선 통신망(110)과 무선 통신 모듈(309)을 통해 서버(120)로부터 학습 컨텐츠를 수신한다. 제 505 단계에서 수신된 학습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로 출력한다. 이 때, 아바타도 함께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If the user of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determines that learning content is requested in operation 502, the conten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9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in operation 503. . In operation 504, the learning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server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9. The learning content received in operation 505 is output to the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At this time, the avatar can also be received and output.

제 506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에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토대로 원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선택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3 단계로 리턴되어 선택 정보를 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서버(120)로 송출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6 that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desired learning information is input based o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3 and transmits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10. To be sent.

그러나, 제 506단계에서 선택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7 단계에서 부 학습 단말기(105)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 507 단계에서부 학습 단말기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8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는 서버(120)와 주 학습 단말기(106)간의 접속 해제가 요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접속 해제가 요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5 단계로 리턴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6 that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not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s connected in step 507.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7 that the sub-learning terminal is not connected, in step 508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determines whether disconnection between the server 120 and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s requi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onnection is not requir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505.

그러나, 접속 해제가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9 단계에서 서버(120)와 주 학습 단말기(106)간의 접속을 해제하고 작업을 종료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ease of the connection is required, in step 509,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rver 120 and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s released and the operation ends.

제 507 단계에서 부 학습 단말기(106)가 주 학습 단말기(106)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0 단계에서 제 510 단계에서 부 학습 단말기(105)에 저장된 정보가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 제 510 단계에서 부 학습 단말기(105)에 저장된 정보가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1 단계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04)를 통해 부 학습 단말기(105)의 메모리(208)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에 출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07 that the sub-learning terminal 106 is mounted in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it is determined wheth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s required in step 51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0 that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s requeste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08 of the sub-learning terminal 105 is read and display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4 in step 511. And output to the data input unit 303.

제 512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입력부(303)에 출력된 정보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3 단계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한 편집이 요구되는지를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2 that a selection signal for information output to the display and data input unit 303 is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editing of the information selected in step 513 is required.

제 513 단계에서 편집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4 단계에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제공되는 편집 기능으로, 촬영한 영상에 원하는 도형이나 모양을 삽입할 수 있다. 제 515 단계에서 편집된 정보에 대한 저장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6 단계에서 편집된 정보를 저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3 that editing is required, the editing function is provided in step 514. With the provided editing function, you can insert a desired figure or shape into the captured image. If it is determined that storage of the edited information is requested in step 515, the edited information is stored in step 516.

그러나, 제 513 단계에서 편집이 요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5 단계로 진행된다. 제 517 단계에서 선택된 정보 또는 편집된 정보에 대해 서버(120)에 저장이 요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 517 단계에서 서버(120)에 저장이 요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8 단계로 진행되어 서버(120)로 해당되는 학습 정보를 송출하고 제 508 단계로 리턴 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3 that editing is not required, the flow proceeds to step 515. In operation 51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rver 120 is required to store the selected information or the edited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7 that the storage is requested to the server 120, the flow proceeds to step 518 to send the corresponding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120 and returns to step 508.

그러나, 제 515 단계에서 주 학습 단말기(106)에 저장이 요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517 단계로 진행된다. 그리고, 제 517 단계에서 서버(120)에 저장이 요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 508 단계로 리턴 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5 that storage is not required for the main learning terminal 106, the flow proceeds to step 517. If it is determined in step 517 that storage is not required in the server 120, the flow returns to step 508.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 연령에 맞는 학습 컨텐츠와 아바타를 제공받을 수 있고,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한 내용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부모나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단체의 교사나 친구들 또는 다른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can be provided with learning contents and avatars suitable for the ag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anytime, anywher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arent or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can learn the contents learned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provided to teachers, friends or others of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 organization belongs.

박물관, 전시회, 유적지, 음악당, 미술과, 전시장과 같은 특정 장소의 학습 정보를 별도의 검색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Learning information of specific places such as museums, exhibitions, historic sites, music halls, art departments, and exhibition halls can be quickly provided without a separate search process.

또한, 홈 서버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접속되면, 대응되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위치 및 사용여부에 관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제공하도록 되어 있어 집에서도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 및 현재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me server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use of the corresponding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automatically provided so that the home server can identify the location and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Can be.

그리고,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친구나 그와 유사한 상대가 근접한 장소에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can be used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friend or a similar person is in close proximity.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claim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Claims (19)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서버,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단체에서 운영하는 제 2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first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cond server operated by a group to which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belongs. In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학습 컨텐츠가 요구되면,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학습 컨텐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If learning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providing a learning content suitable for an ag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송출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by the first server, learning information transmitted while storage is requested from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상기 제 2 서버가 상기 제 1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용으로 저장된 학습 정보를 요구하면, 저장된 학습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2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the stor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and requests stored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아바타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learning content further comprises an avatar suitable for the age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에서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information comprises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에서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정보와 촬영한 영상을 편집한 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information is one of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edit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서버,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응되는 홈 서버,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소속되어 있는 단체에서 운영되는 제 2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first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hom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and a second server operated by a group to which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belongs. In the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학습 컨텐츠가 요구되면,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학습 컨텐츠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If learning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providing a learning content suitable for an ag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송출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by the first server, learning information transmitted while storage is requested from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상기 홈 서버와 상기 제 2 서버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서버에 접속되어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용으로 저장된 학습 정보를 요구하면, 학습 정보를 요구한 서버로 상기 저장된 학습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When one of the home server and the second serv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to request stored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e stored learn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requesting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oing.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위성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단계;Monitoring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connected;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장소에 대한 학습 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장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I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requests learning information about a place where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the server searches for information on the place and provides the learning information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ow to Provide.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응되는 홈 서버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hom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위성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단계;Monitoring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is connected;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감시하는 단계에서 감시된 결과를 상기 홈 서버로 자동적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And when the home server is connected to the server,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monitored result to the home server in the monitoring ste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여부를 더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nitoring step further comprises monitoring the us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contact with the user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상기 송출단계는 상기 감시된 결과에 상기 사용여부를 감시한 결과를 포함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The transmitting step i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results including the result of monitoring the use of the monitored resul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해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한 위치 감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Retrieving, by the server, location monitoring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registered with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상기 검색결과,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와 근접한 곳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휴대용 학습 단말기가 존재하면, 상기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로 상기 존재를 알리기 위한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The search result, if there is at least one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portable learning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indicating the presence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ing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terminal. 주 학습 단말기와 상기 주 학습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한 부 학습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learning terminal comprising a main learning terminal and a sub learning terminal detachable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and a server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learning using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주 학습 단말기와 상기 서버가 접속된 후, 상기 주 학습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After the main learning terminal and the server are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ain learning terminal receiving and outputt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from the server; 출력되는 컨텐츠를 토대로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주 학습 단말기는 입력된 선택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출하여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If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input based on the output content, the main learn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inpu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receiv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상기 부 학습 단말기와 상기 주 학습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정보를 상기 주 학습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지 체크하는 단계;When the sub learn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checking whether the main learning terminal user desires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learning terminal; 상기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 학습 단말기는 상기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학습 정보를 읽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learning terminal is desired, the main learning terminal reads and displays all learn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learning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학습 정보중 중 선택된 학습 정보에 대한 상기 서버로의 저장이 요구되면, 상기 주 학습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학습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And when the storage of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among the displayed learning information is requested to the server, the main learning terminal transmitting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부 학습 단말기에서 읽은 학습 정보 중 선택된 학습 정보를 상기 주 학습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storing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among the learning information read by the sub learning terminal in the main learning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 학습 단말기로부터 읽혀지는 학습 정보는 상기 부 학습 단말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earning information read from the sub learning terminal comprises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using the sub learning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단계는 상기 주 학습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학습 정보에 대한 편집을 원할 경우에,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further comprises providing an editing function when the main learning terminal user wants to edit the selected learning information.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촬영 기능을 구비한 부 학습 단말기와 상기 부 학습 단말기가 장착되면, 상기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주 학습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A portable learning terminal comprising a sub learning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a main learning terminal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ub learning terminal when the sub learning terminal is mounted;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주 학습 단말기와 접속되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주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수신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서버;A first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content suitable for an ag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and to store the received learning information while being stor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when the main learnin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1 서버와 접속되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용으로 저장된 학습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2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And a second server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questing, receiving and outputting learning information stored for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에 대응되는 홈 서버와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단체에서 운영되는 서버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15. Th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server is one of a hom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and a server operated by a group to which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belong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학습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방식과 문자입력방식 중 하나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main learning terminal is configured to input a user command using one of a user's voice input method and a text input meth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 학습 단말기와 상기 주 학습 단말기는 상호간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The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sub learning terminal and the main learning terminal are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무선 통신망과 위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학습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a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촬영 기능과 상기 위성 통신망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부 학습 단말기와 상기 부 학습 단말기가 장착되면, 상기 부 학습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주 학습 단말기로 구성된 휴대용 학습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ary learning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nd a function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ain learning terminal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when the secondary learning terminal is mounted. Learning terminal;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주 학습 단말기와 접속되면, 상기 위성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감시하고, 상기 주 학습 단말기로부터 컨텐츠가 요구되면, 상기 휴대용 학습 단말기 사용자의 연령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주 학습 단말기로부터 저장이 요구되면서 수신된 학습 정보를 저장하는제 1 서버;When connected to the main learning terminal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location of the sub learning terminal is monitored through the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if the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ge of the portable learning terminal user is provided. And a first server for storing the learning information received while the storage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 1 서버와 접속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신하는 홈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And a home server that automatically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connected to the firs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부 학습 단말기의 위치를 감시한 결과, 상기 위치가 특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소로 인식된 상태에서 상기 주 학습 단말기로부터 정보 제공이 요구되면, 상기 장소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및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first server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sub-learning terminal, and if the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main learning terminal while the location is recognized as a place capable of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Learning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
KR1020010060141A 2001-09-27 2001-09-27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0813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41A KR100813948B1 (en) 2001-09-27 2001-09-27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41A KR100813948B1 (en) 2001-09-27 2001-09-27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40A true KR20030028140A (en) 2003-04-08
KR100813948B1 KR100813948B1 (en) 2008-03-14

Family

ID=2956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141A KR100813948B1 (en) 2001-09-27 2001-09-27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94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199B1 (en) * 2010-07-27 2012-04-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online education service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KR101162188B1 (en) * 2004-05-06 2012-07-05 한민규 A mobile education method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 system thereof
WO2014127241A1 (en) * 2013-02-14 2014-08-21 American Public University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lear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8319B2 (en) 2007-05-29 2014-01-28 Livescribe Inc. Customer authoring tools for creat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smart pen applications
WO2011008862A2 (en) * 2009-07-14 2011-01-20 Zoomii, Inc. Markup language-based authoring and runtime environment for interactive content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036A (en) * 1998-01-21 1999-08-16 문덕만 Comprehensiv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N1267161A (en) * 1999-03-16 2000-09-20 电话通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subscriber state and position information in radio network
KR20010000583A (en) * 2000-10-07 2001-01-05 정임수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wireless terminal us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10008054A (en) * 2000-11-06 2001-02-05 김진흥 Meeting information provide using GPS
KR20010070863A (en) * 2001-06-14 2001-07-27 유선진 A comput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 fitness education contents us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188B1 (en) * 2004-05-06 2012-07-05 한민규 A mobile education method us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a system thereof
KR101135199B1 (en) * 2010-07-27 2012-04-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online education service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WO2014127241A1 (en) * 2013-02-14 2014-08-21 American Public University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948B1 (en) 200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e et al. Freedom to roam: a study of mobile device adoption and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visual and motor disabilities
RU2417437C2 (en) Displaying network objects o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US20080182587A1 (en) Attractions network and mobile devices for use in such network
CN103842977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11024A (en) Operation method for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JP2000172596A (en) Portable calculation device, server and system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portable device to network
KR20140099606A (en) Sharing Method of Service Page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the same
KR20150079371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terminal to an electromyography device
US20020037745A1 (en) Radio apparatus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to be processed by data-processing apparatuses, by using peripheral apparatuses that can perform radio communication, and a data management method
JP2012190303A (en) Comment shar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0813948B1 (en) Study and position data providing method using potable study terminal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20020103598A1 (en) Contents replay system
JPH11282864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ts control method
JP4951240B2 (en) Reaction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02318756A (en) Print system
KR2009011846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ffline object information using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20070109580A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linking path to annexed data and related method
KR100970098B1 (en) Location-based Collective Intelligent Five senses Multimedia Contents Providing System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KR1013522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user interface
JP2006350903A (en) Learning management device and learning terminal
TWM346995U (en) Information navigator
KR20040096436A (en) A method of providing golf lesson service via communication networks and a system thereof
JP69305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75018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alized knowledge-information by using mobile terminal
WO2000022541A1 (en) A computerized instruction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