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260A - 접철식 텐트 - Google Patents

접철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260A
KR20030026260A KR1020030004150A KR20030004150A KR20030026260A KR 20030026260 A KR20030026260 A KR 20030026260A KR 1020030004150 A KR1020030004150 A KR 1020030004150A KR 20030004150 A KR20030004150 A KR 20030004150A KR 20030026260 A KR20030026260 A KR 2003002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oldable
limbs
circumference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922B1 (ko
Inventor
챨스 김
Original Assignee
챨스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챨스 김 filed Critical 챨스 김
Publication of KR2003002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40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변형되어 적어도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탄성권취텐트부재로 구성되는 접철식 텐트로서, 상기 각 텐트지지고리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인접한다. 상기 텐트지지고리는 상기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동일한 원주를 가지며, 상기 텐트지지고리를 속박하기 위해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양측부 사이에 연장되는 텐트막을 갖는다. 상기 텐트막 내에는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가 고정된다. 접철식 차양은 폐쇠루프탄성권취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차양막을 구비한다. 상기 차양부재는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공통인접텐트영역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접철식 텐트{COLLAPSIBLE TENT}
본 발명은 이런 요구를 만족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변형되어 적어도 3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탄성권취텐트부재로 구성되는 접철식 텐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 "고리"라는 용어는 폐루프탄성권취텐트부재와 지지루프를 구별하기 위한 "루프"를 의미하는데 사용한다. 따라서, 지지루프는 지지고리로 부를 것이다) 4개, 5개, 6개 또는 그 이상의 고리를 갖는 구성도 가능하다.
각 지지고리는 그 원주의 일부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인접하게 되는데 상기 텐트지지고리는 공통인접텐트영역을 갖는다. 각 지지고리는 상기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형상 또는 사이즈가 동일한 원주를 가지며 상기 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막을 갖는다. 텐트막은 지지고리를 속박하기 위해 상기 지지고리의 양측부 사이에 연장된다. 상기 텐트는 상기 텐트지지고리를 상호 속박하기 위해 각 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텐트지지고리 사이에 연장되는 속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속박수단은 코드, 라인, 와이어, 스트랩, 매듭, 폴, 막 또는 그 외의 유사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코드 또는 라인은 통상적인 텐트에서 볼 수 있는 직물바닥 속박수단보다 더 가볍고, 덜 불편하며, 내구성이 좋고, 제조비용이 싸다.
텐트가 펼쳐졌을 때, 텐트지지고리는 공통인접텐트영역 주위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텐트막과 상기 속박수단에 의해 속박된다. 공통인접텐트영역은 텐트지지 고리들이 정점에서 만나고 공통인접텐트영역이 일 점이 되는 종래의 디자인과는 다르게 면적이 상당히 크다. 공통인접텐트영역은 텐트의 지붕을 형성하며 텐트막은 텐트의 벽을 형성한다. 벽의 일부나 텐트의 입구는 망직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망직물은 벌레의 침입을 방지하고 텐트의 내부로의 공기유동을 증가시킨다. 공통인접텐트영역은 면적이 크기 때문에, 본 발명의 많은 변형예에서 텐트의 벽과 구별되는 지붕이 형성된다. 텐트가 완전히 접어졌을 때, 텐트지지고리들은 코일형상으로 감아질 수 있는 중첩루프를 형성한다. 텐트막 내에는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는 편평한 형태로서 공통인접영역의 텐트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텐트막의 상부에 위치하여 접철식 텐트 내의 열생성을 감소시키는 에어포켓을 제공하는 추가의 차양막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지지고리는 텐트를 접을 때 지지고리의 텐트막을 지지고리의 일부로부터 분리하여 지지고리를 해제할 수 있도록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제공된 조임수단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텐트를 접을 때 텐트지지고리를 쉽게 접을 수 있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지지고리는 텐트를 접을 때 속박수단을 상기 지지고리의 일부에서 분리하여 상기 지지고리를 해제할 수 있도록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제공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기본텐트구조에 차양을 부가할 수도 있다. 상기 접철식 텐트 위에 위치하는 차양은 태양으로부터 보호해준다. 이 차양은 또한 폐루프탄성권취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차양막으로 이루어진다. 이 차양은 별도의 폐루프탄성권취차양부재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텐트지지고리와 연속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양은 이 차양을 텐트지지고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차양부재의 원주의 일부와 텐트지지고리를 부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부착수단은 벨크로, 매듭, 똑딱단추, 후크, 지퍼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상기 차양부재는 텐트지지고리의 공통인접텐트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차양부재는 변형되어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차양지지고리들은 중심부위에서 결합된다. 상기 중심부위는 정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삼각형 및 점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차양지지고리는 텐트지지고리의원주의 최고점에 인접하여 부착된다.
텐트가 펴졌을 때, 텐트지지고리는 차양부재의 주위에 서로 이격되어 있고 속박수단에 의해 속박된다. 상기 차양부재는 지붕을 형성하며 텐트지지고리의 텐트막은 텐트의 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접철식 텐트는 태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접철식 차양을 제공하고 접철식 텐트 내의 열생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결한다. 공기순환용의 접철식 차양의 개방바닥도 열생성을 방지한다. 이 접철식 텐트는 조립하지도 않고 자체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이 접철식 텐트는 또한 가벼우며 보관 및 운반을 위해 작은 구조로 감아진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텐트 및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철식 휴대용 텐트, 모기망 및 햇빛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햇빛가리개와 텐트는 점차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인기의 이유 중의 하나는 햇빛의 유해한 영향, 특히 피부암의 위험 및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사람들이 점점 알게 되는 것이다.
또한, 따뜻한 기후 때문에, 텐트벽 및 천장의 표면에 직접 비추어지는 햇빛에 의해 강한 열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텐트 위에 부가의 커버를 씌울 필요가 있다.
접철식 텐트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용할 수 있다. 견고히 구성된 지지체를갖는 텐트가 알려져 있는데, 그 중의 일부는 텐트벽의 응결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다. 이들 커버도 햇빛이 텐트에 직접 비추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응결방지커버의 결점은 응결수가 텐트의 벽면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특수하게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사용하는 직물의 색, 밀도 및 종류는 태양으로부터의 열의 생성을 방지하는데 최적이 아닐 수 있다.
텐트 내에 열이 생성되는 다른 원인은 많은 텐트들이 완전히 둘러싸이도록 설계된 것에 있다. 텐트의 벽, 지붕 및 바닥은 내부를 밀봉하여 텐트 내로의 공기순환을 방지한다. 미국특허 제 5,816,278호에는 바닥과 벽이 대체로 고체막으로 되어있고 텐트지지루프가 단일 정점에서 만나는 예가 제시되어있다. 텐트에는 문 및 창문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 문들은 보통 작고 공기순환을 최소로 하기 때문에 텐트 내의 열생성을 분산시킬 것이다.
캠핑 등의 야외할동이 상당히 증가함에 따라서, 많은 캠핑인들은 텐트를 임시대피소나 일광대피소로서 이용한다. 통상, 종래의 텐트들은 폴에 의해 지지되고 로프선에 의해 지면에 정착되는 내후성의 유연한 막을 구비한다. 이런 종래의 텐트에서의 주 문제점은 설치하고 접철하기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텐트를 세우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텐트막을 펴서 지면에 배치하고 텐트의 앵커지점을 배치하고, 정착로프를 정착지점에 부착하고, 텐트의 정점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폴을 지면에 박고, 로프의 장력을 조정하여 텐트막을 속박하여야 한다. 텐트를 접철할 때, 사용자는 앵커와 로프선을 분해하고 텐트를 접고, 텐트막, 로프선 및 지지폴을 운반케이스에 넣어야 한다.
이런 종래의 텐트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텐트제조업자들은 지지폴 및 정착로프선의 필요성을 줄이기 위해 텐트막에 끼워진 탄성지지체를 접철식 텐트에 부여하였다. 이런 접철식 텐트는 접어져서 운반용 케이스에 넣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텐트들의 결점은, 대부분의 경우 텐트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몇 지점에서 주의하여 결합하여야 하는 여러 개의 별개의 지지부재로 탄성지지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어떻게 텐트를 세울 때마다 텐트부재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분리하는지를 배우는데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다. 또한, 많은 텐트부재를 사용하면 텐트의 제조비, 텐트의 구입비 및 텐트의 수명 동안의 유지비가 증가한다. 이런 텐트의 또 다른 결점은 텐트를 작은 조립체로 접철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텐트의 바닥은 부피가 커지게 하고 접는 단계수를 많아지게 한다. 통상, 사용자는 탄성지지체를 접기 위해 탄성지지체를 비틀어 회전시켜야 한다. 탄성지지체들은 보통 텐트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뻣뻣하기 때문에 이런 동작에는 시간 및 힘의 소비가 상당히 크다.
다양한 형태의 햇빛가리개 및 태양차단장치도 이용할 수 있다. 햇빛가리개에는 우산, 캐누피 및 접어진 주름상자가 포함된다. 이들 대부분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약간 접힐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설계는 접혀진 상태에서도 여전히 부피가 크고 무겁다. 현재의 장치로서 접철식 차양커버를 갖는 접철식 텐트나 은신처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따라서, 현재 이용할 수 있는 텐트 및 햇빛차단제품의 결점 때문에, 열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순환용의 개방바닥을 갖는 접철식 차양을 구비하는 접철식텐트가 필요하다. 이런 접철식 텐트는 조립의 필요가 없이 스스로 세워져야한다. 또한 이런 접철식 텐트는 보관 및 운반을 위해 경량이어야 하고 작은 구조로 감아져야 한다.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텐트(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있다. 본 실시예의 접철식 텐트(10)는 폐루프의 탄성권취텐트부재(15)로 구성된 텐트부재(12)를 구비한다. 상기 접철식 텐트(10)는 또한 제 2의 폐루프의 탄성권취차양부재(1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원주(17)를 갖는 텐트부재(12)는 변형되어 적어도 3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한다. 각 텐트지지고리(20)는 그 원주를 따라서 정점(18)을 갖는다. 각 텐트지지고리(20)의 정점(18)을 연결하는 부위는 대략 공통인접텐트영역(35)을 형성한다. 공통인접텐트영역(35)은 사이즈가 상당히 크며 텐트지지고리(20)는 한 점에서 만나지 않으므로, 텐트지지고리(20)가 단일 정점에서 우뚝 솟는 다른 설계와는 다르다. 별개의 폐루프 탄성권취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공통인접텐트영역루프부재(36)는 상기 공통인접텐트영역(35)의 경계를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는 텐트막(40) 내에 고정된다.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가 텐트막(40) 내에 고정되므로,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를 사용할 때 별개의 차양부재(41)는 없다.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는 타원형, 계란형, 원형, 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가 알 수 있듯이 그 외의 형상도 가능하다. 다른 방식으로서, 각 텐트지지고리(20)의 일부가 공통인접텐트영역(35)의 경계(19)와 일치하도록 텐트지지고리(20)가 더욱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텐트지지고리(20)는 그 원주(17)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에 인접하여, 공통인접텐트영역(35)을 형성하게 된다. 텐트지지고리(20)는 원주(17)의 일부를 따라서 교차할 수 있다. 공통인접텐트영역(35)은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17)가 자체적으로 교차하는 텐트의 상부에 형성된다. 다른 방식으로서, 원주(17)는 폐루프탄성부재(15)가 자체적으로 전혀 교차하지 않는 부분적인 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각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는 접철식 텐트(10)가 대칭구조가 되도록 다른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와 대체로 동일하다.
도 1d를 참조하면, 각 텐트지지고리(20)는 또한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17)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텐트막(40)을 갖는다. 텐트막(40)은 텐트지지고리(20)를 속박하도록 텐트지지고리(20)의 양측부 사이에 연장된다. 텐트막(40)이나 별개의 차양막(41)은 타원형, 계란형, 원형, 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당업자가 알 수 있듯이 그 외의 형상도 가능하다.
도 1a는 텐트막(40)을 갖는 세 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도시한다. 각 지지고리(20)의 원주(17)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속박수단(50)이 도시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텐트지지고리(20)는 각 텐트지지고리(20)는 또한 텐트지지고리(20)의 텐트막(40)을 텐트지지고리(20)의 일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그 원주(17)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체결수단(47)을 더 포함한다. 텐트막(40)이 텐트지지고리(20)에 완전히 부착되었을 때, 텐트막은 텐트지지고리(20)의 비틀림 및 휨에대한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텐트막(40)이 텐트지지고리(20)가 특정 형상으로 되는 것을 속박하여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17)에서의 텐트막(40)의 당김에 대한 비틀림 및 휨에 저항하기 때문이다. 텐트막(40)의 적어도 일부를 텐트지지고리(2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텐트지지고리(20)의 강성이 저하하고 텐트지지고리(20)가 쉽게 비틀리고 휘어지므로 텐트지지고리(20)를 쉽게 접을 수 있다.
체결수단(47)으로서는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17)의 일부와 텐트막(40)을 따라서 연장되는 지퍼 등의 착탈형 파스너가 포함될 수 있다. 이 파스너로는 벨크로, TM, 똑닥단추, 단추, 매듭 또는 고리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스너는 물 등이 파스너를 통해 텐트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후성을 가져야한다. 텐트지지고리(20)가 회전되어 서로 겹쳐졌을 때, 텐트지지고리(20)들을 함께 감아서 접철식 텐트(10)를 쉽게 접기 위해 텐트지지고리(20)들이 그 원주(17)상의 동일 지점에서 함께 비틀려서 휘어질 수 있다. 통상, 텐트지지고리(20)는 세개의 겹치는 링으로 함께 감아질 수 있다.
이 접철식 텐트(10)는 텐트지지고리(20)를 서로에 대하여 속박하기 위해 각 지지고리(20)의 원주(17)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텐트지지고리(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속박수단(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속박수단(50)과 텐트지지고리(20) 사이의 부착수단(45)은 속박수단(50)을 텐트지지고리(20)로부터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속박수단(50)의 길이는 접철식 텐트(10)가 펴졌을 때 텐트지지고리(20) 상호간의 간격과 접철식 텐트(10)의 높이를 한정한다. 이는 속박수단(50)이 없으면 탄성텐트부재(15)에 축적된 최소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텐트지지고리(20)가 상호간에 평면형태 같은 공간적 위치를 취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한 접철식 텐트(10)의 실시예에 있어서, 속박수단(50)으로서 끈이 도시되어있다. 이 속박수단(50)은 텐트지지고리(20)가 속박수단(50)에 의해 상호 대칭적으로 이격되고 상호 속박되도록 적당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속박수단(50)은 끈, 선, 와이어, 스트랩, 매듭, 폴, 막 또는 그 외의 유사수단이 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속박수단(50)은 지지루프텐트막(40)이 접철식 텐트(10)의 벽(65)를 형성하도록 지지루프텐트막(40)을 속박한다. 또한 벽의 일부 또는 텐트의 입구 망직물로 형성하여 곤충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접철식 텐트(10)는 접철식 차양(68)을 구비할 수도 있다. 차양부재(70)는 폐루프 탄성권취연속부재(71)를 형성하는 텐트지지고리(20)의 연속부가 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차양부재(70)는 별개의 차양부재(70)를 형성하는 제 2의 폐루프 탄성권취차양부재(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접철식 차양(68)을 형성하는 별개의 차양부재(70)를 나타낸다. 차양부재(70)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되어 차양지지고리(75)를 형성할 수 있다. 접철식 차양(68)이 별개의 폐루프 권취차양부재(70)인 경우, 차양부재(70)의 제 2 원주(72)는 각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17)와 교차하는 공통인접텐트영역(35) 위에 놓이게 된다. 차양지지고리(75)에는 차양막(41)이 부착된다. 이 차양막(41)은 한 부분 이상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텐트막(40)은 별개의 폐루프권취차양부재(70) 또는 폐루프탄성권취연속부재(71)의 위를 덮도록 확장되므로 별도의 차양막(41)이 필요 없다. 권취차양부재(70)는 변형되어 하나 이상의 차양지지고리(75)를 형성할 수있다.
또한 접철식 차양(68)은 지지루프텐트막(40)이 접철식 텐트(10)의 벽(65)을 형성하는 접철식 텐트(10)의 지붕(76)으로서 기능한다. 차양부재(70)는 필요에 따라서 부착수단(45)처럼 당업자에게 알려진 지퍼, 후크, 매듭, 똑딱단추, 벨크로 또는 그외의 방법 등의 제 2 부착수단(46)에 의해 텐트지지고리(20)에 부착될 수 있다. 차양부재(70)가 변형될 때, 중앙부위(80)가 형성된다. 전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앙부위(80)는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원형 및 점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립할 필요가 없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5, 16)를 갖는 지주 없이 자체적으로 기립하는 접철식 텐트(10)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접철식 텐트(10)는, 속박수단(50)을 각 텐트지지고리(20)의 일부로부터 분리하여 텐트지지고리(20)를 상호 속박시키기 위해 속박수단(50)과 텐트지지고리(20) 사이의 부착수단(45)을 더 구비한다. 상기 속박수단(50)이 텐트지지고리(20)에 완전히 부착되면 비틀림 및 휨에 대한 텐트지지고리(20) 상호간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는 속박수단(50)이 텐트지지고리(20)를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17) 상의 속박수단(50)의 당김에 대하여 비틀림 및 휨에 저항하는 특수한 공간적 배치로 속박시키기 때문이다. 속박수단(50)의 적어도 일부를 텐트지지고리(2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텐트지지고리(20)가 쉽게 비틀려지고 휘어져서 텐트지지고리(20)가 쉽게 접어지게 된다. 부착수단(45)은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 똑딱단추, 매듭 또는 그 외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텐트막(40)은 당업자가 알 수 있듯이 남의 눈을 피하고 바람과 비로부터 보호하기에 적절한 캔버스, 덕크(duck) 또는 경량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철식 텐트(10)의 창으로서 기능하도록, 접철식 텐트(10)의 벽을 형성하는 텐트막(40)의 개구부를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5)는 텐트지지고리(20)로 변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권취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부재(15)는 슬리브로 덮인 스프링강재나 시이트가 될 수 있다. 이런 재료는 탄력적으로 자신을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려하여, 텐트지지고리(20)의 경우에는 타원형으로 복귀되게 한다. 텐트(10)를 세우기 위해서는, 감아진 텐트(10)를 그 운반케이스로부터 꺼내서 접철식 텐트(10)가 자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형태로 서도록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루프텐트막(40)에는 지퍼가 부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철식 텐트(10)를 접철할 때, 지지루프텐트막(40)의 지퍼를 열어 텐트지지고리(20)를 공통인접텐트영역(35)을 따라서 회전시키고 그 원주(17)를 따라서 평면형태로 겹친다. 이 때 텐트지지고리(20)는 그 원주(17) 상의 동일 지점에서 같이 비틀려서 휘어져 바람직하게는 3번 감아진 코일형상으로 된다. 이 코일형상은 이 코일형상의 텐트를 딱 맞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운반케이스 내에 넣는 등의 취급에 적합하다.
탄성코일부재(15)의 길이와 두께는 접철식 텐트(10)의 형상과 체적에 따라서 다르다. 대형 텐트에서는 큰 지지구조를 제공하고 텐트(10)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탄성부재(15)가 길고 두꺼워진다.
공통인접텐트영역(35)은 타원형, 정사각형, 원형, 다이아몬드형, 삼각형 또는 그 외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텐트지지고리(20)는 도면에 3개, 4개 및 6개의 텐트지지고리의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더 많은 개수도 가능하다.
도 1a는 텐트막(40)을 갖는 3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나타낸다. 각 지지고리(20)의 원주(17)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속박수단(50)이 도시되어있다. 여기서는 별도의 차양부재(70)도 없고 별도의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도 없으므로, 고지점(18)의 교차점에 의해 둘러싸여진 부위는 대략 공통인접텐트영역(35)의 경계(19)를 이룬다. 도 1b는 텐트막(40)이 없는 동일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c는 편평한 평면형태를 취하지 않도록 변형된 차양부재(70)를 추가한 것이다. 차양부재(70)는 별도의 차양부재(41)를 갖는다. 도 1c(2)는 평면형태를 취하면서 텐트망(40) 내에 고정된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를 도시한다. 여기서,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가 텐트막(40) 내에 고정되므로 별도의 차양막(41)은 없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지점(18)의 교차점으로 둘러싸이는 부위는 대략 공통인접텐트영역(35)의 경계(19)를 형성한다.
도 1da 내지 1de는 권취가능한 차양부재(70)를 구비하는 접철식 텐트(10)의 접철 및 접기동작을 나타낸다. 도 1d는 차양부재(70)가 타원형이나 거의 원형을 형성하는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db는 하나의 텐트지지고리(20)와 차양부재(70)가 한번 비틀려서 보다 작은 구조로 된 것을 나타낸다. 도 1dc는 나머지 두 개의 텐트지지고리(20)와 차양부재(70)가 한번 비틀려 더 작은 구조로 된 것을 나타낸다. 도 1dd는 서로 접혀진 상태의 세 개의 부분적으로 접혀진 텐트지지고리(20) 및 차양(70)을 나타낸다. 도 1de는 마지막으로 작은 코일형상의루프구조로 접혀진 접철식 텐트(10)를 나타낸다.
도 2는 차양부재(70)가 텐트지지고리(20)의 연속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한 구조를 나탄낸다. 이 접철식 텐트(10)는 단일권취연속부재(71)로 형성된다.
도 3은 텐트지지고리(20)가 비틀려서 세 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하는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는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를 갖는 접철식 텐트(10)의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36)는 확장된 타원형을 취한다.
도 3b는 단일 정점을 형성하는 중심부위(80)를 나타낸다. 차양부재(70)는 비틀려서 변형되어 세 개의 차양지지고리(75)를 형성한다.
도 3c는 도 3b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차양지지고리(75)는 비틀렸을 때 삼각형을 취하는 중심부위(80)를 형성한다. 중심부위(80)는 삼각형의 중심부위(80)의 일측을 따라서 각 차양지지고리(75)의 나머지와 교차한다.
도 3d는 도 3과 비슷한 도면이지만, 변형되어 세 개의 차양지지고리(75)를 형성하는 차양부재(70)를 나타낸다. 중심부위(80)는 삼각형을 형성한다. 중심부위(80)는 삼각형의 중심부위(80)의 일 지점에서 각 차양지지고리(75)의 나머지와 교차한다.
도 3d-1은 차양부재(70)와 텐트지지고리(20)가 평면상에 배열된 부분적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3d-1b는 한번 비틀려서 더 작은 구조로 된 텐트지지고리(20)의 하나와 및 차양부재(70)를 나타낸다. 도 3d-1c는 한번 비틀려서 더 작은 구조로 된 나머지 두 개의 텐트지지고리(20) 및 차양부재(70)를 나타낸다. 도 3d-1d는 마지막으로 서로 접혀서 작은 코일형상의 루프구조가 된 세 개의 부분적으로 접힌 텐트지지고리(20) 및 차양(70)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텐트부재(15)가 변형하여 세 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한다. 각 지지고리(20)는 그 원주(17)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20)와 인접하게 된다. 텐트지지고리(20)들은 대체로 타원형상이다. 텐트지지고리(20)는 각 텐트지지고리(20)가 겹쳐서 삼각형의 공통인접텐트영역(35)을 형성하도록 변형되어 비틀려진다. 별도의 차양은 없다. 도 4a 내지 도 4d는 권취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4e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텐트(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있는데, 탄성텐트부재(15)는 변형되어 네 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한다. 각 지지고리(20)는 그 원주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20)와 인접하게 된다. 텐트지지고리(20)는 대체로 타원형이며 공통인접텐트영역(35)을 갖는다. 차양(68)은 별도의 제 2 탄성차양부재(70)에 의해 형성된다. 차양부재(70)는 각 텐트지지고리(20)의 원주(17)와 교차하는 공통인접텐트영역(35)를 형성하고 또한 접철식 텐트(10)의 지붕(76)을 형성한다. 차양부재(70)는 공통인접텐트영역(35)의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된 4개의 부위에서 텐트지지고리(20)보다 높게 세워져있다.
도 5는 차양부재(70)가 텐트지지고리(20)의 연속부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와 유사하다. 접철식 텐트(10)는 단일 권취연속부재(71)로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도 4의 초기구조로부터의 차양(68)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되어있다. 도 6은 차양이 없는 도 4와 유시한 텐트지지고리(2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텐트지지고리(20)의 평면도도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비틀려서 네 개의 차양지지고리(75)를 형성하는 차양부재(70)를 나타낸다. 차양지지고리(75)는 비틀렸을 때 단일점의 중심부위(80)를 형성한다.
도 6c는 비틀려서 네 개의 차양지지고리(75)를 형성하는 차양부재(70)를 나타낸다. 차양지지부재(75)는 비틀렸을 때 정사각형의 중심부위(80)를 형성한다. 중심부위(80)는 정사각형의 중심부위(80)의 일 변을 따라서 각 차양지지고리(75)의 나머지와 교차한다. 도 6d는 접철식 차양(68)의 중심부위(80)가 다이아몬드형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c와 유사하다.
도 7은 비틀려서 네 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하는 탄성텐트부재(15)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 있어서, 텐트지지고리(20)들은 원주(17)의 일부에서 교차한다. 텐트지지고리(20)들은 이들을 분리하는 거리가 나머지 원주(17)에 비하여 작다. 이 구조에서 차양은 없다.
도 8은 비틀려서 5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하는 탄성텐트부재(15)를 나타낸다. 차양부재(70)는 제 2 탄성권취부재(16)에 의해 형성된다. 차양부재는 변형되어 4개의 융기부와 4개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도 9는 텐트지지고리(20) 및 차양부재(70)가 단일 탄성연속부재(7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0은 차양부재(70)가 도시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8과 유사하다. 도 10은 비틀려서 5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하는 탄성텐트부재(15)를 나타낸다. 도 10a는 원형을 형성하는 차양부재(70)를 추가한다. 도 10b는 변형되어 5개의차양지지고리(75)를 형성하는 차양부재(70)를 나타낸다. 차양지지루프(75)는 5각형의 공통인접텐트영역(35)을 형성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비틀려서 3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하는 탄성텐트부재(15)가 도시되어있다. 3개의 도면이 있는데, 첫 번째는 차양부재가 없는 디자인의 3개의 텐트지지고리(20)의 평면도이고, 두 번째는 3개의 텐트지지고리(20)와 차양부재(70)의 평면도이고, 세 번째는 3개의 텐트지지고리(20) 및 차양부재(70)의 측면도이다. 차양부재(70)는 편평하므로 공통인접텐트영역(35)의 경계(19)에 가깝다. 속박수단(50)은 상기 텐트지지고리(20)에 부착하므로 텐트지지고리(20)를 속박시키고 텐트지지고리를 직립상태로 한다. 공통인접텐트영역(35)은 원형을 갖지만, 그 외의 변형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양부재(70)는 텐트부재(15) 또는 별도의 권취부재의 연속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연속텐트부재(40)이나 부가의 별도차양막(41)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b, 도 11c, 및 도 11d는 비틀려서 4개, 5개 또는 6개의 텐트지지고리(20)를 형성하는 탄성텐트부재(15)를 나타낸다. 도 11b 내지 도 11d는 그 외의 면에서 도 11a와 유사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그 외의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는 여기서 제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특징, 양상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를 예시하는 이후의 설명,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1c(2)는 접철식 텐트의 실시예들의 사시도.
도 1c(1) 및 도 1c(3)은 도 1c 및 도 1c(2)에 도시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1d는 변형되어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와 변형되어 3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별도의 폐루프를 나타내는 펼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텐트의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도 1da 내지 도 1de는 보관을 위해 루프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변형되어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고 변형되어 3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연속폐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2a 내지 도 2e는 보관을 위해 루프 및 고리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변형되어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와 변형되어 3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별도의 폐루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 내지 도 3d는 보관을 위해 루프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3a는 타원형상의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를 갖는 텐트부재의 사시도.
도 3b는 변형되어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와 변형되어 중심부위가 정점을 형성하는 3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별도의 폐루프의 사시도.
도 3c는 변형되어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와 변형되어 중심부위가 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별도의 폐루프의 사시도.
도 3d는 변형되어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와 변형되어 중심부위가 삼각형의 다른 변형형상을 형성하는 3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별도의 폐루프의 사시도.
도 3d-1a 내지 도 3d-1d는 텐트를 접는 단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변형되어 3개의 텐트지지체를 형성하는 폐루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 내지 도 4d는 보관을 위해 루프 및 고리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4e는 변형되어 4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와 변형되어 4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별도의 폐루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f 내지 도 4k는 보관을 위해 루프 및 고리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변형되어 4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고 변형되어 4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연속폐루프를 나타내는 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보관을 위해 루프 및 고리를 감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변형되어 4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와 변형되어 4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별도의 폐루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c-1 내지 도 6c-3은 보관을 위해 루프 및 고리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6a는 원형의 공통인접영역루프부재를 나타낸다.
도 6b는 단일 점에서 4개의 고리가 만나는 형태의 차양을 나타낸다.
도 6c는 정사각형에서 4개의 고리가 만나는 형태의 차양을 나타낸다.
도 6d는 다이아몬드형상에서 4개의 고리가 만나는 형태의 차양을 나타낸다.
도 7은 비틀려서 4개의 작은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폐루프탄성부재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보관을 위해 루프 및 고리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비틀려서 5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는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보관을 위해 루프 및 고리를 감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9는 단일 연속탄성부재로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차양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8과 유사한 사시도.
도 10a는 원형을 형성하는 차양부재의 사시도.
도 10b는 정점이 5각형을 형성하는 차양부재의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3개의 지지고리 내지 6개의 지지고리의 구조의 텐트지지고리의 사시도 및 평면도.
.
.

Claims (28)

  1. a) 폐루프탄성접철식 텐트부재로 구성된 텐트부재로서, 변형되어 적어도 세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며, 각 텐트지지고리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인접하고, 각 텐트지지고리는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동일한 원주를 갖도록 된 텐트부재와,
    b)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양측부 사이에 연장되어 상기 텐트지지고리를 속박하는 텐트막과,
    c) 각 텐트지지고리의 최고점을 교차 또는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경계를 가지며, 면적이 크고 상기 텐트막으로 덮이는 공통인접텐트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텐트는 각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고 텐트지지고리 사이에 연장되어 텐트지지고리를 상호 속박시키는 속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6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5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4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지지고리는 그 일부가 상기 공통인접텐트영역의 경계와 일치하도록 더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7. a) 폐루프탄성권취텐트부재로 구성되는 텐트부재로서, 변형되어 적어도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며, 각 텐트지지고리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인접하며, 각 텐트지지고리는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동일한 원주를 갖고, 텐트지지고리를 속박하도록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텐트지지고리의 양측부 사이에 연장되는 텐트막을 갖도록 된 텐트부재와,
    b) 별도의 폐루프탄성권취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공통인접텐트영역을 형성하며,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갖는 평면평상으로서 상기 텐트막 내에 고정되는 공통인접텐트영역루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텐트는 각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고 텐트지지고리 사이에 연장되어 텐트지지고리를 상호 속박시키는 속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6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5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4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2. a) 폐루프탄성권취텐트부재로 구성되는 텐트부재로서, 변형되어 적어도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며, 각 텐트지지고리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인접하며, 각 텐트지지고리는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동일한 원주를 갖고, 텐트지지고리를 속박하도록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텐트지지고리의 양측부 사이에 연장되는 텐트막을 갖도록 된 텐트부재와,
    b) 폐루프탄성권취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차양막으로 구성되는 차양부재로서, 상기 차양부재를 상기 텐트지지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차양부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차양부재와 상기 텐트지지고리 사이에 연장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공통인접텐트영역을 형성하는 차양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텐트는 상기 텐트지지고리를 상호 속박하기 위해 각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텐트지지고리 사이에 연장되는 속박수단을 더 포함하므로, 상기 텐트가 펼쳐질 때 상기 텐트지지고리는 상기 차양부재의 주위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속박수단에 의해 속박되며, 상기 차양부재는 지붕을 형성하고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텐트막은 텐트의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변형되어 중심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위는 정사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재는 변형되어 3개의 차양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텐트는 텐트막을 텐트지지고리에 조이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6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5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4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2. a) 폐루프탄성권취텐트부재로 구성되는 텐트부재로서, 변형되어 적어도 3개의 텐트지지고리를 형성하며, 각 텐트지지고리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인접하며, 각 텐트지지고리는 다른 텐트지지고리와 동일한 원주를 갖고, 텐트지지고리를 속박하도록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텐트지지고리의 양측부 사이에 연장되는 텐트막을 갖도록 된 텐트부재와,
    b) 폐루프탄성권취차양부재와 상기 차양부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된 차양막으로 구성되는 차양부재로서, 상기 차양부재를 상기 텐트지지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차양부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차양부재와 상기 텐트지지고리 사이에 연장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공통인접텐트영역을 형성하는 차양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텐트부재는 폐루프탄성권취텐트부재로 구성되며 폐루프탄성권취차양부재로 구성되는 상기 권취차양은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철식 텐트 전체에 걸쳐서 폐루프탄성권취연속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텐트는 상기 텐트지지고리를 상호 속박하기 위해 각 텐트지지고리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텐트지지고리 사이에 연장되는 속박수단을 더 포함하므로, 상기 텐트가 펼쳐질 때 상기 텐트지지고리는 상기 차양부재의 주위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속박수단에 의해 속박되며, 상기 차양부재는 지붕을 형성하고 상기 텐트지지고리의 텐트막은 텐트의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인접텐트영역은 원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가 접철되었을 때, 상기 텐트지지고리는 코일형상으로 감아질 수 있도록 서로 중첩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6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5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부재는 변형되어 4개의 지지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텐트.
KR1020030004150A 2000-07-24 2003-01-21 절첩식 텐트 KR100813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25,050 2000-07-24
US09/625,050 US6328049B1 (en) 2000-07-24 2000-07-24 Collapsible 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260A true KR20030026260A (ko) 2003-03-31
KR100813922B1 KR100813922B1 (ko) 2008-03-18

Family

ID=2450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150A KR100813922B1 (ko) 2000-07-24 2003-01-21 절첩식 텐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28049B1 (ko)
EP (1) EP1307624A2 (ko)
JP (1) JP4707930B2 (ko)
KR (1) KR100813922B1 (ko)
CN (1) CN1207478C (ko)
AU (2) AU2001286150C1 (ko)
BR (1) BR0113012A (ko)
MX (1) MXPA03000682A (ko)
WO (1) WO200200854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972A (ko) 2021-08-26 2023-03-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재의 균일 냉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877200A0 (en) * 2000-07-13 2000-08-03 Viglione, Dean Peter Foldable tent
US7140375B2 (en) 2002-03-18 2006-11-28 Mark Norris Cover support device for pole
US7201177B2 (en) * 2004-04-22 2007-04-10 Jennifer Cobb Anticoli Portable baby tent
JP4223053B2 (ja) * 2006-06-28 2009-02-12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医療用テント
TW200829773A (en) * 2007-01-12 2008-07-16 Wei-Hen Yang Structure of foldable bracket
WO2011064521A1 (en) * 2009-11-26 2011-06-03 Flaxman, Andrew Foldable frame assembly
US8567424B2 (en) 2010-07-23 2013-10-29 Gregory P. Hill, Sr. Tent and tent frame
CN108612391A (zh) * 2018-06-04 2018-10-02 苏州苏米欧贸易有限公司 一种折叠遮阳篷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6127A (en) 1967-12-13 1969-11-04 Charles W Holt Portable roll up tent
US3675667A (en) 1970-09-25 1972-07-11 Jack V Miller Self-erecting tent
US3960161A (en) * 1974-11-05 1976-06-01 Norman Lowell R Portable structure
US4520835A (en) 1983-05-25 1985-06-04 Moeller John D Portable tent
US4958652A (en) 1988-02-24 1990-09-25 Rachel Maya Portable sun shade
US4823822A (en) 1988-02-24 1989-04-25 Rachel Maya Portable sun shade
JPH0441059U (ko) * 1989-06-20 1992-04-07
US5137044A (en) * 1990-10-12 1992-08-11 Brady David S Collapsible tent structure
US5467794A (en) 1991-09-24 1995-11-21 Posit Plus Collapsible shade structure
US5301705A (en) 1991-09-24 1994-04-12 Yu Zheng Collapsible shade structure
US5163461A (en) * 1991-10-17 1992-11-17 Ivanovich Michael K Self-erecting shelter
US5249592A (en) 1991-12-10 1993-10-05 Springer Catherine P Self-erecting tent
GB2263920B (en) 1992-02-03 1995-10-18 Arrow Link Ind Ltd Tent
US5361794A (en) 1992-08-10 1994-11-08 Brady Rex W Unitized foldable tent frame
US5337772A (en) * 1993-04-12 1994-08-16 Habchi Elie E Self-unfolding shelter
KR970002480Y1 (ko) * 1993-09-25 1997-03-24 고제충 스피드텥트
US5385165A (en) 1994-02-03 1995-01-31 Hazinski; Daniel P. Hunting blind
US5396917A (en) * 1994-02-03 1995-03-14 Hazinski; Daniel P. Self erecting high top tent
US5407291A (en) 1994-02-03 1995-04-18 Pop-Tent, Inc. Wire connector and method
US5360028A (en) 1994-03-11 1994-11-01 Jasin Mark S Self-erecting tent on folding base
US5439017A (en) 1994-06-07 1995-08-08 Blue Leaf Design, Inc. Collapsible frame
DK92095A (da) * 1995-08-16 1997-03-19 Inventia International Aps Telt
US6092544A (en) * 1996-09-20 2000-07-25 Patent Category Corp. Collapsible structures having overlapping support loops
US5816278A (en) * 1997-03-20 1998-10-06 Kim; Gyeong S. Collapsible tent
GB9724041D0 (en) * 1997-11-14 1998-01-14 Origin Products Ltd Collapsible stru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972A (ko) 2021-08-26 2023-03-07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재의 균일 냉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615001A (en) 2002-02-05
AU2001286150B2 (en) 2007-08-09
KR100813922B1 (ko) 2008-03-18
BR0113012A (pt) 2003-07-08
WO2002008544A3 (en) 2002-06-20
CN1207478C (zh) 2005-06-22
US6328049B1 (en) 2001-12-11
MXPA03000682A (es) 2003-06-06
AU2001286150C1 (en) 2008-02-21
CN1449468A (zh) 2003-10-15
JP2004504522A (ja) 2004-02-12
WO2002008544A2 (en) 2002-01-31
JP4707930B2 (ja) 2011-06-22
EP1307624A2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9281A (en) Sunshade device
KR100309298B1 (ko) 자동조립식휴대용직물구조물
US5816278A (en) Collapsible tent
US20180328072A1 (en) Shelter system
US7137399B1 (en) Collapsible structure with top supporting elements
US4265261A (en) Tent
US4709718A (en) Tent fly apparatus and method
US7559335B2 (en) Self-erecting structure
US8161991B2 (en) Multipurpose camping hammock
US2134879A (en) Beach shelter
US5441069A (en) Tension fabric structure with arches
US10422152B2 (en) Wind-resistant portable shade shelter
US5655558A (en) Multiple configuration tent structure
US4519410A (en) Tent construction
KR20030026260A (ko) 접철식 텐트
JP2011523446A (ja) 窓またはドアのカバーを自動的に収納するテント
AU2001286150A1 (en) Collapsible tent
CN219327381U (zh) 一种具有多形态的帐篷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CN219491899U (zh) 一种具有外帐的帐篷
JPH0756461Y2 (ja) タープテント
KR102363455B1 (ko) 원터치형 방풍매트
CN215255077U (zh) 印第安帐篷
JPH0666053A (ja) 風孔を設けたテント
JP2000314245A (ja) 携帯型の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