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783A -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783A
KR20030021783A KR1020010055200A KR20010055200A KR20030021783A KR 20030021783 A KR20030021783 A KR 20030021783A KR 1020010055200 A KR1020010055200 A KR 1020010055200A KR 20010055200 A KR20010055200 A KR 20010055200A KR 20030021783 A KR20030021783 A KR 2003002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destin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curren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2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1364B1 (en
Inventor
만 복 김
Original Assignee
만 복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복 김 filed Critical 만 복 김
Priority to KR102001005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364B1/en
Publication of KR2003002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36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re provided to detect GPS(Global Position System)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using a wireless connection function and a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without a correct address, so that an additional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unit and software providing a map are not necessary. CONSTITUTION: An input unit(11) is for inputting a destination or a phone number of a targ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part(10) is arrang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basic. A memory unit(13) stores GPS information delivered from a database in a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 electronic compass module(14) detects the direction of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PS receiving module(15) detects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 display part(16)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 relative position of the destination, a direction based on the user, etc. A speaker(17) delivers voic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such as alarm. And a controller(12) controls each unit and calculates the relative position and direction using the current position and GPS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Description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는 기존의 네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이 안고 있는 단점과 제약 조건을 극복하고, 최소의 비용으로 효과적인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disadvantages and constraints of the existing navig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which are variously performe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to implement an effective navigation function at a minimum cos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t is about.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 정보를 CD-ROM과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놓고, 목적지의 주소를 알려 주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위치를 보여 주고, 경로를 표시하여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였고, 주소를 모르는 경우, 그리고 지도의 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안내를 하지 못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정확한 주소나 정확한 지도보다는 전화 번호와 대략의 위치 정보만을 가지고 목적지를 찾아가는 경우가 많다.In the conventional navigation system, map information is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CD-ROM, and when a destination address is known, the current navigation system shows a current location and a destination location and displays a route. However,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expensive equipment was needed, and if the address was not known and the information on the map was not accurate, the user could not be effectively guided. In addition, most users go to the destination only by phone number and approximate location information rather than an accurate address or an accurate map.

그리고,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화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기술은 전화 번호를 가지고 주소 정보를 검색한 후 확인된 주소 정보를 통해 목적지를 설정하고, 지도 정보 저장 장치로부터 관련 지도 정보를 읽어와 지도상에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표시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저렴하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Further, in the method for setting a destination, even when using a phone number, the existing technology retrieves address information with a phone number, sets a destination using the confirmed address information, and maps relevant map information from the map information storage device. Read and display the optimal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on the map because there was a disadvantage inexpensive and easy to us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휴대폰의 경우 해당 휴대폰과 교신 중인 기지국의 위치를 참조하여 휴대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지원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활용할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작은 휴대폰 화면상에 주변의 약도를 표시해야 하고, 지도(약도)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 로드 받는데 따르는 통신비용 등의 제약 조건 및 단점을 갖고 있어 만족스러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기 어려운 현실이다.In addition, the mobile phone supports the function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phone user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phone. Even when using this function, the surrounding directions must be displayed on a relatively small mobile phone screen. It is difficult to support satisfactory navigation because it has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such as communication cost for downloading map (map) data from server.

또한, 휴대폰이 아닌 별도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수반하지 않고 현재 위치와 목적지간의 상대 거리와 방향만을 표시하는 기존의 간이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우 목적지 설정에 있어 GPS 위치 정보 즉, 경도 및 위도 데이터를 설정하는데 불편이 따르는 등의 단점을 갖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imple navigation terminal which displays only the relativ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without using map information by using a separate terminal rather than a mobile phone, GPS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longitude and latitude data, is used to set the destination. It has disadvantages such as inconvenience in setting.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설정을 목적지의 주소나 GPS 위치 정보가 아닌 전화 번호만을 가지고 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방위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진행해야 할 방향 등 꼭 필요한 기본 정보만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기존의 기술과 달리 CD-ROM과 같은 지리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의존하지않으며, 주소를 GPS 위치 정보로 변환시켜 주는 과정 등을 생략하고, 나아가 복잡한 지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고가의 표시 장치도 필요로 하지 않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휴대폰을 통해 구현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tination can be set only with the phone number, not the address or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and displays only essential basic information such as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and the direction to proceed using the current location and orientation of the mobile phone user. Unlike existing technologies, it does not rely on geodatabases such as CD-ROMs, omits the process of converting addresses to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also requires expensive display devices to display complex map information. The main technical challenge is to implement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through a mobile phone.

또한, 건물과 같이 고정된 목적지뿐만 아니라 휴대폰 사용자와 같이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대상과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운전 중인 사용자가 복잡한 지도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not only fixed destinations such as buildings, but also the location of non-fixed destinations such as mobile phone users, and the ability to easily contact the desired destinations through this, users do not rely on complex map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guiding a person to safely reach a destination without f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표시부의 간이 네비게이션 정보(거리/방향) 표시에 대한 제1실시예.Fig.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simplified navigation information (distance / direction) display of the display unit.

도 5는 표시부의 간이 네비게이션 정보(거리/방향) 표시에 대한 제2실시예.Fig.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implified navigation information (distance / direction) display of the display unit.

도 6은 표시부의 간이 네비게이션 정보(거리/방향) 표시에 대한 제3실시예.Fig.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simplified navigation information (distance / direction) display of the display unit.

도 7은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 설명을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 처리 흐름도.Fig. 7 is a flowchart of navigation information processing for explaining the simple navigation method.

도 8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 검색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GPS location information search of a destin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 2: 이동 통신 단말기1: mobile operator server 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3: 이동 통신 단말기 접속부 4: GPS 수신 모듈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4: GPS receiving module

5: 전자 나침반 모듈5: electronic compass module

6: 이동 통신 단말기용 네비게이션 확장 모듈6: Navigation extension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무선 통신부 11: 입력 수단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 input means

12: 제어부 13: 메모리 장치12: control unit 13: memory device

14: 전자 나침반 모듈 15: GPS 수신 모듈14: electronic compass module 15: GPS receiving module

16: 표시부 17: 스피커16: Display 17: Speaker

30: 정북(North) 표시 31: 현재 위치 표시30: North display 31: Current location display

32: 목적지 위치 표시 33: 이동 경로 표시32: Display destination location 33: Display travel path

34: 목적지 위치 표시 화살표34: Destination location arrow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을 전개하면서 이러한 구성에 기초한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에 대한 설명을 부가하는 형태로 본 발명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navigation method for allowing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to reach a destination simply and safely using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rm of adding a description of a simple navigation method based on this configuration while developing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을 활용한 가장 간단한 형태의 구성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일단 휴대폰에 내장되어야 할 구성 요소를 뒤로 한 채 전체 시스템 차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implest configuration method using a mobile phon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ystem level of action is as follows.

즉, 휴대폰의 대표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2)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가고자 하는 목적지 또는 만나고자 하는 곳, 다른 휴대폰 사용자의 전화 번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화 번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 사용자가 가입된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1)에 전송하면,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자체 데이터 베이스 혹은 사업자의 서버에 접속된 제 3의 정보 제공자의 서버에 위치하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2)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 번호에 대한 GPS 위치 정보, 즉 경도와 위도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검색된 결과를 다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2)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가고자 하거나 찾고자 하는 대상의 GPS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a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user who can be represented by a mobile phone selects a destination to which he / she wants to go through his or her mobile phone, a phone number of another mobile phone user, and the terminal us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selects the selected phone number. When transmitting to the subscribed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1, the mobile service provider server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its own database managed by itself or from a database located at a server of a third information provider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er's server. 2) GPS user'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phone number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longitude and latitud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searched and the search results are sent bac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 so that the terminal user can find the GPS of the target he or she wants to go to. You can get location information.

통상적으로 GPS 위치 정보는 인쇄되어 출판 배포되고 있는 지도책 등을 통해서도 쉽게 얻기 어려운 정보로서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쉽게 자신의 목적지에 대한 GPS 위치 정보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 보관할 수 있다.GPS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lly difficult to obtain even through atlases, which are print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above method,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obtain GPS location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destination. Can be stored and stored in

이 때 상기 전화 번호는 통상의 유선 전화 번호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도 포함되는 것으로 유선 전화의 경우 해당 유선 전화의 소재지 즉, 보통은 전화 소유자의 집이나 사무실 등의 주소를 통해 해당 GPS 위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재지가 이전될 경우 해당 GPS 위치 정보도 갱신될 필요가 있다.In this case, the telephone number includes not only a normal landline telephone number but also a telephone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can be set, so if the location is moved, the corresponding GPS location information needs to be updated.

또한, 유선이 아니 이동 통신 전화의 경우에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사업자는 해당 전화 번호 가입자의 현재위치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GPS 위치 정보 저장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줄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phone that is not wired, its location is not fixed and changes frequently, so the mobile service provider continuously monitor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scriber of the phone number and stores its GPS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atabas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updat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그런데, 유선 전화의 경우와 달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최신 GPS 위치 정보의 제공을 위해서는 상당히 잦은 갱신 작업이 요구되는데, 이는 통상의 이동 통신 사업자들이 확보하고 있는 가입자의 수를 감안할 때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은 일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있어 자신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은 그다지 달가운 일이 아닐 수 있으며,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도 없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로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 각각의 전화 번호에 대해 해당 GPS 위치 정보를 가입자 자신이 아닌 제3자에게 공개할 것인지 아니면 공개하지 않을 것인지를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However, unlike in the case of a landline phone,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very frequent update operation is required to provide up-to-date GPS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not practical in view of the number of subscribers secured by ordinary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s. This can be In addition, it may not be a great thing for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exposed,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invading an individual's privacy. For this reason, in a database that stores GP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phone number, choose whether or not to disclos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subscriber itself. It also needs to be stored and managed together.

물론 기술적으로 볼 때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에게까지 공개가 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은 현실성이 없으나, 최소한 데이터 베이스를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자가 아닌 불특정 다수를 비롯한 제3자에게 공개되는 것은 제어할 수 있는 사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별도의 플래그(flag)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echnically, it is not practical to prevent it from being disclosed to the database manager, but at least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closed to a third party including an unspecified number of persons, not directly managing the database. will be. For this purpose, it may be sai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flag that can set whether or not to be disclosed.

또한 이와 더불어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해당 GPS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갱신할 것인지 아니면 갱신하지 않고 방치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플래그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갱신에 따른 손실과 부담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적절한 실시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particula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flag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ously updat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r to leave it without updating, so that the loss and burden of unnecessary updates can be eliminated. It will be a suitable embodiment.

물론 이와 같은 플래그들은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나, 가입자 스스로가 수시로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면에서 더욱 유용할 것이며, 관리자의 부담이 상당 부분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GPS 정보 관리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설정 메뉴 등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실시예가 될 것이다.Of course, such flags could be set by the database administrator, but would be more useful in many ways if the subscriber could change the settings from time to time, and the burden on the administrator would be greatly reduced. Therefore, it will be a very useful embodiment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upport a setting menu for allowing a user to change a setting for managing his or her own GPS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플래그들은 정보 관리 차원에서 가입자 자신이 아닌 해당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 때 필요에 따라서는 가입자와 관리자가 이중으로 관리하여 이들 둘의 설정이 모두 일치할 때 정보를 공개하는 등의 실시예가 더욱 유용한 방법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ags may need to be set by the corresponding database manager, not the subscriber itself,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subscriber and the manager may manage dually, and the embodiment may be a more useful method such as releasing information when both settings match.

그리고,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경우 그 구성 요소에 따라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 또는 제3의 정보 제공자의 서버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분산 저장되거나, 중복 저장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즉, 유선 전화에 대한 정보는 유선 전화 사업자의 서버에 그리고 이동 통신 전화의 경우에는 해당 사업자의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atabase storing GPS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be located in a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 a server of a third information provider according to the component thereof. It will be possible. That is, it may be more efficient that information about the landline telephone is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server of the landline telephone operator and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물론 이들 서버는 GPS 위치 정보를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가입한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와 전용선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Of course, these servers must be connected to a ser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subscribed to by a mobile terminal user requesting GPS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edicated line or an internet network.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경우 여러 개의 전화 번호에 대해 하나의 GPS 위치 정보가 입력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다 대 일의 상황은 사무실과 같이 복수 개의 전화가 사실상 동일한 공간 내에 존재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atabase, one GPS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for several telephone numbers. This many-to-one situation can occur when multiple phones exist in the same room, such as an office.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찾아 가고자 하는 대상일 경우 이동 통신 단말의 경우 그 위치가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이를 지속적으로 데이터 베이스상에서 갱신하고, 또 관리한다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 베이스를 배제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GPS 위치를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인 실시예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nges from time to tim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wants to visit, it is a fact that it is a considerable burden to continuously update and manage it on the database. Therefore, in some cases, it may be an effective embodiment to exclude a database and to exchange GPS positions with each other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즉, 만약 누군가 어떤 특정인의 위치를 알고 싶을 경우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특정인의 전화 번호를 지정한 상태에서 해당 단말기의 GPS 위치를 요청하면 이동 통신 사업자는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인이 소지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요청한 사람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거나 또는 타인에게 자신의 GPS 위치 정보를 스스로 전송하여 주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A 라는 사람이 자신을 찾고 있는 B 라는 사람을 위해 자신의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전달하고 싶을 경우 단문 메시지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GPS 위치 정보를 B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꼭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GPS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수단으로 족한 것이다.That is, if someone wants to know the location of a particular person and requests the GPS location of the terminal while designating the specific person's phone number through his terminal, the mobile service provider responds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specific pers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send it to the terminal of the person who requested it, or to send someone's own GPS lo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person, for example, the GPS of his terminal for the person B who is looking for him. If the user wants to deliver the location information, his or her GP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B terminal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short message service, but merely a means for transmitting data corresponding to GPS location information.

이제 도2를 통해 좀 더 구체적인 네비게이션 방법과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a more detailed navigation method an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적지 또는 찾는 이의 이동 통신 단말기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11)과,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무선 통신부(10)와,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 등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전달받은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두는 메모리 장치(13)와, 이동 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향하고 있는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전자 나침반 모듈(14)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수신 모듈(15)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목적지의 상대 위치와 사용자가 바라 본 목적지의 방향 등을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16), 그리고 사용자가 운전 중일 때 특히 유용한 음성 정보 전달이나 알람과 같은 소리 정보 전달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스피커(17), 그리고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과 현재 위치와 목적지 위치의 GPS 정보를 가지고 상대 거리와 방향을 계산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는 제어부(12)로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지도 정보(map)를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인도할 수 있는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n input means 11 for inputting a destination or searcher's mobile phone numb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which a norm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ically has, and mobile communication A memory device 13 for storing GP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database stored in a server of an operator, an electronic compass module 14 for identifying a direction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is facing, and a mobile terminal user's current A GPS receiving module 15 for determining a position, a display unit 16 for display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destination and a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as viewed by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ow you can deliver sound information, such as voice alerts or alarms, that are particularly useful when you are driv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sed of a speaker 17 to be desired, and a control unit 12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and for calculating relative distances and directions with GPS information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loca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a simple navigation method that can lead a user to a destination without using map information.

물론 이러한 물리적인 구성 요소의 일부는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 직접 내장되지 않고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 가능하도록 설계된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용 확장(옵션) 장치 개념으로 설계된 확장 장치(모듈)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some of these physical components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expansion devices (modules) designed in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tional) device concept designed to be connected to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ather than embedded direct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t can be.

도 2의 각 구성 요소와 해당 구성 요소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FIG. 2 and the navigation method associated with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입력 수단(11)의 경우 키패드는 단연 제1의 입력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몇몇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은 이미 음성 인식 기능 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음성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를 해독하여 전화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키패드나 또는 음성 인식 모듈을 이용할 경우 전화 번호 자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사전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나 또는 최근 통화 기록 등에서 목적지나 목적 대상의 전화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전화 번호를 설정토록 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the input means 11, the keypad may be the first input means. However, so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like already hav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so that the phone number can be set by decrypting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if you use the keypad or voice recognition module, you can directly enter the phone number itself, but it is very important to set the phone number by selecting a destination or destination phone number from a pre-stored phone book or recent call log. This can be a useful method.

또한 음성 인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인식상 오류로 인한 착오를 방지하기 위해 인식한 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speech recogn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rocedure for displaying the recognized contents and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errors in order to prevent errors due to recognition errors.

나아가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PDA와 같은 별도의 단말 장치에 의해 지정된 전화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통상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포트(시리얼 데이터 포트 등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핸즈프리 등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포트를 의미한다.) 등을 통해 전달받아 이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 검색 작업을 실시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Furthermore, a user may use a data port (also referred to as a serial data port, etc.) tha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ypically have a telephone number designated by a separate terminal device such as a PDA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lso preferable to perform a database search operation through the data received from the port).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는 최근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지원하고 있는 무선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상기 웹 사이트 상에 존재하는 목적지나 대상을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을 통해 상기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목적지나 대상의 전화 번호를 자동으로 다운 로드 받음으로써 사전에는 모르고 있던 전화 번호 정보를 입수하는 방법 또한 매우 유용한 실시예인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a desired website using a wireless Internet function supported by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selects a destination or a destination existing on the website, and through the selection, selects the web. It is also a very useful embodiment to obtain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that is not known in advance by automatically downloading the destination or target phone number from the site.

일단 위와 같이 목적지의 전화 번호가 설정되면 이를 이용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무선 통신부(1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여러 가지 입력 방법을 통해 전화 번호를 설정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 별도로 할당된 네비게이션 버튼을 누름으로써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자동 검색 작업을 실시토록 할 수 있다.Once the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is set as described above, a database search operation using the same is to be perform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In this case, the user may set the phone number through various input methods described above, and then perform an automatic search operation on the database by pressing a navigation button separately alloca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먼저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한 상태에서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는 도 8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조합 등을 통해 서버나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한 후 목적지 전화 번호를 지정하며 줌으로써 자동 검색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a phone number with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selected first.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server or the wireless Internet site is accessed through a key comb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automatic sear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designating a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and giving th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 번호가 지정되고, 지정된 전화 번호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 작업이 시작되어,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GPS 위치 정보가 이를 요청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되면 이를 받은 제어부(12)는 상기 목적지 GPS 위치 정보를 메모리 장치(13)에 저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hone number is designated, a database search operation for the designated phone number is started,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n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reque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12 receives the destin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device 13.

이는 목적지나 대상이 바꾸지 않는 이상 GPS 위치 정보를 계속적으로 다운 로드 받는 것이 의미가 없으므로 일단 다운 로드 받은 목적지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두는 것이다.Since it does not make sense to continuously download GPS location information unless the destination or destination changes, the downloaded destin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is saved.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단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가 다운 로드되면, GPS 수신 모듈(15)을 통해 파악된 현재의 GPS 위치 정보와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가지고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목적지에 이르기 위한 방향을 제어부(12)에서 계산을 통해 구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onc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s downloaded,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and the current GP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PS receiving module 15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are determined. The direction to reach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alculation in the control unit 12.

그런데 만약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을 알수 없다면 목적지에 대한 방향을 제대로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단말기 소지자가 동서남북 중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는 것이 요구되며,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 나침반 모듈(14)로부터 이러한 방위 정보를 구할 수 있다.However, if the user poss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know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heading, it is impossible to properly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termine which direction the terminal holder is facing in the north, south, east, west, and north, and the orient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electronic compass module 14 including a geomagnetic sensor.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E, W, S, N(30) 즉, 동서남북에 대한 방위를 나타냄과 동시에 이러한 방위 정보의 변화에 상응하여 목적지 위치 표시(32)도 함께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irections E, W, S, N (30),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north, south, west, and north, and at the same time, the destination position display 32 are also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 of the orient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사용자가 몸을 우측으로 약간 회전하여 N(30)이 그림에 도시된 것보다 30도 만큼 좌측으로 이동하면, 목적지 위치 표시(32)도 함께 좌측으로 30도 만큼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지향하고 있는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목적지의 각도가 45도에서 15도로 변경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4, when the user rotates the body slightly to the right and the N 30 moves to the left by 30 degrees than shown in the figure, the destination position display 32 also moves to the left by 30 degrees. As a result, the angle of the destination is changed from 45 degrees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ser's facing front.

물론 상기 전자 나침반(14)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는 있으나,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은 채 제자리에서 지향하는 방향을 바꾸는 상황 등에 있어서는 목적지의 방향을 재대로 가리키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따라서 전자 나침반을 구비하는 것이 좀 더 많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단지, 이에 따르는 추가 비용은 불가피한 것이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navigation information without having the electronic compass 14 or the lik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point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properl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erminal user changes the direction to be in place without moving. It can be seen that having an electronic compass can provide more convenience. However, the additional costs that follow are inevitable.

그런데 이와 같은 거리와 방향 계산은 단말기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 또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계산된 결과는 무선 통신부(1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되어지며,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간이네비게이션 장치에 내장된 프로세서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별도의 간이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프로세싱 될 경우에는 거리와 방향 정보의 표시등도 상기 간이 네비게이션 장치상의 표시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However, such distance and direction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not only on the microprocessor in the terminal but also on the base station or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calculated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In some cases, it may be made through a processor embedded in the simple navig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ourse, when processed by a separate simple navigation device, it can be said that the indicators of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are also made through the display device on the simple navigation device.

또한 GPS 수신 모듈(15)과 전자 나침반 모듈(14) 역시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 내장되지 않고 단말기와 연결된 별도의 외장 모듈 형태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두 구성 요소는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지 않아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 있는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을 지원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 출시된 휴대폰은 GPS 위성을 이용하지 않고 기지국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추적 기능이 지원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주로 사용될 뿐 효과적인 네비게이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지는 않다.In addition, the GPS receiving module 15 and the electronic compass module 14 may also be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eparate external module form connected to the terminal instead of being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The reason is that these two components are not embedded in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it is impossible to support the simple navigation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recently released mobile phones are supported by the location tracking function to determine their location by using a base station without using GPS satellites, but these functions are mainly used as a means of identifying their location and used as an effective navigation means. It's not happening.

일단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이 계산되면, 이를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현재 위치 표시(31)를 화면의 중심에 하고, 목적지 위치 표시(32)를 그 주변에 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와 반대로 목적지 위치 표시(32)를 화면의 중심에 둘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목적지 위치 표시 화살표(34)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따라 화살표의 길이가 함께 변하여 거리를 쉽게 짐작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아니면 화살표의 길이는 고정하고, 거리 표시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Once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is calculated, it can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4 to 6. First, the present position display 3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destination position display 32 is located at the periphery thereof. Alternatively, the destination position display 32 may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estination location indicator arrow 34,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arrow can be changed together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so that the distance can be easily estimated, or the length of the arrow is fixed The distance ind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영역 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기록하고 이를 연속된 선을 통해 표시하여 줌으로써 목적지를 좀 더 쉽게 찾아 갈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이렇게 저장된 경로 데이터는 따로 저장되어, 후에 사용자가 목적지를 떠나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5, a method of recording a route traveled by a user in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laying the same through a continuous line may provide a method of easily finding a destination. Of course, the stored route data may be stored separately, and may provide data for future reference when the user leaves the destination and moves to another location.

그리고 도 6, 도 7 또는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그래픽 정보 이외에 시각과, 거리 방향을 숫자로 표시하여 주는 것이 또한 유용한 실시예의 하나이다.6, 7 or 8, it is also a useful embodiment to display the time and the distance direction numerically in addition to the graphic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들이 상기 표시부(16)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과 별도로 스피커(17)를 통해 음성 및 알람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운전중인 사용자 등에게는 매우 유용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7)는 경우에 따라 부저나 이어폰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16)와 마찬가지로 스피커(17)도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아닌, 단말기에 연결되어지는 별도의 간이 네비게이션 장치에 내장된 LCD 또는 스피커나 부저 등을 통해 대체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휴대폰과 같은 통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갖고 있는 화면 크기 등의 제한 요소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a very useful embodiment for a driving user to deliver voice and alarm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the speaker 17 separately from the display methods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16. The speaker 17 may be replaced by a buzzer or an earphone in some cases. Like the display unit 16, the speaker 17 is not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but is connected to a terminal. The LCD may be replaced by a built-in navigation device or a speaker or a buzzer.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of overcoming limitations such as screen siz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그리고 운전 중에 있어서 단말기 LCD 화면을 통한 정보 제공이 무의미할 경우에는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이 때 정보 전달 방법은 예를 들어 2시 방향 300미터 전방에 목적지가 있습니다. 등과 같은 음성 정보와 함께 다양한 알람 소리를 통해 이를 지원할 수 있다.When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the LCD screen of the terminal is meaningless while driving, it may be sufficient to provide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through voice information using the hands-free function. At this point, for example, the destination is 300 meters ahead at 2 o'clock. This can be supported by various alarm sounds along with voice information such as

또한 음성이나 알람 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s to be delivered through a voice or an alarm, there are the following embodiments.

먼저, 단말기 제조 단계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거리 이내에 목적지가 위치하게 될 경우 이를 알람 등을 통해 인지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목적지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도 이를 통보함으로써 목적지를 지나치고 있다는 점을 인지시킬 수 있다.First, when a destination i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according to a terminal manufacturing step or a user's setting, the alarm may be notified through an alarm or the like, and the user may be notified that the user is passing the destination by notifying the user when the user is away from the destination. .

그리고, 통상적으로 도로들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에 착안하여 볼 때, 목적지 방향이 90도가 되거나 270도 되는 지점 부근에 교차로가 있다면 이 때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이동 방법이므로 목적지의 방향이 90도 또는 270이 되거나 그 부근이 되었을 때 이를 인지시키기 위한 알람 등은 매우 유용한 실시예라 할 수 있다.In general, in view of the intersection of roads at right angles, if there is an intersection near the point where the destination direction is 90 degrees or 270 degrees, the right direction or the left direction is a very effective movement method, and thus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is 90 degrees. Alternatively, an alarm for recognizing when 270 or near is a very useful embodiment.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이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에서 지원되는 각종 플래그 즉, GPS 위치 정보 공개 플래그 등을 사용자 스스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데이터 베이스상 플래그 설정과 상관없이 단말기 자체에서 단말기 자신의 위치 계산 기능을 해제하거나, 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전달하는 것 자체를 거부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지원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도록 기능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imple navigation method described above has a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various flags supported on the database, that i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flag. In particular, regardless of the flag setting on the database, the terminal may disable the terminal's own location calculation function, or may refuse to transfer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mobile operator through the base station. It is also desirable to have a function to protect the privacy of individuals by applying.

참고로 도 7은 지금까지 설명한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을 간단하게 플로우 차트 식으로 정리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미 앞선 구체적인 설명과 중복되어 생략하며,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현재 위치 정보 확인 단계에서 화면 표시 단계에 이르는 단계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되어 짐을 알 수 있다.For reference, FIG. 7 briefly summarizes the above-described simple navigation method in a flow chart form,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y overlapping with the previous detailed description. As shown in FIG. 7, the current location is set in the simplified navigation fun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teps from the information checking step to the screen display step are continued at regular time intervals.

물론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가 변경될 경우에는 변경된 상기 목적지 GPS 위치 정보를 다시 다운 로드할 필요가 있다.Of course, whe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s changed, it is necessary to download the changed destin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again.

도 3은 GPS 수진 모듈 및 전자 나침반 모듈이 이동 통신 단말기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접속되어지는 것을 간단하게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옵션 모듈 형태로 지원되는 GPS 수신 모듈과 전자 나침반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장치)를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Figure 3 is a simple schematic representation that the GPS receiver module and the electronic compass module are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re connected through the data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supporting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GPS receiving module and an electronic compass supported in the form of an option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을 지원하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지 목적지의 전화 번호만을 가지고 해당 목적지를 쉽게 찾아 갈 수 있는 간편하고 저렴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별도의 고가 네비게이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지원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imple and inexpensive navigation function that enables the user to easily navigate to the destination using only the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using 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upports the simple navigation method. It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supported without having.

즉, 정확한 주소가 없어도 휴대폰의 무선 접속 기능 및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어, 별도의 CD-ROM 장치가 필요 없으며, 또한 지도를 제공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도 필요 없다.That is, even without the correct addres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can be known using the wireless access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and the destination's phone number,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D-ROM device and no software for providing a map. .

이러한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은 기존의 차량 운전자 중심의 네비게이션 개념을 탈피하여 보행 중인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길잡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고정된 목적지나 목표물뿐 아니라 제3의 이동 통신 단말기 소지자와 같이 고정되지 않은 대상을 목표로 설정하는 방법과 상기 목표 대상을 찾는데 유용한 수단을 제공한다.Such a simple navigation method can provide a very effective guide function for a walking mobile terminal user by mov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vehicle driver-centered navigation concept, and can be fixed like a third mobile terminal holder as well as a fixed destination or target. It provides a method of targeting an untargeted target and a useful means of finding the target target.

또한 지도 정보(map)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지도 정보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은 지역이나 지도 정보를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단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베이스 등을 통해 지원되는 간이 네비게이션 방법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mple navigation method suppor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ata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map information is not properly input or the map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because it does not depend on the map information. can do.

또한 차량 운전과 같이 이동 중인 사용자의 경우 상당 시간 시선을 집중해야 하는 복잡한 지도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간단한 음성과 영상 정보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은 편리성을 넘어 안전과 관련하여 더욱 안전한 네비게이션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은 지도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데 따르는 또 다른 장점이라 할 수 있다.For users on the move, such as driving a car, they can get to their destination through simple voice and video information rather than relying on complex map information that requires a lot of attention. This is another advantage of not using map information because it provides a safe navigation.

Claims (55)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인도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방법에 있어서,A navigation method for guiding a mobile terminal user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the method comprising: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f a destination by using a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GPS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서버에서 입력된 목적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단계와;Automatically retrie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using a destination phone number input from a server having a database storing respective GP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ne number; 상기 자동 검색된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운 로드 받는 단계와;Download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tomatically searched destin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운 로드된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Stor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ownloaded destination in a memory device; 교신 가능한 이동 통신 기지국을 활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Calcul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at can communicate;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to which the user wants to go by us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us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거리와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nd displaying a distance and a direction to a destination based on a current location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검색하는 단계와;The step of inputting a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includes: searching a phone book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전화번호부상에서 하나의 전화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nd selecting one telephone number from the telephone director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최근통화기록을 검색하는 단계와;The step of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includes: retrieving a recent call record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최근통화 기록상에서 하나의 전화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nd selecting one telephone number on the recent call reco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와;The step of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erminal user accessing a websit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웹사이트의 데이터 베이스 상에서 가고자 하는 곳을 선택하는 단계와; 및Selecting where to go on the website's database; And 상기 선택 단계를 통해 선택된 곳의 전화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운 로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nd download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elected pla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lection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육성으로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ntering a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comprises: entering a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by nurturing; 입력된 음성 정보를 인식하여 전화 번호를 인지하는 단계와;Recognizing input voice information and recognizing a telephone number; 인지된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와;Displaying the recognized telephone number; 표시된 전화 번호를 통해 인식상 오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the presence of an error in recognition through the displayed phone nu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육성으로 목적지의 이름을 입력하는 단계와;The step of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includes the step of inputting the name of the destination by nurturing; 입력된 음성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Recognizing input voice information; 인식된 이름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하는 단계와;Retrieving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name from the telephone direct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지된 이름과 전화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와;Displaying the recognized name and telephone number; 표시된 이름과 전화 번호를 통해 인식상 오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omprising: checking whether a recognition error exists through a displayed name and a telephone nu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분리된 별도의 외부 장치에서 전화 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The step of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may include selecting a telephone number from a separate external device separat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접속 수단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전화 번호를 전달하는 단계와;Transferring the selected telephone number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connecting means; 상기 전달된 전화 번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nd storing the transferred tele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전화 번호 입력 단계를 통해 목적지의 전화 번호가 입력 또는 선택된 상태에서 휴대폰 상에 마련된 네비게이션 전용 버튼을 누름으로써 휴대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중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구동되어 검색 작업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that supports a navigation function among the software embedded in the mobile phone by pressing a navigation dedicated button provided on the mobile phone while the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is input or selected through a phone number input step.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is star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휴대폰의 메뉴 버튼 조합에의해 네비게이션 기능이 선택되고, 전화 번호 입력 단계를 통해 목적지의 전화 번호가 설정됨으로써 검색 작업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searching for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may include a navigation function selected by a menu button combination of the mobile phone, and a search operation is started by setting a 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through a phone number input step. Supporte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f a destination by using a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GPS 위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서버에서 입력된 목적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단계와;Automatically retrie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using a destination phone number input from a server having a database storing respective GP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ne number; 상기 자동 검색된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운 로드 받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소지자가 직접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GPS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줌으로써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ownload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utomatically searched destin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phone number directly transmits its GPS location information using i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at supports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replac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에 필요로 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를 거쳐 전용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제3의 정보제공자들의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곳 이상의서버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atabase required for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s any one or two of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the server of the third service providers connected via a dedicated line or the Internet via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distributed over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에 필요로 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통상의 유선 전화 번호에 대한 GPS 위치 정보가 다 대 일 또는 일 대 일로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atabase required for the step of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s a mobile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for a conventional landline telephone number is stored many-to-one or one-to-on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해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위치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atabas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urther stor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에 필요로 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각각의 전화 번호에 대한 GPS 위치 정보들은 상기 GPS 위치 정보를 전화 번호 소유자 또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를 제외한 제3자에게 제공할 것인지 아니면 제공하지 않을 것인지를 상기 소유자 또는 관라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래그를 구비하고 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atabase required for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ndicates that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phone number will provid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to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phone number owner or database administrator. And a flag for allowing the owner or administrato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same, and allowing a user or an administrator to set the flag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에 필요로 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유선 전화의 경우 해당 전화의 소유자 주소지가 변경되어 GPS 위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주소지에 상응하는 GPS 위치 정보를 수정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atabase required for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may be modified to input GP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address whenever the owner's address of the phone is changed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에 필요로 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해당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능에 의해 파악된 단말기의 위치에 변경에 따라 GPS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atabase required for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updat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dentified by the location tracking function of th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에 필요로 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 갱신 작업의 실행 여부가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의 선택 중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atabase required for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is determined by one or a combination of a terminal user's selection and a database manager's selection whether to execut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updat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에 필요로 하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는 사용자의 단말기 위치에 해당하는 GPS 위치 정보를 사용자 자신 또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가 아닌 제3자에게 제공할 것인지의 여부를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의 선택 중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Whether the database required for retrie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will provide GP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of the user that is continuously updated to the user or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database administrator.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user selects or is determined b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f the database manager's select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별도의 GPS 위성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Compu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data output from a separate GPS satellite receiver module built in the terminal Terminal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별도의 GPS 위성 수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Compu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upports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sing data output from a separate GPS satellite receiver module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교신 가능한 이동 통신 기지국을 통해 연결된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상에서 산출되고, 그 결과를 다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간이 네비게이션 제어방법.Comput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again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ple navigation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교신 가능한 이동 통신 기지국을 통해 연결된 이동 통신 사업자 서버상에서 계산되고, 그 결과를 다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간이 네비게이션 제어방법.Computing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to go to, and calculating a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s a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server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sult of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aga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자체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Compu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to go to, and calculating the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is made by a microprocessor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at supports the navig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있는 별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Compu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to go and calculating the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is made by a separate microprocesso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시스템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이루어진 후 계산된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Compu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estination to go and the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is a microprocessor embedded in the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mobile terminal after the calculated resul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별도의 표시 장치 상에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And displaying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re represent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에 거리와 방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시각 정보 전달을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인 표시부 이외에 스피커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음성 정보를 통해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liv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voice information by adding a speaker in addition to the display unit which is a display means for transmitting visu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at suppor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에 거리와 방향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스피커만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를 통해 거리와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isplaying of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replac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voice information using only a speaker without a display mean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upporting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Terminal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전자 나침반으로부터 출력되는 방위 정보에 따라 동서남북의 방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bearing of the east, west, north and north according to the bearing information output from the electronic compass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at supports the navig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전자 나침반으로부터 입력된 방위 정보를 이용하여 동서남북의 방향을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위에 근거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목적지의 위치에 대한 방향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a distance and a direction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directions of east, west, north and south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using the bear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electronic compass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loc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별도의 전자 나침반으로부터 입력된 방위 정보를 이용하여 동서남북의 방향을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위에 근거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목적지의 위치에 대한 방향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s to display the directions of the east, west, north and north on the terminal display unit using the bearing information input from a separate electronic compas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loc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근거로 단말기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위를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방위에 근거하여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목적지의 위치에 대한 방향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isplaying of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calculating a bearing that the terminal user is facing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nd focusing on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bear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direction of a destination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와 일치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알람,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larm and voice information that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matches a prese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다가 멀어지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알람,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a distance and a direction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outputt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larms and voice information that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is getting closer.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목적지의 방향이 90도보다 작은 값에서 90도를 넘어서는 순간, 270도보다 작은 값에서 270도를 넘어서는 순간,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알람,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as soon as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exceeds 90 degrees at a value smaller than 90 degrees, and at a value exceeding 270 degrees at a value smaller than 270 degrees. A control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larm, voice information that can be ma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목적지의 방향이 90도보다 작은 값에서 90도에 근접할 때, 270도보다 작은 값에서 270도에 근접할 때 90도와 270을 기준으로 각각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 들어서는 순간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알람, 음성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s 90 degrees and 270 whe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is close to 90 degrees at a value smaller than 90 degrees, and close to 270 degrees at a value smaller than 270 degree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larms and voice information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at the moment of entering within a preset angle ran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그래픽 정보와 함께 텍스트 정보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isplaying of the distance and direc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as text information along with graphic information.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심에 표시하고, 목적지의 상대 위치를 현재 위치의 주변에 하나의 포인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a distance and a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as a point around the current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at supports the navig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심에 표시하고, 화살표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isplaying of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using an arrow.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제3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거리의 변화를 표시부에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살표의 길이를 가변 시킴으로써 나타내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s characterized by indicating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arrow used for displaying the direction on the display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목적지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심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대 위치를 목적지 위치의 주변에 하나의 포인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the user's relative location as one point around the destination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목적지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심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하나의 선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는 목적지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중심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대 위치를 목적지 위치의 주변에 하나의 포인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The displaying of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the current path as a single line. The step of displaying a distance and a direction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reference may include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and displaying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user as one point around the destination location. Supporte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목적지까지 인도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navigation function for gu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from a user's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Input means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f a destination for the user to confirm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설정된 목적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목적지 GPS 위치 정보를 다운 로드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 작업을 명령하기 위한 검색 명령 수단과;Search instruction means for instructing a database search operation for downloading destin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set through the input means;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 이동 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연결된 제3의 정보 제공자 서버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버에 분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다운 로드하는 무선 통신부와;GPS location of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from a database distributed in a server of the mobile operator, one or more servers of third party information provider servers connected to the server of the mobile operat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ownloading information;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다운 로드 된 목적지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A memory device for storing destination GPS location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database;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현위치 파악 수단과;A current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check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GPS receiving module;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a current location and a destination; 현재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방향 정보를 소리를 통해 전달하는 스피커와;A speaker for transmitting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to a current location and a destination through sound; 상기 검색 명령 수단의 데이터 베이스 검색 명령에 따라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목적지의 전화 번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에 전달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현위치 파악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GPS 위치 정보와 상기 목적지의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직선 거리와 목적지의 방향을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와 방향 정보를 상기 표시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ransmit the telephone number of the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mean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database search command of the search command means, and store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memory device; And calculating a linear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and a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by using the current GPS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urrent location determining means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and calculating the calculated distance and direc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utput through.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고, 전자 나침반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방위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여 주며, 단말기 사용자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목적지의 방향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imple navigation function further includes an electronic compass module, displays bear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electronic compass module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a direction of a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e terminal user is fac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제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듈은 별도의 접속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됨으로써 본체에 착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electronic compass module is connected to the data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means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to the main body. 제4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듈은 별도의 무선 접속 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방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electronic compass modul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the bearing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wireless access means.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현위치 파악 수단은 위성 데이터를 이용하는 별도의 GPS 수신 모듈 대신 이동 통신 기지국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urrent position detecting means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data instead of a separate GPS receiving module using satellite data.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현위치 파악 수단은 별도의 접속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됨으로써 본체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current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identif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GPS receiv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data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means is detachable to the bod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상기 현위치 파악 수단은 별도의 무선 접속 수단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GPS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current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identif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by us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GPS receiving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ferring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a separate wireless access means; Communication terminal.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목적지 전화 번호를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은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에서 목적지의 선택,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최근통화기록에서 목적지를 선택하는 키패드와 키조합을 해독하여 하나의 전화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destination telephone number directly inputs a telephone number, selects a destination from a phone book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lects a destination from a recent call record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numeric data representing one telephone number by decoding a selected keypad and key combination.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목적지 전화 번호를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은 전화 번호를 음성으로 입력,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에서 목적지를 음성으로 선택,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최근통화기록에서 목적지를 음성으로 선택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를 해독하여 하나의 전화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destination phone number inputs a phone number by voice, selects a destination by voice from a phone book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rds a recent call previousl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icrophone for selecting a destination as a voice, and decoding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generate numeric data representing a single phone number.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가 이동 통신 사업자에게 전달되도록 허용할 것인지 아니면 허용하지 않을 것인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etting menu that allows a mobile terminal user to select whether to allow or disallow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wn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upports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기지국과의 교신을 통한 단말기 위치 확인 기능이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상기 이동 통신 기지국과의 교신을 통해 자신의 단말기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의 수행을 허용할 것인지 아니면 허용하지 않을 것인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rminal location checking func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mits or permits to perform a process of calculating its own terminal loc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 setting menu for selecting whether or no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selects whether or not.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자신의 단말기 위치에 해당하는 GPS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도록 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a setting menu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continuously update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o a database sto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simple navigation function comprising a. 제4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자신의 단말기 위치에 해당하는 GPS 위치 정보를 사용자 자신 또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가 아닌 제3자에게 제공할 것인지의 여부를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stored in the database stor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r to the user or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database administrat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etting menu selectable through its own terminal.
KR1020010055200A 2001-09-07 2001-09-0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KR100601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200A KR100601364B1 (en) 2001-09-07 2001-09-0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200A KR100601364B1 (en) 2001-09-07 2001-09-0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783A true KR20030021783A (en) 2003-03-15
KR100601364B1 KR100601364B1 (en) 2006-07-13

Family

ID=2772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200A KR100601364B1 (en) 2001-09-07 2001-09-0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364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62B1 (en) * 2001-11-21 200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ing posi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same
KR100507233B1 (en) * 2002-10-31 2005-08-11 에스케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tination connected information
KR100560704B1 (en) * 2001-09-26 2006-03-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ividually tailored routes within a complex structure
KR100678499B1 (en) * 2004-10-11 2007-02-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the course of destination using telephone number
KR100707695B1 (en) * 2004-07-15 2007-04-16 주식회사 자티전자 GPS receiver and distributor having speaker inside
KR100743060B1 (en) * 2005-12-13 200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l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0802876B1 (en) * 2006-04-20 2008-02-13 (주) 엘지텔레콤 Method of providing optimal path to destin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23226B1 (en) * 2006-09-25 2008-04-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844265B1 (en) * 2006-11-30 2008-07-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I searching services by semantic web
KR100871786B1 (en) * 2006-09-13 2008-12-0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Mobile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program
KR101120204B1 (en) * 2004-03-31 2012-03-1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rection method of error of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KR20150050327A (en) * 2013-10-30 2015-05-08 한라마이스터 유한회사 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US9783137B2 (en) 2013-10-30 2017-10-10 Powervoice Co., Ltd. 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889899A (en) * 1998-08-26 2000-03-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terminal navigational assistance service
JP2001043479A (en) * 1999-07-30 2001-02-16 Kyocera Corp Road guide system and its guide method
KR100337482B1 (en) * 1999-10-15 2002-05-23 김영민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0317269B1 (en) * 1999-10-22 2001-12-22 서평원 Mobile Station mounting GPS
KR20010047166A (en) * 1999-11-18 2001-06-15 이기남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43991B1 (en) * 1999-12-10 2002-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il cooling device using alternater
KR100469236B1 (en) * 1999-12-28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Geographical information support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KR100342722B1 (en) * 2001-08-07 2002-07-03 김득권 System of Persional Naviga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704B1 (en) * 2001-09-26 2006-03-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Destina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individually tailored routes within a complex structure
KR100424462B1 (en) * 2001-11-21 200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ing posi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 i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same
KR100507233B1 (en) * 2002-10-31 2005-08-11 에스케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tination connected information
KR101120204B1 (en) * 2004-03-31 2012-03-16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rection method of error of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US8155884B2 (en) 2004-03-31 2012-04-10 Kyocera Corporation Bearing display apparatus and bearing display method
KR100707695B1 (en) * 2004-07-15 2007-04-16 주식회사 자티전자 GPS receiver and distributor having speaker inside
KR100678499B1 (en) * 2004-10-11 2007-02-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the course of destination using telephone number
KR100743060B1 (en) * 2005-12-13 200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l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0802876B1 (en) * 2006-04-20 2008-02-13 (주) 엘지텔레콤 Method of providing optimal path to destin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871786B1 (en) * 2006-09-13 2008-12-0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Mobile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program
US7756638B2 (en) 2006-09-13 2010-07-13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0823226B1 (en) * 2006-09-25 2008-04-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844265B1 (en) * 2006-11-30 2008-07-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I searching services by semantic web
KR20150050327A (en) * 2013-10-30 2015-05-08 한라마이스터 유한회사 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US9783137B2 (en) 2013-10-30 2017-10-10 Powervoice Co., Ltd. Sound QR system for vehicular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364B1 (en)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76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another party in a navigation system
KR100601364B1 (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supports the function of simple navigation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WO20140557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mobile device users
JP2001023076A (en) Portable terminal with passenger navigation function
GB2376297A (en) Navig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JP31257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rminal peripheral information
US20070021914A1 (en) Navigation system with function of destination search using synchronization service of home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9002192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s
KR20050108393A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method, and program
KR20080078300A (en) A car navig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09083B1 (en) The simple navigation control method which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ystem.
JP4184616B2 (en) Search support device and search support system
KR20050115452A (en) How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and directions using a mobile phone
JP2004028837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5939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47166A (en)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319914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cation depend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2006105731A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moving device
US201502963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mobile device users
KR100525532B1 (en) Navigation system of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8705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ovement path
KR20030035390A (en) Method for updating route guide data in naviga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05049189A (en) Navigation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center of navigation system
KR0143013B1 (en) Global map information service system
JP3699054B2 (en) ROUT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