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0598A -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0598A
KR20030010598A KR1020027013515A KR20027013515A KR20030010598A KR 20030010598 A KR20030010598 A KR 20030010598A KR 1020027013515 A KR1020027013515 A KR 1020027013515A KR 20027013515 A KR20027013515 A KR 20027013515A KR 20030010598 A KR20030010598 A KR 20030010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state
control
transmission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카토리스나오
키요마츠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Priority to KR102002701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0598A/en
Publication of KR2003001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059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면서,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하지 않고 단독으로 호스트국을 통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호스트국측에서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 수단(5)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 수단(5)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따라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 수단(5)을 오프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내의 소정의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5)이 제어되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제어 위임 신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4)을 통해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via a host station independently without relaying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hile using one wireless telephone line, and also performs special processing such as authentication on the host station side. By providing a wireless LAN system that is not necessary, a first state in a normal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5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s turned off.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ff in accordance with the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to any slave communication device, and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predetermined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n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Each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5 is controlled so as to switch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If a reason occurs, the control delegate signal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be turned on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respectiv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4 to the second state. To be switched.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과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LA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최근에 이동 통신 전화는 놀랍게 발전했고, 통화료의 인하나 신기종의 발매 등에 따라 현재는 이동 통신의 전화 회선(이하, 무선 전화 회선이라고 함)의 가입자 수가 고정 전화 회선의 가입자 수를 상회하는 상황에 있다. 이 때문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휴대 전화기와 고정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고정 전화기 모두를 사용자가 보유하여 옥내에서는 고정 전화기로 통신을 행하고, 외출 중에는 휴대 전화기로 통신을 행하는 구분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obile telephones have developed remarkably,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to mobile telephone lin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reless telephone lines) of mobile communication lines has exceeded the number of subscribers of fixed telephone lines due to the reduction in call charges and the release of new models. . For this reason, it is common to use a division in which a user possesses both a mobile telephone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and a fixed telephone using a fixed telephone line to communicate with a fixed telephone indoors and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telephone while going out.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현재는 고정 전화 회선의 가입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지만, 이동 통신의 전화 회선의 사용 요금(기본 요금 및 통화료)이나 통신 속도, 통신의 신뢰성 등에 대해서 금후 한층 더 향상이 도모되고, 고정 전화와 동등한 정도가 되는 것을 가정하면, 가까운 장래에는 사용자가 고정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상당히 감소할 것이다.Reflecting such a situation, the number of subscribers of fixed telephone lines is currently decreasing, but further improvements are being made in the future regarding the usage rates (basic charges and call charges), communication speed, and reliability of mobile telephone lines. Assuming the equivalent of a fixed telephone, in the near future the use of fixed telephone lines by users will inevitably decrease significantly.

또한, 한편으로는, 가까운 장래에는 상당수의 전자 기기(예컨대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데크, 각종 카메라 등)에 대하여 통신 기능이 부가되고, 서버 장치 등에 대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예상되며, 이 경우에는 전자 기기 1대마다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이 부가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hat communication functions will be added to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 receivers, video decks, various cameras, etc.) in the near future, and that variou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d from server devices. In this case, it is conceivable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is added to each electronic device.

여기서, 각종 전자 기기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송수신 수단이 부가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면, 전자 기기 1대마다 다른 무선 전화 회선을 설정하는, 즉 1대마다 별도의 전화번호를 부여하게 되면, 사용자 및 호스트국이 관리하는 전화번호의 난립, 사용자가 부담하는 무선 전화 회선의 기본 요금의 비대화, 나아가서는 전화 번호 자원의 고갈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Here, assuming that a case where a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is add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f a different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for each electronic device, that is, a separate telephone number is given for each one, And a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because a number of problems arise, such as a problem of a telephone number managed by a host station, an increase in the basic charge of a wireless telephone line borne by a user, and exhaustion of telephone number resources. You should build a system that can be used in common.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랜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예컨대 각 전자 기기에 블루투스(닛케이덴시 2000년 1월17일호 37-44 페이지 참조) 등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부착하여 무선랜을 구축하는 동시에, 랜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originated call)에 대해서는, 그 무선랜 내에서 유일 무선 전화 회선이 설정된 휴대 전화기 등의 마스터 통신 장치로 착신하여 통신을 확립하고, 이 마스터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 확립 상태에 있어서, 무선랜 내의 다른 각 전자 기기(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마스터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근거리 무선 장치로 통신을 더 행함으로써 마스터 통신 장치를 통해 발신원 전화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construct such a system, it is conceivable to establish a network connection using a LAN. For examp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Bluetooth (see January 17, 2000, page 37-44) of each electronic device may be attached to a wireless device. In addition to establishing a LAN, an originated call from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is received by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in which a uniqu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in the wireless LAN to establish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establishment state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other electronic devic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wireless LAN further communicates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through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by further communicating with the near field wireless device with respect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t is becoming.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무선 전화 회선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는 휴대 전화기뿐이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인 다른 각 전자 기기는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 전화기를 말하자면 중계기로서 이용함으로써 무선 전화 회선에 간접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However, in this method, only the mobile phone serving as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used directly by the wireless telephone line, and each other electronic device which i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use the wireless phone lin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as a repeater. It is simply indirectly connected to the line.

그 때문에, 랜 밖의 전화 장치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와의 통신 중에는 항상 마스터 통신 장치가 통신 접속 상태가 아니면 안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생긴다. 또한, 예컨대 랜 밖의 전화 장치가 서버 장치 등의 컴퓨터인 경우에, 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영상 정보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무선랜 내의 전자 기기(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중계기로서 휴대 전화기(마스터 통신 장치)가 부담하는 전력 소비량이 과대해지고, 나아가서는 현재의 휴대 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성능으로서는 과도한 처리 부담이 생긴다.Therefore, sinc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must always be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ccurs.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LAN is a computer such as a server apparatus, and when receiving large-capacity data such as vide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to an electronic devic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in the wireless LAN, the portable telephone (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becomes excessive, and as a result, the processing of the microprocessor of the current mobile phone is excessive.

이것에 대하여, 그 휴대 전화기에 관해서, 대용량 전지나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휴대 전화기로서의 휴대성이 손상되고, 또한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못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conceivable to mount a large-capacity battery or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rocessing large-capacity data with respect to the mobile phone.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impairs the portability of the mobile phone and increases the cost considerably. Not realistic

나아가서는, 이 방법에서는, 휴대 전화기를 마스터 통신 장치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랜 밖의 전화 장치와 전자 기기(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휴대 전화기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실제로는 휴대 전화기와는 별도로 무선랜 내의 각 전자 기기에 이동 통신 기능을 갖게 하기위한 무선 전화 회선이 필요하다.Furthermore, in this method, since the mobile phone is used as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phone cannot be moved and used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and the electronic devic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to the cellular phone, a wireless telephone line is required to hav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for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WLAN.

한편, 현행 무선 전화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기지국과 하나의 중앙 제어국을 갖춘 호스트국에 의해 무선 전화 회선이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해야 한다. 여기서, 무선랜 내의 복수의 통신 장치가 각각 동일한 전화번호에 의해 위치 등록을 행하는 구성이라고 하면, 현행 호스트국에서는 대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통신 장치의 위치 등록 문제를 배려한 구성으로 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urrent radiotelephone system, since the radiotelephone line is managed by a host station hav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one central control station, the position registr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use the radiotelephone line. Here, i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wireless LAN each perform location registration using the same telephone number, the current host station cannot cope. Therefore, in order to construct a wireless LAN system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a configu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registration problem of each communication device should be taken.

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일본 특허 출원 2000-122791, 일본 특허 제3153213호)이 제안되었다. 이 시스템을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무선랜에 적용한 경우에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마스터 ID(예컨대 전화번호 「090-1234-5678」)를 바탕으로 생성된 슬레이브 ID(예컨대 전화번호 「090-1234-5678-01」, 「090-1234-5678-02」, ···)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호스트국을 통한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 위임을 받은 후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기로서 이용하지 않고도 무선 전화 회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as a measure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first proposed "control system for delegation of telephone line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0-122791, Japanese Patent No. 3132213). When this system is applied to a wireless LAN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a slave ID (for example, a phone number generated based on the master ID (for example, telephone number "090-1234-5678")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090-1234-5678-01), "090-1234-5678-02", ...) separately register the location to the base station to perform communication through the host station, and therefore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fter receiving control delegation, it becomes possible to establish a wireless telephone line without using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s a repeater.

그러나, 먼저 제안한 이 시스템에서는, 제어 위임을 받은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슬레이브 ID를 이용하여 랜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할 때에는 호스트국이 슬레이브 ID와 마스터 ID의 대응관계에 대한 인증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호스트국측(통신사업자측)이 처리 부담을 지게 되는 약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system proposed earlier, when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been delegated control performs wireless telephony communication to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by using the slave ID, the host station must authenticat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slave ID and the master ID. Therefore, there was a weak point that the host station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uts a burden on the processing.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전자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각 전자 기기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이나 제어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AN system. In particular, in a wireless LA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network-connecte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basic configuration, a control method, and the like for common use of one wireless telephone line in each electronic device are described. It is about.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으로, 무선랜 내의 각 장치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case where each device in a wireless LAN is in a first state.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 흐름도.2 is a flow chart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으로, 무선랜 내의 각 장치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case where each device in a wireless LAN is in a second state.

도 4는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의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에 단독으로 발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verview of the overall system processing in the case wher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received the call control delegati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makes a call to the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alone.

도 5는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의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verview of the overall system processing in the case where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call control delegati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performs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network.

도 6은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부가 행하는 제어 처리의 개요 및 발신 제어 위임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rocess of outgoing control delegation.

도 7은 발신 제어 위임시에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부가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control processing performed by a control unit of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at the time of outgoing control delegation.

도 8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행하는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 흐름도로서,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상태에서 행해지는 처리 및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processing of incoming control delegation performed by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showing a process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state with a source telephone apparatus and a process for switching between first and second states.

도 9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행하는 착신 제어 위임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 흐름도.Fig.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processing at the time of delegation of incoming control performed by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도 10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대하여 발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대해서 도시하는 흐름도.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signal flow and the like wh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delegates outgoing control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도 11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대하여 착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대해서 도시하는 흐름도.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signal flows and the like when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delegates incoming control to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도 12는 마스터 통신 장치 및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fic example of applying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마스터 통신 장치1: master communication device

2(2A, 2B, 2C∼2n) : 슬레이브 통신 장치2 (2A, 2B, 2C to 2n): slave communication device

3 : 호스트국3: host station

31 : 중앙 제어국31: central control station

32(32a, 32b∼32n) : 기지국32 (32a, 32b to 32n): base station

4 : 근거리 무선 통신부(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4: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5 : 송수신부(송수신 수단)5: transceiv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6 : 제어부(제어 수단)6 control part (control means)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면서,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하지 않고 단독으로 호스트국을 통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호스트국측에서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이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can perform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via a host station independently without relaying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hile using one wireless telephone line, and also the special processing such as authentication at the host station side. There is provided a basic configuration, a control method, a control program, and the like for a wireless LAN system that does not need to b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주된 구성은 적어도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 기기 중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統轄)하는 무선랜 시스템으로서,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제어 위임 신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각 근거리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WL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between electronic devices in a network,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for communicating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in order to use a wireless telephone line in common in each electronic device,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becomes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each other electronic device. A wireless LAN system for passing a device a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normal state in which a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Any one slave communication that turns off the means and is subject to control delegation E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to switch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that turns on only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value. When the reason for control delegation to any slave communication device occurs in the first sta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changed. A control delegate signal for permitting to be turned on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via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o that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주된 구성은 적어도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이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 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 기기중의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제어 위임 신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between at least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for communicating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A means is provid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in order to use a wireless telephone line in common in each electronic device,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becomes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passes each other electronic device a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As a control method of the system, a normal state first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and the control delegate object Control to turn on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any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Each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is controlled to switch the temporary second state, and if a control delegation reason occurs in any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first state, a control delegation signal which permits turning on the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h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by transferring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via eac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의 주된 구성은 적어도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 기기 중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제어 위임 신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program of 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between at least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wireless signals for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Means,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are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in order to use a wireless telephone line in common in each electronic device,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becomes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 control program of a wireless LAN system that communicates each other electronic device a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state of normal times in which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and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and master communication Turn of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device and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to switch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of turning on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any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nd if the reason for delegation of control to any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occurs in the first state, the slave A control delegate signal for allowing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to be turned on is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via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o that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basic principle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발명은 복수대의 전자 기기를 네트워크 접속하고, 무선 신호에 의해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자 기기에는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인 근거리 무선 통신부(4)와,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인 송수신부(5)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와 송수신부(5)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제어부(6)가 구비되어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ireless LA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o a network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each electronic device by a radio signal. As a hardware configuration for this, as shown in FIG. 1, each electronic device us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which i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between each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and a wireless telephone line. A transmitter / receiver 5, which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control unit 6, which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and the transceiver 5, are provided.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각 근거리 무선 통신부(4)는 전파나 적외선 등의 무선 신호에 의해 근거리 내에서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시스템의 가동 중에는 항상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부(4)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온 상태가 된다.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signals within a short distance by a radio signal such as radio waves or infrared ray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always differ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LAN system. It is in an on state where wireless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nd.

여기서,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는 서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를 각각 보유하고, 각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각 전자 기기의 메모리(도시 생략) 등에 각각 등록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송수신하는 신호에 대해서는 이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처 정보로서 포함시킴으로써 특정 전자 기기에만 데이터나 명령 등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발신원 정보로서 포함시킴으로써 어느 전자 기기로부터 발신된 신호인지에 대해서 식별할 수 있게 된다.Here,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hol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n IP address, a MAC address, etc.) for identifying each other, and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a memory (not shown) or the like of each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 The data transmitted / received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ncludes data of th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destination information, so that data, commands, and the like can be transmitted only to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by including the data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the sourc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ich electronic device the signal is sent from.

각 근거리 무선 통신부(4)는 각 통신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의 송수신 수단 및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제어 위임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아가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 마스터 통신 장치(1)에 요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a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tatus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each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ans for transmitting a control delegate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furthermore,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It serves as a means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apparatus 2, and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각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대해서는 전파나 적외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Radio waves, infrared rays, or the like can be used for the radio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4.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송수신부(5)는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그 무선랜 시스템 밖(네트워크 밖)의 각종 전화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transceiver 5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various telephone apparatuses outside the WLAN system (outside the network) using a radio telephone line.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무선 전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랜 내의 각 전자 기기의 송수신부(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화 회선을 관리하는 기존의 호스트국(3)을 통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하여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게 된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호스트국(3)은 하나의 중앙 제어국(31)과 복수의 기지국(32; 32a∼32n)을 구비하고 있고, 무선 전화 회선에 대한 위치 등록에 관한 처리를 기지국(32)에서 행하며, 무선 전화 회선의 ID(전화번호) 관리나 전화 장치 사이의 회선 접속 등의 처리를 중앙 제어국(31)에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it is applied to the existing wireless telephone system. Therefor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 of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LAN performs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he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through the existing host station 3 which manages the wireless telephone line,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the host station 3 includes one central control station 31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32 (32a to 32n), and the base station 32 performs processing relating to location registration for the wireless telephone line. The central control station 31 performs processing such as ID (telephone number) management of wireless telephone lines and line connection between telephone apparatuses.

각 전자 기기의 제어부(6)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면서 자체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 및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 제어부(6)의 제어 내용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The control section 6 of each electronic device controls it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4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while performing various processes based on the control program. Details of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각 전자 기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나 송수신부(5)의 동작 설정이나 사용자의 편의 등을 위해, 제어부(6)에 조작 입력 신호를 공급하는 키 스위치 등의 조작 입력부나 전자 기기의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 등의 표시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설치된다. 이들 조작 입력부나 표시부는 전자 기기에 부수되는 키 스위치나 LCD 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리모콘 등을 사용하여 원격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each electronic device, operations such as a key switch for supplying an operatio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6 for operation setting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o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r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for displaying the input unit,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like is provided as a user interface. These operation input units and display units may be configured to use key switches, LCDs, or the like that accompany electronic devices, or may be configured to be remotely operated using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종 전자 기기(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데크, 퍼스널 컴퓨터, 각종 가정내 전화 제품 등)를 네트워크 접속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자 기기가 갖는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수단이 구비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emise of network connection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elevision receivers, video decks, personal computers, various domestic telephone products, etc.), the various functions for realizing each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are provided. Means are provided.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복수대의 전자 기기 중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2; 2A, 2B, 2C, ···, 2n)로서 통할한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송신된 제어 위임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전화 회선을 일시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the network becomes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in order to use one wireless telephone line in common in each electronic device,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are slave communication devices (2; 2A). , 2B, 2C, ..., 2n).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emporarily uses a wireless telephone line based on the control deleg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이 설정된 구성이고, 이 때문에, 적어도 마스터 통신 장치(1) 내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송수신부(5)에 의해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전화번호)가 저장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in the network, and therefore,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used by the transceiver 5 at least in a memory (not shown)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 ID (telephone number) for storing is stored.

그리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통상은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고,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된 제어 위임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함으로써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즉, 제어 위임 신호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신호로서,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normally turns of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nd receives the control deleg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here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n so that a wireless telephone line can be used. That i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is a signal that allow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be turned on, and the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송수신부(5)의 「오프」란 송수신부(5)에 대해서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컨대, 송수신부(5)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금지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송수신부(5)의 「온」이란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 금지가 해제되어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송수신부(5)의 오프 및 온의 의미에 대해서는 각 슬레이브통신 장치(2)와 마스터 통신 장치(1)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한다.Here, "off"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a state in which the output of the position registration radio signal is prohibi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t least. For example, by prohibiting the supply of power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t can be realized. On the other hand, "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means that the output prohibition of the position registration radio signal is released and the radio telephone line can be used. The meaning of off and 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commonly used by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또,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송수신부(5)에 의해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기 위한 ID(전화번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1) 내의 메모리에만 항상 저장되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메모리에는 저장되지 않는 구성의 경우와, 각 통신 장치(1, 2)의 메모리에 동일한 ID(전화번호)가 항상 저장된 구성의 경우로 대별할 수 있지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ID가 마스터 통신 장치(1) 내의 메모리에만 항상 저장된 구성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 (telephone number) for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line by the transceiver 5 is always stored only in the memory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in the memory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lthough the configuration is not stored 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ame ID (telephone number) is always stored in the memory of each communication device 1 and 2 can be roughly classifi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ID is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he case where the configuration is always stored only in the memory within) is described.

다음에, 구체적인 제어예에 대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무선랜 시스템의 초기 상태 및 통상의 상태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 (5)만이 온이 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에 대해서는 전부 오프되도록 각 송수신부(5)가 제어된다(단계 S1).Next, a specific control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normal state of the WLAN system, only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and each slave communication is performed. Each transceiver 5 is controlled so that the transceiver 5 of the apparatus 2 is turned off completely (step S1).

이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통해 네트워크 내의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거나, 또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측에서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자동으로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면 좋다.In order to make this stat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performs the control which turns of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5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n a network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art 4, or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erform control which turns of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5 of itself automatically until 2) receives control control signal.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통신 불량 등의 우려도 고려하여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측에서,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자동으로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제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side automatically turns off its ow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until the control delegate signal is received by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failure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A control example in the case of performing control to be described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제1 상태)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어 상기 호스트국(3)의 기지국(32; 도 1에서는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고,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에 대한 발착신에 대해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만으로 행하게 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1 (first state), only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to register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32 of the host station 3 (base station 32b in FIG. 1). And the call to and from the unspecified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performed only by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이 제1 상태에서, 마스터 통신 장치(1)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 2A∼2n) 내의 소정의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제어부(6)에서 판정하여(단계 S2),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내의 소정의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만을 온으로 하는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In this first stat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determines from the control section 6 as to whether or not a control delegation reason to a predetermined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n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2A to 2n occurs ( In step S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son for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its own is turned off, and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the predetermined on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in each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is turned on. The control delegat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o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so as to switch to the second state (step S3).

여기서,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시기에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발착신 대기 중에 발생하는 경우(후술하는 발신 제어 위임의 경우)와, 마스터 통신 장치(1)와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 사이에서의 통신 중에 발생하는 경우(후술하는 착신 제어 위임의 경우)로 대별된다.Here,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in the first state, wh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occurs during the call-in / out waiting (in the case of outgoing control delegation described later), and unspecified outside the network with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t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case that occurs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elephone apparatuses (in the case of call control delegation described later).

제2 상태에 있어서 각 통신 장치(1, 2)의 상태에 대하여는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 도 3에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 2A)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어 상기 호스트국(3)의 기지국(32b)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고, 랜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에 대한 발착신에 대해서는 이 슬레이브 통신 장치(2A)만으로 행하게 된다.The state of each communication apparatus 1, 2 in a 2nd stat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in the second state, only the transceiver 5 of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lave communication device 2A in Fig. 3) that has received the control delegate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The host station 3 registers the location with the base station 32b, and only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A is used for incoming and outgoing calls to unspecified telephone apparatuses outside the LAN.

그리고, 이 제2 상태에서는, 제어 위임을 행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한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감시되어(단계 S4),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제1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처리가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서 행해진다(단계 S5). 또,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nd in this 2nd state, it is monitored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with respect to the on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which performed control delegation (step S4), and when a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generate | occur | produced, in FIG. Control processing for switching to the illustrated first state is performed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its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tep S5). In addition, the specific example of the reason for end of control delegation is mentioned later.

단계 S5에 있어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제어로서는, 제어 위임 대상이 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온에서 오프로 하는 제어 처리, 송수신부(5)가 오프로 된 것을 마스터 통신 장치(1)가 감지하는 처리, 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를 오프에서 온으로 하는 제어 처리가 포함된다.As a control for returning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in step S5, the control process and the transceiver 5 to turn on / off the transceiver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is the object of control delegation, are performed. The processing which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senses that it is turned off, and the control process which turns on / of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re includ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따라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고 소정의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5)이 제어되게 구성으로 함으로써 항상 1대의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각 통신 장치(1, 2)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또한 동시 사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어 호스트국(3)측(통신사업자측)의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위치 등록에 관한 문제의 해결을 꾀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rmal state of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and the transceiver 5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s turned off, and either slave When delegation of contro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occurs, the control unit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ff and only the transmission / receiver 5 of the predetermined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s turned on. Since each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5 is controlled to switch the second state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onl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5 of one communication device is always on, so that one radio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each communication device 1, 2. By using in common, it is possible to avoid simultaneous use, so that no special processing such as authentication of the host station 3 sid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ide) is caused, and further, the problem of location registration is solved.

다음에,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제어 내용 등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4-12, the specific control content etc. in the WLAN system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in detail.

우선, 상술한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시기(도 2의 단계 S2) 및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통신 형태라는 관점에서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발착신 대기 중에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제어 위임을 받아 제2 상태가 되고,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랜 밖의 전화 장치로의 발신을 행하는 경우와, 제1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와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 사이의 통신 중에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제어 위임을 받아 제2 상태가 되고, 그 전화 장치와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로 대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 및 제어 내용의 차이 등을 위해, 전자의 제어 위임을 발신 제어 위임이라 부르고, 후자의 제어 위임을 착신 제어 위임이라 부르며, 이하는 양자를 구별하여 설명한다.First, from the viewpoint of the occurrence time of the above-mentioned control delegation reason (step S2 in FIG. 2) and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received the control delegation, any one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n the waiting state for the call-in / out When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receives control delegation and enters a second state,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akes a call to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and in the first stat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communication between an unspecified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which one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es 2 receives the control delegation, enters the second state, and can be roughly established wh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the telephone apparatus and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es 2. have. Therefo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ifference in control contents, the former control delegation is called outgoing control delegation, and the latter control delegation is called incoming control delegation, and the following are distinguished and described.

도 4에는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제어 위임(발신 제어 위임)을 받아 랜 밖의 전화 장치로의 발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는 제1 상태(단계 S1)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의 발신 제어 위임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하는 것을 감시하여(단계 S2A),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도 2의 단계 S2에서 설명한 제어 위임 사유(발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여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3A).FIG. 4 shows an overview of the overall system processing when any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receives control delegation (outgoing control delegati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ransmits to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 In this case, in the first state (step S1) in which only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either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ing the reception of the request signal requesting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from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step S2A), and upo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the control delegation described in step S2 of FIG. Reason (outgoing control delegation reason) occurs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and receives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he section 5 is controlled to be turned off (step S3A).

여기서, 요구 신호에는 예컨대 상술한 MAC 어드레스 등의 수신처 정보나 발신원 정보, 발신 제어 위임을 요구하는 신호 등이 포함된다.Here, the request signal includes, for example, destin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MAC address described above, source information, a signal for requesting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and the like.

또한, 발신 제어 위임 신호에는 예컨대, 전술한 MAC 어드레스 등의 수신처 정보나 발신원 정보, 마스터 통신 장치(1)의 ID(전화번호) 정보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발신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자기 앞의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에서 수신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수신한 ID에 기초한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의 온/오프가 각각 전환됨으로써 시스템 전체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ource control delegation signal includes, for example, destin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above-described MAC address, source information, I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nstructions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to be made. Therefore,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which receives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in front of itself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can use the wireless telephone line based on the ID received by turning on its own transceiver 5. Become. In addition, the on / off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re switched, respectively, so that the whole system is switch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이 제2 상태에서는, 요구 신호의 발신원이 되는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 (2)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고, 호스트국(3; 도 3의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이 행해지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를 중계하지 않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단독으로 발신 가능한 상태가 되며, 또한, 호스트국(3)의 처리 부담 증대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econd state,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erving as the source of the request signal is turned on, and the position registration with respect to the host station 3 (base station 32b in Fig. 3) is performed. Therefor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can be transmitted by itself without relaying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processing burden of the host station 3 can be avoided.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송수신부(5)가 온이 되어 기지국(32b)에 대한 위치 등록이 행해지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부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목적이 되는 상대편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작하게 된다.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n and the position registra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32b is performe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has received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returns to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as the target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input unit by the user. The transmission will start.

여기서, 발신 제어 위임 신호 중에 포함시키는 명령이나 정보 등에 의해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무선 전화 통신 기능에 제한 등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Here, it becomes possible to apply a restriction or the like to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by a command 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예컨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에 의한 착신을 금지하는 명령을 발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 함으로써, 발신만의 제어 위임이 설정되고,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발신 조작 중에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로부터 랜으로(마스터 통신 장치의 전화번호로) 발호가 있는 경우라도 이 발호의 수신을 거부하고, 사용자의 발신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For example, by including in the originat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a command for inhibiting the incoming call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rol delegation of the origination only is set, and the originating operation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has received the originating control delegation. Even if a call is made from an unspecified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to a LAN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it is possible to reject the call and prevent the user's originating operation from interfering.

또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발신처를 제한하는 취지의 명령을 포함하는 발신 제어 위임 신호로 함으로써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에 의한 발신처를 소정범위로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limit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o a predetermined range by using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including an instruction for limiting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예컨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소정 메모리 내에, 발신을 금지하는 전화번호(예컨대, 통화료가 비싼 국제 전화, 다이얼 Q2 등)를 등록해 두고, 발신 제어 위임 신호의 송신시에 이 전화번호의 정보 및 이 전화번호로의 발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을 포함시켜 둠으로써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 발신할 수 없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For example, in the predetermined memory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an international call with a high call charge, a dial Q2, etc.) forbidding outgoing registration is registered, and the information of this telephone number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And a command to prohibit the call to the telephone numb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for the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그리고, 제2 상태에서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한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감시되어(단계 S4),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함으로써(단계 S5),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In the second state, the control delegate end reason f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s monitored (step S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delegate end reason has occurred, the first state is described. The control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by performing the control for return (step S5).

도 5는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무선 전화 회선에 의한 통신 중에,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제어 위임(착신 제어 위임)을 받아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FIG. 5 show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receiving control delegation (incoming control delegati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during communication by a telephone line outside the network and a wireless telephone line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he outline of processing of the whole system in the cas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shown.

이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는 제1 상태(단계 S1)에 있어서,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로 착신하여(단계 S1A) 통신을 시작하고, 이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를 특정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단계 S2B).In this case, in the first state (step S1) in which only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receives a call from an unspecified telephone device (source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unit 5 start the communication (step S1A) and start communication, and 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identifies any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signal to be received has been received (step S2B).

이 소정의 신호는 착신 제어 위임의 대상이 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트리거되는 신호로서, 예컨대,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ID 등의 신호(이하, 슬레이브 ID라고 함), 발신원 전화 장치의 사용자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사용자의 회화 등에 기초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조작 입력부(키 스위치 등)가 조작된 것에 따른 착신 제어 위임을 위한 조작 입력 신호 등이 포함된다.This predetermined signal is a signal triggered to specify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the subject of call control delegation, for example, a signal such as an ID indicating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ed from an originating telephone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ave ID), Operation input signals and the like for delegation of the incoming call contro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input unit (key switch, etc.)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based on conversations between the user of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and the user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

여기서, 마스터 통신 장치(1)는 슬레이브 ID의 수신 유무의 판정에 대해서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행하고, 조작 입력 신호의 수신 유무의 판정에 대해서는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면 좋다. 또한, 슬레이브 ID에 대해서는, 예컨대 슬레이브 통신 장치(2A∼2n)에 관해서, 미리 각각 다른 번호(예컨대 01, 02, 03···)를 슬레이브 ID로서 할당하고, 이들 각 슬레이브 ID를 마스터 통신 장치(1)가 관리하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A∼2n)의 MAC 어드레스 등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메모리 등에 기억해 두면 좋다.Here, wh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eception of the slave ID, and the recep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eception of the operation input signal, good. Regarding the slave IDs,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s 2A to 2n, different numbers (e.g., 01, 02, 03 ...) are assigned as slave IDs in advance, and each slave ID is assigned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 The memory may b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MAC address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A to 2n managed by 1).

그리고, 이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도 2의 단계 S2에서 설명한 제어 위임 사유(착신 제어 위임 사유)를 발생시켜,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을 확립해야 할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고(단계 S2C), 특정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B).And when this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the control par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should generate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reception control delegation reason) demonstrated in step S2 of FIG. 2, and should establish communication with a source telephone apparatus. Specify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step S2C), transmit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the specific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ction 5 is controlled to be turned off (step S3B).

여기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는 예컨대, 전술한 MAC 어드레스 등의 수신처 정보나 발신원 정보, 마스터 통신 장치(1)의 ID(전화번호) 정보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온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자기 앞의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수신한 ID에 기초한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의 온/오프가 각각 전환됨으로써 시스템 전체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발신원 전화 장치와 마스터 통신 장치(1) 사이의 통신이 일단 종료하게 된다.Here, in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for example, destin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above-described MAC address, source information, ID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transceiver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re turned on. Command to allow the device to be allowed to be used. Therefore,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which received the incoming call control delegation signal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4 can use the radio telephone line based on the ID received by turning on its own transceiver 5. Become. Further, the on / off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its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re switched, respectively, so that the whole system is switch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master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s 1 is terminated once.

이 제2 상태에서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고, 호스트국(도 3의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이 행해지기 때문에,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재차 랜으로(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전화번호로)의 발호를 행하는 경우에, 이 발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를 중계하지 않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로 직접 착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또한, 호스트국의 처리 부담 증대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econd state, since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is turned on, the position registration with respect to the host station (base station 32b in FIG. 3) is performed. When the call is made again from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to the LAN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the call is transmitted / received to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without transmitting the call to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5). Can be directly received, and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processing burden on the host station can be avoided.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 중에 포함되는 각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에 대하여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단계 S3C).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performs processing for bringing communication to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step S3C).

여기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 중에 포함시키는 명령이나 정보 등에 의해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무선 전화 통신 기능에 제한 등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Here, it becomes possible to apply a restriction or the like to the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by a command 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예컨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에 의한 발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을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 함으로써, 착신만 제어 위임이 되고,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재차 랜으로(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전화번호로)의 발호가 행해진 경우에, 이 발호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로 신속하게 착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or example, by including a command to prohibit transmission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n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only the incoming call is delegated to control, and the LAN is again transferred from the source telephone devic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When a call is made to a phone number, the call can be quickly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또한, 예컨대, 착신 제어 위임 신호가 발신원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와, 이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발호만 착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명령을 포함하여,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착신 대기 중에, 랜 밖의 다른 전화 장치로부터 랜으로 발호가 있었던 경우에,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그 발호를 착신하지 않고서, 발신원 전화 장치에 대한 착신 대기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includes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 telephone device and a command to permit incoming call only from the calling party telephone device, and the incoming communication delegation waits f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receiving the incoming call delegation. In the meantime, when a call is made from another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LAN to the LA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does not disturb the call waiting state for the originating telephone apparatus without receiving the call.

또한, 예컨대,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는 발신원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와, 이 발신원 전화번호의 발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명령(또는 발신해야 할 취지의 명령)을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 발신원 전화 장치 앞으로, 사용자의 발신 조작에 기초한 발신을 실행하거나 자동으로 발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includes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calling party telephone apparatus and an instruction (or an instruction to be sent) for allowing the originating telephone number to be sent, thereby declaring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From the received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o the source telephone device, a call based on the user's call operation can be executed or automatically sent.

그리고, 제2 상태에서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한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감시되어(단계 S4),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함으로써(단계 S5),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In the second state, the control delegate end reason f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s monitored (step S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delegate end reason has occurred, the first state is described. The control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by performing the control for returning (step S5).

다음에,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가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발신 제어 위임의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6, the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par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the case of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하고(단계 S1), 호스트국(도 1의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한다.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controls the transceiver 5 to turn on the transceiver 5 in the initial state (step S1), and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st station (base station 32b in FIG. 1). Register.

계속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2A),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랜 밖의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를 수신(착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13),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시하여 랜 밖의 전화 장치 앞으로 발신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14)를 행하고, 이들 어느 하나의 판정이 예스가 될 때까지 단계 S2A, 단계 S13, 단계 S14의 판정을 반복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the received signal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4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has been received (step S2A).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all from a telephone outside the LAN has been received (received) by monitoring the recep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step 13), and in front of the telephone outside the LAN by monitoring the input signal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is performed (step S14), and the determinations of step S2A, step S13, and step S14 are repeated until either of these determinations is yes.

여기서, 요구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15로, 착신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21로, 발신한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25로 각각 이행한다.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quest signal has been receiv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coming call, the process goes to step S21,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sen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5.

단계 S15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요구 신호 송신원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16). 그리고,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가 오프될 때에,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오프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한다(단계 S17).In step S15,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control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o transmit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of the request signal transmission source, and transmits and receives its ow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 The transceiver 5 is controlled so that 5) is turned off (step S16).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ransmit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transmit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at its ow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ff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ff. 4) (step S17).

이 후,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turns 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to thereby transition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그리고,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 구체적으로는 발신 제어를 위임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 보내져오는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의 상태나 동작 등에 대한 감시를 행하고, 제2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졌는지 여부,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발신했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 적절하게 점검한다.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specifically, a status signal sent from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delegates originating control,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re monitored, and whether or not the transition to the second state has been performed, whether or not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delegated the control has been sent or not is appropriately checked.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도 4의 단계 S4)에 대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의 쌍방에서 판정하는 구성이고,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 (2)의 제어부(6)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여 그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각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of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occurs (step S4 in FIG. 4). When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occurs,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urns off its ow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nd transmits a status sig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t is supposed to transmit in the future.

이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를 행하고(단계 S18), 오프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하면,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제어하며(단계 S19), 온이 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2A∼2n)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0),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 처리로 되돌아간다.For this reason, the control par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wheth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delegated control in the 2nd state has turned off (step S18). , When the state signal indicating that the signal is turned off is receiv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he control delegate 5 is turned on as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occurs (step S19), and the state indicating that the state is 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to transmit a signal to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A to 2n (step S20),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decision loop processing of steps S2A to S13 to S14.

한편, 랜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를 송수신부(5)로 수신(착신)한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착신중인 취지(대기 상태를 벗어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1),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행하여 통신 상태로 이행한다(단계 S22). 도 5에서 설명한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는 이 통신 상태 중에 행해지게 되지만,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가 착신 제어 위임일 때에 행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all from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is received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receives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at the call is being received (out of standby stat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to transmit to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tep S21), and various processe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are performed to enter the communication state (step S22). Although the reception control delegation processing described in FIG. 5 is performed during this communication state, the processing performed when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he reception control deleg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8.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23),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는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4),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 처리로 되돌아간다.In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r the like of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5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has ended (step S2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has ende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step S24) so as to transmit a status signal to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in order to send the status signal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step S24). The process returns to the judgment loop process of step S14.

또한, 랜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발신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발신중인 취지(대기 상태를 벗어난 취지)의 상태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5), 상대측 전화 장치와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행하여 통신 상태로 이행한다(단계 S26).In addition, when making a cal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ransmits a short-range wireless signal to transmit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at the call is being sent (out of standby state). The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step S25), and various processe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s telephone apparatus are performed to enter the communication state (step S26).

또, 도 5에서 설명한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는 단계 S26의 통신 상태 중에 있어서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상대측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를 마스터 통신 장치(1)로 취득하는 처리(도 8의 단계 S51)가 불필요하게 된다.5 can be performed even in the communication state of step S26. In this case,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s telephone apparatus to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Fig. 8). Step S51) becomes unnecessary.

단계 S26의 통신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상대측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27),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는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A∼2n)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8),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 처리로 되돌아간다.In the communication state of step S26,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r the lik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s telephone apparatus has ended (step S27),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has ende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status signal for that purpose (the purpose of entering the standby state again) to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A to 2n (step S28), and the step The process returns to the decision loop process of steps S2A to S13 to S14.

다음에,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가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발신 제어 위임의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the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par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is demonstrated centering on the case of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전원 인가시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1). 이 실시예에서는, 단계 S1에서 송수신부(5)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금지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경감을 꾀하고 있다.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controls the transceiver 5 to turn off the transceiver 5 in the initial state when the power is applied (step S1).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prohibiting the supply of power to the transceiver 5 in step S1.

계속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32)를 행하고,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로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33)를 행하며, 어느 하나의 판정이 예스가 될 때까지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을 반복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incoming control delegate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has been received (step) S32), and a process (step S33) is performed to monitor whether an input signal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is monitored and whether a trigger signal for transmitting a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input (step S33). The determination of steps S32 and S33 is repeated until yes.

여기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는 도 9에서 후술하는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를 행하고, 트리거 신호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34로 이행한다.Here,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process described later in FIG. 9 is perform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put of the trigger signal, the flow proceeds to step S34.

트리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상태 신호를 점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대기 상태(도 6의 단계 S2A∼단계 S14의 판정 루프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의 제어 위임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서 에러 표시를 행하도록 표시부에 표시하고(단계 S35),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When the trigger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checks the received signal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specifically, the status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checks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 It is judged whether 1) is a standby state (the decision loop state of steps S2A to S14 in FIG. 6), and if it is not in the standby stat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or another slave communication. Delegation of control to the apparatus 2 is performed, and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o display an error (step S35),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decision loop of steps S32 and S33.

한편,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대기 상태의 경우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마스터 통신 장치(1) 앞으로 요구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여(단계 S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37). 그리고,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발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각종 정보나 명령)를 추출하여 적절하게 메모리[제어부(6) 내의 RAM 등]에 기억해 둔다(단계 S38).On the other hand, wh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controls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4 to transmit a request signal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step) S36) By monitoring the received signal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4, the apparatus waits until the outgo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received (step S37). When receiving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extracts data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signal and appropriately stores the memory (RAM, etc. in the control unit 6). ] Is stored (step S38).

계속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 (1)의 송수신부(5)가 오프 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39), 오프되면,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하며(단계 S40),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온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한다(단계 S41).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status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Wait until) is turned off (step S39), and when turned off, the transmitter / receiver 5 is controlled to turn on its own transceiver 5 (step S40), indicating that its transceiver 5 is o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indicated status signal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other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tep S41).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시하여 랜 밖의 상대측 전화 장치로 발신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42),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상대측 전화 장치로 발신하여 통신을 확립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44).Then,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s the input signal from the operation input uni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a trigger signal for transmitting to a counterpart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LAN is input (step S42). If it is input, the transmitter / receiver 5 is controlled to transmit to the other party's telephone apparatus to establish communication (step S44).

또한, 상대측 전화 장치와 통신 중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45), 통신 종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의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동시에, 단계 S38에서 메모리에 기억한 각종 정보나 명령을 소거하여 초기화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46).In addition,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s telephone apparatus,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r the like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step S45). In the case of the determi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in step S4 of FIG. 4 has occurre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ff, and the processing for erasing and initializing various information or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in step S38 is performed. (Step S46).

그리고, 송수신부(5)가 오프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가 오프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여(단계 S47),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Then, when the transceiver 5 is turned off, the controller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ends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at the transceiver 5 is turned off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other slave communication devices 2.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to transmit in the future (step S47),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decision loop of steps S32 and S33.

한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랜 밖의 상대측 전화 장치로 발신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동안은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감시하여(단계 S43),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의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술한 단계 S46 및 단계 S7의 처리를 행하여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s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ile a trigger signal for transmitting to a counterpart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LAN is not input (step S43),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one case, it is assumed that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in step S4 of FIG. 4 has occurred,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of steps S46 and S7 is performed to return to the decision loop of steps S32 and S33.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계 S43의 처리를 마련함으로써 발신 제어의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언제까지나 발신하지 않음으로써 제1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제어 위임 후에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스스로가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한 판정을 행하여 송수신부(5)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측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나아가서는, 예컨대 발신 제어 위임 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4)에 의한 마스터 통신 장치(1)와의 통신 상태가 만일 불통이된 경우에도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자체적으로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by providing the processing in step S43,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has been delegated the originating control, does not transmit forever and does not return to the first state, bu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5)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of not using for a long tim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tself makes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a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has occurred and performs control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from on to off. The processing burden o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side is reduced, and furthermore, even if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unsuccessful after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2) to turn off the transceiver 5 by itself.

도 6 및 도 7의 각 처리에 기초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발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관해서 도 10에 도시한다.FIG. 10 shows a signal flow and the like in the case wher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delegates outgoing control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based on the processing in FIG. 6 and FIG. 7.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도록 각 송수신부(5)가 제어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시에 2이상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환이 원활히 행해진다.As can be seen in FI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ave, which has been delegated outgoing control by waiting for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be turned off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turned on, and when the transition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is mad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has received the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is turned off. Since each transceiver 5 is controlled so that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the situation where two or more transceivers 5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can be avoided. The state and the second state are smoothly switched.

다음에,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가 행하는 착신 제어 위임에 대한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단계 S51 내지 단계 S54가 랜 밖의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상태(도 6의 단계 S12)에 있어서 행해지는 처리가 되고, 단계 S55 내지 단계 S59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중의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나타내고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8, the control process regarding incoming control delegation which the control par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performs is demonstrated. In the flowchart of Fig. 8, steps S51 to S54 are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state (step S12 in Fig. 6) with an out-of-LAN source telephone apparatus, and steps S55 to S59 are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The processing for switching the state is shown. In addition,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in FIG. 6 is shown with the same step number.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접속시 또는통신 중에, 발신원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를 내부 메모리 등에 기억한다(단계 S51).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stor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in an internal memory or the like dur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or during communication (step S51).

또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중에,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지정하는 신호(예컨대 상술한 슬레이브 ID 등)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단계 S52) 및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도 6의 단계 S23)에 관해서 감시하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지정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통신이 종료된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S24에 있어서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송신하여 대기 상태(도 6의 단계 S2A∼S14)로 되돌아가며,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지정하는 신호를 송수신부(5)로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S53으로 이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and designates a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from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for example, the slave ID described above). ) Is transmitted (step S52) and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is terminated (step S23 in FIG. 6), and if communication is terminated without receiving a signal specifying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FIG. Is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o the standby state (steps S2A to S14 in FIG. 6), and the signal for designating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received by the transceiver 5 at step S24 of FIG. The flow proceeds to step S53.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단계 S53에 있어서, 지정처가 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는 동시에,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54),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면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여(단계 S55), 오프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한다(단계 S56).In step S53,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control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o transmit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to the designated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is terminated by monitoring the received signal of (step S54). When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is terminate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ff (step S55) to indicate that it is off. The status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to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tep S56).

이 후,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이행하게 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 구체적으로는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 보내져오는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의 상태나 동작 등에 관한 감시를 행하고, 제2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졌는지 여부,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와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 적절하게 점검한다.Thereafte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received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turns on the transceiver 5 so as to transition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so that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a reception signal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specifically, a statu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hat has delegated the incoming control, and monitors the state or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en, it is appropriately checked whether or not the transition to the second state has been performed,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has been established with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delegated to control.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도 4의 단계 S4)에 관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의 쌍방으로 판정하는 구성이고,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여 그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of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control uni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has occurred (step S4 in FIG. 4). In the configuration, when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occurs,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urns off its ow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and transmits a status signal to the effect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have.

이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를 행하고(단계 S57), 오프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하면,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제어하며(단계 S58), 온이 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59), 도 6의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For this reason, the control part 6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monitors wheth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delegated control was off in the 2nd state (step S57), When the state signal indicating that the signal is turned off is received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t is controlled to turn on its own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on the assumption that the end of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step S58), and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at it is on. Control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so as to transmit to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es (step S59), and return to the decision loop (standby state) of steps S2A to S13 to S14 in FIG.

또, 도 6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착신 제어 위임에 있어서의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종료후의 기본적인 처리(단계 S55 내지 단계 S59)는 발신 제어 위임에 있어서의 도 6의 단계 S16 내지 단계 S20과 동일한 처리로 실현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간소화 등이 도모된다.As can be seen in comparison with Fig. 6, the basic processing (steps S55 to S59) after completion of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in incoming call control delegation is steps S16 to S20 in Fig. 6 in outgoing control delegation. Since the same processing is realized as described above, the program can be simplified.

또한, 도 8의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랜 밖의전화 장치로 발신한 경우(도 6의 단계 S26)에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발신원 전화 장치를 상대측 전화 장치로, 단계 S23을 단계 S27로, 단계 S28로, 각각 고쳐 읽으면 좋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FIG. 8 can be performed also when calling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1 to the telephone apparatus outside a LAN (step S26 of FIG. 6), In this case, a call originating telephone apparatus is carried out in a counterpart telephone apparatus. Therefore, step S23 may be read into step S27 and step S28, respectively.

다음에,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가 착신 제어 위임시에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9에서는, 도 7의 단계 S32A에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후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 (2)의 제어부(6)가 행하는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9, the control process which the control par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performs at the time of call control delegation is demonstrated. In addition, in FIG. 9,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par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after having determined that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was received in step S32A of FIG. 7 is shown.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71),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각종 정보나 명령)를 추출하여 적절한 메모리(제어부(6) 내의 RAM 등)에 기억해 둔다(단계 S72).When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receives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step S71), the controller 6 extracts data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included in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signal and stores an appropriate memory. (RAM in the control unit 6, etc.) is stored (step S72).

계속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 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73), 오프되면, 추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하며(단계 S74),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온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한다(단계 S75).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status signal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Wait until) is turned off (step S73), and when off, the transceiver 5 is controlled to turn on its own transceiver 5 on the basis of the extracted data (step S74), and its own transceiver (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controlled to transmit a status signal indicating that 5) is on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other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tep S75).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에 의해 호스트국(기지국)으로의 위치 등록이 행해지게 된다.As a result, the entire system is switch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nd the position registration to the host station (base station) is performed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착신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76), 착신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또는 조작 입력부의 조작을 대기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에 통신을 접속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78).Then,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call (step S76), and when a signal indicating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automatically 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5 is controlled to wait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input unit to connect communication to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step S78).

또한,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중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 (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79), 통신 종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동시에, 이전의 단계 S72에서 메모리에 기억한 각종 정보나 명령을 소거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80).In addition,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the control section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monitors the reception signal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and the lik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step S79). In the case of the determi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in step S4 in FIG. 4 has occurre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ff, and the processing for erasing various information or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in the previous step S72 is performed. (Step S80).

그리고, 송수신부(5)가 오프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그 취지의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여(단계 S81), 도 7에 있어서의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5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transmits the state signal to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the other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o as to transmi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4) (step S81), the process returns to the decision loop of step S32 and step S33 in FIG.

한편, 착신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수신부(5)로 수신되지 않는 동안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감시하고(단계 S77),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술한 단계 S80 및 단계 S81의 처리를 행한 후에, 도 7에 있어서의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while a signal indicating an incoming call is not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the control section 6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monitor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tep S77),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n this case, after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of step S80 and step S81 is assumed that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in step S4 of FIG. 4 has occurr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decision loop of step S32 and step S33 in FIG.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처리 단계 S77에 따라, 예컨대 발신원 전화 장치나 호스트국(3)측의 고장 등에 의해 착신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수신부(5)에서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 (5)를 장시간 사용할 수 없게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processing step S77, a signal indicating an incoming call is not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5 due to, for example, a failure on the source telephone apparatus or the host station 3 side, and so on, without returning to the first state. This can prevent the situation where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 제어 위임 후에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스스로가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한 판정을 행하여 송수신부(5)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측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나아가서는, 예컨대 착신 제어 위임 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4)에 의한 마스터 통신 장치(1)와의 통신 상태가 만일 불통이 된 경우에도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자동으로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the incoming control delegation,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tself makes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a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has occurred and performs control to switch the transceiver 5 on and off. The processing burden o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side is reduced, and furthermore, even if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 is unsuccessful after the incoming call control delegation, for exampl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it becomes possible to turn off the transceiver 5 automatically.

도 8 및 도 9의 각 처리에 기초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착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낸다.FIG. 11 shows a signal flow and the like in the case wher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delegates incoming control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based on the processing in FIG. 8 and FIG. 9.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도록 각 송수신부(5)가 제어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시에 2이상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의 전환이 원활히 행해진다.As can be seen from FIG.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ave which has received the call control delegation by waiting for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be turned off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of the communication device 2 is turned on, and upon switching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5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which has received the call control delegation is turned off. Since each transceiver 5 is controlled so that the transceiver 5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turned on, the situation where two or more transceivers 5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can be avoided. The transi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second state is smoothly performe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기 위한 ID(전화번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1)에만 설정되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는 설정되지 않는 구성을설명하였지만, 각 통신 장치(1, 2)에 동일한 ID(전화번호)가 설정된 구성, 즉, 상기 ID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메모리 등에 항상 저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D (telephone number) for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only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not in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has been described, but each communication device 1,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ame ID (telephone number) is set in 2), that is, the configuration is alway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or the like.

이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측에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할 때에, 무선 전화 회선의 ID를 포함해서 송신할 필요가 없어진다.In this case, when transmitting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o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side, there is no need to include the ID of the radiotelephone line.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마스터 통신 장치(1)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상태에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발착신 대기 상태 중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조작 입력부에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여 발신 제어 위임을 위한 조작 입력을 행하여도 좋고, 상기 발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receives the request signal from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ccurrence of the originating control delegation reas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state where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is in the call-in / out standby state in the state 1, any slav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specified by the operation input unit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o perform operation input for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Reasons for delegation may occur.

도 12는 상술한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슬레이브 통신 장치(2)를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고정식 팩시밀리가 부착된 전화기를 마스터 통신 장치(1)로서 사용하고, 퍼스널 컴퓨터(2A), 텔레비전 수상기(2B), 비디오 데크(2C)를 각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서 사용하며, 이들을 서로 네트워크 접속한 무선랜의 예에 대해서 도시한다.FIG. 12 shows a specific exampl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r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the example of FIG. 12, a telephone with a fixed facsimile is used as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and a personal computer 2A, a television receiver 2B, and a video deck 2C are used as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respectively. An example of a WLAN in which these are network-connected to each other is shown.

이러한 방법으로 무선랜을 배치하면, 통상은 마스터 통신 장치(1)인 팩시밀리가 부착된 전화기가 랜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 마스터 통신 장치(1) 또는 랜 밖의 전화 장치의 조작 입력부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전술한 착신 제어 위임을 행함으로써, 그 전화 장치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통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조작 입력부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상술한 발신 제어 위임을 행하고,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단독으로 랜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한 발신을 행하여 호스트국(3)을 통해 무선 전화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a wireless LAN is arranged in this way, a telephone with a fax, which is usually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performs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a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and if necessary,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or a telephone outside the LAN is connected. By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incoming control delegation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input unit or the lik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telephone apparatus and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2 is enabled.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control delegation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input unit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nd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alone transmits to the telephone device outside the LAN and through the host station 3. It is possible to establish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따라서, 예컨대 발신원 전화 장치로서의 랜 밖의 서버 장치로부터, 마스터 통신 장치(1; 팩스가 부착된 전화기)로는 수신할 수 없는 대용량 데이터가 호스트국(3)을 통해 무선 전화 회선으로 송신되는 경우에, 이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 (2A) 등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 수신하여 표시나 다운로드 등을 행하거나, VOD(비디오·온·디멘드)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상기(2B)로 수신하거나, 비디오 데크(2C)로 녹화하는 여러 가지 사용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Thus, for example, when a large amount of data that cannot be received by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1 (telephone with a fax) from the server device outside the LAN as the source telephone device is transmitted via the host station 3 to the wireless telephone line, Receive the data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2 such as the personal computer 2A and display or download the data, or receive the video data for the VOD (video on demand) from the television receiver 2B, or the video deck. Various methods of recording in (2C) are possible.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면서,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하지 않고 단독으로 호스트국을 통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호스트국측에서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이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산업상 매우유용하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for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perform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via a host station independently without relaying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hile using one wireless telephone li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ic configuration, a control method, a control program, and the like for a WLAN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special processing such as authentication at the station side, which is very useful in industry.

Claims (55)

적어도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 기기 중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으로서,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between at least each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a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for communicating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s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n common in each electronic device,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becomes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each other electronic device is used a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As a wireless LAN system to pass through,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간을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제어 위임 신호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normal state first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and any one of which is the object of control delegation by turning of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Each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is controlled to switch between the second states during control delegation that turn on only the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nd if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occurs in any one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first state, And a control delegate signal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to be turned 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via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reby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에서는, 제어 위임 대상이 된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e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so as to return to the first state when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the object of control delegation occurs. WLAN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그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so that at least the output of the position registration radio signal is prohibited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WLA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상기 송수신 수단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supply of power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prohibited wh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시작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in the first stat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started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ith respect to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And in the second state,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is started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received the control delega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는자타(自他)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자체의 식별 정보를 발신원 정보로서 포함시키며, 송신처의 식별 정보를 수신처 정보로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6.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itself, and identifies itself with respect to a radio signal transmitt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including the information as the source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적어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온/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7. A wireless LA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sai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controll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tatus signal at least indicative of a state of on / off of said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of said communication device.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WLAN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each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controll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tatus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상기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이 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이 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receives the control delegation by waiting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be turned off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ait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under the control delegation to be turned off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second state is switch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Wireless 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controlled to be o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어 위임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 수신하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said first state WHEREIN: When the request signal which requests control delegation from either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is received in the said 1st state by the sai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said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as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의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서 수신하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in the first state, when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performed,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apparatus. And when the signal for specifying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because the reason for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의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조작 입력 수단에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12.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has operation input means for operating by a user, and in the first stat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a network.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input for specifying any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made in the operation input means, the wireless LAN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as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그 무선 전화 통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12, wherein in the second state, when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a network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nder control delegation. And when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the switch to the first state is performed as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he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period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nder control delegation in the second state. The wireless 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is performed because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wireless LA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wherein, a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a command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to be turned on using at least an ID of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transmitted. syste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제어 위임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수신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WLAN system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control delegate signal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destination information of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control is delegated.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가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에만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무선 전화 회선의 ID가 포함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17. The signal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an ID for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only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signal including an ID of a wireless telephone line is transmitted a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WLAN system.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및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an ID for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는 고정식 전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19. The WLA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where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a fixed electronic device. 적어도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 기기 중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At least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betwee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a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for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are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n common in a device, one of each electronic device becomes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WLAN system for passing each other electronic device a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며,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제어 위임 신호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The normal state first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and any one of which is the object of control delegation by turning of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to switch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to turn on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nd if the reason for delegation of control to any slave communication device occurs in the first stat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a control delegate signal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to be turned 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ntrol method.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에서는, 제어 위임 대상이 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21.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in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e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so as to return to the first state when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the object of control delegation occurs. Control method of WLAN system.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그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22.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according to claim 20 or 21,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such that at least the output of the position registration radio signal is prohibited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LAN system.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상기 송수신 수단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그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23. 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supply of power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prohibited wh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Control method.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시작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23, wherein in the first stat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started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by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regarding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And in the second state,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is started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by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received the control delegation with respect to the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는 자타(自他)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자체의 식별 정보를 발신원 정보로서 포함시키며, 송신처의 식별 정보를 수신처 정보로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Th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4, wherei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in the network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itself, and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tself.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s the source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der a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적어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서의 온/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26.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5, wherein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controll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tatus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on / off in at least the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of the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LAN system.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시스템의 제어 방법.2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each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controll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tatus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상기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이 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이 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28.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7, wherein upon switching from said first state to said second stat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subjected to said control delegation by waiting for sa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said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be turned of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ait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under the control delegation to be turned off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second state is switch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Control method of a wireless 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controlled to be on.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어 위임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서 수신하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2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8, wherein, in the first state, when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delegation of control from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received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occurs and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의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서 수신하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발생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9, wherein, in the first state, when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performed,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apparatus. The control method of the W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ignal for specifying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occurs and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의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조작 입력 수단에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30, wherein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has operation input means for operating by a user, and in the first stat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n this case, when an operation input for specifying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made by the operation input means,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occurs and th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Control method. 제2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그 무선 전화 통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Th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31, wherein in the second state, when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a network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a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nder control delegation. When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occurs and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is performed. 제2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33. Th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1 to 32, wherein, in the second stat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he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nder control delega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W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occurs because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occurs. 제2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The wireless LA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33, wherein a command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to be turned on using at least an ID of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transmitted a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How to control the system.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제어 위임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수신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control delegate signal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destination information of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to which control is delegated.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에만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무선 전화 회선의 ID가 포함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36. The signal according to claim 34 or 35, wherein an ID for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only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signal including an ID of a wireless telephone line is transmitted a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Control method of WLAN system. 제2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및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36.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35, wherein an ID for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적어도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 기기 중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signals between at least each electronic device in a network, a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for communicating using a wireless telephone lin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s provided i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and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n common in each electronic device,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becomes a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each other electronic device is used as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As a control program of a wireless LAN system to pass through,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며,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제어 위임 신호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The normal state first state in whic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and any one of which is the object of control delegation by turning of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Each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to switch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to turn on on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nd if the reason for delegation of control to any slave communication device occurs in the first stat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a control delegate signal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to be turned on from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ea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ntrol program.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에 있어서는, 제어 위임 대상이 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39.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in the second state at the time of control delegation, each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to return to the first state when a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the object of control delegation occurs. Control program of the wireless LAN system.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그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0.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according to claim 38 or 39, where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is controlled so that at least the output of the position registration radio signal is prohibited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or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ff. Control program of the wireless LAN system.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상기 송수신 수단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그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1. The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claim 40, where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controlled such that the supply of power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prohibited when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is turned off. Control program.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시작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2. Th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9 to 41, wherein in the first stat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ith respect to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And in the second state,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is started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received the control delega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control delegation termination reason. Control program of LAN system. 제38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는 자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 대해서, 자체의 식별 정보를 발신원 정보로서 포함시키며, 송신처의 식별 정보를 수신처 정보로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3.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2, wherein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network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itself, and transmits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radio signal transmitted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control program for a wireless LAN system, comprising as source information and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as destination information. 제38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적어도 상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서의 온/오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의 송수신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4.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3, wherein sai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controlled to function as a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of at least a status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on / off in said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of said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rol program of the wireless LAN system.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의 송수신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5.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claim 44, wherein each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controlled to function as a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a status signal indicating a stat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제38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상기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이 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이 되도록 각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5.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4, wherein upon switching from said first state to said second state,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subjected to said control delegation waiting fo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of said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o be turned of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wait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device under the control delegation to be turned off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of the second state is switched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Control program of a wireless 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controlled to be on. 제38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부터의 제어 위임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으로 수신하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6, wherein, in the first state, when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control delegation from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received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he control program of the W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because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has occurred. 제38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의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으로 수신하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48.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7, wherein, in the first state, when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performed,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transmitted from the telephone apparatus. The control program of the W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ceiving a signal for specifying the signal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the reason for the control delegation occurs and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제38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의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2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8, where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has operation input means for operating by a user, and in the first stat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a network. In this case, when an operation input for specifying one slave communication device is made by the operation input means, the control delegation reason occurs so that switching to the second state is performed. Control program. 제39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진 경우에, 그 무선 전화 통신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Th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9 to 49, wherein, in the second state, when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th a telephone apparatus outside a network by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nder control delegation. The control program of the W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mmunication is terminated,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occurs and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is performed. 제39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해 소정 시간 내에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여 상기 제1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51. Th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9 to 50, wherein in said second state, wireless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said telephone apparatus outside the network is not per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y sai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of the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nder control delegation. In the control program of the WLA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son for the termination of control delegation occurs, switching to the first state. 제38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A wireless LA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51, wherein a command for allow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eans to be turned on using at least an ID of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transmitted a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Control program of the system.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제어 위임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수신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The control program of claim 52, wherein a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a signal including destination information of a slave communication device for delegating control is transmitted.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에만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위임 신호로서, 무선 전화 회선의 ID가 포함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5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2 or 53, wherein an ID for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only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a signal including an ID of a wireless telephone line is transmitted as the control delegation signal. Control program of WLAN system. 제38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가 상기 마스터 통신 장치 및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54. The control program for a wireless LA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53, wherein an ID for using the wireless telephone line is set in the master communication device and each slave communication device.
KR1020027013515A 2002-10-09 2001-03-30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KR200300105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3515A KR20030010598A (en) 2002-10-09 2001-03-30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3515A KR20030010598A (en) 2002-10-09 2001-03-30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0598A true KR20030010598A (en) 2003-02-05

Family

ID=4932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515A KR20030010598A (en) 2002-10-09 2001-03-30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05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865B2 (en)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US6763231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parent communication device, parent-child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3759928B2 (en) Wireless LAN system, wireless LA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030040214A (en)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2544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improved server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rver connection thereof
KR20030004400A (en)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KR1016264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access point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6167262A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40014464A1 (en)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KR20030010598A (en)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KR20030017494A (en)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KR20030010597A (en)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US20030179722A1 (en)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30139137A1 (en) Radio lan system and radio lan system controll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3049686B2 (en) Telephone equipment
US20020082034A1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and data transfer method
KR20040017405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utomatically Voice Message in Key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