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8384A -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8384A
KR20030008384A KR1020010042997A KR20010042997A KR20030008384A KR 20030008384 A KR20030008384 A KR 20030008384A KR 1020010042997 A KR1020010042997 A KR 1020010042997A KR 20010042997 A KR20010042997 A KR 20010042997A KR 20030008384 A KR20030008384 A KR 20030008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lead
feature
databas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호 filed Critical 이경호
Priority to KR102001004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8384A/ko
Publication of KR2003000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와 운영자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시스템에서, 무연고묘 유골의 유전자 검사 및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 단계와, 변사자 등 및 확인의뢰인의 유전자 검사 및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 단계와; 이때의 유전자 검사는 대립유전자(ALLELE), 제한효소절편길이다형성(RFLP), 단순염기반복서열(VNTR), 단일염기다형성(SNP) 검사방법들 중 3 가지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실시하여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생성하며; 운영자서버는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변사자 등과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정보와 회원정보의 데이터베이스와, 특징유전자 비교검색 프로그램과,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비교검색하여 가족을 찾아주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무연고묘 유골의 가족을 정확히 찾을 수 있게되어, 공동묘지를 납골당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하여 매장 묘지의 포화로 인한 사회문제와 국토의 낭비를 해결하고, 변사자 등을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THE FAMILY SEARCHING SYSTEM OF UNKNOWN GRAVES WITH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유전자검색사이트에 무연고묘의 유골 또는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관리 운영하여 가족의 출현 시 진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검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매장문화를 선호하는 의식이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어 비좁은 국토의 묘지용지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화장을 권장하는 풍토가 조성되고 있으며 화장하여 분쇄한 골분을 산이나 강에 뿌리는 원시적인 방법을 해결하고자 납골당을 장려하여 조성하고 있지만 납골당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납골당 건립 시 제기되는 지역 주민과의 민원 문제로 납골당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또한, 기존의 공동묘지를 재개발하여 납골당으로 조성하거나, 새롭게 도시를 개발할 경우 약 80%이상의 무연고 묘가 걸림돌이 되어 유족과의 민원 마찰로 인한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묘지검색 관련 종래 기술로는, 한국특허출원 10-1999-0011642에, 망자의 이름이나 분묘의 위치, 주소에 의하여 연고자를 찾을 수 있게 한 묘지 검색 시스템이 있으나, 무연고자의 묘일 경우에는 검색이 불가하며 재개발 등으로 이장을 하거나 묘지를 새로이 납골당 등으로 조성할 경우 그 정보의 제공이 없어 그 이용 방법에 제약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 10-2000-0035038에 묘소에 비치된 고인의 디지털 자료 열람장치와 그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무연고 묘와 같은 불명확한 사망자를 검색 판별하는 방법이 없고, 연고가 확실한 일반 고인의 자료만을 검색할 수 있는 제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기존의 공동묘지를 재개발하여 납골당을 조성하거나 도시개발을 할 경우에 무연고묘의 유골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차후 유족이라 주장하는 가족(이하 "확인의뢰인"이라 칭함)이 나타날 경우에 유족과의 마찰소지를 해결하여 전국적으로 광범하게 분포되어 있는 기존의 공동묘지를 납골당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장 묘지의 포화로 인한 사회문제와 국토의 낭비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변사자, 기억상실자, 미아 등(이하, "변사자 등"이라 칭함)의 정보를 종래의 이미지데이터와 기초적인 정보만으로 검색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장기간의 시일이 경과한 후에도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가족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단계 불럭도.
도 3은 변사자 등과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단계 블록도
도 4는 특징유전자 데이터의 비교검색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 가족 검색시스템의 운영도
※ 도면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단계
200 :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데이터 생성단계
300 :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단계
400 : 운영자서버
510 :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
520 :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
530 :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
540 :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 550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560 : 특징유전자데이터 비교검색 프로그램 570 : 응용프로그램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연고 묘의 유골을 수습하여 골수, 머리카락 등에서 유전자를 채취하고, 신뢰도 높은 유전자 검사를 거쳐 얻어진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운영자 서버에 구축하여 저장 관리하고, 화장한 유골과 유전자 정밀검사용 일부 골수, 머리카락을 캡슐에 보관하여 납골당에 안치하고, 차후 가족이라고 주장하는 확인의뢰인이 나타났을 경우 확인의뢰인의 혈액, 머리카락, 피부 등에서 유전자를 채취하고 유전자검사를 통해 얻어진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운영자서버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검색하여 인터넷 상에서 가족의 진위 여부를 확인해주고 ; 같은 방법으로,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관리하고,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검색하여 가족의 진위 여부를 확인해주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데이터 생성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변사자 등과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에 사용되는 단말기는 광역통신망인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와 랜(LAN) 또는 모뎀(Modem)이 장착된 본체와 모니터로 구성된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운영자 서버(400)는, 무연고묘의 유골로부터 검사된 특징유전자데이터 데이터베이스(510)와,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520)와,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530)와, 상기의 무연고묘의 유골과 변사자 등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540)와, 확인 의뢰인의 신상정보 등이 저장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550)와,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비교검색프로그램(560) 및 검색시스템 운영 프로그램(570)으로 으로 구성된다.
다음은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프-라인 단계의 구성인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데이터 생성단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연고묘를 개장하여(105), 유골을 수습하여 채취한 다음(110), 유전자 검사용 골수와 머리카락을 채취하고(120), 채취한 골수와 머리카락을 이용하여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여(170),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생성하는(180) 단계와,
채취한 골수와 머리카락 일부를 캡슐에 저장하고(140), 잔여 유골은 화장하여(130), 납골당에 캡슐과 함께 안치하는 단계(150)와, 무연고묘의 개장 전의 무연고 묘의 위치, 비문, 등과 개장일, 개장 사유 등과 화장 후 납골한 납골당의 주소, 위치, 캡슐번호 등의 관련 정보데이터의 생성 단계(160)와,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와 관련정보 데이터를 운영자 서버에 송출하여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저장한다.
상기의 유전자 검사(170)는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비교검색을 통해 가족관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대립유전자(ALLELE), 제한효소절편길이다형성(RFLP), 단순염기반복서열(VNTR), 단일염기다형성(SNP) 검사 방법들 중 3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검사한 후 그 결과를 조합하여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생성한다.
대립유전자(ALLELE) 검사는 한 쌍의 염색체에서 서로 같은 위치에 있으면서도, 염기서열이 서로 상이해 우성 또는 열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이용한 방법이다.
제한효소절편편길이다형성(RFLP :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검사는 제한효소의 종류에 따라, DNA의 절편 위치가 달라져서, 제한효소 처리 후에 사람에 따라 DNA의 절편들의 길이가 다른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단순염기반복서열(VNTR : Variable Number Tandem Repeats) 검사는, 사람에 따라 염기서열이 매우 다른 부위인 고도가변영역(Hyper Variable Region)이 있는데, 이 고도가변영역 내의 단순염기 반복서열을 이용한 방법이다.
단일염기다형성(SNP :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검사는 DNA 의 어느 특정 위치의 염기 1 개가 달라져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 적용하는 유전자 검사방법은 상기 방법 외에도, 유전자 검사방법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기술의 출현 시 적용할 수 도 있다.
다음은 도 3의 (A)를 참조하여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데이터 생성단계(200)를 설명한다.
변사자, 기억상실자, 미아 등으로부터 유전자샘플을 채취하여(210), 유전자 검사를 실시한 다음(220),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230)와, 변사자 등의 발견장소, 연월일, 사진, 보호기관 등 관련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240)와, 특징유전자 데이터와 관련정보 데이터를 운영자서버에 송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저장하는 단계(250)로 구성된다.
다음은 도 3의 (B)를 참조하여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데이터 생성단계(200)를 설명한다.
확인의뢰인으로 부터 유전자샘플을 채취하고(310), 유전자 검사를 하여 (320), 특징유전자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330)와, 특징유전자데이터를 운영자서버에 송출하여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530)를 구축 저장하는 단계(340)로 구성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비교검색과 가족확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특징유전자 데이터 비교검색프로그램을 가동한다.
확인의뢰인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530)에 저장된 의뢰인의 특징유전자를 인출하여,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순차적으로 상관도를 1차로 비교 검색한다.
1차 상관도 비교검색 단계에서 85 % 이상의 상관도를 보이는 유전자데이터가 검출되면,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540)로부터 납골당의 주소, 위치, 캡슐번호등을 출력하여 확인한다.
납골당에 보관된 골수와 머리카락 캡슐에서 DNA를 채취하여 정밀검사를 하여 특징유전자 정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특징유전자 정밀데이터와 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와 2 차 비교 검사하여 99 %이상의 상관도를 보일 경우 가족으로 판정하고, 확인의뢰자에게 가족확인통보를 한다.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데이터 비교검색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1 차 및 2차 정밀검사를 실시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의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검색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인, 가입회원, 납골당 방문자가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로 운영자서버에 접속하는 단계(400)와, 회원등록 필요시 회원가입 기초정보 입력단계(563)와, 방문자 자격 접속을 원할 경우 방문자 ID 입력단계(562)로 구성된 유전자검색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와;
무연고묘 신규등록 단계(571)와 무연고묘의 특징유전자데이터 비교검색단계(572)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연고묘 가족찾기(570)와;
변사자 등의 신규등록 단계(581)와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데이터 비교검색단계(582)를 포함하여 구성된 변사자 등 찾기(580)를 선택적으로 입장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정보를 입력하는 각 단계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원가입기초정보 입력단계(563)는 회원 신규ID를 입력하는 단계와 ID가 존재하는지 비교하는 단계와, 존재하면 재입력 요청하고 미존재 ID이면 성명/성별/나이/주민등록번호/주소/전화번호/기타 관련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 정보의 저장 여부 입력단계와 정보데이터 입력프로그램을 가동하여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550)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무연고묘 신규등록 단계(571)는 데이터의 불법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관리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보데이터 입력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유골의 특징유전자데이터와 관련정보데이터를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510)와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변사자 등의 신규등록단계(581)는 특정관리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정보데이터 입력프로그램을 가동하여 무연고인의 특징유전자데이터와 관련정보데이터를 무연고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520)와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검색 시스템에느 상기의 구성 이외에 일반방문자나 회원가입자와 사이트 관리자간의 의견 교환과 질문/답변을 위한 웹메일 시스템이 운영될 수 있으며, 개발된 납골당의 분양광고와 상제용품의 광고 등 일반 광고도 유치하여 운영될 수 있다.
무연고 묘의 유골을 수습하여, 신뢰도 높은 유전자검사를 거쳐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저장 관리하고, 인터넷을 통해 가족의 특징유전자데이터와 비교 검색하여 가족의 진위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공동묘지를 납골당으로 조성할 수 있으며 매장 묘지의 포화로 인한 국토의 낭비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사이트에서 관리함으로써, 장기간의 시일이 경과한 후에도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가족을 찾을 수 있다.

Claims (3)

  1.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와 운영자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시스템에서,
    무연고묘 유골의 유전자 검사 및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 단계와, 변사자 등의 유전자 검사 및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 단계와, 무연고묘 또는 변사자 등을 찾고자하는 확인의뢰인의 유전자 검사 및 특징유전자 데이터 생성 단계와;
    이때의 유전자 검사는 대립유전자(ALLELE), 제한효소절편길이다형성(RFLP), 단순염기반복서열(VNTR), 단일염기다형성(SNP) 검사방법들 중 3 가지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실시하여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생성하며;
    무연고묘 유골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특징유전자 비교검색 프로그램과,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된 운영자서버(400)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징유전자 데이터를 비교검색하여 가족을 찾아주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특징유전자 테이터 비교검색단계(572,582)는,
    유전자데이터 비교검색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단계와, 확인의뢰인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뢰인의 특징유전자를 인출하여 무연고묘 유골 또는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순차적으로 상관도를 비교 검색하는 1차상관도 비교검색 단계와, 관련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2차 유전자 정밀 검사단계와, 2차 정밀상관도를 비교 검사하는 단계와, 가족임이 판명될 시 확인의뢰인에게 통보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검색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인, 가입회원, 납골당 방문자가 인터넷 통신수단을 구비한 단말기로 운영자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회원등록 필요시 회원가입 기초정보 입력단계와, 방문자 자격 접속을 원할 경우 방문자 ID 입력단계로 구성된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검색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와;
    무연고묘 신규등록 단계(571)와 무연고묘의 특징유전자데이터 비교검색단계(572)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연고묘 가족찾기(570)와;
    변사자 등의 신규등록 단계(581)와 변사자 등의 특징유전자데이터 비교검색단계(582)를 포함하여 구성된 변사자 등 찾기(580)를 선택적으로 입장하여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10042997A 2001-07-18 2001-07-18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KR20030008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97A KR20030008384A (ko) 2001-07-18 2001-07-18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997A KR20030008384A (ko) 2001-07-18 2001-07-18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384A true KR20030008384A (ko) 2003-01-29

Family

ID=2771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997A KR20030008384A (ko) 2001-07-18 2001-07-18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838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370A (ja) * 1993-09-27 1995-04-07 Hitachi Device Eng Co Ltd 遺伝子データベース検索システム
JPH10334104A (ja) * 1997-03-31 1998-12-18 Hitachi Ltd Dna塩基配列比較方法
KR20000014129A (ko) * 1998-08-14 2000-03-06 정관선 통신망을 이용한 유저가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인 검색시스템과 그 구현방법
KR20000059431A (ko) * 1999-03-03 2000-10-05 조성우 Dna 타이핑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가족 확인 방법및 이를 위한 다형성 마커의 조합
KR20000072098A (ko) * 2000-07-28 2000-12-05 이종인 게놈족보 및 유전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010000817A (ko) * 2000-10-20 2001-01-05 오귀환 디앤에이 데이터를 이용한 이산가족 검색시스템 및 그검색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370A (ja) * 1993-09-27 1995-04-07 Hitachi Device Eng Co Ltd 遺伝子データベース検索システム
US5706498A (en) * 1993-09-27 1998-01-06 Hitachi Device Engineering Co., Ltd. Gene database retrieval system where a key sequence is compared to database sequences by a dynamic programming device
JPH10334104A (ja) * 1997-03-31 1998-12-18 Hitachi Ltd Dna塩基配列比較方法
KR20000014129A (ko) * 1998-08-14 2000-03-06 정관선 통신망을 이용한 유저가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인 검색시스템과 그 구현방법
KR20000059431A (ko) * 1999-03-03 2000-10-05 조성우 Dna 타이핑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가족 확인 방법및 이를 위한 다형성 마커의 조합
KR20000072098A (ko) * 2000-07-28 2000-12-05 이종인 게놈족보 및 유전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010000817A (ko) * 2000-10-20 2001-01-05 오귀환 디앤에이 데이터를 이용한 이산가족 검색시스템 및 그검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akkar et al. Dynamically composing web services from on-line sources
Schminkey et al. Handling missing data with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techniques
Soltis et al. Green digitization: Online botanical collections data answering real‐world questions
Zhang et al. Exploring the inner relationship among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based on SLR–ISM method
Baker Public Housing Tenant Relocation: Residential Mobility, Satisf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Tenant's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Tlale et al. Factors influencing health care workers’ implementation of tuberculosis contact tracing in Kweneng, Botswana
Gutfraind et al. A graph database framework for covert network analysis: An application to the Islamic State network in Europe
Yoshimura et al. Quantifying memories: mapping urban perception
Kazi et al. Geo-spatial reporting for monitoring of household immunization coverage through mobile phones: Findings from a feasibility study
Lowther et al. Feasibility of satellite image‐based sampling for a health survey among urban townships of Lusaka, Zambia
Saran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biodiversity information portals
Maman et al. Using participatory mapping to inform a community-randomized trial of HIV counseling and testing
CN111949845A (zh) 处理测绘信息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arupathirun et al. GIS as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Delaunay et al. The Niakhar Social Networks and Health Project
Elhussein et al. Google trends identifying seasons of religious gathering: Appli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rowding and flu outbreak
KR2003000838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연고묘의 가족 검색시스템
Nuojua et al. Exploring web-based participation methods for urban planning.
Jeffery Integrating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Six Sigma: Six Sigma as a process improvement intervention in action research
Câmara et al. Networks of innov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Brazil
Fielding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 mixed analysis
Barry et al. Visualising changing tenure relationships: the talking titler methodology, data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Vine et al. Conceptions of ‘community’among older adults living in high‐density urban areas: An A ustralian case study
KR20220014584A (ko) 입시정보 멘토링 서비스 제공방법
Turk et al. Culture and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CMC: Indigenous cultural information system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