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323A - Information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Information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323A
KR20030006323A KR1020010042035A KR20010042035A KR20030006323A KR 20030006323 A KR20030006323 A KR 20030006323A KR 1020010042035 A KR1020010042035 A KR 1020010042035A KR 20010042035 A KR20010042035 A KR 20010042035A KR 20030006323 A KR20030006323 A KR 20030006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switch
sensor
moving shaf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46611B1 (en
Inventor
이동현
이상국
소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611B1/en
Publication of KR2003000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3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61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2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13/285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having a symmetrical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01H13/707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characterised by springs, e.g. Euler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offer a wireless information input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s well as performing an input function of a keyboard and a mouse on a small computer. CONSTITUTION: An upper plate(220) moves to a horizontal direction to a lower plate(222). A moving axle(228) is smoothly moved together with a sliding ball(226). A strain gauge(234) as a sensor outputs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moving axle(228). By removing a hand from the upper plate(220), the upper plate(220) is returned to an original point by the strain gauge(228) attaching to the moving axle(228). If force is applied to a center of the upper plate(220), the moving axle(228) moves to downward and a tact switch(236) as a switch outputs an on/off operation signal. A processor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an input processing device of a comput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ool via a communication module after analyzing electric signals generated by the sensor and the switch.

Description

정보 입력장치{Information input device}Information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의 평행한 두 개의 플레이트간의 X-Y 변위로 컴퓨터의 포인팅 장치 및 컴퓨터 데이터 입력을 하는 정보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inting device of a computer and an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inputting computer data with an X-Y displacement between two small parallel plates.

컴퓨터 입력장치로는 키보드(key board)와 마우스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키보드에 의한 데이터 입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택트(tact) 스위치의 일종인 다수의 키(key)(110), 이 키들(110)의 눌림에 의해 해당되는 스위치의 온/오프를 검출하고 이를 디코딩하는 제어부(112), 이 제어부(112)에 의해 디코딩된 명령을 해당 문자로 입력하는 컴퓨터 시스템(114)으로 구성된다.A keyboard and a mouse are the most widely used computer input devices. Data input by the keyboard detects the on / off of the corresponding switch by pressing a plurality of keys 110, which are a kind of tact switch, and pressing the keys 110 as shown in FIG. A control unit 112 for decoding the same, and a computer system 114 for inputting the command decoded by the control unit 112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이러한 키보드 입력시스템은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나 매우 작은 컴퓨터인 PDA(Personal Data Assistants) 등에서의 사용은 매우 어렵다.Such a keyboard input system can be used in a desktop or notebook computer, but is very difficult to use in a very small computer (Personal Data Assistants).

또한 마우스는 윈도우 환경을 갖춘 컴퓨터에서 다양하게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위치를 지정하고 클릭버튼을 눌러서 클릭함으로써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mouse is used in various ways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by specifying a location as a pointing device in a computer with a window environment and clicking by clicking the click button.

그러나 마우스 자체는 문자를 입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키보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the mouse itself has a limitation in entering characters, so it is generally used with a keyboard.

또한,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기 위해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손가락에 끼고서 가상의 키보드를 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지만, 많은 센서들이 필요하며, 데이터 송신 시스템을 분리하여 센서들과 연결하는 등 복잡한 시스템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a virtual keyboard, a method of hitting a virtual keyboard by u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finger movement on a finger has been attempted, but many sensors are required, and it is complicated to separate a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connect the sensors.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ystem.

PDA의 경우는 펜 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stylus)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글자를 적어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는 신속한 정보입력이 어렵고, 또한 인식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PDA, a method of writing letters on a screen using a stylus, which is a pen input device, is used.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put information quickly and the recognition rate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컴퓨터에서 키보드 및 마우스의 입력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가진 소형의 정보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information input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while performing a keyboard and mouse input function in a small computer.

도 1은 키보드에 의한 정보 입력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a keyboard;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정보 입력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orm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절개한 면의 투시 단면도,3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 along the line 3-3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 입력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wireless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n input mode using a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무선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키보드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putting a character like a keyboard using two wireless input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방법을 보이는 흐름도,7 is a flowchart showing an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무선 입력장치의 개략 투시 단면도,8 is a schematic perspective sectional view of a wireless input device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무선 입력장치의 개략 투시 단면도,9 is a schematic perspective sectional view of a wireless input device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입력장치를 소형 컴퓨터인 PDA에 응용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wireless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DA which is a small comput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20: 상부 플레이트 222: 하부 플레이트220: upper plate 222: lower plate

226: 슬라이딩 볼 228, 280: 이동축226: sliding ball 228, 280: moving shaft

234: 스트레인 게이지 236: 택트(tact) 스위치234: strain gauge 236: tact switch

290: 접촉 스위치290: touch switch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보 입력장치는, 서로 마주보며, 소정 간격을 두고 격리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의 동선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수단;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facing each other and isol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moving shaf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transfer the movement of the upper plate; A sensor for detecting a moving line of the moving shaft; A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from the sensor; And signal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processor.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정 압력이상이 가해지면 하방으로 눌리면서 스위칭을 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와 함께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witch configured to switch while being pressed downwar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from the upper plate toward the lower plate. Th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of the switch together with the sensor. do.

상기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이며, 상기 택트 스위치는 상기 이동축의 하부에 접촉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witch is a tact switch, and the 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shaf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cessor is preferably embedded in the lower plate.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반구형의 오목한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홈들에 슬라이딩 부재들이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hemispherical concave groov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nd sliding members are embedded in the grooves.

상기 이동축은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movable shaft is fixed to the upper plate, the lower end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groove formed in the lower plate.

상기 센서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이동축의 측면에 연결되는 스트레인 게이지이거나 또는 상기 센서는 X-Y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상기 이동축과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is preferably a strain gaug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oving shaft, or the sensor is an X-Y strain gauge and integral with the moving shaft.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축을 둘러싸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홈의 측면에 마련되는 접촉스위치일 수도 있다.The sensor may be a contact switch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roove of the lower plate surrounding the moving shaft.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입력장치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정보 입력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설명을 위해 상부 플레이트를 투명하게 도시하였으며,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절개한 면의 투시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pper plate is transparently illustrated for explana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t surface along a line 3-3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220)와 하부 플레이트(22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격리되어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220)의 하부에는 반구형의 오목한 홈들(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들(224)에는 슬라이딩 볼들(226)이 마련되어 있다. 플레이트들(220,222)의 중앙부에는 이동축(228)이 개재되어 있다. 이동축(228)의 상단부는 상부 플레이트(2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하부 플레이트(222)의 중앙부에 형성된 홈(230)에 위치한다. 이 이동축(228)의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222)의 내측면(232)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이동축(228)의 측면에 연결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들(23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스트레인 게이지(234)는 4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축(228)의 하방에는 이동축(228)의 하단부와 맞닿는 택트 스위치(236)가 마련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upper plate 220 and the lower plate 222 are separ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hemispherical concave grooves 224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20. The grooves 224 are provided with sliding balls 226. The moving shaft 228 is inter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s 220 and 222. The upper end of the moving shaft 228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20, the lower end is located in the groove 230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222.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shaft 228 is provided with strain gauges 234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232 of the lower plate 222 a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moving shaft 228. It is preferable that this strain gauge 234 consists of four pieces. The tact switch 236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228 is provided below the moving shaft 228.

상기 상부 플레이트(220)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부 플레이트(220)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휘어지는 유연한 플레이트가 바람직하다.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220 is pressed downward, a flexible pl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220 is bent downward is preferable.

상기 하부플레이트(222)에는 스트레인 게이지들(234)과 택트 스위치(236)의 신호선과 연결된 프로세서(도 4의 참조번호 420 참조)가 내장되어 있으며, 프로세서의 명령으로 함께 작동되는 소형 컴퓨터에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송신 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무선 송신 수단은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Bluetooth, USB(Universal Serial Bus) 및 적외선 통신(IrDA) 등의 무선통신 수단을 이용한다.The lower plate 222 includes a processor (see reference numeral 420 of FIG. 4) connected to the signal lines of the strain gauges 234 and the tact switch 236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a small computer that is operated together by a command of the processor. Wireless transmitt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The radio transmission means uses radio communication means such as radio frequency (RF), Bluetooth,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 입력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 플레이트(220)를 하부 플레이트(222)에 대해서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서 이동축(228)이 슬라이딩 볼(226)과 함께 유연하게 움직인다. 이 때 센서(400)인 스트레인 게이지(234)는 이동축(228)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20)로부터 손을 떼면 상부 플레이트(220)는 이동축(228)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234)의 복원력으로 원점으로 되돌아온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wireless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when the upper plate 220 is mov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222, the movement shaft 228 is flexibly moved together with the sliding ball 226. At this time, the strain gauge 234 as the sensor 400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shaft 228. When the upper plate 220 is released from the upper plate 220, the upper plate 220 returns to the orig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train gauge 234 attached to the moving shaft 228.

또한 상부 플레이트(220)의 중앙부에 힘을 가하면 이동축(228)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스위치(410)인 택트 스위치(236)를 눌러서 온/오프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420)는 센서(400) 및 스위치(41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들을 해석한 후 입력 정보를 통신 모듈부(426)를 통해 무선 송신 수단으로 컴퓨터의 입력처리장치에 송신한다.In addition,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20, the moving shaft 228 is moved downward to press the tact switch 236, which is the switch 410, and outputs an on / off operation signal. The processor 420 analyzes th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the sensor 400 and the switch 410 and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inpu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compu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26 by a wireless transmission means.

여기서 프로세서(420)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 처리부(424)는 센서(400)의 어낼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어낼로그-디지털 컨버터(422)를 통해서 신호를 입력받으며, 스위치(41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도 입력된다. 입력된 신호는 중앙처리부(424)에서 해석되어 입력정보로 해서 출력되며, 출력된 정보는 통신 모듈부(426)에서 무선 송신수단(미도시)을 통해 컴퓨터의 정보입력처리장치(450)에 전송된다. 메모리(428)는 중앙 처리부(424)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타이머(430)는 중앙 처리부(424)가 처리하는 정보 데이타의 주기성을 인가한다.Herein, the processor 4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24 receives a signal through an analog-digital converter 422 that converts the analog signal of the sensor 400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switch 410.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is also input. The input signal is interpre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24 and output as input information, and the out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426 to the information input processing apparatus 450 of the computer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do. The memory 428 stores a program for driv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24. The timer 430 applies the periodicity of the information data process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2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키보드에서의 대문자, 소문자, 마우스 기능, 특수문자 모드로 변경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220)를 한번 가압하여 이동축(228)이 하방의 택트 스위치(236)를 누르면 택트 스위치(236)로부터 클릭신호가 발생되어서 시계방향의 다음 모드로 변경된다. 두 번 연속하여 가압하면 더블 클릭이 되어서 반시계 방향의 모드로 변경된다. 도 5에서는 4개의 모드를 예로 하였지만, 필요에 의해서 모드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changing to an uppercase letter, a lowercase letter, a mouse function, and a special character mode on a keyboar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when the upper shaft 220 is pressed once and the moving shaft 228 presses the lower tact switch 236, a click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tact switch 236 to change to the next mod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f you press twice in succession, you will double click to change to the counterclockwise mode. Although four modes are taken as examples in FIG. 5, the number of modes can be changed as necessary.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무선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키보드와 같이 문자를 입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잡음, 신호 획득 등을 고려하여 이동축(도 3의 참조번호 228 참조)의 움직임을 8방향으로 인식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두 개의 무선 입력장치의 방향신호의 조합으로 64개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도 5에서 선택된 모드에서 키보드로서의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6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a character like a keyboard using two wireless input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motion of the moving axis (see reference numeral 228 of FIG. 3) is recognized in eight directions in consideration of noise and signal acquisition. Since 64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direction signals of two wireless input devices, an input function as a keyboard can be performed in the mode selected in FIG. 5.

다시 설명하면, 포인팅 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택트 스위치(도 3의 참조번호 236)를 사용하여 마우스 모드로 선택한 뒤, 정해진 하나의 무선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이동축(도 3의 참조번호 228)으로 이동방향을 선택하면 타이머(도 4의 참조번호 430)에 의해 진행길이가 계산된다. 대문자를 입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택트 스위치(236)를 클릭하여 대문자 모드를 선택하고서, 두 개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방향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 이 때 입력되는 장치의 ID 정보도 함께 입력된다.In other words, when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pointing device, a mouse mode is selected using a tact switch (reference numeral 236 of FIG. 3), and a moving axis (reference numeral 228 of FIG. 3) is selected using a predetermined wireless input device.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selected, the progress length is calculated by the timer (reference numeral 430 of FIG. 4). In order to input capital letters, the user selects the capital letter mode by clicking the tact switch 236 and selects and inputs directions using two input devices. At this time, ID information of the input device is also inpu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입력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무선 입력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블록도를 기준으로 도 7을 상세히 설명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IG.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wireless input device illustrated in FIG. 4.

먼저, 센서(400) 및 프로세서(420)를 초기화한다(702).First, the sensor 400 and the processor 420 are initialized (702).

이어서, 사용자 종료 신호 여부를 판단한다(704). 이 때 사용자 종료 신호가 검출되면 정보 처리를 종료하고(706), 사용자 종료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입력되는 신호 검출여부를 판단한다(708).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exit signal is present (704). At this time, if the user termination signal is detected, the process of information is terminated (706).

입력되는 신호가 클릭 신호인 지 여부를 판단하며, 클릭 신호인 경우는 그 신호가 더블 클릭 신호인 지 재차 판단한다(710). 이러한 클릭 신호로 입력모드가 결정되는 데 하나의 클릭 신호인 경우 시계방향으로 모드가 변경되며(712), 더블클릭 신호인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모드가 설정된다(714). 클릭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입력모드가 설정된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click signal, and if it is a click signal,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the signal is a double click signal (710). The input mode is determined by the click signal. In the case of one click signal, the mode is chang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712), and in the case of the double click signal, the mode is se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714). If the click signal is continuously input,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o set the input mode.

입력되는 신호가 센서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처리하여(716), 해당되는 문자 또는 방향을 선정하여(718) 전송한다(720).When the input signal is a sensor, a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is processed (716), and a corresponding character or direction is selected (718) and transmitted (720).

사용자 종료신호가 검출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user end signal is detec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무선 입력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며,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축(280)이 X-Y 스트레인 게이지이며, 이동축(280)은 상단부가 상부 플레이트(220)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하부 플레이트(222)의 홈(230)에 의해서 지지된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input device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ving shaft 280 is an XY strain gauge, the upper end of the moving shaft 280 is fixed to the upper plate 220, the lower portion is supported by the groove 230 of the lower plate 222. .

상기 구조의 무선 입력장치는 상부 플레이트(220)의 움직임에 따라서이동축(280)의 하단부를 축으로 X-Y 스트레인 게이지인 이동축(280)이 변위되며, 이 상부 변위로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며, 다른 구성요소의 작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the wireless input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as the upper plate 220 moves, the moving shaft 280, which is an XY strain gauge, is displaced abou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shaft 280, and an electrical signal is output by the upper displacement. The action of the element is as described above.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무선 입력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며,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축(228)의 8방향에는 하부 플레이트(222)의 내측면232)에 부착된 8개의 접촉 플레이트(290)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축(290)은 상단부가 상부 플레이트(220)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는 하부 플레이트(222)의 홈(230)에 스프링(292)에 의해서 지지된다.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input device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the drawings, eight contact plates 290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232 of the lower plate 222 are formed in eight directions of the moving shaft 228. The moving shaft 290 is fixed at the upper end to the upper plate 220, and the lower part is supported by the spring 292 in the groove 230 of the lower plate 222.

상기 구조의 무선 입력장치는 상부 플레이트(2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이동축(228)의 움직이는 방향에 마련된 접촉 스위치(290)를 접촉함으로써 그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스프링(292)에 의해서 이동축(228)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 경우에는 접촉 스위치(29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디지털 신호이므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에서 어낼로그-디지털 컨버터(도 4의 참조번호 422)를 생략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의 작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wireless input device having the structure contacts the contact switch 290 provid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shaft 228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upper plate 220,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herefrom, and the moving shaft is driven by the spring 292. 228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is case, since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ontact switch 290 is a digital signal, it is possible to omit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reference numeral 422 of FIG. 4) from the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other components is described above. As show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입력장치(310)를 소형 컴퓨터인 PDA(300)에 응용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 개의 무선입력장치(310)를 PDA(300)의 양측에 배치하고 무선 입력장치(310)의 측면 또는 바닥에 마련된 인터페이스(312)로 PDA(300)와 통신하게 하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입력장치(310)를 PDA(300)로부터 분리하여 무선통신으로 키보드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컴퓨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wireless input device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DA 300 which is a small computer. Referring to the drawings, two wireless input devices 31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DA 300 and data is communicated to the PDA 300 by an interface 312 provided on the side or the bottom of the wireless input device 310. You can enter. 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wireless input device 310 from the PDA 300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a keyboard by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입력 시스템은 소형이면서도 저가격으로 키보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in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keyboard at a small size and at a low cost.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서로 마주보며, 소정 간격을 두고 격리되어 있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facing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이동축;A moving shaft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transfer the movement of the upper plate; 상기 이동축의 동선을 감지하는 센서;A sensor for detecting a moving line of the moving shaft; 상기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A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from the sensor;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information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정 압력이상이 가해지면 하방으로 눌리면서 스위칭을 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며,And a switch for switching while pressing downwar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from the upper plate toward the lower plat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와 함께 상기 스위치의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the processor is a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of the switch together with the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the switch is a tact switch.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택트 스위치는 상기 이동축의 하부에 접촉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the 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moving 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the processor is embedded in the lowe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된 반구형의 오목한 홈들;Hemispherical concave groov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상기 홈들에 내재되는 슬라이딩 부재들;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sliding members inherent in the groov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축은 그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the upp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positioned in a groove formed in the lower plat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센서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이동축의 측면에 연결되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said sensor is a strain gauge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of said lower plate and connected to the side of said moving shaf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센서는 X-Y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상기 이동축과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The sensor is an informatio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X-Y strain gauge is integral with the moving shaf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센서는 상기 이동축을 둘러싸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홈의 측면에 마련되는 접촉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The sensor is an informatio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switch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groove of the lower plate surrounding the moving 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장치.And an inte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KR10-2001-0042035A 2001-07-12 2001-07-12 Information input device KR100446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035A KR100446611B1 (en) 2001-07-12 2001-07-12 Information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035A KR100446611B1 (en) 2001-07-12 2001-07-12 Information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323A true KR20030006323A (en) 2003-01-23
KR100446611B1 KR100446611B1 (en) 2004-09-04

Family

ID=2771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035A KR100446611B1 (en) 2001-07-12 2001-07-12 Information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6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02B1 (en) * 2008-11-18 2009-08-12 주식회사 아이엠스토리지 Mouse device
KR100911801B1 (en) 2008-11-18 2009-08-12 주식회사 아이엠스토리지 Mous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525A (en) * 1989-09-28 1991-05-14 Daiichi Denki Kk Output means and operation means for 2-dimensional displacement operation electric signal
JPH07104913A (en) * 1993-10-07 1995-04-21 Tec Corp Signal input device
JPH09265348A (en) * 1996-03-29 1997-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oad sensor
JPH10198507A (en) * 1997-01-13 1998-07-31 Komota Kk Pointing device
KR200188036Y1 (en) * 2000-01-24 2000-07-15 박순규 Foot m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6611B1 (en)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672B2 (en) Patterned conductive traces in molded elastomere substrate
EP1280173B1 (en) Multi stage and multi direction key and multi stage and multi direction key switch using the same
US6717572B1 (en) Modular rolling axis apparatus
US20100141580A1 (en) Piezo-electric sensing unit and data input device using piezo-electric sensing
EP2054790A1 (en) Data input device
CA2629352A1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KR20090006718A (en) Data input device by detecting finger's moving
EP139466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US20010033268A1 (en) Handheld ergonomic mouse
US20050024338A1 (en) Finger-identifying keyboard
KR100446611B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WO2008100089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446531B1 (en) Glove type data inputting apparatus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10877574B2 (en) Computer mouse, touchpad, input suite, and mobile device
KR100758702B1 (en) Input device for wearable and mobile information appliances
WO2001082049A1 (en) Fingertip controlled computer mouse
CN215987243U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device
WO2011034330A2 (en) Thimble-type command input apparatus
CN212647418U (en) Combined information input equipment
JP2000089896A (en) Code input device
KR20090037652A (en) Data input device
CN115061598B (en) Touch panel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080109109A (en) Data input device
RU84658U1 (en) MATRIX KEYBOARD INPUT SYSTEM (OPTIONS)
KR200263508Y1 (en) Mouse having multi-direction scroll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