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329A -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329A
KR20030005329A KR1020027014963A KR20027014963A KR20030005329A KR 20030005329 A KR20030005329 A KR 20030005329A KR 1020027014963 A KR1020027014963 A KR 1020027014963A KR 20027014963 A KR20027014963 A KR 20027014963A KR 20030005329 A KR20030005329 A KR 20030005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t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가즈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1Identifying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measures in reaction to resource unavailability
    • H04L47/745Reaction i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6Involving periods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3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usag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5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provider application, e.g. reverse prox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모바일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를 거쳐서, 콘텐츠 서버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무선 회선의 통신량을 시간적으로 분산시키는 정보 배신 방법이다.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마련된 정보 배신 관리부(103)가 콘텐츠 서버로의 다운로드 요구, 또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또한 무선 회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의 통신량을 감시한다.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는 다운로드의 실행이 허용되는 최대의 시간을 설정한다. 정보 배신 관리부(103)는 허용 시간 내에서 무선 회선의 통신량이 낮을 때에 이동 통신 단말에 데이터를 배신한다.

Description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INFORMATION DELIVERY METHOD AND INFORMATION DELIVERY MANAGEMENT APPARATUS}
최근의 디지털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음악 정보를 무선 통신을 거쳐서 휴대 전화 단말에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도 13은 콘텐츠 서버로부터 배신되는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 등의 통신 단말에 다운로드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의 예(종래 예)를 나타낸다.
도 13 중 "MS"는 통신 단말을 나타내고, "BS"는 기지국을 나타내며, "M-Nw"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또한, 콘텐츠 서버는, 예컨대, 음악 정보나 영상 정보를 축적하고 있는 서버이며, IP 망은 I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네트워크(인터넷 등)를 나타낸다.
통신 단말(MS)이 음악 배신 등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받는 경우, 우선, 통신단말(MS)이 기지국(BS)에 대하여 액세스 요구를 내보낸다. 그 액세스 요구가 BS로부터 모바일 네트워크(M-NW)를 거쳐서 인터넷망(IP 망) 상에 있는 콘텐츠 서버에 송신된다.
그 액세스 요구에 따라, 콘텐츠 서버로부터는 메뉴 정보가 모바일 네트워크(M-NW)에 송신되고, 기지국(BS)을 거쳐서 통신 단말(MS)에 송신된다. 이 경우, 액세스 빈도가 높을 때 등은 필요에 따라 메뉴 정보가 모바일 네트워크(M-NW)에 의해 유지된다.
통신 단말(MS)의 사용자가 메뉴 정보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싶은 데이터를 선택하면, 데이터 배신 요구가 통신 단말(MS)로부터 기지국(BS) 및 모바일 네트워크(M-NW)를 거쳐서 콘텐츠 서버에 송신된다. 그리고, 그 데이터 배신 요구에 따라 콘텐츠 서버로부터 음악 정보 등이 출력되고, 그 정보는 모바일 네트워크(M-NW) 및 기지국(BS)을 거쳐서 통신 단말(MS)에 다운로드된다.
이 음악 배신 등의 다운로드 서비스에서는 한번에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가 다운로드 서비스를 같은 시기에 행하면, 통신량이 증대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일부의 사용자는 콘텐츠 서버로의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유선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신 용량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단말(MS)과 기지국(BS) 사이의 무선 통신의 통신 용량은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통신량의 피크를 고려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이 충분한 시스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설비를 증강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인프라로의 투자는 방대해져서, 결과적으로, 통화료의 고등을 초래하는 등의 폐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현실적인 대응책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에 정보를 배신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보 배신 관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에서의 주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에서의 주요 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
도 9는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에서의, 하루의 통신량 변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콘텐츠 서버로부터 이동 통신 단말에 음악 정보 등을 배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제 1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제 2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제 3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정보 배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의 인프라에 투자하는 일 없이 통신량의 집중을 회피하여 효율적인 정보 배신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실 시간의 다운로드(콘텐츠 서버로부터의 실 시간의 정보 배신)가 필요없는 경우에 허용되는 시간 내에서 정보를 배신하는 타이밍을 분산시켜 통신량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다운로드가 허용되는 최대의 시간(허용 시간)을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자고 있는 심야 1시부터 3시까지의 사이, 또는, 현시점에서 3시간동안이라는 식으로 허용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그 허용 시간 내(또는 허용 시간대)에서의 통신량이 집중하지 않을 때에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에서는, 콘텐츠 서버에 대한 다운로드 요구, 또는, 콘텐츠 서버로부터 배신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축적한다. 그리고, 무선 회선의 혼잡도를 감시하여 허용 시간 내에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다운로드에 지장이 없는 레벨이면, 콘텐츠 서버에 다운로드 요구를 전송하고, 또한, 콘텐츠 서버로부터 배신된 데이터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에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낮은(통신량이 적은) 시간대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무선 회선에서의 혼잡도(통신량)를 분산시켜 집중을 방지한다. 따라서, 통신량의 피크에 맞춘 시스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인프라 투자를 하는 일 없이, 통신량의 혼잡을 회피하여 높은 시스템 스루풋에 의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일 형태에서는 무선 회선의 혼잡도뿐만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의 혼잡도도 모니터링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무선 회선이나 유선 네트워크의 과거의 통신량 이력 정보 등을 참조하여 다운로드의 개시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허용 시간 내에 이동 통신 단말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있는 데이터를 파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허용 시간의 만료가 가까워지고 있고, 또한, 무선 회선의 통신량의 혼잡이 완화될 때는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있는 배신 데이터를 강제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에 전송한다.
음악 배신이나 게임 소프트웨어 등을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있어서, 항상 순식간에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심야 등, 사용자가 자고 있는 동안이나, 현 시점에서 2∼3 시간 동안에 다운로드 완료하면 좋은 경우도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루의 통신량의 변화를 보면, 통신량이 많은 시간대와 적은 시간대는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마다 어느 정도 결정되어 있다.
도 9에서, 특성 곡선(901)은 현상의 통신량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후 12시경에 통신량은 피크에 달한다. 이 피크값을 MAX(1)로 한다.
이 MAX(1)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용량을 가진 이동 통신 인프라를 구축한 경우를 생각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야의 오전 0시경에는 통신량은 극단적으로 낮다. 따라서, 심야에는 시스템 용량에는 충분한 여유가 생긴다. 도면 중, 부호 "Z"로 나타낸 부분은 사용되지 않는 쓸모없는 시스템 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통신량이 특성 곡선(902)과 같이 변화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통신량의 피크값이 MAX(2)로 증가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용량을 MAX(2)에 대응할 수 있도록 증강해야 한다. 도면 중 부호 "Y"로 나타낸 부분은 증강된 시스템 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심야에는 통신량은 감소하기 때문에 증강한 시스템 용량은 전혀 사용되지 않아 쓸모없는 인프라 설비가 더 증가한다. 도면 중 "X" 부분은 쓸모없는 시스템 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통신량이 특성 곡선(902)의 피크 부분("Y" 부분)을 시스템 용량에여유가 있는 "Z" 부분에 분산할 수 있으면, 통신량의 변화는 특성 곡선(902)으로부터 특성 곡선(903)과 같이 평활화되고, 결과적으로 통신량의 피크값이 감소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쓸모없는 설비 증강이 필요없게 된다. 경우에 따라는 현상의 통신량의 특성 곡선(901)보다도 피크값을 낮게 할 수 있을 가능성까지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사고 방식에 착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언제까지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좋을지의 희망 시간(허용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량을 시간적으로 크게 분산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프라 투자를 하는 일 없이 통신량의 혼잡을 회피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무선 회선이나 네트워크 회선이 혼잡한 경우에 다운로드하는 데이터를 모바일 네트워크(M-NW) 내에서 일시적으로 유지해 두고, 무선 회선이나 네트워크 측의 혼잡도(통신량)의 상황을 감시하여 혼잡도가 낮을 때에 다운로드 등의 다량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요구(커맨드)를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마련된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서 유지하고, 무선 회선의 통신량(혼재도)을 감시하여 허용 지연 시간 내에서 통신량이 어느 정도 이하가 된 시점에서 콘텐츠 서버에 액세스해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배신 방법에서는 무선 회선의 혼잡도를 감시하고,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요구를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서 저장하여,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낮을 때에 데이터의 공급원으로 액세스하여 데이터 요구를 데이터의 공급원으로 송신하고, 또한 데이터의 공급원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무선 회선의 혼잡도란, 통신량 및 총 송신 전력 등의 무선 회선 상태를 뜻하고, 무선 회선의 혼잡도라고 한 경우에는 통신량 및 총 송신 전력 등의 무선 회선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에서는 무선 회선의 혼잡도로서 통신량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말한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통신 네트워크 전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에서, 이동 통신 단말(101)은 모바일 네트워크(4)와, IP 네트워크(인터넷)(104)를 경유하여 콘텐츠 서버(105)와 통신하고,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모바일 네트워크(4)는 무선 네트워크(11)와, 간선 네트워크(10)를 포함한다. 또한, 모바일 네트워크(4)는,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망에서 필요한 제어 기능(호접속(呼接續), 위치 등록, 회선 품질 제어 등,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모바일 네트워크(4)는 이동체 통신을 위한 광의의 통신망이며, 인터넷 등의 범용적인 유선 네트워크와는 구별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11)는 이동체 무선 통신의 실현에 필수적인 통신망이며, 기지국(BS)(102a∼102f)과, 기지국을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 장치(BM)(30, 31)와, 무선 네트워크(11) 내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101)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홈 에이전트(HA: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아님)를 포함한다.
간선 네트워크(1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선 네트워크이다.
간선 네트워크(10)에는 게이트웨이(GW)(3)가 마련된다. 이 게이트웨이(GW)(3)를 거쳐서 간선 네트워크(10)와 IP 네트워크(104)가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도 1의 참조 부호(103))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마련되는 장치이며,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기지국 관리 장치(30, 31) 상 또는, 홈 에이전트(HA)(20) 상 또는, 간선 네트워크(10)에 접속되는 서버(CA)(22) 내에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배신 관리 장치 및 정보 배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배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MS)(101) 및 기지국(BS)(102)과,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와, 인터넷망(104)을 거쳐서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와, 인터넷망(104)과, 데이터 공급원인 콘텐츠 서버(105)로 구성된다.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는 기지국(BS)(102) 및 인터넷(104)의 통신량을 감시하는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와, 이동 통신 단말(MS)(101)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나, 콘텐츠 서버(105)로부터의 배신 데이터의 일시적인 축적이나 전송 개시 등을 관리하는 서버(전송 제어부)(1031)와,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타이머(1033)를 갖는다.
서버(전송 제어부)(1031)는 메모리(1034)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배신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는 서버(1031) 및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전송 제어부)(1031)는 이동 통신 단말(MS)에 대한 무선 회선의 액세스를 판단하고, 또한 모바일 네트워크(M-NW)에 대한 액세스를 판단하는 액세스 판단 회로(201)와, 이동 통신 단말(MS)로부터의 액세스 요구(요구 파일명, 액세스 목적지, 허용 지연 시간 등)를 저장하는 리퀘스트 메모리(202)와,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데이터의 양을 저장하는 데이터량 메모리(203)와,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205)와, 데이터 메모리(205)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을 액세스 상황에 따라 관리하는 메모리 내용 관리 회로(204)를 구비하고 있다.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가 인기가 있는 데이터인지(액세스 회수가 많은지)를 판정하고,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관리하는 사용자 액세스 관리 회로(2011)를 갖는다.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는 이동 통신 단말(MS)(101)과, 기지국(BS)(102) 사이의 무선 회선의 통신량을 감시하는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와, 모바일 네트워크(M-NW)와의 사이의 통신량을 감시하는 네트워크 통신량 모니터 회로(207)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정보 배신 방법의 형태에서는 도 11(a), 도 11(b) 및 도 12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3개의 주요 형태가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2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동작의 순서를 원으로 둘러싼 숫자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101)로부터 발생한 다운로드 요구를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 내의 메모리(1034)에 일시적으로 축적한다(순서 ①). 한편, 서버(105)로부터 다운로드의 대상인 정보의 종류나 데이터량 등의 속성 정보도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 내의 메모리(1034)에 유지한다(순서 ①').
그리고,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101)과 기지국(102) 사이의 무선 회선의 상태를 감시한다(순서 ②).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는 타이머(1033)를 이용하여 시간 정보(시각 정보)를 관리하고, 다운로드가 허용되는 시간 내에 무선 회선의 통신량이 낮은 상태에서 메모리(1034)로부터 다운로드 요구를 판독하여 서버(105)에 전송한다(순서 ③).
그리고, 서버(10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101)에 배신한다(순서 ④).
또한, 도 11(b)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101)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를 직접 서버(105)에 전송한다(순서 ①).
다음에, 서버(10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정보 배신 관리부(103) 내의 메모리(1034)에 일시적으로 축적한다(순서 ②).
그리고,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101)과 기지국(102) 사이의 무선 회선의 상태를 감시한다(순서 ③).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는 타이머(1033)를 이용하여 시간 정보(시각 정보)를 관리하고, 다운로드가 허용되는 시간 내 무선 회선의 통신량이 낮은 상태에서 메모리(1034)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동 통신 단말(101)로 전송한다(순서 ④).
메모리(1034)에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가 가치가 높은 것이며, 다른 이동체 통신 단말로부터도 빈번히 다운로드의 요구가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가 서버(105) 대신에 다른 이동 통신 단말(301)에 대하여 그 데이터를 배신한다(순서 ⑤).
도 12에 나타낸 형태는 도 11(a)의 형태와, 도 11(b)의 형태를 조합시킨 형태이다.
즉, 이동 통신 단말(101)로부터 발생한 다운로드 요구를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 내의 메모리(1034a)에 일시적으로 축적한다(순서 ①).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는 IP 네트워크의 혼잡도나 서버(105)에서의 액세스 집중의 정도를 감시한다(순서 ②).
IP 네트워크의 혼잡도나 서버(105)에서의 액세스 집중의 정도가 낮은 경우에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는 다운로드 요구를 메모리(1034a)로부터 판독하여 서버(105)에 전송한다(순서 ③).
서버(105)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 내의 메모리(1034b)에 일시적으로 축적된다(순서 ④).
그리고, 무선 회선의 통신량을 감시하고(순서 ⑤), 허용 시간 내이고, 또한 무선 회선의 통신량이 낮은 경우에, 데이터를 메모리(1034b)로부터 판독하여 이동 통신 단말(101)에 전송한다(순서 ⑥).
도 3은 정보 배신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이다.
이하, 도 1∼도 3을 참조하여 정보 배신을 위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음악 배신 등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받는 경우, 우선,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기지국(BS)(102)에 대하여 액세스 요구(요구 파일명, 액세스 목적지, 허용 지연 시간 등)를 출력한다.
그 액세스 요구가 기지국(BS)(102)으로부터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를 거쳐서 인터넷망(IP 망) 상의 콘텐츠 서버(105)에 송신된다.
사용자는 허용 지연 시간(데이터의 요구가 있고 나서 요구된 데이터가 전송되기까지의 사이(서비스를 받기까지의 시간))을, 미리 서비스로서 결정된 최대 지연 시간(예컨대, 3 시간, 12 시간, 24 시간 등) 중에서 선택하거나, 또는, 야간 전송과 같이 여유로운 전송 시각(또는 전송 시간대)을 선택한다.
예컨대, 현재가 밤 8시라고 하자. 그리고, 데이터의 배신을 희망하는 시간대를 심야 1시∼심야 2시로 설정했다고 하자. 이 경우에 허용되는 최대 지연 시간은 밤 8시부터 심야 2시까지의 6시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허용 지연 시간은 허용 시간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량의 분산을 도모하는 것에 따른 인프라 투자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스로 선택한 허용 지연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을 실현함으로써 과금 요금도 포함시켜 서비스 내용으로서의 만족을 얻을 수 있다.
콘텐츠 서버(105)로부터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메뉴 정보가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송신되고,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송신된다.
이 경우, 액세스 빈도가 높을 때 등은 필요에 따라 메뉴 정보가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의 데이터 메모리(205)에서 유지된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표시된 메뉴 정보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싶은 데이터를 선택하면, 데이터 요구가 이동 통신 단말(MS)(101)로부터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송신되고, 리퀘스트 메모리(202)에 저장된다.
이 때, 액세스 판단 회로(201)에는 데이터 요구가 있었던 것이 통지된다.
그 후, 이동 통신 단말(MS)(101)은 기지국(BS)(102)과의 회선을 절단해도 무방하다. 이 회선의 절단은 액세스 판단 회로(20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행해진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요구하고 나서 데이터가 전송되기까지의 사이에 회선을 절단해 두고, 무선 회선의 전송 효율이 좋은 상태에서 단시간동안만 무선 회선을접속하여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다운로드가 단시간에 완료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의 배터리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회선의 전송 효율이 나쁜 상태에서 회선을 계속하는 것은 통신량의 피크를 인상할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로의 간섭을 장시간 부여하는 것으로도 되어 시스템 스루풋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회선을 절단함으로써 이 시스템 스루풋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어서,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정보를 배신받기 전에 콘텐츠 서버(105)에 대하여 배신되는 정보의 데이터량의 확인 요구를 전송한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량의 정보를 데이터량 메모리(203)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미리 다운로드할 데이터의 양을 사전에 확인해 두는 것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MS)(101) 측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 측의 쌍방에서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신되는 정보의 데이터량이 기지이면, 무선 회선이나 유선 네트워크의 혼잡도를 고려하여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을 추측할 수도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다운로드 등의 다량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히 행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메뉴 정보를 취득한 단계에서 배신되는 정보의 데이터량을 취득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그 후 콘텐츠 서버로부터 다시 데이터량의 정보를 취득할 필요는 없다.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에서의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는 이동 통신 단말(MS)(101)과 기지국(BS)(102) 사이의 무선 회선의 통신량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BS)(102)이 무선 회선의 통신량 정보를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에 송신한다.
또,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는 무선 회선에서의 통신량이 적은 상태를 감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회선 빔"이란, 무선 회선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경우도 포함해서 무선 회선이 비교적 비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에서의 판정은, 예컨대, 통신량에 대하여 임계값을 마련해 두고, 그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통신량이 혼잡하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과거의 혼잡도(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상황)의 이력이나, 콘서트 실시 시기나 콘텐츠 시판 시기 등의 사전 정보에 근거하여 혼잡도를 예측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들 과거의 혼잡도의 이력 정보나 사전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액세스 관리 회로(2011)에 저장된다.
이것에 의해, 피크 시의 통신량을 분산시켜 통신량의 시간적인 평활화를 더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최대 시스템 용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지국(BS)(102)으로부터의 통신량 정보의 송신은 정기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해도 무방하고,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가 기지국(BS)(102)에 요구했을 때에 실행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가 "무선 회선 빔"의 정보를 기지국(BS)(102)으로부터 얻었을 때에는,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는 액세스 판단 회로(201)에 무선 회선이 비어 있다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이 제어 신호를 받으면, 리퀘스트 메모리(202)에 저장한 데이터 요구를 콘텐츠 서버(105)에 송신한다. 또한,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접속 호출을 행한다.
또, 콘텐츠 서버(105)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전송한 경우, 그 전송을 사용자가 직접 행한 것으로 간주해도 무방하고, 또한, 그 전송을 대리의 오퍼레이터가 행한 것으로 간주해도 관계없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MS)(101)과 기지국(BS)(102)이 접속되면,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요구한 데이터가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 및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정보가 다운로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량의 감시로부터 데이터의 다운로드까지의 동작의 일례를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이하, ST라 생략함)(401)에서,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에서 무선 통신량이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통신량이 임계값 이하이면, 무선 회선이 빈 상황인 것으로 하여 액세스 판단 회로(201)가 콘텐츠 서버(105)에 데이터를 요구한다(ST 402). 그리고,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액세스한다(ST 403).
그 후,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전송(다운로드)한다(ST 404).
그리고,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205)로부터 소거(클리어)하여 (ST 405) 사용자에 대해서 과금한다(ST 406).
이러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요구가 있었던 시점에서 즉시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는 종래의 서비스에 비교하여 요금을 싸게 하여 과금한다.
예컨대, 비트당이나 접속 시간당 통신 요금이나, 데이터 자체의 다운로드 요금 그 자체를 할인한다.
한편, 무선 통신량이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허용 지연 시간(언제까지 다운로드를 완료하면 좋을지의 희망 시간)의 만료 시점까지 여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407).
허용 지연 시간까지의 여유가 있으면 대기하고(ST 408), 허용 지연 시간까지의 여유가 없으면 콘텐츠 서버에 데이터를 요구한다(ST 402).
허용 지연 시간까지의 여유가 없는 경우는, 구체적으로는, 허용 지연 시간이얼마 남지 않게 된 시점(예컨대, 임계값 판정에 있어서 임계값 이하)에서 혼잡도가 낮게 되지 않는(또는 그 전망이 없는) 경우에는, 혼잡도와는 무관하게 강제적으로 스케줄링하여 네트워크 측 또는/및 통신 단말에 접속해서 요구한 데이터를 강제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전송한다.
이 처리는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로부터의 통신량 정보(무선 회선 통신량, 네트워크 통신량)에 근거하여 액세스 판단 회로(201)가 행한다.
이것에 의해, 허용 지연 시간 내에서의 전송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 전송의 혼잡도에 대한 판단의 오류(허용 지연 시간 내에서의 미전송의 발생)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회선의 통신량은 낮지만, 이동 통신 단말(MS)(101) 측이 사용중인 경우나, 또는, 이동 통신 단말(MS)의 전원이 꺼져 있어 접속 불가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서 배신되는 데이터를 유지하고, 기지국(MS)(101)이 다운로드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 그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액세스를 소정 회수만큼 시도했지만, 결과적으로 액세스 불능이었거나, 또는 데이터 전송을 완료시킬 수 없던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폐기한다.
아직, 배신 대상의 정보가, 예컨대, 젊은이에게 인기 있는 가수의 콘서트에 대한 정보이며,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MS)로부터 빈번히 다운로드 요구가 있다고추정되는 경우, 각 단말에서의 다운로드 요구를 전부 콘텐츠 서버에 보내면 콘텐츠 서버로의 액세스 회수가 방대해지고, 통신량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이 때, 무선 회선 측의 피크 통신량을 아무리 분산시켜도 네트워크 측에서의 전송 용량이 문제가 되어, 각 사용자(각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의 허용 지연 시간 내에서의 정보 배신이 곤란하게 될 위험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 측에서도 설비의 증강이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의 처리 속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모바일 네트워크 측의 처리 속도나 용량을 개선해도 상술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가 콘텐츠 서버(105) 대신에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정보를 배신한다.
즉,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가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정보를 배신한 후에도 데이터 메모리(205)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파기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는 별도의 사용자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대해서도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리는 액세스 판단 회로(201)의 사용자 액세스 관리 회로(2011)에서 행한다.
이와 같이,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배신되는 정보를 유지해 두는 것에 의해 기지국(MS)(101)이 통신 가능한 상태일 때 언제나 이동 통신 단말에 정보를 배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있을 때마다 서비스 측(콘텐츠서버(105))에 송신할 필요가 없어져 네트워크 측으로의 액세스 회수를 감소시켜 통신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측의 회선이 혼잡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정보의 다운로드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량의 감시로부터 데이터의 다운로드까지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에서 무선 통신량이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렇다고 하면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액세스한다(ST 403). 이 동작은 도 4에 기재되는 동작과 같다.
이어서,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이동 통신 단말(MS)(101)과의 회선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T 501).
접속이 가능하면,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데이터를 이동 무선 단말(MS)(101)에 전송(다운로드)한다(ST 502).
그리고, 데이터 전송이 완료됐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503).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어 있으면, 다운로드가 완료된 데이터가 인기가 있는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T 504).
다운로드가 완료된 데이터가 인기가 있는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이면, 다른 이동 통신 단말(MS)로부터의 데이터 요구가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그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서 메모리 내에 계속 유지하고, 사용자에 대해 과금하여 종료한다(ST 511).
한편,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을 계속한다(ST502).
또한, 다운로드한 데이터가 인기가 있는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가 아니면,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205)로부터 소거하고(ST 501), 사용자에 대해 과금하여 종료한다(ST 511).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사용중이거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하여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205)에 유지해 두고(ST 505), 일정 시간 지나 두번째 접속을 시도한다(ST 506).
또한,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액세스수가 많아 접속이 어렵다는 오퍼레이터의 형편으로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운로드의 대상인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205)에 유지해 두고(ST 505), 일정 시간 지나 접속을 다시 시도한다(ST 506).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접속이 가능하면,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전송(다운로드)한다(ST 502).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시도 회수가 소정수(N 회)인지 아닌지 판단한다(ST 507).
그리고, 시도 회수가 소정 회수이면,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다운로드 실패 메일을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송신한다(ST 508).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205)에 저장된 데이터를 폐기한다(ST 509). 시도 회수가 소정 회수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일정 시간 지나 접속을 다시 시도한다(ST 506).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의 피크를 시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순간적인 통신량의 피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통신 인프라를 증강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정보의 배신을 담당하는 오퍼레이터에 있어서는, 통신량의 피크 시에 무리하게 정보를 배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회선이 혼잡하기 때문에 잠시 대기해주십시오"라고 접속을 거부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의 요구가 있으면, 즉시 콘텐츠 서버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갖고 와서 일단 유지한다.
그리고, 무선 회선의 통신량(혼잡도)을 감시하여, 허용 지연 시간 내에서 통신량이 어느 정도 이하가 된 시점에서 이동 통신 단말(MS) 측에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이동 통신 단말(MS)에 대해 정보를 배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회선의 통신량을 감시하여,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요구에 근거하여 데이터 공급원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마련한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서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그리고, 무선 회선의 통신량이 비어 있을 때에, 통신 단말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한다.
도 7은 정보 배신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배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무선 회선의 혼잡도로서 통신량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말한다.
도 7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음악 배신 등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받는 경우, 우선,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기지국(BS)(102)에 대하여 액세스 요구(요구 파일명, 액세스 목적지, 허용 지연 시간 등)를 출력한다. 그 액세스 요구가 기지국(BS)(102)으로부터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를 거쳐서 인터넷망(IP 망)의 콘텐츠 서버(105)에 송신된다.
콘텐츠 서버(105)로부터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메뉴 정보가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송신되고,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송신된다.
이 경우, 액세스 빈도가 높을 때 등은 필요에 따라 메뉴 정보가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의 데이터 메모리(205)에서 유지된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표시된 메뉴 정보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싶은 데이터를 선택하면, 데이터 요구가 이동 통신 단말(MS)(101)로부터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송신된다.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의 메모리 내용 관리 회로(204)는 다운로드가 요구되고 있는 정보가 데이터 메모리(20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대조한다. 동일하면, 콘텐츠 서버(105)에는 액세스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대조의 결과, 동일한 정보가 아닌 것이 밝혀진 경우에는,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즉각 콘텐츠 서버(105)에 대하여 정보의 다운로드를 요구한다.
이 때, 액세스 판단 회로(201)에는 데이터 요구가 있었던 것이 통지된다. 그 후, 이동 통신 단말(MS)(101)은 기지국(BS)(102)과의 회선을 절단한다.
콘텐츠 서버(105)는 데이터 요구를 받은 후에 즉각 데이터를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전송한다.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서는 콘텐츠 서버(105)로부터의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205)에 저장한다.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의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는 이동 통신 단말(MS)(101)과 기지국(BS)(102) 사이의 무선 회선의 통신량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가 기지국(BS)(102)에 대하여 통신량 모니터 요구를 출력한다. 기지국(BS)(102)이 그 통신량 모니터 요구에 따라 통신량 정보를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에 송신한다.
또, 이 기지국(BS)(102)으로부터의 통신량 정보의 송신은 정기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해도 무방하다.
또한,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에서의 판정은, 예컨대, 통신량에 대하여 임계값을 마련해 두고, 그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통신량이 혼재하고 있다고 판정하도록 행한다. 또한, 과거의 통신량 상황(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상황)으로부터 소망하는 시간대에서의 통신량을 예측하여 판정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가 무선 회선 빔이라는 정보를기지국(BS)(102)으로부터 얻었을 때에는,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는 액세스 판단 회로(201)에 무선 회선이 비어 있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이 제어 신호를 받으면 리퀘스트 메모리(202)에 저장한 데이터 요구를 콘텐츠 서버(105)에 송신한다.
또한,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접속 호출을 행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MS)(101)과 기지국(BS)(102)이 접속되면,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요구한 데이터가 콘텐츠 서버(105)로부터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 및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다운로드된다.
실시예 1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동작중인 경우나 접속 불가(전원 차단 등) 등의 경우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유지를 계속해도 무방하다.
또한, 인기 데이터로서, 빈번히 다른 이동 통신 단말(MS)로부터 요구가 있는 데이터(요구 빈도가 높은 또는 높아질 거라고 예상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자로부터 요구가 있을 때마다 서비스 측에 접속하면 네트워크 측의 효율이 나빠지고, 설비도 크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의 데이터 메모리(205)에 계속 유지함으로써 별도의 사용자에 대해서도 대응한다.
이러한 관리는 액세스 판단 회로(201)의 사용자 액세스 관리 회로(2011)에서 행한다.
또한, 무선 통신량의 감시로부터 데이터의 다운로드까지의 동작에 대해서는실시예 1의 도 4 및 도 6의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서버(105)에 대한 직접적인 접속 회수가 감소하므로, 이것에 의한 네트워크 사용 요금의 징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오퍼레이터 측이 대리 접속했을 때에 사용 요금의 징수를 콘텐츠 공급자를 대신하여 실행함으로써 문제는 해결한다.
이것에 의해,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모바일 네트워크(M-NW)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량의 피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순간적인 피크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인프라 증강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이 시스템에서는, 오퍼레이터에 있어서는 통신량의 피크 시에 무리하게 정보를 배신할 필요가 없고, "혼잡하기 때문에 잠시 대기해주십시오"라고 접속을 거부할 필요도 없다.
또한, 순간 피크에 대응하도록 경제 효율이 나쁜 시스템 용량 증가를 위한 인프라 투자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방법을 조합시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의 요구가 있으면, 네트워크 측(모바일망의 유선부, 인터넷망 및 데이터 공급원(콘텐츠 서버))의 혼잡도에 따라 콘텐츠 서버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일단 유지한 후, 무선 회선의 통신량(혼재도)을 감시하고, 허용 지연 시간 내에서 통신량이 어느 정도 이하가 된 시점에서 이동 통신 단말(MS)측에도 자동 접속하여 이동 통신 단말(MS)에 대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혼잡도로서 통신량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무선 회선의 통신량 및 네트워크 측의 통신량을 감시하고, 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요구를 모바일 네트워크 상의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서 저장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측의 통신량이 낮을 때에 다운로드 요구를 데이터의 공급원으로 송신하고, 또한 데이터의 공급원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마련한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서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무선 회선의 통신량이 낮을 때에 이동 통신 단말에 액세스하여 그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한다.
예컨대, 인터넷망 자체는 대용량이기 때문에 통신량의 혼잡에 의한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지만, 콘텐츠 서버에 다수의 액세스가 집중하면 혼잡하여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 측에서 콘텐츠 서버의 혼잡도를 감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측의 혼잡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모바일망이나 인터넷망의 혼잡도뿐만 아니라 콘텐츠 서버의 혼잡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측의 혼잡도란 모바일 네트워크(M-NW) 측으로부터 본 인터넷망의 혼잡도 및 콘텐츠 서버의 혼잡도를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정보 배신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차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배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정보 배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음악 배신 등의 다운로드 서비스를 받는 경우, 우선,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기지국(BS)(102)에 대하여 액세스 요구(요구 파일명, 액세스 목적지, 허용 지연 시간 등)를 내보낸다.
그 액세스 요구가 기지국(BS)(102)으로부터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를 거쳐서 인터넷망(IP 망)의 콘텐츠 서버(105)에 송신된다.
콘텐츠 서버(105)로부터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메뉴 정보가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송신되고,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송신된다.
이 경우, 액세스 빈도가 높을 때 등은 필요에 따라 메뉴 정보가 모바일 시스템 관리 장치(103)의 데이터 메모리(205)에서 유지된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표시된 메뉴 정보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싶은 데이터를 선택하면, 다운로드 요구가 이동 통신 단말(MS)(101)로부터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송신된다.
이 데이터 요구는 리퀘스트 메모리(202)에 저장된다.
여기서,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의 네트워크 통신량 모니터 회로(207)는 인터넷망 또는/및 콘텐츠 서버의 혼잡도(통신량)를 감시한다.
네트워크 통신량 모니터 회로(207)에서의 판정은,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통신량에 대하여 임계값을 마련해 두고, 그 임계값을 넘었을 때에 통신량이 혼재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과거의 통신량 상황으로부터 소정의 시간대에서의 통신량을 예측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네트워크 측의 통신량이 비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의 액세스 판단 회로(201)로부터 다운로드 요구가 콘텐츠 서버(105)에 송신된다.
콘텐츠 서버(105)는 다운로드 요구를 받으면, 즉각 요구가 있었던 정보(데이터)를 정보 배신 관리 장치(103)에 송신한다.
이 데이터는 데이터 메모리(205)에 저장된다.
이어서, 통신량 모니터 회로(1032)의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는 이동 통신 단말(MS)(101)과 기지국(BS)(102) 사이의 무선 회선의 통신량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BS(102)가 무선 회선의 통신량 정보를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에 송신한다.
또, 이 기지국(BS)(102)으로부터의 통신량 정보의 송신은 정기적으로 행하도록 설정해도 무방하고,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가 기지국(BS)(102)에 요구했을 때에 행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가 무선 회선 빔이라는 정보를기지국(BS)(102)으로부터 얻었을 때에는, 무선 통신량 모니터 회로(206)는 액세스 판단 회로(201)에 무선 회선이 비어 있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액세스 판단 회로(201)는, 이 제어 신호를 받으면,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대하여 접속 호출을 행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MS)(101)과 기지국(BS)(102)이 접속되면, 데이터 메모리(205)에 축적되어 있던 데이터가 기지국(BS)(102)을 거쳐서 이동 통신 단말(MS)(101)에 전송된다.
또, 실시예 1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MS)(101)이 동작중 상태인 경우나 접속 불가인 경우(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는 경우)에는 메모리 내에 일시적으로 축적한 정보(데이터)를 계속 유지해도 무방하다.
또한, 무선 통신량의 감시로부터 데이터의 다운로드까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도 4 및 도 6의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회선이나 네트워크 측의 회선이 붐비고 있는 경우에 다운로드할 데이터를 정보 배신 관리 장치에 일시적으로 유지해 둔다.
그리고, 무선 통신량이나 네트워크 통신량의 상황을 감시하여 통신량이 비었을 때에 다운로드 등의 다량의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한다.
액세스 요구나 데이터 요구의 전송의 방법이나, 회선 접속의 방법이나, 데이터의 유지의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무선 회선이나 네트워크 회선이 혼잡해 있는 경우에 다운로드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해 두고, 무선 측이나 네트워크 측의 혼잡 상황을 감시하여 혼잡도가 낮을(예컨대, 통신량이 비었을) 때에 다운로드 등의 다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순간 피크에 대응한 시스템 용량 증가를 위한 인프라 투자를 하는 일 없이 통신량의 혼잡을 회피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1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1-66058에 근거하여 작성되어 있다. 그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서 콘텐츠 서버로부터 휴대 전화 단말에 영상 정보나 음성 정보를 배신하는 정보 배신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모바일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콘텐츠 서버에 다운로드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하는 정보 배신 방법으로서,
    상기 다운로드의 실행이 허용되는 허용 시간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 요구, 또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출력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서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회선의 혼잡도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허용 시간 내에서,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상기 다운로드의 실행에 지장이 없는 레벨이면,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고, 또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배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의 데이터량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출력에 앞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량,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 및 상기 허용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허용 시간 내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의 다운로드가 완료된다고 예측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고, 또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정보 배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과거의 혼잡도의 이력 정보, 또는 사전에 취득되어 있는,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저하된다고 판단되는 시간대 내에서 상기 허용 시간을 설정하는 정보 배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콘텐츠 서버의 혼잡도를 감시하는 단계를 더 갖고,
    상기 유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콘텐츠 서버의 혼잡도가 낮을 때에,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와는 관계없이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고, 또한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일시적으로 축적하며, 그리고,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낮을 때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배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시간 내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무선 회선에 의한 접속을 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폐기하는 정보 배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발생시킨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에도 유지하고,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에 따라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정보 배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요구가 출력되고 나서 그 요구에 대응한 데이터가 배신되기까지의 기간에 상기 무선 회선은 절단되는 정보 배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이 상기 콘텐츠 서버를 향해서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출력한 후, 상기 정보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실제로 전송되기까지의 기간에 상기 무선 회선을 절단하는 정보 배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시간의 만료 시점이 가까워지고, 또한,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낮아지지 않을 때에 상기 정보를 강제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정보 배신 방법.
  10. 상기 무선 회선 또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과거의 혼잡도의 이력 정보, 또는, 사전에 취득된 혼잡도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혼잡도를 예측하고, 예측한 혼잡도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의 상기 정보의 배신의 개시를 결정하는 정보 배신 방법.
  11.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배신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로서,
    상기 다운로드 요구, 또는,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출력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서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축적부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회선의 혼잡도를 감시하는 모니터부와,
    상기 허용 시간 내에서 상기 무선 회선의 혼잡도가 상기 다운로드의 실행에 지장이 없는 레벨이면,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다운로드 요구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고, 또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있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
    를 갖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배신되는 정보의 데이터량을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의 상기 정보의 출력에 앞서 확인하는 데이터량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콘텐츠 서버의 혼잡도를 감시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과거의 혼잡도의 이력 정보, 또는 사전에 취득되어 있는, 상기 무선 회선 또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의 혼잡도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서버 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액세스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정보 배신 관리 장치.
KR1020027014963A 2001-03-09 2002-03-11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 KR200300053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6058 2001-03-09
JP2001066058A JP2002271400A (ja) 2001-03-09 2001-03-09 データ伝送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329A true KR20030005329A (ko) 2003-01-17

Family

ID=1892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963A KR20030005329A (ko) 2001-03-09 2002-03-11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23422A1 (ko)
EP (1) EP1278390A1 (ko)
JP (1) JP2002271400A (ko)
KR (1) KR20030005329A (ko)
CN (1) CN1459208A (ko)
WO (1) WO2002074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6261B1 (en) 2002-01-08 2018-03-07 Seven Networks, LLC Connection architecture for a mobile network
FR2843268B1 (fr) * 2002-07-30 2004-12-17 Cegetel Groupe Equipement et procede de gestion d'informations d'etat pour la transmission de donnees dans un reseau telephonique
US7917468B2 (en) 2005-08-01 2011-03-29 Seven Networks, Inc.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data
US8468126B2 (en) 2005-08-01 2013-06-18 Seven Networks, Inc. Publishing data in an information community
US7853563B2 (en) 2005-08-01 2010-12-14 Seven Networks, Inc. Universal data aggregation
JP4127052B2 (ja) * 2003-01-10 2008-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及びチャネル切替制御方法
FR2856489B1 (fr) * 2003-06-23 2005-08-26 Bouygues Telecom Sa Procede de telechargement de fichiers sur un equipement mobile
WO2005055528A1 (en) * 2003-11-28 2005-06-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and network controller and telecommunications unit for handling data traffic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214481B2 (en) * 2004-02-10 2012-07-03 Seagate Technology Llc Firewall permitting access to network based on accessing party identity
EP1890501B1 (en) * 2004-02-23 2011-05-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ellular communications device for providing non-real time subscription data and related method
US7395051B2 (en) 2004-02-23 2008-07-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for providing non-real time subscription data and related methods
JP4317076B2 (ja) * 2004-04-27 2009-08-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データ配信時刻の変更方法
US7441271B2 (en) 2004-10-20 2008-10-21 Seven Networks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epting eve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567541B2 (en) * 2004-10-20 2009-07-28 Bizhan Karimi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data backup for mobil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8010082B2 (en) 2004-10-20 2011-08-30 Seven Networks, Inc. Flexible billing architecture
US7706781B2 (en) 2004-11-22 2010-04-27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Data security in a mobile e-mail service
FI117152B (fi) 2004-12-03 2006-06-30 Seven Networks Internat Oy Sähköpostiasetusten käyttöönotto matkaviestimelle
US7877703B1 (en) 2005-03-14 2011-01-25 Seven Networks, Inc. Intelligent rendering of information in a limited display environment
US8719399B2 (en) * 2005-04-07 2014-05-06 Opanga Networks, Inc. Adaptive file delivery with link profiling system and method
US8438633B1 (en) 2005-04-21 2013-05-07 Seven Networks, Inc. Flexible real-time inbox access
WO2006136660A1 (en) 2005-06-21 2006-12-28 Seven Networks International Oy Maintain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EP1791366A1 (en) * 2005-11-28 2007-05-30 Alcatel Lucent Avoiding interruptions in the reproduction of audio/video by storing enough data in advance at a mobile terminal
KR20070059612A (ko) * 2005-12-07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계정 서버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US7769395B2 (en) 2006-06-20 2010-08-03 Seven Networks, Inc. Location-based operations and messaging
US20070201502A1 (en) * 2006-02-28 2007-08-30 Maven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behavior of downloaded content
IL174731A0 (en) * 2006-04-03 2007-05-15 Vollee Ltd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data transmission over an airlink
CN1972468B (zh) * 2006-10-26 2010-05-12 Ut斯达康通讯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装置和方法
EP1939759A1 (en) * 2006-12-29 2008-07-02 Vodafone Holding GmbH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mobile device, gateway for providing content and mobile device
US8693494B2 (en) 2007-06-01 2014-04-08 Seven Networks, Inc. Polling
US8805425B2 (en) 2007-06-01 2014-08-12 Seven Networks, Inc. Integrated messaging
US8364181B2 (en) 2007-12-10 2013-01-29 Seven Networks, Inc. Electronic-mail filtering for mobile devices
US9002828B2 (en) 2007-12-13 2015-04-07 Seven Networks, Inc. Predictive content delivery
US8793305B2 (en) 2007-12-13 2014-07-29 Seven Networks, Inc. Content delivery to a mobile device from a content service
US8107921B2 (en) 2008-01-11 2012-01-31 Seven Networks, Inc.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US8862657B2 (en) 2008-01-25 2014-10-14 Seven Networks, Inc. Policy based content service
US20090193338A1 (en) 2008-01-28 2009-07-30 Trevor Fiatal Reducing network and battery consumption during content delivery and playback
WO2009151357A1 (en) * 2008-06-09 2009-12-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of downloading subscription data services
US8787947B2 (en) 2008-06-18 2014-07-22 Seven Networks, Inc. Application discovery on mobile devices
US8078158B2 (en) 2008-06-26 2011-12-13 Seven Networks, Inc. Provisioning applications for a mobile device
GB2463000B (en) * 2008-07-25 2012-11-07 Vodafone Plc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8909759B2 (en) 2008-10-10 2014-12-09 Seven Networks, Inc. Bandwidth measurement
US9183534B2 (en) 2009-06-12 2015-11-10 Apple Inc. Devices with profile-based operating mode controls
WO2011063825A1 (en) 2009-11-24 2011-06-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traffic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335161B2 (en) 2010-02-03 2012-12-18 Bridgewater System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congestion management using radio access network congestion indicators
EP2537387B1 (en) * 2010-02-15 2015-03-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459783B2 (ja) * 2010-03-19 2014-04-02 Kddi株式会社 無線端末
GB201007191D0 (en) * 2010-04-29 2010-06-09 British Broadcasting Corp Content provision system
US20120023226A1 (en) * 2010-07-26 2012-01-26 Steve Petersen Prediction of activity session for mobile network use optimization and user experience enhancement
CA2806527A1 (en) 2010-07-26 2012-02-09 Seven Networks, In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US8886176B2 (en) 2010-07-26 2014-11-11 Seven Networks, Inc. Mobil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GB2495877B (en) 2010-07-26 2013-10-02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implementation of dynamic wireless traffic policy
US8838783B2 (en) 2010-07-26 2014-09-16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for resource and mobile network traffic management
WO2012061437A1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Cache defeat detection and caching of content addressed by identifiers intended to defeat cache
US8326985B2 (en) 2010-11-01 2012-12-04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management of keep-alive message signaling for mobile network resource conservation and optimization
US9330196B2 (en) 2010-11-01 2016-05-03 Seven Networks, Llc Wireless traffic management system cache optimization using http headers
US8843153B2 (en) 2010-11-01 2014-09-23 Seven Networks, Inc. Mobile traffic categorization and policy for network use optimization while preserving user experience
US9060032B2 (en) 2010-11-01 2015-06-16 Seven Networks, Inc. Selective data compression by a distributed traffic management system to reduce mobile data traffic and signaling traffic
WO2012060997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Application and network-based long poll request detection and cacheability assessment therefor
US8903954B2 (en) 2010-11-22 2014-12-02 Seven Networks, Inc. Optimization of resource polling intervals to satisfy mobile device requests
US8484314B2 (en) 2010-11-01 2013-07-09 Seven Networks, Inc.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CN103620576B (zh) 2010-11-01 2016-11-09 七网络公司 适用于移动应用程序行为和网络条件的缓存
WO2012060995A2 (en) 2010-11-01 2012-05-10 Michael Luna Distributed caching in a wireless network of content delivered for a mobile application over a long-held request
CA2798523C (en) 2010-11-22 2015-02-24 Seven Networks, Inc. Aligning data transfer to optimize connections established for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network
EP2661697B1 (en) 2011-01-07 2018-11-21 Seven Net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mobile network traffic used for domain name system (dns) queries
US20120230178A1 (en) * 2011-03-11 2012-09-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ursty network entry and re-entry in machine to machine networks
GB2517815A (en) 2011-04-19 2015-03-04 Seven Networks Inc Shared resource and virtual resource management in a networked environment
WO2012149434A2 (en) 2011-04-27 2012-11-01 Seven Networks, Inc. Detecting and preserving state for satisfying application requests in a distributed proxy and cache system
GB2504037B (en) 2011-04-27 2014-12-24 Seven Networks Inc Mobile device which offloads requests made by a mobile application to a remote entity for conservation of mobile device and network resources
EP2737742A4 (en) 2011-07-27 2015-01-28 Seven Networks Inc AUTOMATI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UIDELINES INFORMATION ON MOBILE MOBILE TRANSPORT IN A WIRELESS NETWORK
EP2789137A4 (en) 2011-12-06 2015-12-02 Seven Networks Inc SYSTEM OF REDUNDANTLY CLUSTERED MACHINES FOR PROVIDING TILTING MECHANISMS IN MOBILE TRAFFIC MANAGEMENT AND NETWORK RESOURCE PRESERVATION
US8934414B2 (en) 2011-12-06 2015-01-13 Seven Networks, Inc. Cellular or WiFi mobile traffic optimization based on public or private network destination
WO2013086455A1 (en) 2011-12-07 2013-06-13 Seven Networks, Inc. Flexible and dynamic integration schemas of a traffic management system with various network operators for network traffic alleviation
US9277443B2 (en) 2011-12-07 2016-03-01 Seven Networks, Llc Radio-awareness of mobile device for sending server-side control signals using a wireless network optimized transport protocol
US8861354B2 (en) 2011-12-14 2014-10-14 Seven Networks, Inc. Hierarchies and categories for management and deployment of policies for distributed wireless traffic optimization
EP2792188B1 (en) 2011-12-14 2019-03-20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reporting and usage analytics system and method using aggregation of data in a distributed traffic optimization system
WO2013090834A1 (en) 2011-12-14 2013-06-20 Seven Networks, Inc. Operation modes for mobile traffic optimization and concurrent management of optimized and non-optimized traffic
CN103200428B (zh) * 2012-01-04 2016-01-20 中国移动通信集团四川有限公司 一种业务预推送方法和装置
WO2013103988A1 (en) 2012-01-05 2013-07-11 Seven Networks, Inc. Detection and management of user interactions with foreground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in distributed caching
WO2013116856A1 (en) 2012-02-02 2013-08-08 Seven Networks, Inc. Dynamic categorization of applications for network access in a mobile network
WO2013116852A1 (en) 2012-02-03 2013-08-08 Seven Networks, Inc. User as an end point for profiling and optimizing the delivery of content and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8812695B2 (en) 2012-04-09 2014-08-19 Seven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virtual network connection without heartbeat messages
US10263899B2 (en) 2012-04-10 2019-04-16 Seven Networks, Llc Enhanced customer service for mobile carriers using real-time and historical mobile application and traffic or optimization data associated with mobile devices in a mobile network
WO2013165284A1 (en) * 2012-05-03 2013-11-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for scheduling delivery of data
US20140013450A1 (en) * 2012-07-03 2014-01-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 download session
WO2014011216A1 (en) 2012-07-13 2014-01-16 Seven Networks, Inc.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for browsing or streaming activity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prediction of user behavior when interacting with mobile applications
US20140024336A1 (en) * 2012-07-20 2014-01-23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moothing traffic level peaks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US9380125B2 (en) * 2012-09-11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control of application data to a mobile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161258B2 (en) 2012-10-24 2015-10-13 Seven Networks, Llc Optimized and selective management of policy deployment to mobile clients in a congested network to prevent further aggravation of network congestion
US9307493B2 (en) 2012-12-20 2016-04-05 Seven Net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 management of mobile device radio state promotion and demotion
US9271238B2 (en) 2013-01-23 2016-02-23 Seven Networks, Llc Application or context aware fast dormancy
US8874761B2 (en) 2013-01-25 2014-10-28 Seven Networks, Inc. Signaling optim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traffic utilizing proprietary and non-proprietary protocols
US9326185B2 (en) 2013-03-11 2016-04-26 Seven Networks, Llc Mobile network congestion recognition for optimization of mobile traffic
CN103415043B (zh) * 2013-07-15 2016-02-03 阔地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系统
US9065765B2 (en) 2013-07-22 2015-06-23 Seven Networks, Inc. Proxy server associated with a mobile carrier for enhancing mobile traffic management in a mobile network
EP3796594B1 (en) * 2013-12-13 2022-12-14 Apple Inc. Integrated touch and display architectures for self-capacitive touch sensors
JP6459222B2 (ja) * 2014-02-24 2019-01-30 株式会社リコー 画面共有システム、画面共有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5136712A1 (ja) * 2014-03-14 2015-09-17 オムロン株式会社 経路伝送頻度出力装置
US10212722B2 (en) * 2014-06-27 2019-0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olume-deadline scheduling
EP3508959A1 (en) 2015-02-02 2019-07-10 Apple Inc. Flexible self-capacitance and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system architecture
CN104883324A (zh) * 2015-05-28 2015-09-02 北京交通大学 一种网络流量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EP3301885A1 (en) * 2016-10-03 2018-04-04 Gemalto Sa Method, data sending control server, storage server, processing server and system for sending data to at least one device
CN111937350B (zh) 2018-06-27 2022-12-16 苹果公司 用于分发网格的调谐拓扑
US10769565B2 (en) 2018-10-12 2020-09-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network device reporting
US11662867B1 (en) 2020-05-30 2023-05-30 Apple Inc. Hover detection on a touch sensor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760A (ja) * 1994-05-13 1995-11-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網
JPH0946753A (ja) * 1995-08-01 1997-02-14 Toshiba Corp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装置
FR2754123B1 (fr) * 1996-10-01 1999-01-08 Alsthom Cge Alcatel Systeme de gestion de trafic et de controle d'encombrement pour reseaux a base de paquets
US5999526A (en) * 1996-11-26 1999-12-0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from an information provider using the public switched network
JP2000138966A (ja) * 1998-10-29 2000-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新聞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US7633945B1 (en) * 1999-02-09 2009-12-1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method of data reception an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JP2000295170A (ja) * 1999-04-09 2000-10-20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配信装置
US6850489B1 (en) * 1999-04-28 2005-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multiple access control method is applied
US7042905B1 (en) * 1999-05-04 2006-05-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1203779A (ja) * 2000-01-21 2001-07-27 Nec Mobile Commun Ltd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着信音鳴動方法
JP3456189B2 (ja) * 2000-03-31 2003-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4001A1 (fr) 2002-09-19
US20030123422A1 (en) 2003-07-03
CN1459208A (zh) 2003-11-26
JP2002271400A (ja) 2002-09-20
EP1278390A1 (en)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5329A (ko) 정보 배신 방법 및 정보 배신 관리 장치
US9565589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terminal apparatus, server apparatus, data recept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94564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capacity on wireless networks
EP09532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ering subscribers access to unused communications capacity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EP159535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utilization of core based nodes for state transfer
US7277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usage of data link resources
US70504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capacity on wireless networks
JP5415625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トラフィック制御
KR20050110672A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연기 가능한 데이터 서비스들을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594875B (zh) 内容分发的方法、装置及接入网设备
US74903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processor pool resources for handling mobile data connections
JP2011250223A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ゲートウェイ装置におけるパケットバッファ管理方法
EP1287713B1 (en) Method and devices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20140084344A (ko) 키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368802A (ja) データ転送規制装置及びデータ転送規制方法
JP3628573B2 (ja) Phs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配信方法、phsシステム、及びphs端末
EP1067739B1 (en) Mobile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subscription based quality of service
JP3555564B2 (ja) 通信システム
EP1733514A1 (en) Method, network controller and telecommunications unit for handling data traffic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20087281A (ko) 무선 패킷데이터망에서의 패킷데이터 서빙노드부하분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