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604A - Electronic image displayer - Google Patents

Electronic image dis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604A
KR20030003604A KR1020010039530A KR20010039530A KR20030003604A KR 20030003604 A KR20030003604 A KR 20030003604A KR 1020010039530 A KR1020010039530 A KR 1020010039530A KR 20010039530 A KR20010039530 A KR 20010039530A KR 20030003604 A KR20030003604 A KR 2003000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unit
display
external memory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팀
Priority to KR102001003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3604A/en
Publication of KR2003000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60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6Digital pictur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onic album is provided to display a plurality of image files in diverse methods, to offer easy appreciation, and to download or upload the image fil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STITUTION: A display part(36) displays the image file. A display housing surrounds the display part(36). A communication interface(35) transmits/receives the image file with an external device. A memory(34) stores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35). A key input part(32) receives user's input by installing to one side of the display housing. A controller(31) browses the image file based on the user's input from the key input part(32). A supporter supports the display housing.

Description

전자앨범장치{Electronic image displayer}Electronic album device {Electronic image displayer}

본 발명은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앨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album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file.

데이터 압축기술, 통신기술 등이 발전하게 되자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이미지파일의 전송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날로 늘어나고 있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PC의 하드 드라이브로 옮겨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data compress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developed, transmission of digital image files through the Internet is frequently performed. In addition, the spread of digital cameras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digital image data obtained by the digital camera can be transferred to the PC hard drive and displayed on the monitor.

그러나 PC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거나 게임을 즐기거나 오피스 작업 등을 행하는데 주로 이용되므로 이미지파일을 항상 디스플레이시킬 수 없다. 즉,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하던 작업을 중지해야 한다. 또한, 데스크탑은 물론이며, 노트북 또한 휴대하기 번거롭다. 휴대에 편리한 사이즈의 노트북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사이즈가 작을수록 그 값이 비싸서 단순히 이미지파일을 저장하였다가 디스플레이하는 용도만으로 사용하기는 적절치 않다.However, PCs are often used to access the Internet, search for information, play games, or perform office tasks, so that image files cannot always be displayed. In other words, to display an image file, you must stop the work you were doing. In addition to desktops, laptops are also cumbersome to carry. Portable notebooks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but the smaller they are, the more expensive they are, so they are not suitable for simply storing and displaying image files.

한편, 가족사진 등 자신이 좋아하는 사진을 액자에 끼워서 전시할 수 있는 탁상용 사진액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탁상용 사진액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사진만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진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 끼워진 사진을 새로운 사진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desktop photo frames that can display their favorite pictures, such as family photos in a frame is widely used. However, desktop picture frames can generally only show one picture. Therefore, if you want to see another picture, there is a nee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picture with a new pictur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에 간편하면서도 복수개의 이미지파일을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감상이 용이하도록 세워놓을 수 있는 전자앨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album device that is portable and can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in a variety of ways, and can be placed to facilitate viewing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업로드할 수 있는 전자앨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album device capable of downloading or uploading an image fil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앨범장치의 외관도,1A, 1B and 1C are external views of an electronic album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a 및 1b의 전자앨범장치의 기능블럭도,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album device of FIGS. 1A and 1B;

도 3 내지 도 9는 전자앨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3 to 9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album device;

도 10a 내지 10i는 슬라이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0A to 10I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liding metho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받침대2: 본체1: base 2: main body

3: 디스플레이 하우징11: 선택키3: display housing 11: selection key

12,13: 방향키14: 취소키12,13: arrow keys 14: cancel key

15: 전원키16: 삽입구15: power key 16: insertion hole

17: 받침부18: 결합부17: base portion 18: coupling por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외부장치와 이미지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file; A display housing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files with the external device;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 key input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housing to receive a user input;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browsing of the image file based on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it is achieved by the electronic albu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isplay housing.

상기 전자앨범장치는 외부 메모리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외부 메모리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메모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 슬롯에 장착되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nic album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memory slot in which an external memory is detachably mounted, and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external memory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housing, and the controller receives the us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o browse an image fil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external memory slot based on the input.

상기 지지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support portion, the support portion seated on the ground; An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support part to the display housing such that the display part rotates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 virtual reference line existing on the display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메모리부, 외부 메모리 슬롯,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a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call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perform the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a menu selec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It is effectiv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상기 메뉴화면은 절전모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 메뉴가 선택되면 소정 시간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메뉴화면은 슬립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자동동작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부 또는 외부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파일을 소정 순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The menu screen includes a power saving mode menu,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mage no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ower saving mode menu is selected, or the menu screen includes a sleep menu, and the control unit At least one image fil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memory unit or an external memory slot during the automatic operation ti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order.

상기 자동동작시간은 상기 메뉴화면에 대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다.The automatic operation time is set by a user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for the menu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 또는 외부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파일을 소정 순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소정 이미지파일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미지 보호기능의 설정여부를 확인하여 이미지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메모리부 또는 상기 외부 메모리 슬롯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로부터 대상 이미지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t least one image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or an external memory mounted in an external memory slot in the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order, or a user input for instructing to delete the predetermined image file through the key input uni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delete the target image file from the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memory unit or the external memory slot only when the image protection function is set by checking whether the image protection function is s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앨범장치의 외관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본체(2)가 지지부인 받침대(1)에 안착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체(2)가 받침대(1)로부터 이격지지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c는 본체(2)가 지지부인 받침대(1)에 안착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의 배면 사시도이다.1A, 1B, and 1C are external views of an electronic album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 is folded so as to be seated on a pedestal 1 serving as a support,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 is spaced apart from the pedestal 1. 1c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2 in a folded state so as to be seated on a pedestal 1 serving as a support part.

도 1a, 1b 및 1c를 참조하면, 본체(2)는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부(36)를 둘러싼 디스플레이 하우징(3)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의 일측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키입력부(32)로서 복수개의 기능키가 마련되어 있다. 키는 선택키(11), 방향키(12,13), 취소키(14), 및 전원키(15)를 포함한다. 선택키(11)는 메뉴화면을 호출하고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방향키(12,13)는 디스플레이부(36)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취소키(14)는 현재모드로부터 직전의 모드로 되돌아갈 때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3)의 타측에는 스마트카드와 같은 외부 메모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6)는 본 실시예에 따라 TFT LCD로 구현되나 기타 PDP, 등 다른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1A, 1B and 1C, the main body 2 includes a display housing 3 surrounding a rectangular display portion 36. One side of the display housing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s a key input unit 32 for receiving a user input. The key includes a selection key 11, direction keys 12 and 13, a cancel key 14, and a power key 15. The select key 11 is used to call a menu screen and to select a menu.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re used to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36. The cancel key 14 is used to return to the mode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 mode.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housing 3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opening 16 into which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smart card can be inserted. Here, the display unit 36 is implemented as a TFT LC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implemented as other display devices such as other PDPs.

받침대(1)는 디스플레이부(36)에 표시된 이미지파일의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본체(2)가 책상 등에 세워지도록 본체(2)를 지지한다. 나아가, 본체(2)를 세우지 않을 경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혀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받침대(1)는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1a) 및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되도록 받침부(17)와 디스플레이 하우징(3)을 힌지결합시키는 결합부(18)를 구비한다. 여기서 결합부(18)의 결합방식은 힌지결합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edestal 1 supports the main body 2 so that the main body 2 stands on a desk or the like so that the image fi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6 can be easily viewed. Furthermore, when the main body 2 is not erected, it has a structure that is folded for easy carrying and storage. To this end, the pedestal 1 hinges the support 17 and the display housing 3 so as to rotat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base 1a mounted on the ground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existing on the display screen. It has a coupling portion 18 for coupling. Here, th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unit 18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besides the hinge coupling.

도 2는 도 1a, 1b 및 1c의 전자앨범장치의 기능블럭도이다.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album apparatus of FIGS. 1A, 1B and 1C.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앨범장치는 제어부(31), 키입력부(32), 외부 메모리 슬롯(33), 메모리부(34), 통신인터페이스부(35), 및 스피커부(3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nic album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31, a key input unit 32, an external memory slot 33, a memory unit 34,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5, and a speaker unit 37.

키입력부(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능키(11,12,13,14)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31)로 전달한다. 외부 메모리 슬롯(33)에는 전술한 삽입구(16)를 통해 입력된 외부 메모리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스마트카드, 등 다양한 방식의 외부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이미지파일이 저장된 스마트카드를 장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ey input unit 32 receives a user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function keys 11, 12, 13, and 14 and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control unit 31. The external memory slot 33 is mounted to be detachable from the external memory input through the aforementioned insertion hole 16. Various types of external memory, such as a smart card, can be installed. In particular, a smart card in which an image file obtained through a digital camera is stored may be mounted and displayed.

디스플레이 하우징(3)으로 둘러싸인 본체(2)는 제어부(31), 메모리부(34), 통신인터페이스부(35), 및 스피커부(37)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2 surrounded by the display housing 3 includes a control unit 31, a memory unit 34,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5, and a speaker unit 37.

통신인터페이스부(35)는 PC 등 외부장치와 이미지파일을 송수신한다. PC를 통해 인터넷 등 통신망에 접속하여 특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파일을 다시 통신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신인터페이스부(35)가 직접 인터넷 등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함에 따라 PC를 통하지 않고 직접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소정 이미지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인터페이스부(35)는 모뎀을 포함하고, 제어부(31)는 인터넷 접속가능한 웹브라우저를 탑재함으로써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PC 또는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다운로드 및 업로드를 위한 통신프로토콜은 그 통신망, 이미지파일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5 transmits and receives an image fil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via a PC to receive an image file from a specific server system and to receive the received image fil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5 again. 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5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directly connect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receive a predetermined image file directly from the server system without going through a PC.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5 includes a modem, and the control unit 31 can connect to the Internet by mounting a web browser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Internet. Similarly, image files can be uploaded via a PC or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protocol for downloading and uploading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file, and the like.

제어부(31)는 통신인터페이스부(35)로부터 수신된 이미지파일을메모리부(34)에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31)는 필요한 경우 수신된 이미지파일을 소정 방식으로 재인코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파일에 사운드가 첨부된 경우 저장 또는 재생시 필요한 DSP(Digital Sigal Processing)을 수행하여 사운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가 각각 스피커부(37) 및 디스플레이부(36)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1)는 키입력부(32)를 통한 호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36)에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키입력부(32)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모리부(34) 또는 외부 메모리 슬롯(33)에 장착되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브라우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또는 디폴트로 선택된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파일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36)에 표시한다. 또한, 소정 이미지파일에 보호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한다. 또한, 소정 시간 동안 이미지파일이 표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36)를 오프하거나 소정 시간 동안만 디스플레이부(36)에 이미지파일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부(34) 또는 외부 메모리 슬롯(33)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로부터 소정 이미지파일을 삭제한다.The controller 31 stores the image fil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5 in the memory 34.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1 may re-encode and store the received image file in a predetermined manner if necessary. Furthermore, when sound is attached to the image file, DSP (Digital Sigal Processing) required for storing or reproducing is performed so that the sound data and the image data are output to the speaker unit 37 and the display unit 3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 displays a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36 in response to a call through the key input unit 32, and based on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32, the memory unit 34 or an external device.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memory slot 33 is browsed. More specifically, at least one image file is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6 in the order selected by the user or by default. In addition, the protection function is set or released on the predetermined image fil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6 is turned off so that the image file is not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image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6 only for the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predetermined image file is deleted from the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memory unit 34 or the external memory slot 33.

스피커부(3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알람시간이 설정된 경우 알람시간을 알리는 사운드를 송출한다. 또한, 이미지파일에 사운드가 첨부된 경우 사운드를 송출한다.As described later, the speaker unit 37 transmits a sound informing the alarm time when the alarm time is set. Also, if a sound is attached to the image file, the sound is transmitted.

일 예로, 메모리부(34)는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DRAM으로, 통신인터페이스부(35)는 PC에 접속가능한 USB 통신인터페이스부로, 제어부(31)는 Strong ARM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mory unit 34 may be a flash memory and / or DRA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5 may be a USB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nnectable to a PC, and the control unit 31 may be implemented as a Strong ARM processor.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전자앨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album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전원 제어방법을 설명한다.First, the power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전자앨범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어부(31)는 초기화를 마치고 오프상태로 된다. 이때 사용자가 전원키(15)를 누르면 메모리부(34)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파일들이 지정된 순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최초로 전원이 인가될 경우 제조업자에 의해 디폴트로 저장된 2개 이미지파일이 표시된다. 한편, 전원키(15)를 수 초(본 실시예에서는 2초로 설정)동안 누르고 있으면 전원이 오프되면 절전모드로 전환된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album device, the control unit 31 is turned off after the initialization. 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key 15, the image files stored in the memory unit 34 or the external memor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n the specified order. When the power is first applied, two image files stored by default by the manufacturer are displayed. On the other hand, if the power key 15 is pressed for a few seconds (set to 2 seconds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is turned off to switch to the power saving mode.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다만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설명순서는 메뉴화면이 호출된 다음 키입력부(32)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다.Next, the user interface through the display scree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description order of the user interface follows the user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32 after the menu screen is called.

<메뉴화면 호출><Menu Screen Call>

디스플레이부(36)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배경화면으로 지정된 이미지파일이 표시되어 있고, 선택키(11)를 누르면 도 3과 같이 다양한 메뉴 아이콘이 배치된 메뉴화면이 표시되며 소정 메뉴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된다. 메뉴 아이콘은 모두 6개로 구성이 되며 기능은 아래와 같다. 다만 메뉴 아이콘의 개수, 표시순서, 및 표시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n image file designated as a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36. When the selection key 11 is pressed, a menu screen on which various menu icons are arranged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 and a curso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menu icon. . The menu icons are composed of all 6 functions. However, the number of menu icons, the display order, and the display method may be variously changed.

1.브라우징 아이콘(Browse Menu): 이미지파일의 검색, 보호, 삭제 등 브라우징 기능1.Browse icon: browsing function such as searching, protecting, and deleting image files

2.슬라이드 아이콘(Set Slide):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파일의 순서와 디스플레이 화면의 표시방법 설정기능2.Set Slide: Set the order of the image file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screen.

3.다운로드 아이콘(DownLoad) : 통신인터페이스부(35)를 통해 연결된 PC로부터/로 이미지파일의 다운로드/업로드 기능3.Download icon (DownLoad): Download / upload function of image file to / from PC connected via communication interface 35

4.슬립 아이콘(Set Sleep): 자동으로 동작되는 시간 설정기능4.Sleep icon (Set Sleep): Automatic time setting function

5.알람 아이콘(Set Alarm): 알람 설정기능5.Set icon: set alarm

6.시간 아이콘(Set Time): 시간 설정기능6.Set icon: set time

<브라우징 아이콘><Browsing icon>

사용자가 메뉴화면에서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커서를 브라우징 아이콘 위에 위치시킨 다음 선택키(11)를 누르면 메뉴화면이 사라지고 검색모드로 변환된다. 도 4a와 같이, 검색모드에서 방향키(12,13)를 누르면 이미지파일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어부(31)는 대상 이미지파일에 보호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보호기능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on the browsing icon using the arrow keys 12 and 13 on the menu screen and then presses the selection key 11, the menu screen disappears an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search mode. As shown in FIG. 4A, when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re pressed in the search mode, the image file can be search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1 checks whether the protection function is set in the target image file, and if the protection function is set, displays it on the display screen.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중 다시 선택키(11)를 누르면 제어부(31)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파일에 보호기능을 설정하거나 이를 삭제할 수 있는 보조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원하는 메뉴 위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선택키(11)를 누르면 제어부(31)는 대상 이미지파일에 대한 보호기능을 설정하거나 대상 이미지파일을 삭제한다. 보조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취소키(14)를 누르면 검색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현재 표시된 이미지파일에 보호기능이 설정된 상태라면 제어부(31)는 보조 메뉴화면에 보호기능의 해제를위한 메뉴만을 표시한다.As shown in FIG. 4B, when the select key 11 is pressed again during the search, the controller 31 displays a sub menu screen for setting or deleting a protection function on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file. When the cursor is moved over the desired menu using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nd the selection key 11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sets a protection function for the target image file or deletes the target image file. Pressing the cancel key 14 while the sub menu screen is displayed may return to the search mode. In addition, if the protection function is set in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file, the control unit 31 displays only a menu for releasing the protection function on the auxiliary menu screen.

<슬라이드 아이콘><Slide icon>

도 5를 참조하여, 화면 51과 같이, 사용자가 메뉴화면에서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커서를 슬라이드 아이콘 위에 위치시킨 다음 선택키(11)를 누르면 화면 52와 같이 처음 표시되었던 메뉴화면이 바뀌어 다른 메뉴화면과 함께 커서가 나타난다. 사용자는 방향키(12,13)로 커서를 이동시키며 선택키(11)로 원하는 메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새롭게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5, as shown in screen 51, 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on the slide icon using the arrow keys 12 and 13 on the menu screen and then presses the select key 11, the menu screen initially displayed as shown in screen 52 is displayed. The cursor changes together with other menu screens. The user moves the cursor with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nd selects a desired menu icon with the selection key 11. The newly displayed menu icons are as follows.

2-1. 절전모드 아이콘(Econo Mode:(ON/OFF)): 슬라이드 기능과 함께 전원절약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선택키(11)를 누르면 ON/OFF가 번갈아가며 표시된다. 제어부(31)는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지정된 시간 동안 표시한 후 다음 이미지파일이 표시될 때까지 소정 시간(본 실시예에서는 30초)동안 디스플레이부(36)를 오프시키고 절전모드로 대기한다. 한편, 제어부(31)는 메모리부(34)에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파일을 임의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36)에 표시한다.2-1. Power saving mode icon (Econo Mode: (ON / OFF)): Performs a power saving function simultaneously with a slide function. If you press the select key (11) while the cursor is located, it is displayed alternately ON / OFF. The control unit 31 turns off the display unit 36 for a predetermined time (30 seconds in this embodiment) until the next image file is displayed after the image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for a designated time and waits in the power saving mode. Meanwhile,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plurality of image files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34 on the display 36 in an arbitrary manner.

2-2. 지속시간 아이콘(Duration:(3/5/10/15/30분)):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선택키(11)를 누르면 3->5->10->15->30->3-> 의 순서로 선택된다. 한 개의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지속되는 시간을 선택할 때 사용된다.2-2. Duration icon (Duration: (3/5/10/15/30 minutes)): Press the Select key (11) while the cursor is positioned to select 3-> 5-> 10-> 15-> 30-> 3-> Are selected in order. This is used to select how long an image file lasts on the display screen.

2-3. 1/12. 2/12. 3/12: 전체 이미지파일의 갯수(/뒤 숫자)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순서(/앞 숫자)를 의미한다.2-3. 1/12. 2/12. 3/12: The total number of image files (/ after the number) and the order in which the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 before the number).

2-4. 표시순서 변경: 화면 54와 같이 커서가 위치된 상태에서 선택키(11)를누르면 제어부(31)는 화면 55와 같이 커서 위에 <>를 표시하여 순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원하는 순서를 선택한 후 선택키(11)를 다시 누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대로 표시순서가 설정되며, 취소키(14)를 누르면 이전의 설정으로 복구된다.2-4. Changing the display order: If the selection key 11 is pressed while the cursor is positioned as shown in screen 54, the controller 31 displays <> on the cursor as shown in screen 55 to select an order.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order using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nd then presses the selection key 11 again to set the display order as selected by the user, and pressing the cancel key 14 restores the previous setting.

<다운로드 아이콘><Download icon>

도 6을 참조하면,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화면 61과 같이 커서를 다운로드 아이콘 위에 위치시킨 다음 선택키(11)를 누르면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화면 62와 같이 변경시킨다. 또한, 통신인터페이스부(35)는 PC와의 이미지파일의 송수신을 준비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35)가 PC와 연결되면 제어부(31)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오프시키고 통신인터페이스부(35)가 PC와 연결해제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다시 온시켜 이미지파일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the download icon using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nd then the selection key 11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changes the display screen to the screen 62.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5 prepare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image file with a PC. Whe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5 is connected to the PC, the control unit 31 turns off the display screen, and whe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5 is disconnected from the PC, turns on the display screen to display the image file.

<슬립 아이콘><Sleep ic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화면 71과 같이 커서를 슬립 아이콘 위에 위치시킨 다음 선택키(11)를 누르면 메뉴화면이 화면 72와 같이 변경되고 커서가 나타난다. 새로운 메뉴화면에는 전자앨범장치가 온되는 시간부터 오프되는 시간, 즉 자동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이 때, 온시간과 오프시간이 동일하게 설정되면 슬립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on the sleep icon as shown in screen 71 by using the arrow keys 12 and 13 and then presses the select key 11, the menu screen changes as shown in screen 72 and the cursor appears. On the new menu screen, a menu for setting an off time, that is, an automatic operation time, from an on time of the electronic album apparatus is displayed. At this time, if the on time and the off time are set to be the same, the sleep function does not operate.

사용자는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시간표시방법을 선택하고 선택키(11)를 누르면 변경모드로 바뀐다. 변경모드에서 다시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설정을 선택한 다음 선택키(11)를 눌러 시간설정을 완료한다. 모든 설정을 완료한 이후에는 취소키(14)를 눌러서 완료된 설정을 취소할 수 없으며,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설정을 해야한다.The user selects the time display method using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nd presses the selection key 11 to change to the change mode. In the change mode, select the desired time setting using the direction keys 12 and 13 again, and then press the select key 11 to complete the time setting. After all settings are completed, the completed setting cannot be canceled by pressing the cancel key 14, and a new setting must be made if the setting is to be changed.

<알람 아이콘><Alarm icon>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화면 81과 같이 커서를 알람 이콘 위에 위치시킨 다음 선택키(11)를 누르면 화면 82와 같이 설정메뉴가 화면에 표시되며 커서가 나타난다. 알람 설정의 온/오프는 커서가 위치된 상태에서 선택키(11)를 누를 때마다 바뀐다. 알람시간의 설정은 슬립 아이콘을 통한 시간 설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on the alarm icon as shown in screen 81 by using the arrow keys 12 and 13 and presses the select key 11, the setting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screen 82 and the cursor appears. . The on / off setting of the alarm changes each time the select key 11 is pressed while the cursor is positioned. The alarm time is set in the same way as the time setting via the sleep icon.

<시간 아이콘><Time icon>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화면 91과 같이 커서를 시간 아이콘 위에 위치시킨 다음 선택키(11)를 누르면 화면 92와 같이 시간 설정모드로 변경된다. 시간 설정모드에서는 년/월/일/시간/분10단위/분1단위/APM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키(11)를 눌러 변경모드로 들어간 뒤 방향키(12,13)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고 다시 선택키(11)를 눌러 설정을 완료하는 방법에 의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on the time icon as shown in screen 91 by using the arrow keys 12 and 13, and then presses the select key 11, the user changes to the time setting mode as shown in screen 92. In the time setting mode, you can select year / month / day / hour / minute 10 units / minute 1 unit / APM. Press the select key 11 to enter the change mode, select the desired time using the direction keys (12, 13) and press the select key 11 again to complete the setting.

<슬라이드 방식><Slide method>

제어부(31)는 메모리부(34) 또는 외부 메모리 슬롯(33)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파일을 독출하여 소정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에 있어서 일 이미지파일로부터 다른 이미지파일로의 슬라이드는 다음과 같은 표시방법에 따른다.The control unit 31 reads out at least one image file from the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memory unit 34 or the external memory slot 33 and displays it in the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order. The slide follows the display method as follows.

도 10a은 스크롤 레프트(Scroll Left)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왼쪽으로 스크롤됨을 알 수 있다.10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by using a scroll left method. Referring to FIG. 10A, it can be seen that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scrolled to the left.

도 10b는 스크롤 라이트(Scroll Right)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오른쪽으로 스크롤된다.10B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in a scroll right manner. Referring to FIG. 10B,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scrolled to the right.

도 10c는 스크롤 다운(Scroll Down)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아래로 스크롤된다.10C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by using a scroll down method. Referring to FIG. 10C,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scrolled down.

도 10d는 스크롤 업(Scroll Up)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위로 스크롤된다.FIG. 10D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in a scroll up manner. Referring to FIG. 10D,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scrolled up.

도 10e는 버티컬 와이프 아웃(Vertical Wipe Out)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 수직방향으로 중앙에서부터 좌우로 펼쳐지면서 표시된다.10E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in a vertical wipe out method. Referring to FIG. 10B,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displayed while being unfolded from the center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도 10f는 버티컬 와이프 인(Vertical Wipe In)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f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좌우에서부터 중앙으로 펼쳐지면서 표시된다.10F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by a vertical wipe in method. Referring to FIG. 10F,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displayed while being unfolded from left to 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도 10g는 호리젠털 와이프 아웃(Horizontal Wipe Out)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10g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중앙에서부터 위아래로 펼쳐지면서 표시된다.FIG. 10G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in a horizontal wipe out method. Referring to FIG. 10G,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displayed while being unfolded from the center up an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도 10h는 호리젠털 와이프 인(Horizontal Wipe In)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10h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위아래에서부터 중앙으로 펼쳐지면서 표시된다.FIG. 10H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by a horizontal wipe in method. Referring to FIG. 10H,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displayed while being unfolded from the top to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도 10i는 페이드 아웃 & 페이드 인(Fade Out & Fade In)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10i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페이드 아웃된 다음 다른 이미지파일이 페이드 인되면서 표시된다.FIG. 10I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by a fade out & fade in method. Referring to FIG. 10I,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faded out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n displayed while the other image file fades in.

도 10j는 모자이크(Mozaic)방식으로 이미지파일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j를 참조하면 소정 이미지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모자이크되는 방식으로 표시된다.FIG. 10J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file in a mosaic manner. Referring to FIG. 10J,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displayed in a mosaic manner on a display screen.

전술한 슬라이딩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슬라이딩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liding method described above, various sliding methods may be employ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하고 휴대에 간편하면서도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파일을 다운로드받거나 업로드할 수 있는 전자앨범장치가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하나의 사진만을 볼 수 있던 사진액자와 달리, 다양한 이미지파일을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책상 등에 세워놓고 감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lbum device which is inexpensive and portable and can download or upload an image fil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 picture frame in which only one picture can be viewed in the related art, various image files can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to stand and enjoy on a desk.

Claims (9)

이미지파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file;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하우징;A display housing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외부장치와 이미지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 files with the external device;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image fil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키입력부;A key input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housing to receive a user input;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browsing of the image file based on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Electronic album device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isplay hou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외부 메모리가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외부 메모리 슬롯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memory slot to which the external memory is detachably mounted,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메모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마련되며,One side of the display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external memory,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메모리 슬롯에 장착되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파일을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o browse an image fil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external memory slot based on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는,The support portion,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 및Support portion seated on the ground;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존재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좌우로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And an engaging portion for coupling the support portion to the display housing such that the display portion is rotated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a virtual reference line existing on a display scree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메뉴에 따라 특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메모리부, 외부 메모리 슬롯,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The controller may display a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call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perform the specific function according to a menu select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Electronic albu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메뉴화면은 절전모드 메뉴를 포함하고,The menu screen includes a power saving mode menu,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 메뉴가 선택되면 소정 시간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mage no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power saving mode menu is select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메뉴화면은 슬립 메뉴를 포함하고,The menu screen includes a sleep menu, 상기 제어부는 소정 자동동작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부 또는 외부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파일을 소정 순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at least one image fil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memory unit or an external memory slot in a predetermined sequence for a predetermined automatic operation time on the display uni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자동동작시간은 상기 메뉴화면에 대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And the automatic operation time is set by a user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for the menu scre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 또는 외부 메모리 슬롯에 탑재된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파일을 소정 순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at least one image file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mounted in the memory unit or an external memory slot in the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or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소정 이미지파일을 삭제할 것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이미지 보호기능의 설정여부를 확인하여 이미지 보호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메모리부 또는 상기 외부 메모리 슬롯에 장착된 외부 메모리로부터 대상 이미지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앨범장치.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image protection function is set when a user input for deleting a predetermined image file is receiv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is installed in the memory unit or the external memory slot only when the image protection function is not set. The electronic album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leting the target image file from the external memory.
KR1020010039530A 2001-07-03 2001-07-03 Electronic image displayer KR200300036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30A KR20030003604A (en) 2001-07-03 2001-07-03 Electronic image dis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530A KR20030003604A (en) 2001-07-03 2001-07-03 Electronic image displ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04A true KR20030003604A (en) 2003-01-10

Family

ID=2771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530A KR20030003604A (en) 2001-07-03 2001-07-03 Electronic image dis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360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949A (en) * 2003-05-06 2004-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ll tapestry-type electronic album
KR100896423B1 (en) * 2007-12-03 2009-05-12 (주)한텍비오 The 3 dimensional display system of photo frame typ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840A (en) * 1998-03-19 1999-10-08 Hitachi Ltd Electronic album device
JP2000066794A (en) * 1998-08-18 2000-03-03 Canon Inc Information processor, electronic album device, menu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0253344A (en) * 1999-03-04 2000-09-14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album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2000324473A (en) * 1999-05-07 2000-11-24 Tietech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utilizing digital photo stand
JP2001100864A (en) * 1999-09-30 2001-04-13 Fuji Photo Optical Co Ltd Electronic alb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2840A (en) * 1998-03-19 1999-10-08 Hitachi Ltd Electronic album device
JP2000066794A (en) * 1998-08-18 2000-03-03 Canon Inc Information processor, electronic album device, menu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0253344A (en) * 1999-03-04 2000-09-14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album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2000324473A (en) * 1999-05-07 2000-11-24 Tietech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utilizing digital photo stand
JP2001100864A (en) * 1999-09-30 2001-04-13 Fuji Photo Optical Co Ltd Electronic albu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다로그(PDA에 사진을 저장해두고, 앨범으로 활용할 수 있고 사진 앨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각종 사진과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PDA의 첨단 기능 ,동아일보 200-12-26 )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949A (en) * 2003-05-06 2004-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ll tapestry-type electronic album
KR100896423B1 (en) * 2007-12-03 2009-05-12 (주)한텍비오 The 3 dimensional display system of photo frame typ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092B2 (en) Theme creator
US9621705B2 (en) Method for performing cooperative function automatically and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01646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40080537A1 (en) Stand-alone monitor as photograph slide show projector
JP2007522546A (en) Multi-screen display system
KR101046734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angle detection function of fold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100082451A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4005636A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appliance
KR200500554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oading picture
US20090075693A1 (en) Multifunctional crad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1022390A1 (en) Digital photograph frame
CN102447811A (en) Intelligent electronic photo frame updating method and electronic photo frame capable of being updated remotely and intelligently
WO2000019294A2 (en) Portable storage and control units for digital data
US20100225594A1 (en) Video frame recorder
CN202496844U (en) Novel electronic picture frame
JP3951222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20070079240A1 (en) Method for integrating user interfaces of multimedia files
US73855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rotatable screen and external input device
KR20030003604A (en) Electronic image displayer
KR100424468B1 (en) Display method for folder type mobile terminal equipment
JPH11225443A (en) Small-size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and recording medium
JP2003186782A (e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formation delivery device and program, digital camera and portable terminal devices
KR100654845B1 (en) Apparutus for rolling electronic album
KR200255869Y1 (en) Electronic image displayer
JP2003204378A (en) Portab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