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079Y1 - a rice seedbed - Google Patents

a rice seed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079Y1
KR200295079Y1 KR2020020024667U KR20020024667U KR200295079Y1 KR 200295079 Y1 KR200295079 Y1 KR 200295079Y1 KR 2020020024667 U KR2020020024667 U KR 2020020024667U KR 20020024667 U KR20020024667 U KR 20020024667U KR 200295079 Y1 KR200295079 Y1 KR 200295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hole
moth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6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성용
Original Assignee
송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용 filed Critical 송성용
Priority to KR2020020024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0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079Y1/en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판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base plate.

특히,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으로 구획부에 의해 분리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가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모판이 적층될 수 있도록 적층수단이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base plat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separated by the partition portion, the side plate that the edge of the bas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ner side and the lamination means is formed so that the mother board can be laminated on the outer periphery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이에따라, 볍씨에 물이 골고루 공급되어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씨앗의 뿌리가 유출공으로 돌출되지 않아 모판에서 모를 이앙시 모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모판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water is evenly supplied to the rice seed to grow smoothly, and the root of the seed does not protrude into the outflow hole, thereby providing a bed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damaging the hair root of the hair seed.

Description

모판{a rice seedbed}Bedding {a rice seedbed}

본 고안은 모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을 배출하는 유출공이 구획부 상부와 안착홈에 모의 뿌리가 모판에 박히지 않도록 형성하여 모판에서 모를 들어낼때 발생되는 모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앙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모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her plate, in particular, the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water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and the seating groove so that the root of the mother hair does not get stuck in the mother board to prevent hair damage caused when lifting the hair from the mother board, and easy to move the egg. It's about the bedrock that makes it possible.

벼는 재배조건에 따라서 모내기 방식을 선택해야 하며, 비옥한 논, 심경다비(深耕多肥) 조건, 기후가 온난한 평야지, 소식(疏植), 수수형품종(穗數型品種) 재배 등의 환경에서는 정사각형식이나 이에 가까운 방식으로 심는 것이 좋지만 한랭지역(寒冷地域), 척박한 논, 밀식(密植), 조식(早植), 수중형품종(穗重型品種) 재배 등의 환경에서는 직사각형식이나 병목식으로 모를 심는 것이 유리하다. 직사각형식은 정사각형식에 비하여 포기 사이가 좁으므로 초기의 생육은 약간 억제되나 줄 사이가 넓기 때문에 생육 후기까지 비료의 흡수가 쉬우며, 줄 사이를 통한 통풍과 채광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관리작업이 더 편하다.Ric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growing conditions, such as fertile paddy fields, deep-drain conditions, temperate climate plains, news, and sorghum varieties. It is better to plant in a square or close manner in the environment, but in an environment such as cold districts, poor rice paddies, wheat, breakfast, and cultivation of underwater varieties, It is advantageous to plant in the bottleneck. Compared to the square type, the rectangular type is smaller in abandonment, so the initial growth is slightly suppressed, but because the width is wider, the fertilizer is more easily absorbed until the later stage of growth. comfortable.

일반적으로, 모내기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못자리를 보고 볍씨를 발아, 생장시켜 어느정도 성숙된 모를 논에 내게 되는데, 이때 성숙된 모의 관리와 운반 또한 이앙기를 이용한 이앙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모판을 사용하게 되며, 이 모판은 높이가 낮고 넓직한 사각의 상자형으로서 전체적으로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seed the seedlings, the seedlings are germinated, grown, and grown in a rice paddy to some extent. At this time, the mattress is used for the management and transportation of the matured seedlings and the convenience of the rice transplanting operation using the rice transplanter. The mother plate is low in height and wide rectangular box shape, and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as a whole.

또한, 상기 모판에 충진된 상토에는 밑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수분이 흡수됨으로써 볍씨의 발아 및 생장에 필요한 수분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파종후 평균30∼40일의 기간이 경과하여 모의 크기가 약 10∼15cm 가량 자라게 되면 모내기를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op soil filled in the mother plate is absorbed by the water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to supply the moisture necessary for germination and growth of rice seed, the average size of about 30 to 40 days after sowing, the hair size of about 10 When they grow up to ~ 15cm, they pla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판에서는 모가 자라면서 길어지는 모의 뿌리가 상기 밑판의 구멍들을 통해 하방으로 성장하여 모판이 설치된 못자리의 땅속에 뿌리를 내리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모판이 지표에 고착되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ther bed as described above, hair roots that grow longer as the hair grows grow downward through the holes of the base plate, and are rooted in the soil of the nail bed where the mother board is installed, resulting in the mother bed being fixed to the surface. Will result.

따라서, 모가 어느정도 성장하여 모판을 못자리로부터 분리할때에는 모판을 들어내기가 매우 힘이 들며, 삽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강제로 모판을 들어낸다 하더라도 모판의 파손 및 모의 뿌리가 끊겨 지는 일이 발생하여, 모내기시 모가 논바닥에 정착하지 못하고 들뜨게 되어 결국 모내기 후에도 잘 성장하지 못하고 다수 죽어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hair growth grows to some extent and the mother's bed is separated from the nail, it is very difficult to lift the mother's b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other did not settle down on the rice paddy when planting, and eventually, many did not grow well after planting and di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이 볍씨에 골고루 충분하게 공급되어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물이 빠져나는 유출공이 모의 뿌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이앙시 모의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이앙할 수 있도록 하는 모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above problems, the water is supplied evenly enough to the rice seed so that the growth is made smoothly, and the outflow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is drained so as not to protrude the root of the hairpin hair roots It is to provide a bed base which can be easily transferred without damaging.

또한, 다수개의 모판을 적층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햇빛의 입사각도에 따라 높이를 조정 하여 모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모판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ase plate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angle of incidence of sunlight by configuring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at the time of laminating a plurality of base pl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판을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모판의 베이스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판의 베이스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e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모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moth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모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moth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mothe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mothe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베이스 11...안착홈10 Base 11 Seating groove

12...구획부 13...유출공12.Parts 13 ... Outflow

20...측판 21...적층수단20 Side plate 21 Lamination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면으로 볍씨가 안착되도록 구획부에 의해 분할되어 일정공간이 형성되는 안착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가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그 외측 둘레에는 적층수단이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formed in a plate shape is divided by the partition so that the see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inner groove is formed in a certain space, the edge of the base is inward It is integrally connected, the outer periphery is mad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ide plate formed with a stacking means.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적층수단은, 다수개의 모판이 수직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기 측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에 삽입 고정토록 상부에는 연결공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갖는 중공상의 연결구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ck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late so that the plurality of mother plates can be stacked vertically, and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and the low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hollow connector having a coupling hole in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적층수단은, 상기 측판의 상부에 다수개 형성되는 연결홈과, 상기 측판의 하부에 하향 둘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홈에 대응되어 안착토록 형성되는 돌출편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ck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late, and protruding piece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to be seated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groove. It is don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베이스는, 그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굴곡 되어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물이 배출되는 유출공이 하나 이상의 구획부 간격을 두며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is bent upwards, the outlet hole is discharged water is formed with one or more partitions spaced apart from the diameter of the base toward the ed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enlarg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안착홈은, 내측 중앙부에 물이 배출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이 유출공을 중심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정공간 구획되도록 다수개의 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ibs are installed so that the water outlet is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the outlet hole is formed extending around the outlet hol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구획부의 상부에는, 이웃하는 상기 유출공이 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기 유출공 사이를 연결하는 수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way groove for connecting between the outlet hole so that the neighboring outlet hole is connected to each other is 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크게 일정 곡률을 갖는 판형상의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외주연에 연결되는 측판(2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late-shaped base 10 having a large curvature and a side plate 20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10.

상기 베이스(10)는, 일방향으로 굴곡 되어 일정 곡률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볍씨가 위치하여 발아하고 뿌리를 내리는 안착홈(11)이 구획부(12)에 의해 분할되도록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12)의 상부에는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공(13)이 다수개 형성된다.The base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ertain curvature by b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ases 10 are formed so that the seating grooves 11 are germinated and rooted to be divided by partitions 12.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12, a plurality of outlet holes 13 for outflowing water are formed.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1)은, 물이 배출되는 유출공(13')이 내측 중앙에 형성되고, 이 유출공(13')에서 구획부(12)로 연장되어 상기 안착홈(11)의 내측공간을 일정 구획으로 분할하는 리브(11a)가 설치되고, 상기 리브(11a)에 의해 분할된 공간에서 물이 이동시에는 상기 리브(11a)를 따라 물이 안착홈(11)의 중앙에 형성된 유동공(13')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eating recess 11 has an outlet hole 13 ′ in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is formed at an inner center thereof, and extends from the outlet hole 13 ′ to the partition 12. Ribs 11a for dividing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groove 11 into a predetermined section are installed, and when water moves in the space divided by the ribs 11a, the water is seated along the ribs 11a. It is configured to be guided to the flow hole (13 ')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안착홈(11)은, 사각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하나의 유출공(13')과 이 유출공(13')에 연결되는 4개의 리브(11a)에 의해 4개의 구획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유출공(13')과 이 유출공(13')에서 구획부(12)로 다수의 리브(11a)를 설치하여 많은 수의 구획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안착홈(11)의 면적을 확장시켜 다수의 유출공(13')과 상기 유출공(13')을서로 있는 다수의 리브(11a)를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Here, the seating groove 11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groove and separated into four compartments by one outlet hole 13 'in the center and four ribs 11a connected to the outlet hole 13'. Preferably, but if necessary, a plurality of ribs 11a are formed in the outflow hole 13 'and the outflow hole 13' from the outflow hole 13 'to the partition portion 12 so as to form a large number of sections, or The area of the seating groove 11 may be expanded to provide a plurality of outlet holes 13 'and a plurality of ribs 11a having the outlet holes 13'.

더하여, 상기 안착홈(11)의 중앙에 형성된 유출공(13')은, 유출되는 물방울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시 2개 혹은 4개의 안착홈(11)마다 하나씩의 유출공(13')을 갖도록 유출공(13')의 갯수를 조정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outflow hole 1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11 is one outlet hole 13' for every two or four seating grooves 11, if necessary,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droplets flowing out. The number of the outflow holes 13 'may be adjusted to have a.

또한, 상기 구획부(12)의 상부에는, 구획부(12)의 상부에 떨어진 물방울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유출공(13)의 사이를 이어주는 수로홈(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12,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way groove 14 to connect between the neighboring outlet hole 13 so that the water droplets dropp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12 is formed.

더하여,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보다 넓은 면적을 확보하고 공급되는 물이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굴곡되어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a,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1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in the center portion is bent upward to ensure a wider area and evenly distributed water.

이때, 상기 베이스(10)의 물을 배출하는 유출공(13)(13')은, 하나 이상의 구획부(12) 간격을 두며 다수개 형성하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물방울이 흘러갈때 원활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outlet holes 13 and 13 ′ for discharging the water of the base 1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least one partition 12, the smooth discharge of water when water droplets flow from the center to the edge It is preferable to form so that the diameter is increased from the center of the base 10 to the edge so as to be made.

다른 실시예로,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하방향으로 굴곡되어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고, 베이스(10)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유출공(13)(13')을 하나 이상의 구획부(12) 간격을 유지토록 형성함으로서 가장자리의 물방울이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적절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B, the base 10 is bent downwardly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outlet hole 13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base 10 is reduced. ) 13 ′ may be formed so as to maintain the spacing of one or more partitions 12 so that the water droplets at the edges move to the center so that proper water is discharged.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외주연에 일체로 연결되는 측판(20)은, 외측으로단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다른 측판(20)을 위,아래에서 적층할 수 있는 적층수단(21)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plate 20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10, the end is formed on the outside, the lamination means 21 that can be stacked on the other side plate 20 from the top and bottom Is formed.

도 3a 또는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수단(21)은, 상기 측판(20)의 상부 가장자리에 다수개 형성되는 연결공(21a)과, 상기 연결공(21a)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되는 연결구(21b)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A or 3B, the stacking means 21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hole 21a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side plate 20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hole 21a. It consists of a connector 21b.

상기 연결구(21b)는, 상부에는 상기 연결공(21a)에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연결공(21a)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c)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시 돌출부(21c)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돌출부(21c)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결합공(21d)이 형성되는 중공상의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connector 21b has a protrusion 21c protruding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hole 21a so as to penetrate and be fixed to the connector hole 21a, and a protrusion 21c at the bottom of the connector 21b. It is configured in a hollow shape in which a coupling hole 21d is formed to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21c to be inserted and fixed.

여기서, 상기 연결구(21b)는, 모판의 적층시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연결구(21b)를 다수개 준비하여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21c)에 다른 연결구(21b)의 돌출부(21c)를 삽입하여, 연결구(21b)와 다른 연결구(21b) 사이에서도 적층이 가능토록 설치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적층 높이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Here, the connector 21b, by preparing a plurality of the connector 21b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en the base plate is laminated, inserting the projection 21c of the other connector 21b into the coupling hole 21c formed inside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tacking is possible between the connector 21b and the other connector 21b so that the stacking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incident sunlight.

다른 실시예로, 도4a 또는 도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수단(21)은, 상기 측판(20)의 상부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는 연결홈(21e)과 이 연결홈(21e)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돌출편(21f)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편(21f)는, 적층시 상기 연결홈(21e)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측판(20)의 가장자리 하부에 상기 연결홈(21e)과 대응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4A or 4B, the stacking means 21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groove 21e and the connection groove 21e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side plate 20. And a protruding piece 21f to be combined. The protruding piece 21f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ng groove 21e at the lower edge of the side plate 20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necting groove 21e when stacked.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is to be clarified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industry can understand it very easi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공급되는 물이 볍씨에 골고루 충분하게 공급되어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모의 뿌리가 물이 빠져나가는 유출공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이앙시 모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ied is evenly supplied to the rice seed to grow smoothly, and the root of the hair is configured so as not to protrude into the outflow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escapes without damaging the hair root of Yiangsi. It has a simple separation effect.

또한, 다수개의 모판을 적층시에 높이 거리 조절이 가능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채광의 조정이 가능하여 모의 성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ight by using a connector that can adjust the height distance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mother plate is effective to help the simulation growth.

Claims (5)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으로 볍씨가 안착되는 안착홈(11)이 유출공(13)을 갖는 구획부(12)에 의해 분할되도록 형성되는 베이스(10)와,A base 10 formed in a plate shape and formed so that the seating groove 11 on which the rice see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divided by the partition 12 having the outlet hole 13; 상기 베이스(10)의 가장자리가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적층수단(21)이 형성되는 측판(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모판.An edge of the base (1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ide, and the mother board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ide plate (2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laminated means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수단(21)은, 상기 측판(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공(21a)과, 상기 연결공(21a)에 삽입 고정토록 상부에는 돌출부(21c)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21c)가 삽입되는 결합공(21d)을 갖는 중공상의 연결구(21b)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acking means 21, a plurality of connecting holes (21a)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plate 20, and the projection 21c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21a) to the upper fixing The ba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s a hollow connector (21b) having a coupling hole (21d) is formed and the projection (21c) is inserted in the lowe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1)은, 내측 중앙부에 물이 배출되는 유출공(13')이 형성되고, 이 유출공(13')을 중심으로 상기 구획부(12)로 연장 형성되어 분리되는 일정 공간을 갖도록 다수개의 리브(11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ating groove 11, the outlet hole (13 ') is formed in the inner central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partition portion 12 around the outlet hole (13')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ribs (11a)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to be separated.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그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굴곡 되어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13)(13')이 하나 이상의 구획부(12) 간격을 두며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10)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The base 10 is form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bent upwardly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and the outlet holes 13 and 13 'have one or more partitions 12. It is formed at intervals but the moth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base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12)의 상부에는, 이웃하는 상기 유출공(13) 사이를 연결하는 수로홈(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판.5. The mother plat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channel groove (14)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12) to connect the neighboring outlet holes (13).
KR2020020024667U 2002-08-19 2002-08-19 a rice seedbed KR2002950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67U KR200295079Y1 (en) 2002-08-19 2002-08-19 a rice seed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667U KR200295079Y1 (en) 2002-08-19 2002-08-19 a rice seed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079Y1 true KR200295079Y1 (en) 2002-11-18

Family

ID=7312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667U KR200295079Y1 (en) 2002-08-19 2002-08-19 a rice seed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07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5786A (en) Planting tray
US9095097B2 (en) Modular planting system for roof applications
KR101645458B1 (en) A method for cultivating strawberry seedlings using strawberry seedlings and cultivation
US7730667B2 (en) Stackable plant pot
KR101749871B1 (en) Strawberry double layered cultivation equipment that combines strawberry nursery and cultivation
KR20200109713A (en) Temperature controlled seedling pot
KR200386097Y1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0479212B1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098944A (en) Seeding pot plate
KR200295079Y1 (en) a rice seedbed
KR20210141029A (en) Multi-stage plant pot for growing horticultural crop
KR20110108066A (en) Assembling stacked flowerpot
TWI590754B (en) Hydroponic frame module and hydroponic frame thereof
KR20200030220A (en) Root plant hydroponic cultivation sheet
KR102506677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2184907B1 (en) Cultivation pot and high-position cultivating bed using the same
NL2010815C2 (en) Modular system for arranging plant compositions.
CN212259894U (en) Flowerpot with adjustable size
KR101292176B1 (en) Seed-bed and frame to seed using the same
KR20210052643A (en) Seeding tray
KR101158252B1 (en) Extensible partition
KR200359219Y1 (en) Port for seedling cultivation of broad-leaved tree
JP3235463U (en) Nursery shelf
TWI795314B (en) plant end plate
KR200309864Y1 (en) Raising seeding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416

Effective date: 200403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