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195Y1 - 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 Google Patents

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195Y1
KR200287195Y1 KR2020020013984U KR20020013984U KR200287195Y1 KR 200287195 Y1 KR200287195 Y1 KR 200287195Y1 KR 2020020013984 U KR2020020013984 U KR 2020020013984U KR 20020013984 U KR20020013984 U KR 20020013984U KR 200287195 Y1 KR200287195 Y1 KR 200287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unning
fixed
interloc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9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신한양 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양 기업 filed Critical (주)신한양 기업
Priority to KR2020020013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1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195Y1/en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달리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런닝머신에 있어서 종래의 전단부 상승으로 경사각을 이루 수 있는 획일적인 구성과 달리 전단부 상승은 물론 후단이 상승되거나 전단부측이 좌우 각도가 틀어지며, 경사도를 이룰 수 있고, 또한 후단부 측이 좌우 각도가 틀어지며 경사도를 이룰 수 있는 다기능의 달리기 운동효과를 가질수 있도록 구성한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런닝모터(8)의 회전에 의하여 좌우측 프레임(1)과 (2)사이의 런닝벨트(5)가 회전되고 연동프레임(14) 중앙에 브라켓(17)이 거치되어 인크라인 모터(22)의 구동에 따라 크랭크(19)를 움직여 연동프레임(14)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게 하였을뿐만 아니라, 감속모터(32)를 회전하여 고정프레임(35) 하단에 마련된 높이 조절자(28)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상하 및 좌우 경사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 uniform configuration that can achieve the inclination angle by the rise of the front end in the running machine configured for running motion, the front end is raised, as well as the rear end is raised or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front end is inclin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dmill configured to have a multi-function running motion effect that can achieve a slope and a tilt angle of the rear end sid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frames (by the rotation of the running motor 8) The running belt 5 between 1) and (2) is rotated and a bracket 17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interlocking frame 14 to move the crank 19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incline motor 22 to interlock the frame 14.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as well a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height adjuster 28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ixed frame 35 by rotating the reduction motor (32) "up and down and Wu is reclining on a treadmill as possible. "

Description

상하 및 좌우 경사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본 고안은 달리기 운동을 목적으로 고안된 런닝머신에 있어서 운동효과 증진을 위하여 런닝벨트의 경사도 조절을 종래의 전단부 상향조정은 물론 전단부가 하향되게 조절하고, 런닝머신 자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실제의 자연환경에서 달리기 할때 느끼는 굴곡과 경사도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목적 달리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tilt of the running belt in order to enhance the exercise effect in the treadmill designed for running exercise as well as to adjust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as well as to adjust the front end downward, so that the treadmill itself is inclined to the left or right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running exercise machine configured to experience the bend and slope experience when running in a natural environment.

마라톤이나 조깅과 같은 달리기 운동은 특별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본인의 여가시간을 이용해 부담없는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본인의 체력을 중간정도의 강도로 30분이상 뛸때에는 중추신경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작용으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Running sports such as marathon and jogging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your leisure time freely regardless of the special time and place, and when you run your fitness for more than 30 minutes with moderate intensity, your central nervous system Happiness can be felt by the action of hormones released by.

따라서 30분이상 계속 달리게 되면 다리와 팔은 가벼워지고, 리듬감이 살아나며, 피로가 사라지고, 새로운 힘이 나기 시작하는 느낌을 갖게 되는데, 이것은뇌에서 분비되는 일종의 글리코겐과 같은 혈압유지와 혈당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신경물질의 작용으로 우울증과 같은 피로감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와같은 운동효과를 느낄 수 있는 방법은 무조건 뛴다고 되는 것이 아니며, 그렇다고 특별한 코스가 있는 것도 아닐 것이다.Therefore, if you keep running for more than 30 minutes, your legs and arms become lighter, your rhythm is revived, your fatigue is gone, and you start feeling new. This is a kind of glycogen-like blood secretion and blood glucose maintenance in your brain. It is said that the action of nerve substances to relieve fatigue such as depression. The way to feel the effects of this exercise is not to run unconditionally, but it does not have a special course.

다만, 불편한 곳은 피하고 본인이 적당하게 뛸 수 있는 공간인 숲길이나 둔치등 쾌적한 환경에서의 운동이면 되고, 스피드는 약간 힘겹다는 생각이 들 정도가 적당하며, 너무 느리게 되거나 빠르게 뛴다면 본인에게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역효과를 초래할 뿐이다.However, avoid uncomfortable places and exercise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such as a forest road or a bluff, where you can run properly, and you may feel that the speed is a bit difficult, and if you are too slow or run fast, Not only is it counterproductive.

따라서 처음부터 빨리 많이 뛰는 것은 삼가고 달리는 거리와 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 적당한 운동효과를 거두는 일일 것이다.Therefore, avoiding a lot of running fast from the beginning will increase the distance and time running a little bit will be a moderate exercise effect without harming your health.

상기와 같은 운동효과 증진을 위한 런닝벨트의 경사도 조절은 종래의 경우, 일률적으로 전단부가 상향되게 조절할 수 있는 것들 뿐이어서 숲길이나 경사진 언덕길등 복잡다양한 형태의 달리기 구간 재현은 불가능 하였을뿐만아니라, 단조로운 달리기 운동에서는 30분이상 뛰기에는 쉽게 피로를 느낄수 있으며, 또한 운동에 대한 흥미를 상실할 수 있는 일도 있어왔다.The slope control of the running belt to improve the exercise eff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ase, only the ones that can be adjusted upward upward uniformly, it was not possible to reproduce a variety of complex running sections, such as forest roads or sloped hills, as well as monotonous In running, you can easily get tired of running for more than 30 minutes, and you may also lose interest in running.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달리기 구간을 재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단순한 형태의 전단부 상승작용만으로 달리기 운동효과를 기대했던 것과 달리 여러 가지 상태의 상승 및 하강작용으로 실제로 야외에서 뛰는 것과 같은 운동감각을 구현하고 운동자 본인이 원하는 경사각도와 경사방향을 설정하여 좀 더 생동감 있는 분위기와 다양한 자세로 운동에 열중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흥미를 갖고 달리기에 열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devised in order to reproduce a more diverse running se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design is to expect the running motion effect only by the existing simple form of the shear synergism Unlike the various kinds of rising and falling ac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ense of movement like actually running outdoors and set the inclination angle and the direction of inclination that the athlete wants to be engaged in the movement with a more lively atmosphere and various postures. It is designed to get away from monotony and to be interested in running.

일반적으로 달리기 효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근육내의 지근(slow-twitch)인데, 지근의 비율이 높을수록 달리기 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달리기 자세와 생화학적인 요소들이 작용한다. 그리고 달리기 효율을 높이려면 어떤 특별한 훈련을 많이 하는 것 보다 올바른 자세로 오랜기간 연습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오랫동안 훈련을 해온 사람일수록 좋게 나타난다.In general,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running efficiency is the slow-twitch in the muscle. The higher the ratio of the close muscles, the higher the running efficiency is. In addition, the running posture and the biochemical factors work. . And to improve running efficiency, it's best to practice for a long time in the right posture rather than to do a lot of special training, and the longer you train, the better.

또한 근육이 일정한 강도의 훈련을 지속적으로 견디어내는 능력으로 달리기에는 지구력을 나타내는데 장거리 달리기 즉 30분 이상의 지속적인 달리기에는 지구력이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며, 마라톤의 42.195km의 경우 지구력의 대결이라고 할 수 있듯이 운동자 본인이 지구력 향상 노력에 투자해야한다. 이와같이 일정한 거리를 쉼없이 달려야 하는 장거리의 경우, 곧은길과 굽은길, 내리막경사와 오르막경사, 또한 좌로 굽으며, 내리막 경사인 굽은길 등등 다양한 형태의 코스는 운동자로 하여금 운동 리듬감을 인식시킬수 있으며, 흥미를 갖고 달리기에 열중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In addition, endurance is the decisive factor for long-distance running, that is, running for more than 30 minutes, and endurance is the decisive factor in the endurance of the marathon. You should invest in this endurance effort. In the case of long distances that must run a constant distance like this, various types of courses, such as straight roads and bends, downhill slopes and uphill slopes, and also bends left and downhill slopes, can allow the athlete to recognize the rhythm of movement. It is enough to be interested and engaged in runn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한 점등을 개선하고 옥외에서의 운동효과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유용한 고안이다.Therefore, it is a useful design configur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uncomfortable lighting as described above and to satisfy the exercise effect in the outdoors.

제 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도는 본 고안 중 런닝벨트(5)가 내리막 경사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nning belt (5) made of a downhill sl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도는 본 고안 중 런닝벨트(5)가 오르막 경사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nning belt 5 is made uphill inclined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제 4도는 (가)는 본 고안의 런닝머신이 우측이 낮은 경사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4 is a (a)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ea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low inclination

(나)는 본 고안의 런닝머신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kept horizontal.

(다)는 본 고안의 런닝머신이 좌측이 낮은 경사로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C)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low inclination

제 5도는 (가)는 본 고안 중 연동프레임(14)가 인크라인 모터(22)의 수축으로 전단부가 상향되게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is adjusted upward by the contraction of the incline motor 22 in the present invention (a).

(나)는 본 고안 중 연동프레임(14)가 인크라인 모터(22)의 작용으로 수평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ing frame 14 is leveled by the action of the incline motor 22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다)는 본 고안 중 연동프레임(14)가 인크라인 모터(22)의 팽창으로 전단부가 하향되게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is adjusted downward by the expansion frame of the interlock frame 14 in the present invention

제 6도는 본 고안 중 연동프레임(14)의 내부구조와 인크라인 모터(22)의 상호 배치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런닝벨트(5)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running belt (5) cut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terlock frame 14 and the in-line motor 22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7도는 본 고안 중 연동프레임(14)와 고정프레임(35)의 상호조립구조와 높이조절자(29)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ing state of the interlocking structure 14 and the fixed frame 35 and the height adjuster 29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8도의 (가)는 본 고안 중 높이조절자(29)가 감속모터(32)의 회전으로 상향되게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A) of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er 29 is adjusted upward by the rotation of the reduction motor 32 of the present invention

(나)는 본 고안 중 높이조절자(29)가 감속모터(32)의 회전으로 하향되게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er 29 is adjusted downward by the rotation of the reduction motor 32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중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Significant Symbols in Drawings]

1. 좌측 프레임 20. 회전축1. Left frame 20. Rotating shaft

2. 우측 프레임 21. 나선회전봉2. Right frame 21. Spiral rotating rod

5. 런닝벨트 22. 인크라인 모터5. Running belt 22. Incline motor

6. 콘 솔 23. 샤프트6. Console 23. Shaft

7. 안전손잡이 24. 고정프레임7. Safety Handle 24. Fixed Frame

8 런닝모터 25. 캐스터8 Running Motor 25. Caster

10. 모터벨트 26. 가이드 레일10. Motor belt 26. Guide rail

11. 풀리 28. 좌측 고정받침11.Pulley 28. Left fixed base

12. 전면 롤러 29. 높이조절자12. Front roller 29. Height adjuster

14. 연동프레임 30. 스프로켓14. Interlocking frame 30. Sprocket

15. 탄성판 31. 체인15.Elastic plate 31.Chain

16. 고정판 32. 감속모터16. Retaining Plate 32. Reduction Motor

17. 브라켓 33. 우측연동받침17. Bracket 33. Right interlocking support

18. 연동핀 34. 써포트18. Interlock Pin 34. Support

19. 크램프 36. 나선축19. Clamp 36. Spiral shaf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 도면 제 1도에서와 같이 좌측프레임(1)과 우측프레임(2)의 중앙에 런닝벨트(5)가 위치되고, 좌우프레임 전단부에는 각각 좌측프레임(3)과 우측 수직프레임(4)가 직설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콘솔(6)이 조립되고, 전면에 안전손잡이(7)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unning belt 5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eft frame 1 and the right frame 2, and the left frame 3 and the right vertical frame 4 are respectively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frames. Directly, the vertical frame and the console 6 are assembled, and the safety handle 7 is fixed to the front.

그리고, 첨부 도면 제 2도에서는 좌우측프레임(1)과(2)의 중앙에 설치된 런닝벨트(5)가 콘솔(6)의 조작에 의하여 전단부는 하향되고, 후단부는 상향된 형태를 나타낸 상태이다.In addition, in FIG. 2,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unning belt 5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frames 1 and 2 are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sole 6, and the rear end is upward.

한편, 첨부 도면 제 3도에서는 좌우측 프레임(1)과(2)의 중앙에 설치된 런닝벨트(5)가 콘솔(6)의 조작에 의하여 전단부는 상향되고, 후단부는 하향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unning belt 5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frames 1 and 2 has the front end up and the rear e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console 6.

그리고, 첨부 도면 제4도의 (가)에서는 본 고안의 달리기 운동기구를 후단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나낸 것으로, 지면과의 경사도는 좌측이 상향되고, 우측이 하향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And (a)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ure 4 (a) out of the state seen from the rear end of the running exercis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with the ground i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eft side is upward, the right side is downward.

이와같은 경사도는 좌측프레임(1)의 하단에 고정된 좌측고정받침(28)이 언제나 같은 높이로 고정된 상태에서 우측프레임(2) 하단의 우측연동받침(33)이 높이조절자(29)의 회전으로 낮게 밀착되어 우측프레임(2)가 하향되게 조정된 상태이다. 한편, 제 4도의 (나)에서는 지면과의 경사도 없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것으로서 이또한 좌측프레임(1) 하단의 좌측고정받침(28)은 고정된 상태에서 우측프레임(2)하단의 우측연동받침(33)이 높이조절자(29)의 역회전으로 지면과 멀어지면서 우측프레임(2)가 상향되면서 지면과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이다.Such inclination is that the right interlocking support 33 at the bottom of the right frame 2 is fixed to the height adjuster 29 while the left fixing support 28 fixed at the bottom of the left frame 1 is always fixed at the same heigh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on, and the right frame 2 is adjusted downward. On the other hand, in Figure 4 (b) is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without the inclination with the ground and the left fixed support 28 at the bottom of the left frame (1) is fixed to the right interlocking support at the bottom of the right frame (2) 33 is fixed in a position where the right frame (2) is horizontal to the ground while being moved away from the groun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er (29).

그리고, 제 4도의 (다)에서도 마찬가지로 좌측프레임(1)의 하단에 고정된 좌측고정받침(28)은 높이 변동없이 고정된 상태에서 우측프레임(2) 하단의 우측연동받침(33)이 높이조절자(29)의 역회전으로 우측프레임(2)가 상향되게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in (C) of FIG. 4, the left fixed support 28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eft frame 1 is similarly adjusted with the right interlocking support 33 at the bottom of the right frame 2 in the fixed state without height change. The right frame 2 is adjusted upwar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ruler 29.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경사각을 다시 우측이 하향되게 조정하고 싶으면, 콘솔(6)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높이조절자(29)의 회전방향을 정회전시키면 우측프레임(2) 하단의 우측연동받침(33)이 낮아지면서 우측프레임(2)가 하향되어진다. 그러나, 콘솔(6)의 스위치 조작과 관련된 전자회로 장치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 특별한 내용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전체적인 회로구성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역시 생략하였다.If you want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o the right side downward again, by rota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eight adjuster 29 by the switch operation of the console (6) of the lower right frame (2) As the right interlocking support 33 is lowered, the right frame 2 is lowered. However, since the electronic circuit device related to the switch operation of the console 6 is not special content using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the overall circuit configuration and software program are also omitted.

한편, 첨부도면 제 5도의 (가)(나)(다)는 본 고안중 고정프레임(24)와 런닝벨트(5)가 내장된 연동프레임(14)와의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 (b) (c) of Figure 5 is shown to expla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ixed frame 24 and the interlocking frame 14 with the running belt 5 built 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첨부도면 제 5도의 (가)는 고정프레임(24) 상측 중앙에는 브라켓(17)이 직립되어 있고, 브라켓(17) 상측에 연동프레임(14)가 직교되었으며, 좌측에는 런닝모터(8)과 풀리(11)이 플라이 휠(9)와 나란히 조합되어 런닝벨트(5)로 감싸여 우측의 연동핀(18)과 샤프트(23)과 조립되었고, 연동핀(18)과 일체로 연결된 크랭크(19)의 하단에는 가이드레일(20)과 연접되어 움직이는 캐스터(25)가 장치되었으며, 회전축(20)으로 양측 캐스터(25)를 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하단의 인크라인 모터(22)는 일측에 나선회전봉(21)을 구비하고, 회전축(20)과 직각으로 조립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In FIG. 5A, the bracket 17 is upright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frame 24, the interlocking frame 14 is orthogonal to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17, and the running motor 8 and the pulley are at the left side. The crank (19) is assembled with the interlocking pin (18) and the shaft (23) on the right side by being combined with the flywheel (9) and wrapped in a running belt (5). At the lower end of the caster 25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20 is moved, the device is fixed to both sides caster 25 by the rotating shaft (20). And the incline motor 22 of the lower left side has the spiral rotating rod 21 in one side, and has shown the structure assembled with the rotation shaft 20 at right angles.

그리고 첨부도면 제5도의 (나)는 인크라인 모터(22)의 나선회전봉(21)이 정회전하여 길이가 늘어나면서 캐스터(25)는 가이드 레일(26)을 따라 밀어내고, 크랭크(19)가 서서히 직립하면서 연동프레임(14)를 상향조정하여 수평을 유지시키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And in (b) of FIG. 5, the spiral rotating rod 21 of the incline motor 22 is rotated forward to increase its length, and the caster 25 is pushed along the guide rail 26, and the crank 19 is gradually While upright, the interlocking frame 14 is upwardly adjusted to maintain the level.

첨부도면 제 5도의 (다)는 인크라인 모터(22)의 나선회전봉(21)이 정회전을 계속하여 종단까지 길이가 최대가 되면서 캐스터(25)는 크랭크(19)를 직각으로 직립시키고, 연동프레임(14)는 최대로 상향되어 런닝벨트(5)의 전단부가 최대 상승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었다.(C) of FIG. 5 shows that the spiral rotating rod 21 of the incline motor 22 continues forward rotation to the maximum length to the end, and the caster 25 makes the crank 19 upright at right angles. The frame 14 is set up to the maximum and the front end of the running belt 5 is set to the maximum lift position.

첨부도면 제 6도에서는 연동프레임(14) 우측에는 전면롤러(12)가 결합되고, 좌측에는 후면롤러(13)이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롤러(12)(13)사이의 상단에는 고무재질의 탄성판(15)와 하단에는 고정판(16)이 겹쳐 조합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런닝벨트(5)가 돌아가며 감겨있는 구조로 되어있고, 연동핀(18)과 크랭크(19)가 연결되어 하단의 가이드 레일(26)을 따라 돌아가는 캐스터(25)가 조립되어 있으며, 일측에 나선회전봉(21)이 구비된 인크라인모터(22)와 직각으로 회전축(20)과 조합된 형태로서 내부구조를 알 수 있도록 런닝벨트(5)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고 있다.In FIG. 6, the front roller 12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interlocking frame 14, the rear roller 13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interlocking frame 14, and elasticity of a rubber material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between the two rollers 12 and 13. The plate 15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16 is combined and finally the running belt (5) is rotated around the structure, the interlocking pin (18) and the crank (19) is connected to the lower guide rail (26) The caster 25 which is rotated along the) is assembled, and the running belt (combined with the rotating shaft 20 at a right angle with the incline motor 22 having the spiral rotating rod 21 on one side) shows the running belt ( 5) is partially cut out and shown.

한편 첨부도면 제 7도에서는 상기 6도에서 나타낸 상하 구동장치를 고정프레임(24)위에 설치하고 일측 중앙에 저속의 감속모터(32)를 장착하여 하단에 고정한스프로켓(30)은 좌우로 길게 연장한 체인(31)과 치합되고, 좌우 양 끝에 설치된 높이조절자(29)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자(29)는 우측연동받침(33)과 동일축상에 결합되어 있으며, 반대측의 좌측고정받침(28)과 좌우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상호대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Meanwhile, in FIG. 7, the sprocket 30 fixed to the bottom by installing the vertical drive device shown in FIG. 6 above the fixed frame 24 and mounting the low speed reduction motor 32 at the center of one side thereof i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It is engaged with the chain 31, and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er 29 is installed at both ends. And, the height adjuster 29 is coupled to the same axis and the right interlocking support 33, and has a structure opposed to each other in a state left and right balance with the left fixed support 28 on the opposite side.

첨부도면 제 8도의 (가)에서는 고정프레임(24) 일측 하단에 써포트(34)가 구비되고 하측에 높이조절자(29)가 관착되었으며, 지면과 맞닿아 있는 우측연동받침(33)이 연결된 나선축(36)과 동일축상에 축설되었고, 고정프레임(24)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감속모터(32)의 회전축 하단에 스프로켓(30)이 체인(31)과 치합되어 높이조절자(29)를 회전시키도록 되어있는 구조이다.In (a) of FIG. 8, the support frame 3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ixed frame 24, and the height adjuster 29 is adhered to the lower side, and the right interlocking support 3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connected. The sprocket 30 is engaged with the chain 31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reduction motor 32 fixed on the same axis as the shaft 36 and fixed to the center of the fixed frame 24 to rotate the height adjuster 29. It is a structure intended to be.

그리고, 제 8도의 (나)에서는 (가)에서와 같은 구조에서 감속모터(32)의 회전으로 체인(31)이 높이조절(29)를 회전시키면서 나선축(24)를 지면과 가깝게 하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In (b) of FIG. 8, the chain 31 lowers the spiral shaft 24 close to the ground while the chain 31 rotates the height adjustment 29 by the rotation of the reduction motor 32 in the same structure as in (a) of FIG. It is.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상하 및 좌우 경사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described in detail the effect of the running machine can be adjus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il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첨부도면 제 1도에서와 같이 운동하고자 하는 운동자가 본 고안의 달리기 운동기구의 런닝벨트(5)에 올라서서 상단의 콘솔(6)의 전원스위치를 ON하면 서서히 런닝벨트(5)가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이때 벨트의 속도에 따라서 운동자도 함께 뛰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달리기 운동이 시작되는 것인데, 이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콘솔(6)의 전원스위치에 전원이 인가되고, 런닝모터(8)에 전기가 공급되면 모터가 작동하고 동시에 플라이 휠(9)가 회전하면서 풀리(11)과 연접된 모터벨트(10)이 회전하고, 전면롤러(1)도 돌아가게 되는데, 이와같이 상호 밀착 조립된 런닝벨트(5)와 장착된 후면 롤러(13)도 벨트와의 마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운동자 본인의 선택에 따라 첨부도면 제 3도의 모양처럼 벨트상단이 상향되고, 하단이 하향되게 일반적인 오르막 경사의 형태에서 운동하고 싶다면, 콘솔(6)의 경사도 절환스위치를 조정하여 설정하면 첨부도면 제 6도에서와 같이 인크라인 모터(22)가 역회전하여 나선 회전봉(21)이 회전하면서 수축하여 직각으로 연결된 회전축(20)을 끌어당기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athlete who wants to exercise climbs on the running belt 5 of the running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urns on the power switch of the upper console 6, the running belt 5 gradually starts to move.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belt, the athlete also starts to run together in earnest, and the running exercise starts. When the operation process is described in detail, power is first applied to the power switch of the console 6, and the running motor 8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the motor oper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flywheel 9 rotates, the motor belt 10 connected to the pulley 11 rotates, and the front roller 1 also rotates. (5) and the mounted rear roller 13 also rotate by friction with the belt. According to the exerciser's choice, if you want to exercise in the form of a general uphill slope with the top of the belt upward and the bottom of the bottom 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 3, adjust the inclination switching switch of the console 6 to set it.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cline motor 22 rotates in reverse, and the spiral rotating rod 21 rotates and contracts to bring the rotating shaft 20 connected at right angles.

그리고 회전축(20) 양단에 고정된 캐스터(25)는 가이드레일(26)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크랭크(19)의 각도는 점차 낮아져 상측의 연동핀(18)과 고정된 연동프레임(14)는 중앙에 고정된 브라켓(17)을 정점으로 서서히 낮아지고, 이와는 반대로 연동프레임(14)의 전단부는 점차 높아져 런닝벨트(5)의 상단이 상향되고, 하단은 하향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런닝머신에서 볼 수 있는 오르막 경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And the caster 25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0 is moved to the lower end along the guide rail 26, at the same time the angle of the crank 19 is gradually lowered to the upper interlocking pin 18 and the interlocking frame ( 14) the bracket 17 fixed to the center is gradually lowered to the apex, on the contrary, the front end of the interlocking frame 14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top of the running belt 5 is upward and the bottom is a treadmill of a general type. The uphill slope seen in

그러나 운동자 본인이 첨부도면 제 2도와 같이 벨트상단이 하향되고, 하단이 상향되는 반대의 형태인 내리막 경사에서 달리기를 원할 경우, 콘솔(6)의 경사도 절환스위치를 조정하여 설정하면 상기와는 정반대로 인크라인 모터(22)가 정회전하여 나선봉(21)이 회전하면서 팽창을 거듭하여 길이가 늘어나 직각으로 연결된 회전축(20)을 밀어내는 효과를 가져오며, 회전축(20) 양단에 고정된 캐스터(25)는 가이드 레일(26)을 따라서 상단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크랭크(19)와의 각도는 점차 높아져 상측의 연동핀(18)과 고정된 연동프레임(14)는 중앙에 고정된 브라켓을 정점으로 서서히 높아지고, 이와 반대로 연동프레임(14)의 전단부는 점차 낮아져 런닝벨트(5)의 상단이 하향되고, 하단은 상향되는 형태로 일반적인 런닝머신에서는 볼수 없는 내리막 경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f the athlete himself wants to run on the downhill slope, in which the upper belt is lowered and the lower is upward, 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 2, the controller 6 adjusts the inclination switching switch to set the opposite. The incline motor 22 rotates forward and the spiral rod 21 rotates to expand and extend, thereby pushing the rotating shaft 20 connected at right angles, and the casters 25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0. ) Is moved upward along the guide rail 26 and at the same time the angle with the crank 19 gradually increases, the interlocking pin 18 and the fixed interlocking frame 14 on the upper side is gradually raised to the top of the bracket fixed in the center, On the contrary, the front end of the interlocking frame 14 is gradually lower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running belt 5 is downward and the lower end is upward, so that the downhill slope which is not seen in a general treadmill can be realized. It is possible.

한편, 운동자 본인이 첨부도면 제 4도의 (가)와 같은 모양의 런닝벨트(5)의 좌측이 상향되고 우측이 하향된 경사에서 달리기를 원할 경우 콘솔(6)의 경사도 절환스위치를 조정하여 설정하면 첨부도면 제 7도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24) 좌측하단에 위치된 좌측고정받침(28)은 항상 같은 높이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우측의 감속모터(32)가 우회전하여 하단의 스프로켓(30)을 회전시켜 좌우로 길게 늘어진 체인(31)을 움직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thlete himself wants to run on the inclina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of the running belt (5) of the shape as shown in Figure 4 (a)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f the setting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switching switch of the console (6) As shown in FIG. 7, the left fixed support 28 positioned at the lower left of the fixed frame 24 is always firmly fixed at the same height, and the speed reduction motor 32 on the right side rotates to the right to rotate the sprocket 30 at the bottom. Rotating chain 31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long.

그리고 첨부도면 제 8도에 상세히 예시된 것과 같이 고정프레임(24) 우측하단 양쪽 끝모서리에 연장 설치된 써포트(34)와 관통되어 조립된 높이조절자(34)가 나선축(36)에 관착되어 체인(31)의 움직임에 따라서 양쪽 끝이 동시에 나선축(36)을 따라 회전하며 지면쪽으로 하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height adjuster 34, which is assembled through the support 34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right end of the fixed frame 24, is assembled to the spiral shaft 36, and is connected to the chain 36.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31), both ends are rotated along the spiral axis 36 at the same time and descend to the ground.

그리고 런닝벨트(5)의 균형이 우측으로 향해 우측내리막 경사된 상태에서 반대로 좌측내리막경사로 변환하는 경우는 고정프레임(24) 중앙의 감속모터(32)가 좌회전하며 하단의 스프로켓(30)을 회전시켜 체인(31)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양측의 써포트(34)와 관통되어 조립된 높이조절자(34)가 나선축(36)에 관착되어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이 운동자 본인이 원하는 경사각도와 경사방향을 설정하여 생동감 있고 능률적인 분위기로 달리기운동에 열중할 수 있을 뿐 아니라,달리기 효율에 영향주는 근육형성과 지구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하 및 좌우경사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이다.In the case where the balance of the running belt 5 is inclined to the right and downhill to the right, when the motor is converted to the left downhill slope, the reduction motor 32 in the center of the fixed frame 24 is rotated to the left to rotate the sprocket 30 at the bottom. When the chain 31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height adjuster 34 assembled to penetrate the support 34 on both sides is raised while being rotated by being observed on the spiral shaft 36. In this way, by setting the inclination angle and inclination direction desired by the athlete himself, not only can he concentrate on running exercise in a lively and efficient atmosphere, but also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ilt adjustments that can help improve muscle formation and endurance which affect the running efficiency. It is a possible treadmill.

Claims (1)

달리기 운동을 목적으로 좌측프레임(1)과 우측프레임(2)의 중앙에 런닝벨트(5)가 위치되고, 전단부에 좌우수직프레임(3)(4)가 직설되고, 상측에 콘솔(6)이 안전손잡이(7)과 일체로 조림된 종래의 달리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고정프레임(24) 중앙에 직립된 브라켓(17)에 연동프레임(14)가 고정되고, 일측에 연동핀(18)과 일체로 연결된 크랭크(19) 하단에는 가이드레일(26)과 연접되어 움직이는 캐스터(25)가 설치되었으며, 상기 크랭크(19)의 양측을 회전축(20)으로 직교된 것을 일측에 나선회전봉(21)이 구비된 인크라인 모터(22)로 상기의 연동프레임(14)를 상하 오르막 경사 및 내리막 경사가 가능하게 하며, 고정프레임(24) 중앙에 설치된 감속모터(32)를 이용해 하단의 스프로켓(30)을 회전시켜 체인(31)과 치합되고, 좌우 양 끝에 설치된 높이조절자(29)와 연결되고, 우측연동받침(33)과 동일축상에 결합되어 좌측고정받침(28)과 좌우균형을 이루고 있어 스프로켓(30)의 회전에 따라 그곳의 높이조절자(29)가 동시에 회전하여 나선축(36)을 따라 오르고 내리면서 고정프레임(24)의 좌우경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상하 및 좌우 경사조절이 가능한 런닝머신.The running belt 5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eft frame 1 and the right frame 2 for the purpose of the running motion, and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3 and 4 are direct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console 6 at the upper side. In the conventional running exercise equipment simmered integrally with the safety handle (7), the interlocking frame (14) is fixed to the bracket (17) standing upright in the center of the fixed frame (24), and the interlocking pin (18) on one side An integrated caster 2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rank 19 which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26, and a spiral rotating rod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rank 19 that is orthogonal to the rotation shaft 20. The incline motor 22 provided allows the interlocking frame 14 to be inclined up and down and up and down, and the sprocket 3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using the reduction motor 32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ixed frame 24. Rotating is engaged with the chain 31,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er 29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the right It is coupled to the same axis with the copper support 33 forms a left and right balance with the left fixed support 28, the height adjuster 29 there is rotated at the same tim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procket 30 along the spiral axis 36 Running machine tha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nclination configured to control the right and left inclination of the fixed frame 24 while moving up and down.
KR2020020013984U 2002-05-07 2002-05-07 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KR2002871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84U KR200287195Y1 (en) 2002-05-07 2002-05-07 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84U KR200287195Y1 (en) 2002-05-07 2002-05-07 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195Y1 true KR200287195Y1 (en) 2002-08-29

Family

ID=7312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984U KR200287195Y1 (en) 2002-05-07 2002-05-07 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19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3185A1 (en) * 2013-03-14 2014-09-25 Icon Health & Fitness, Inc. Treadmills with adjustable decks and related methods
KR101530562B1 (en) * 2014-04-29 2015-06-22 주식회사 소닉월드 The vibratory motion equipment using motion actuator and sound wave actuator
KR101937424B1 (en) * 2017-09-29 2019-01-11 전자부품연구원 Infinite Walking Experienc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3185A1 (en) * 2013-03-14 2014-09-25 Icon Health & Fitness, Inc. Treadmills with adjustable decks and related methods
KR101530562B1 (en) * 2014-04-29 2015-06-22 주식회사 소닉월드 The vibratory motion equipment using motion actuator and sound wave actuator
KR101937424B1 (en) * 2017-09-29 2019-01-11 전자부품연구원 Infinite Walking Experienc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5708B (en) Pedal path for stepping machine
US5186697A (en) Bi-directional stair/treadmill/reciprocating-pedal exerciser
US6855093B2 (en) Stairclimber apparatus pedal mechanism
TWI646995B (en) Vertical stepper
US8128535B2 (en) Exercise device for cross training
US7731635B2 (en) Cross training exercise device
US7153238B2 (en) Stairclimber apparatus pedal mechanism
US7704192B2 (en) Elliptical exercise equipment with adjustable stride
US6761667B1 (en) Hiking exercise apparatus
KR100831240B1 (en) Arc climber
US20060281604A1 (en) Cross training exercise device
US7780577B2 (en) Pendulous exercise device
US20060287168A1 (en) Method of using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kating movement
EP2223722A1 (en) Adaptive motion exercise device with plural crank assemblies
CN1512903A (en) Exercise machine
US20110294627A1 (en) Oval Transmission Structure
KR200287195Y1 (en) Treadmill for can be lifting up, down and Turn left, right with control.
KR101018283B1 (en) An apparatus for walking exercise with variable walking trace
CN2748120Y (en) Elliptic motion exercising apparatus
WO2012024812A1 (en) Mountaineer climbing machine
JP3118248U (en) Body training machine
KR200454233Y1 (en) Non-motorized Climbing Health Stepper
KR101498703B1 (en) Step Cycle Type Exercising Machine for Train Body Having Variable Slope with Interworking Function for Contents
KR20120003518U (en) Ladder rising health stepper which does not use an electric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