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13Y1 - Sound sensitive vibrator - Google Patents

Sound sensitive vib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13Y1
KR200286413Y1 KR2020020015494U KR20020015494U KR200286413Y1 KR 200286413 Y1 KR200286413 Y1 KR 200286413Y1 KR 2020020015494 U KR2020020015494 U KR 2020020015494U KR 20020015494 U KR20020015494 U KR 20020015494U KR 200286413 Y1 KR200286413 Y1 KR 200286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vibration
receiving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순안
Original Assignee
황순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안 filed Critical 황순안
Priority to KR2020020015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13Y1/en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음압수신부(2)와; 상기 음압수신부(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범위별로 분리하여 이에 해당하는 진동부(4)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조절부(3)와; 상기 조절부(3)로부터 구동전류를 입력받아 물리적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진동자(8)들로 구성되는 진동부(4)와; 상기 음향의 수신감도, 증폭률 또는 조절부(3)의 출력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감도조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sensing vib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for receiving at least external sounds and converting them into electrical signals; An adjusting unit (3)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separating the unit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and outputting a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vibrating unit (4); A vibration unit 4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brators 8 for receiving a driving current from the control unit 3 and generating physical vibrations; It provides a sound-sensing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sensitivity adjusting unit (5) for adjus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amplification rate or the output intensity of the control unit (3) of the sound.

본 고안은 소리 또는 음악에 따라 진동부(4)의 진동 강도와 형태가 변화되므로 무작위 형태의 안마 효과가 있어서 장시간 컴퓨터 사용 등으로 인한 다리나 허리 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힘의 배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리나 음악을 귀로만 지각하고 즐기지 않고 소리나 음악에 따라 진동의 강약과 형태를 동기되어 촉각적으로 몸으로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시간의 컴퓨터 작업 등에 있어서도 지루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intensity and shape of the vibration unit 4 according to sound or music, so there is a random massage effect so that the distribution of power can be prevented so as not to cause leg or back numbness due to prolonged computer use. In addition, the sound and music are not perceived and enjoyed only by the ear, but the strength and form of vibration can be synchronously felt according to the sound or music, so that the body can feel it tactilely. have.

Description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 {SOUND SENSITIVE VIBRATOR}Sound Sensing Vibrator {SOUND SENSITIVE VIBRATOR}

본 고안은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음성, 음향 등의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방석, 발맛사지기, 인형 등의 진동 정도를동기시킬 수 있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sensing vib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sensing vibrating device that can receive sound information such as external voices and sounds, thereby synchronizing vibrations of cushions, foot massagers, dolls, and the like. .

일반적으로 사람의 말소리, 음악, 소음 등의 소리 정보는 매질을 통하여 음파의 형태로 전달되는데, 이를 전기적 신호로 가공하여 활용하기 위한 메카니즘은 여러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일례를 들면, 진동판을 통하여 음파를 수신하고, 그 진동판의 떨림 정도에 따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다시 역으로 진동판을 움직여서 음파를 형성시키는 스피커에 의하여 소리 정보를 재생시키는 오디오 시스템을 들 수 있다.In general, sound information such as human speech, music, and noise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sound waves through a medium, and mechanisms for processing and using them as electrical signal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sound information is received by a microphone that receives sound waves through a diaphragm and converts them into electrical signals according to the vibration degree of the diaphragm, and a speaker that forms sound waves by again moving the diaphragm in response to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microphone. And an audio system for playing back.

그러나 최근에는 이렇게 단순히 소리를 소리로 다시 재생시키는 단계에서 벗어나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고, 그 예를 들면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일련의 전등에 흐르는 전류 제어신호로 활용함으로써 소위 음악 무드등을 구현하는 경우이다.Recently, however,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have been attempted, instead of simply regenerating the sound back to sound. For example, after receiving sound information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 current control signal flowing through a series of lights is applied. It is a case of implementing the so-called music mood by utilizing.

한편, 소리 정보와 상관없이 일정한 진동만을 구현하는 장치도 다수 출현하고 있는데, 예컨대 미리 정해져 있는 일정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또는 이러한 프로그램 없이도 다수의 진동자로 구성되는 진동부를 구동시켜서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발맛사지기, 진동 안마기, 진동 의자, 진동 방석 등도 구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a number of devices that implement only a constant vibration irrespective of the sound information, for example, by generating a vibration by the electric energy by driving a vibration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ibrators b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rogram or without such a program. Foot massagers, vibration massagers, vibration chairs and vibration cushions are also implemented.

상기 오디오 시스템, 음악 무드등, 발맛사지기 등의 구성은 매우 간단하고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audio system, music mood, foot massager, etc. is very simple and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그런데, 최근의 경향을 보면 사람들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의자에 앉아서 지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다리 저림 현상이나 척추의 만곡 또는 저림, 통증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도 이러한 각종 신체부위의 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힘의 배분을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의 출현이 고대되고 있다.However, the recent trend is that as people spend more time using computers, they spend more time sitting on chairs, resulting in numbness of the legs, curvature or numbness of the spine, and pain. Therefore, the emergence of a system capable of distributing power to prevent such numbness of various body parts while using a computer is anticipated.

또한, 최근의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는 음악 구현을 위한 시스템이 예외없이 갖추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이를 활용하여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하여 음악을 즐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지만, 단순히 음악을 귀로만 즐기기보다는 보다 입체적으로 촉각을 통하여 또는 음악적 진동을 통하여 즐기려는 욕구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recent personal computer systems tend to be equipped with a system for realizing the music without exception, so that many users enjoy music through speakers or earphones, but they feel more three-dimensional tactile sensations than simply enjoy music with their ears. There is a desire to enjoy through or through musical vibrations.

그런데, 상기 음악 무드등의 경우에는 컴퓨터 사용과 병행하는 경우에는 컴퓨터 모니터에 반사되거나 주변 광도를 수시로 변화시킴으로써 시각적 장애를 발생할 우려가 많고 진동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music mood, such as when using a compu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a visual impairment by the reflection on the computer monitor or by changing the ambient brightness from time to time and there is no vibration effect.

또한, 발맛사지기나 진동 방석 등의 경우에는 소리나 음악과 관계없이 일정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소리나 음악에 동기되는 진동을 느끼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oot massager or vibration cush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atisfy the desire of people who want to feel the vibration synchronized with sound or music because it is driven by a certain program irrespective of sound or music.

또한, 농아자들의 경우에는 음악을 직접 청각에 의하여 감지할 수 없으므로 촉각이나 진동을 통한 음악의 향유의 필요성이 있으나, 음악과 동기되어 음악적 진동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deaf people, there is a need to enjoy music through tactile or vibration because music cannot be directly sensed by hearing, but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device configured to implement musical vibr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music.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리나 음악을 귀로만 지각하고 즐기지 않고 몸으로도 느낄 수 있도록 소리나 음악에 따라 진동의 강약과 형태를 동기시킬 수 있고, 안마 효과에 의하여 장시간 앉아있는 사용자의 다리나 척추 저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synchronize the strength and shape of vibration according to sound or music so that the body can feel it without perceiving and enjoying sound or music only with ears, and massage effec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ound-sensing vibration device that can suppress the user's legs or spine numbness phenomenon sitting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고안의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의 회로 블럭도,1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sound sensing vib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의 외관 구성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und sensing vib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진동부와 그 외부의 외장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portion of the vibrating portion and the exterior of the subject innova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케이스 2 : 음압수신부1: case 2: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3 : 조절부 4 : 진동부3: adjuster 4: vibrator

5 : 감도조정부 6 : LED5: sensitivity adjustment unit 6: LED

7 : 조정기 8 : 진동자7: adjuster 8: vibrator

9 : 외장부 10, 11 : 쿠션층9: exterior parts 10, 11: cushion laye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음압수신부(2)와; 상기 음압수신부(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범위별로 분리하여 이에 해당하는 진동부(4)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조절부(3)와; 상기 조절부(3)로부터 구동전류를 입력받아 물리적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진동자(8)들로 구성되는 진동부(4)와; 상기 음향의 수신감도, 증폭률 또는 조절부(3)의 출력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감도조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for receiving at least an external sound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 adjusting unit (3)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separating the unit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and outputting a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vibrating unit (4); A vibration unit 4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brators 8 for receiving a driving current from the control unit 3 and generating physical vibrations; It provides a sound-sensing vibration device comprising a sensitivity adjusting unit (5) for adjus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amplification rate or the output intensity of the control unit (3) of the sound.

또한, 여기서 상기 진동부(4)의 진동자(8)들의 외부를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외장부(9)는 쿠션층(10 또는 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9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vibrator (8) of the vibrator (4) provides a sound sensing vib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shion layer (10 or 11). do.

그리고, 상기 진동부(4)의 진동자(8)들의 외부를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외장부(9)는 옥메트 또는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함유한 메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xterior portion 9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vibrators 8 of the vibrator 4 provides a sound sensing vib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ro is composed of ocmet or bioceramic material. .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어떠한 형태로든지 신체와 진동부(4)가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하여 진동부(4)의 진동이 피부의 촉각을 통하여 전달되어 근육이나 신경, 골격에 전달됨으로써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동부(4)는 그 전체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한 것이며, 예컨대 방석, 의자의 쿠션, 허리벨트, 보료, 발맛사지기 발판, 신발 밑창 등으로 응용되어 가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and the vibrator 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4 is transmitted through the tactile sense of the skin to be delivered to the muscles, nerves, or skeleton, thereby producing an effect. Therefore, the vibrator portion 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cess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whole, for example, cushions, cushions of chairs, waist belts, care, foot massagers footboards, shoe soles, etc. Can be.

도 1은 본 고안의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의 회로 블럭도이다.1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sound sensing vib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적어도 음압수신부(2)와; 조절부(3)와; 진동부(4)와; 감도조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a negative pressure receiving unit (2); Adjusting section 3; A vibration unit 4; And a sensitivity adjusting section 5.

여기서 상기 음압수신부(2)는 본 고안의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의 외부의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 음압수신부(2)는 소리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무선 음향 센서나 마이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반드시 무선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으로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의 출력이나 오디오의 라인아웃 출력인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그대로 또는 증폭 등의 과정을 거쳐서 출력하는 장치이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음압수신부(2)의 출력은 소리의 음파 정보가 변환된 전기적 신호이다.The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is a device for receiving the external sound of the sound-sensing vib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acoustic sensor or a microphone that converts sound informa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wireless device, and outputs a computer sound card or a line out of audio by wire. It is sufficient if the device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as an output and outputs it as it is or through amplification. Therefore, the output of the sound pressure receiver 2 is an electrical signal obtained by converting sound wave information of sound.

또한, 상기 조절부(3)는 상기 음압수신부(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범위별로 분리하여 이에 해당하는 진동부(4)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장치인데,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는 음향 레벨 메터를 그대로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3)에는 미도시된 전원 입력부와 주파수 분리용 회로 및 출력 구동전류 조절용 전자적 스위치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djusting unit 3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and separates it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and outputs the vibration unit 4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hereto. The sound level meter can be used as it i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 includes a power input unit, a frequency separation circuit, and an electronic switch for output drive current adjustment.

또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3)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적어도 주파수별로 하이, 미들, 로우의 3단계로 분리하여 진동부(4)의 진동자(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3단계가 아니라 2단계로 출력하거나, 더욱 세분화하여 n단계로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출력이 세분화되면 소리 또는 음악의 변화에 따라 보다 세밀한 진동 표현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진동의 감촉이 보다 세밀해지게 되어 만족감이 고조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djusting unit 3 separates the current into the three stages of high, middle, and low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input to drive the vibrator 8 of the vibrator 4. Can be configured to output. In this case, the output may be output in two steps instead of three steps, or may be configured to be output in n steps. When the output is subdivided, the vibration can be expressed more precise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ound or the music, so the feeling of vibration that the user feels becomes more detailed,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그리고, 상기 진동부(4)는 상기 조절부(3)로부터 구동전류를 입력받아 물리적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진동자(8)들로 구성되는 장치이다. 상기 진동자(8)는 전기적 신호의 인가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면 족하며, 따라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여러 종류의 진동자(8)들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vibrator 4 is a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brators 8 for generating a physical vibration by receiving a driving current from the control unit 3. If the vibrator 8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it is sufficient, and therefore, various types of vibrators 8 that are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may be employ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감도조정부(5)는 상기 음압수신부(2)의 음향의 수신감도나, 증폭기의 증폭률 또는 조절부(3)의 출력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감도조정부(5)에는 가변저항 또는 가변컨덴서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조정기(7)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진동의 감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다.The sensitivity adjusting unit 5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sound of the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amplifier, or the output intensity of the adjusting unit 3. The sensitivity adjusting unit 5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vibration by installing a regulator 7 having a variable resistor or a variable capacitor as a main component.

도 2는 본 고안의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의 외관 구성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진동부(4)는 외장부(9)에 에워싸여 있으며, 그 진동부(4)를 구성하는 진동자(8)들은 총 9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 전체적인 형태는 방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진동부(4)의 형태의 응용은 이에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의자의 쿠션, 발맛사지기의 발판, 신발 밑창 등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며, 진동자(8)의 갯수도 응용 형태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sound sensing vib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vibrator portion 4 is surrounded by the exterior portion 9, and a total of nine vibrators 8 constituting the vibrator portion 4 are illustrated, and the overall shape thereof is a cushion. It takes the form of.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form of the vibrator 4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chair cushion, a foot massager foot, a shoe sole, and the like. The number of vibrators 8 may also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orm. Of course it can.

또한, 전원의 인가 상황 또는 수신되는 음파의 전기적 신호의 강약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LED(6)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도 2에 있어서 케이스(1)의 전면 측벽에 음압수신부(2)가 설치되고, 상면에 LED(6)와 조정기(7)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도면에 나타낸 부품의 예시적 배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기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부품의 배치도 가능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an LED 6 may be provided to indicate the power supply status or the strength or weakness of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received sound wave. In FIG. 2, the negative pressure receiving unit 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wall of the case 1, and the LED 6 and the regulator 7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but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arrangement of the illustrated components, and any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may be possible as long as the components implement the same electrical functions.

도 3은 본 고안의 진동부와 그 외부의 외장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portion of the vibrating portion and the exterior of the subject innovation.

여기서, 상기 진동부(4)의 진동자(8)들의 외부를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외장부(9)는 쿠션층(10 또는 11)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진동부(4) 및 외장부(9)가 방석이나 의자에 응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쿠션층(10 또는 11)에 의하여 진동자(8)의 진동이 신체적 접촉부위에 부드러운 자극을 주게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더라도 푹신한 감촉을 유지하므로 그대로 방석이나 의자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Here, the exterior part 9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vibrators 8 of the vibrator 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ushion layer 10 or 11. In this case, when the vibration part 4 and the exterior part 9 are applied to a cushion or a chair, the vibration of the vibrator 8 gives a soft stimulus to the physical contact area by the cushion layer 10 or 11. There is an effect, and even if the power supply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fluffy texture, it can be used as a cushion or a chair as it is.

또한, 상기 진동부(4)의 진동자(8)들의 외부를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외장부(9)는 옥메트 또는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함유한 메트로 구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erior portion 9 provided to enclose the outside of the vibrators 8 of the vibrator 4 may b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metro containing ocmet or bioceramic material.

상기 옥 또는 바이오세라믹 소재는 물리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외장부(9)의 표면 또는 내부에 주재질과 함께 섞이도록 가공될 수도 있고, 알갱이의 형태로 주재질과 독립성을 유지한 상태로 부착 또는 설치되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재를 가지는 메트에 의하여 진동 기능과 관계없이 건강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jade or bioceramic material may be processed to be mixed with the main material on the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exterior part 9 by a physicochemical method, and may be attached or installed while maintaining independence with the main material in the form of granules. It may be processed. Therefore, the mat having such a material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health regardless of the vibration function.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그 동일성 내지 균등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나 도면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range of maintaining the sameness or uniform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the embodiment or the drawings. Of cours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소리 또는 음악에 따라 진동부(4)의 진동 강도와 형태가 변화되므로 무작위 형태의 안마 효과가 있어서 장시간 컴퓨터 사용 등으로 인한 다리나 허리 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힘의 배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리나 음악을 귀로만 지각하고 즐기지 않고 소리나 음악에 따라 진동의 강약과 형태를 동기되어 촉각적으로 몸으로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시간의 컴퓨터 작업 등에 있어서도 지루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has a random massage effect because the vibration intensity and shape of the vibrator 4 is changed according to sound or music, so that the leg or waist jerking due to prolonged computer use does not occur. Not only can the distribution be realized, but the sound and music are not perceived and enjoyed only by the ears, but the strength and shape of the vibration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sound or music to feel the body tactilely. It's a very practical design that doesn't get boring.

Claims (3)

적어도 외부의 소리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음압수신부(2)와; 상기 음압수신부(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리 정해져 있는 주파수 범위별로 분리하여 이에 해당하는 진동부(4) 구동전류를 출력하는 조절부(3)와; 상기 조절부(3)로부터 구동전류를 입력받아 물리적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진동자(8)들로 구성되는 진동부(4)와; 상기 음향의 수신감도, 증폭률 또는 조절부(3)의 출력강도를 조정하기 위한 감도조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A sound pressure receiver 2 for receiving at least external sound and converting the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 adjusting unit (3)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ound pressure receiving unit (2), separating the unit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range, and outputting a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vibrating unit (4); A vibration unit 4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brators 8 for receiving a driving current from the control unit 3 and generating physical vibrations; And a sensitivity adjusting unit (5) for adjusting the reception sensitivity, the amplification ratio, or the output intensity of the control unit (3) of the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4)의 진동자(8)들의 외부를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외장부(9)는 쿠션층(10 또는 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The sound-sensing vib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ior part (9)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vibrators (8) of the vibration part (4)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shion layer (10 or 11).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4)의 진동자(8)들의 외부를 에워싸도록 구비되는 외장부(9)는 옥메트 또는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함유한 메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감지형 진동장치.The sound sensing vib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ior part (9)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vibrators (8) of the vibrator part (4) comprises a metro containing an ocmet or bioceramic material. Device.
KR2020020015494U 2002-05-21 2002-05-21 Sound sensitive vibrator KR2002864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94U KR200286413Y1 (en) 2002-05-21 2002-05-21 Sound sensitive vib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94U KR200286413Y1 (en) 2002-05-21 2002-05-21 Sound sensitive vib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13Y1 true KR200286413Y1 (en) 2002-08-21

Family

ID=7307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94U KR200286413Y1 (en) 2002-05-21 2002-05-21 Sound sensitive vib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13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902B1 (en) 2011-11-22 2012-02-29 이춘우 Music-appreciating apparatus for feeling music by interlocking sound waves of keyboard instrument
KR101145251B1 (en) 2011-11-21 2012-05-24 이춘우 Music-appreciating apparatus for feeling music by interlocking sound waves of string instrument
KR101607091B1 (en) * 2014-01-27 2016-03-29 주식회사 필룩스 Multi-vibr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251B1 (en) 2011-11-21 2012-05-24 이춘우 Music-appreciating apparatus for feeling music by interlocking sound waves of string instrument
WO2013077603A1 (en) * 2011-11-21 2013-05-30 Lee Chun-Woo Music playing apparatus allowing music to be felt in connection with the sound waves of a string instrument
KR101119902B1 (en) 2011-11-22 2012-02-29 이춘우 Music-appreciating apparatus for feeling music by interlocking sound waves of keyboard instrument
KR101607091B1 (en) * 2014-01-27 2016-03-29 주식회사 필룩스 Multi-vibr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0646A1 (en) Wearable Tactile Subwoofer and Its Use
US8027491B2 (en) Contact speaker
US81398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sound
US20020065477A1 (en) Audio interactive sexual vibrator
US20060036201A1 (en)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pad and system
KR20160065839A (en) Multistage tactile sound device
JP2001086580A (en) Method and device for expressing vibration music
US118779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al stimulation
US2019004638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assage device and massage system incorporating such a device
JP2554224B2 (en) Relaxation system
KR10144182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motional state using frequency following response
WO2015142287A1 (en) Sound and vib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KR200286413Y1 (en) Sound sensitive vibrator
US11202142B2 (en) Vibration generation system, signal generator, and vibrator device
JP2021073749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2227922Y (en) Chair with music
KR20150143908A (en) A stereophonic sound chair
JPH07245793A (en) Simple mount vibrator device
CN111148497B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sensory stimulation
JP6865126B2 (en) Voice generator
WO1987004630A1 (en) Sleep and relaxation promoting aid
JP2020043393A (en) Bone vibration sens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10074366A (en) A chair for virtual experience
WO2023245786A1 (en) Fingertip tactile feedback apparatus based on weighted amplitude-frequency vibration superposition
JP3154555U (en) EEG ind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