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169Y1 - 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169Y1
KR200267169Y1 KR2020010036370U KR20010036370U KR200267169Y1 KR 200267169 Y1 KR200267169 Y1 KR 200267169Y1 KR 2020010036370 U KR2020010036370 U KR 2020010036370U KR 20010036370 U KR20010036370 U KR 20010036370U KR 200267169 Y1 KR200267169 Y1 KR 200267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vacuum cleaner
gear
brushe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호균
Original Assignee
김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균 filed Critical 김호균
Priority to KR2020010036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16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169Y1/en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연결되어 바닥의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브러쉬가 장착된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구체의 내부에 한쌍의 브러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브러쉬가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쉽게 빨아 올려지지 않는 비중이 큰 무거운 쓰레기 또는 카페트, 이불 등의 구석에 붙거나 박혀있는 먼지 등을 브러쉬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가운데 부분으로 용이하게 긁어 올리도록 되어 있는 브러쉬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inlet which is connected to a vacuum cleaner and is equipped with a brush for sucking dust on the floor, wherein a pair of brushes are mounted inside the suction inlet and the pair of brushes are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Each brush is equipped with a brush that can easily scrape heavy garbage that is not easily sucked up or dust stuck to the corners of carpets, blankets, etc. to the center by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brush. It relates to a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연결되어 바닥의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브러쉬가 장착된 흡입구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구체의 내부에 한쌍의 브러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브러쉬가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쉽게 빨아 올려지지 않는 비중이 큰 무거운 쓰레기 또는 카페트, 이불 등의 구석에 붙거나 박혀있는 먼지 등을 브러쉬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가운데 부분으로 용이하게 긁어 올리도록 되어 있는 브러쉬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inlet which is connected to a vacuum cleaner and is equipped with a brush for sucking dust on the floor. More specifically, a pair of brushes are mounted inside the suction inlet, and the pair of brushes is counterclockwise. It is rotated clockwise and clockwise, so it is easy to scrape heavy garbage that is not easily sucked up or dust stuck to the corners of carpets, blankets, etc. to the center by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brush. The suction inlet of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brush.

종래의 브러쉬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는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제거하기 위해 한개의 브러쉬만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어 바닥의 먼지를 쓸어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집진하게 되어 있으나, 이 경우 바닥에 놓여 있는 작은 크기의 가벼운 먼지의 제거에는 적합하나 비중이 커서 무거운 쓰레기의 제거를 위해서는 흡입력을 높히기 위해 대형 흡입 모터를 설치한 대용량의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야 했으며, 먼지가 붙거나 박혀있는 카페트, 이불 등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구석의 먼지를 사용자가 손이나 기타 기구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먼지를 털어내면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흡입,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suction inlet of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brush, only one brush is oper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to suck and remove the dust on the floor, and the dust on the bottom is collected to collect the dust inside the vacuum cleaner. It is suitable for the removal of small sized light dust on the floor. However, in order to remove heavy garbage, a large-sized vacuum cleaner with a large suction motor has to be used to increase the suction power. In order to remove dust such as blanket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inhales and removes dust from a corner using a vacuum cleaner while artificially shaking off dust using a hand or other apparatus.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용량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중이 큰 무거운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하고, 카페트나 이불 등의 구석에 붙거나 박혀 있는 먼지도 브러쉬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브러쉬가 장착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remove heavy trash without the use of a large-capacity vacuum cleaner, and dust stuck to or stuck in the corners of carpets and duvets by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brus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ction port of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brush that can be easily remov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쌍의 브러쉬를 흡입구체의 하부 내측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브러쉬들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흡입구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하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한쌍의 브러쉬로 전달시켜 앞쪽 브러쉬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뒤쪽 브러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pair of brushes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inlet,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brushes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inlet, and the driving force is transferred from the motor to the pair of brushes 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brush is configured to rotate counterclockwise and the rear brush to rotate clockwise.

도 1A는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의 저면도Figure 1A is a bottom view of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2B는 도 1A의 일부절개도2B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FIG. 1A

도 2A는 본 고안의 구동부의 개략도2A is a schematic view of a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2B는 도 2A의 좌측면도2B is a left side view of FIG. 2A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일부절개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ial incision of the suction inlet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흡입구체 200 : 본체부100: suction port 200: main body

300 : 구동부 400 : 브러쉬부300: drive unit 400: brush unit

1 : 바디 2a, 2b, 2c, 2d : 바퀴1: body 2a, 2b, 2c, 2d: wheels

5 : 모터 8 : 모터샤프트5: motor 8: motor shaft

9a, 9b, 9c, 9d : 기어 10a, 10b : 지지편9a, 9b, 9c, 9d: gear 10a, 10b: support piece

12a, 12b : 브러쉬 13a, 13b : 브러쉬축12a, 12b: Brush 13a, 13b: Brush Axis

14a, 14b : 브러쉬올14a, 14b: Brush All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100)는 진공청소기에 연결되어 바닥의 먼지 등을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200), 구동부(300), 브러쉬부(400)로 구성된다.The suction inlet 100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to suck dust from the floor, and is composed of a main body part 200, a driving part 300, and a brush part 400.

본체부(200)는 내부에 흡입구체(100)의 구동부(300)와 브러쉬부(400)가 설치되는 케이스부분으로서, 도 1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와 바퀴(2a)(2b)(2c)(2d)로 구비되어 있다.The main body 200 is a case part in which the driving unit 300 and the brush unit 400 of the suction inlet 100 are installed therein, and the body 1 and the wheel 2a are illustrated in FIGS. 1A and 2B. (2b) (2c) and 2d.

바디(1)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100)의 틀을 이루는 부분으로 통상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와는 달리 모터(5), 기어(9a)(9b)(9c)(9d), 지지편(10a)(10b)이설치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바퀴(2a)(2b)(2c)(2d)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100)가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1)의 저면 네 귀퉁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The body 1 forms a frame of the suction inlet 100 of the vacuum cleaner, and unlike the suction inlet of the vacuum cleaner, the motor 5, the gears 9a, 9b, 9c, 9d, and support pieces (10a) (10b) is provided in the space is provided therein, the wheels (2a) (2b) (2c) (2d) is to allow the suction inlet 100 of the vacuum cleaner to move naturally when using the vacuum cleaner body It is provided in four corners of the bottom of (1).

구동부(300)는 본체부(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브러쉬부(400)에 회전력을 발생시켜 전달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 기어(9a)(9b)(9c)(9d), 지지편(10a)(10b)으로 구비되어 있다.The driving part 3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200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brush part 400, as shown in FIGS. 2A and 2B, and the motor 5 and the gear 9a ( 9b), 9c, 9d, and support pieces 10a, 10b.

모터(5)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입구체(100)의 내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모터샤프트(8)의 끝단에는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기어(9a)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좌우측에 각각 맞물려 있는 기어(9b)(9c)를 기어구동시켜 좌측의 기어(9c)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우측의 기어(9b)에 맞물려 있는 기어(9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기어(9c)와 상기 기어(9d)에 고정 부착된 브러쉬축(13a)과 브러쉬축(13b)을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motor 5 is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is fixed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intake port 100. The end of the motor shaft 8 is fixed to the gear 9a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nd rotated clockwise. Gears 9b and 9c enga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geared to rotate counterclockwise, and gears 9d engaged on the gear 9b on the right are clockwise. The brush shaft 13a and the brush shaft 13b which are provided to rotate and fixedly attached to the gear 9c and the gear 9d are respectively configured to rotate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상기 브러쉬축(13a)(13b)과 기어(9a)(9b)(9c)(9d)는 지지편(10a)(10b)에 의해 본체부(200)의 바디(1)에 지지되어 있다.The brush shafts 13a, 13b and the gears 9a, 9b, 9c, and 9d are supported by the body 1 of the main body 200 by the support pieces 10a and 10b.

브러쉬부(400)는 구동부(3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청소를 행하는 부분으로서, 도 1A, 도 1B,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12a)와 브러쉬(12b)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브러쉬(12a)와 브러쉬(12b)는 수 많은 브러쉬올(14a)(14b)이 브러쉬축(13a)(13b)에 수직방향으로 심어져 있으며, 브러쉬(12a)는 모터(5)에 의한 기어구동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브러쉬(12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먼지나 쓰레기 등은 브러쉬(12a)와 브러쉬(12b)의 가운데 부분으로 모여지고 브러쉬(12a)와 브러쉬(12b)사이에 끼이게 되어 긁어 올려짐으로써 진공청소기 내부로 용이하게 빨려들게 되어 있으며, 카페트, 이불 등의 구석에 붙거나 박혀있는 먼지를 브러쉬(12a)(12b)가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브러쉬(12a)(12b)에 구비된 브러쉬올(14a)(14b)이 카페트나 이불 등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면서 털어내어 용이하게 제거하게 되어 있다.The brush unit 400 is a portion for cleaning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unit 300, as shown in Figs. 1A, 1B, and 3 comprises a brush (12a) and a brush (12b), the brush ( 12a) and the brush 12b are a number of brushes 14a, 14b are plan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ush shaft 13a, 13b, and the brush 12a is half-driven by the gear drive by the motor 5. The brush 12b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dust and garbage ar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brush 12a and the brush 12b and between the brush 12a and the brush 12b. It is pinched and scraped up so that it is easily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and the brushes 12a and 12b rotate in both directions to the brushes 12a and 12b. Brushed brushes 14a and 14b are provided with carpets and duvets. It is easy to remove by whipping while continuously hitting.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100)를 청소할 부분으로 이동시켜 모터(5)를 구동시키면 기어(9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9a)의 좌측에 맞물려 있는 기어(9c)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기어(9c)와 그 중심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축(13a)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기어(9a)의 우측에 맞물려 있는 기어(9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9b)에 맞물려 있는 기어(9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기어(9d)와 그 중심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브러쉬축(13b)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비중이 큰 무거운 쓰레기가 브러쉬(12a)와 브러쉬(12b)의 가운데 부분으로 긁어 올려져서 진공 청소기의 내부로 쉽게 빨려 들고, 또한 카페트, 이불 등의 구석에 붙거나 박혀 있는 먼지는 브러쉬올(14a)(14b)이 연속적으로 타격하면서 털리고 긁어 올려져서 진공 청소기의 내부로 쉽게 빨려든다.When the suction port 100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the part to be cleaned, and the motor 5 is driven, the gear 9a rotates clockwise and the gear 9c meshed with the left side of the gear 9a is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brush shaft 13a in which the gear 9c and its center are integrally fixed als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gear 9b meshed with the right side of the gear 9a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gear 9d meshed with the gear 9b rotates clockwise, and the gear 9d and its center are integrally fixed. The brush shaft 13b also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heavy wastes with high specific gravity are scraped up into the centers of the brushes 12a and 12b and are easily sucked into the vacuum cleaner. The dust stuck or lodged in the corner is easily blown into the inside of the vacuum cleaner by being brushed and scraped up while the brushols 14a and 14b are continuously hit.

본 고안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는 한쌍의 브러쉬를 흡입구체의 하부 내측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브러쉬들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흡입구체의 내부에 설치하여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브러쉬로 전달시키는데, 앞쪽 브러쉬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뒤쪽 브러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대용량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중이 큰 무거운 쓰레기를 한쌍의 부러쉬 사이로 끌어 올려 제거 가능하고, 카페트, 이불 등의 구석에 붙거나 박혀있는 먼지도 털어내어 깨끗히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air of brushes side by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uction port, and installs a motor for rotating the brushes inside the suction port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to the brush, The front brush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rear brush is rotated clockwise to remove and remove heavy heavy waste between a pair of brushes without using a large vacuum cleaner. It also removes studded dust and cleans it.

Claims (1)

본체부와 구동부와 브러쉬부로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에 있어서, 구동부(300)는 본체부(200)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브러쉬부(400)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부분으로 모터(5)에 의한 기어구동으로 기어(9c)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9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브러쉬부(400)는 구동부(3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청소를 행하는 부분으로서 두개의 브러쉬(12a)(12b)가 서로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브러쉬(12a)의 브러쉬축(13a)은 기어(9c)와, 브러쉬(12b)의 브러쉬축(13b)은 기어(9d)와 각각 일체로 되어 있어 상기 모터(5)의 기어구동으로 브러쉬(12a)와 브러쉬(12b)가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청소시 비중이 큰 무거운 쓰레기 또는 카페트, 이불 등의 구석에 붙거나 박혀 있는 먼지가 브러쉬(12a)와 브러쉬(12b) 사이의 가운데 부분으로 모이게 되고 브러쉬(12a)에 형성된 브러쉬올(14a)과 브러쉬(12b)에 형성된 브러쉬올(14b)의 가운데 사이에 끼어서 긁어올려 짐으로써 진공청소기 내부로 용이하게 흡입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In the suction port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a main body, a driving part and a brush part, the driving part 3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art 200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brush part 400. By driving, the gear 9c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gear 9d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brush part 40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part 300 to clean the two brushes ( 12a and 12b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brush shaft 13a of the brush 12a is integral with the gear 9c, and the brush shaft 13b of the brush 12b is integral with the gear 9d, respectively. Since the brush 12a and the brush 12b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in both directions by the gear driving of the motor 5, the corners of heavy garbage or carpets and duvets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during cleaning Dust stuck or lodged in The vacuum cleaner is gathered into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brush 12a and the brush 12b and is caught between the brushol 14a formed in the brush 12a and the brushol 14b formed in the brush 12b and scraped up. The suction inlet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is easily removed inside.
KR2020010036370U 2001-11-26 2001-11-26 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KR20026716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70U KR200267169Y1 (en) 2001-11-26 2001-11-26 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70U KR200267169Y1 (en) 2001-11-26 2001-11-26 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169Y1 true KR200267169Y1 (en) 2002-03-09

Family

ID=7311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70U KR200267169Y1 (en) 2001-11-26 2001-11-26 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16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57B1 (en) * 2002-03-04 2005-03-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Suction brush assembly having a rotating roller for sweeping du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57B1 (en) * 2002-03-04 2005-03-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Suction brush assembly having a rotating roller for sweeping du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21281A1 (en) Vacuum cleaner having a brush with a floor cloth
RU2362478C2 (en) Double-sided suc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EP2016882B1 (en)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AU2002313986A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JP3771845B2 (en) Wet vacuum cleaner brush
KR19980023805A (en) Brush Drive for Vacuum Cleaner
JP2008104627A (en) Cleaner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JP263915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267169Y1 (en) An inhaler of the vacuum cleaner
KR200312080Y1 (en) Dustcloth cleaner
JP2008178615A (en) Vacuum cleaner
KR101425928B1 (en) A Vacuum cleaner with mop
CN214301487U (en) Cleaning device is used in road construction convenient to use
JPH10165904A (en) Portable filter cleaning device
CN220192890U (en) Cleaning device
KR20090129114A (en) Cleaner
KR20060055987A (en) Device for rotating the brush of a vacuum cleaner
KR100612208B1 (en) Compact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compact cleaner
CN219229763U (en) Cleaning device for floor washing machine
KR20010081426A (en) Suction nozzle assembly with mop for vacuum cleaner
KR200317933Y1 (en) Brush type cleaner having ultraviolet rays sterilizing action
CN116509240A (en) Cleaning device
WO2016199456A1 (en) 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suction port body
KR100492593B1 (en) Upright cleaner
KR200224326Y1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