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90Y1 - 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 Google Patents

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90Y1
KR200266290Y1 KR2020010037207U KR20010037207U KR200266290Y1 KR 200266290 Y1 KR200266290 Y1 KR 200266290Y1 KR 2020010037207 U KR2020010037207 U KR 2020010037207U KR 20010037207 U KR20010037207 U KR 20010037207U KR 200266290 Y1 KR200266290 Y1 KR 200266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mobile phone
circuit
operat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2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주원
Original Assignee
허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주원 filed Critical 허주원
Priority to KR2020010037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9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90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에 관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kit of a mobile phone;

휴대폰(H)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J), 통상적인 증폭회로와 전원정류회로 등을 내장하는 핸즈프리회로(CT), 앰프(AMP), 스피커(SP), 마이크(MC), 조작버튼(B), 전원회로(PW)를 가지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HK)에 있어서,Connection jack (J) for connecting to mobile phone (H), hands-free circuit (CT), amplifier (AMP), speaker (SP), microphone (MC), control button (B) with a built-in conventional amplifier and power rectifier circuit ), Hands-free kit (HK) of a mobile phone having a power supply circuit (PW),

수화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화신호검출부(D), 조작버튼(B) 작동 제어용의 마이컴(MPU), 구동 트랜지스터(TR)를 더 구비하여; 상기 조작버튼(B)의 작동 시에 마이컴(MPU) 신호는 구동 트랜지스터(TR)를 트리거하여 휴대폰의 내장된 마이컴으로의 작동신호로서 사용하고, 상기 휴대폰의 수화음을 상기 수화신호검출부(D)가 검출하여 수화음의 유무에 따라 동일한 상기 조작버튼(B)의 작동이 있더라도 각각 다른 모우드로서 상기 핸즈프리회로(CT)및 마이컴(MPU)을 구동하며,A sign language signal detecting unit (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 signal, a microcomputer (MPU)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B), and a driving transistor (TR); The microcomputer (MPU) signal triggers a driving transistor (TR)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B) and uses it as an operating signal to the microcomputer's built-in microcomputer. Detects and operates the hands-free circuit CT and the microcomputer as different modes even if the same operation button B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 language.

상기 핸즈프리키트(HK)의 조작버튼(B)은 휴대폰(H)의 조작버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면적 및 크기가 크면서 야광, 발광 수단을 더 가짐으로서 시인성 및 조작성이 증대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 free kit (HK) has a larger operating area and size than the operation button of the mobile phone (H), and further has luminous and light-emitting means,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and operability. do.

Description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본 고안은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핸즈프리와의 조작구성을 개선하여 주행 중, 통화에 편리성을 부여하면서도 작동성능을 제고할 수 있는 구성의 핸즈프리키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며 , 더욱 상세히는 비교적 조작버턴의 크기가 커서 조작하기에 용이한 핸즈프리 장착의 조작버턴의 조작만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통화로의 전환 또는 재다이얼모드로의 전환 등의 판단 및 조작을 수행하게 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kit for a mobile phone, and provides a hands-free kit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improve operation performance while providing convenience to a call while driving by improving an operation configuration with a hands-free mounted in a vehicle. More specifically,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judgment and operation such as switching a mobile phone to a call or a redial mode using only the operation of a hands-free operation button, which is relatively easy to operate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operation button. It is about.

최근 들어 휴대폰이 급속히 보급되고 그에 따라서 차량에 장착된 핸즈프리키트의 사용은 일반화되어 있다.In recent years, mobile phones are rapidly spreading, and thus, the use of a handsfree kit mounted on a vehicle has become common.

또한 주행 중의 휴대폰의 사용 및 조작에 따른 주의력의 저하에 기인하는 교통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주행 중의 핸드폰의 직접적인 사용은 법으로서 규제를 받고 있어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 장착의 핸즈프리 또는 외부스피커-이어폰 방식의 핸즈프리를 목걸이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direct use of mobile phones while driving is regulated by law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reduction of attention due to the use and operation of mobile phones while driving, and most drivers are hands-free or external speaker-equipped earphones. Is using hands free in the form of a necklace.

현재 보급되어 있는 대부분의 휴대폰 등의 핸즈프리키트(일명 스피커 폰)의기능의 주된 구현방식은 핸즈프리 거치대에 장착되어 안치되는 휴대폰에 연결되는 핸즈프리가 ON 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폰의 통화스위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main implementation of the functions of hands-free kits (aka speaker phones), such as most mobile phones currently in use, is to make a call using the call switch of the mobile phone while the hands-free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mounted in the hands-free cradle. It is structured to hang or receive.

또한 통화의 종료도 휴대폰의 통화스위치를 이용하여야만 통화를 종료 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고,In addition, the termination of the call is configured to end the call only by using the call switch of the mobile phone, and is installed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그 크기가 대단히 작은 휴대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운전자는 통화개시 또는 통화종료 시에 주의력을 집중하여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핸즈프리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휴대폰의 조작스위치의 조작 시의 사고발생이 다발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통화 시보다도 점점 소형화되어 가는 휴대폰 장착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 데에 더욱 더 많은 주의력과 집중을 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서 생각된다.Sinc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operation switch is very small, the driver must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by paying attention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call. It is a bunch.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it requires more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o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of the mobile phone, which is getting smaller and smaller than a normal call.

본 고안은 상술하는 일반적인 종래의 구성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조작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또한 본 고안에 부합하게는 더욱 큰 크기로서 제작할 수 있는 단일의 조작버턴 만을 가짐으로서 조작집중성이 향상된 핸즈프리에 장착된 버턴스위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거나 재다이얼 할 수 있음은, 물론 통화의 종료도 가능하게 하는 등. 통상적으로 필요한 모든 휴대폰의 조작을 수행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general conventional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has a single operation button that can be manufactured as a relatively large size and a larger siz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button switch mounted on the hands-free handset with improved operation concentration, you can answer or redial a call, as well as end a call. Its purpose is to allow the operation of all mobile phones that are normally required.

또한, 상대방이 통화를 종료한 경우 이를 체크하여 자동적으로 핸즈프리 동작을 OFF 시켜 전류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 부차적인 목적이다.In addition, when the other party terminates the call, the secondary purpose is to automatically turn off the hands-free operation to prevent current consumption.

이는 또한 무선이어폰 등 무선 핸즈프리회로에 유용하게 적용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무선핸즈프리의 REMOTE 에서 휴대폰의 전화를 받거나 재다이얼 할 수 있음은 물론 상대방이 통화를 종료한 경우 이를 체크하여 BASE 와의 무선통신을 종료시킴으로서 전원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is is also useful for wireless handsfree circuits such as wireless earphones. You can answer or redial a mobile phone call from the wireless handsfree remote and check the end of the call and termin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BASE. The aim is to provide a way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또 다른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목적은 핸즈프리 장치에 배설되는 버턴의 수와 조작을 최대한 단순화시킴으로서 운전자의 주의력의 분산을 극소화시키고 그에 따른 교통사고의 발생율을 저하시키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number and manipulation of buttons disposed on the hands-free device as much a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traction of the driver's attention and thereby reduce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도 1 은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휴대폰에서의 외부 이어폰-스피커 사용모드시의 결선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블럭도.1 is a circuit block diagram showing a wiring configuration in an external earphone-speaker use mode in a typical cellular phone to which a hands-free kit of the cellular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핸즈프리의 내방회로에 구현된 블럭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block diagram implemented in the circuit of the hands-free.

도 3 은 무선핸즈프리의 경우의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적용을 설명하는 블럭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hands 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wireless hands free.

도 4 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적합하게 구성된 예시적인 핸즈프리세트의 외관사시도와 설명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anatory view of an exemplary handsfree set suitably configured of a handsfree kit of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MP: 앰프AMP: Amplifier

B: 조작버튼B: Operation Button

CT: 핸즈프리회로CT: hands free circuit

D: 수화신호검출부D: Sign signal detection unit

H: 휴대폰H: cell phone

HK: 핸즈프리키트HK: Hands Free Kit

J: 연결잭J: Connection Jack

MC: 마이크MC: microphone

SP: 스피커SP: Speaker

PW: 전원회로PW: Power Circuit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는;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휴대폰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 통상적인 증폭회로와 전원정류회로 등을 내장하는 핸즈프리회로, 앰프, 스피커, 마이크, 조작버튼, 전원회로를 가지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에 있어서,In the hands-free kit of a mobile phone having a connection jack for connecting with a mobile phone, a hands-free circuit including an amplification circuit and a power rectifier circuit, an amplifier, a speaker, a microphone, an operation button, and a power supply circuit,

수화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화신호검출부, 조작버튼 작동 제어용의 마이컴, 구동 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하여;A sign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 signal,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operation buttons, and a driving transistor;

상기 조작버튼의 작동 시에 마이컴 신호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트리거하여 휴대폰의 내장된 마이컴으로의 작동신호로서 사용하고,When the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the micom signal triggers a driving transistor to be used as an operation signal to the built-in micom of the mobile phone.

상기 휴대폰의 수화음을 상기 수화신호검출부가 검출하여 마이컴이 수화음의 유무에 따라 동일한 상기 조작버튼의 작동이 있더라도 각각 다른 모우드로서 상기 핸즈프리회로 및 필요제어회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set signal detecting unit detects the handset sound of the mobile phone, an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andset sound, the microcomputer drives the hands-free circuit and the necessary control circuit as different modes.

또 다른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주요한 특징은;Another major feature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핸즈프리키트의 조작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수화신호검출부에서 수화음이 있는 것을 감지하면 핸즈프리회로를 작동시키고, 수화음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 대기상태에서 조작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는 작동모우드를 상기 마이컴이 더 구비하는 것이다.When the operation button of the hands-free kit is operated, the hands-free circuit is activated when the sign languag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re is a sign language, and when the sign language is not detected, the operation button is judged to be pressed in a normal standby state. The microcomputer further includes a mode.

특징적인 다른 하나의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는;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핸즈프리회로가 동작 중, 수화신호검출부에서의 일정 시간 수화음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핸즈프리회로를 OFF 시키는 것이며,When the hands-free circuit is in operation and there is no sign ton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sign-signal detection unit, the hands-free circuit is turned off.

상기 핸즈프리회로가 휴대폰의 수화신호검출부의 포트의 신호상태의 변화양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핸즈프리모드로 전환되고,The hands-free circu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hands-free mod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mode of the signal state of the port of the sign signal detection unit of the cellular phone,

상기 핸즈프리회로가 무선핸즈프리회로일 수 있는 것 또한 의미있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요부이다.It is also a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hands free circuit can be a wireless hands free circuit.

실제 적용 상의 본 고안의 구성의 다른 특징은;Other features of the inventive arrangements in practical application are;

상기 핸즈프리키트의 조작버튼은 휴대폰의 조작버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면적및 크기가 크면서 야광, 발광 수단을 더 가짐으로서 시인성 및 조작성이 증대된 것이라는 것이다.The operation button of the hands-free kit is that the operation area and size of the hands-free kit is relatively large and the visibility and operability are increased by further having luminous and light-emitting means.

본 고안은 무선 핸즈프리나 목걸이 형 핸즈프리와 같이 휴대폰과 핸즈프리가 일정거리가 떨어진 상태에서 동작하는 핸즈프리키트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기능으로 핸즈프리의 버튼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고 또한 통화를 종료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is design is very useful for hands-free kits, such as wireless hands-free and necklace-type hands-free, where the mobile phone and hands-free are operated a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each other. It is to provide an efficient way to make.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구성과 작동을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은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가 적용되는 통상적인 휴대폰에서의 외부 이어폰-스피커 사용모드시의 결선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블럭도, 도 2 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핸즈프리의 내방회로에 구현된 블럭구성도, 도 3 은 무선핸즈프리의 경우의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적용을 설명하는 블럭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적합하게 구성된 예시적인 핸즈프리세트의 외관사시도와 설명도이다.1 is a circuit block diagram showing a wiring configuration in an external earphone-speaker use mode in a typical mobile phone to which a hands free kit of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ands free kit of a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application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wireless hands-free, and Fig. 4 is a suitable configuration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earance perspective and explanatory diagrams of an exemplary handsfree set.

도 1은 현재 통상적으로 목걸이형 등으로 구성되고 스피커와 이어폰을 가지는 형태의 것으로서 널리 보급된 예를 도시한다.FIG. 1 show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generally configured as a necklace shape and has a speaker and an earphone.

휴대폰(H)의 잭(J)을 이용하여 이어폰키트(EK)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이어폰의 조작버튼(B)은 마이크(MC)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휴대폰(H)은 마이크 단자가 LOW 가 되는 경우, 조작버튼(B)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하도록 내장된 CPU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earphone (EK) by using the jack (J) of the mobile phone (H),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earphone is normally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microphone (MC) and the mobile phone (H) is a microphone terminal. Is set to LOW,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and programmed in the built-in CPU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즉,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조작버튼(B)이 눌러지면 통화상태로 전환한다던가 정상상태에서 버튼이 눌러진 경우 마지막 발신번호를 표시하고 마지막 발신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시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경우 표시된 번호로 다이얼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인 것이다.That is, when a call is received, when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the user switches to the call state, or when the button is pressed in the normal state, the last caller number is displayed and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again while the last caller number is displayed. If it is, it means to dial the displayed number.

또한, 통화중에 버튼이 눌러진 경우 통화를 종료한다.If the button is pressed during a call, the call ends.

도 1 에서와 같이, 이어폰키트(EK) 구성의 경우, 모든 회로 구성소자들이 수동소자로만 구성이 되어 있어 이어폰이 휴대폰에 꽂혀져 있는 경우 휴대폰을 통한 전화 걸기와 받기 등에 있어서 이어폰 동작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As shown in Figure 1, in the case of the earphone kit (EK) configuration, all the circuit components are configured only as passive elements when the earphone is plugged into the mobile phone, there is no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in the call and receive through the mobile phone, etc. none.

그러나, 핸즈프리키트(HK)의 경우 증폭회로를 내장함에 기인하여, 핸즈프리회로와 증폭회로를 내장하는 회로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회로가 필요하며 그 제어 방법이 부적절할 경우 전류소모가 계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hands-free kit (HK), due to the built-in amplification circuit, a power supply circuit for operating the hands-free circuit and the circuit part incorporating the amplification circuit is needed, and current consumption may continue if the control method is inappropriate. .

특히 핸즈프리키트(HK)의 전원을 건전지나 휴대폰 전원을 인출하여 이용 할 경우 불필요한 전류소모는 통화시간을 단축시키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 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the power of the hands free kit (HK) withdraw the battery or cell phone power,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can cause a fatal problem of shortening the talk time.

또한 핸즈프리키트가 이어폰 잭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 휴대폰으로 직접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핸즈프리키트가 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andsfree kit is connected through the earphone jack, the handsfree kit may not operate when the user directly makes or receives a phone call.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런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주요한 목적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for preventing such a problem is the main purpose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이하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의 구성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도 2 의 개략적인 회로도에서와 같이, 핸즈프리키트(HK)는 휴대폰(H)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J), 통상적인 증폭회로와 전원정류회로 등을 내장하는 핸즈프리회로(CT), 앰프(AMP), 스피커(SP), 마이크(MC), 조작버튼(B), 파워서플라이(PW)에 부가하여;As shown in the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FIG. 2, the hands-free kit HK includes a connection jack J for connecting to the mobile phone H, a hands-free circuit CT incorporating a conventional amplification circuit and a power rectifier circuit, and an amplifier. ), In addition to the speaker SP, the microphone MC, the operation button B, and the power supply PW;

조작버튼(B) 작동의 제어용의 마이컴(MPU), 트리거용의 트랜지스터(TR), 상대방의 수화음을 바이패스 검출하는 수화신호검출부(D)를 더 구비한다.A microcomputer (MPU)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B), a trigger transistor (TR), and a sign language signal detection unit (D) for bypassing detection of the other party's sign language are further provided.

조작버튼(B)은 마이컴(MPU)으로 조작신호를 입력하게 되며, 이 조작버튼(B)이 눌러질 때 마이컴(MPU)은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와 연결된 신호단(Pcntl)에 일정시간 'HIGH' 를 부가하여 트랜지스터(TR)가 ON 되게 함으로서 휴대폰(H)의 마이크(MC) 단자를 일정시간 LOW 로 유지함으로서 도 1 의 이어폰키트(EK)에서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것과 동일한 작동을 하게 한다.The operation button (B) in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microcomputer (MPU). When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the microcomputer (MPU) is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Pcntl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T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transistor 'TR' is turned ON by adding HIGH 'to keep the microphone (MC)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H at a low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operating the same as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B on the earphone kit EK of FIG. Let's do it.

만약, 휴대폰(H)에 전화가 걸려오고 있는 동안(즉,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동안) 조작버튼(B)를 누르는 경우, 마이컴은 신호단(Pcntl)을 일정시간 'HIGH' 로 만들어 트랜지스터(TR)를 동작시켜 휴대폰(H)이 통화상태로 되게 함과 동시에 핸즈프리회로(CT) 및 앰프(CT)를 동작시켜 핸즈프리 기능이 동작되게 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If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B while the mobile phone H is making a call (i.e. while the phone is ringing), the microcomputer makes the signal terminal Pcntl 'HIGH'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transistor TR. By operating the mobile phone (H) to the call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hands-free circuit (CT) and the amplifier (CT) to operate the hands-free function to enable the call.

또한 통화를 종료하기 위해 핸즈프리키트(HK)의 조작버튼(B)을 누르는 경우, 일정시간 신호단(Pcntl)을 'HIGH' 로 하여 트랜지스터(TR)를 ON 시켜 휴대폰으로 하여금 종료 버튼이 들어 왔다는 것을 알려 통화를 종료시키게 하고 핸즈프리회로(CT)및 앰프(AMP)를 OFF 상태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 free kit HK to terminate the call, the transistor TR is turned on with the signal terminal Pcntl set to 'HIGH' for a certain time to let the mobile phone enter the end button. To end the call and turn off the hands-free circuit (CT) and amplifier (AMP).

물론, 상기의 트랜지스터(TR)는 등가적인 작동을 하는 것이라면 FET나 릴레이 등의 동일작용의 소자로서 대체가 가능하며 마이컴(MPU)에서 직접제어도 가능 할 것이다.Of course, the transistor TR may be replaced with an equivalent device such as a FET or a relay if the transistor TR performs an equivalent operation, and may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MPU).

이 후 마이컴(MPU)은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STOP MODE' 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STOP MODE' 에서 빠져나오는 것은 핸즈프리키트(HK)의조작버튼(B)이 눌러진 경우와 수화검출회로에 의하여 수화신호가 검출되는 경우로 하는 것이 좋다.After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microcomputer enter the 'STOP MODE' to minimize the current consumption. Exiting from 'STOP MODE' is preferably made when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 free kit HK is pressed and when a sign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 language detection circui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일반적인 핸즈프리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 적용 할 수 있는 일반적인 회로구성일 수 있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may be a general circuit configuration applicable to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hands-free circuit.

본 고안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처럼 좀더 세밀하게 구현방법을 제공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detailed implementation method as described below.

예를 들어,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는 위에 설명한 것처럼 조작버튼(B)이 눌려지는 경우, 마이컴(MPU)이 신호단(Pcntl)을 일정시간 'HIGH' 로 한 다음, 핸즈프리회로(CT)를 작동시키고,For example, when a call is received, when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MPU) sets the signal terminal Pcntl to 'HIGH'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operates the hands free circuit (CT). Let's

다시 조작버튼(B)이 눌려지는 경우, 신호단(Pcntl)을 일정시간 'HIGH' 로 한다음 핸즈프리회로(CT)를 OFF 시키면 되지만(즉 토글 동작),When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again, the signal terminal Pcntl is set to 'HIGH'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hands free circuit CT is turned off (that is, the toggle operation).

전화가 걸려오지 않은 대기상태에서 버조작버튼(B)이 조작되는 경우는 휴대폰은 마지막 발신번호를 표시하고 한번 더 조작버튼(B)이 조작되면 통화로가 형성되어 다이얼됨과 동시에 휴대폰(H)이 통화 모드로 들어가고 이때 핸즈프리회로(CT)를 동작시켜 핸즈프리 기능이 동작되게 해야 한다.If the button B is operated in the standby state where no call is made, the mobile phone displays the last calling number and if the operation button B is operated once more, a call path is formed and the phone is dialed. Enter the call mode and operate the hands free circuit (CT) to activate the hands free function.

즉, 전화가 걸려 올 때는 버튼이 2번 눌러진 경우 통화 종료가 되나(이때 핸즈프리기능도 종료), 정상상태에서는 버튼이 두 번 눌러진 경우 통화상태이므로 핸즈프리회로(CT)도 동작상태로 있어야 한다.In other words, when a call is made, the call is terminat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wice (the hands-free function is terminated at this time), but in normal state, the hands-free circuit (CT) must also be in operation because the button is pressed. .

통화상태에서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경우는 휴대폰(H)이 통화종료가 되므로 핸즈프리회로(CT)도 동작을 하지 않는다. 즉 정상 대기상태에서 통화 종료를 하기위해서는 3번의 조작버튼(B)의 조작이 필요하다.If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in the call state, the mobile phone (H) is terminated the call, so the hands free circuit (CT) does not operate. That is, in order to end a call in a normal standby state, operation of the three operation buttons B is required.

따라서, 휴대폰(H)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 핸즈프리키트(HK)의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것인지, 아니면 정상 대기상태에서 핸즈프리키트(HK)의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것인지를 판단하여 핸즈프리를 적절히 동작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고안의 1차적인 목표이다.Therefore, when a call is made to the cellular phone H, whether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 free kit HK is pressed or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 free kit HK is pressed in the normal standby state. The primary go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and operate the hands free properly.

이를 판단하는 기준은 조작버튼(B)이 눌러진 후 일정시간 이후(예를 들면, 약 1초 이후) 수화신호검출부(D)와 연결된 포트(Pdet)를 체크하여 포트(Pdet)가 'HIGH-LOW' 로 변하는 경우는 전화가 걸려온 경우의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 하여 핸즈프리회로(CT)를 동작시키고,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is is to check the port Pdet connected to the hydration signal detector D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fter about 1 second) after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If it is changed to LOW ',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when a call is made, and the hands-free circuit CT is operated.

포트(Pdet)의 신호크기에 아무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정상 대기상태에서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단(Pcntl) 만을 일정시간 'HIGH' 로 유지(이때 핸즈프리회로는 동작되어도 무방함)시키고 2번 째 조작버튼(B)이 입력될 시 포트(Pdet)를 일정시간 'HIGH' 시킴과 동시에 핸즈프리회로(CT)를 동작시켜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If there is no change in the signal size of the port (Pdet), it is judged that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in the normal standby state, and keeps only the signal terminal (Pcntl) at 'HIGH'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econd operation button (B) is input, the port (Pdet) is 'HIGH'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hands-free circuit (CT) is operated to enable hands-free communication.

핸즈프리 통화중 조작버튼(B)이 조작될 시에는 신호단(Pcntl)을 일정시간 'HIGH' 한 후(이때 휴대폰에서는 통화가 종료됨) 핸즈프리회로(CT)를 OFF시킨다.When the operation button B is operated during a hands-free call, the hands-free circuit CT is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HIGH' of the signal terminal Pcntl (the call is terminated at the mobile phone).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적인 특징은 핸즈프리키트(HK)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폰(H) 자체로 전화를 거는 경우, 자동적으로 핸즈프리회로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constitutiv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hands free circuit when making a phone call with the mobile phone H itself while the hands free kit HK is connected.

만약, 핸즈프리키트의 조작버튼(B)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폰의 버튼을 눌러 휴대폰을 동작상태로 한 경우, KEY 음인지, 는 수화음에 의해 핸즈프리키트의 포트(Pdet)가 HIGH/LOW 로 변화하면(수화신호검출부(D)는 휴대폰의 이어폰으로 수화음 또는 KEY 인지음이 송출되는 것을 마이컴(MPU)이 인지 할 수 있는 LEVEL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함),If the mobile phone is operated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mobile phone while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free kit is not pressed, the key (Pdet) of the hands-free kit is changed to HIGH / LOW by a sign sound. If the change (the sign signal detection unit (D) is to change the sign language or key recognition sound is sent to the earphone of the mobile phone to the level that the microcomputer (MPU) can recognize),

마이컴(MPU)은 핸즈프리회로(CT)를 동작 상태로 하여 핸즈프리 통화가 자동적으로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The microcomputer (MPU) puts the hands-free circuit CT in an operating state so that hands-free calling is automatically enabled.

만약, 포트(Pdet)가 일정시간(예를 들면, 1분)동안 변화가 없으면 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 핸즈프리동작을 종료시킨다.If the port Pdet has not chang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minute), the call is terminated.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적인 특징은 휴대폰(H)의 경우,Another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H),

상대방이 통화종료를 한 경우 휴대폰(H)은 자동으로 대기 모드로 들어가는데 이 경우 핸즈프리 기능은 동작상태로 되어 계속해서 전류를 소모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When the other party terminates the call, the mobile phone (H) automatically enters the standby mode. In this case, the hands-free function becomes an operation stat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continuously consume the current.

통화중인 경우( 포트(Pdet)는 상대방이 송화하고 있는 경우 또는 휴대폰에서 KEY 인지음이 나오고 있는 경우, 계속해서 수화검출 회로에 의해 HIGH/LOW 로 변화됨) , 포트(Pdet)가 계속적으로 HIGH/LOW 로 변화되는 것을 체크하고,If you are in a call (Pdet is a call from the other party or a key is heard from the mobile phone, the signal is continuously changed to HIGH / LOW by the handset detection circuit), and the port is continuously HIGH / LOW. To change it to

만약 상대방이 통화를 종료한 경우나 휴대폰으로 통화를 종료하여 휴대폰이 대기상태로 된 경우 포트(Pdet)는 어느 한 상태('HIGH' 와 'LOW' 중 하나)만 유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마이컴은 일정시간 이를 체크(예를 들면, 1분 정도)하여 통화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 핸즈프리회로를 OFF 시킨다.If the other party terminates the call or if the mobile phone is put on standby by ending the call with the mobile phone, the port (Pdet) remains in only one state (one of 'HIGH' and 'LOW'). Check this for a certain time (for example, about 1 minute) to determine that the call has ended, and turn off the hands-free circuit.

상술하는 바와 같이, 소모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이컴(MPU)은 이때'STOP' 모드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이 재개되는 것은 조작버튼(B)이 입력되었을 경우나 수화신호검출부(D)의 포트(Pdet)가 'HIGH' 로 변하는 경우(전화가 걸려온 경우) 'STOP MODE' 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inimize the current consumption, the microcomputer (MPU) may enter the 'STOP' mod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is resumed when the operation button B is input or when the port Pdet of the sign signal detection unit D changes to HIGH (when a call is received). .

상기에서 설명한 핸즈프리기능 동작은 무선 핸즈프리키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무선 핸즈프리의 경우 REMOTE 에만 버튼이 있기 때문에 BASE와 채널이 형성된 다음 BASE와 REMOTE간의 통신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에 해당되는 것이 핸즈프리회로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 즉, 핸즈프리 회로동작은 통신채널 형성, 핸즈프리회로 OFF는 무선핸즈프리 REMOTE와 BASE간의 통신종료에 해당하는 것이다.The hands-free function operation described above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wireless hands-free kit. In the case of wireless hands-free, since there is a button only in REMOTE, the operation of deciding whether to terminate communication between BASE and REMOTE after forming a BASE and a channel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hands-free circuit. That is, hands-free circuit operation corresponds to communication channel formation, and hands-free circuit OFF corresponds to the end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hands-free remote and the base.

도 4 는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에 의한 구성이 가장 잘 구현된 핸즈프리키트(H')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s-free kit (H ') best implemented by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대시보드(도시하지 않음) 상에 장착아암(A) 등에 의하여 장착되는 핸즈프리키트(H')는 휴대폰(H)을 장착하고 대형의 단일의 조작버튼(도면에서 S2)을 구비하고 있다.The hands-free kit H 'mount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not shown) by the mounting arm A or the like mounts the mobile phone H and has a large single operation button (S2 in the figure).

따라서 운전 도중의 사용자는 대형면적(A)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일의 조작버턴을 조작함으로서 모든 휴대폰의 제어작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a)으로 구성되는 휴대폰의 조작버턴(S1)을 조작함으로서 주의력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고 단일의 조작버턴의 가변운 터치식 조작만으로 모든 휴대폰의 작동제어가 가능함을 도시하고 있다.Therefore, while driving, the user can operate all mobile phones by operating a single operation button having an interface of large area A, so that the operation button S1 of the mobile phone composed of a relatively small area a can be op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ersal of atten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ll the mobile phones only by a variable operation touch operation of a single operation butt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단일의 대형면적의 조작버턴(S2)는 야간에는 야광물질을 도포한 사출물 또는 내방의 LED 등을 수납하여 조작 및 집중성을 증대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the single large-area operation button (S2) is good to accommodate the injection molding coated with luminous material or the LED in the room to increase the operation and concentration at night.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는 다양한 형상의 핸즈프리키트(HK)와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조작버튼(B)으로 구성되어 본 고안의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을 더욱 명백하게 달성할 수 있다.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ands-free kit (HK) of various shapes and operation buttons (B) of various shapes and sizes can more clear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는;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휴대폰의 핸즈프리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휴대폰의 수화상태를 검출하여 통화중인지 아닌지를 체크하여 통화의 종료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휴대폰이 어떤 상태에서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판단하여 적절히 동작시킴으로서 핸즈프리의 전류소모를 최소화시킴은 물론 핸즈프리를 단일의 조작버튼(B)으로서 최적의 상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In implementing the hands-free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it detects the sign language status of the mobile phone and checks whether it is busy or no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all is terminated. In addition to minimizing, hands-free can be operated in an optimal state as a single operation button (B).

또한, 무선핸즈프리의 경우는 BASE와 REMOTE간의 통화를 위하여 통화채널이 형성된 경우 전류소모가 많으므로 적절한 무선핸즈프리의 제어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ireless hands-free, when a communication channel is formed for a call between BASE and REMOTE, current consumption is large. Therefore, proper control of the wireless hands-free is necessary.

Claims (6)

휴대폰(H)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J), 통상적인 증폭회로와 전원회로 등을 내장하는 핸즈프리회로(CT), 앰프(AMP), 스피커(SP), 마이크(MC), 조작버튼(B) 을 가지는 휴대폰의 유무선 핸즈프리키트(HK)에 있어서,Connection jack (J)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H), hands-free circuit (CT), amplifier (AMP), speaker (SP), microphone (MC), operation button (B) that incorporates a conventional amplifica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etc. In the wired and wireless hands-free kit (HK) of the mobile phone with 수화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수화신호검출부(D), 조작버튼(B) 작동 제어용의 마이컴(MPU), 구동 트랜지스터(TR), 릴레이, FET 등의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여;Further comprising driving means such as a sign language signal detecting unit (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 signal, a microcomputer (MPU)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B), a driving transistor (TR), a relay, and a FET; 상기 조작버튼(B)의 작동 시에 마이컴(MPU) 신호는 상기 구동소자를 트리거하여 휴대폰의 내장된 마이컴으로의 작동신호로서 사용하고,When the operation button (B) is operated, the microcomputer (MPU) signal triggers the drive element and uses the operating signal to the built-in microcomputer of the mobile phone, 상기 휴대폰의 수화음을 상기 수화신호검출부(D)가 검출하여 수화음의 유무에 따라 동일한 상기 조작버튼(B)의 작동이 있더라도 각각 다른 모우드로서 상기 핸즈프리회로(CT) 및 마이컴(MPU), 제어회로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The hands-free circuit (CT) and microcomputer (MPU), control as a different mode even if the same operation button (B)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ign language by the sign signal detection unit (D) detecting the handset of the mobile phone. Hands-free kit for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by driving a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키트(HK)의 조작버튼(B)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수화신호검출부(D)에서 수화음이 있는 것을 감지하면 핸즈프리회로(CT)를 작동시키고, 수화음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 대기상태에서 조작버튼(B)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는 작동모우드를 상기 마이컴(MPU)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free kit (HK) is operated, when the sign language detection unit (D) detects that there is a sign language, the hands-free circuit (CT) is activated, If it is not detected, the hands-free kit of th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computer (MPU)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mode that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button (B) is pressed in the normal standby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회로(CT)가 동작 중, 수화신호검출부(D)에서의 일정 시간 수화음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핸즈프리회로(CT)를 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The hands-free kit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s-free circuit (CT) is turned off when the hands-free circuit (CT) is in operation and there is no sign language signal from the sign-signal detection unit (D) for a predetermined tim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회로(CT)가 휴대폰의 수화신호검출부(D)의 포트(Pdet)의 신호상태의 변화양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핸즈프리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The hands-free k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hands-free circuit (C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hands-free mod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mode of a signal state of a port (Pdet) of a sign signal detection unit (D) of said cellular 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회로(CT)가 무선핸즈프리회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The hands free k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hands free circuit (CT) may be a wireless hands free circuit. 제 1 항 내지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핸즈프리키트(HK)의 조작버튼(B)은 휴대폰(H)의 조작버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작면적 및 크기가 크면서 야광, 발광 수단을 더 가짐으로서 시인성 및 조작성이 증대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The operation button (B) of the hands free kit (HK) has a larger operating area and size than the operation button of the mobile phone (H), and further has luminous and light-emitting means,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and operability. Hands free kit of mobile phone to play.
KR2020010037207U 2001-12-03 2001-12-03 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KR20026629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07U KR200266290Y1 (en) 2001-12-03 2001-12-03 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07U KR200266290Y1 (en) 2001-12-03 2001-12-03 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290Y1 true KR200266290Y1 (en) 2002-02-27

Family

ID=7307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207U KR200266290Y1 (en) 2001-12-03 2001-12-03 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9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5759A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RU2390931C2 (en) Screen-saver sensor
US5636265A (en) Radio telephone with automatic answering
AU626475B2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CN1716978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of push-to-talk (PTT) phone
JP2003037656A (en) Mobile telephone set and back light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266290Y1 (en) Switch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onto hands-free mode
JP2002101193A (en) Portable telephone
KR200226187Y1 (en) automobile control apparatus having mobile telephone terminal
JPH03776Y2 (en)
KR20060068539A (en) Power sav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KR920011069B1 (en) Keypad iin cordlessphone
KR200184595Y1 (en) An earmike for cellular phone having the function of alarm beu
KR100316177B1 (en) Control apparatus for saving power of cordless hands free kit
KR20050115487A (en)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 light i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JPH03777Y2 (en)
JP2994413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KR20010048817A (en) Method for voice dialing by ear-mik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et
KR9600436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akerphone implementation of a handset in a telephone
KR20070056386A (en) The control method of motor vehicle hands-free
KR20020066099A (en) Device for sensing headset of cellular phone
KR20050064816A (en) Mobile handset having a control function by touching sens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H1079984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JP2000349892A (en) Hand-free device
JP2002152373A (en) 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