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87Y1 -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 Google Patents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87Y1
KR200266287Y1 KR2020010036997U KR20010036997U KR200266287Y1 KR 200266287 Y1 KR200266287 Y1 KR 200266287Y1 KR 2020010036997 U KR2020010036997 U KR 2020010036997U KR 20010036997 U KR20010036997 U KR 20010036997U KR 200266287 Y1 KR200266287 Y1 KR 200266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phone
lens
finder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9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김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섭 filed Critical 김선섭
Priority to KR2020010036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87Y1/en

Link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으로서 사용자가 피사체의 촬영구도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식 파인더가 카메라 렌즈의 전방에 구비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1)은, 빛의 반사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비추어 줌으로써 상기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 구도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반사식 파인더(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반사식 파인더(10)는, 상기 카메라(2)의 렌즈(3)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3)로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된 투명한 광투과부(11)와 상기 광투과부(11)를 제외한 둘레의 반사부(1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식 파인더(10)는 볼록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3)와 상기 반사식 파인더(10)는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모니터(4)의 반대쪽에 장착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s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provided with a reflective finder in front of the camera lens to enable the user to monitor the shooting composition of the subject. Th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flective finder 10 which enables to set an image composi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2 by illuminating an image of the subject by reflection of light. have. The reflective finder 10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lens 3 of the camera 2, the transparent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formed to a minimum diameter that does not prevent the light from entering the lens (3) And a reflecting portion 12 around the except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Preferably, the reflective finder 10 is convex, and the lens 3 and the reflective finder 10 are mounted opposite to the monitor 4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Cellular Phone Having Camera}Cell Phone Integrated Camera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기술분야)(Technology)

본 고안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으로서 사용자가 촬용될 피사체의 영상 구도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식 파인더가 카메라 렌즈의 전방에 구비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provided with a reflective finder in front of a camera lens to allow a user to freely set an image composition of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It is about.

(배경기술)(Background)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무선이동통신단말(이하, '휴대폰'이라 통칭한다)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더욱이 휴대폰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되어짐에 따라, 휴대폰 무선인터넷에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런 소비자의 욕구에 부흥하도록 개발된 휴대폰 중의 하나가 디지털카메라가 일체로 구비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이다.As the spread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phones'), which are represented by mobile phones, is becoming more common, and moreover, wireless Internet services using mobile phon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consumers' demands related to mobile phone wireless Internet are diversified. One of the mobile phones developed to respond to the needs of consumers is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with a digital camera.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이란, 무선전화통화와 인터넷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휴대폰이다.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is a mobile phone that has a func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erforms wireless telephone calls and Internet communications, and a digital camera function that captures a subject and stores its image data, and then edits, transmits, and deletes it as necessary. to be.

이런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들은, 카메라 부분을 휴대폰에 영구 장착한 구조에서부터 필요에 따라 카메라를 휴대폰에 대해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 등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카메라의 장착위치(즉, 렌즈의 장착위치)도 휴대폰의 모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되어 있다.Thes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s have been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mera part i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camera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from the mobile phone as necessary. It depends on the model of the phone.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로 피사체를 최적의 상태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렌즈가 피사체 쪽으로 정확하게 향하도록 위치를 잡아야 하고, 또한 셔터를 눌러 촬영하기에 앞서 렌즈에 의해 포착될 피사체의 영상이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로 잡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to shoot the subject optimally with the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phone, as with a normal camera, the camera lens should be positioned so that it faces the subject correctly,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to be captured by the lens before the shutter is pressed to shoot. You should be able to verify that this user is in the desired composition.

도3은 종래의 예시적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카메라 렌즈 부분의 개략 구성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xemplary camera-integrated cellular phone, and FIG.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amera lens portion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의 배면 상측에는 카메라(101)의 렌즈(110)가 광슬릿(111A)이 형성된 렌즈홀더(111)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렌즈(110)의 전방에는 빛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렌즈(110)를 보호하는 투명한 필터(120)가 위치되어 있고, 렌즈(110)의 안쪽에는 렌즈(110)를 통해 유입된 광학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130) 등의 포함하는 디지털카메라의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휴대폰(100)의 일측에는 셔터버튼(140)이 마련되어 있다.As shown, the lens 110 of the camera 101 is mounted by the lens holder 111 having the optical slit 111A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hone 100, and the front of the lens 110 A transparent filter 120 is disposed to protect the lens 110 without disturbing the transmission. An image sensor 130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troduced through the lens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inside the lens 110.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digital camera, such as a) are installed, and the shutter button 1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100.

상기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10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는, 도시되지 않는 모드전환버튼을 카메라모드로 전환 다음, 렌즈(110)를 피사체로 향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전면에 있는 모니터(150: 즉, LCD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보면서 영상 구도를 설정한 후에 셔터버튼(140)을 눌러 사진을 찍고,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폰(100)의 메모리에 저장시켜서, 이후 사용 목적에 맞게 재생, 편집, 전송, 삭제 등의 조작을 행하게 된다.When photographing a subject by the camera integrated mobile phone 100, a mode switching button (not shown) is switched to a camera mode, and then the monitor 150 on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ie, an LCD monitor) with the lens 110 facing the subject. After setting the image composition while watch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press the shutter button 140 to take a picture, and store the captured image data in the memory of the mobile phone 100, and then play, edit, transmit, Operation such as deletion is perform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100)에 있어서는 촬영상황에 따라서는 영상 구도를 잡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본인이 아닌 다른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는 모니터(150)를 보면서 영상 구도를 원하는 대로 잡을 수 있지만, 본인이 스스로를 촬영할 때에는 휴대폰(100)을 돌려서 렌즈(110)가 본인 쪽으로 향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모니터(150)를 볼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적절한 영상 구도를 설정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내재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100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it is difficult to compose an image depending on the shooting situation. That is,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other than yourself, you can compose the image as desired while looking at the monitor 150. However, when photographing yourself, you need to turn the mobile phone 100 so that the lens 110 faces toward you. There is an inherent inconvenience that the monitor 150 cannot be viewed, and therefore, an appropriate image composition cannot be set.

이와 같은 피사체의 영상 구도 설정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렌즈를 휴대폰에 대해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한 구조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렌즈회전구조는 촬영을 할 때마다 렌즈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setting the imag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 structure in which a lens is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a mobile phone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 lens rotation structure is inconvenient to rotate the lens every time you shoot.

피사체의 영상 구도 설정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으로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모양을 비추어 줄 수 있는 반사체(160: 거울)를 렌즈(110) 옆에 부착하여 파인더로서 기능하도록 한 고안이 제안되어 있다.As another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setting the imag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s shown in FIGS. 3 and 4, a reflector 160 (mirror), which may reflect the shape of the subject, is disposed next to the lens 110. It is proposed that the device be attached and function as a finder.

그러나, 렌즈(110) 옆에 부착한 반사체(160)를 파인더로 기능하도록 한 고안의 경우, 렌즈(110)를 회전시킬 필요 없이 반사체(160)에 비추어진 본인의 모습을 보고 촬영될 영상을 예측하고 구도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바람직하지만, 렌즈(110)의 위치와 반사체(160: 파인더)의 장착 위치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2안 리플렉스 카메라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촬영거리가 변화됨에 따라 시차가 변화하게 되므로, 파인더에 비추어 보이는 영상이 실제로 촬영된 것과 달라질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designing the reflector 160 attached to the lens 110 to function as a finder,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is predicted by looking at the person reflected on the reflector 160 without having to rotate the lens 110. Although the composition can be set in this way, since the position of the lens 110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reflector 1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hooting distance changes as in a binocular reflex camera or the like. Since the parallax changes according to the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seen in the viewfinder may be different from the one actually photographed.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에 있어서의 영상 구도 설정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인 스스로를 촬영할 때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의 모니터를 주시할 수 없는 상태에서 촬영할 때에도 시차 없이 정확하게 영상 구도를 설정할 수 있는 반사식 파인더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image composition setting in the conventional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shooting in a state where the user cannot look at the monitor of the mobile phone, such as when photographing themselv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with a reflective finder that can accurately set an image composition without parallax.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카메라 렌즈와 반사식 파인더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camera lens and a reflective finder;

도3은 종래의 예시적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amera integrated mobile phone,

도4는 도3의 카메라 렌즈 부분의 개략 구성도.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mera lens portion of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고안의 휴대폰 2: 카메라1: mobile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2: camera

3: 렌즈 3A: 렌즈홀더3: lens 3A: lens holder

3B: 광슬릿 4: 모니터3B: Optical Slit 4: Monitor

5: 이미지센서 6: 셔터버튼5: Image sensor 6: Shutter button

10: 반사식 파인더 11: 광투과부10: reflective finder 11: light transmission unit

12: 반사부12: reflector

본 고안에 따라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is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은, 빛의 반사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비추어 줌으로써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 구도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반사식 파인더가 구비되어 있다.Th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flective finder which enables to set an image composi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by illumina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by the reflection of light.

상기 반사식 파인더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로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된 투명한 광투과부와 상기 광투과부를 제외한 둘레의 반사부로 이루어진다.The reflective finder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lens of the camera, and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light transmitting portion having a minimum diameter that does not prevent light from entering the lens and a reflective portion except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식 파인더는 피사체를 선명하게 비추어 줄 수 있는 볼록한 금속 거울로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flective finder may be formed of a convex metal mirror capable of clearly illuminating the subjec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의 사시도, 도2는 카메라 렌즈와 반사식 파인더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sposition relationship between a camera lens and a reflective finder.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1)에 적용된 무선통신단말로서의 기능하기 위한 구성과 디지털카메라로서 기능하기 위한 구성 등은, 종래의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들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이와 같은 공지된 기본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for functioning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figuration for functioning as a digital camera applied to the mobile pho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nd thus the known basic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다만, 본 고안은, 그 기본적인 특징에 따라, 카메라(2)의 렌즈(3)가 휴대폰(1)의 전면에 있는 모니터(4: 즉, LCD 모니터)의 반대쪽(즉, 휴대폰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휴대폰에 적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basic feature, the lens 3 of the camera 2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f the monitor 4 (that is, the LCD monitor) in front of the mobile phone 1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for application to mobile phones designed to be.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휴대폰(1)의 배면에는 파인더(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인더(10)는 거울과 같은 일종의 반사체로 되어 있어서 피사체가 거울처럼 비추어진다.According to 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1 is provided with a finder 10, the finder 10 is a kind of reflector such as a mirror so that the subject is reflected like a mirror.

즉,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반사식 파인더(10)에 의하여, 빛의 반사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비추어주게 되며, 사용자는 반사식 파인더(10)의 프레임 속에 비추어진 피사체의 상(예, 얼굴)을 모니터하면서,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되어질 피사체의 영상 구도를 원하는 대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That is, by the reflective finder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the subjec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of light, and the user is able to reflect the image of the subject (eg, the face) reflected in the frame of the reflective finder 10. While monitoring, the image composition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 can be freely set as desired.

따라서, 반사식 파인더(10)는 휴대폰(1)의 모니터(4)에 디스플레이되는 피사체의 영상, 즉 카메라(2)의 이미지센서(5)가 포착되는 피사체의 실제 영상과 가능한 한 일치되는 상이 비추어질 수 있는 반사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이미지센서(5)가 포착하는 이미지에 부합하는 굴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금속거울을 사용할 수 있다. 반사식 파인더(10)로서 볼록 거울을 사용하면,평면거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반사식 파인더(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reflective finder 10 reflects as much as possible the image of the subject displayed on the monitor 4 of the mobile phone 1, that is, the image that matches as much as possible with the actual image of the subject captured by the image sensor 5 of the camera 2. It is formed so as to have a reflective characteristic, and preferably a rectangular metal mirror formed convexly convex in conformity with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sensor 5 can be used. When the convex mirror is used as the reflective finder 10, it is possible to use the reflective finder 10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compared to the flat mirror.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반사식 파인더(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는 직사각형이나 원형 등 형상을 가지는 단일 박판으로 되어 있지만, 기능적으로는 광투과부(11)와 반사부(12)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사식 파인더(10)는 카메라 렌즈(3)의 바로 앞에 렌즈(3)와 나란하게 장착된다.Reflective finder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for example, a single thin plate having a shape such as a rectangular or circular as a whole, but functionally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and the reflecting portion (12). The reflective finder 10 is also mounted side by side with the lens 3 in front of the camera lens 3.

상기 광투과부(11)는 카메라 렌즈(3)로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중앙에 최소한의 직경으로 투명하게 되어 있거나 관통 형성된 부분이며, 상기 반사부(12)는 광투과부(11)를 제외한 나머지의 부분으로서 피사체의 상을 비추어주는 거울부분이다.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is a portion which is transparent or penetrated with a minimum diameter at the center so as not to prevent the light from flowing into the camera lens 3, and the reflecting portion 12 except for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As the rest, it is a mirror part that reflects the image of the subject.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렌즈(3)를 투과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휴대폰(1)에 적용된 디지털카메라(2)는 렌즈(3)가 장착되는 렌즈홀더(3A)에 광슬릿(3B)을 형성하여 상기 광슬릿(3B)을 통해 빛이 렌즈(3)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광슬릿(3B)은 몇 미리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매우 작은 구멍에 불과하다. 즉, 휴대폰에 적용된 디지털카메라(2)의 렌즈(3)는 광이 상기 광슬릿(3B)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광로가 확보되면 족하다. 또한, 널리 알려진 1안 리플렉스 파인더와 같이, 파인더의 시각이 렌즈의 시각과 동일한 시각을 가져야 시차를 제거할 수 있다.As is well known, in order to take a picture,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must pass through the lens 3. To this end, the digital camera 2 applied to the mobile phone 1 forms an optical slit 3B in the lens holder 3A on which the lens 3 is mounted so that light passes through the optical slit 3B to the lens 3. It is common to let it flow in, and the said optical slit 3B is only a very small hole which has a diameter below several millimeters in advance. That is, the lens 3 of the digital camera 2 applied to the mobile phone is sufficient if an optical path is secured so as not to prevent light from entering the optical slit 3B. Also, like the well-known single-lens reflex finder, the view of the finder must have the same view as that of the lens to eliminate parallax.

이런 근거에 따라, 본 고안의 휴대폰(1)은, 렌즈(3)의 바로 앞에 반사식 파인더(10)를 위치시킴으로써 시차를 제거하고 있고, 렌즈(3) 앞의 반사식파인더(10)에 의해 광슬릿(3B)으로의 광로가 차단되어 버리는 것은 반사식 파인더(10)에 광투과부(11)를 형성하는 것으로 극복하고 있으며, 광투과부(11)는 렌즈(3)로의 광 유입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하고 있다.On this basis, the cellular 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parallax by placing the reflective finder 10 directly in front of the lens 3, and by the reflective finder 10 in front of the lens 3; The blocking of the optical path to the light slit 3B is overcome by form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in the reflective finder 10,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does not prevent light from entering the lens 3. It is formed to the minimum diameter within the limit.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폰(1)에 의해 사진을 촬영할 경우, 본인이 아닌 다른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모니터(4)를 보면서 영상 구도를 설정하고, 본인이 스스로를 촬영할 때에는 렌즈(3)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반사식 파인더(10)에 비추어지는 시차 없는 상을 주시하면서 영상 구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셔터버튼(6)을 눌러 최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aking a picture by the mobile 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other than the person, the image composition is set while watching the monitor 4 as in the prior art, and when the person photographs themselves, the lens 3 and The composition of the image can be set while watching the parallax-free image projected on the reflective finder 10 located on the same axis, and the shutter button 6 can be pressed to take the final picture.

후자의 경우, 중앙에 위치하는 광투과부(11)의 존재로 인하여 반사식 파인더(10)에 비추어지는 상의 중앙에 흠이 존재하게 되지만, 그 흠은 크기가 몇 미리 이하의 작은 점에 불과하기 때문에 영상 구도를 설정하는 것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In the latter case, a flaw exists in the center of the image projected onto the reflective finder 10 due to the presen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positioned at the center, but since the flaw is only a small point of a few mm or less in advance. There is no effect on setting the image composition.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7은 반사식 파인더(10)가 장착되는 부위의 휴대폰 케이싱이고, 7A는 광슬릿(3B)과 광투과부(11)에 대응하여 휴대폰 케이싱(7)에 형성된 광슬릿이다.Reference numeral 7, which is not described, denotes a mobile phone casing at the site where the reflective finder 10 is mounted, and 7A is an optical slit formed in the mobile phone casing 7 corresponding to the light slit 3B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에 의하면, 중앙에 작은 광투과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 반사부(12)가 형성된 반사식 파인더(10)를 카메라 렌즈(3)의 전방에 렌즈(3)와 동일 축선 상에 장착한 특징적인구성에 따라, 본인 스스로를 촬영할 때와 같이 모니터를 주시할 수 없는 상태에서 촬영할 때에도 시차 없이 피사체의 정확한 영상 구도를 설정하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ront of the camera lens 3, the reflective finder 10 having a small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reflecting portion 12 is formed around the camer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mounted on the same axis as the lens (3),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while setting the correct image composition of the subject without parallax even when shooting in a state where the monitor cannot be observed, such as when shooting yourself There is.

Claims (3)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에 있어서,In th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빛의 반사에 의해 피사체의 상을 비추어 줌으로써 상기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 구도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반사식 파인더(10)가 구비되어 있고;A reflective finder (10) is provided which enables to set an image composition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2) by illuminating the image of the subject by reflection of light; 상기 반사식 파인더(10)는, 상기 카메라(2)의 렌즈(3)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3)로 광이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된 투명한 광투과부(11)와 상기 광투과부(11)를 제외한 둘레의 반사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The reflective finder 10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lens 3 of the camera 2, the transparent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formed to a minimum diameter that does not prevent the light from entering the lens (3) And a reflector 12 around the circumference excluding the light transmitting part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식 파인더(10)는 볼록한 금속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The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reflective finder (10) is a convex metal mirro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3)와 상기 반사식 파인더(10)는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모니터(4)의 반대쪽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3. A camera-integrated mobile phon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ens (3) and the reflective finder (10) are mounted on opposite sides of the monitor (4)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KR2020010036997U 2001-11-30 2001-11-30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KR2002662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97U KR200266287Y1 (en) 2001-11-30 2001-11-30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97U KR200266287Y1 (en) 2001-11-30 2001-11-30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287Y1 true KR200266287Y1 (en) 2002-02-27

Family

ID=7307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997U KR200266287Y1 (en) 2001-11-30 2001-11-30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8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710A (en) * 2002-07-15 2004-01-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710A (en) * 2002-07-15 2004-01-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6976B2 (en) Clamshell-type mobile phone with camera
KR20040079203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40377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JP4571780B2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KR100630162B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liquid crystal display
JP2003018276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66287Y1 (en) Cellular Phone Having Camera
RU2354069C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ry camera
JP2007201825A (en) Mobile phone
JP2007201823A (en) Mobile phone
KR20040038021A (en) Mobile phone with built-in camera
KR200335903Y1 (en) Flash equipment for mobile phone
KR100686153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KR20020080566A (en) Mobile phone having camera
KR2005002368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using mirror
KR100620686B1 (en) a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ake a front and back photograph
KR100592758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tegral camera module using prism
KR100564018B1 (en) Slide type mobile phone having camera
KR20050028958A (en) Apparatus adjustable direction of camera module in the ba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7288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TWI386009B (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photo-taking
JP3929829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040062087A (en) A mobile-phone having camera module
KR2006006492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ptical view finder
JP2002365697A (en) Camera mou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