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970Y1 - a decoration frame - Google Patents

a decoration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970Y1
KR200263970Y1 KR2020010035800U KR20010035800U KR200263970Y1 KR 200263970 Y1 KR200263970 Y1 KR 200263970Y1 KR 2020010035800 U KR2020010035800 U KR 2020010035800U KR 20010035800 U KR20010035800 U KR 20010035800U KR 200263970 Y1 KR200263970 Y1 KR 200263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decorative
pl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8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정용
Original Assignee
송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용 filed Critical 송정용
Priority to KR2020010035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97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970Y1/en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태권도와 관련한 개인의 프로필(PROFILE)과 신체의 일부분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pictur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orative picture frame that can display a part of the body (PROFILE) and a part of the body related to Taekwondo in three dimensions.

그러한 장식용 액자는, 태권도와 관련한 사진과 인증서가 디스플레이 되어 개인의 프로필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액자로서, 전면부에 창부재가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이 보조프레임의 배면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개폐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 일측면에는 직접 신체의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각판(刻板)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된다.Such a decorative frame is a frame that displays a picture and a certificate related to Taekwondo to convey a personal profile more clearly, and includes an auxiliary frame to which a window member is fixed on the front side, and one side that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frame. It includes a main frame that is install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fixed to the display plate is fixed by solidifying the solid part of the body.

Description

장식용 액자{a decoration frame}Decorative frame {a decoration frame}

본 고안은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권도와 관련한 개인의 프로필(PROFILE)과 신체의 일부분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pictur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orative picture frame that can display a part of the body (PROFILE) and part of the body related to Taekwondo in three dimensions.

일반적으로 액자(額子)는 사진, 그림 등을 수납하여 장식 및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고정되는 형태에 따라 벽걸이용과 탁상용으로 대별된다.In general, a picture frame is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and decorating a picture, a picture, and the like. The picture frame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wall-hanging and a table-top according to a fixed form.

상기 액자는 통상의 사각 또는 원형상의 틀 형태로 프레임을 이루고 내측에 사진, 그림 등을 수납, 고정하기 위한 수납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이 수납부에 사진, 그림 등을 수납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되며, 근래에 들어서는 개인의 개성이 중시되어 일반 사진이나 그림 외에도 본인이 직접 체험하거나 배운 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사진을 수납하여 장식용으로 디스플레이 하고 있다.The frame has a frame in the form of a regular square or circular frame and has a structure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fixing a picture, a picture, and the like therein, and storing a picture, a picture, etc.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frame. In recent years, the individual's personality is valued, and in order to commemorate the movements he or she has experienced or learned in addition to general photographs and pictures, the related pictures are stored and displayed for decoration.

그러나, 상기 운동 중에서 태권도(跆拳道/TAEKWONDO)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직접 배우거나 관련 인증서 등을 소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태권도 도복(道服)이나 유니폼을 입고 포즈를 취한 사진만을 액자에 수납하여 디스플레이 하므로서 보는 이로 하여금 개인의 프로필이 명확하게 전달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장식적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aekwondo (TAEKWONDO) among the above-mentioned movements, even though many people learn or possess the relevant certificate, they simply display the pictures in the Taekwondo dobok or uniform and pose in the frame. As a result, the viewer's profile is not clearly commun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corative effect is degraded visually.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는 이로 하여금 상세한 프로필(PROFILE)을 전달하고 장식적 효과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용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orative picture frame that allows the viewer to deliver a detailed profile (PROFILE) and further improve the decorative effec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태권도와 관련한 사진과 인증서가 디스플레이 되어 개인의 프로필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액자로서, 전면부에 창부재가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이 보조프레임의 배면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개폐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 일측면에는 직접 신체의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각판(刻板)이 고정되어디스플레이 되는 장식용 액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icture frame and a certificate related to taekwondo is displayed, which is a frame that can more clearly convey the personal profile, the auxiliary frame is fixed to the window member on the front side, and this auxiliary It includes a main frame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installed on one side, the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rovides a decorative frame that is fixed to the display plate is fixed solidified by taking a portion of the body directly.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액자의 전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orativ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지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corative pa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installation example of th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플레이트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도 8은 도 6의 요부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6.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형태로 벽에 걸려지는 구조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ructure that is hung on a wall in a horizontal form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 및 도 2,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액자의 전체사시도, 정면도, 측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태권도와 관련한 사진(P1)과 인증서(P2)가 디스플레이 되어 개인의 프로필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액자(F)로서, 전면부에 창부재(W)가 고정되는 보조프레임(2)과, 이 보조프레임(2)의 배면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개폐플레이트(4)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6)을 포함한다.1 and 2, 3 is a perspective view, front view,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corativ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cture (P1) and certificate (P2) related to Taekwondo is displayed A frame (F) that can more clearly communicate the profile of the individual, the auxiliary frame (2) is fixed to the window member (W) in the front portion, and coupled to the back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2) and opened and closed on one side It includes a main frame 6 in which the plate 4 is installed.

상기 보조프레임(2)은 내측이 개구된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로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2) is made of a frame shape with an inner opening, the material may be synthetic resin, wood or metal material.

상기 보조프레임(2)의 내측에는 제1단차부(8)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의 테두리부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클립(C)이 설치된다.The first step portion 8 is formed inside the auxiliary frame 2, and at least one fixing clip C is install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2.

상기 제1단차부(8)에는 창부재(W)가 결합되고, 이 창부재(W)는 상기 보조프레임(2)과 메인프레임(6)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측 수납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투명한 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Window member (W) is coupled to the first step (8), the window member (W) is easi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receiving portion formed by combining the auxiliary frame (2) and the main frame (6) from the outside As it can be,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can be used, in addition to any material that satisfi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carried out.

상기 고정클립(C1)은 박막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외력에 의해 변화된 형태가유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단차부(8)에 끼워지는 창부재(W)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clip (C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of the thin film is maintained by the external force form can be easily fixed to the window member (W) fitted to the first step (8).

그리고, 상기 제1단차부(8)에는 창부재(W)의 배면부에 장식지(10)가 함께 끼워져서 상기 고정클립(C1)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 장식지(10)는 상기 창부재(W)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사진(P1), 인증서(P2), 그리고 각판(Q)의 테두리를 한정하는 타공부(H1,H2,H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타공부(H1,H2)의 배면부에는 사진(P1)과 인증서(P2)가 별도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된다.(도 4참조)In addition, the decorative paper 10 is inserted together at the rear portion of the window member W in the first stepped portion 8 and fixed by the fixing clip C1, and the decorative paper 10 is the window member W. Perforations (H1, H2, H3) defining the border of the picture (P1), certificate (P2), and each plate (Q) to be displayed through each is formed, the back portion of the perforations (H1, H2) (P1) and certificate (P2) are fixed by a separate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see Fig. 4).

상기 타공부(H1,H2,H3)의 형상은 최적의 장식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식적 모양이나 형태로 타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서(P2)는 태권도와 관련된 자격증이나 단증(段證)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태권도와 관련된 개인의 프로필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증서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The perforations (H1, H2, H3) can be perforated in a variety of decorative shapes or forms in order to achieve the optimal decorative effect, the certificate (P2) is a certificate or certificate of taekwondo (段 證) The certificate may be applied, and any other certificate that can smoothly convey the profile of the individual related to Taekwondo may be applied.

상기 장식지(10)의 표면에는 장식적인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식적 무늬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염색공정을 거쳐서 색채가 표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Various decorative 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corative paper 10 to further exhibit a decorative effect, and the colors may be expressed through a separate dyeing process to further double the effect.

상기 보조프레임(2)의 배면부에는 메인프레임(6)이 일체로 결합되는데, 이 메인프레임(6)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in frame 6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2, and the structure of the main frame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시 메인프레임(6)은 상기 보조프레임(2)의 배면부에서 별도의 접착제나 못,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그 재질은 상기 보조프레임(2)과 동일하게 목재, 합성수지, 금속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Always the main frame 6 is fix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eparate adhesive, nails, screws, etc. in the back portion of the auxiliary frame 2, the material is the same as the auxiliary frame (2), such as wood, synthetic resin, metal This can be used.

상기 메인프레임(6)의 배면부 테두리 내측에는 제2단차부(12)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보조프레임(2)의 제1단차부(8)에 설치되는 고정클립(C1)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고정클립(C2)이 하나 이상 설치된다.The second stepped portion 12 is formed inside the rear edge of the main frame 6, and the fixed clip C1 is installed on the first stepped portion 8 of the auxiliary frame 2 at the edge of the stepped portion. One or more fixing clips (C2) made of the same form as is installed.

상기 메인프레임(6)의 배면부 상측 테두리에는 벽에 걸려지기 위한 걸림홈(14)이 형성된 걸림플레이트(16)가 결합되며, 이 플레이트의 걸림홈(14)은 벽 등에 돌출되어 고정된 고정부재(예를들면 못, 나사 등)에 끼워져서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 locking plate 16 having a locking groove 14 for hanging on a wall is coupled to an upper edge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frame 6, and the locking groove 14 of the plate protrudes from a wall and is fixed to a fixed member ( For example, nails, screws, etc.) may be inserted to maintain a jammed state.

상기 제2단차부(12)에는 판상의 개폐플레이트(4)가 끼워져서 상기 고정클립(C2)에 의해 고정되며, 이 개폐플레이트(4)는 일종의 도어역활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프레임(2)과 메인프레임(6)의 내측 수납부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게 된다.The plate-shaped opening and closing plate 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epped part 12 and fixed by the fixing clip C2.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 serves as a kind of door, and the auxiliary frame 2 The inner housing of the main frame 6 is opened or closed.

상기에서는 액자(F)의 프레임부가 보조프레임(2)과 메인프레임(6)으로 각각 구성되어 이들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rame part of the frame F is composed of the auxiliary frame 2 and the main frame 6, respectively, and is formed by a combination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rame part is integrally formed. It could be.

상기 개폐플레이트(4)의 일측면에는 베이스지(18)가 결합되고 이 베이스지(18)에는 각판(Q)이 설치되는데 이 구조 및 배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ase paper 18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 and the base plate 18 is provided with a square plate Q,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장식지(10)의 타공부(H3)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지(18)에는 하나 이상의 각판(Q)이 설치되며, 이 각판(Q)은 태권도를 쉽게 연상시킬 수 있는 신체부위 즉, 주먹과 발이 적용된 것을 도면에 도시하고 있다.3A and 3B, the base paper 18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plate plates Q corresponding to the perforations H3 of the decorative paper 10, and the plate plates Q are easily associated with Taekwondo. The body parts that can be made, that is, the fist and the foot are applied are shown in the drawing.

상기 각판(Q)은 석고나 고무류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직접 신체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것으로, 양각 또는 음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ate (Q) is solidified by taking a portion of the body directly using a gypsum, rubber, synthetic resin, etc., may be formed in an embossed or intaglio form.

상기 각판(Q)은 별도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베이스지(18)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신체의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각판의 제작공정 및 방법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주형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late (Q) is to be fixed to the base paper 18 by a separate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not shown),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ethod of the plate to be solidified by taking a portion of the body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Since a well-known molding method can be us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베이스지(18)는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베이스지(18)의 표면에는 시각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장식무늬가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지(18)가 생략된 구조에서 상기 개폐플레이트(4)의 일측면에 상기 각판(Q)을 직접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The base paper 18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a decorative pattern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per 18 so as to exert a visual effect, and the base paper 18 In the structure omitted),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install the square plate (Q)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

상기의 실시예는 벽에 가로로 설치되는 가로형 액자를 일예로 하여 설명 및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with an example of a horizontal fram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wal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들면, 도 5에서와 같이 세로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도 제공될 수 있고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할 수 있는 액자의 형상 및 모양은 모두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t can also be provided in a vertically installed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5 in addition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picture frame that can satisf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그리고, 상기에서는 액자의 양측면에 사진(P1)과 인증서(P2)를 각각 설치하고 이 사이에 각판(Q)이 배치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배열은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구성이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hoto plate P1 and the certificate P2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icture frame, and each plate Q is disposed therebetween, and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rrangement that satisfies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it is natural that such a configura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상기 실시예는 사진(P1)과 인증서(P2)가 장식지(10)의 타공부 (H1,H2) 배면에서 별도의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인 반면, 도 6, 도 7, 도 8은 상기 개폐플레이트(4)의 베이스지(18) 표면에 이격부재(20)를 설치하고 이 이격부재(20)에 상기 사진(P1), 인증서(P2)를 고정하므로서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hoto P1 and the certificate P2 are fixed by a separate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on the back of the perforations H1 and H2 of the decorative paper 10, respectively. By installing the spacer member 20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per 18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 and fixing the photo (P1), the certificate (P2) to the spacer member 20 to visually further improve the three-dimensional effect It is shown that a structure can be provided.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플레이트(4)의 일측면에는 베이스지(18)가 결합되고, 이 베이스지(18)의 표면에는 사진(P1)과 인증서(P2)를 고정하기 위한 이격부재(20)들이 설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se plate 18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 and the spacer member for fixing the photo (P1) and the certificate (P2) on the surface of the base paper 18 ( 20) are installed.

상기 이격부재(20)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spacer member 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 and the material may be rubber or synthetic resin.

상기 이격부재(20)의 배열은 상기 사진(P1) 및 인증서(P2)의 테두리 범위내에서 배열되며, 상기 이격부재(20)의 상측 표면에 별도의 양면테이프를 붙이거나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사진(P1)과 인증서(P2)를 각각 고정하게 된다.The spacer member 20 is arranged within the border of the photo P1 and the certificate P2,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r member 20 by attaching a separate double-sided tape or applying an adhesive or the like. (P1) and certificate (P2) are fixed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격부재(20)의 상측면에 고정된 사진(P1)과 인증서(P2)는 베이스지(18)로 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므로 외부에서 볼 때 시각적으로 더욱 향상된 입체감을 발휘하게 된다.Therefore, the photo (P1) and the certificate (P2)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acer member 20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per 18, thereby visuall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식용 액자는 태권도와 관련된 사진과 인증서(人證書)를 함께 수납하여 더욱 상세한 프로필(PROFILE)을 전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연상시키는 특정 신체부위를 양각(陽刻)이나 음각(陰刻)으로 본을떠서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므로서 장식적인 효과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corativ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 picture and a certificate related to Taekwondo together to deliver a more detailed profile, and also emboss a specific body part reminiscent of it. The decorative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by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in an intaglio.

Claims (2)

태권도와 관련한 사진과 인증서가 디스플레이 되어 개인의 프로필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액자로서, 전면부에 창부재가 고정되는 보조프레임과, 이 보조프레임의 배면부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개폐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 일측면에는 직접 신체의 일부를 본을 떠서 고형화한 각판(刻板)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이 각판(刻板)은 주먹과 발 형상이 양각(陽刻) 또는 음각(陰刻)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용 액자.A picture frame that displays taekwondo related pictures and certificates to clearly communicate the personal profile.It is an auxiliary frame where the window member is fixed to the front side, and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frame. It includes a main frame, an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fixed to display a solid plate (刻板) solidified by taking a portion of the body directly, the plate (刻板) is embossed or incised in the shape of the fist and foot Decorative picture frame consisting of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이격부재들이 설치되고, 이 이격부재의 일측면에 사진 및 인증서가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장식용 액자.The decorative picture frame of claim 1, wherein spacer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photographs and certificates ar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pacer.
KR2020010035800U 2001-11-21 2001-11-21 a decoration frame KR2002639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00U KR200263970Y1 (en) 2001-11-21 2001-11-21 a decoration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00U KR200263970Y1 (en) 2001-11-21 2001-11-21 a decoration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970Y1 true KR200263970Y1 (en) 2002-02-19

Family

ID=7307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800U KR200263970Y1 (en) 2001-11-21 2001-11-21 a decoration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97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744B1 (en) Monitor mounted personal organizer
US6574896B1 (en) Glass plate picture frame
US5495686A (en) Decorative device with a smooth opaque magnetic surface for magnets
US3782015A (en) Display frames
US20060066094A1 (en) Display book with viewing compartment and self-illumination
KR200263970Y1 (en) a decoration frame
RU2199932C1 (en) Information frame
JP3118474U (en) Display panel
WO2007081709A2 (en) Display holder
KR20150097900A (en) a picture frame
KR200323059Y1 (en) Nameplate that use liquid crystal panel
US11910944B2 (en) Decorative mezuzah casing
CN213340151U (en) Intelligent switch panel
US20020162262A1 (en) Quick-change display frame locking device
EP1082041B1 (en) A frame for framing pictures
KR100452929B1 (en) A Picture frame for sticking and removing
KR200415930Y1 (en) Acryl Box combined use for frame
KR200341967Y1 (en) The guidance plate
KR100808136B1 (en) Birth article custody decoration frame
JP2006309085A (en) Room name display device
KR200284203Y1 (en) A Picture frame
KR200317254Y1 (en) Frame having a piebaid figure
KR20180074954A (en) A Frameless Floating Picture Frames
KR200293289Y1 (en) A flag frame of hanging scroll form
KR950001915Y1 (en) Pictur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