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987Y1 -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 Google Patents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987Y1
KR200256987Y1 KR20010026762U KR20010026762U KR200256987Y1 KR 200256987 Y1 KR200256987 Y1 KR 200256987Y1 KR 20010026762 U KR20010026762 U KR 20010026762U KR 20010026762 U KR20010026762 U KR 20010026762U KR 200256987 Y1 KR200256987 Y1 KR 200256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hone
call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267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to KR20010026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9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987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또는 유/무선 복합인 일반 전화기에서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에 착신된 전화를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거나 일반 전화기에서 휴대폰의 통신수단인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harge a mobile phone in a landline or a wired / wireless hybrid phone, and to make a call on a cell phone using a regular phone or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 communication means of a mobile phone in a normal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pable of charging and interlocking a mobile phone so that a call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 또는 유/무선 복합인 일반 전화기에서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에 착신된 호를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거나 전화기에서 휴대폰의 통신수단인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harge a mobile phone in a general telephone of a wired or wired / wireless combination, a call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using a telephone or a cal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a communication means of the mobile phone from the telephone. It relates to a phone capable of charging and interlocking a mobile phone to perform.

우리의 일상에서 전화기는 이제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다. 유선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뿐만 아니라, 이제는 이동이 용이한 휴대폰까지 각 가정이나 사무실 그리고 개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In our daily lives, telephones are now an indispensable necessity. In addition to fixed line telephones, mobile phones are now widely used in homes, offices, and individuals.

일반적으로, 건물 외부에서는 이동이 용이한 휴대폰을 주로 사용하고, 건물 내에서는 유선 전화기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는 휴대폰과 유선전화기의 본래의 기능에 충실한 사용으로써 이동성이 용이한 휴대폰은 외부에서 많이 사용하고, 고정되어 있거나 거리제약이 따르는 유선전화기(여기서, '유선전화기'라 함은 유선 및 유무선 복합 전화기를 통칭하는 전화기를 의미한다.)는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내부에서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In general, mobile phones that are easy to move outside the building are mainly used, and landline phones are frequently used in the building. This is faithful to the original functions of mobile phones and landline phones. Mobile phones that are easy to move are frequently used from the outside, and fixed or distance-restricted landline phones (here, 'wired phones' are called wired and wired combined phones. (Commonly referred to as phone) is because it is used a lot internally because of its ease of use.

휴대폰을 보면 구매시 패키지로 휴대폰 단말기와, 충전기, 이어-마이크폰과 같은 핸즈프리장치 및 배터리가 한 세트로 판매되고 있다. 휴대폰은 사용 용량의 제약을 받는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항상 여분의 배터리나 주변에 충전기를 두고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미처 여분의 배터리가 없거나 충전기를 준비하지 못한경우 중요한 전화가 걸려 오게 되면 휴대폰 전원이 소모되어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현재는 휴대폰과 유선전화기가 별도의 위치에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됨으로서 건물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들은 유선전화기의 위치와는 별도로 휴대폰을 두게 되어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휴대폰을 받기 위해 휴대폰을 찾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the case of mobile phones, a package of mobile phones, chargers, hands-free devices such as ear-microphones, and batteries are sold as a package. Mobile phones use batteries that are constrained by capacity, so always use spare batteries or chargers around them. However, if you don't have a spare battery or don't have a charger, you'll often run out of mobile phone power when you get an important call. In addition, mobile phones and landline phones ar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separate locations, so users located in the building have mobile phones separate from the location of landline phones. There was a feeling.

현대는 여러 전자제품들을 하나의 복합적인 기기로 만드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팩스와 프린터와 전화를 하나로 묶는 복합 OA기기와, 카메라와 전화, 그리고 라디오 및 TV를 하나로 묶는 다기능 휴대폰까지 서로 독립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던 전자제품들을 하나의 기기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는 사용의 편리함과 경제 및 공간의 절약을 가져다 주도록 하고 있다.Hyundai is in the process of making several electronic products into one complex device. For example, a complex OA device that combines fax, printers, and phones together, and a multifunction mobile phone that combines cameras, phones, and radios and TVs together, all have multiple functions on one device. It is intended to bring convenience, economy and space savings to consumers.

하지만, 현재까지 유선전화기에서 휴대폰과 연동하거나 휴대폰의 충전을 유도하도록 하는 복합 기능은 출현하지 않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생각해 보면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임을 알 것이다. 예컨대, 유선전화기에 휴대폰을 충전하는 거치대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폰 충전을 위한 충전기가 불필요할 것이고, 유선전화기가 위치한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지 필요한 충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스피커폰 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기와 휴대폰이 연동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폰에 걸려온 전화를 유선전화기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핸즈프리로 전화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전화 요금 등에서 휴대폰의 요금이 유선전화기보다 저렴하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사용자는 유선전화기에서 휴대폰 다이얼링을 하여 휴대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면 경제적으로나 사용의 편리성에서나 매우 유익할 것이 예상된다.However, to date, a complex function for interworking with a mobile phone or inducing charging of a mobile phone has not appeared. This may be very inconvenient and inefficient given the following assumptions. For example, suppose you have a cradle for charging a cell phone in a landline phone. Then the user will not need a charger to charge the phone and will be able to charge it wherever the landline is located. And, suppose that a wired telephone and a mobile phone that can make speakerphone calls are interlocked. Then, the user will be able to answer the call to the mobile phone hands-free using the speakerphone of the landline phone. In addition, suppose that the cost of a mobile phone is cheaper than a landline phone in international call rates. Then, if the user can make a mobile phone call by making a mobile phone dialing in the landline, it is expected to be very beneficial both economically and easily.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유선전화기와 휴대폰이 상호 유기적이지 못한 부분들을 해소하고, 상호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유선전화기에서 휴대폰을 충전하거나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non-organic parts of the conventional landline phone and the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to enable the mobile phone to charge the mobile phone or perform a call using the mobile phone through mutual organic coupling In providing a possible telephon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선전화기에 휴대폰과 연동되는 복합 기능을 적용하여 유선전화기의 단순성을 극복하고 보다 편리하고 유용한 유선전화기를 개발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simplicity of the landline phone by applying a complex function interlocked with the mobile phone to the landline phone and to develop a more convenient and useful landline phone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In providing.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견지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상기 전화기 외관의 적소에 위치한 거치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전화기와 상기 휴대폰간 데이터와 전원을 인터페이싱 하는 휴대폰 접속부와;A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located inside a cradle located at an exterior of the phone, coupled to a data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to interface data and power between the phone and the mobile phone;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상기 휴대폰이 접속되면 상기 전화기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폰 배터리에 필요한 충전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부와;A charging unit which receives power from a power supply unit of the telephone and supplies a charging voltage to the cellular phone battery when the cellular phone is connected to the cellular phone connection unit;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의 착신에 따른 통화 및 상기 휴대폰으로의 발신에 따른 통화를 상기 전화기의 스피커폰이나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하는 통화제어부; 및A cal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for switching and controlling a call according to an incoming call of the mobile phone and a call according to an outgoing call to the mobile phone by using a speakerphone or a handset of the phone; And

상기 휴대폰이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거치되어 접속되면 상기 휴대폰을 충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휴대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에 착신된 전화를 상기 전화기의 스피커폰이나 핸드셋을 통해 통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폰의 다이얼링을 상기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is charged to charge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phone through the speakerphone or the hands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aling to be performed by using the keypad of the telephone.

또한, 본 고안의 제2견지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는 상기 휴대폰의 충전이 수행중인 경우와, 상기 휴대폰 충전이 완료된 경우와, 상기 휴대폰이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hone capable of charging and interlocking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when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s being performed, when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s completed, and when the mobile phone is abnorm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hone capable of charging and interworking with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을 위한 거치대를 구비하는 전화기의 외관 구성도,2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lephone having a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서 휴대폰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3 is a control flow chart for performing a mobile phone charging in a phone capable of charging and interlocking mobile ph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서 휴대폰 접속상태에서 휴대폰에 착신된 호를 전화기의 스피커폰을 통해 통화하기 위한 제어흐름도,4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calling a call received through the mobile phone in the mobile phone connection state in the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akerphone of the phone,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서 휴대폰 접속상태에서 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망을 이용하는 휴대폰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5 is a control flow chart for carrying out a mobile phone call using a mobile network using a phone in a mobile phone connection state in a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전화기(100)는 핸드셋(112), 아날로그 스위치(113), 마이크 증폭부(114), 마이크(115), 스피커 증폭부(116),스피커(117), 통화회로부(118), 전화라인 스위치(119), 링거(120), 링검출부(121), 멜로디 회로부(122), 제어부(123), 메모리(124), 표시부(125), 키패드(126), 전원부(128), 충전부(129), 통화제어부(130), 휴대폰 접속부(131) 및 충전상태 표시부(132)를 구비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hone capable of charging and interwork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100 shown in Figure 1 is a handset 112, an analog switch 113, a microphone amplifier ( 114, a microphone 115, a speaker amplifier 116, a speaker 117, a call circuit 118, a telephone line switch 119, a ringer 120, a ring detector 121, a melody circuit 122, A control unit 123, a memory 124, a display unit 125, a keypad 126, a power supply unit 128, a charging unit 129, a call control unit 130, a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131 and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132 do.

상기 핸드셋(11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송화부와 수화부로 구성된 송수화기이며, 상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를 통해 통화회로부(118)에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118)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상기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한다.Although not shown, the handset 112 is a handset composed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ransmits a user's voice to the call circuit unit 118 through the analog switch 113 through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transmitter, and the call.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ircuit unit 118 is output from the handset to perform a voice call.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는 상기 핸드셋(112), 마이크 증폭부(114), 스피커 증폭부(117), 통화회로부(118), 멜로디 회로부(122) 및 휴대폰과 연동되는 통화회로부(130)와 연결되어 각 구성부의 동작에 따른 회로 스위칭을 담당한다.The analog switch 113 is connected to the handset 112, the microphone amplifier 114, the speaker amplifier 117, the call circuit 118, the melody circuit 122 and the call circuit unit 130 interlocked with the mobile phone. It is responsible for the circuit switch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기 마이크 증폭부(114)는 상기 마이크(MIC: 1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The microphone amplifier 114 amplifies and outputs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115.

상기 스피커 증폭부(116)는 상기 통화회로부(11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11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The speaker amplifier 116 amplifies an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call circuit unit 118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117.

상기 통화회로부(118)는 음성 송수신 회로(Speech Network)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와 전화라인 스위치(119)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The call circuit unit 118 is a voice network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analog switch 113 and the telephone line switch 119 to process various tone signals and voice signals.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119)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상기 전화라인(TEL LINE)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lephone line switch 119 includes a hook switch, and performs a function of forming or blocking a call path with the telephone li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3.

상기 링거(120)는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117) 및 링검출부(121)에 연결되며, 톤 링거(Tone Ringer)이다.The ringer 120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the speaker 117, and the ring detector 121, and is a tone ringer.

상기 링검출부(121)는 상기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후크 온(Hook On)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23)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The ring detector 121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and detects a ring signal input to the telephone line in a hook on state to notify the controller 123 that the call is received.

상기 멜로디 회로부(122)는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다양한 멜로디를 선택 출력한다.The melody circuit 122 selects and outputs various melodi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3.

상기 제어부(123)는 전화기의 기능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국선 통화를 제어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통화회로부(130) 및 충전부(129)를 제어하여 휴대폰이 거치대에 놓여짐을 감지하면 휴대폰을 충전하도록 제어하며, 휴대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휴대폰에 걸려온 전화(착신호)를 전화기의 스피커폰이나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화하고, 휴대폰의 다이얼링을 전화기의 키패드(126)를 이용하여 휴대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23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various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phone, and controls the trunk line cal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23 controls the call circuit unit 130 and the charging unit 129 to control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when it detects that the mobile phone is placed on the cradle, and the call made to the mobile phone while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 Call) using a speakerphone or a handset of a telephone and controls dialing of the cellular phone so as to perform a cellular telephone call using the keypad 126 of the telephone.

상기 메모리(124)는 전화기의 제반 기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메모리(124)는 일 예로,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mory 124 stores various functional programs of the telephone, and stores various kinds of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3. For example, the memory 124 may use an EEPROM.

상기 표시부(125)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전화기의 현재 상태도 및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12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light emitting diodes) and / or LCD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displays the current state diagram and general conditions of the 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3.

상기 키패드(126)는 다수의 기능 키 및 다이얼 3*4키를 구비하여 각종 기능 설정 및 동작이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한다.The keypad 126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a dial 3 * 4 key to perform various function setting and operation or dial input.

상기 전원부(128)는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상기 충전부(129)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며, 각 구성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8 supplies charging power to the charging unit 129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3,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each component unit.

상기 충전부(129)는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전화기 외관에 위치한 거치대의 상기 휴대폰 접속부(131)에 휴대폰이 접속되면 휴대폰의 배터리에 충전전압을 공급하여 충전시킨다.The charging unit 129 charges by supplying a charging voltage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131 of the cradle located on the exterior of the 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3.

상기 통화제어부(130)는 상기 휴대폰 접속부(131)와 아날로그 스위치(113) 및 제어부(123)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상기 휴대폰의 착신에 따른 통화 및 휴대폰으로의 발신에 따른 통화를 전화기의 스피커폰이나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화하도록 제어한다.The call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131, the analog switch 113, and the control unit 123,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3, a call according to an incoming call of the mobile phone and a call to the mobile phone are controlled. Calls are controlled using the speakerphone or handset of the phone.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132)는 예를 들어 LED(녹-적 발광다이오드)로 구현하며, 충전중인 경우에는 적색 표시를 하며, 충전완료인 경우에는 녹색 표시를 하며, 비정상 접속인 경우에는 적색 점멸 표시한다.For example, the charging state display unit 132 is implemented as an LED (green-red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s red when charging, green when charging is completed, and red blinks when abnormal connection is established. do.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을 위한 거치대를 구비하는 전화기의 외관 구성도로서, 유/무선 전화기(100)의 적소에 휴대폰(200)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휴대폰 접속부가 내장)가 설치된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는 휴대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전화기(100)와 휴대폰(200)간 데이터와 전원을 인터페이싱 한다. 단지 휴대폰의 충전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배터리의 전원단자에 접속되는구조의 휴대폰 접속부를 거치대에 설치하면 된다.2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hone having a cradle for charging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adle (mobile phone connection portion)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200 in place of the wired / wireless phone 100 It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stalled phone. In this case, the holder is coupled to the data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to interface data and power between the phone 100 and the mobile phone 200. In order to enable only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art of the structur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battery may be installed in the holder.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서 휴대폰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3 is a control flow chart for performing a mobile phone charging in a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휴대폰(200)이 상기 휴대폰 접속부(131)에 정상 접속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휴대폰(200)이 정상 접속인 경우에는 313단계로 진행하고, 비정상 접속인 경우에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휴대폰 접속불량을 적색 점멸로 표시하여 외부에 알린다.In step 311, the controller 123 checks whether the mobile phone 200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131. If the mobile phone 200 is normally connected, the controller 123 proceeds to step 313. Proceed to step 312 to notify the outside of the mobile phone connection failure by blinking red.

만약, 상기 휴대폰(200)이 정상 접속이라면 상기 제어부(123)는 313단계에서 휴대폰 충전 모드를 구동하여 상기 전원부(128)의 전원을 상기 충전부(129)에서 충전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폰 접속부(131)를 통해 상기 휴대폰(200)에 충전 전압을 공급한다.If the mobile phone 200 is normally connected, the control unit 123 drives the mobile phone charging mode in step 313 to convert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28 into a charging voltage in the charging unit 129 and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131. Supply a charging voltage to the mobile phone 200 through).

그리고, 상기 제어부(123)는 314단계에서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132)를 통해 상기 휴대폰(200)이 충전중임을 표시한다. 이는 LED를 적색 점등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3 indicates that the mobile phone 200 is being charged through the charge state display unit 132 in step 314. This can be indicated by lighting the LED red.

이후, 상기 제어부(123)는 315단계에서 상기 충전부(129)의 충전상태 감지를 통해 상기 휴대폰(200)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었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휴대폰 배터리가 충전완료 되었으면 316단계로 진행하고, 충전완료 되지 않았으면 313단계로 리턴한다.After that, the control unit 123 checks whether the mobile phone battery is fully charged by detect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unit 129 in step 315, and proceeds to step 316 when the mobile phone battery is fully charged. If not, return to step 313.

상기 31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132)를 통해 휴대폰이 충전완료 되었음을 표시한다. 이는 LED를 녹색 점등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In step 316, the controller 123 displays that the mobile phone is fully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state display unit 132. This can be indicated by lighting the LED gree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서 휴대폰 접속상태에서 휴대폰에 착신된 호를 전화기의 스피커폰을 통해 통화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4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calling a call received through the mobile phone in the mobile phone connection state in the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akerphone of the phone,

4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휴대폰(200)이 상기 휴대폰 접속부(131)에 접속된 상태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휴대폰(200)이 접속된 상태라면 상기 제어부(123)는 412단계로 진행하고, 비접속 상태라면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In step 411, the controller 123 checks whether the mobile phone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131. If the mobile phone 200 is in the connected state, the controller 123 proceeds to step 412, and if the mobile phone 200 is not connected, terminate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41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통화제어부(130) 및 아날로그 스위치(113)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폰(200)과 전화기(100)의 통화로(핸드셋 통화 또는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통화로)를 형성한다.In step 412, the control unit 123 controls the call control unit 130 and the analog switch 113 to form a call path (a call path for a handset call or a speakerphone call) between the mobile phone 200 and the phone 100. do.

이후, 상기 제어부(123)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폰 접속부(131)에 접속된 휴대폰(200)에 착신호가 있는가를 상기 통화제어부(130)를 통해 검사하여 상기 착신호가 있으면 414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착신호가 없으면 후술하는 도 5의 동작을 수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23 proceeds to step 413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coming call on the mobile phone 200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131 through the call controller 130 and proceeds to step 414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If there is no incoming call, the operation of FIG. 5 will be performed.

상기 4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200)을 상기 휴대폰 접속부(131)로부터 이탈시켜 휴대폰 접속을 해제시켰는가를 검사하여 계속 접속 중이면 416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휴대폰 접속이 해제되었다면 415단계로 진행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다.In step 414, the controller 123 checks whether the user detaches the cellular phone 200 from the cellular phone connection part 131 to release the cellular phone connection. If the connection is continued, the controller 123 proceeds to step 416. If yes, go to step 415 to switch to standby mode.

상기 41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키패드(126)에 구비된 스피커폰통화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여 입력되면 417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스피커폰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421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416, the controller 123 checks whether the speaker phone call key provided in the keypad 126 is input, and if so, proceeds to step 417. If the speaker phone call key is not input, the controller 123 proceeds to step 421.

상기 417단계로 진행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3)는 스피커폰을 위해 상기 통화제어부(131)에 스피커(117) 및 마이크(115)를 연결하고, 착신호에 따른 통화를 위해 418단계에서 휴대폰 통화를 전화기의 스피커폰 통화로 구현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휴대폰(200)에 걸려온 전화를 상기 전화기(100)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받다가 419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23)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In step 417, the control unit 123 connects the speaker 117 and the microphone 115 to the call control unit 131 for the speaker phone, and makes a mobile phone call in step 418 for a call based on an incoming call. Control to be implemented as a speakerphone call. When the call received on the mobile phone 200 is received using the speakerphone of the phone 100 and the call is terminated in step 419, the controller 123 end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스피커폰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아 421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핸드셋(112)이 사용자에 의해 들려져 후크오프가 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후크오프가 되었으면 422단계로 진행하고, 후크오프가 되지 않으면 414단계로 리턴 한다.Meanwhile, when the speakerphone call key is not input and proceeds to step 421, the controller 123 checks whether the handset 112 is lifted by the user and hooked off. If the check result is the hook off, proceed to step 422, if the hook off is not returned to step 414.

상기 42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휴대폰 통화를 전화기의 핸드셋 통화로 구현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휴대폰(200)에 걸려온 전화를 상기 전화기(100)의 핸드셋을 이용하여 받다가 423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23)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In step 422, the controller 123 controls the mobile phone call to be implemented as a handset call of the phone. When the call received on the mobile phone 200 is received using the handset of the phone 100 and the call ends in step 423, the controller 123 end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서 휴대폰 접속상태에서 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폰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상기 도 4의 상기 413단계에서 휴대폰 착신호가 없는 경우에 수행되는 제어흐름도이다.FIG. 5 is a control flowchart of a mobile phone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mobile phone in a mobile phone connection state in a mobile phone charging and interworking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phone in step 413 of FIG. This is a control flowchart performed in the absence of an incoming call.

먼저, 50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전화기의 스피커폰 통화키의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하여 전화기의 스피커폰 통화키 입력이 있으면 502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전화기의 스피커폰 통화키 입력이 없으면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First, in step 501, the controller 123 check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the speakerphone call key of the phone, and proceeds to step 502 if there is a speakerphone call key input of the phone, and if there is no speakerphone call key input of the phone, Quit the program.

상기 50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키패드(126)를 통해 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503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다이얼 정보를 상기 휴대폰(200)으로 송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휴대폰(200)에서 다이얼링이 수행되어 505단계에서 다이얼링된 발신호가 연결되면 506단계로 진행한다.In step 502, if the dial button is input through the keypad 126, the controller 123 proceeds to step 503 and transmits the dial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 200. After that, when the dialing is performed in the mobile phone 200 and the dialed out signal is connected in step 505, the controller 123 proceeds to step 506.

상기 5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23)는 휴대폰 통화를 전화기의 스피커폰 통화로 구현되도록 제어한다.In step 506, the controller 123 controls the mobile phone call to be implemented as a speakerphone call of the phone.

이렇게 휴대폰(200)에 걸려온 전화를 상기 전화기(100)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받다가 507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23)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When the call received on the mobile phone 200 is received using the speakerphone of the phone 100 and the call ends in step 507, the controller 123 ends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100)에 휴대폰(200)의 거치대를 두고, 상기 휴대폰(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와, 상기 휴대폰(200)의 통화를 받거나 걸 수 있는 통화제어부를 구비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der of the mobile phone 200 on the phone 100, a charging unit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200, and a call control unit capable of receiving or making a call of the mobile phone 200. Equipped to perform the function.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described below and the equivalents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유선전화기와 휴대폰이 상호 유기적이지 못한 부분들을 해소하고, 상호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유선전화기에서 휴대폰을 충전하거나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conventional non-organic parts of the landline phone and the mobile phone, and has the advantage of charging the mobile phone or performing a call using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mutual organic coupling.

또한,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에 휴대폰과 연동되는 복합 기능을 적용하여 유선전화기의 단순성을 극복하고 보다 편리하고 유용한 유선전화기를 개발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overcoming the simplicity of the landline phone by applying a complex function interlocked with the mobile phone to the landline phone to develop a more convenient and useful landline phone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Claims (2)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에 있어서:In a phone that can charge and work with the phone: 상기 전화기 외관의 적소에 위치한 거치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휴대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전화기와 상기 휴대폰간 데이터와 전원을 인터페이싱 하는 휴대폰 접속부와;A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located inside a cradle located at an exterior of the phone, coupled to a data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to interface data and power between the phone and the mobile phone;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상기 휴대폰이 접속되면 상기 전화기의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폰 배터리에 필요한 충전 전압을 공급하는 충전부와;A charging unit which receives power from a power supply unit of the telephone and supplies a charging voltage to the cellular phone battery when the cellular phone is connected to the cellular phone connection unit;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의 착신에 따른 통화 및 상기 휴대폰으로의 발신에 따른 통화를 상기 전화기의 스피커폰이나 핸드셋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스위칭 제어하는 통화제어부; 및A call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for switching and controlling a call according to an incoming call of the mobile phone and a call according to an outgoing call to the mobile phone by using a speakerphone or a handset of the phone; And 상기 휴대폰이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거치되어 접속되면 상기 휴대폰을 충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휴대폰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에 착신된 전화를 상기 전화기의 스피커폰이나 핸드셋을 통해 통화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폰의 다이얼링을 상기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When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is charged to charge the mobile phone.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mobile phone is connected to the phone through the speakerphone or the hands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ialing of the phone by using a keypad of the 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lephone is: 상기 휴대폰의 충전이 수행중인 경우와, 상기 휴대폰 충전이 완료된 경우와,상기 휴대폰이 상기 휴대폰 접속부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Charging and interlocking the mobile phone further comprises a charging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n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s being performed, when the charging of the mobile phone is completed, and when the mobile phone is abnorm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unit. Phone available.
KR20010026762U 2001-09-01 2001-09-01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KR2002569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6762U KR200256987Y1 (en) 2001-09-01 2001-09-01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6762U KR200256987Y1 (en) 2001-09-01 2001-09-01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564A Division KR20010088994A (en) 2001-08-31 2001-08-31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987Y1 true KR200256987Y1 (en) 2001-12-24

Family

ID=4172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26762U KR200256987Y1 (en) 2001-09-01 2001-09-01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98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5A (en) * 2002-02-09 2003-08-19 그린텔레콤(주)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5A (en) * 2002-02-09 2003-08-19 그린텔레콤(주)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9399B (en) Blue tooth loudspeaker
KR20010088994A (en)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56987Y1 (en) Telephone possible of a charging and cooperating of potable phone
KR20100065221A (en) Method of inter-connection from mobile phone to wired and wireless pstn or voip phone for switching and enabling telecommunication by pstn or voip via mobile gsm or cdma mobile phone
CN101453231A (en) Vehicle mounted telephon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201699771U (en) Wireless office fixed phone
CN201114575Y (en) A villa inter-speaking door ring
EP2393264A1 (en) A headset base with wireless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base
KR100366771B1 (en) telephone
JP2000286929A (en) Portable telephone battery charger
JP2854602B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KR19990085489A (en)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cell phone connection
CN201467239U (en) Two-lane access telephone
KR200313355Y1 (en) Telephone using tone of the cellular phone
JPH11111U (en) Telephone
KR200313354Y1 (en) Telephone using tone of the cellular phone
KR100372296B1 (en) Telephone with memory
KR200330311Y1 (en) Cell phone auxiliary automatic dial device
JP4174674B2 (en) Telephone equipment
JPH06311102A (en) Adapter system for moving machine wire
JPH0756524Y2 (en) Telephone
KR200260826Y1 (en) Charging holder for cellular phones
JP4249932B2 (en) Telephone device and button telephone device
KR20090081534A (en) Switching apparatus using the IP phone combined PSTN phone
JPH08307949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machine and its communication re-connec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