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982Y1 -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982Y1
KR200248982Y1 KR2020010019075U KR20010019075U KR200248982Y1 KR 200248982 Y1 KR200248982 Y1 KR 200248982Y1 KR 2020010019075 U KR2020010019075 U KR 2020010019075U KR 20010019075 U KR20010019075 U KR 20010019075U KR 200248982 Y1 KR200248982 Y1 KR 200248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vehicle
signal
low frequency
sp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락
Original Assignee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9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982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내에서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내에서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는, 자출력 헤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전면 좌측신호와 전면 우측신호의 음색을 차량의 전면 스피커의 배치 및 차종에 따라 보정하는 음색 보정부와, 그 음색 보정부의 출력신호들의 볼륨을 조절하여 좌신호와 우신호를 전면 스피커의 개수만큼 나누어 그 전면 스피커들로 출력하는 제1 볼륨 조절단과 그 자출력 헤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후면 좌측신호와 후면 우측신호의 저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심하게 감쇠시키는 저주파수 통과필터와, 그 저주파수 통과필터의 출력신호들의 볼륨을 조절하여 좌신호와 우신호를 후면 스피커들로 출력하는 제2 볼륨 조절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Signal processor for stereo sound reproduction in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차량 내에서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테레오 스피커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두 개의 스피커(11, 12)를 떨어뜨려서 앞에 두고 스피커(11, 12)를 통해 소리를 내면 사람은 두 스피커(11, 12) 사이의 어떤 점에서 음원(13)이 있는 것으로 느끼게 된다. 이때에, 두 스피커(11, 12)의 음량이 같으면, 두 스피커(11, 12) 사이의 한가운데에 음원(13)이 있는 것으로 느끼며, 한 쪽을 크게 틀수록 음원(13)은 그 쪽으로 치우쳐 존재하는 것으로 느끼는 것이다. 따라서, 스테레오 스피커(11, 12)에서 같은 거리에 위치한 청취자는 2개의 스피커 사이를 잇는 선상에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사람이 있을 때에는 두 스피커(11, 12)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꼭지점에 앉은 사람만이 스테레오음향의 효과를 느낄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은 자신에게 가까운 쪽 스피커로 모든 음이 치우쳐 들리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멀티채널 스피커를 사용하여 승용차에서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같은 종래의 카오디오 스피커 배치를 보면 많은 스피커의 수(6∼11개)에도 불구하고 운전자 및 모든 승객들의 위치가 정 중앙이 아니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사람의 위치가 정 중앙이 아니기 때문에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또한, 스테레오 신호는 전방 ±30°에 배치된 좌우 스피커의 재생을 위해 만들어지지만 도 2와 같은 현재의 카오디오 스피커 배치는 이러한 스테레오 신호를 모든 승객들에게 비대칭으로 배치된 좌측 전후면 스피커, 우측 전후면 스피커를 통해 동시에 재생하기 때문에 도 1에서 느낄 수 있는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어느 누구도 느낄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카오디오 스피커 배치는 스테레오 신호를 정 중앙에 있지 않은 모든 승객에게 전후방에서 동시에 재생하기 때문에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어느 누구에게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A와 3B는 종래의 고급 승용차에서 한 사람에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지연의 개념도이다. 이는 운전자 또는 귀빈 한 사람에게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지연처리의 개념이다. 이상적인 스테레오 청취는 모든 스피커가 청취자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청취자를 원점으로 하고 가장 먼 스피커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가장 먼 스피커보다 가까이에 위치한 모든 스피커의 입력신호는 원주 상에 가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지연처리를 한다. 이 기술은 2인 이상의 승객에게는 지연 값을 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한 명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 실내 음향 환경은 일반 청취실과는 달리 공간상으로 좁은 장소에 시트 등의 흡음재, 유리창 등의 반사재 및 갖가지 액세서리 등이 배치되어 있어 잔향 시간 및 주파수 특성이 매우 열악하다. 따라서, 이러한 음향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잔향 신호 처리가 필수적인데, 실제 홀에서 듣는 잔향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전면 스피커에 실제 무대 전면에서 발생되는 초기 반사음을 부가하여야하며, 후면 스피커에는 실제 무대 뒷면에서 발생되는 후부 잔향음을 부가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차량용 오디오에서는 모든 스피커에 동일한 잔향 신호를 부가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내에서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스테레오 스피커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멀티채널 스피커를 사용하여 승용차에서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A와 3B는 종래의 고급 승용차에서 한 사람에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지연의 개념도.
도 4A는 실내에서의 음향 재생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초기 반사음 및 후부 잔향음의 시간에 따른 크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한 차량용 스피커의 제1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한 차량용 스피커의 제2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한 차량용 스피커의 제3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신호처리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14a, 14b, 14c, 14d, 15a, 15b, 15c, 15d : 스테레오 스피커
13 : 사람이 느끼는 음원의 위치 16, 17 : 우퍼
21 : 제1 좌측 스피커 22 : 제1 우측 스피커
23 : 제2 좌측 스피커 24 : 제2 우측 스피커
25, 35, 45 : 제1 후면 스피커 26, 36, 46 : 제2 후면 스피커
31a, 41a :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
31b, 41b :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
32a : 제1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 32b : 제1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
33a : 제2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 33b : 제2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
34a, 44a :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
34b, 44b :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
42 : 제1 우측 트위터(tweeter) 43 : 제2 좌측 트위터(tweeter)
37 : 초저음 후면 스피커 51 : 음색 보정부
52 : 제1 볼륨 조절단 53 : 저주파수 통과필터
54 : 제2 볼륨 조절단
본 고안의 제1 관점에 따른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는, 복수개의 스피커들과 자출력 헤드 유닛이 장착된 차량 내에서, 그 차량의 전단의 중앙의 왼쪽에 설치되어 오른쪽 스테레오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스피커와, 그 차량의 그 전단의 중앙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왼쪽 스테레오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배치를 위한 것으로서, 그 자출력 헤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전면 좌측신호와 전면 우측신호의 음색을 그 차량의 전면 스피커의 배치 및 차종에 따라 보정하는 음색 보정부와, 그 음색 보정부의 출력신호들의 볼륨을 조절하여 좌신호를 좌측용 전면 스피커의 개수만큼 나누어 그 좌측용 전면 스피커들로 출력하고, 우신호를 우측용 전면 스피커의 개수만큼 나누어 그 우측용 전면 스피커들로 출력하는 제1 볼륨 조절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2 관점에 따른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는, 그 자출력 헤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후면 좌측신호와 후면 우측신호의 저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심하게 감쇠시키는 저주파수 통과필터와, 그 저주파수 통과필터의 출력신호들의 볼륨을 조절하여 좌신호를 좌측용 후면 스피커로 출력하고, 우신호를 우측용 후면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볼륨 조절단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3 관점에 따른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에서, 그 저주파수 통과필터는 최소 100Hz에서 최대 1000Hz의 저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심하게 감쇠시킨다.
도 4A는 실내에서의 음향 재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초기반사음 및 후부 잔향음의 시간에 따른 크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안에서 실재 홀에서 듣는 잔향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차량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스피커에는 실제 무대 전면에서 발생되는 초기 반사음을 부가하고, 차량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스피커에는 실재 홀의 뒤쪽에서 반사되는 후부 잔향음을 부가한다. 그러면, 차량 안에 있는 사람에게는 홀 안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한 차량용 스피커의 제1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좌측 스피커(21)는 차량의 전단의 왼쪽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우측 스피커(24)는 차량의 전단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좌측 스피커(21)와 제2 우측 스피커(24)는 기존의 차량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이다. 여기에, 제1 우측 스피커(22)와 제2 좌측 스피커(23)가 각각 전단의 중앙에 부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좌측 스피커(21) 및 제2 우측 스피커(24)와 같은 기존의 다른 스피커들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우측 스피커(22)와 제2 좌측 스피커(23)는 풀-레인지(full-range) 스피커이다. 그리고, 각각의 스피커들(21, 22, 23, 24)은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좌측 스피커(21)와 제1 우측 스피커(22)는 앞좌석의 좌측의자 쪽을 향해 있고, 제2 좌측 스피커(23)와 제2 우측 스피커(24)는 앞좌석의 우측의자 쪽을 향해 있다.
제1 좌측 스피커(21)와 제2 좌측 스피커(23)는 초기 반사음이 부가된 좌측신호(L)를 입력받고, 제1 우측 스피커(22)와 제2 우측 스피커(24)는 초기 반사음이 부가된 우측신호(R)를 입력받는다. 따라서, 중앙에 설치된 한 조의 제1 우측 스피커(22)와 제2 좌측 스피커(23)로 인하여 동일한 시간에 좌우 스테레오 신호가 모든 승객에게 도달된다.
제1 후면 스피커(25)와 제2 후면 스피커(26)는 기존의 차량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들이고, 전면 스테레오 스테이지 효과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배치에서는 제1 후면 스피커(25)와 제2 후면 스피커(26)를 우퍼로 사용한다. 제1 후면 스피커(25)는 차량의 왼쪽 뒷좌석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후면 스피커(26)는 오른쪽 뒷좌석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음향 신호가 제1 후면 스피커(25)와 제2 후면 스피커(26)에 입력되기 전에 지연기를 통하여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제1 후면 스피커(25)와 제2 후면 스피커(26)는 지연된 좌우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여 후면에 음상이 정위되는 부작용을 방지한다, 또한, 음향 신호가 제1 후면 스피커(25)와 제2 후면 스피커(26)에 입력되기 전에 후부 잔향음이 부가되고 중저음 대역 통과 필터링과 잔향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박진감 있는 중저음의 사운드를 재생하여 극장에서 느낄 수 있는 서라운드 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배치는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완벽한 스테레오 음향을제공한다. 즉, 제1 배치는 도 2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피커 배치에 따른 스테레오 음향 재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차량용 스피커 배치 방식으로 인한 스테레오 스테이지 감 결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한 차량용 스피커의 제2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배치는 기본 개념에 있어서 제1 배치와 같으나, 고주파수 스피커와 저주파수 스피커로 분리된 2-웨이(2-way) 방식의 스피커를 사용하거나 고주파수 스피커와 저주파수 스피커가 동축으로 묶여서 제작된 동축(Coaxial) 스피커를 사용한다는 것이 다르다.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1b)는 차량의 전단의 왼쪽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4b)는 차량의 전단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1b)와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4b)는 기존의 차량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이다. 여기에, 제1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2a)와 제1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2b)와 제2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3a)와 제2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3b)는 각각 전단의 중앙에 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2a)와 제2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3a)는 각각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1a) 및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4a)와 같은 기존의 다른 스피커들과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2b)와 제2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3b)는 각각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1b) 및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4b)와 같은 기존의 다른 스피커들과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2a)와 제1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2b)는 저주파수 스피커와 고주파수 스피커로 분리된 2-웨이(2-way) 방식의 스피커를 이루거나 고주파수 스피커와 저주파수 스피커가 동축으로 묶여서 제작된 동축(Coaxial) 스피커를 이루고, 제2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3a)와 제2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3b)도 저주파수 스피커와 고주파수 스피커로 분리된 2-웨이(2-way) 방식의 스피커를 이루거나 고주파수 스피커와 저주파수 스피커가 동축으로 묶여서 제작된 동축(Coaxial) 스피커를 이룬다. 그리고, 각각의 스피커들(31a, 31b, 32a, 32b, 33a, 33b, 34a, 34b)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1b)와 제1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2a)와 제1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2b)는 앞좌석의 좌측의자 쪽을 향해 있고, 제2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3a)와 제2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3b)와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4b)는 앞좌석의 우측의자 쪽을 향해 있다.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1b)와 제2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3a)와 제2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3b)는 초기 반사음이 부가된 좌측신호(L)를 입력받고, 제1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2a)와 제1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2b)와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4b)는 초기 반사음이 부가된 우측신호(R)를 입력받는다. 중앙에 설치된 한 조의 제1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32a)와 제1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32b)와 제2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33a)와 제2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33b)로 인하여 동일한 시간에 좌우 스테레오신호가 모든 승객에게 도달된다.
제1 후면 스피커(35)와 제2 후면 스피커(36)와 초저음 후면 스피커(37)는 기존의 차량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들이고, 전면 스테레오 스테이지 효과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제2 배치에서는 제1 후면 스피커(35)와 제2 후면 스피커(36)와 초저음 후면 스피커(37)를 우퍼로 사용한다. 제1 후면 스피커(35)는 차량의 왼쪽 뒷좌석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후면 스피커(36)는 오른쪽 뒷좌석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초저음 후면 스피커(37)는 차량의 가운데 뒷좌석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음향 신호가 제1 후면 스피커(35)와 제2 후면 스피커(36)와 초저음 후면 스피커(37)에 입력되기 전에 지연기를 통하여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제1 후면 스피커(35)와 제2 후면 스피커(36)와 초저음 후면 스피커(37)는 지연된 좌우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여 후면에 음상이 정위되는 부작용을 방지한다, 또한, 제1 후면 스피커(35)와 제2 후면 스피커(36)에는 음향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후부 잔향음이 부가되고 중저음 대역 통과 필터링과 잔향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초저음 후면 스피커(37)에는 음향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초저음 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여 박진감 있는 중저음의 사운드를 재생하여 극장에서 느낄 수 있는 서라운드 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 배치는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완벽한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한다. 즉, 제2 배치는 도 2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피커 배치에 따른 스테레오 음향 재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차량용 스피커 배치 방식으로 인한 스테레오 스테이지 감 결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위한 차량용 스피커의 제3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배치는 기본 개념에 있어서, 제2 배치와 같으나, 인간이 소리의 방향성을 찾는 것은 고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동차 전면의 중앙에는 고주파수 스피커(트위터(tweeter))(42, 43)만을 사용한다는 것이 다르다.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4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41b)는 차량의 전단의 왼쪽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4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44b)는 차량의 전단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4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41b)와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4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44b)는 기존의 차량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이다. 여기에, 제1 우측 트위터(tweeter)(42)와 제2 좌측 트위터(tweeter)(43)는 각각 전단의 중앙에 부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41b) 및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44b)와 같은 기존의 다른 스피커들과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우측 트위터(tweeter)(42)와 제2 좌측 트위터(tweeter)(43)는 모두 방향성을 보정하기 위한 고주파수 스피커이다. 그리고, 각각의 스피커들(41a, 41b, 42, 43, 44a, 44b)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4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41b)와 제1 우측 트위터(tweeter)(42)는 앞좌석의 좌측의자 쪽을 향해 있고, 제2 좌측 트위터(tweeter)(43)와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4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44b)는 앞좌석의 우측의자 쪽을 향해 있다.
제1 좌측 저주파수 스피커(41a)와 제1 좌측 고주파수 스피커(41b)와 제2 좌측 트위터(tweeter)(43)는 초기 반사음이 부가된 좌측신호(L)를 입력받고, 제1 우측 트위터(tweeter)(42)와 제2 우측 저주파수 스피커(44a)와 제2 우측 고주파수 스피커(44b)는 초기 반사음이 부가된 우측신호(R)를 입력받는다. 중앙에 설치된 한 조의 제1 우측 트위터(tweeter)(42)와 제2 좌측 트위터(tweeter)(43)로 인하여 동일한 시간에 좌우 스테레오 신호가 모든 승객에게 도달된다.
제1 후면 스피커(45)와 제2 후면 스피커(46)는 기존의 차량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들이고, 전면 스테레오 스테이지 효과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제3 배치에서는 제1 후면 스피커(45)와 제2 후면 스피커(46)를 우퍼로 사용한다. 제1 후면 스피커(45)는 차량의 왼쪽 뒷좌석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후면 스피커(46)는 오른쪽 뒷좌석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음향 신호가 제1 후면 스피커(45)와 제2 후면 스피커(46)에 입력되기 전에 지연기를 통하여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제1 후면 스피커(45)와 제2 후면 스피커(46)는 지연된 좌우 스테레오 신호를 출력하여 후면에 음상이 정위되는 부작용을 방지한다, 또한, 제1 후면 스피커(45)와 제2 후면 스피커(46)에 음향 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후부 잔향음이 부가되고 중저음 대역 통과 필터링과 잔향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박진감 있는 중저음의 사운드를 재생하여 극장에서 느낄 수 있는 서라운드 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3 배치는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완벽한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한다. 즉, 제3 배치는 도 2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피커 배치에 따른 스테레오 음향 재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차량용 스피커 배치 방식으로 인한 스테레오 스테이지 감 결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신호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실시예는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완벽한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차량용 신호처리장치이다. 이는 자출력 헤드 유닛의 앰프에서 증폭된 대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받는 수동소자로 제작된다. 음색 보정부(51)는 자출력 헤드유닛의 전면 좌측신호(LF)와 전면 우측신호(RF)를 각각 입력받아 전면 스피커의 배치 및 차종에 따라 음색을 보정한다. 그렇게 보정된 신호들은 제1 볼륨 조절단(52)에서 볼륨이 조절되어 좌측승객의 좌신호(LL), 좌측승객의 우신호(LR), 우측승객의 좌신호(RL), 우측승객의 우신호(RR)로 나뉘어 전면 스피커들로 내보내어진다. 이때, 좌측승객의 좌신호(LL)와 우측승객의 좌신호(RL)는 서로 같은 신호이고, 좌측승객의 우신호(LR)와 우측승객의 우신호(RR)는 서로 같은 신호이다.
저주파수 통과필터(53)는 자출력 헤드유닛의 후면 좌측신호(LB)와 후면 우측신호(RB)를 각각 입력받아 최소 80Hz에서 최대 1000Hz의 저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심하게 감쇠시켜 박진감 있는 중저음 재생을 유도한다. 그렇게 보정된 신호들은 제2 볼륨 조절단(54)에서 볼륨이 조절되어 후면 좌신호(BL)와 후면 우신호(BR)로 나뉘어 후면 스피커들로 내보내어진다.
본 고안은 기존 자동차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모든 승객에게 좌우 균형 잡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의 경우, 기존 순정품 헤드유닛과 순정품 스피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도 부담 없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단일 칩 또는 모듈로 설계하면 헤드 유닛에 들어갈 수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스피커들과 자출력 헤드 유닛이 장착된 차량 내에서, 상기 차량의 전단의 중앙의 왼쪽에 설치되어 오른쪽 스테레오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스피커와, 상기 차량의 상기 전단의 중앙의 오른쪽에 설치되어 왼쪽 스테레오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배치를 위한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자출력 헤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전면 좌측신호와 전면 우측신호의 음색을 상기 차량의 전면 스피커의 배치 및 차종에 따라 보정하는 음색 보정부와,
    상기 음색 보정부의 출력신호들의 볼륨을 조절하여 좌신호를 좌측용 전면 스피커의 개수만큼 나누어 상기 좌측용 전면 스피커들로 출력하고, 우신호를 우측용 전면 스피커의 개수만큼 나누어 상기 우측용 전면 스피커들로 출력하는 제1 볼륨 조절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출력 헤드유닛으로부터 입력된 후면 좌측신호와 후면 우측신호의 저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심하게 감쇠시키는 저주파수 통과필터와,
    상기 저주파수 통과필터의 출력신호들의 볼륨을 조절하여 좌신호를 좌측용 후면 스피커로 출력하고, 우신호를 우측용 후면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2 볼륨 조절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수 통과필터는 최소 100Hz에서 최대 1000Hz의 저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대역은 심하게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KR2020010019075U 2001-06-25 2001-06-25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KR200248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75U KR200248982Y1 (ko) 2001-06-25 2001-06-25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75U KR200248982Y1 (ko) 2001-06-25 2001-06-25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247A Division KR100456772B1 (ko) 2001-06-25 2001-06-25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스피커 배치와신호처리기 및 이들을 갖춘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982Y1 true KR200248982Y1 (ko) 2001-11-16

Family

ID=7326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75U KR200248982Y1 (ko) 2001-06-25 2001-06-25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9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2541B1 (en) Surround sound loudspeaker system
CN103053180B (zh) 用于声音再现的系统和方法
US5870484A (en) Loudspeaker array with signal dependent radiation pattern
JP4657452B2 (ja) 擬似立体音響出力をモノラル入力から合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7369666B2 (en) Audio reproducing system
US8638959B1 (en) Reduced acoustic signature loudspeaker (RSL)
CN101009954B (zh) 音频再现设备及其方法
EP1596627A2 (en) Reproducing center channel information in a vehicle multichannel audio system
US9628894B2 (en) Audio entertainment system for a vehicle
US20030021433A1 (en) Speaker configuration and signal processor for stereo sound reproduction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4917090B2 (ja) 大知覚音響サイズ及び大知覚音響イメージを有する小型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
JP5757945B2 (ja) 改善された音像でマルチチャネル音声を再生するためのラウドスピーカシステム
US7010128B1 (en) Method of processing and reproducing an audio stereo signal and an audio stereo signal reproduction system
US20060262937A1 (e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KR20040111330A (ko) 가정용 및 차량용 분리 서라운드 오디오 시스템
KR100456772B1 (ko)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스피커 배치와신호처리기 및 이들을 갖춘 차량
KR200248982Y1 (ko)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EP1280377A1 (en) Speaker configuration and signal processor for stereo sound reproduction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23548324A (ja) 増強されたオーディオ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248983Y1 (ko)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기
KR200249355Y1 (ko)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재생을 위한 스피커 배치를 갖춘차량
KR200262690Y1 (ko) 차량용 스테레오 음향 출력장치
JP3570032B2 (ja) 車載用音響再生装置
US20230362578A1 (en) System for reproducing sounds with virtualization of the reverberated field
JP2003054326A (ja) 車両用ステレオ音響再生のためのスピーカー配置と信号処理機及びこれらを備え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