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858Y1 -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 Google Patents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858Y1
KR200248858Y1 KR2020010018256U KR20010018256U KR200248858Y1 KR 200248858 Y1 KR200248858 Y1 KR 200248858Y1 KR 2020010018256 U KR2020010018256 U KR 2020010018256U KR 20010018256 U KR20010018256 U KR 20010018256U KR 200248858 Y1 KR200248858 Y1 KR 200248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unlocking
command
emergenc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치영
고성범
Original Assignee
(주)한길핸디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핸디케어 filed Critical (주)한길핸디케어
Priority to KR2020010018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8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858Y1/en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사태 발생 시에 비상문을 자동으로 해정함으로써 비상구를 통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that enables safety through the emergency exit by automatically unlocking the emergency door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는 건물의 비상문과 문틀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해정 동작은 전동력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정 수단; 건물의 적소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화재 알림 수단; 상기 화재 알림 수단으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 받아 상기 비상문의 해정 명령을 발하는 해정 명령 송신 수단 및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으로부터 해정 명령을 전달받고, 해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전자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해정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emergency door and the door frame of the building, at least the un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electric power; Fire notification means installed in place of the building to notify the occurrence of fire; Receiving a release command from the fire notification means to receive the release command of the emergency door and a release command from the release command sending means,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stop means to perform the release operation; It comprises a release control means.

Description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본 고안은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등의 비상 사태 발생 시에 비상문을 자동으로 해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unlocking the emergency do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많은 사람이 집단으로 생활하는 주거용 또는 상용 건물에는 비상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비상구에는 방범, 보안 또는 방재 상의 이유로 비상문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건물의 옥상 출입구에도 비상문과 이를 잠글 수 있는 자물쇠가 설치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건물 관리인이 되는 열쇠 소지자는 옥상 등이 불건전하거나 불순한 용도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비상문을 잠궈두고 있다.Emergency exits are mandatory in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s where many people live in groups, and emergency exits are installed for security, security or disaster prevention reasons. In particular, the rooftop entrance of the building is equipped with an emergency door and a lock to lock it. Typically, a key holder who becomes a building manager locks the emergency door to prevent the rooftop from being used for unhealthy or impure purposes.

그러나, 이와 같이 비상문이 잠겨진 상태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하고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비상문을 통한 대피로가 봉쇄되기 때문에 인명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n emergency and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in the state where the emergency door is lock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causing human injury exists because the escape route through the emergency door is blocked.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사태 발생 시에 비상문을 자동으로 해정함으로써 비상구를 통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n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that can promote safety through the emergency exit by automatically unlocking the emergency door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hav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는 건물의 비상문과 문틀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해정 동작은 전동력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정수단; 건물의 적소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화재 알림 수단; 상기 화재 알림 수단으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받아 상기 비상문의 해정 명령을 발하는 해정 명령 송신 수단 및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으로부터 해정 명령을 전달받고, 해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전자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해정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between the emergency door and the door frame of the building, at least the un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electric force; Fire notification means installed in place of the building to notify the occurrence of fire; Receiving a release command from the fire notification means to receive the release command of the emergency door and a release command from the release command sending means,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stop means to perform the release action; It comprises a release control means.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은 해정 명령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으로부터 화재 사실을 통보받고 상기 무선 송신부에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해정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의 해정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해정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정 수단에 해정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unlock command transmitting means includes a radio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unlock command wirelessly and a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that is notified of the fire from the unlock command transmitting unit and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radio transmitting unit. The unlocking control means may include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nlocking command from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unlocking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un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unlocking command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전자정 유니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lock unit in the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Ⅰ-Ⅰ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도 3은 도 1에서 Ⅱ-Ⅱ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무선 송신측의 블록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transmitting side in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해정명령 수행부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5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n unlock command performing unit in an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전원 회로부와 동작전원 표시부의 내부 기능 블록도,6 is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power circuit unit and an operation power display unit of FIG. 5;

도 7은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해정명령 송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command transmitting unit in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해정명령 수행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command performing unit in the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비상문, 20: 문틀,10: emergency door, 20: door frame,

30: 소화전, 100: 전자정 유니트,30: hydrant, 100: electrostatic unit,

110: 케이싱, 112: 지주,110: casing, 112: prop,

114: 이탈 방지핀, 116: 열쇠 구멍,114: release pin, 116: keyhole,

120: 모터, 122: 감속 기구,120: motor, 122: deceleration mechanism,

124: 회전축, 126: 원판,124: axis of rotation, 126: disc,

128: 크랭크, 130: 슬라이드 판,128: crank, 130: slide plate,

132: 힘전달부, 134: 안내용 장공,132: power transmission unit, 134: guide slot,

135: 시정 감지 스위치, 136: 해정 감지 스위치,135: visibility detection switch, 136: release detection switch,

138: 레버 누름편, 140: 연접봉,138: lever pressing piece, 140: connecting rod,

150: 빗장, 152: 수급측 전극,150: bar, 152: supply-side electrode,

160: 제어회로 기판, 170: 축전지 수납부,160: a control circuit board, 170: storage battery compartment,

180: 수동 조작 기구, 182: 캠,180: manual operation mechanism, 182: cam,

184: 시정명령 스위치, 190: 충전 회로부,184: corrective command switch, 190: charging circuit section,

192: 압축 스프링, 194: 연결용 도체,192: compression spring, 194: connecting conductor,

196: 공급측 전극, 200: 화재 경보부,196: supply electrode, 200: fire alarm,

210: 화재 알림부, 212: 화재 감지부,210: fire alarm, 212: fire detector;

214: 화재 알림 버튼, 216: 오어 게이트,214: fire notification button, 216: or gate,

220: 중앙 통제실, 230: 경종,220: central control room, 230: seedling,

240: 전원 스위치, 300: 해정명령 송신부,240: power switch, 300: release command transmission unit,

310: 송신측 제어부, 320: 전원 회로부,310: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320: power supply circuit unit,

330: 소리 감지부, 340: 진동 감지부,330: sound detection unit, 340: vibration detection unit,

350: 무선 송신부, 352: 송신 안테나,350: wireless transmission unit, 352: transmission antenna,

400: 해정명령 수행부, 410: 수신측 제어부,400: release command execution unit, 410: receiving side control unit,

420: 전원 회로부, 424: 과충전 방지부,420: power supply circuit section, 424: overcharge protection section,

426: 축전지, 430: 동작전원 표시부,426: storage battery, 430: operation power display unit,

432: 저전압 감지부, 434: 표시기 구동부,432: low voltage detection unit, 434: indicator driving unit,

436: 저전압 표시기, 438: 정상상태 표시기,436: low voltage indicator, 438: steady state indicator,

440: 인체 감지부, 450: 모터 구동부,440: the human body detection unit, 450: the motor drive unit,

460: 해정 감지부, 470: 시정 감지부,460: lock detection unit, 470: visibility detection unit,

480: 무선 수신부, 482: 수신 안테나,480: wireless receiving unit, 482: receiving antenna,

490: 시정명령 입력부490: Correction command input unit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도면에서 좌측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door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the fro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전자정 유니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Ⅰ-Ⅰ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Ⅱ-Ⅱ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전자정(電子錠) 유니트(100)는 비상문(10)과 문틀(20)에 설치된다. 케이싱(110) 내부에는 문틀(20)에 형성된 빗장공에 삽입 또는 삽입 해제되어 문틀(20)에 대해 비상문(10)을 시정(施錠) 또는 해정(解錠)하는 빗장(15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빗장(150)은 슬라이드 판(130)에 고정된 채로 슬라이드 판(130)과 함께 전진(시정시) 또는 후퇴(해정시)된다. 슬라이드 판(130)의 후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용 장공(13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안내용 장공(134)은 케이싱(110)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112) 위에 얹혀진 채로 단지 이탈 방지핀(114)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판(130)은 결과적으로 지주(112)에 지지된 채로 전·후진 슬라이드 운동을 한다.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lock unit in the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line I-I in Figure 1, Figure 3 is Figure 1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1 to 3, in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lock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emergency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The casing 110 is provided with a latch 150 that is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bolt hole formed in the door frame 20 to correct or unlock the emergency door 10 with respect to the door frame 20. In addition, the latch 150 is advanced (when corrected) or retracted (when released) together with the slide plate 130 while being fixed to the slide plate 130. A guide long hole 134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lide plate 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ide long hole 134 is merely separat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support 112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110. Since it is restrained by the prevention pin 114, the slide plate 130 performs the forward and backward slide movement as a result of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 pillar 112 as a result.

슬라이드 판(130)의 전단에는 케이싱(110)의 바닥면을 향하는 힘전달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힘전달부(132)에는 연접봉(140)이 고정되어 있다.The front end of the slide plate 130 is formed with a force transmission portion 132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110, the connection rod 140 is fixed to this force transmission portion 132.

한편, 크랭크(128)의 일단은 연접봉(140)의 후단에 연결되고, 크랭크(128)의 타단은 회전축(124)에 축결합된 원판(126)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124)은 감속 기구(122)를 경유하여 모터(120)에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crank 128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rod 140, the other end of the crank 128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disc 126 axial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24. The rotary shaft 124 is connected to the motor 120 via the reduction mechanism 122.

케이싱(110)의 적소에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구현되는 해정 감지 스위치(136) 및 시정 감지 스위치(135)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판(130)의 하면에는 해정 감지 스위치(136) 및 시정 감지 스위치(135)의 설치 위치와 적절하게 관계하여 이들 스위치(136),(135)의 레버를 누르는 레버 누름편(138)이 설치되어 있다.In place of the casing 110, the unlocking detection switch 136 and the visibility detecting switch 135, which are implemented as a micro switch, are install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 plate 130 is the unlocking detection switch 136 and the visibility detecting switch 135. The lever pressing piece 138 which presses the lever of these switches 136 and 135 is provided appropriately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전술한 구성에 의한 시정 과정을 설명하면, 도 2의 상태에서 모터(12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128)와 연접봉(140)을 경유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힘전달부(132)가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판(130)에 고정된빗장(150)도 전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후방의 레버 누름편(138)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해정 감지 스위치(136)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판(130)이 계속 전진하여 전방의 레버 누름편(138)에 의해 시정 감지 스위치(135)가 폐쇄되면 그 즉시 모터(120)의 구동이 중지되어 시정 동작이 완료된다. 해정 동작은 전술한 시정 동작과는 정반대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corr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motor 12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state of FIG. 2, power is transmitted via the crank 128 and the connecting rod 140, and consequently,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32. Is advanced, and thus the latch 150 fixed to the slide plate 130 is advanced, and at the same time, the unlocking detection switch 136, which is closed by the rear lever pressing piece 138, is opened. In this state, when the slide plate 130 continues to move forward and the visibility detecting switch 135 is closed by the lever pressing piece 138 in front, the driving of the motor 120 is immediately stopped and the corrective operation is completed. The unlocking operation is the reverse of the correct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한편, 미설명 부호 180은 기계식 열쇠에 의해 시정 또는 해정 명령을 입력받는 수동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바, 건물 관리인 등이 열쇠 구멍(116)에 열쇠를 삽입하고 이를 돌리게 되면, 캠(182)이 회동하여 그 주위에 설치된 시정명령 스위치(18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되는데, 후술하는 수신측 제어부에서는 이러한 시정명령 스위치(184)의 상태에 따라 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시정 또는 해정 동작을 수행한다. 시정명령 스위치(184)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80 denotes a manual operation mechanism that receives a corrective or unlocking command by a mechanical key. When a building manager or the like inserts a key into the keyhole 116 and turns it, the cam 182 rotates. The correction command switch 184 installed around the opening or closing is opened, and the receiving control unit described lat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12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orrection command switch 184 to perform the correction or unlock operation. . The corrective command switch 184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 switch or the like.

미설명 부호 160은 제어회로 기판을 나타내고, 170은 축전지(미도시)가 수납되는 축전지 수납부를 나타낸다. 한편, 빗장(150)은 도체로 이루어져서 그 전단이 수급측 전극(152)을 형성하는데, 도시되지 않은 전선에 의해 축전지에 연결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문틀(20)에는 시정 상태에서 수급측 전극(152)과 접촉되는 공급측 전극(196)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공급측 전극(196)의 전방에는 수급측 전극(152)과의 확실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하여 압축 스프링(192)이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90은 연결용 도체(194)에 의해 공급측 전극(196)에 연결된 충전 회로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자정 유니트(100)는 상시 동작이 가능하게된다.Reference numeral 160 denotes a control circuit board, and 170 denotes a storage unit accommodating a battery. On the other hand, the latch 150 is made of a conductor so that the front end forms the supply-side electrode 152, i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battery by a wire not shown. In this regard, the door frame 20 is provided with a supply side electrode 196 in contact with the supply-side electrode 152 in a locked state, and in front of the supply-side electrode 196, a reliable contact with the supply-side electrode 152 is provided. A compression spring 192 is installed to ensure. Reference numeral 190 denotes a charging circuit part connected to the supply side electrode 196 by a connecting conductor 194. By such a configuration, the electrostatic crystal unit 100 can be operated at all times.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케이싱(110)의 외면 적소에는 후술하는 무선신호 수신 안테나 및 공급 전원의 저전압 상태와 정상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표시기 및 인체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110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and a human body sensor for indicating a low voltage state and a normal state of a wireless signal receiving antenna and a supply pow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무선 송신측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무선 송신측 구성은 크게 화재 경보부(200)와 해정명령 송신부(300)로 구분될 수 있다. 화재 경보부(200)는 다시 건물의 적소, 예를 들어 천장이나 소화전(30)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212), 인체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화재 알림 버튼(214) 및 화재 감지부(212)의 출력 신호와 화재 알림 버튼(214)의 조작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어 게이트(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 알림부(210), 화재의 발생을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경종(230), 경종(230)에 소정의 직류 전압(VDC)을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240) 및 오어 게이트(216)의 출력 신호에 의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전원 스위치(240)를 닫아서 경종(230)을 울리는 중앙 통제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화재 경보부(200)는 통상적으로 건물에 기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전술한 구성에서, 화재 감지부(212)는 연(煙) 감지기, 열 감지기, 불꽃 감지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고, 경종(230)은 통상적으로 금속제의 벨을 전동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타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4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side in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automatic door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7, in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ransmission side configuration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 fire alarm unit 200 and a unlock command transmitting unit 300. The fire alarm unit 200 is installed again in plac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ceiling or fire hydrant (30) is installed in the fire detection unit 212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fire notification to notify the occurrence of fire by manual operation by the human body Fire notification unit 210 including an ore gate 216 that combines the output signal of the button 214 and the fire detection unit 212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fire notification button 214, audibly to the occurrence of fire A fire alarm is judg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alarm bell 230 for alarming, the power switch 240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DC voltage (V DC ) to the alarm bell 230,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By closing the power switch 240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room 220 ringing the alarm bell 230, such a fire alarm unit 200 is a configuration that is typically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e detector 212 may be implemented as a smoke detector, a heat detector, a flame detector, or the like, and the alarm bell 230 typically strikes a metal bell at high speed by electric power. It can be implemented in a manner.

해정명령 송신부(300)는 건물의 적소, 예를 들어 소화전(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크게 경종(230)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VDC)을 구성 부품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 부품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320), 해정 명령 송신부(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송신측 제어부(310) 및 송신측 제어부(310)로부터 제공된 해정 명령을 적절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Decommission command transmitter 300 may be installed in a building, for example, the fire hydrant (30) inside, largely converts the DC voltage (V DC ) supplied to the bell 230 to the voltag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Modulating and outputting the unlocking command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circuit unit 320,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10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310, which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circuit unit 320 to be supplied to each component. The wireless transmitter 350 may be included.

전술한 구성에서, 전원 회로부(320)의 입력단은 전원 스위치(240)에 대해 경종(230)과 병렬로 연결되될 수 있을 것인 바, 중앙 통제실(220)의 제어에 따라 전원 스위치(240)가 닫히면 송신측 제어부(310)에도 전원이 투입되는데, 이후 송신측 제어부(310)에서는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무선 송신부(350)에 해정 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무선 송신부(350)에 출력되는 제어 명령에 그 제품에 고유한 식별 코드가 포함되도록 하고 후술하는 수신측 제어부에서 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부정 사용자에 의한 불법적인 침입을 봉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nput terminal of the power circuit unit 32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larm bell 230 with respect to the power switch 240, the power switch 24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room 220 When is closed, power is also supplied to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310, and then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310 executes a preloaded program to output the unlock command to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350. However, it is preferable to block illegal intrusion by a fraudulent user by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unique to the product in a control command outpu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350 and confirming this in a receiving side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이러한 조치를 취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을 어느 정도 아는 불법 침입 기도자가 무선 송신부(350)만을 분리시켜 두었다가 여기에 전원(VDC)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비록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비상문(10)이 열리게 되어 보안 상의 허점이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경종(230)의 주위에경종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부(330)와 경종(23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340)를 설치하고,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해정 명령을 발생하도록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소리 감지부(330)는 마이크로폰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고, 진동 감지부(340)는 압전 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인 바, 이 경우에 송신측 제어부(310)에서는 입력되는 감지 신호를 A/D 변환한 후에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큰 경우에만 소리 또는 진동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such measures are taken, if an illegal invading prayer person who knows the system to some extent separates the wireless transmitter 350 and connects the power supply (V DC ) thereto, the emergency door 10 ) May open, exposing security holes.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detector 330 for detecting the alarm bell sound and the vibration detector 340 for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alarm bell 230 are installed around the alarm bell 230, and at least one of the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to generate a release command only when a detection signal of more than a reference value is input from the input signal. In this case, the sound detector 330 may be implemented by a microphone, and the vibration detector 340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In this case, the transmitter-side control unit 310 detects an input signal. After A / D conversion, it compares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sound or vibration is detected only when it is large.

더욱이, 이 경우에도 경종(230)이 순간적인 오동작이나 아이들의 장난에 의해 잘못 울릴 수 있음을 감안하여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0초 이상 지속적으로 울리는 경우에만 해정 명령을 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소리 감지부(330)와 진동 감지부(340)의 출력 신호의 논리합 연산 기능과 타이머 기능은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Moreover, even in this case, the alarm bell 230 may be misjudged by a momentary malfunction or mischief of children, so that the release command may be issued only when the alarm continues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seconds or more. In addition, the logical sum calculation function and the timer function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sound detector 330 and the vibration detector 340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manner.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해정명령 수행부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전원 회로부와 동작 전원부의 내부 기능 블록도인 바, 이들 구성은 모두 전자정 유니트(100)의 케이싱(110)에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정명령 수행부(400)는 축전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부(420), 무선 신호를 포착하는 안테나(482), 안테나(482)에 의해 포착된 무선 신호 중에서 해정 명령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한 후에 복조하는 무선 수신부(480), 모터(120)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450), 해정 감지부(460)와 시정 감지부(470) 및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수신측 제어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 5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release command performing unit in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intern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circuit unit and an operation power supply unit in FIG. All are installed in the casing 110 of the electrostatic crystal unit 100.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unlock command performing unit 400 includes a power supply circuit unit 420 including a storage battery, an antenna 482 for capturing a radio signal, and a radio signal captured by the antenna 482. Among them, the wireless receiver 480 for demodulating and filtering only signals of a frequency band related to the unlock command, the motor driver 450 for driving the motor 120, the unlocking sensor 460 and the visibility detector 470, and these It comprises a receiving side control unit 410 to control.

전술한 구성에서, 전원 회로부(420)는 전술한 충전 회로부(190)와 과충전을 방지하는 과충전 방지부(424) 및 축전지(4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동작전원 표시부(430)는 축전지(426)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지의 여부를 각각 표시하는 정상상태 표시기(438)와 저전압 표시기(436), 축전지(426)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지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432) 및 저전압 감지부(432)의 출력 결과에 따라 정상 상태 표시기(438)와 저전압 표시기(436)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표시기 구동부(4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정상상태 표시기(438)와 저전압 표시기(436)는 각각 녹색 및 적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해정 감지부(460)와 시정 감지부(470)는 각각 해정 감지 스위치(136)와 시정 감지 스위치(135) 및 그 주변 소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ower supply circuit unit 420 may include the charging circuit unit 190 and the overcharge preventing unit 424 and the storage battery 426 to prevent overcharging. In addition, the operation power display unit 430 determines whether the output voltages of the battery 426 and the steady state indicator 438, the low voltage indicator 436, and the battery 426 respectively indicate whether the output volta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 display driver 434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steady state indicator 438 and the low voltage indicator 436 according to an output result of the low voltage detector 432 and the low voltage detector 432 for detecting whether the re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have.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eady state indicator 438 and the low voltage indicator 436 may be implemented with green and red light emitting diodes, respectively. The unlock detection unit 460 and the visibility detection unit 470 may include the unlock detection switch 136, the visibility detection switch 135, and peripheral elements thereof.

한편, 전술한 구성대로라면 불법 침입 의도자가 화재 알림 버튼(214)을 고의적으로 누르는 경우에도 비상문(10)이 해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불합리를 개선하기 위해 해정명령 수행부(400)에 인체 감지부(440)를 추가로 구비시키고, 인체 감지부(440)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해정 명령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체 감지부(440)는 전등 자동 점등기 또는 공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ergency door 10 is released even if the intention of the illegal intruder to press the fire notification button 214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human body detection unit to the unlock command execution unit 400 to improve such an irrationality. 440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release command may be performed only when a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human body detector 440. The human body detecting unit 440 may be implemented as an infrared senso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auto lighting or air conditioner.

미설명 부호 490은 시정명령 입력부를 나타내는 바, 이러한 시정명령 입력부(490)는 시정명령 스위치(184) 및 그 주변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ence numeral 490 denotes a corrective command input unit. The corrective command input unit 490 may include a corrective command switch 184 and a peripheral device thereof.

이하에는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해정명령 송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인 바, 송신측 제어부(31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측 제어부(310)에 전원이 투입됨과 동시에 단계(S10)에서는 타이머(T) 초기화를 포함하여 각종 변수들을 초기화시킨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는 소리 감지부(330) 및 진동 감지부(340)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12)에서의 판단 결과, 소리 감지부(330)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거나 진동 감지부(340)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S14)로 진행하여 타이머(T)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다시 단계(S16)로 진행하여 현재 타이머(T)의 값이 소정의 기준값(t), 예를 들어 10초 이상인 지를 판단한다. 단계(S16)에서의 판단 결과, 10초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12)로 복귀하게 되고, 10초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S18)로 진행하여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 해정 명령을 무선 송신부(350)에 출력하게 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command transmitter in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oted that the transmitter-side control unit 310 performs the subject. As shown in FIG. 8, power is supplied to the transmitter-side control unit 310, and at step S10, various variables are initialized including the timer T initialization. Next, in step S12, it is determined whether a dete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is input from the sound detector 330 and the vibration detector 34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2,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eference value or more is input from the sound detector 330 or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eference value or more is input from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340, the flow proceeds to step S14 to determine the timer T. The value of is increased by 1,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 again to determine whether the value of the current timer T i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 for example, 10 seconds or mor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6, if it is less than 10 second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2. If more than 10 second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8. The radio transmitting unit 350 issues a unlock command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advance. Will print to

한편, 단계(S12)에서 소리 감지부(330)나 진동 감지부(340)로부터 10초 미만 동안만 감지 신호가 입력되거나 전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정 명령을 발생시키지 않고 동작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2,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only for less than 10 seconds or no input from the sound detector 330 or the vibration detector 340 is in the operation standby state without generating a unlock command.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서 해정명령 수행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인 바, 수신측 제어부(41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 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30)에서는 무선 수신부(480)를 통한 신호 입력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고, 신호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S32)로 진행하여 입력된 신호로부터 식별 코드를 추출하여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S34)에서는 각각의 감지부(440),(460),(470)를 활성화, 즉 각각의 감지부(440),(460),(470)에 동작 전원을 투입시키게 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command execution unit in the automatic emergency door un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receiving side controller 410 performs the subject. As shown in FIG. 9, in step S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receiver 480, and if there is a signal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2 to extract an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input signal. Stored in its own memory. Next, in operation S34, each of the sensing units 440, 460, and 470 is activated, that is, operation power is supplied to each of the sensing units 440, 460, and 470.

다시 단계(S36)에서는 단계(S32)에서 저장된 식별 코드가 자기에게 미리 할당된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 즉 당해 해정 명령이 유효한 지를 판단한다. 단계(S36)에서의 판단 결과, 식별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S38)로 진행하여 인체 감지부(440)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38)에서의 판단 결과,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실제의 긴급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단계(S40) 내지 단계(S42)를 수행하여 해정 감지부(460)로부터 해정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모터(120)를 구동한 후에 중지시키게 된다. 단계(S36)에서 식별 코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단계(S38)에서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실제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해정 명령을 무시하게 된다.In step S36 agai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step S32 matches the identification code preassigned to it, that is, whether the corresponding unlock instruction is vali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6, when the identification codes match,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8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ignal input from the human body detecting unit 44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8,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input, it is determined that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lock signal is input from the unlocking detection unit 460 by performing steps S40 to S42. The motor 120 is stopped until it stops. If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match in step S36 or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in step S38, it is determined that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does not occur and the dismissal command is ignored.

한편, 단계(S30)에서 무선 수신부(48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해졍명령 수행부(400)는 슬립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수신측 제어부(410)가 최소의 필요한 동작만을 수행하고, 무선 수신부(480), 시정명령 입력부(490) 및 동작 전원 표시부(430)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에는 전원이 투입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무선 수신부(480)나 시정명령 입력부(49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수신측제어부(410)가 기동되어 정상 동작을 하게 되고, 이러한 수신측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투입되지 않던 나머지 감지부(440),(460),(470)에도 비로소 전원이 투입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no signal is input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480 in step S30, the hash command performing unit 400 operates in a sleep mod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Specifically, in the sleep mode, the receiving side controller 410 performs only the minimum necessary operation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wireless receiving unit 480, the corrective command input unit 490, and the operation power display unit 430. Power is not turned on. In this state, when a signal is input through the wireless receiving unit 480 or the correction command input unit 490, 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410 is started to operate normally, and power is su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410. Power is also supplied to the remaining detectors 440, 460, and 470 that were not input.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시정 감지 스위치(135), 해정 감지 스위치(136) 및 시정명령 스위치(184)가 접촉식인 마이크로 스위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광 감지 방식 또는 자기 감지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현할 수가 있을 것이고, 그 설치 위치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시정 및 해정 메카니즘도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예를 들어 열쇠를 사용하는 수동 조작의 경우에 열쇠의 회전력에 의에 직접 슬라이드 판(230)을 전후진시키는 완전 수동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lthough the corrective detection switch 135, the unlocked detection switch 136, and the corrective command switch 184 are illustrated as a contact type micro switch,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light sensing or magnetic sensing may be implemented.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installation location as appropriate. Also, the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using a key, the mechanism may slide directly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ey. It may be implemented in a fully manual manner to advance the plate 230 back and forth.

한편, 전원 공급과 관련하여 중앙 통제실(220)로부터의 전원 스위치(240)의 단속 제어 신호의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해정명령 송신부(300)의 수신측 제어부(310)에 전원이 항상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전선 인출이 곤란한 경우에는 해정명령 수행부(400)의 동작 전원을 축전지(426) 대신에 건전지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며, 축전지(426)와 건전지 양자를 모두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원부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rol signal of the power switch 240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220 is generated in relation to the power supply may be to always supply power to 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310 of the unlock command transmitter 300. If it is difficult to draw the wire from the commercial AC power source, the operation power of the unlock command execution unit 400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instead of the storage battery 426, a method using both the storage battery 426 and the battery. You can also change the power supply.

무선 신호의 종류와 관련하여 고주파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적외선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안테나(352),(482)가 불필요해지는 대신에 무선 송신부(350)와 무선 수신부(480) 사이에 광전달 경로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무선 송신부(350)와 무선 수신부(480)의 설치 위치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In relation to the type of wireless signal, a high frequency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may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an infrared signal, the antennas 352 and 48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not required.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wireless transmitter 350 and the wireless receiver 480 should be selected so that a light transmission path is sufficiently secured between the wireless transmitter 350 and the wireless receiver 480.

끝으로, 해정명령을 유선으로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이 경우에는 장치의 구성이 대폭적으로 간소화될 것이다.Finally, the release command may be delivered by wire, in which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will be greatly simpl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에 따르면,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사태 발생 시에 비상문을 자동으로 해정함으로써 비상구를 통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o ensure safety through the emergency exit by automatically unlocking the emergency doo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Claims (10)

건물의 비상문과 문틀 사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해정 동작은 전동력에 의해 수행되는 전자정 수단;An electronic well means installed between the emergency door of the building and the door frame, wherein at least the coast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electric power; 건물의 적소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화재 알림 수단;Fire notification means installed in place of the building to notify the occurrence of fire; 상기 화재 알림 수단으로부터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받아 상기 비상문의 해정 명령을 발하는 해정 명령 송신 수단 및Unlock command sending means for issuing a release command of said emergency door by being notified of the fire occurrence from said fire alarm means;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으로부터 해정 명령을 전달받고, 해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전자정 수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해정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And a unlocking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 unlocking command from the unlocking command transmitting means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unlocking means to perform the unlocking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은 해정 명령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으로부터 화재 사실을 통보받고 상기 무선 송신부에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ecommissioning command transmitting means comprises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commissioning command wirelessly, and a transmission side control unit for notifying the fact of the fire from the decommissioning command transmission means and outpu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Lose, 상기 해정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송신부로부터의 해정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해정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정 수단에 해정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The unlocking control means includes a radio receiver for receiving a unlock command from the radio transmitter and a receiving side controller for outputting a unlock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unlock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unlock command received from the radio receiver. Emergency door automatic dismantl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알림 수단은3. The fire notification means according to claim 2, 건물의 적소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Fire detectors installed in place in the building; 건물의 적소에 설치된 화재 알림 버튼;Fire notification button installed in place of the building; 화재의 발생을 청각적으로 경보하는 경종;Alarm bells to alarm the occurrence of a fire; 상기 경종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스위치 및A power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alarm bell; 상기 화재 감지기와 상기 화재 알림 버튼의 출력 신호를 논리합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의 단속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오어 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And an OR gate for outputting an intermittent control signal of the power switch by O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e detector and the fire notification butt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은 상기 전원 스위치에 대해 상기 경종과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를 경유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unlock command transmit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power switch in parallel with the alarm bell and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power switch.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해정 명령 송신 수단은 상기 경종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부 및 상기 경종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The release command transmitt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soun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ound of the alarm bell and a vibr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alarm bell,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소리 감지부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의 어느 하나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무선 송신부에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And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ler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tter only when a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either the sound detector or the vibration detec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부는 상기 소리 감지부 또는 상기 진동 감지부의 어느 하나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동안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무선 송신부에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transmitter only when the detection signal from any one of the sound detection unit or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is inpu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제어 수단은 상기 비상문 주위의 인체의 존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According to claim 6, The coast control means further comprises a human body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uman body around the emergency door, 상기 수신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해정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인체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전자정 수단에 해정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And the receiving sid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output the unlock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 stop means only when a unlock command is input from the wireless receiver and a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human body detecting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제어 수단은 상기 전자정 수단의 동작 전원의 저전압 여부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8. The emergency door automatic un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unlocking control means further comprises a low voltag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operating power of the electronic unlocking means is low.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정 수단은 상기 비상문에 설치되고 자유단이 전원 수급단으로 기능하는 빗장;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latch installed at the emergency door and having a free end functioning as a power supply supply end; 상기 문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수급단과 접촉하여 상기 전원 수급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단 및A power supply terminal installed in the door frame and contacting the power supply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원 수급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비축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여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해정 장치.And an accumulator battery for storing electric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and supply st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는 고유 식별 코드가 포함되며, 상기 수신측 제어부에서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고유 식별 코드를 자체에 미리 저장된 고유 식별 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전자정 수단에 해정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자동 제어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ing side control unit includ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receiving side control unit compa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receiving unit with its own unique identification code pre-stored And outputting a disengagement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onically fixed means only when there is a match.
KR2020010018256U 2001-06-19 2001-06-19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KR2002488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56U KR200248858Y1 (en) 2001-06-19 2001-06-19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56U KR200248858Y1 (en) 2001-06-19 2001-06-19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314A Division KR100437097B1 (en) 2001-02-14 2001-02-14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858Y1 true KR200248858Y1 (en) 2001-11-16

Family

ID=7310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56U KR200248858Y1 (en) 2001-06-19 2001-06-19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85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80B1 (en) * 2002-05-18 2004-11-06 유희수 Emergency exit door lo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80B1 (en) * 2002-05-18 2004-11-06 유희수 Emergency exit door loc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6198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having transmitter learning and feature programming based on a single-digit user code and related methods
US6452484B1 (en) Electronic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remote control
US5663704A (en) Vehicle security system having enhanced door locking features
CA2529642C (en) Door security device for use in security systems
US5986571A (en) Building security system having remote transmitter code verification and code reset features
JP2004513271A (en) Door control system and indoor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4970494A (en) Radio controlled home security system
EP1933282B1 (en) Wireless control of security system with key-operated key fob
JP413664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5612669A (en) Vehicle security system having enhanced false alarm compensation
JP2005239135A (en) Antitheft device for vehicle having power door
US5594428A (en) Combination security unit
US6927669B2 (en) Security system
KR100437097B1 (en)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US5969596A (en)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door locking/unlocking function
KR200248858Y1 (en) automatic unlock apparatus for escape door
JP3425302B2 (en) Security equipment
JP4328179B2 (en) Security system
KR101755275B1 (en) Emergency exit locking system with a status notification
KR100314816B1 (en) Radio door lock
JP2007015598A (en) Theft alarm device for vehicle
JPH06336150A (en) On-vehicle anti-theft system
KR930008914B1 (en) Vehicle control key system
JP2002121940A (en) Lock monitor
CA2160827C (en) Combination security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