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660Y1 - 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660Y1
KR200231660Y1 KR2019990007645U KR19990007645U KR200231660Y1 KR 200231660 Y1 KR200231660 Y1 KR 200231660Y1 KR 2019990007645 U KR2019990007645 U KR 2019990007645U KR 19990007645 U KR19990007645 U KR 19990007645U KR 200231660 Y1 KR200231660 Y1 KR 200231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simile
unit
fax
inform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6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0472U (en
Inventor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7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660Y1/en
Publication of KR20000020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47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660Y1/e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사용정보를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어 사용되는 팩시밀리에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에 팩스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하였을 경우, 이를 원인별로 표시하고 재 시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팩스 데이터의 송신 실패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aging usage information of a facsimile interworking with a comprehensiv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the transmission of fax data fails while the facsimile data is transmitted from a facsimile used with a comprehensive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identify and cope with a cause of a failure of transmission of a fax data by displaying it for each cause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try.

한편, 본 고안의 구성은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하여 사용되는 팩시밀리에 있어서, 상기 팩시밀리에서 상대방 팩시밀리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소정의 출력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시키고 상기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상기 소정형태의 작동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csimil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simil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fax data from the facsimile to the other party facsimil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fax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information relat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sim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a predetermined output form; And a control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th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type converted through the converting unit.

본 고안에 따르면,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팩시밀리의 상태와 수신측과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그 원인 등을 연속하여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팩스 데이터의 송신이 안될 경우의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x data is transmitted, the status of the fax a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receiving party is not established can be continuously monitored and the user can be notified. When the user cannot send the fax data,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cause of the coping.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본 고안은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어 사용되는 팩시밀리에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에 팩스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하였을 경우, 이를 원인별로 표시하고 재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simile. More specifically, when a facsimile of a facsimile data transmission fails in a facsimile used in conjunction with a comprehensive telecommunication network, a comprehensive telecommunications network is displayed for each cause and judges whether to retry. It relates to a device for manag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interlocked with.

먼저, 종합정보통신망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First,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will be briefly described.

종합정보통신망은 음성과 비음성 서비스들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디지털 방식의 네트워크이다.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is a digital network that comprehensively supports voice and non-voice services.

종합정보통신망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Switched Data Network), 텔렉스(Telex) 망 및 팩스(Fax) 전용망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음성과, 문자 및 영상 데이터 등의 서로 다른 형태의 정보를 모두 디지털로 변환하여 한꺼번에 하나의 망으로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Comprehensiv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can provide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voice, text, and video data that can be used through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s (PSDN), telex networks, and fax networks. Can be converted to digital and integrated into one network at a time and transmitted.

일반 전화방식인 아날로그 방식이 1개의 채널만을 제공하는데 반해 디지털 방식인 종합정보통신망은 2개의 채널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화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컴퓨터 통신이나 팩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Analogue telephones, which are common telephone methods, provide only one channel, while digital telecommunications networks, which provide two channels, allow you to use computer communications or fax at the same time as you use a telephone.

즉, 서로 형태가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각각에 필요한 별도의 회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종합정보통신망 하나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you want to use a service tha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erform all the operations in one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line for each.

또한, 종합정보통신망은 디지털 신호를 그대로 주고받기 때문에 잡음이 없고 음의 손실이 적어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s and receives digital signals as it is, there is no noise and there is little sound loss, so the speed is high.

이러한 종합정보통신망의 특징을 가입자와 망 제공자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re as follows in terms of subscribers and network providers.

먼저, 기존 망에서는 이용자가 서비스별로 가입 요금, 그리고 서비스 사용 번호를 별도로 관리해야 했지만, 종합정보통신망에서는 모든 것을 단일화시켜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단순해진다.First, in the existing network, the user had to separately manage the subscription fee and the service use number for each service, but in the integr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the management can be simplified since everything can be unified.

또한, 다양한 통신 기능과 획기적인 통신 능력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이용 요금이 저렴하여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In addition, in spite of variou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breakthrough communication capabilities, it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because the usage fee is relatively low.

두 번째로 제공자 측면에서 볼 때 이전의 전화는 망 기능 확장이 곤란하고, 망 구성비용이 많이 들며,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었지만, 종합정보통신망에서는 새로운 서비스 도입이 용이하고, 복합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망구성과 응용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다.Second, from the provider's point of view, the previous phone was difficult to expand network functions, costly to construct a network, and difficult to provide complex services. It can provide network structure and application economically.

또한, 종합정보통신망은 가입자 접속 방식에 따라 기본 접속 서비스(BRI:Basic Rate Interface)와 일차군 접속 서비스(PRI:Primary Rate Interface)로 구분되는데 BRI와 PRI를 구분하는 기준은 회선 용량, 즉 대역폭의 차이다.In addition, the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 divided into basic access service (BRI) and primary rate access (PRI) according to the subscriber access method.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RI and PRI is line capacity, that is, bandwidth It's a car.

한편, 도 1에 도시된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참조점과 단말기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terminal of the ISDN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가 BRI와 PRI로 구축된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하려면 종합정보통신망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있어야하는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는 ISDN 전용 단말기와, 비ISDN 단말기로 구분된다.In order for a user to access 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with BRI and PRI, there must be a terminal supporting the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s that can be used in the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re classified into ISDN dedicated terminals and non-ISDN terminals.

ISDN 단말기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ISDN 표준 인터페이스가 있는 단말기를 말하며, 비ISDN 단말기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서, 기존의 일반 전화기, 다이얼 업 모뎀, G-3 팩시밀리 등이 여기에 속한다.ISDN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with an ISDN standard interface that can connect to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A non-ISDN terminal is a terminal without direct access to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It is a conventional telephone, dial-up modem, and G-3 facsimile. The back belongs to this.

이들 비 ISDN 단말기들은 ISDN 단말정합장치(TA:Terminal Adapter)를 통해서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These non-ISDN terminals can access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ISDN terminal adapter (TA).

종합정보통신망은 이들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참조점(Reference Point)이라는 것을 정해두고 있다. 먼저, 전화국의 ISDN 교환기와 NT1 사이, 즉 ISDN 전화선을 'U점'이라고 부르고, NT1에서 NT2 사이를 'T점', NT2에서 TE1(Terminal Equipment 1, ISDN 응용 단말기) 사이를 'S점'이라 부른다.A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 defined as a reference point for connecting these terminals. First, between the telephone company's ISDN switch and NT1, that is, the ISDN telephone line is called 'U point', between NT1 and NT2 is 'T point', and between NT2 and TE1 (Terminal Equipment 1, ISDN application terminal) is called 'S point'. Call.

여기서, NT2란 ISDN PBX 교환기나 PRI 라우터에 해당하는 것으로, BRI에는 해당하지 않으므로 'S'와 'T'를 합쳐'S/T점'이라고 하며 'S/T점'에는 TE1에 해당하는 응용 단말기(S 카드, ISDN 전용 전화기, ISDN 화상 단말기, G-4 팩시밀리 등)가 붙는다.Here, NT2 corresponds to ISDN PBX switch or PRI router. Since it does not correspond to BRI, 'S' and 'T' are called 'S / T point' and 'S / T point' is an applica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E1 ( S card, ISDN dedicated phone, ISDN video terminal, G-4 facsimile, etc.).

또한, TA 다음 접속점을 'R점'이라 부르는데, 여기는 TE2라 불리는 비 ISDN 단말기가 붙는 접속점으로 , 일반 PC나 전화기, 일반 팩스 등이 TE2에 해당되며, TE2 기기들은 TA를 통해 ISDN 망에 접속한다.In addition, the next access point of TA is called 'R point', which is a connection point to which non-ISDN terminals called TE2 are attached. A general PC, a telephone, or a regular fax machine correspond to TE2, and TE2 devices access the ISDN network through TA. .

이러한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하여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대방 팩시밀리가 busy 상태이거나 응답이 없을 경우에 자동 재 다이얼 기능이 설정되어 잇는 경우에는 지정한 횟수만큼 재 다이얼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When the fax data is transmitted through such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network, the automatic redial function is set when the other party's fax is busy or there is no response.

그러나, 이러한 기능만으로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재 다이얼 되는 이유를 알 수 없고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However, this function alone does not know the reason for the redial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cannot solve the problem.

또한, 계속해서 재 다이얼을 해도 실패가 예상되는 경우에도 지정한 횟수만큼 재 다이얼을 하기 때문에 그 시간 동안에 다른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re-dial continues, even if failure is expected, redialing is performed a specified number of times, so that another fax data cannot be received during that time.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어 사용되는 팩시밀리에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도중에 팩스 데이터의 전송이 실패하였을 경우, 이를 원인별로 표시하고재 시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팩스 데이터의 송신 실패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icate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fax data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fax data in the facsimil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fails by ca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identify and cope with a cause of a transmission failure of a fax data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retry is attempted.

도 1은 일반적인 종합정보통신망의 참조점과 단말장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reference point and a terminal device of a general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도 2는 본 고안을 수행하기 위해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operating state of a facsimile interlocked wit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라,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n operating state of a facsimile interworking wit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출력된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facsimile output by using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operating state of a facsimile interlocked wit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 : 중앙처리장치 20 : 메모리부10: central processing unit 20: memory unit

30 : 스캐너부 40 : 프린터부30: scanner portion 40: printer portion

50 : 컴퓨터 인터페이스부 60 : 화소 변환부50: computer interface unit 60: pixel conversion unit

70 : 모뎀부70: modem unit

80 : 작동상태 관리장치80: operation state management device

90 : 직렬 입출력 장치(SIO:Serial Input Output)90: Serial Input Output (SIO)

100 :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접근 제어기(ISAC:ISDN Subscriber Access Controller)100: ISDN Subscriber Access Controller (ISAC)

110 : 종합정보통신망(ISDN) 라인 인터페이스부110: ISDN line interface unit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하여 사용되는 팩시밀리에 있어서,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는 상기 팩시밀리에서 상대방 팩시밀리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소정의 출력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시키고 상기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상기 소정형태의 작동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e facsimil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the device for manag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interlocked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s operable to transmit the fax data from the facsimile to the other party facsimile A detector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occurring during execution; A storage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fax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information relat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sim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a predetermined output form; And a control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th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type converted through the converting unit.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팩시밀리의 상기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팩시밀리의 사용자에게 상기 소정의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Optionally,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x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user of the fax in the predetermined form after being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바람직하게,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상기 팩시밀리의 신호 채널 제어를 위한 계층 1의 상태;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데이터 링크를 위한 계층 2의 상태; 및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통신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층 3의 상태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is a layer 1 state for controlling the signal channel of the facsimile in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tate of Layer 2 for data linking with the other facsimile; And a layer 3 state confirming communication possibility with the counterpart facsimile.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의 형태는 상기 팩시밀리의 신호 채널 제어를 위한 계층 1과,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데이터 링크를 위한 계층 2와,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통신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층 3의 각각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형태이다.Advantageously, the predetermined form separately identifies each state of layer 1 for signal channel control of the facsimile, layer 2 for data linking with the other party facsimile, and layer 3 for confirming communication capability with the other facsimile facsimile. It is a form that represents.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을 수행하기 위해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단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rminal device that is linked to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As show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controls the overall termina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set program.

메모리(20)에는 프로그램데이터와 프로토콜데이터 및 문자데이터와 전송 및 수신에 관련된 작업내용이 저장되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액세스하거나 저장한다.The memory 20 stores program data, protocol data, text data, and work contents related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ccesses or stores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10.

스캐너(30)는 원고의 데이터를 스캐닝 하여 디지털형태의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에 제공한다.The scanner 30 scans the data of the document, converts the data into digital image data,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모뎀(70)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중앙처리장치(10)의 출력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로 변조하여 출력하고 아날로그형태의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the modem 70 modulates and outputs the output data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in an analog form, and demodulates and outputs the analog input signal.

프린터(40)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된 팩스데이터를 인쇄한다.The printer 40 prints the fax data received by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한편, 컴퓨터 인터페이스부(50)는 단말장치와 컴퓨터를 접속해 주는데, 접속 방법은 컴퓨터의 주변장치 접속방법인 직렬접속 또는 병렬접속 방식을 이용하는데, 직렬접속 방식은 컴퓨터의 직렬포트인 COM 포트를 이용하여 비동기 통신방식인 RS-232C 방식으로 주변장치와 통신을 하므로써 외장형 모뎀과의 접속을 지원한다.Meanwhile, the computer interface unit 50 connects the terminal device to the computer. The connection method uses a serial connection or a parallel connection method, which is a peripheral device connection method of a computer. The serial connection method uses a COM port, which is a serial port of a computer. By using the RS-232C method, which is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is supported.

또한, 병렬접속 방식은 프린터나 플로터와 같은 장치와 접속할 때 주로 이용되며,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In addition, the parallel connection method is mainly used when connecting to a device such as a printer or plotter, and is a method commonly used for a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one direction.

화소변환부(60)는 스캐너부(30)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를 팩스 송/수신에 적합하도록 변환한다.The pixel conversion unit 60 converts the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canner unit 30 so as to be suitable for fax transmission / reception.

직렬 입출력 장치(SIO)(90)는 컴퓨터나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종합정보통신망의 B채널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rial input / output device (SIO) 90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data input from a computer or a scanner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B channel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즉, 시스템의 내부버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직렬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접근 제어기(ISAC:ISDN Subscriber Access Controller 이하 'ISAC'이라 약칭)(100)에 전송하고, ISAC(100)으로부터 수신한 직렬데이터를 내부버스 데이터 전송형식인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1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data inputted through the internal bus of the system is converted into serial data form and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r access controller (ISAC: short term 'ISAC') 100, and from the ISAC 100 It converts the received serial data into parallel data which is an internal bus data transmission format and transmits the serial data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0.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접근 제어기(ISAC)(100)는 D 채널 제어를 위한 종합정보통신망 계층 1 기능인 라인 코딩 및 라인 활성화/비활성화 기능과, 계층 2 기능인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 D-channel)기능을 수행하고, 계층 3 기능인 채널의 선택과 설정 및 다이얼에 대응한 상태에 대한 경로 설정과 상대의 속성을 조사해서 통신 가능성을 확인하고, 종합정보통신망 라인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subscriber access controller (ISAC) 100 performs line coding and line activation / deactivation functions, which are integrated layer 1 functions, for the D channel control, and the link access procedure on th D-channel (LAPD) function, which is a layer 2 function. And checks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y investigating the path setting and the property of the partner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selection and setting, which is the layer 3 function, and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dial,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throug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line interface 110. It performs the function.

여기에서, 상기 프로토콜의 계층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 the layers of the protoc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계층 1은 물리층으로 소켓으로 사용되는 8핀 모듈러 커넥터의 형상과, 가입자선에 있어서의 전송 신호의 파형과, 한 쌍의 가입선에 대한 B 및 D 채널의 시분할 다중화와, 버스 접속에 있어서의 D 채널 신호의 경합 제어 등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First, Layer 1 is the shape of an 8-pin modular connector used as a socket for the physical layer, the waveform of the transmission signal on the subscriber line, the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the B and D channels to a pair of subscription lines, and the bus connection. The contention control of the D channel signal is specified.

또한, 계층 2는 데이터 링크층으로 버스 접속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나의 물리층 위에 복수의 데이터 링크 커넥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링크 접근 규약을 실현하고 있다.Layer 2 also implements a multi-link access protocol that allows multiple data link connections to be established on one physical layer to service bus connections to the data link layer.

상기 규약을 LAPD(Link Access Protocol on the D-channel)이라고 부른다.This protocol is called Link Access Protocol on the D-channel.

원래 고수준 데이터 전송 제어(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에 준거하고 있어서 신뢰도가 높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Originally based on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HDLC), it is possible to transmit signals with high reliability.

또한, 계층 3은 네트워크층으로 B 채널 또는 D 채널에서 통신할 수 있도록 D 채널에서 하는 일련의 호출 제어가 계층 3의 규약이다.In addition, Layer 3 is a protocol of Layer 3, which is a set of call control performed on the D channel so that the B channel or the D channel can communicate with the network layer.

회선 교환 방식에 대해서는 호출 설정 시에 있어서 채널의 선택과 설정, 다이얼에 대응한 상태에 대한 경로 설정과 상대의 속성을 조사해서 통신 가능성을 확인한다.In the circuit-switched system,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s checked by examining the channel selection and setting, the path setting for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dial, and the other party's attributes when the call is set up.

그리고, B 채널 패킷일 경우에는 D 채널에서 통신 채널의 선택과 설정 및 상대 단말의 선택만을 하고 X.25에 있어서의 호출 설정은 상기 설정된 채널을 사용해서 실시한다.In the case of a B channel packet, only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selected and set in the D channel and the other terminal is selected, and the call setup in X.25 is performed using the channel set as described above.

종합정보통신망 라인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송신호 형태로 구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물리적 규격과, 전기적 규격에 맞추어 송/수신할 수 있도록 종합정보통신망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line interface 110 interfaces the signals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 receive digital data configured in the form of transmission signals according to physical standards and electrical standards.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operating state of a facsimile interworking wit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81)는 검출부(85)에서 검출한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82)로 저장시키고 변환부(83)로 인쇄시킨다.The control unit 81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x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85 in the storage unit 82 and prints it to the conversion unit 83.

저장부(82)는 검출부(85)에서 검출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82 store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85.

변환부(83)는 저장부(82)에 저장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형태로 출력한다.The conversion unit 83 outputs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82 in a predetermined form.

표시부(84)는 검출부(85)에서 검출된 후, 저장하는 저장부(8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팩시밀리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형태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84 displays, in a predetermined form, the user of the facsimile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82 to be stored after being detected by the detector 85.

검출부(85)는 팩시밀리에서 상대방 팩시밀리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검출한다.The detection unit 85 detects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simile which occurs during the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fax data from the facsimile to the counterpart facsimile.

이하, 본 고안의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n operating state of a facsimile interworking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먼저,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상대방 팩시밀리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재 다이얼 및 재 다이얼하기 위한 횟수를 설정한 후,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로 다이얼링 한다(단계:S1)First, when fax data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facsimile interworking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number of times to redial and redial is set, and then the other party's facsimile is dialed (step: S1).

상기 다이얼링한 후, 계층 1이 활성화되었는가를 검출부(85)에서 판단한다(단계:S2, S3).After the dialing, the detection unit 85 determines whether the layer 1 is activated (steps S2 and S3).

상기 판단 후, 검출부(85)에서 판단한 상기 계층 1의 상태 정보를 제어부(8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82)에 저장한다(단계:S4, S5).After the determinati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yer 1 determined by the detector 85 is stored in the storage 8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81 (steps S4 and S5).

상기 저장 후, 표시부(84)로 상기 계층 1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다(단계:S20).After the storage, the display unit 84 display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yer 1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tep S20).

상기 계층 1에서 상태가 활성화되었으면,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프로토콜 계층 2인 데이터 링크의 설정이 이루어졌는가를 검출부(85)에서 판단한다(단계:S6, S7).If the state is activated in the layer 1, the detection unit 85 determines whether the data link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protocol layer 2 is established (steps S6 and S7).

상기 판단 후, 검출부(85)에서 판단한 상기 계층 2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82)에 저장한다(단계:S8, S9).After the determinati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yer 2 determined by the detection unit 85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2 (steps S8 and S9).

상기 저장 후, 표시부(84)로 상기 계층 2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다(단계:S21).After the storage, the display unit 84 display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yer 2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tep S21).

상기 계층 2에서 상기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었으면,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상기 종합정보통신망 프로토콜 계층 3인 호 설정이 이루어졌는가를 검출부(85)에서판단한다.If the data link is established in the layer 2, the detection unit 85 determines whether the call establishment of the counterpart facsimile and the integrated information network protocol layer 3 is made.

상기 판단 후, 검출부(85)에서 판단한 상기 계층 3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82)에 저장한다(단계:S12, S19)After the determinati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yer 3 determined by the detection unit 85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2 (steps S12 and S19).

상기 저장 후, 표시부(84)로 상기 계층 3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한다(단계:S22).After the storage, the display unit 84 display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ayer 3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tep S22).

여기에서, 상기 계층 3인 호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호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원인에 대한 내용을 검출하며(단계:S13), 상기 설정된 재 다이얼링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한다(단계:S14).In this case, when the call setup that is the layer 3 is not made, information on the cause of the call setup is not detected (step: S13), and repeated by the set number of re-dialations (step: S14). .

이상과 같은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82)의 내용을 출력할 것인가를 판단하여(단계:S17),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해 저장부(82)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층 1, 2 및 3들의 상태를 별도로 각각 나타내는 형태로 출력한다(단계:S18).After performing the above steps, it is determined whether to output the contents of the storage unit 82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layer 1, layer 2 and layer 3 (step: S17),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2 regard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are output in a form representing the states of the layers 1, 2, and 3 separately as shown in FIG. 5 (step S18).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or variations may be made. Therefore, changes in the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팩시밀리의 상태와 수신측과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그 원인 등을 연속하여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팩스 데이터의 송신이 안될 경우의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x data is transmitted, the status of the facsimile and the cause may be continuously monitore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receiver is not made, and the user may be noti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cause of the case where the data cannot be transmitted and cope with it.

Claims (4)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하여 사용되는 팩시밀리에 있어서,In the facsimil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팩시밀리에서 상대방 팩시밀리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A detect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simile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for transmitting the fax data from the facsimile to the other party facsimile;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fax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소정의 출력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A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information relat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sim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to a predetermined output form; And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시키고 상기 변환부를 통하여 변환된 상기 소정형태의 작동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And a control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type converted through the converting unit. Device that manag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팩시밀리의 상기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팩시밀리의 사용자에게 상기 소정의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sim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user of the facsimile in the predetermined form after being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device that manages the operational state of a fax.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x is 상기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상기 팩시밀리의 신호 채널 제어를 위한 계층 1의 상태;A state of layer 1 for signal channel control of the facsimile in the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데이터 링크를 위한 계층 2의 상태; 및State of Layer 2 for data linking with the other facsimile; And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통신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층 3의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And a layer 3 state confirming a communication possibility with the counterpart facsimile.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형태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determined form is 상기 팩시밀리의 신호 채널 제어를 위한 계층 1과,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데이터 링크를 위한 계층 2와, 상기 상대방 팩시밀리와 통신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층 3의 각각의 상태를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에 연동되는 팩시밀리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Characterized in that the respective states of layer 1 for signal channel control of the facsimile, layer 2 for data linking with the other party's facsimile, and layer 3 for confirming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s facsimile are individually displayed. Device that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facsimile interworking wit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KR2019990007645U 1999-05-07 1999-05-07 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KR20023166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45U KR200231660Y1 (en) 1999-05-07 1999-05-07 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645U KR200231660Y1 (en) 1999-05-07 1999-05-07 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72U KR20000020472U (en) 2000-12-05
KR200231660Y1 true KR200231660Y1 (en) 2001-07-19

Family

ID=5476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645U KR200231660Y1 (en) 1999-05-07 1999-05-07 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660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72U (en)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4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witched network protocols
US6643283B2 (en) Communication network
JP3820064B2 (en) Digital network system, digital network switch, ISDN system processing apparatus, and subchannel establishment method in digital network
US6175620B1 (en) Compatibility between a telephone service with server and a calling line identification service
US6215868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 digital or analog subscriber line of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ion device
US6711175B1 (en) Procedure for scanning or disconnecting a module line in a V5.2 access node
KR100288690B1 (en) Combiner connected to isdn capable of facsimile data transmission/receipt and data communication
KR200231660Y1 (en) Apparatus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ISDN Fax
KR100265041B1 (en) Terminal equipment and method interworking with a comprehens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for executing complex functions
KR100288711B1 (en) ISDN Facsimile system connected external output device
US7113511B2 (en) Method of automatic signaling detection for a high speed communications link
US6707909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 digital or analog subscriber line of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ion device
KR100294224B1 (en) Apparatus for backup data when power down of terminal equipment in ISDN
KR100268349B1 (en) System for analyzing protocol
JP3315475B2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JP3118028B2 (en) G3 / G4 facsimile machine
JP305813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00008073A (en) Device using two b channels by interlocked in isdn
JP3330663B2 (en) Electronic exchan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H0927849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H02239762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00019763A (en) Device using telephone function in case of no power stoppage in isdn composite device
JPH02305054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GB23462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in characters through ISDN
KR19990011673A (en) Fax machine with built-in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