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985Y1 - Audio generator - Google Patents

Audio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985Y1
KR200229985Y1 KR2020010003686U KR20010003686U KR200229985Y1 KR 200229985 Y1 KR200229985 Y1 KR 200229985Y1 KR 2020010003686 U KR2020010003686 U KR 2020010003686U KR 20010003686 U KR20010003686 U KR 20010003686U KR 200229985 Y1 KR200229985 Y1 KR 200229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output
word
code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6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신
김현석
이장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루
Priority to KR2020010003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98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985Y1/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음성 발생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음성 발생 장치는, 코드들이 인쇄되어 있는 대상물과; 코드들을 읽어들여 분석하고 디지털 데이터들로 변환하는 코드 스캐너와; 음성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명령에 의하여 특정의 음성 데이터들을 단어 또는 문장의 형태로 출력하는 기억 장치와; 코드 스캐너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들이 자신에게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특정의 음성 데이터들이 단어 또는 문장의 형태로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도록 기억 장치에 명령하는 중앙처리 장치와;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된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그림 동화책 등을 시각적으로 느끼면서 그림 동화책 등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을 청취함으로써 사용자의 언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음성 데이터들이 단어, 특히 음운의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기억장치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 speech generat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speech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bject on which codes are printed; A code scanner which reads codes, analyzes them and converts them into digital data; A memory device for storing voice data and outputting specific voice data in the form of a word or a sentence by a comm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instructing the storage device to output specific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code scanner to the storage device in the form of words or sentences; And a voice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 word or sentence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and outputting the word or sentence as a vo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learning effect of the user can be improved by listen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icture fairy tale book while visually feeling the picture fairy tale book with the code printed thereon, and the voice data are stored in the form of words, especially phonology. Thus, even when the capacity of the storage device is small, the stored voice data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Description

음성 발생 장치{Audio generator}Voice generator {Audio generator}

본 고안은 음성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를 인식하고 코드가 의미하는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들을 단어 또는 문자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음성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ch gener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ech generating apparatus which recognizes a code and converts each digital data represented by the code into a word or a character and outputs the speech.

기술 수준의 발달과 더불어 물체의 특징을 파악하여 그 물체를 인식하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 또는 완구 등이 첨단화, 정밀화, 및 인공 지능화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특정한 신호를 입력받아 반응하며 완구 사용자의 언어 학습 훈련 기능을 겸비한 완구와 물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물품의 내용을 화면상에 표시해주는 시스템을 가지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 등을 들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cal level, the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or the toy which grasps the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and recognizes the object has been advanced, refine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xample, an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having a system that displays a product's contents by recognizing a barcode that is printed on the article and a toy having a language learning and training function for the toy user by responding to a specific signal. Can be.

종래의 상호 반응형 완구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10-1999-053591호(발명의 명칭: 학습기능을 갖는 음성 인식 완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반응형 완구는 완구 사용자의 소유욕이 충족되도록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완구를 조종하는 데에 그 주목적이 있다. 그리고, 음성합성 및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상호 반응형 완구는 녹음된 음성만을 단순히 출력해 주는 완구,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완구, 질의한 음성을 인식하고 질의에 대한 약속된 응답을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대화형 완구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기능의 상호 반응형 완구의 경우에는 미리 녹음된 내용만을 선별하여 재생 또는 출력하게 되므로, 이러한 완구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흥미를 유발하며, 소유욕을 충족시키게 된다. 하지만, 동일한 내용의 반복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곧 흥미 및 소유욕을 상실하게 된다.Conventional interactive toys includ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999-053591 (name of the invention: a speech recognition toy system having a learning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However, the conventional responsive toys have a main purpose in controlling the toys using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so that the possessive desire of the toy user is satisfied. In addition, the interactive toys using voice synthesis and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can simply output the recorded voice, recognize the voice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voice command, recognize the questioned voice and make a promised response to the question. Interactive toys that output audio are mainstream. In the case of the interactive toys having simpl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only the pre-recorded contents are selected and reproduced or output. Thus, the first-time users of the toys are interesting and satisfy the possessive desire. However, due to the repetition of the same content, the user soon loses interest and desire to possess.

한편,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0-0032027호(발명의 명칭 : 음성합성및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언어 학습 및 훈련기능을 가진 완구의 제어방법)에는 유아 및 언어장애가 있는 어린이를 주 대상으로 음성합성과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언어를 학습하고, 훈련하는 기능을 가진 완구에 관하여 개시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0-0032027호에 개시된 발명은 완구 내에 단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고, 완구가 저장된 단어 중에서 특정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하였을 때, 소지자가 그 단어를 발성하면 그 발음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발명의 경우에는 단지 음성만을 출력하게 되므로 출력된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사용자들이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이 발명 역시 사용자가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32027 (name of the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toy having a language learning and training function using speech synthesis and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s mainly intended for speech of infants and children with speech disorders. A toy with the ability to learn and train a language using synthesis and speech recognition techniques is disclosed. The inven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32027 includes a memory in which a word is stored in a toy, and when a word is output by voice of a word in which the toy is stored, the holder speaks the word. It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voice is output,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grasp what the output word mean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problem that the user loses interest.

따라서,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흥미를 가지고서 완구를 소지하면서 다양한 언어의 청취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는 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발생 장치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toy capable of learning a language efficiently by listening to various languages while the user possesses a toy with interest, development of a speech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more information must be preceded. .

그리고, 물품을 취급 또는 사용하는 사람들이 보다 편리하게 물품을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물품에 인쇄된 특정의 코드를 인식하여 물품의 내용 예컨대, 종류, 명칭 또는 가격 등을 음성으로 출력해주되, 적은 기억 용량으로도 많은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발생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In order to recognize the goods more conveniently to those who handle or use the goods, a specific code printed on the goods is recognized and the contents of the goods, such as a kind, a name, a price, etc., are output by voic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speech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and outputting a lot of information.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은 기억 용량으로도 많은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음성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ech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and outputt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even with a small storage capacit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ech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그림 동화책10: Picture Fairy Tale Book

11 : 그림 동화책 내의 그림 12 : 그림 동화책 내의 동심원코드11: Picture in a picture book 12: Concentric code in a picture book

100 : 음성 출력 시스템100: voice output system

110 : 코드 스캐너 120 : 중앙처리 장치110: code scanner 120: central processing unit

130 : 기억 장치 140 : 음성 출력 장치130: memory 140: voice output device

141 : MP3 플레이어 142 : 증폭기 143 : 스피커141: MP3 player 142: Amplifier 143: Speak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성 발생 장치는, 코드들이 인쇄되어 있는 대상물과; 상기 코드들을 읽어들여 분석하고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들로 변환하는 코드 스캐너와; 음성 데이터로서 음운들, 단어들, 또는 음운들과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명령에 의하여 특정의 상기 음성 데이터들을 그대로 또는 조합하여 단어 또는 문장의 형태로 출력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코드 스캐너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들이 자신에게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특정의 상기 음성 데이터들이 상기 단어 또는 문장의 형태로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도록 상기 기억 장치에 명령하는 중앙처리 장치와;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ech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the object is printed codes; A code scanner for reading and analyzing the codes and converting the codes into respective digital data; Phonological words, words, or phonological words and words are stored as voice data, and the memory device outputs a word or sentence in the form of words or sentences combined or combined with specific voice data by a comm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instructing the memory device to output specific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code scanner to the memory device in the form of the word or sentence; And a voice output device for receiving the word or sentence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and outputting the word or sentence as a voice.

이 때, 상기 코드는 바코드, 동심원 코드, 또는 색채 코드로 이루어져도 좋다.At this time, the code may consist of a barcode, a concentric code, or a color code.

나아가,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는 동물 또는 물체를 나타내는 효과음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물 또는 물체에 대한 단어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효과음이 같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sound data stored in the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ffect sound indicating an animal or an object, and when the word for the animal or object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the sound effect may be output together. .

더 나아가,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음성 데이터는 MP3로 압축된 데이터이며, 상기 음성 출력장치는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와, 상기 MP3 플레이어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가청 신호로 변환시키는 증폭기와, 변환된 상기 가청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s data compressed into MP3, and the audio output device includes an MP3 player that receives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storage device, converts the audio data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Preferably, the amplifier comprises an amplifier for receiving the amplifi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P3 player and converting it into an audible signal,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audible signal as voi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ech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음성 발생 장치를 코드 스캐너(110), 중앙처리 장치(120), 기억 장치(130), 및 음성 출력 장치(140)로 이루어진 음성 출력 시스템(100)과 대상물로서 그림(11)과 그림(11)에 해당하는 동심원코드(12)가 인쇄된 그림 동화책(10)으로 분리하여 설명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peech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de scanner 110, a central processing unit 120, a memory device 130, and a voice output device 140. The audio output system 100 and the concentric circle code 12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11 and the picture 11 as the object are separated and described as a printed picture fairy tale book 10.

동심원코드(12)는 동심원(Circle, 검은 색 동심원)과 공백(Space, 흰색 여백)의 배열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부호이다. 동심원코드(12)는 미리 정의된 규칙에 의해 그림 동화책(10)에 인쇄되어진다. 한편, 책에는 동심원코드 뿐 만 아니라 일반적인 바코드 또는 색채 코드가 인쇄되어도 좋다. 이 때, 바코드는 후술되는 코드 스캐너가 바코드를 사선 방향으로 인식하였을 경우에는 바코드가 담고 있는 정보를 정확히 해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동심원코드의 경우에는 코드 스캐너가 동심원 코드를 사선 방향으로 인식하였을 경우에도 항상 동일한 내용을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centric circle code 12 is a code that provides information by using an arrangement of concentric circles (circles, black concentric circles) and spaces (white spaces). The concentric circle code 12 is printed on the picture moving picture book 10 by a predefined rule. On the other hand, the book may be printed not only concentric circles but also general barcodes or color codes. In this case, when the barcode scanner to recognize the barcode in a diagonal direction, the barcode may not accurately interpret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barcod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centric code, even if the code scanner recognizes the concentric code in an oblique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always recognize the same content.

그림 동화책(10)에 인쇄된 동심원코드(12)들은 코드 스캐너(110)를 통하여 본 고안의 음성 출력 시스템(100)으로 입력된다. 코드 스캐너(110)는 그림동화책(10)에 인쇄된 동심원코드(12)에 빛을 비추어서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을 검출, 증폭하고, 증폭된 반사광을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처리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숫자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들로 변환시켜 준다. 이 때, 각각의 동심원코드(12)들은 그 형태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규칙에 의하여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들로 변환된다.The concentric circle codes 12 printed on the picture fairy tale book 10 are input to the voice outpu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de scanner 110. The code scanner 110 detects and amplifies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reflected on the concentric circle code 12 printed on the picture book 10, and the digital processor in the form of letters or numbers that can process the amplified reflected light by the microprocessor. Convert it to data. At this time, each of the concentric circle codes 12 is converted into respective digital data by a predefined rule according to the shape.

코드 스캐너(110)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들은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120)로 입력된다. 중앙처리 장치(120)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들에 대응되는 단어들 또는 문장들이 후술되는 기억 장치(130)로부터 출력되도록 명령하고 제어한다.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code scanner 110 is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20. The CPU 120 commands and controls the words or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input digital data to be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130 described later.

기억 장치(130)는 ROM(Read Only Memory)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처리 장치(120)에 의하여 제어된다. 기억 장치(130)에는 음성 데이터, 즉 음운(音韻, Phoneme)들, 단어들, 또는 음운들과 단어들이 MP3(MPEG Audio Layer-3)로 압축 저장되어 있다. 중앙처리 장치(120)가 디지털 데이터들을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기억 장치(130)에 하달하면, 기억 장치(130)에서는 그 명령에 따라 각각의 음운들 또는 각각의 단어들을 출력한다. 이 때, 음성 데이터들이 음운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의 음운들이 조합되어 단어 또는 문장의 형태로 출력되게 된다. 음성 데이터들이 단어들 또는 음운들과 단어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각각의 단어들이 그대로 출력되거나 또는 조합되어 문장의 형태로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기억 장치(130)에는 동물 또는 물체를 나타내는 효과음이 역시 MP3(MPEG Audio Layer-3)로 압축 저장되어 있으며, 중앙처리 장치(120)가 동물 또는 물체에 대한 단어가 출력되도록 기억 장치(130)에 명령하면 기억 장치(130)에서는 단어와 효과음이 같이출력되게 된다.The memory device 130 is formed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controlled by the CPU 120. In the memory device 130, voice data, that is, phoneme, words, or sounds and words are compressed and stored as MP3 (MPEG Audio Layer-3). Whe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receives the digital data and receives a corresponding command to the storage device 130, the storage device 130 outputs each phoneme or words according to the command. At this time, when the voice data are made up of phonemes, the respective phonemes are combined and output in the form of words or sentences. When the voice data consists of words or phonologies and words, each word is output as it is or combined and output in the form of a sentence. In addition, the sound effect indicating the animal or the object is also compressed and stored in the memory device 130 as MP3 (MPEG Audio Layer-3),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outputs a word for the animal or the object. ), The memory device 130 outputs the words and the sound effects together.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그림 동화책(10)의 사자 그림(11) 옆에 동심원코드(12)가 인쇄되어 있고 그 동심원코드(12)를 코드 스캐너(110)가 읽게 되면 기억 장치(130)에서는 '사'자와 '자'자가 조합되어 '사자'가 출력되거나 또는 '사자'가 그대로 출력되게 되고, 사자 울음소리가 같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그림 동화책(10)의 사자 그림(11)을 시각적으로 느끼면서 '사자' 단어와 사자 울음소리를 후술되는 음성출력 장치(140)를 통하여 청취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concentric circle code 12 is printed next to the lion figure 11 of the picture fairy tale book 10, and the code scanner 110 reads the concentric circle code 12, the memory device 130 is stored. In the 'lion' and the 'character' is a combination of 'lion' is output or 'lion' is output as it is, the lion's cry is output together.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lion figure 11 of the picture fairy tale book 10 is visually felt, the word 'lion' and the lion's cry are heard through the voice output device 14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of the user.

한편, 기억 장치(130)에는 음성 데이터들이 MP3로 압축 저장되며 단어들, 특히 음운들의 형태로 저장되므로 기억 장치(130)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voice data are compressed and stored in MP3 and stored in the form of words, especially phonemes, the memory device 130 may utilize the stored voice data more efficiently even when the capacity of the memory device 130 is small.

기억 장치(130)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들은 MP3 플레이어(141), 증폭기(142), 및 스피커(143)로 이루어진 음성 출력 장치(140)로 입력된다. MP3 플레이어(141)는 기억 장치(130)로부터 출력된 단어, 문장, 또는 효과음을 입력받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증폭기(142)는 MP3 플레이어(141)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가청 신호로 변환시키고, 스피커(143)는 증폭기(142)에서 변환된 가청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게 된다.The voice data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130 is input to the voice output device 140 including the MP3 player 141, the amplifier 142, and the speaker 143. The MP3 player 141 receives a word, a sentence, or an effect sound output from the storage device 130,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voice signal. The amplifier 142 receiv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P3 player 141, amplifies and converts the audio signal into an audible signal, and the speaker 143 outputs the audible signal converted by the amplifier 142 as voic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음성 출력 시스템(100)을 언어를 습득하는 시기에 있는 나이가 어린 사용자들의 기호에 맞는 완구에 삽입함으로써 보다 언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By inserting the voice outpu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to toys suitable for the preferences of young users at the time of language acquisition, the language learning effect can be improved.

그리고 코드가 인쇄된 물품의 포장지를 대상물(10)로하고, 본 고안의 음성 출력 시스템(100)을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 내장 함으로써 본 고안의 음성 발생 장치를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 적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인쇄된 코드를 본 고안의 음성 출력 시스템이 인식하여 물품의 내용 예컨대, 종류, 명칭 또는 가격 등을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물품을 취급하는 사람들이 보다 편리하게 물품을 인식할 수 있다.The speech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by using the wrapping paper of the article having the code printed thereon as the object 10 and embedding the speech outpu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In this case, the voice out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printed code and outputs the contents of the article, for example, type, name or price, by voice, so that people handling the article can recognize the article more conveniently.

또한,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마우스 형태로 외관을 구성하고, 그 마우스 안에 본 고안의 음성 출력 시스템(100)을 내장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appearanc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mouse mainly used by people, and the voice outpu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ilt in the mouse.

한편 본 고안의 음성 출력 시스템(100)을 적용함에 있어서, 완구 또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 일체되어 내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일 예로서, 코드 스캐너(110)는 완구 또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 내장하고, 중앙처리 장치(120), 기억 장치(130), 및 음성 출력 장치(140)는 완구 또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크기가 적은 완구 또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in applying the voice outpu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as integrally embedded in the toy or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s an example, the code scanner 110 is embedded in the toy or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20, the memory device 13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40 are wired with the toy or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Or it may be installed in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wirelessly. In this case, not only can be applied to a small toy or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storing a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음성 발생 장치에 의하면, 코드가 인쇄되어 있는 그림 동화책 등을 시각적으로 느끼면서 그림 동화책 등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을 청취하게 됨으로써 나이가 어린 사용자의 언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본고안의 음성 발생 장치를 나이가 어린 사용자들의 기호에 맞는 완구에 삽입함으로써 보다 언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eech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listen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icture fairy tale book and the like while visually feeling the picture fairy tale book with the code printed there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anguage learning effect of the young user.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speech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oys suitable for the preferences of young users, the language learning effect can be improved.

또한,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 적용함으로써 물품 취급자 및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the product handlers and users by applying to the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나아가, 음성 데이터들이 기억 장치에 MP3로 압축 저장되며 단어들, 특히 음운들의 형태로 저장되므로 기억 장치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도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voice data are compressed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s MP3 and stored in the form of words, especially phonologies, the stored voice data can be more efficiently utilized even when the capacity of the storage device is small.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apparent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코드들이 인쇄되어 있는 대상물과;The object on which the codes are printed; 상기 코드들을 읽어들여 분석하고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들로 변환하는 코드 스캐너와;A code scanner for reading and analyzing the codes and converting the codes into respective digital data; 음성 데이터로서 음운들, 단어들, 또는 음운들과 단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명령에 의하여 특정의 상기 음성 데이터들을 그대로 또는 조합하여 단어 또는 문장의 형태로 출력하는 기억 장치와;Phonological words, words, or phonological words and words are stored as voice data, and the memory device outputs a word or sentence in the form of words or sentences combined or combined with specific voice data by a command; 상기 코드 스캐너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디지털 데이터들이 자신에게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특정의 상기 음성 데이터들이 상기 단어 또는 문장의 형태로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도록 상기 기억 장치에 명령하는 중앙처리 장치와;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instructing the memory device to output specific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code scanner to the memory device in the form of the word or sentence;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음성 발생 장치.And a voice output device for receiving the word or sentence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and outputting the word or sentence as a vo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되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는 동물 또는 물체를 나타내는 효과음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물 또는 물체에 대한 단어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효과음이 같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 장치.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device further includes an effect sound representing an animal or an object, and when the word for the animal or object is output through the voice output device, the sound effect is output together. Voice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스캐너, 중앙처리 장치, 기억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는 완구 또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de scann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are incorporated in a toy or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스캐너는 완구 또는 물품 종류 식별기기에 내장되고, 상기 중앙처리 장치, 기억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완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de scanner is embedded in a toy or article type identification devic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 storage unit, and a voice output unit are installed in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the toy by wire or wirelessly. Voice generat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바코드, 동심원 코드, 또는 색채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de is a bar code, a concentric code, or a color cod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는 RO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 장치.The audio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torage device is made of a ROM.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음성 데이터는 MP3로 압축된 데이터이며,5. The audio dat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is data compressed by MP3, 상기 음성 출력장치는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P3 플레이어와, 상기 MP3 플레이어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가청 신호로 변환시키는 증폭기와, 변환된 상기 가청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 장치.The voice output device may include an MP3 player that receives the voice data output from the memory device,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converted audible signal as voice.
KR2020010003686U 2001-02-14 2001-02-14 Audio generator KR20022998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686U KR200229985Y1 (en) 2001-02-14 2001-02-14 Audio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686U KR200229985Y1 (en) 2001-02-14 2001-02-14 Audio gen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306A Division KR20020066867A (en) 2001-02-14 2001-02-14 Audio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985Y1 true KR200229985Y1 (en) 2001-07-19

Family

ID=7309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686U KR200229985Y1 (en) 2001-02-14 2001-02-14 Audio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98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90A (en)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씨엠테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Digital Voice Recor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90A (en)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씨엠테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Digital Voice Recor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453A (en) Adaptive biofeedback speech tutor toy
US5429513A (en) Interactive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raphemes, grapheme names, phonemes, and phonetics
Bloomer et al. Introducing language in use: A course book
US6227863B1 (en) Phonics training computer system for teaching spelling and reading
JP3694525B2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KR101378362B1 (en) Robot controlled by optical identification
TWI574254B (en) Speech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system
JP2008139826A (en) Interactive learning tool
Fleta The sounds of picturebooks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US20040199391A1 (en) Portable voice/letter processing apparatus
KR200229985Y1 (en) Audio generator
John Selective attention
KR20020066867A (en) Audio generator
KR102126609B1 (en) Entertaining device for Reading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Stanton Mimicry, subjectivity, and the embodied voice in Anglo-Saxon bird riddles
KR100877343B1 (en) Interactive robot for exercising foreign language and mehtod of exercising foreign language thereby
Wells et al. Children's intonation: a framework for practice and research
KR20160056545A (en) Playing device of orally narrated children's story
Snow Falling intonation in the one-and two-syllable utterance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KR200279383Y1 (en) Language school system using barcode
CN109036402A (en) Digital speech VOD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and the device for using the system
WO2012056459A1 (en) An apparatus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KR100671466B1 (en) Voice device for presswork information cognition using UV coating of RGB code
JP7473781B2 (en) SOUND ELEMENT INPUT MEDIUM, READING AND CONVERSION DEVICE, MUSICAL INSTRUMENT SYSTEM, AND MUSIC SOUND GENERATION METHOD
KR200417889Y1 (en) Voice device for presswork information cognition using UV coating of RGB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