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7457Y1 - 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 Google Patents

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7457Y1
KR200227457Y1 KR2020010001978U KR20010001978U KR200227457Y1 KR 200227457 Y1 KR200227457 Y1 KR 200227457Y1 KR 2020010001978 U KR2020010001978 U KR 2020010001978U KR 20010001978 U KR20010001978 U KR 20010001978U KR 200227457 Y1 KR200227457 Y1 KR 200227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mmunication path
filtration
cover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9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헌
Original Assignee
김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헌 filed Critical 김진헌
Priority to KR2020010001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45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457Y1/en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수조(10)와 연통로(15)로 연결되는 여과조(20) 상에 판형의 스크린(30)을 장착하고 연속적으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30)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장착되고,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40a)을 구비하는 세척관(40); 및 상기 연통로(15)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크린(30)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유량조절수단(5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late-shaped screen 30 on the filtration tank 20 connected to the reservoir 10 and the communication path 15, and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ltration function: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30 A washing tube (40)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40a)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evenly; And a flow rate control means 50 which is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path 1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varies a flow pass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flowing to the screen 30.

이에 따라 각종 산업설비의 유체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량의 사용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르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축적된 이물질을 수시로 배출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frequently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creen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 large amount of use fluid using the fluid treatment system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Description

여과 스크린의 세척 기구{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본 고안은 여과 스크린의 세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설비의 유체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량의 사용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르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축적된 이물질을 수시로 배출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여과 스크린의 세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mechanism of a filtration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fluid treatment system of various industrial equipments,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frequently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creen in the process of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 large amount of used fluid It relates to a cleaning mechanism of the filtration screen to improve the.

일반적으로, 여과장치는 고분자공업, 화학공업, 제약식품공업, 발전소 등 산업의 전반 또는 호텔, 식당, 아파트 등 주거시설에서 유체와 관련되는 각종 설비에 적용되고 있는 바, 제품의 생산이나 각종 설비의 운영에 필요로 되는 사용유체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제품의 순도를 높이는 동시에 설비의 성능저하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In general, the filtration apparatus is applied to various equipments related to fluids in the industrial sector such as polymer industry, chemical industry, pharmaceutical food industry, power plant, or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hotels, restaurants, apartments, etc. It remove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orking fluid required for operation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performance of the facility and extend its life.

여과장치가 갖추어야 하는 중요 기능으로는 높은 이물질 포집능력, 인장·압축·전단에 따른 기계적 강도를 비롯하여 내열, 내식, 내마모, 내화학성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중에 낮은 여과저항이 유지되어야 압력손실이 줄고 설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Important functions of the filtration system include high foreign matter trapping ability, mechanical strength according to tension, compression, and shear, as well as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In addition, low filtration resistance must be maintained during use to reduce pressure los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lant system.

그런데 처리해야 하는 사용유체의 종류와 양에 따라서 여과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크린의 막힘이 발생하면 처리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것은 물론 여과저항이 증가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도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if clogging of the screen to perform the function of filtration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fluid to be treated, not only can not maintain the treatment performance, but also increases the filtration resistance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산업설비의 유체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량의 사용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르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축적된 이물질을 수시로 배출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여과 스크린의 세척 기구를 제공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by using a fluid treatment system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creen from the process of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 large amount of working fluid from time to tim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t provides a cleaning mechanism of the filtration screen to improv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정면에서 요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main portion in the front of th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우측면에서 외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ternal arrangement state on the right side of FIG. 1;

도 3은 도 1의 우측면에서 내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inside of the right side of FIG. 1;

도 4는 도 1의 유량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partially showing an enlarged flow control means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저수조 20 : 여과조10: reservoir 20: filtration tank

30 : 스크린 40 : 세척관30: screen 40: cleaning tube

42 : 분기관 44 : 호스42: branch pipe 44: hose

46 : 링크 48 : 에어실린더46: link 48: air cylinder

50 : 유량조절수단 51 : 커버50: flow control means 51: cover

52 : 서포트 54 : 평판52: support 54: reputation

56 : 조절나사 58 : 홀더56: adjusting screw 58: hold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저수조(10)와 연통로(15)로 연결되는 여과조(20) 상에 판형의 스크린(30)을 장착하고 연속적으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30)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장착되고,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40a)을 구비하는 세척관(40); 및 상기 연통로(15)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크린(30)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유량조절수단(50)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mounting a plate-shaped screen 30 on a filtration tank 20 connected to a reservoir 10 and a communication path 15 and continuously performing a filtration function: the screen A washing tube (40) mounted at a constant interval on an upper side of the (30)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40a)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evenly; And a flow rate control means 50 which is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path 1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varies a flow pass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flowing to the screen 30.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세척관(40)의 일단에는 링크(4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에어실린더(48)를 더 구비하여 노즐(40a)의 상하회동으로 스크린(30) 상의 분사범위를 확대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leaning tube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cylinder 48 connected via a link 46 to extend the spraying range on the screen 30 by vertically rotating the nozzle 40a. Zoom in.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유량조절수단(50)은 연통로(15)의 상부에 장착되고 암나사부(15a)를 지니는 커버(51), 상기 커버(51)의 하측으로 연통로(15)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서포트(52), 상기 서포트(52)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평판(54), 상기 평판(54)에 고정되는 홀더(58), 하단이 상기 홀더(58)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커버(51)의 암나사부(15a)와 맞물리도록 장착되는 조절나사(56)를 구비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5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15 and has a cover 51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15a, the communication passage 15 below the cover 51. The support 52 is installed on the support at regular intervals, the flat plate 54 is mounted on the support 52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holder 58 is fixed to the flat plate 54, the lower end is the holder 58 And an adjustment screw 56 which is rotatably accommodated and mounted to engage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15a of the cover 51.

본 고안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정면에서 요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에서 외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recesses in the front of th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ternal arrangement of the right side of FIG.

저수조(10)와 연통로(15)로 연결되는 여과조(20) 상에 판형의 스크린(30)을 장착하고 연속적으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저수조(10)는 오염수를 유입하기 위한 부호 11의 인렛(inlet)을 구비한다. 여과조(20)는 스크린(30)을 거친 청수를 배출하기 위한 부호 21의 아웃렛(outlet)과, 스크린(30)을 거치지 않은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부호 31의 아웃렛을 구비한다. 여과조(20)의 오염수는 상부의 연통로(15)로 오버플로우되어 스크린(30)에 도달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unting a plate-shaped screen 30 on a filtration tank 20 connected to a reservoir 10 and a communication path 15 and continuously performing a filtration function. The reservoir 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1 at which the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The filtration tank 20 has an outlet of 21 for discharging fresh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creen 30 and an outlet of 31 for discharging contaminants not passed through the screen 30.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filtration tank 20 overflows the upper communication path 15 to reach the screen 30.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40a)을 구비하는 세척관(40)이 상기 스크린(30)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장착된다. 통상 스크린(30)은 곡면으로 성형되고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세척관(40)도 이와 동일한 경사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복수의 노즐(40a)은 모두 스크린(30)을 향하며 각각의 분사영역이 약간씩 중첩되도록 한다. 각각의 세척관(40)의 내경은 그에 설치되는 노즐(40a)들의 유로 단면적의 합계보다 충분히 커야 분사력과 분사유량이 유지된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tube 40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40a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evenly is mounted at a constant interval to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30. Typically, the screen 30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and inclined, and the cleaning pipe 40 is also disposed on the same inclined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he plurality of nozzles 40a all face the screen 30 and allow the respective injection zones to overlap slightly. The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cleaning pipes 40 must be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s of the nozzles 40a installed therein to maintain the injection force and the injection flow rate.

이러한 세척관(40)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되며, 개방된 단부에 세척수 또는 청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후술하는 도 3에서 세척관(40)에 대한 배관의 일예를 알 수 있다.The washing tube 40 is open at one end and closed at the other end, so that washing water or fresh water is supplied to the open end. In FIG. 3 to be described later, an example of a pipe to the cleaning pipe 40 can be seen.

도 3은 도 1의 우측면에서 내부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ternal arrangement state on the right side of FIG. 1.

세척수 또는 청수가 공급되는 분기관(42)은 호스(44)를 개재하여 세척관(40)의 일단과 연결된다. 분기관(42)은 배관을 간략화하여 시공비를 절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절한 수의 분기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분기관(42)은 외측으로 세척수 탱크나 부호 21의 청수 아웃렛과 연결시키며,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nch pipe 42 to which the washing water or the fresh water is supplie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ashing pipe 40 through the hose 44. The branch pipe 42 can select an appropriate number of branch structures as a means for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y simplifying the pipe. The branch pipe 42 is connected to the wash water tank or the fresh water outlet 21 at the outside, and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이때 상기 세척관(40)의 일단에는 링크(4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에어실린더(48)를 더 구비하여 노즐(40a)의 상하회동으로 스크린(30) 상의 분사범위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세척관(40)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링크(46)는 각각의 세척관(40)과 외부에서 연결된다. 에어실린더(48)는 외부의 신호나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공기가 흡배출되어 링크(46) 및 세척관(40)을 회동시킨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cleaning tube 40 further includes an air cylinder 48 connected via a link 46 to expand the spraying range on the screen 30 by vertically rotating the nozzle 40a. To this end, the washing tube 40 should be rotatably installed, and the link 46 is connected to each washing tube 40 from the outside. The air cylinder 48 sucks and discharges air by an external signal or a manual operation of an operator to rotate the link 46 and the washing tube 40.

이에 따라 세척관(40)이 연동되면서 노즐(40a)의 분사각이 상하로 변경되어 스크린(30) 상의 넓은 범위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관(40)을 회동시키는 구성을 택하면 반드시 실링수단을 부가하여 누수를 방지한다.Accordingly, as the cleaning pipe 40 is interlocked, the spray angle of the nozzle 40a is changed up and down to wash a wide range on the screen 30. If you choose to rotate the cleaning pipe 40, the sealing means must be added to prevent leakage.

한편 상기의 에어실린더(48) 대신 솔레노이드, 모터 등의 전기적 구동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air cylinder 48,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lectric drive means such as a solenoid, a motor.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통로(15)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크린(30)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유량조절수단(50)을 구비한다. 유량조절수단(50)은 상부로 노출된 조절나사(56)를 이용하여 유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구조로서 오염수가 연통로(15)를 통과할 때 스크린(30)으로 균일하게 낙하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ow rate adjusting means 50 is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path 15 so as to move up and down to var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of the fluid flowing to the screen (30). Flow control means 50 is a structure that chang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using the adjustment screw 56 exposed to the top to allow the contaminated water to fall uniformly to the screen 30 when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15).

도 4는 도 1의 유량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partially showing an enlarged flow control means of FIG.

상기 유량조절수단(50)은 연통로(15)와 커버(51)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서포트(52), 평판(54), 홀더(58), 조절나사(56) 등으로 구성된다. 커버(51)는 연통로(15)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암나사부(15a)가 형성된다. 서포트(52)는 상기 커버(51)의 하측으로 연통로(15)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평판(54)은 상기 서포트(52)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서포트(52)를 H형 단면으로 성형하면 평판(54)이 견실하게 지지되면서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평판(54)에 고정되는 홀더(58)는 ┏ ┓형의 단면으로 성형된다. 조절나사(56)는 상기 커버(51)의 암나사부(15a)와 맞물리도록 장착되고 커버(51)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손잡이를 지닌다. 조절나사(56)의 하단은 ┻ 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홀더(58)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은 조절나사(56)와 홀더(58)의 결합 구조를 택하면 조절나사(56)의 회전이 평판(54)에 의해 구속되지 않는다.The flow control means 50 is composed of a support 52, a flat plate 54, a holder 58, an adjustment screw 56, etc., which are mounted using the communication path 15 and the cover 51. The cover 5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ath 15,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15a is formed. The support 52 is provided on the communication path 15 below the cover 51 at regular intervals. The flat plate 54 is mounted on the support 52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hen the support 52 is molded into the H-shaped cross section, the flat plate 54 is firmly supported, and the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The holder 58 fixed to the flat plate 54 is shaped into a V-shaped cross section. The adjustment screw 56 is mounted to engage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15a of the cover 51 and has a handle at a portion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51. 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screw 56 is shaped into a U-shape and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holder 58. When the combination of the adjusting screw 56 and the holder 58 is selected,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screw 56 is not constrained by the flat plate 54.

이에 따라 조절나사(56)를 돌리면 커버(51)의 암나사부(15a)와 나선운동이 수행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하단에 연결된 평판(54)이 승하강된다. 필요에 따라 커버(51)를 들어내면 평판(54)과 조절나사(56)가 동시에 분리된다.Accordingly, when the adjusting screw 56 is turned, the flat screw 54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51 is lifted and lowered while being spirally moved with the female screw part 15a of the cover 51. Lifting the cover 51 as necessary separates the flat plate 54 and the adjustment screw 56 at the same time.

저수조(10)에서 여과조(20)로 공급되는 오염수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연통로(15)의 오버플로우 상태가 불균일해지고 스크린(30) 상에서 편중되어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유량조절수단(50)을 사용하는 경우 유로 단면적을 적절히 변경시키면 편중된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contaminated water supplied to the filtration tank 20 from the reservoir 10, the overflow state of the communication path 15 is uneven and the phenomenon of flowing down the screen 30 is biased.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flow rate control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unbiased by properly changing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한편 상기 유량조절수단(50) 보다 간편한 구성으로서 조절나사(56)를 사용하지 않고 평판(54)만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평판(54)과 서포트(52)가 접촉하는 부분에 상하로 장공을 형성하고 볼트로 조이면 되는데, 작업자가 볼트를 풀고 평판(54)의 높이를 조절한 후 다시 볼트를 잠그는 다단계 동작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the flat plate 54 without using the adjusting screw 56 as a simpler configuration than the flow control means 50.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form a long hole up and down i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t plate 54 and the support 52 and tighten it with a bolt, and the operator needs to unscrew the bolt, adjust the height of the flat plate 54, and then lock the bolt again. Do.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각종 산업설비의 유체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량의 사용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거르는 과정에서 스크린에 축적된 이물질을 수시로 배출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frequently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creen in the process of filter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a large amount of the working fluid using the fluid treatment system of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modific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저수조(10)와 연통로(15)로 연결되는 여과조(20) 상에 판형의 스크린(30)을 장착하고 연속적으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mounting the plate-shaped screen 30 on the filtration tank 20 connected to the reservoir 10 and the communication path 15 and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iltration function: 상기 스크린(30)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장착되고,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40a)을 구비하는 세척관(40); 및A washing tube (40) mounted at an interval above the screen (30)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40a)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evenly; And 상기 연통로(15)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크린(30)으로 유동되는 유체의 유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유량조절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스크린의 세척 기구.And a flow rate adjusting means (50) which is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path (1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varies a flow pass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flowing to the screen (3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척관(40)의 일단에는 링크(46)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에어실린더(48)를 더 구비하여 노즐(40a)의 상하회동으로 스크린(30) 상의 분사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스크린의 세척 기구.One end of the cleaning tube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cylinder 48 connected via a link 46, the filt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extend the spray range on the screen 30 by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nozzle (40a) Screen cleaning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량조절수단(50)은 연통로(15)의 상부에 장착되고 암나사부(15a)를 지니는 커버(51), 상기 커버(51)의 하측으로 연통로(15)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서포트(52), 상기 서포트(52)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평판(54), 상기 평판(54)에 고정되는 홀더(58), 하단이 상기 홀더(58)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커버(51)의 암나사부(15a)와 맞물리도록 장착되는 조절나사(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스크린의 세척 기구.The flow control means 5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path 15 and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15a, the cover 51, which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ommunication path 15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51 A support 52, a flat plate 54 mounted vertically on the support 52, a holder 58 fixed to the flat plate 54, and a lower end thereof are rotatably received in the holder 58, and And a control screw (56) mounted to engage the female screw portion (15a) of the cover (51).
KR2020010001978U 2001-01-29 2001-01-29 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KR20022745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978U KR200227457Y1 (en) 2001-01-29 2001-01-29 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978U KR200227457Y1 (en) 2001-01-29 2001-01-29 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457Y1 true KR200227457Y1 (en) 2001-06-15

Family

ID=7306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978U KR200227457Y1 (en) 2001-01-29 2001-01-29 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45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47A (en) * 2017-10-24 2019-05-03 현대위아 주식회사 Coolant tank filter clogg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47A (en) * 2017-10-24 2019-05-03 현대위아 주식회사 Coolant tank filter clogging device
KR102035547B1 (en) 2017-10-24 2019-10-23 현대위아 주식회사 Coolant tank filter clogg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44677B (en) Automatic backwashing filter and working method
JPH0679111A (en) Self-cleaning, basket fixed type filter
KR102076940B1 (en)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50895B1 (en) Surface cleaner for filtration
KR20060028396A (en) Stationary cloth media filtration
CN105650754A (en) Anti-blockage air purification device
KR200227457Y1 (en) Flushing Device for Filtering Screen
KR20030031038A (en) Water­selective water supplier of toilet
CN114377463A (en) High efficiency sewage residue processing apparatus
CN210559684U (en) Ion air-flotation three-in-one purifier
KR102041612B1 (en) Water treatment system capable of filter washing
CN111663608B (en) Automatic purifying device for towerless water supply
KR102176596B1 (en) Continuous operation type dual collecting system capable of self cleaning for by-product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KR101417299B1 (en) Strainer
KR19990014551A (en) Auto filtration device
CN220125895U (en) Desulfurizing tower
CN114716039B (en) Materialized treatment wastewater recycling device
CN114618216B (en) Municipal sewage reutilization processing apparatus
CN219209188U (en) Water purification filter element and water purification device thereof
CN215916977U (en) VOCs-containing waste gas biological treatment integrated equipment produced in furfural production process
CN213202599U (en) Primary waste water filtering device
CN217391670U (en) Sewage treatment device
KR101169954B1 (en) automatic preprocessor filter
CN218810577U (en) Fine filter for oilfield water injection
CN2438497Y (en) Two-filtering fin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