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339Y1 -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339Y1
KR200218339Y1 KR2020000030406U KR20000030406U KR200218339Y1 KR 200218339 Y1 KR200218339 Y1 KR 200218339Y1 KR 2020000030406 U KR2020000030406 U KR 2020000030406U KR 20000030406 U KR20000030406 U KR 20000030406U KR 200218339 Y1 KR200218339 Y1 KR 200218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mobile terminal
wireless data
reception modul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4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0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33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339Y1/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 단말기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결합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겸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주변기기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이동 단말기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ombined mobile terminal in whic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s coupled to a mobile terminal that enable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relessly. It is possible to mount and detach the modul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nd comprises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with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본 고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유선이 아닌 무선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간편하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n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in the form of wireless rather than wired, and thus can easily transmit and receive data.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송수신 겸용 이동 단말기 {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Mobile device for du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 단말기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결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겸용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bined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combining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with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특히 자취, 하숙 및 혼자서 살아가는 독신 가정과, 맞벌이 가정 등 핵가족화 추세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더욱 증가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use of mobile terminals has become more common,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mobile terminals has increased due to the trend of nuclear family, such as single family living alone, lodging and living alone, and single-family homes.

또한 독신, 맞벌이 가정 등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를 함께 사용하였으나 가정에 머무는 시간이 적고 주로 일하는 장소가 가정이 아닌 관계로 유선 전화의 사용에서 이동 단말기의 사용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In addition, single and dual-family homes used wired telephones as well as mobile terminals us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but the trend is changing from the use of wired telephones to the use of mobile terminals due to the small amount of time spent in the home and the place of work. to be.

더불어 유선 전화의 경우 가입비용이 많이 들며 사용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기본료가 청구되는 등 비용 측면으로 이동 단말기로의 전환이 증대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landline telephones, the cost of subscription is increased and the use of mobile phones is increasing in terms of cost, even though the usage is low.

또한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이동 단말기가 주목적이 음성 전달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으로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the mobile terminal is now widely used for data communication as well as voice transmission.

즉,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That is,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mobile terminal.

또한 이동 단말기에 직렬 케이블을 연결하여 일반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data by connecting a serial cable to a mobile computer.

그러나 일반적으로 임의의 주변 장치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직렬 케이블과 같은 유선망을 이용하는 형태로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상호 연결을 위한 유선 케이블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general, a wired network such as a serial cable is used to transmit data with an arbitrary peripheral device, and a wired cable for interconnection is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결합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겸용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rovide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bile terminal combin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in the mobile terminal.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주변기기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이동 단말기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and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nd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It consists of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무선 데이터 송수신 칩이 내장된 임의의 주변 장치로 송수신 되도록 상호 연결하는 단자가 각각 구성된다.Preferably, the mobile terminal or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nterconnects data signals inputted and outputt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such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 received to / from any peripheral device in whic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hip is embedd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Each terminal is configur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하기 위한 RS-232C 규격에 따른 연결핀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function of a connection pin according to the RS-232C standard for connecting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of FIG. 1 to a mobile terminal.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와 다른 주변기기와의 응용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peripheral device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이동 단말기 101 : 키패드 장치100: mobile terminal 101: keypad device

102 : 이동 단말기 모뎀 칩 103 : 인터페이스 회로부102: mobile terminal modem chip 103: interface circuit

104 : 이동 단말기 커넥터 200 :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104: mobile terminal connector 200: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201 :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 커넥터201: wireless data transmission module connecto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겸용 이동 단말기는 음성 통화가 가능하며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 장착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주변기기나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과,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을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어하는 키패드 장치(101)로 구성된다.The mobile terminal for both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FIG. 1 is capable of a voice call and is equipped with a mobile terminal 100 capable of mounting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relessly, and a peripheral device or a mobile device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relessl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embedded in a terminal and a keypad device 101 for controll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in the mobile terminal 100.

여기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적외선(IrDA) 모듈로도 구현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Bluetooth module or an IRDA module.

도 2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MSM3000 이상의 상위 버전(예를 들면 MSM3100)의 칩을 채용하고, 상기 채용칩(102)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 내의 인터페이스 회로부(103)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employs a chip of a higher version (eg, MSM3100) of MSM3000 or higher, and the hiring chip 102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circuit 103 in the mobile terminal 100. do.

상기 MSM3000 칩은 퀼컴의 5세대 칩으로 기존의 칩보다 전력 소모가 적고 크기가 작아 이동 단말기의 소형화를 이끌어 내고 고속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현재의 유선 전화보다 빠른 86.4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성능을 갖고 있다.The MSM3000 chip is Quillcom's fifth generation chip, which consumes less power and is smaller in size than conventional chips, leading to the miniaturiz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transmitting data at a speed of 86.4 Kbps faster than current wired phones through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Have

또한 상기 MSM3000 칩은 이동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2백 시간으로 확장시켰으며 다양한 언어의 음성 인식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SM3000 chip has extended the standby time of the mobile terminal to 200 hours and ha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of various languages.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103)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커넥터(104)와 연결이 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부(103)는 일반 저역 통과 필터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The interface circuit unit 1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04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circuit unit 103 is composed of a general low pass filter circuit.

상기 커넥터(104)의 각 연결핀의 기능은 도 3에 나타내었다.The function of each connecting pin of the connector 104 is shown in FIG.

도 3에서 TxD는 데이터의 송신 기능을 수행하며 RxD는 데이터의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In FIG. 3, TxD performs a data transmission function and RxD performs a data reception function.

DTE는 무선 통신의 터미널 기능을 수행하며 DCE는 상기 DTE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DTE performs a terminal fun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CE performs a function similar to the DTE.

RI는 RS-232C에서 유입 호출을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CTS는 RS-232C의 송신 가능임을 알려주며 RTS는 상기 RS-232C의 송신 요구를 수행하며 GND는 접지 기능을 수행한다.The RI performs the function of indicating the incoming call in the RS-232C, the CTS informs that the RS-232C can be transmitted, the RTS performs th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RS-232C, and the GND performs the ground func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커넥터(104)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칩을 내장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의 커넥터(201)와 연결된다.The connector 104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1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having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hip.

도 1의 시스템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system configuration of FIG. 1 is as follows.

상기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을 연결한다.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to perform wireless data communication.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 중 하나로써 블루투스가 있다.One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s is Bluetooth.

상기 블루투스는 1994년 에릭슨 이동통신 그룹의 이동 단말기와 주변 장치들간에 소비 전력이 적고 가격이 싼 무선 인터페이스를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생겨났다.The Bluetooth was born in 1994 when researching a low power consumption and low cost wireless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peripheral devices of the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group.

즉 상기 블루투스는 무선 면허가 필요 없는 2.4GHz대를 사용하며 1Mbps의 전송 속도를 10m내의 무선 접속 환경에서 1Mbps의 전송 속도를 수행하며 로열티가 없는 오픈 라이센스로 적외선 무선 통신과 같은 기존의 규격과도 호환을 이루며 대기 상태에서는 0.3mA, 데이터 교환시에는 최대 30mA의 적은 수치의 소비 전력을 갖는다.In other words, the Bluetooth uses a 2.4GHz band that does not require a wireless license, performs a 1Mbps transmission speed in a 10m wireless connection environment, and is compatible with existing standards such as infrar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royalty-free open license. It has a low power consumption of 0.3mA in standby state and up to 30mA in data exchange.

또한 상기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에서 1MHz의 채널을 79개 설정하여 1초간에 1600회 채널을 바꾸는 주파수 호핑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 기술을 통해 전파를 송수신 하게 되며 초당 1600회의 매우 빠른 주파수 호핑 방식을 통해 잡음이 많은 무선 주파수에서도 성능이 고르게 유지된다.In addition, the Bluetooth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waves through a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technology that sets 79 channels of 1 MHz in the 2.4 GHz band and changes the channel 1600 times per second. Performance remains even over many radio frequencies.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간의 연결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 하단의 데이터 통신 단자(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데이터 통신 단자의 접속을 통해 연결한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of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상기 연결이 수행되면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때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간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RS-232C(Recommended Standard - 232 Revision C) 규격에 적용을 받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When the connection is performe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t this tim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is subjected to RS-232C (Recommended Standard-232 Revision C) standard as shown in FIG. do.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이 서로 커넥터에 의해서 연결이 이루어지고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 커넥터의 핀 역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at is, as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o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the pin role of each connector.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제어 역할은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키패드 장치(101)가 담당한다.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a control role of the keypad device 101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s assumed.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표시창에 전송할 데이터를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키패드 장치(101)의 제어를 통해 전송을 준비한다.In order to transmit data wirelessly, data to be transmitted is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data is prepared for transmission under the control of the keypad device 101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연결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로 도 3의 RS-232C 규격에 따른 연결핀의 동작을 통해 전송이 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무선으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이 설치된 다른 주변 장치로 전송된다.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conn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operation of a connection pin according to the RS-232C standard of FIG. 3 and the transmitted data is wirelessly install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s sent to other peripherals.

반대 상황으로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함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주변 장치에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에서 수신을 한 후 도 3의 RS-232C 규격에 따른 연결핀의 동작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표시창에 나타나며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키패드 장치(101)의 동작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마친다.In the opposite situation, when receiving data wirelessly,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a peripheral device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o the mobile terminal 100 equipped wit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the transmit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 After receiving from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200 connected to 100) appears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pin according to the RS-232C standard of Figure 3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data reception is finish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eypad device 101.

도 4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와 다른 주변기기와의 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to another peripheral device.

사용자 컴퓨터나 주변 장치에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이 장착되어 있다면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200)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is installed in a user computer or a peripheral device, data may be transmitted / received wirelessly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equipped wit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200.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무선 데이터 송수신 겸용 이동 단말기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필요에 따라 착탈 형태로 장착함으로써 유선이 아닌 무선의 형태로 컴퓨터나 주변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간편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combined wit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n a detachable form as needed to transmit data to a computer or a peripheral device in a wireless form rather than a wired form, and thus easily exchange data. It works.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xample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claims.

Claims (4)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과;A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주변기기와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A mobile terminal capable of mounting and detaching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including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with a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장착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각각 커넥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re provided with connectors so as to be mounted and detach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s a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wireless data in an infrared or Bluetooth man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무선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RS-232C 규격에 따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RS-232C standard.
KR2020000030406U 2000-10-31 2000-10-31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KR2002183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06U KR200218339Y1 (en) 2000-10-31 2000-10-31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06U KR200218339Y1 (en) 2000-10-31 2000-10-31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339Y1 true KR200218339Y1 (en) 2001-03-15

Family

ID=7306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406U KR200218339Y1 (en) 2000-10-31 2000-10-31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33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1837B2 (en) Assembly of a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7584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free function in mobile phone using zigbee
US6529743B1 (en) Universal wireless telephone to modem adapter
EP1679913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radio communication module
KR100422250B1 (en) Portable Computer
KR100771256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radio communication module
CN101860495A (en) Gateway for integrating mobile communication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CN108092990B (en) Data aggregation transmission equipment for mobile terminal
KR20030035596A (en) Card apparatus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N100452667C (en)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ircui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218339Y1 (en) Apparatus for mobile phone to radio data transmission
US7668231B2 (en) Modular data device
US20050096083A1 (en) Dual communication mode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device
KR100663566B1 (en) Connecting cable for debugging wireless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KR100360309B1 (en) Cellular phone having a separation type transmitter/receiver module
CN220173242U (en) 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of ammeter
CN101383674B (en) Method for realiz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 receiving, receiving card and mobile device
KR19990048033A (en) Laptop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40107071A (en) Digital camera having bluetooth therein
KR200298305Y1 (en) A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er
KR200357180Y1 (en) AIM(Advanced Interface Module)
CN1351457A (en) Mobile telephone system with blue tooth function
CN101998690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2450825Y (e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Szalontai et al. USING SOFTWARE DEFINED RADIO AND COGNITIVE RADIO TECHNOLOGIES IN SMART HOME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