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820Y1 - 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 Google Patents

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820Y1
KR200216820Y1 KR2020000025475U KR20000025475U KR200216820Y1 KR 200216820 Y1 KR200216820 Y1 KR 200216820Y1 KR 2020000025475 U KR2020000025475 U KR 2020000025475U KR 20000025475 U KR20000025475 U KR 20000025475U KR 200216820 Y1 KR200216820 Y1 KR 200216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unit
sound
music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4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2020000025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82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820Y1/en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깅이나 댄스 중에 발생하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적인 제약이 없이 운동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generated during jogging or dancing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sound, thereby generating a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to inspire exercise motivation without place restrictions.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고안은 조깅이나 댄스 중에 발생하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적인 제약이 없이 운동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generated during jogging or dancing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sound, thereby generating sound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to inspire exercise motivation without place restrictions. It is about.

본 고안의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는 인체의 적소에 부착되어 인체의 동작에 의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유니트; 상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 발생부 및 상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음향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place of the human body generator unit for generating AC power by the operation of the human body; It includes a DC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AC power to DC power and a sound generator for operating by receiving the DC power.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직류 발생부 및 상기 음향 발생부는 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된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발전기 유니트는 상기 본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C generator and the sound generator are built in the main body to be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d the generator un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Description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본 고안은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깅이나 댄스 중에 발생하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and in particular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generated during jogging or dancing 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a sound to stimulate the motivation to exercise It relates to a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근래 들어, 식생활이 개선되고 국민 소득이 향상되는데다 산업화와 자가용의 보편화 등으로 인하여 운동량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어 국민 중에 비만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더욱이, 여성의 경우에는 옷맵시 등을 위하여 날씬한 체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망이 보편화되고 있고, 이를 반영하듯이 약물 요법, 식이 요법 및 운동 요법 등의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이 방송 및 신문지상을 통하여 활발하게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다이어트 요법 중에서는 운동 요법이 가장 실효성이 있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공간적인 제약, 심리적인 지루함 및 체력적인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운동을 지속적으로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어렵게 결심한 다이어트에 종종 실패를 보게 된다.In recent years, the amount of obesity among the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ncome, and the rapid decrease in the amount of exercise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generalization of private use. Moreover, in women, the desire to maintain a slim body for dressing, etc. is becoming popular, and various diet methods such as drug therapy, diet and exercise therapy are actively introduced through broadcasting and newspapers as reflected in this. It is. Among these diet therapies, exercise therapy is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and has the least side effects. Due to time / spatial constraints, psychological boredom and physical difficulties,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exercise, thus making it difficult to decide on a diet. Often sees failure.

한편, 이러한 어려움을 감안하여 운동 의욕을 고취시키고 운동을 보다 즐겁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는 바, 예를 들어 노래를 부르는 동안의 칼로리 소모량을 산출하여 모니터에 표시해 주는 노래방 기기나 DDR(Dance Dance Revolution)로 알려져서 현재까지도 맹위를 떨치고 있는 스텝 유도 장치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ese difficulties,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stimulate exercise motivation and make exercise more enjoyable. For example, karaoke devices or DDRs that calculate calories burned during singing and display them on the monitor. It is known as Dance Revolution, and the step induction device, which is still raging even today, is representative.

그러나, 전술한 노래방 기기는 고가이기 때문에 업소용으로 일부 보급되어 있을 뿐이고, 스텝 유도 장치의 경우에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없거나 컴퓨터에 문외한인 경우에는 접근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karaoke apparatu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ess when there is no computer or outside of the computer because the karaoke apparatus is expensive and is only partially distributed for commercial use.

또한, 이들 장치는 모두 상용 교류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장소적인 제약을 많이 받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se devices are all connected to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they are subject to a lot of locational restrictions.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깅이나 댄스 중에 발생하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적인 제약이 없이 운동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generated during jogging or dancing to the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the sound to inspire the motivation to exercise without place restricti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는 인체의 적소에 부착되어 인체의 동작에 의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유니트; 상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 발생부 및 상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음향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ttached to a place of the human body generator unit for generating AC power by the operation of the human body; It includes a DC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AC power to DC power and a sound generator for operating by receiving the DC power.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직류 발생부 및 상기 음향 발생부는 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된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발전기 유니트는 상기 본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C generator and the sound generator are built in the main body to be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d the generator un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음향은 악곡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 상기 음향 발생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곡을 선택하는 악곡 저장부, 상기 악곡 저장부에 저장된 악곡을 선택하는 악곡 선택부, 선택된 악곡을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악곡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악곡을 파악하여 상기 악곡 저장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악곡을 읽어 들인 후에 상기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조 기능부 및 독립 전원으로 구현되어 상기 보조 기능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본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직류 발생부의 전력과 상기 기본 전원부의 전력의 합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und is preferably a music, in this case, the sound generating unit, a music storage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r more music is built in the main body, a music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music stored in the music storage, An auxiliary power unit and an independent power source including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elected music as a sound and a control unit which grasps the selected music through the music selection unit and reads the selected music from the music storage unit and outputs the selected music to the sound output unit. It may be implemented and further comprises a basic power supply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auxiliary function, the sound output unit is preferably driven to be driven by the sum of the power of the DC generator and the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또한, 상기 본체의 적소에 상기 직류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운동량 표시기를 더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omentum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momentum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in the DC generator in place of the main bod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kinetic energy of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전력 계통도,4 is a power system diagram of a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kinetic energy of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전기적인 기능 블록도,5 is an electrica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kinetic energy of a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착용 상태도이다.6 is a wearing state diagram of the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본체, 11: 악곡 선택키,10: main unit, 11: music selection key,

12: 선곡 번호 표시기, 13: 스피커 홀,12: music number indicator, 13: speaker hall,

14: 벨트 연결편, 15: 벨트,14: belt connecting piece, 15: belt,

16: 고정 부재, 17a: 발전기 잭,16: fixing member, 17a: generator jack,

17b: 이어폰 잭, 17c: 마이크로폰 잭,17b: earphone jack, 17c: microphone jack,

18: 전지 교체용 덮개, 19: 운동량 표시기,18: battery replacement cover, 19: momentum indicator,

19a: 리세트 스위치, 19b: 전원 스위치,19a: reset switch, 19b: power switch,

20: 발전기 유니트, 21: 발전기,20: generator unit, 21: generator,

22: 중공 통체, 22a: 통공,22: hollow cylinder, 22a: through hole,

23: 충격 흡수 부재, 24: 영구 자석,23: shock absorbing member, 24: permanent magnet,

25: 유도용 코일, 26: 수납 자루,25: induction coil, 26: storage bag,

27: 연결 부재, 27a: 고정 부재,27: connecting member, 27a: fixing member,

28: 나선형 전선, 29: 핀 플러그,28: spiral wire, 29: pin plug,

30: 마이크로폰, 31: 고정 클립,30: microphone, 31: retaining clip,

40: 기본 전원부, 50: 직류 발생부,40: basic power supply unit, 50: DC generator,

60: 디지털 회로부, 61: 제어부,60: digital circuit section, 61: control section,

62: 악곡 선택부, 63: 운동량 감지부,62: music selection unit, 63: momentum detection unit,

64: 악곡 저장부, 65: 표시기 구동부,64: music storage section, 65: indicator drive section,

66: D/A 변환부, 67: 리세트 회로부,66: D / A converter, 67: reset circuit,

70: 아날로그 회로부, 71: 믹서,70: analog circuitry, 71: mixer,

72: 증폭부, 73: 스피커,72: amplifier, 73: speaker,

74: 이어폰74: earphon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곡 재생 장치는 크게 악곡 재생과 관련된 각종 전기/전자 부품이 내장된 본체(10) 및 본체(10)에 전선으로 연결된 채로 인체의 적소, 예를 들어 손목 또는 발목에 부착되어 댄스나 조깅 중에 인체에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유니트(20)로 이루어질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sing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located in the human body with wire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in which various electric / electronic components related to music reproducing are embedded.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generator unit 20 attached to the wrist or ankle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generated in the human body during dance or jogging into electrical energy.

전술한 구성에서, 본체(10)의 적소, 예를 들어 상면에는 악곡 선택키(11)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악곡 선택키(11)는 예를 들어 선곡 가능한 십진 자릿수 만큼의 업/다운 키로 구현될 수 가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또한 현재 선택된 악곡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기(12)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표시기(12)는 액정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체(10)의 적소, 예를 들어 정면에는 스피커(미도시)에서 발생한 음향이 본체(10)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피커 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적소, 예를 들어 하부에는 후술하는 기본 전원부를 구성하는 전지를 삽입 또는 교체하는데 사용하는 전지 교체용 덮개(18)가 마련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music selection key 11 is disposed in place, for examp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is music selection key 11 may be embodied by, for example, up / down keys by a selectable number of decimal digits. Can b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re is also arranged an indicator 12 that can visually identify the currently selected music, such an indicator 12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or the like. In place, for exampl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speaker holes 13 are formed so that sound generated from a speaker (not shown) can efficiently flow out of the main body 10. In place, for example,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the battery replacement cover 18 used to insert or replace the battery which comprises the basic power supply part mentioned later is provided.

한편, 발전기 유니트(20)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이렇게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전선(28)을 경유하여 본체(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기 유니트(20)는 본체(10)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 전선(28)의 자유 단부에는, 예를 들어 핀 플러그(29)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0)에는 이러한 핀 플러그(29)가 삽입되는 발전기 잭(17a)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enerator unit 20 converts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into electrical energy, the electrical energy thus converte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via a wire (28). And,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generator unit 20 can be stor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10,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pin plug 29 is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electric wire 28, the main body ( 10, a generator jack 17a into which the pin plug 29 is inserted is provided.

나아가, 본체(10)를 인체의 적소, 예를 들어 허리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벨트 연결편(14)이 마련되고, 이러한 벨트 연결편(14)에는 각각의 단부에 고정 부재(16)가 마련되어 있는 벨트(15)가 연결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체의 허리 사이즈의 다양함을 감안하여 벨트(1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바, 이러한 고정 부재(16) 및 길이 조절 부재는 혁대, 가방 또는 배낭 등에서 채택된 여러 공지의 기술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ttach the main body 10 to a place of the human body, for example, a waist. For this purpose, belt connecting pieces 14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such a belt connecting piece 14 is provided. The belt 15 in which the fixing member 16 is provided in each end is connected. Although not shown, in view of the variety of waist size of the human body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elt 15, such a fixing member 16 and the length adjusting member is a belt, bag or Appropriate ones among various known techniques adopted in backpacks and the like may be used.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7c와 17b는 각각 마이크로폰(30)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잭과 이어폰(후술함)을 연결할 때 사용하여 이어폰 잭을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19는 순시 또는 누적 운동량을 표시하는 운동량 표시기를 나타내며, 19a는 운동량 표시기(19)를 리세트시키는 리세트 스위치를 나타내며, 19b는 전원 스위치를 나타낸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17c and 17b denote earphone jacks used to connect microphone jacks and earphones (to be described later) used when connecting the microphone 30, respectively, and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momentum or cumulative momentum. An indicator is shown, 19a represents a reset switch for resetting the momentum indicator 19, and 19b represents a power switch.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기 유니트(20)는 발전기(21)가 수납되는 자루(26), 수납 자루(26)로부터 연장되어 인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감겨지는 연결 부재(27), 연결 부재(27)에 마련되는 고정 부재(27a) 및 발전기(21)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본체(10)로 전달하는 전선(2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generator unit 20 includes a bag 26 in which the generator 21 is stored, a connection member 27 extending from the storage bag 26 and wound around a wrist or ankle of a human body, and a connection member. The fixing member 27a provided at the 27 and the electric wire 28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21 to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전술한 구성에서, 전선(28)은 인체의 활동성을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 전화기에서 본체에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전선과 같은 나선형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와 마찬가지로 손목이나 발목의 다양한 사이즈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 부재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wire 28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spiral shape such as a wire connecting the handset to the main body in the telephone in order to sufficiently ensure the activity of the human body. In addition, like the main body 10, a length adjus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sufficiently accommodate various sizes of a wrist or ankle.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기(21)는 예를 들어 마찰계수가 극히 작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중공의 통체(22)의 내부 양단에 충격 흡수 부재(23),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제 스프링이 설치되고, 이들 충격 흡수 부재(23) 사이에 영구 자석(24)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자유 삽입되며, 통체(22)의 외측에 유도용 코일(25)이 권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통체(22)의 적소에는 영구 자석(24)의 왕복 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공(22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generator 21 is provided with shock absorbing members 23, preferably plastic springs, on both ends of the hollow cylinder 22 made of,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having a very small friction coefficient. The permanent magnets 24 are freely inserted between the shock absorbing members 23 so as to reciprocate, and the induction coil 25 is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cylinder 22.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hrough-hole 22a in place of the cylinder 22 so tha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ermanent magnet 24 may be performed smoothly.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전력 계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전기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전력 계통은 악곡의 선택 제어나 운동량 표시와 관련된 디지털 회로부(60), 선택된 악곡의 출력과 관련된 아날로그 회로부(70), 디지털 회로부(60)에 동작 전력을 제공하는 기본 전원부(40), 발전기(21) 및 발전기(21)에서 생성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키며 아날로그 회로부(70)에 대해 기본 전원부(40)와 직렬로 연결된 직류 발생부(50)로 이루어질 수 있다.4 is a power system diagram of a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lectrical system of the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power system of the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circuit unit 60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control or display of the momentum, the analog associated with the output of the selected music Converts the AC power generated by the basic power supply unit 40, the generator 21, and the generator 21 to provide the operating power to the circuit unit 70, the digital circuit unit 60 to the direct current, and the basic for the analog circuit unit 70 It may be made of a DC generator 50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power supply 40.

전술한 구성에서, 기본 전원부(40)는 예를 들어 건전지나 축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디지털 회로부(60)는 악곡을 선택하는 악곡 선택부(62), 인체의 운동량을 감지하는 운동량 감지부(63), 다수의 악곡을 저장하는 악곡 저장부(64), 악곡 선택부(62)에 의해 선택된 곡 번호를 표시하는 선곡 번호 표시기(12), 운동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운동량 표시기(19), 선곡 번호 표시기(12)와 운동량 표시기(19)를 구동하는 표시기 구동부(65),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D/A 변환부(66) 및 운동량 감지부(63)에서 감지된 신호 및 악곡 선택부(62)에서 선택된 번호에 의거하여 자체에서 산출한 순시 또는 누적 운동량을 표시하도록 표시기 구동부(65)를 제어하며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악곡을 악곡 저장부(64)에서 읽어 들여 D/A 변환부(66)에 제공하는 제어부(61)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asic power supply unit 4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battery or a storage battery, and the digital circuit unit 60 includes a music selection unit 62 for selecting a piece of music, and an exercise amount detection unit 63 for detecting an amount of exercise of the human body. ), A music storage unit 64 for storing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a music selection number indicator 12 for displaying a song number selected by the music selection unit 62, an exercise amount indicator 19 for displaying an exercise amount numerically, and a music selection number An indicator driver 65 for driving the indicator 12 and the momentum indicator 19, a D / A converter 66 for converting digital data into analog data, and a signal and music selector detected by the momentum detector 63 The display unit 65 controls the display driver 65 to display the instantaneous or cumulative momentum calculated by itself based on the number selected at 62, and reads the music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umber from the music storage unit 64, and then converts the D / A conversion unit ( To the control unit 61 provided to the It may be the lure.

전술한 구성에서, 운동량 감지부(63)는, 예를 들어 직류 발생부(50)에서 발생된 전압 신호를 이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제어부(61)는 이러한 전압 신호를 순시적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매 샘플링 시간마다 누적하여 얻어진 값을 운동량으로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운동량을 칼로리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 바, 이를 위해 실험에 의해 미리 정해져서 제어부(61)에 탑재된 전압 신호대 칼로리 변환 테이블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악곡 저장부(64)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omentum sensor 6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using a voltage signal generated by the DC generator 50, for example, and the controller 61 uses the voltage signal instantaneously. Alternatively, the value obtained by accumulating at each sampling time may be taken as the momentum. At this time, it would be desirable to display the calorie of the exercise amount, for this purpose it may be used a voltage signal-to-calorie conversion table predetermined by the experiment mounted on the control unit 61. The music storage unit 64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read only memory (ROM) or a flash memory.

아날로그 회로부(70)는 D/A 변환부(66)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악곡 신호를 마이크로폰(30)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와 혼합하는 믹서(71), 믹서(71)에서 혼합된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비율로 증폭하는 증폭부(72) 및 증폭부(72)를 통해 증폭된 전기 신호를 음파의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73) 또는 이어폰(74)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analog circuit unit 70 mixes the analog music signal converted by the D / A converter 66 with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30 and the analog signal mixed by the mixer 71. It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73 or earphone 74 for outputting the amplified unit 72 and the electric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ying unit 72 in the form of sound waves.

한편, 아날로그 회로부(70)의 내부 구성은 운동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기본 전원부(40)만으로는 동작이 되지 않고, 발전기(21)에 의해 생성된 전원이 직류 발생부((50)를 경유하여 기본 전원부(40)에 합쳐질 때에만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전기(21)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가 크면 클수록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커지게 될 것이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67은 운동량 표시기(19)를 리세트시키는 리세트 회로부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nalog circuit portion 70 does not operate only by the basic power supply unit 40 to inspire exercise motivation,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21 is the basic power supply unit via the DC generator (50)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only to operate when combined with 40. Therefore, the greater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generator 21, the greater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or earphone. 67 shows a reset circuit portion for resetting the momentum indicator 19.

도 6은 본 고안의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악곡 재생 장치의 착용 상태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본체(10)를 자신의 허리에 차고, 발전기 유니트(20)를 손목에 찬 상태에서 본체(10)에 연결하게 된다. 이어서, 마이크로폰(30)이나 이어폰(74)을 필요에 따라 본체(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19b)를 온시킴으로써 장치를 동작 대기 상태로 만든다. 다음에, 선곡 번호 표시기(12)를 통해 확인하면서 악곡 선택키(11)를 조작하여 원하는 악곡을 입력하게 되는데, 원하는 악곡은 예를 들어 매뉴얼 형태로 주어지는 악곡 리스트를 참조하여 선정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61)에서는 선택된 악곡을 악곡 저장부(64)에서 읽어들여 D/A 변환부(66)로 출력하게 되고, D/A 변환부(66)에서는 이렇게 입력받은 디지털 악곡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믹서(71)로 출력하게 된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use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wears the main body 10 at his waist and connects the generator unit 20 to the main body 10 while wearing the wrist. Subsequently, with the microphone 30 or the earphone 74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s necessary, the device is put in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by turning on the power switch 19b. Next, the user selects a desired piece of music by operating the music selection key 11 while checking through the song number indicator 12. The desired piece of music can be selected by referring to a list of pieces of music given in a manual form, for example. Next, the control unit 61 reads the selected music from the music storage unit 64 and outputs it to the D / A converter 66. The D / A converter 66 converts the digital music data received in this manner into analog. The data is converted into data and output to the mixer 71.

한편, 이 상태에서는 기본 전원부(40) 전력만이 아날로그 회로부(70)에 인가되어, 즉 전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스피커(73)를 구동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데, 인체가 댄스 중에 손동작을 함에 따라 영구 자석(24)이 중공 통체(22) 내에서 왕복 운동하게 됨으로써 유도용 코일(25)에 교류 전력이 생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교류 전력이 직류 발생부(50)에서 직류로 변환되어 아날로그 회로부(70)에 기본 전원부(40)의 전력과 함께 공급됨으로써 스피커(73)를 통하여 음파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인체가 손동작을 크고 빠르게 하면 할수록 스피커(73)에 공급되는 전력이 증가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도 커지게 된다. 한편, 이렇게 댄스가 진행되는 동안 제어부(61)에서는 직류 발생부(50)에서 생성된 전압의 크기를 소정의 샘플링 시간 간격마다 읽어 들여 누적하고, 이를 미리 탑재된 전압 신호대 칼로리 변환 테이블에서 읽어들인 후에 표시기 구동부(65)를 통하여 운동량 표시기(19)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의 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only the basic power supply unit 40 power is applied to the analog circuit unit 70, i.e., the power is not enough to drive the speaker 73, which is permanent as the human body moves during the dance. As the magnet 24 reciprocates in the hollow cylinder 22, AC power is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25. Then, the generated AC power is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by the DC generator 50 and supplied to the analog circuit unit 70 together with the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40, so that sound waves are output through the speaker 73. Therefore, as the human body makes the hand gesture larger and faster, the power supplied to the speaker 73 is increased,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s also increased. In the meantime, during the dance, the controller 61 reads and accumulat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DC generator 50 at predetermined sampling time intervals, and reads it from the preloaded voltage signal-to-calorie conversion table. By outputting to the exercise amount indicator 19 through the indicator driving unit 65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mount of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본 고안의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한 음향 생성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벨트(15)나 발전기 유니트(20)의 연결 부재(27)를 고정 부재(16),(27a)가 없는 단일의 신축성 벨트로 구현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본체(10)를 바닥 거치형이나 어깨에 매는 형태로 변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belt 15 of the main body 10 or the connecting member 27 of the generator unit 2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elastic belt without the fixing members 16 and 27a.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 Could be transformed into a floor-mounted or shoulder-strap.

본체(10)의 내부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라디오, MP(Media Player)3 플레이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또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등을 본 고안의 취지에 맞도록 변형시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이 경우에 직류 발생부(50)에서 생성된 전력이 아날로그 회로부(70)에 영향을 미치도록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음향 발생 장치를 아주 단순화시켜서 라디오로 한 경우에는 기본 전원부를 별도로 두지 않고 직류 발생부에서 생성된 전력만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Regard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0, a radio, an MP (Media Player) 3 player, a cassette tape player, or a compact disc player may be modified to mee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direct current It may be desirable to modify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50 to affect the analog circuit unit 70. Furthermore, if the sound generating apparatus is very simplified and used as a radio, only the power generated by the DC generator may be used without a separate main power supply.

한편, 발전기 유니트(20)를 두 개 이상으로 구현하여 양 손목이나 발목에 부착할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발전기 유니트(20)에 두 개 이상의 발전기(21)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큰 전력이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고, 직류 발생부(50)를 발전기 유니트(20)에 내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by implementing two or more generator units 20 to be attached to both wrists or ankles, or by connecting two or more generators 21 in series or in parallel to one generator unit 20 generates greater power It may be possible to, and may be embedded in the generator unit 20 the DC generator 50.

마지막으로,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서의 '음향 발생부'는 본 고안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라디오와 같은 단순한 기기에서부터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용의 오디오 기기가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Finally, the 'sound generator'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described below is relatively simple, such as a radio, a cassette tape player, a compact disc player, or an MP3 play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 complicated device, and besides, it may be a dedicated audio device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몸놀림에 의해 장치에서 재생되는 음향의 크기가 변화됨으로써 운동 의욕을 고취시킬 수가 있으며, 건전지나 축전지 등의 기본 전원과 인체의 몸놀림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 장소 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size of the sound reproduced in the device by the user's movement, it is possible to inspire exercise motivation, such as a battery or a battery Since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ower source and the human body movement is used as the driving power source, there is an effect that is not restricted in the place of use.

Claims (4)

인체의 적소에 부착되어 인체의 동작에 의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 유니트;A generator unit attached to a place of the human body to generate AC power by the operation of the human body; 상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 발생부 및A DC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AC power into DC power; 상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음향 발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A sound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made up of a sound generating unit operating by receiving the DC pow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발생부 및 상기 음향 발생부는 인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된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발전기 유니트는 상기 본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C generator and the sound generator is built in the main body to be attached to the human body, the generator unit is a sound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human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Generat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은 악곡이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is a piece of music, 상기 음향 발생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곡을 선택하는 악곡 저장부, 상기 악곡 저장부에 저장된 악곡을 선택하는 악곡 선택부, 선택된 악곡을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악곡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악곡을 파악하여 상기 악곡 저장부로부터 상기 선택된 악곡을 읽어 들인 후에 상기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조 기능부 및 독립 전원으로 구현되어 상기 보조 기능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기본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sound generating unit includes a music storage unit which is built in the main body and selects at least one piece of music, a music selection unit which selects music stored in the music storage unit, an audio output unit which outputs the selected music as sound, and the music selection unit The auxiliary function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which grasps the selected music through the music storage unit and reads the selected music from the music storage unit, and then outputs the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a basic power supply unit which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auxiliary function unit. It is made to include more,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직류 발생부의 전력과 상기 기본 전원부의 전력의 합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한 음향 발생 장치.And the sound output unit is driven by the sum of the power of the DC generator and the power of the basic power supply unit. 제 1 항에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본체의 적소에 상기 직류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력에 의거하여 산출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운동량 표시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하는 음향 발생 장치.4.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exercise amount indicator for displaying an exercise amount calculated on the basis of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DC generator in place of the main body. Sound generator that utilizes kinetic energy.
KR2020000025475U 2000-09-07 2000-09-07 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KR20021682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475U KR200216820Y1 (en) 2000-09-07 2000-09-07 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475U KR200216820Y1 (en) 2000-09-07 2000-09-07 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820Y1 true KR200216820Y1 (en) 2001-03-15

Family

ID=7305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475U KR200216820Y1 (en) 2000-09-07 2000-09-07 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82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107A (en) 2019-10-01 2021-04-09 김태영 Multi-purpose Sound generating appar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107A (en) 2019-10-01 2021-04-09 김태영 Multi-purpose Sound generating appar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3023B2 (en) Portable fitness monitoring methods
ES2666190T3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usical instrument functions
US7304230B2 (en) Multiple channel metronome
US7745716B1 (en) Musical fitness computer
CN101180137B (en) Vibrating transducer with wobbling motor
WO2007086376A1 (en) Audio reproducing device, audio reproducing method, and audio reproducing program
JP2007065493A (en) Music reproducing device
CN101108267A (en) Music synchronous low frequency stimulator
KR200216820Y1 (en) sound producing apparatus using human exercise energy
KR200455127Y1 (en) dumbbell
CN101180584B (en) Wearable and repositionable vibrating metronome
CN208193604U (en) Sports movement entertainment system based on karaoke broadcast control equipment
JP3756920B1 (en) Foot motion support system, musical tone generator used in the system, foot motion support processing program, and music distribution method
JP2008160293A (en) Wireless sensory sound bedding apparatus
US8399752B2 (en) Musical instrument for the handicapped
CN206332825U (en) Intelligent radio moves subwoofer
US20060292538A1 (en) Portable music machine
CN220543584U (en) Co-frequency resonance device
CN109286867A (en) A kind of microphone, terminal and fitness monitoring systems
KR200454174Y1 (en) Skipping rope with a fuction of playing music
KR200354471Y1 (en) a skipping rope playing music
CN202210859U (en) Portable multimedia small sound box with functions of pedometer
KR20020021759A (e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 method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motion of walking, competitive walking, jogging and marathon
CN2346033Y (en) Pad-type keyboard of electronic piano
JP2007086553A (en) Recording medium where accompaniment music for exercise assistance is recorded and music distributing method for accompaniment music for exercise as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